KR930006651B1 - 청취공간 적응형 재생음 레벨 자동 제어회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청취공간 적응형 재생음 레벨 자동 제어회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6651B1
KR930006651B1 KR1019910001531A KR910001531A KR930006651B1 KR 930006651 B1 KR930006651 B1 KR 930006651B1 KR 1019910001531 A KR1019910001531 A KR 1019910001531A KR 910001531 A KR910001531 A KR 910001531A KR 930006651 B1 KR930006651 B1 KR 9300066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st signal
signal
reproducing
listening space
sound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1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5700A (ko
Inventor
이희수
장성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100015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6651B1/ko
Priority to JP4015325A priority patent/JPH04354202A/ja
Priority to DE4202609A priority patent/DE4202609A1/de
Publication of KR920015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57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66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66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 H03G3/20Automatic control
    • H03G3/30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 H03G3/32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the control being dependent upon ambient noise level or sound lev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7/00Public address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7/00Indicating arrangements; Control arrangements, e.g. balance control
    • H04S7/30Control circuits for electronic adaptation of the sound fie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7/00Indicating arrangements; Control arrangements, e.g. balance control
    • H04S7/30Control circuits for electronic adaptation of the sound field
    • H04S7/301Automatic calibration of stereophonic sound system, e.g. with test microphon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 Of Amplification And Gain Control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 Stereophonic System (AREA)
  • 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청취공간 적응형 재생음 레벨 자동 제어회로 및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블럭도.
제2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블럭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
제4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
본 발명은 음향기기에 있어서 앰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청취공간에 따라 재생 레벨을 결정하는 재생음레벨 자공 제어회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리는 음이 재생되는 공간이나 시간에 의해서 크게 좌우된다. 그러므로 상기 재생되는 장소의 크기와 주변환경(NOISE LEVEL)이 변경될때마다 청취자가 느끼는 소리의 크기는 다를 수 있다.
또한 동일한 공간내에서도 청취자의 수가 많거나 그로 인한 잡음이 큰 경우에 들리는 소리의 크기나 명료도는 떨어지게 된다.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4a)와 같이 청취자가 적은 경우는 공간내에서 확산 또는 흡수되는 음이 적으므로 후방에서 큰 레벨의 소리를 청취할 수 있다. 그러나 (4b)와 같이 청취자가 많은 경우에는 중간에서 흩어지는 음이 많아지게 되므로 후방에 위치한 사람에게는 소리가 잘 들리지 않는다.
그런데 종래의 경우에는 세트의 볼륨을 사용자가 수동으로 혹은 리모콘을 사용하여 듣기에 좋은 상태로 설정하였다. 그러므로 주위의 환경변화에 적절하게 재생신호의 레벨을 자동으로 보정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세트의 원래 소리를 재생하기 전에 일정한 테스트신호를 출력하고 이를 세트에서 다시 체크하여 청취공간에 적정한 레벨이 되도록 볼륨의 위치등을 자동으로 설정하는 청취공간 적응형재생음 레벨 자동 제어회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구성도로써, 좌, 우라인 입력단(L-IN,R-IN)을 통해 들어온 신호를 1차 증폭하는 제1 및 제2전치증폭기(32,33)와, 소정 제어데이타에 의해서 볼륨의 위치가 결정됨으로써 상기 두 전치증폭기(32,33)로부터의 입력과 출력의 신호비를 조절하는 전자식 제1볼륨(29)과, 소정의 제어를 받아 상기 제1볼륨(29)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뮤팅하는 뮤트부(28)와, 소정의 제어를 받아 주음성신호와 테스트신호를 선택적으로 스위칭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스위칭부(27)와, 상기 스위칭부(27)의 출력신호를 2차 증폭하여 스피커(23,24)로 전달하는 제1 및 제2주증폭기(25,26)와, 소정의 테스트신호를 출력하는 테스트 신호 발생부(22)와, 상기 테스트신호 발생부(22)로부터 출력된 테스트신호와 스피커 및 음이 재생되는 공간을 통과한 테스트신호간에 발생하는 시간차를 보정하는 지연기(17)와, 좌, 우 마이크(20,21)와, 상기 좌, 우 마이크(20,21)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증폭하는 제1 및 제2마이크 증폭기(18,19)와, 상기 지연부(17)와 상기 두 증폭기(18,19) 출력신호를 직류레벨의 신호로 변환하는 제1 및 제2정류기(14,15)와, 상기 두 정류기(14,15)로부터의 아날로그 출력신호를 디지탈 변환하는 제1 및 제2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11,12)와, 상기 볼륨(29)와 뮤트부(28) 및 스위칭부(27)를 제어하여 상기 테스트신호와 상기 마이크(20,21)로부터의 입력신호를 비교하는 마이컴(10)과, 상기 마이컴(10)의 모드제어 입력을 위한 모드스위치(34)로 구성된다.
제2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블럭도로써, 제1도에서 제1 및 제2전치증폭기(32,33) 출력을 각각 입력하여 입력과 출력의 신호비를 따로 조절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1볼륨(29) 대신에 상기 제1 및 제2전치증폭기(32,33) 출력단에 각각 상기 마이컴(10)의 제어를 받아 동작하는 제2볼륨(30)과 제3볼륨(31)을 접속하여, 제1 및 제2마이크 증폭부(18,19)로부터의 출력을 각각 분리하여 제3정류기(36)와 제3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35)를 거치거나 제4정류기(16)와 제4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13)를 거쳐 상기 마이컴(10)으로 입력하도록 구성한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흐름도이고, 제4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이다.
상술한 구성에 의거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개요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세트에서 테스트신호를 출력하고 이 출력신호가 청취공간을 통과한 뒤에 어느정도 레벨이 떨어지는가를 체크하여 전달상태가 취약할 경우 볼륨등을 조정하며 이에 적절한 레벨을 세팅함으로써 청취차의 가청 상태를 향상시킨다.
제1도와 제3도를 참조하여 상기한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세트에 전원이 커진 직후에 마이컴(10)은 제3도의 (3a)단계에서 뮤트부(23)를 제어하여 음성라인을 뮤트시킨다. 상기 (3a)단계 수행 후 (3b)단계에서 모드스위치(24)의 상태를 체크하여 자동 모드로 선택되었는지 확인한다.
상기 확인 결과 자동 모드가 선택되었을시에는 (3c)단계로 진행하여 스위칭부(27)의 스위치가 자동단자(Auto)로 접속되도록 제어한 다음(3d)단계로 진행하여 테스트신호 발생부(22)를 구동하여 일정시간 동안 테스트신호를 출력하도록 한다. 이때 테스트신호는 화이트노이즈(White Noise) 또는 핑크노이즈(Pink Noise)를 사용한다.
상기 테스트신호 발생부(22)로부터 발생된 테스트신호는 스위칭부(27)를 거쳐 제1 및 제2주증폭기(25,26)에서 소정 증폭된 다음 각각 스피커(23,24)를 통해 출력되기도 하고, 지연부(17)에서 소정지연된 다음 제1정류부(14)를 거쳐 정류되고 제1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11)를 거쳐 디지탈 형태로 변환된다.
그러므로 상기 마이컴(10)은 상기 디지탈 변환된 테스트신호를 입력한 다음 (3e)단계로 진행하여 두 마이크(20,21)로부터 제1 및 제2마이크 증폭부(18,19)와 제2정류기(15) 및 제2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12)를 거친 시청공간 통과 신호를 입력한다. 상기 시청공간 통과신호 입력후에는 (3f)단계로 진행하여 원래의 테스트신호와 시청공간을 통과한 신호의 레벨차를 계산한다.
상기 레벨차를 연산한 후에는 (3g)단계로 진행하여 적정한 볼륨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도록 상기 레벨차에 해당하는 제어데이타를 롬의 룩업(look up) 테이블로부터 독출한 다음 (3h)단계에서 제1볼륨(29)으로 제어데이타를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데이타를 4비트라 가정하면, 0000를 최소 레벨이고 1111을 최대 레벨로 할 수 있다.
상기 (3h)단계 수행 후 (3i)단계로 진행하여 스위칭부(27)의 스위치를 수동단자(NOR) 위치로 절환한 다음 (3j)단계에서 뮤트부(28)를 제어하여 음성라인의 뮤트 상태를 해제하고 종료한다.
한편 전술한 (3b)단계에서 자동 모드가 선택되지 않았을시에는 (3k)단계로 진행하여 세트내의 초기 제어 데이타 혹은 사용자가 이전에 사용한 볼륨의 위치에 해당하는 제어데이타를 제1볼륨(29)으로 전송한 다음(3l)단계에서 뮤트부(28)를 제어함으로써 음성라인의 뮤트를 해제하고 종료한다.
다음으로 제2도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제4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4a)-(4d)에 이르는 동작 과정을 전술한 (3a)-(3d)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4e)단계에서 마이컴(10)을 제1 및 제2마이크를 통과한 시청공간 통과 신호가 제1및 제2마이크 증폭부(18,19)에서 소정 증폭된 다음 각각 제3 및 제4정류기(36,16)에서 정류된 다음 다시 각각 제3 및 제4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35,13)에서 디지탈 변환되면 이를 입력한다.
상기 (4e)단계 수행 후에는 (4f)단계로 진행하여 원래의 테스트신호와 제1마이크(20)와 제2마이크(21)의 레벨차를 연산한다.
상기 연산후에는 (4g)단계로 진행하여 레벨차에 해당하는 제어데이타를 제1마이크(20)와 제2마이크(21)의 경우에 대하여 각각 롬으로 부터 독출한다.
상기 제어데이타를 독출한 다음에는 (4h)단계로 진행하여 제2 및 제3볼륨(30,31)으로 상기 제어데이타를 각각 전송한다.
이후 (4i) 및 (4j)단계도 전술한 (3i) 및 (3j)단계와 동일하며, 자동 모드가 아닐시의 (4k)와 (4l)단계에 해당하는 동작도 전술한 (3k)와 (3l)의 동작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주위의 환경변화에 적절하게 재갱신호의 레벨을 자동으로 보정 가능토록 함으로써 청취자의 가청상태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음성신호를 제1차 증폭하는 전치증폭수단과, 소정의 음성신호들을 증폭하여 스피커로 재생하는 재생수단을 구비한 음향기기의 재생회로에 있어서, 소정 제어데이타에 의해서 볼륨의 위치가 결정됨으로써 상기 전치증폭수단으로부터의 입력과 재생되는 출력신호의 비를 조절하는 전자식 볼륨과, 청취공간의 상태를 체크하기 위한 소정의 테스트신호를 출력하는 테스트신호 발생수단과, 상기 입출력 신호비가 조절된 음성신호와 테스트신호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상기 재생수단으로 출력하는 스위칭수단과, 상기 재생수단을 통해 재생된 테스트신호를 검지한 검지수단과, 소정의 모드 제어 입력 상태에 따라 스위칭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테스트신호 발생수단과 검지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신호간의 차를 검출하여 상기 전자식 볼륨의 위치를 자동 제어하여 청취공간에 따라 재생음 레벨을 적절히 조절하는 제어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취공간 적응형 재생음 레벨 자동 제어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신호 발생수단으로부터 출력된 테스트신호와 상기 테스트신호가 상기 재생수단과 청취공간을 거친 결과 상기 검지수단에서 검지신호로 발생되기까지의 시간차를 보정하기 위한 지연수단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청취공간 적응형 재생음 레벨 자동 제어회로.
  3. 음향기기의 재생음 레벨 조절방법에 있어서, 라인뮤트 상태에서 소정의 테스트신호를 발생하여 이를 재생하고, 상기 재생된 신호가 청취공간에 확산되면 이를 검지하여 상기 발생 당시의 테스트신호와 비교한 결과 상기 두신호간의 레벨차를 검출하고, 그 레벨차 만큼 재생음 레벨을 조절하여 청취공간에 적절한 재생음 레벨을 자동으로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청취공간 적응형 재생음 레벨 자동 제어방법.
KR1019910001531A 1991-01-30 1991-01-30 청취공간 적응형 재생음 레벨 자동 제어회로 및 방법 KR9300066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01531A KR930006651B1 (ko) 1991-01-30 1991-01-30 청취공간 적응형 재생음 레벨 자동 제어회로 및 방법
JP4015325A JPH04354202A (ja) 1991-01-30 1992-01-30 再生音レベル自動制御回路及びその方法
DE4202609A DE4202609A1 (de) 1991-01-30 1992-01-30 Schaltung und verfahren zur steuerung eines wiedergabeschallpegels in anpassung an einen hoerrau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01531A KR930006651B1 (ko) 1991-01-30 1991-01-30 청취공간 적응형 재생음 레벨 자동 제어회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5700A KR920015700A (ko) 1992-08-27
KR930006651B1 true KR930006651B1 (ko) 1993-07-22

Family

ID=19310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1531A KR930006651B1 (ko) 1991-01-30 1991-01-30 청취공간 적응형 재생음 레벨 자동 제어회로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H04354202A (ko)
KR (1) KR930006651B1 (ko)
DE (1) DE42026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96060A1 (fr) * 1992-09-22 1994-03-25 Carpentier Claude Procédé et dispositif de commande automatique du gain d'un amplificateur d'un système électroacoustique, notamment pour véhicule automobile.
GB2310104A (en) * 1996-02-12 1997-08-13 Yang Yi Fu Loud speaker enclosure and tunable audio reproduction apparatus
US7333863B1 (en) 1997-05-05 2008-02-19 Warner Music Group, Inc. Recording and playback control system
WO2001026220A1 (en) * 1999-10-06 2001-04-12 Warner Music Group, Inc. Recording and playback control system
KR20060098726A (ko) * 2005-03-07 2006-09-19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오디오 시스템에서 자동 음향 보정 장치 및 방법
EP2416593A1 (de) 2010-08-02 2012-02-08 Svox AG Verfahren zur Innenraumkommunikation
DE102016118950A1 (de) 2016-10-06 2018-04-12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Verfahren und Einrichtung zur adaptiven Audiowiedergabe in einem Fahrzeug
US11741093B1 (en) 2021-07-21 2023-08-29 T-Mobile Usa, Inc. Intermediate communication layer to translate a request between a user of a database and the database
US11924711B1 (en) 2021-08-20 2024-03-05 T-Mobile Usa, Inc. Self-mapping listeners for location tracking in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849961A1 (de) * 1978-11-17 1980-05-22 Siemens Ag Elektroakustischer signalgeber mit automatischer lautstaerkeanpassung an den umgebungsgeraeuschpeg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5700A (ko) 1992-08-27
DE4202609A1 (de) 1992-08-06
JPH04354202A (ja) 1992-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11742B1 (ko) 청취공간 상태에 따른 재생 음성신호의 주파수 특성 보정장치
JP5226180B2 (ja) オーディオ/ビデオシステムのスピーカモードの自動設定方法及び装置
US4694498A (en) Automatic sound field correcting system
US4381488A (en) Dynamic volume expander varying as a function of ambient noise level
KR930006651B1 (ko) 청취공간 적응형 재생음 레벨 자동 제어회로 및 방법
JPH11167385A (ja) 音楽演奏装置
JPH09116362A (ja) 自動音量制御装置
US3281706A (en) Automatic gain control device for high fidelity audio systems
KR20010096313A (ko) 음향 자동조절 장치 및 그 방법
KR100241438B1 (ko) 티브이 시스템의 음성 출력 레벨 보상 방법 및 장치
JPS62166698A (ja) 自動音場補正装置
JPS61108294A (ja) 自動音場補正装置
JP3243737B2 (ja) 音量調整回路装置
KR200198319Y1 (ko) 음향 자동조절 장치
JP3623579B2 (ja) ボタン電話装置
JPH09307383A (ja) L/rチャンネル独立型agc回路
JPS6115408A (ja) 音響装置
KR100197612B1 (ko) 음량제한장치
JPH05153700A (ja) 左右スピーカ音バランス調整装置
JPH06268616A (ja) ラジオ受信装置
EP1096829B1 (en) System for transcription and playback of sonic signals
KR20000043635A (ko) 브이 씨 알의 오디오 증폭이득 조절장치 및 그 방법
GB2093290A (en) Audio signal amplifier circuit
KR20030026723A (ko) 오디오의 서브 우퍼 시스템
JP2002111416A (ja) ミキシ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62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