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6191B1 - 말단 카르복실기를 갖는 반응성 비닐단량체이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말단 카르복실기를 갖는 반응성 비닐단량체이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6191B1
KR930006191B1 KR1019870000047A KR870000047A KR930006191B1 KR 930006191 B1 KR930006191 B1 KR 930006191B1 KR 1019870000047 A KR1019870000047 A KR 1019870000047A KR 870000047 A KR870000047 A KR 870000047A KR 930006191 B1 KR930006191 B1 KR 9300061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atoms
reactive vinyl
anhydride
reaction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0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7097A (ko
Inventor
히사이찌 무라모또
게이조우 이시이
다다후미 미야조노
Original Assignee
닛뽄 페인트 가부시끼가이샤
스즈끼 마사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뽄 페인트 가부시끼가이샤, 스즈끼 마사오 filed Critical 닛뽄 페인트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700070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70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6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61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9/00Esters of carboxylic acids; Esters of carbonic or haloformic acids
    • C07C69/66Esters of carboxylic acids having esterified carboxylic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and having any of the groups OH, O—metal, —CHO, keto, ether, acyloxy, groups, groups, or in the acid moiety
    • C07C69/67Esters of carboxylic acids having esterified carboxylic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and having any of the groups OH, O—metal, —CHO, keto, ether, acyloxy, groups, groups, or in the acid moiety of saturated acids
    • C07C69/716Esters of keto-carboxylic acids or aldehydo-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7/0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esters
    • C07C67/08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esters by reacting carboxylic acids or symmetrical anhydrides with the hydroxy or O-metal group of orga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9/00Esters of carboxylic acids; Esters of carbonic or haloformic acids
    • C07C69/52Esters of acyclic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having the esterified carboxyl group bound to an acyclic carbon atom
    • C07C69/533Monocarboxylic acid ester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07C69/54Acrylic acid esters; Methacrylic acid es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Macromonomer-Based Addition Polymer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말단 카르복실기를 갖는 반응성 비닐단량체이 제조방법
본 발명은 특히 고분자 화합물 제조에 유용한 신규한 비닐단량체에 대한 것이며, 또 이 단량체를 제조하는 방법에도 관한 것이다.
아크릴산, 메타크릴산등으로 예시되는 말단 카르복실기를 갖는 반응성 비닐 단량체는 아크릴 수지의 구성단위로서 잘 알려져 왔다. 그러한 단량체는 보통 아크릴레이트, 메타크릴레이트등과 같은 다른 아크릴 단량체와 공중합되어 금속기판에 대한 최종 생성수지의 부착성을 개선시키고, 또는 아미노 플라스틱 수지(amino plast resin)와 혼합되어 수지의 경화성(curing property)을 개선시키게 된다. 그러나, 지금까지 제안된 말단 카르복실기를 갖는 비닐 단량체에서는, 비닐기와, 카르복실기 사이의 사슬길이가 비교적 짧아 비닐수지에 혼입될때 조차도 경화가속 작용은 그리좋지 않으며 부착력 향상도 비교적 저조하다. 그래서 이들 단량체의 실제 사용은 일정 경우에만 한정되어 왔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비닐수지에 혼입될 때 아미노 플라스틱 수지와 최종 생성수지의 가교결합 반응에서 강한 촉매작용을 일으키며, 형성된 피복에 대해 바람직한 성질을 발현하는 새로운 종류의 말단 카르복실기를 갖는 반응성 비닐 단량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용한 성질을 갖춘 비닐 수지의 제조에 유용한 말단 카르복실기를 갖는 반응성 비닐 단량체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그러한 신규한 단량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여러 목적들은 명세서의 다른 설명 및 특허 청구범위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술 목적들은 다음 화학식으로 표시된 말단 카르복실기를 갖는 반응성 비닐 단량체로 달성될 수 있다.
Figure kpo00001
상기 식에서, R1은 수소 또는 메틸기이고 ; R2는 2내지 10탄소원자를 갖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지방족 탄화수소, 6 내지 7탄소원자를 갖는 지방족 고리 탄화수소 또는 6탄소 원자를 갖는 방향족 탄화수소이며 ; A는
Figure kpo00002
또는
Figure kpo00003
의 반복단위이고 ; R3는 에틸렌 또는 프로필렌이며 ; R4는 2 내지 7 탄소원자를 갖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렌이고 ; R5는 2 내지 5탄소원자를 갖는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알킬렌이며 ; m은 1 내지 10의 정수이고 n은 2 내지 50의 정수이다.
본 말단카르복실기를 갖는 반응성 비닐 단량체는 다음 화학식
Figure kpo00004
의 말단 히드록실기를 갖는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를 다음 화학식
Figure kpo00005
의 산무수물과 바람직하게게 래디칼중합 억제제의 존재하에서 반응시키는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식(Ⅱ)에서 R1은 수소 또는 메틸기, A는
Figure kpo00006
또는
Figure kpo00007
의 반복단위, R3는 에틸렌 또는 프로필렌, R4는 2 내지 7탄소원자를 갖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렌, R5는 2 내지 5 탄소원자를 갖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렌이고, m은 1 내지 10의 정수이고 n은 2 내지 50의 정수이다.
또 식(Ⅲ)에서 R2는 2 내지 10 탄소원자를 갖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지방족탄화수소, 6 내지 7탄소원자를 갖는 지방족 고리탄화수소 또는 6탄소원자를 갖는 방향족 탄화수소이다.
말단 히드록실기를 갖는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의 실례에는 β-프로피오락톤, δ-발레로락톤, δ-카프로락톤, ε-카프로락톤등과 같은 고리에스테르와 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 또는 히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의 부가물이 있으며 산화에틸렌, 산화프로필렌, 테트라히드로푸란등의 고리에스테르와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의 부가물이 있다. 여러 그러한 생성물에는 예를들면 플라셀(placcel) FA-1 (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및 ε-카프로락톤의 1 : 1 부가물), 플라셀 FM-1 (히드록시에틸 메타릴레이트와 ε-카프로락톤의 1 : 1 부가물) 플라셀 FA-3 (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와 ε-카프로락톤의 1 : 3부가물), 플라셀 FA-3 (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와 ε-카프로락톤의 1 : 3부가물), 플라셀 FA-5 (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및 ε-카프로락톤의 1 : 5부가물), 플라셀 FM-5 (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ε-카프로락톤의 1 : 5부가물)(다이셀화학 Co., 의 등록상표) ; 블렌머(Blenmer) PE(메타크릴산 및 산화에틸렌의 부가물), 블렌머 PP(메타크릴산 및 산화 프로필렌의 부가물)(닛뽄 유시의 등록상표)등이 상업적으로 구입가능하다. 다른 유사한 생성물은 원한다면 쉽게 제조할 수 있다.
상술된 화학식(Ⅲ)의 산 무수물로서는 무수숙신산, 무수말레산, 무수 프탈산, 무수 테트라히드로프탈산, 무수헥사히드로프탈산, 무수트리멜리트산, 무수헤트산, 무수힘산(hymic anhydrido), 무수 아디프산, 무수 아젤라산, 무수 세바크산 및 그들의 치환 유도체를 사용한다.
상기 말단 히드록실기를 갖는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Ⅱ)와 산무수물(Ⅲ)의 반응은 가열 및 교반조건하에서 쉽게 실행될 수 있지만, 말단 비닐기의 보호를 위해 히드로퀴논 모노메틸에티르와 같은 래디칼중합 억제제의 존재하에서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통 그러한 래티칼중합 억제제는 5000ppm 또는 그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ppm 또는 그 이하의 농도로 사용한다.
상기 히드록실기를 갖는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 대 산무수물의 중량비는 9 : 10 내지 11 : 10의 범위로 보통 설정한다. 그리하여 얻어진 화학식(Ⅰ)의 단량체는 반응성 비닐기를 갖으며 이는 비닐수지 제조를 위한 비닐 단량체로서 유용하다.
사슬이 긴 알킬렌기가 반응성 비닐기와 말단 카르복실기 사이에 내재하기 때문에 그 한 단량체는, 수지에 혼입될때 상기 긴사슬 말단부에 매우 활성적인 카르복실기를 제공할 수 있어서, 형성된 수지와 아미노 플라스틱 수지 사이에 가교결합 반응에서의 산성촉매로서 매우 효과적이다. 그래서 가교결합율은 크게 향상되며 잘 겔화된 피복을 얻을 수 있다.
또 화학식(1)의 본 발명의 말단 카르복실기를 갖는 반응성 비닐단량체에는 말단 카르복실기로 표시된 친수성 부분과 A 및 R2의 알킬렌 사슬로 표시된 소수성 부분을 포함하며 이들 부분들의 비율은 원하는대로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다. 이런 이유로 우수한 계면활성력이 상기 반응성 단량체의 주어진다. 동일이유로 α,β-에틸렌계 불포화 화합물의 에멀션화중합 또는 분산중합에서 유화제로서 특히 유용한 신규한 비닐수지 제조가 가능하다. 본 발명은 다음 실시예에서 보다 충분하게 설명될 것이다. 특정 지시가 없는 한 모든 부 및 백분율은 중량기준이다.
[실시예 1]
교반기, 딤로스응축기 온도계 및 공기도입관을 조립한 1ℓ글라스플래스크에 무수숙신산 150부, 플라셀 FM-1(ε-카프로락톤 및 2-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의 1 : 1몰 부가물, 다이셀 화학 Co.,의 등록상표) 385부와 히드로퀴논 모노메틸에테르 500ppm을 넣었다. 공기를 도입시키면서 혼합물을 40분동안 150℃(내부온도)에서 교반하에서 반응시켰다. 반응을 완결한 후 혼합물을 상온으로 냉각하였고 미반응된 산무수물의 형성결정을 여과하여 산가가 172 이고 점도(25℃)가 250cp인 바람직한 말단 카르복실기를 갖는 단량체 생성물(Ⅰ)을 수득하였다. 측정산가로부터 산출된 반응백분율은 96%이었다.
[실시예 2]
참고실시예 1에서 사용된 바와같은 유사한 반응용기에 무수숙신산 60부, 플라셀 FM-5(ε-카프로락톤 및 2-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의 5 : 1몰 부가물, 다이셀 화학 Co.,의 등록상표) 440부, 및 히드로퀴논 모노메틸에테르 500ppm을 넣었다. 공기를 도입하면서 혼합물을 60분동안 150℃(내부온도)에서 교반하여 반응을 진행하였다. 그후 반응혼합물을 냉각시켜 미반응 산무수물의 결정을 침전시켰으며 여과하여 산기가 70이고, 25℃에서 반고형 생성물인 바람직한 말단카르복실기를 갖는 반응단량체 생성물(Ⅰ)을 수득하였다. 반응백분율은 참고실시예 1에서와 같이 측정하였더니 96%가 되었다.
[실시예 3]
참고실시예 1에 사용된 것과 유사한 반응용기에 무수말레산 98부, 플라셀 FM-3(ε-카프로락톤 및 2-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의 3 : 1몰 부가물, 다이셀 화학 Co.,의 등록상표) 480부와 히드로퀴논 모노메틸에테르 500ppm을 넣었다. 공기를 도입하면서 혼합물을 60분동안 150℃ (내부온도)에서 교반하여 반응을 진행하였다. 그리하여 얻은 생성물은 103의 산가를 지녔고 350cp(25℃)의 점도를 지녔다. 참고실시예 1에 상술된 바와 같이 동일한 방식으로 측정된 반응백분율은 95%이었다.
[실시예 4]
참고 실시예 1에서 사용된 것과 유사한 반응용기에 무수테트라히드로프탈산 154부, 블렌머 PE-350(산화 에틸렌 및 메타크릴산의 7-9 : 1몰 부가물, 닛뽄 유시의 등록상표) 420부와 히드로퀴논 모노메틸에테르 500ppm을 넣었다. 공기를 도입하면서 혼합물을 60분동안 150℃(내부온도)에서 교반하였다. 그리하여 얻어진 생성물은 산가 103을 지녔고 반응 백분율은 96%이엇다.
[실시예 5]
참고 실시예 1에서 사용된 것과 유사한 반응용기에 무수프탈산 148부, 블렌머 PP-1000(산화 프로필렌 및 메타크릴산의 5.5 : 1몰 부가물, 닛뽄 유시의 등록상표) 400부와 히드로퀴논 모노메틸에테르 500ppm 을 넣었다. 공기를 도입하면서 혼합물을 60분동안 150℃(내부온도)에서 교반하에서 반응시켰다. 그리하여 얻어진 생성물은 산기 108과 점도(25℃) 300cp를 지녔다. 반응 백분율은 95%이었다.
[실시예 6]
실시예 1에서 사용된 거소가 유사한 반응용기에 무수 헥사 히드로프탈산 100부, δ-발레로락톤 및 2-히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의 8 : 1몰 부가물 640부 및 히드로퀴논 모노메틸에테르 500ppm를 넣었다. 공기를 도입하면서 혼합물을 60분동안 150℃(내부온도)에서 교반하에서 반응시켜 소정의 말단 카르복실을 갖는 반응성 비닐 단량체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7]
실시예 1에서 사용된 것과 유사한 반응용기에 무수트리멜리트산 100부, β-프로피오락톤 및 2 : 히드록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의 10 : 1몰 부가물 470부와 히드로퀴논 모노메틸 에테르 500ppm을 넣었다. 그후 혼합물을 실시예 6에 상술된 바와 동일 방식으로 처리하여 바람직한 말단 카르복실을 갖는 반응성 비닐단량체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8]
실시예 1에 사용된 것과 유시한 반응용기에 무수힘산(hymic anhydride) 80부, 산화에틸렌 및 메타크릴산의 40 : 1몰 부가물 740부와 히드로퀴논 모노메틸에테르 500ppm을 넣었다. 그후 혼합물을 실시예 6에 상술된 바와 동일방식으로 처리하여 바람직한 말단카르복실기를 갖는 반응성 비닐단량체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9]
실시예 1에서 사용된 것과 유사한 반응용기에 폴리(무수아디프산)100부, 플라셀FA-5(ε-카프로락톤 및 2-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의 5 : 1몰 부가몰, 다이셀 화학 C0., 의 등록상표) 360부와 히드로퀴논 모노메틸에테르 500ppm을 넣었다. 혼합물을 실시예 6에 상술된 것과 동일방식으로 처리하여 바람직한 말단 카르복실기를 갖는 반응성 비닐단량체를 수득하였다.

Claims (3)

  1. 다음 화학식(Ⅱ)
    Figure kpo00008
    (식에서, R1은 수소 또는 메틸기이고 ; A는
    Figure kpo00009
    또는
    Figure kpo00010
    의 반복단위이고 ; R3는 에틸렌 또는 프로필렌이며 ; R4는 2 내지 7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렌이고 ; R5는 2내지 5탄소원자를 갖는 알킬렌이며 ; m은 1 내지 10의 정수이고 n은 2 내지 50의 정수임.)의 말단 히드록실기를 갖는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와, 다음 화학식(Ⅲ)
    Figure kpo00011
    (식에서, R2는 2 내지 8 탄소원자를 갖는 지방족 탄화수소, 6 내지 7탄소원자를 갖는 지방족고리 탄화수소, 또는 6탄소원자를 갖는 방향족 탄화수소임.)의 산무수물을 반응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음 화학식(Ⅰ)로 표시된 말단 카르복실기를 갖는 반응성비닐 단량체를 제조하는 방법.
    Figure kpo00012
    (상기 식에서, R1, R2및 A는 상술과 같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Ⅱ)와 (Ⅲ)의 반응이 래디칼중합 억제제의 존재하에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말단 히드록실 기를 갖는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와 산무수물이 9 : 10 내지 11 : 10의 중량비를 반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870000047A 1986-01-08 1987-01-07 말단 카르복실기를 갖는 반응성 비닐단량체이 제조방법 KR9300061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899 1986-01-08
JP61-001899 1986-01-08
JP61001899A JPS62161742A (ja) 1986-01-08 1986-01-08 末端カルボキシル基を有する反応性アクリル単量体ならびにその製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7097A KR870007097A (ko) 1987-08-14
KR930006191B1 true KR930006191B1 (ko) 1993-07-08

Family

ID=11514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0047A KR930006191B1 (ko) 1986-01-08 1987-01-07 말단 카르복실기를 갖는 반응성 비닐단량체이 제조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4883899A (ko)
EP (1) EP0230329B1 (ko)
JP (1) JPS62161742A (ko)
KR (1) KR930006191B1 (ko)
AU (1) AU608207B2 (ko)
CA (1) CA1283121C (ko)
DE (1) DE3760556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86749A (en) * 1986-02-20 1988-11-22 Union Carbide Corporation Carboxyl-terminated lactone acrylates
CA1319699C (en) * 1986-11-28 1993-06-29 Keizou Ishii Amphiphatic polymerizable vinyl monomers, vinyl resin particles derived from said monomers and preparation thereof
DE3739542A1 (de) * 1987-11-21 1989-06-01 Basf Ag Herstellung von monoolefinisch ungesaettigten, eine carboxylgruppe aufweisenden versaticsaeureestern und deren verwendung
DE3920795C2 (de) * 1988-07-01 1999-06-24 Mbt Holding Ag Asymmetrische Diester,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diese enthaltende Zubereitungen
US5225573A (en) * 1990-07-06 1993-07-06 Bromine Compounds Limited Intermediates to tetrabromophthalic anhydride and process therefor
US5117041A (en) * 1990-11-13 1992-05-26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Sulfonation process
IT1263844B (it) * 1992-03-31 1996-09-04 Elastomero di un polimero di acrilato e composizione vulcanizzabile che lo contiene
US6353061B1 (en) 1993-05-26 2002-03-05 Dentsply Gmbh α, ω-methacrylate terminated macromonomer compounds
US6369164B1 (en) 1993-05-26 2002-04-09 Dentsply G.M.B.H. Polymerizable compounds and compositions
US5998499A (en) 1994-03-25 1999-12-07 Dentsply G.M.B.H. Liquid crystalline (meth)acrylate compounds, composition and method
CA2146816A1 (en) 1994-04-22 1995-10-23 Joachim E. Klee Process and composition for preparing a dental polymer product
US5650233A (en) * 1995-01-05 1997-07-22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Photo-setting colored filter composition, a color filter,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and a curable resin composition
US7700667B2 (en) * 2004-01-29 2010-04-20 Pentron Clinical Technologies, Llc Dental resin composition, method of manufacture, and method of use thereof
US20060058418A1 (en) * 2004-09-14 2006-03-16 Brandenburg Charles J Materials leading to improved dental composites and dental composites made therefrom
US20060058417A1 (en) * 2004-09-14 2006-03-16 Brandenburg Charles J Materials leading to improved dental composites and dental composites made therefrom
US20060058416A1 (en) * 2004-09-14 2006-03-16 Brandenburg Charles J Materials leading to improved dental composites and dental composites made therefrom
US20060058415A1 (en) * 2004-09-14 2006-03-16 Arthur Samuel D Materials leading to improved dental composites and dental composites made therefrom
US7541392B2 (en) * 2004-09-14 2009-06-02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Materials leading to improved dental composites and dental composites made therefrom
US8084514B2 (en) * 2005-05-13 2011-12-27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Materials leading to improved dental composites and dental composites made therefrom
US7495038B2 (en) * 2005-05-13 2009-02-24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Materials leading to improved dental composites and dental composites made therefrom
US7560500B2 (en) * 2005-05-13 2009-07-14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Materials leading to improved dental composites and dental composites made therefrom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468932B2 (de) * 1965-09-23 1976-01-22 Röhm GmbH, 6100 Darmstadt Verfahren zur kontinuierlichen herstellung von niedermolekularen aliphatischen acrylsaeureestern
GB1461597A (en) * 1973-05-15 1977-01-13 Ucb Sa Unsaturated compounds and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US4276432A (en) * 1973-07-18 1981-06-30 Celanese Corporation Low molecular weight acrylates or methacrylates and methods for their preparation
JPS5250388A (en) * 1975-10-21 1977-04-22 Dow Chemical Co Thermoosetting resin composition
JPS5930681B2 (ja) * 1976-10-20 1984-07-28 株式会社クラレ 歯科用接着組成物
JPS5526455A (en) * 1978-08-14 1980-02-25 Minolta Camera Co Ltd Rangefinder
US4246370A (en) * 1979-03-05 1981-01-20 Rohm And Haas Company Use of novel polymers of alkyl acrylates
US4582927A (en) * 1984-04-04 1986-04-15 Frito-Lay, Inc. Synthetic cooking oils containing dicarboxylic acid est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347258B2 (ko) 1991-07-18
CA1283121C (en) 1991-04-16
EP0230329A1 (en) 1987-07-29
JPS62161742A (ja) 1987-07-17
AU608207B2 (en) 1991-03-28
AU6714487A (en) 1987-07-09
EP0230329B1 (en) 1989-09-13
KR870007097A (ko) 1987-08-14
US4883899A (en) 1989-11-28
DE3760556D1 (en) 1989-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6191B1 (ko) 말단 카르복실기를 갖는 반응성 비닐단량체이 제조방법
AU597335B2 (en) Novel polymers and crosslinked compositions made therefrom
US4064161A (en) Polymers having pendant acrylate and methacrylate functionality
US4208313A (en) Novel methacrylic polymers having pendant acrylate and methacrylate functionality
AU585859B2 (en) Compositions of polycycloalkenyl-terminated, unsaturated polyesters or polyesteramides and vinyl-reactive plasticizers therefor
US5696212A (en) Method for curing resin
EP0355892B1 (en) Coating composition
US3321429A (en) Reaction product of hydroxy-containing polymer and polycarboxylic acid anhydride, and water soluble salts thereof
US4081591A (en) Method for stabilizing unsaturated cycloacetal resin
US3931353A (en) Polymerizable cycloacetal resinous composition
US6350849B1 (en) Polyesters which contain maleate groups
US3933857A (en) Polymerizable cycloacetal resinous composition
US5177152A (en) Water-dilutable, crosslinkable binder resin
JP3140537B2 (ja) ラクトン変性不飽和化合物の製造方法
JPH0641283A (ja) 不飽和ポリエステルオリゴマーの製造方法
JP3426058B2 (ja) 高不飽和基価ラクトン重合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S5998118A (ja) ラクトンから誘導した反応性単量体を含む組成物
JP3059261B2 (ja) エポキシ基を有するラクトン付加物を主成分とする新規な重合体の製造方法
US4523028A (en) Acrylic or methacrylic terminated oligomers
JPS6197303A (ja) 反応性重合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565315A (ja) 新規な重合体
JPH10231319A (ja) 硬化性樹脂
JPH0574607B2 (ko)
JPH0559127A (ja) ビニル基を有する新規な重合体
JP2000143579A (ja) カルボキシル基を有する(メタ)アクリレート化合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6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