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5998B1 - 내열성 투명 아크릴계 수지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내열성 투명 아크릴계 수지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5998B1
KR930005998B1 KR1019890020194A KR890020194A KR930005998B1 KR 930005998 B1 KR930005998 B1 KR 930005998B1 KR 1019890020194 A KR1019890020194 A KR 1019890020194A KR 890020194 A KR890020194 A KR 890020194A KR 930005998 B1 KR930005998 B1 KR 9300059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vent
producing
acrylic resin
transparent acrylic
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201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1937A (ko
Inventor
허영삼
김진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럭키
최근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198900201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5998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럭키, 최근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럭키
Priority to EP91900956A priority patent/EP0461224B1/en
Priority to ES91900956T priority patent/ES2091905T3/es
Priority to DK91900956.3T priority patent/DK0461224T3/da
Priority to US07/773,896 priority patent/US5369189A/en
Priority to PCT/KR1990/000023 priority patent/WO1991009886A1/en
Priority to DE69028521T priority patent/DE69028521T2/de
Priority to AT91900956T priority patent/ATE142653T1/de
Priority to JP3501368A priority patent/JP2607789B2/ja
Publication of KR910011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19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5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5998B1/ko
Priority to GR960402912T priority patent/GR3021538T3/el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8/00Chemical modification by after-treatment
    • C08F8/30Introducing nitrogen atoms or nitrogen-containing groups
    • C08F8/32Introducing nitrogen atoms or nitrogen-containing groups by reaction with ami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내열성 투명 아크릴계 수지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내열성이 우수한 투명 아크릴계 수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중합체에 이미드 구조를 도입하여 내열성이 좋은 메타크릴이미드 중합체를 제조하는 것으로, 이미드화 물질로서 중탄산암모늄 및 이의 유도체를 사용하며, 내열성이 우수한 투명 아크릴계 수지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는 투명성, 내후성 및 기계적 성질이 우수하여 고성능 광학소재, 장식소재, 자동차, 전기제품 등에 이용되었다. 그러나,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는 열변형 온도가 100℃ 이하로 낮기 때문에 내열성이 요구되는 분야에 사용의 한계가 나타나 내열성 향상의 필요성이 나타나게 되었다.
메타크릴레이트 수지의 내열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으로는, 1)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또는 이들의 에스테르 중합체와 제1급 아민을 비등점이 높은 용매 존재 하에서 가열하여 반응시키는 방법(미합중국 특허 제2146209호), 2)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중합체를 물 존재하에서 제1급 아민과 반응시키는 방법(미합중국 특허 제3284425호), 3) 아크릴계 중합체와 암모니아 또는 제1급 아민을 압출기 중에서 반응시키는 방법(미합중국 특허 제4246374호), 4) 메타크릴레이트 수지와 액화된 암모니아 또는 제1급 아민을 용매 존재 하에서 반응시키는 방법(일본특허공고 소63-36696호)등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1)의 방법에서는 사용되고 있는 용매의 비점이 높기 때문에 생성한 이미드화 중합체로부터 용매의 완전한 분리가 상업적 규모에서 곤란하며, 이 결과 얻어지 이미드화 중합체가 착색되어 생성 중합체의 투명성을 저하시킨다. 또 (2)의 방법에서는 다량의 물을 분산매로 사용하여 이미드화 반응을 시킴으로 수층과 중합체층이 분리되어 균일한 이미드화 중합체를 얻기 어렵고, 반응이 아크릴 중합체 연화점 이상에서 일어나므로 반응 생성물의 덩어리가 교반축에 엉겨 붙어 취급하기 어려우며, (3)의 방법에서는 고점도인 중합체의 이미드화 반응이 가스상의 제1급 아민과 행하여지기 때문에 균일한 이미드화 중합체를 얻기 어렵다. 더욱이, (4)의 방법에서는 액화된 제1급 아민 가스를 사용함으로써 취급이 어려우며 메타크릴산메틸 세그먼트의 가수분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용매, 메틸메타크릴산 중합체, 제1급 아민의 수분제거가 요구되고 있어 생산비용이 증대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한 것으로 첫째는, 아크릴계 수지의 이미드화 공정 중이미드화 물질로서 취급이 간편하면서 정량적으로 조절이 용이한 중탄산암모늄 및 이의 유도체를 사용하여 공업적으로 사용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과 둘째는, 반응물과 생성물이 용해될 수 있는 용매를 사용하여 균일계 반응을 이룸으로 균일하게 이미드화 한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중합체를 제조하여 아크릴계 수지 본래의 우수한 광학적 성질, 기계적 성질, 내후성, 성형가공성, 생산성 등의 모든 특성을 저하시키지 않고 투명성이 우수한 내열성 아크릴계 수지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메타크릴수지에 제1급 아민을 발생시키는 중탄산암모늄 및 이의 유도체를 용매 존재 하에서 180∼350℃ 온도로 반응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성 투명아크릴계 수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아크릴계 수지에 제1급 아민을 발생시키는 즉, 다음 일반식(II)로 나타내는 중탄산암모늄 또는 이의 유도체를 용매 존재 하에서 반응시켜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중합체에 다음 일반식(I)로 나타내는 이미드 구조를 도입하여 메타크릴이미드 그룹을 함유하는 중합체를 제조하는 것으로 메타크릴이미드 그룹을 바람직하게는 10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0중량% 이상의 이미드화 구조단위를 함유하는 중합체를 제조하는 것이다.
Figure kpo00001
상기 식에서, R은 수소원자 또는 탄소원자 1 내지 20의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알킬, 시클로알킬, 아릴, 알카릴, 아르알킬 또는 알릴기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메타크릴이미드 그룹 함유 중합체는 메타크릴이미드(디메틸글루타르이미드)구조가 메틸메타크릴수지이 측쇄중에 도입된 것이다.
여기에서 이미드 단위를 도입하는 메타크릴 중합체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단일 중합체 및 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 공중합체를 이룰 수 있는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이다. 예를들어, 메타크릴산에스테르, 아크릴산에스테르, 스티렌 또는
Figure kpo00002
-메틸스티렌, 그리고 무수 말레인산 등과의 메타크릴성 공중합체 등이 메타크릴이미드 그룹함유 공중합체를 생성하기 위한 메타크릴성 수지로써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가장 바람직하게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단일 중합체, 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 메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메틸메타크릴레이트로 스티렌 공중합체 및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스티렌 및 무수 말레인산 공중합체가 언급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공중합체에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단위의 함량이 특별히 한정된 것은 아니지만,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단위의 함량이 적어도 50중량% 이상의 것이 바람직하다.
메타크릴산 에스테르로서는, 예를들어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n-부틸 메타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크릴레이트, t-부틸 메타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타크릴레이트, 벤질메타크릴레이트, 아릴메타크릴레이트가 언급될 수 있다. 바람직하기는 투명도 및 이미드화 반응관점에서 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단독 중합체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된 용매는 고분자 축쇄간 축합반응에 의해 이루어지는 이미드화 반응을 저해하지 않고, 또, 부분 이미드화 반응의 경우 메타크릴산 또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세그멘트부에 변화를 주지 않는 것이 필요하다. 더욱이 균일계 반응으로 균일한 이미드화 중합체를 얻기 위하여 반응물인 아크릴레이트 중합체, 이미드화 물질 및 반응생성물인 이미드그룹함유 중합체를 용해할 수 있는 용매가 필요하다. 또한 용매의 끓는점이 너무 높으면 반응 종료 후 용매의 제거가 어려우며, 너무 낮으면 반응시 압력이 상승하게 되므로 끓는점이 50∼160℃ 정도의 용매가 바람직하다.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중합체, 메타크릴이미드 그룹함유 중합체의 용매로는 벤젠, 톨루엔, 크실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화합물, 메틸에틸케톤, 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디글라임, 디옥산, 에틸알코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부틸알코올 등의 알코올류, 그리고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술폭시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등의 단독 또는 혼합용매가 사용될 수 있다.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중합체를 이미드화 시키는 이미드화 물질로는 제1급 아민으로서, 암모니아, 메틸아민, 에틸아미, n-프로필아민, n-부틸아민, 헵틸아민, 헥실아민, 시클로헥실아민, 옥틸아민, 노닐아민, 데실아민, 도데실아민, 헥사데실아민, 옥타데실아민, 이소부틸아민, sec-부틸아민, t-부틸아민, 이소프로필아민 ,2-에틸헥실아민, 2-페닐에틸아민, 아릴아민, 알라닌, 벤질아민, 파라클로로벤질아민, 디메톡시페닐에틸아민, 아닐린, 브로모아닐린, 디브로모아닐린, 트리브로모아닐린, 클로로아닐린, 디클로로아닐린, 트리클롤로아닐린 등이 사용되는데, 이는 가스 및 액상으로 본 발명에서는 공업적으로 사용이 간편하며 다루기 편한 제1급 아민을 발생하는 고체상 중탄산암모늄 및 이의 유도체가 사용된다.
반응기 내에서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와 이미드화 물질과의 반응온도는 180℃ 이상 350℃ 이하가 적당하며, 200℃ 이상 300℃ 미만이 더욱 좋다. 반응온도가 350℃ 이상에서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중합체의 분해 반응이 일어나게 되며, 180℃ 이하에서는 이미드화 반응 속도가 현저하게 저하되어 이미드구조를 함유하는 중합체를 제조하는데 반응시간이 길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중합체의 특성 측정은 다음에 의해 실시되었으며 측정법은 하기의 실시예에 적용된다.
1) 중합체 이미드화
적외선 스펙트럼(BIORAD사제, FTIR)을 이용한 브롬화칼륨(KBr) 펠렛상으로 측정하였다.
2) 중합체의 이미드화 양(%)의 측정은 원소분석 값(PERKIN ELMER MODEL : 240B)의 질소 함유량에 의해 계산하였다.
3) 내열성은 유리전이온도(Dupont Model : 1090)를 측정하여 검토하였다.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중합체[(주)럭키, IH-830]100중량부, 이미드화 물질 중탄산암모늄 79중량부, 혼합 용매로서 테트라하이드로푸란(THF) 268중량부, 메틸알코올 268중량부를 300cc의 고온, 고압용 오토클레이브에 넣어 반응물을 교반하면서 산화방지를 위하여 질소를 충분히 환류시킨 후, 반응물을 250rpm으로 교반하여 반응물을 용해시켜 230℃에서 3시간(내압 : 1470psi) 반응을 진행하였다. 반응 종료 후, 메타크릴이미드 그룹함유 중합체가 포함된 용액을 n-헥산에 재침전한 후 여과하여 100℃ 감압 건조기 중에서 충분히 건조하여 흰색 분말 중합체를 얻었다. 여기서 얻어진 중합체를 적외선 스펙트럼으로 측정한 결과 1680cm-1.1700cm-1. 및 1720cm-1에서 메타크릴이미드 구조의 특성띠를 확인하여 메타크릴아미드 중합체를 확인하였다. 이 중합체의 물성측정 결과는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이미드화물질로서 중탄산암모늄(NH4HCO3) 63중량부, 혼합용매로서 테트라하이드로푸란 340중량부, 메탄올 144중량부, 내압이 810psi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으며, 이들의 물성을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이미드화물질로서 중탄산암모늄 47중량부, 혼합용매로서 테트라하이드로푸란 340중량부, 메탄올 144중량부, 내압이 780psi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으며, 이들의 물성을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4]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57중량%, 무수 말레인산(MAH) 27중량% 및 스티렌(ST) 16중량%, 분자량 조절제로 t-도데실메르캅탄을 0.2중량% 첨가하여 145℃에서 2시간 동안 용액중합(용매로는 에틸벤젠)을 하여 공중합체를 얻었다. 여기서 얻은 MMA-MAH-ST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이미드화물질 중탄산암모늄 31중량부, 혼합용매로서 테트라하이드로푸란 372중량부, 메탄올 36중량부를 사용하고 내압이 700psi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으며, 이들의 물성을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5]
실시예 1과 반응조건으로 MMA중합체 100중량부에 이미드화물질 중탄산암모늄79중량부, 테트라하이드로푸란 536중량부를 사용하여 반응시킨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MMA중합체 100중량부에 단일용매로 테트라하이드로푸란 340중량부를 오토클레이브 반응기에 넣어 230℃에서 내압이 700psi가 되도록 가스상 암모니아를 첨가시킨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Figure kpo00003
MMA :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
MAH : 무수말레인산 단량체
ST : 스티렌 단량체

Claims (6)

  1. 메타크릴수지에 제1급 아민을 발생시키는 다음 일반식(II)으로 나타내는 중탄산암모늄 및 이의 유도체를 용매 존재하에서 180∼350℃ 온도로 반응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성 투명 아크릴계수지의 제조방법.
    RNH4HCO3(II)
    상기식에서, R은 수소원자 또는 탄소원자 1 내지 20의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알킬, 시클로알킬, 아릴, 알카릴, 아르알킬 또는 알릴기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메타크릴수지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단일중합체, 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와의 공중합체임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성 투명 아크릴계 수지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용매는 끓는점이 50∼1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성 투명 아크릴계 수지의 제조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메타크릴수지로서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단위의 함량이 50중량%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성 투명아크릴계 수지의 제조방법.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용매는 벤젠, 톨루엔, 크실렌, 메틸에틸케톤, 에틸렌 글리콜디메틸에테르, 디글라임디옥산,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술폭시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메틸알코올, 에틸알코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부틸알코올 중에서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되는 혼합용매임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성 투명 아크릴계 수지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생성물의 메타크릴아미드 그룹을 함유한 중합체는 10중량% 이상의 이미드화 구조단위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성 투명 아크릴계 수지의 제조방법.
KR1019890020194A 1989-12-29 1989-12-29 내열성 투명 아크릴계 수지의 제조방법 KR9300059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20194A KR930005998B1 (ko) 1989-12-29 1989-12-29 내열성 투명 아크릴계 수지의 제조방법
ES91900956T ES2091905T3 (es) 1989-12-29 1990-12-28 Un procedimiento para la preparacion de una resina acrilica resistente al calor y transparente.
DK91900956.3T DK0461224T3 (da) 1989-12-29 1990-12-28 Fremgangsmåde til fremstilling af varmebestandig og transparent acrylharpiks
US07/773,896 US5369189A (en) 1989-12-29 1990-12-28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heat resistant and transparent acrylic resin
EP91900956A EP0461224B1 (en) 1989-12-29 1990-12-28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heat resistant and transparent acrylic resin
PCT/KR1990/000023 WO1991009886A1 (en) 1989-12-29 1990-12-28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heat resistant and transparent acrylic resin
DE69028521T DE69028521T2 (de) 1989-12-29 1990-12-28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hitzebeständigem und transparentem acrylharz
AT91900956T ATE142653T1 (de) 1989-12-29 1990-12-28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hitzebeständigem und transparentem acrylharz
JP3501368A JP2607789B2 (ja) 1989-12-29 1990-12-28 耐熱性透明アクリル系樹脂の製造方法
GR960402912T GR3021538T3 (en) 1989-12-29 1996-11-06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heat resistant and transparent acrylic resi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20194A KR930005998B1 (ko) 1989-12-29 1989-12-29 내열성 투명 아크릴계 수지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1937A KR910011937A (ko) 1991-08-07
KR930005998B1 true KR930005998B1 (ko) 1993-07-01

Family

ID=19294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20194A KR930005998B1 (ko) 1989-12-29 1989-12-29 내열성 투명 아크릴계 수지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599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1937A (ko) 1991-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607789B2 (ja) 耐熱性透明アクリル系樹脂の製造方法
US5548031A (en) Copolymer production process
JP3176944B2 (ja) メタクリルイミド基含有重合体
CA1335146C (en) Imidized acrylic polymers and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KR950008151B1 (ko) 메타크릴이미드 함유 중합체
KR930005998B1 (ko) 내열성 투명 아크릴계 수지의 제조방법
CA1333121C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imidized acrylic polymers
KR930006080B1 (ko) 내열성 투명 아크릴계 수지의 제조방법
KR930006079B1 (ko) 내열성 투명 아크릴계 수지의 제조방법
EP0358093A2 (en) Process for preparation of methacrylimide group-containing polymer and light-transmitting fiber comprising polymer made by the process
KR930005999B1 (ko) 내열성 투명 아크릴계 수지의 제조방법
KR930006081B1 (ko) 내열성 투명 아크릴계 수지의 제조방법
JP3374477B2 (ja) 共重合体の製造法
CA1336471C (en) Process for heat treatment of methacrylimide group- containing polymer
US6858672B2 (en) Safe process for making polymers containing N-phenylimide groups
JP2594289B2 (ja) 透明耐熱樹脂の製造方法
US4927893A (en) Process for producing methacrylimide group-containing polymer
JPS6343404B2 (ko)
JPS645049B2 (ko)
US5350808A (en) Poly(meth)acrylimides with different n-substitutes
JPH0243207A (ja) 変性共重合体
US20060155075A1 (en) Process for preparation of polyglutarimide resin using a fluid of super critical condition
JPS6381102A (ja) 熱可塑性イミド化共重合体の製造方法
JPH09263616A (ja) 耐熱性樹脂の製造方法
JPS62153305A (ja) メタクリルイミド含有重合体の製造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6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