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5927Y1 - 다극코넥터 - Google Patents

다극코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5927Y1
KR930005927Y1 KR2019900004603U KR900004603U KR930005927Y1 KR 930005927 Y1 KR930005927 Y1 KR 930005927Y1 KR 2019900004603 U KR2019900004603 U KR 2019900004603U KR 900004603 U KR900004603 U KR 900004603U KR 930005927 Y1 KR930005927 Y1 KR 9300059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pin
cord
groove
pin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046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9397U (ko
Inventor
고오지 시바노
Original Assignee
호시덴기세이조오 가부시기가이샤
후루하시 사도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시덴기세이조오 가부시기가이샤, 후루하시 사도루 filed Critical 호시덴기세이조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01939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939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59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592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01R4/2416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 H01R4/2445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having additional means acting on the insulation or the wire, e.g. additional insulation penetrating means, strain relief means or wire cutting knives
    • H01R4/2466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having additional means acting on the insulation or the wire, e.g. additional insulation penetrating means, strain relief means or wire cutting knives the contact members having a channel-shaped part, the opposite sidewalls of which comprise insulation-cutt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36Securing a plurality of contact members by one locking piece or oper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H01R13/6592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the conductive member being a shielded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8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by resilient locking means on the contact members; by locking means on resilient contact members
    • H01R13/43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by resilient locking means on the contact members; by locking means on resilient contact members by stamped-out resilient tongue snapping behind shoulder in base or ca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6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snap action of the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4Bases; Cases composed as a modular blocks or assembly, i.e. composed of co-operating parts provided with contact members or holding contact members between th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6Means for holding or embracing insulating body, e.g. casing, hoo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02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1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nufacturing contact members, e.g. by punching and by bending

Landscapes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ions By Means Of Piercing Elements, Nuts, Or Screw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다극코넥터
제1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제2도 내지 제4도는 본 고안의 요부의 각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제5도는 종래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를 단면으로 한 사시도.
제6도는 종래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금속제 차폐체(遮蔽體) 200 : 절연보디
201 : 콘택트수납구멍 300 : 핀 콘택트
301 : 핀부 302 : 코오드 접속부
303 : 기판부 304 : 돌기
311 : 압입접촉부 312 : 클램프부
313 : 걸어맞춤편 314 : 돌기
400 : 케이블 401 : 코오드
500 : 콘택트지지판
본 고안은 예를 들면 각종의 기기상호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경우등에 사용할 수 있는 다극(多極)코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은「일본국 실원소 62-19484호 및 동실원소 63-117128호」에 있어서, 제5도 및 제6도에 표시한 바와 같은 구조의 다극코넥터를 제안하였다.
이 전에 제안한 다극코넥터는 통형상의 금속제차폐체(100)와, 이 금속제차폐체(100)의 전단부쪽에 끼워붙인 각형(角形)절연보디(200)와, 이 각형절연보디(200)에 상호 절연되어서 지지된 복수의 핀콘택트(300)에 의해서 구성된다. 또한, 도면에서는 케이블(400)을 접속한 상태를 표시한다.
금속 제차폐체(100)는 전단부쪽에 플러그(특히 도시생략)와의 접속구(101)를 가지고, 이 접속구(101)에 면해서 핀콘택트(300)의 핀부(301)가 배치된다.
본 다극코넥터의 특징으로 하는 구조는 절연보디(200)의 핀부(301)가 돌출하는면의 형상이 정방형에 가까운 각형으로 되고, 이 각형의 면에 핀부(301)가 행(行)방향 및 열(列)방향으로 배열되어서 지지되고 있는 점이다
이와 같이 각형의 내면에 행방향 및 열방향으로 핀부(301)을 배치하므로서 다극인데도 불구하고 접속구(101)의 폭(W)이 작은 다극코넥터를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프린트판용 코넥터와 같이 코넥터를 가로 길게 형성한 경우는 다극화하면 그만큼 가로폭이 길게되어, 접속극수에는 한계가 생긴다.
이에 대하여, 각형의 면내에 핀부(301)를 배치하므로서 코넥터의 가로폭(W)을 작게 할 수 있으며, 좁은 장소에서도 다극접속이 가능하게 된다.
전에 제안한 다극코넥터에 있어서, 핀콘택트(300)의 코오드접속부(302)는 잘라일으킨 1쌍의 설편(舌片)으로 이루어지는 코오드파지부(把持部)를 2조 형성하여, 한쌍의 코오드파지부를 구성하는 설편의 사이에 코오드(401)의 심선다발(402)을 배치하고, 이 심선다발(402)을 1쌍의 설편을 코오킹(caulking)하므로서 파지시켜서 전기 및 기계적으로 핀콘택트(300)와 코오드(401)의 심선다발(402)을 접속하는 동시에, 다른쪽 조의 설편에 의해서 코오드(401)의 절연 피복부분을 파지하여, 코오드(401)를 핀콘택트(300)에 기계적으로 파지시키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에 제안한 다극코넥터에 있어서는, 핀콘택트(300)에 코오드 (401)를 접속하는 공정은, 코오드(401)의 선단부의 절연피복을 벗겨내어, 심선다발 (402)을 노출시키는 공정과, 심선다발(402)과 절연피복부에 핀콘택트(300)로 형성한 2조의 설편짝을 코오킹 하는 공정 및 코오드를 접속한 핀콘택트(300)를 절연보디 (200)의 콘택트 수납구멍(201)에 장착하는 공정이 필요하게 된다.
이들의 작업은 비교적 번잡하고 귀찮은 작업이며, 조립에 시간이 걸리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는, 각형 절연보디의 후단부쪽에 배치되고, 한쪽의 면에 핀콘택트의 코오드접속부를 압입(壓入)하는 복수의 홈을 가지고, 이 홈에 코오드 접속부를 압입하므로서 각형 절단보디에 형성된 콘택트 수납 구멍의 배열 피치로 1행 또는 1열분의 콘택트를 지지하는 콘택트 지지판과, 핀콘택트의 코오드 접속부에 코오드의 심선다발의 직경보다 좁은 폭을 가진 홈에 의해서 구성한 압입접촉부를, 또 핀콘택트의 핀부에 절연보디에 형서된 콘택트수납 구멍으로 삽입되므로 콘택트 수납구멍의 안쪽면에 형성된 단부(段部)에 걸어맞추어서 핀콘택트 및 핀지지체를 각형 절연보디에 합체한 상태로 유지시키는 걸어맞춤편을 형성한 구조로한 것이다.
본 고안의 구조에 의하면 콘택트지지판에 형성된 오목홈에 핀콘택트의 코오드 접속부를 압입해서 지지시키는 동시에, 핀콘택트의 압입접촉부에 피복된 코오드를 압입하므로서 홈의 가장자리에 의해 코오드의 절연피복이 벗겨지고, 심선다발이 홈의 가장자리에 접속하여, 코오드는 핀콘택트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복수매의 콘택트 지지판에 핀콘택트를 지지시키고, 코오드를 접속한 상태로 한 후에 각 콘택트 지지판으로부터 돌출한 핀부를 절연보디의 콘택트 수납구멍에 삽입한다. 이때 핀부에 형성한 걸어맞춤편이 콘택트 수납구멍의 내벽에 형성한 상기 단부에 걸어맞추어져서 이탈방지가 된다.
이 이탈방지에 의해서 콘택트지지판은 절연보디의 뒷부분에 상호 적층되어서 배치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코오드의 단말은 절연피복을 벗겨낼 필요가 없고, 단순히 절연피복이 피복되어 있는 상태로 압입접촉부에 압입하면 핀콘택트에 접속할 수 있다.
또, 콘택트지지판에 1행분 또는 1열분의 핀콘택트를 장착하여, 코오드를 접속한 상태에서 절연보디에 장착하기 때문에 조립이 간단하게 되고, 대량생산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이점을 얻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4도에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표시한다.
제1도 내지 제4도에는 절연보디(200)와, 핀콘택트(300)와, 콘택트지지판 (500)만을 표시한다. 통형상의 금속제차폐체(100)는 제5도 및 제6도에서 설명한 구조와 동일하기 때문에,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본 고안의 특징으로 하는 구조는 콘택트지지판(500)을 설치한 점이다.
이 콘택트지지판(500)은 한쪽의 면에 상호 평행한 복수의 오목홈(501)을 가지고, 이 복수의 오목홈(501)에 핀콘택트(300)의 코오드접속부(302)를 압입해서 지지시킨다. 이 압입은 핀콘택트(300)를 구성하는 띠형상의 기판부(303)(제1도)의 측변에 돌기(304)를 돌출형성하고, 이 돌기(304)를 콘택트지지판(500)에 형성한 좁은홈 (502)에 압입해서 콘택트지지판(500)에 핀콘택트(300)를 지지시킨다.
또한, 본 예에서는 핀콘택트(300)를 구성하는 기판부(300)는 띠형상의 후우프재(305)에 연결되어 있는 상태를 표시하고, 후우푸재(305)에 연결되어 있는 간격(D)이 콘택트 지지판(500)의 오목홈(501)의 배열피치(P)와 일치하도록 선정하므로서, 후우프재(305)에 연결한 상태 그대로 핀콘택트(300)의 코오드접속부(302)를 오목홈 (501)에 삽입하고, 또 돌기(304)를 좁은쪽의 오목홈(502)에 압입하므로서 핀콘택트 (300)를 콘택트지지판(500)에 장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후우프재(305)에 의해서 핀콘택트(300)를 연결한 상태 그대로 핀콘택트(300)를 오목홈(501)에 수납하는 작업을 행하므로서 용이하게 그 작업을 행할 수 있으며, 자동화도 용이하여 한번에 복수의 핀콘택트(300)를 콘택트지지판(500)에 장착할 수 있다. 콘택트지지판(500)에 핀콘택트(300)를 압입한 시점에서 후우프재 (305)는 분리된다.
본 고안에 있어서는, 또 핀콘택트(300)의 코오드접속부(302)에 압입접촉부 (311)를 형성한다. 이 예에서는 압입접촉부(311)를 전후 방향으로 2개소 형성한 경우를 표시한다.
이 압입접촉부(311)는 접촉해야할 코오드(401)의 심선다발의 직경보다 작은폭을 가지는 홈을 핀콘택트(300)를 구성하는 도전판에 형성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 홈에 절연피복이 피복된 그대로의 코오드(401)를 압입하므로서 절연피복은 벗겨지고, 도전판의 가장자리가 코오드(401)의 심선다발에 파고들어서 접촉한다.
본예에에서는 2개소에 형성한 압입접촉부(311)의 사이에 코오드(401)의 피복부를 파지하고, 코오드(401)를 핀콘택트(300)에 대해서 기계적으로 고정하는 클램프부(312)를 형성한 경우를 표시한다. 이 클램프부(312)는 핀콘택트(300)를 구성하는 판을 프레스에 의해서 안쪽을 향해서 쳐서 내고, 코오드(401)의 삽입통로상에 협애부(挾隘部)를 형성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이 협애부에 코오드(401)를 압입하므로서 코오드(401)는 핀콘택트(300)에 대해서 견고하게 파지된다. 압입접촉부(311)와 클램프부 (312)의 단면을 제4도에 표시한다.
제4도에 표시한 압입접촉부(311)를 표시한 단면은 제2도의 A-A선 및 C-C선상의 단면, 클램프부(312)를 표시한 단면은 제2도 B-B선상의 단면이다.
콘택트지지판(500)은 절연보디(200)에 형성된 콘택트수납구멍(201)의 행 또는 열의 수와 동일한 매수가 준비되고, 각 1매에 행 또는 열에 배열되는 핀콘택트(300)의 수와 같은 수의 핀콘택트(300)가 지지된다.
또한 콘택트지지판(500)은 각각 다른 색의 수지재에 의해서 형성하면 된다.
즉, 다심케이블의 각 코오드는 색구별 되어 있기 때문에, 각 색 그루우프와 콘택트지지판(500)의 색을 일치시키므로서 착오 배선의 율을 낮출 수 있다.
절연보디(200)의 후단부쪽에는 서로 마주 대향해서 돌출편(202),(203)이 형성되고, 이 돌출편(202)와 (203)이 대향하는 간격에 콘택트지지판(500)을 끼워넣는다. 즉, 콘택트지지판(500)을 소정의 매수 포개면 그 두께가 이 돌출편(202)와 (203)의 사이의 간격과 똑같게 되어, 콘택트 지지판(500)이 돌출편(202)와 (203)의 사이에 지지된다.
이와 동시에 콘택트지지판(500)으로부터 핀콘택트(300)의 핀부(301)가 돌출되고, 이 핀부(301)가 절연보디(200)에 형성된 콘택트 수납구멍(201)에 삽입된다.
핀부(301)에는 걸어맞춤편(313)이 잘라일으켜서 형성된다.
또 측면에는 돌기(314)가 형성되고, 이 걸어맞춤편(313)과 돌기(314)가 콘택트 수납구멍(201)의 내벽에 형성된 단부(204)와 (205)(제2도 및 제3도 참조)에 걸어맞추어져서, 절연보디(200)에 대해서 이탈이 방지되고, 절연보디(200)에 대한 핀콘택트(300)의 조립 및 결선이 완료된다. 이후 절연보디(200)을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한 금속제차폐체(100)의 전단부에 압입하고, 측면에 형성한 오목부(206)(제1도 및 제2도)에 금속제차폐체(100)의 안둘레에 형성한 돌출 줄기를 걸어맞추게 하므로서 절연보디(200)는 금속제차폐체(100)의 중공부(中空部)에 고정되고, 조립이 완료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코오드(401)의 절연피복을 벗겨내는 작업을 행하지 않고서 코오드를 핀콘택트(300)에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또 핀콘택트(300)를 콘택트지지판(500)에 행단위 또는 열단위로 지지한 상태로 코오드(401)의 압입접속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자동화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핀콘택트(300)는 콘택트지지판(500)에 형성된 오목부(501)의 배열피치 (P)와 동일간격(D)를 유지해서 후우프재(305)에 지지하여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복수의 핀콘택트(300)를 한번에 콘택트지지판(500)의 오목홈(501) 및 (502)에 위치맞춤을 할수 있으며, 이 상태로 한번에 복수의 핀콘택트(300)를 오목홈(501) 및 (502)에 압입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부분의 공정도 자동화가 용이하다.
또 콘택트지지판(500)에 지지된 복수의 콘택트(300)를 일체화해서 절연보디 (200)에 조립해 넣을 수 있기 때문에, 핀콘택트(300)를 1개씩 절연보디(200)에 조립해 넣는 경우보다 단시간에 조립을 종료시킬 수 있다.
또 콘택트지지판(500)의 색채를 서로 다르게 하고, 이 색채와 코오드(401)의 절연피복의 색채를 일치시키는 경우는 결선(結線)의 착오가 발생하기 어렵게 되어, 이점에 있어서도 조립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다극코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명에서는 콘택트지지판(500)의 한쪽의 면에만 콘택트를 수납하는 홈을 형성한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표면과 뒷면의 양면에 홈을 형성하여, 2매의 콘택트지지판을 일체화 할 수도 있다.

Claims (1)

  1. 앞뒤로 관통한 콘택트 수납구멍(201)이 행 및 열로 배열형성된 각형의 절연보디(200)와, 이 절연보디(200)의 각 콘택트 수납구멍(201)에 각각 삽통되고 앞쪽단부가 절연보디(200)로 부터 앞쪽으로 돌출한 핀부(301)로 되며, 뒤쪽단부가 절연보디 (200)로부터 뒤쪽으로 돌출한 코오드접속부(302)로 된 핀콘택트(300)와, 앞쪽단부내에 상기 절연보디(200)가 끼워 맞추어 고정되고, 뒤쪽단부에 케이블(400)인출구가 형성된 통형상의 금속제차폐체(100)와, 상기 절연보디(200)의 배면에 앞쪽단면이 서로 접하거나 또는 접근해 있고, 상기 콘택트 수납구멍(201)의 배열의 각 행 또는 각 열마다 배치되어 있으며, 한쪽의 면에 상기 콘택트 수납구멍(201)과 대향해서 앞뒤로 연장된 콘택트지지홈(501)이 각각 배열형성되고, 이들 각 콘택트지지홈(501)에 상기 핀콘택트(300)의 코오드접속부(302)가 각각 압입지지 되는 절연재로 이루어진 콘택트지지판 (500)과, 상기 각 코오드 접속부(302)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코오드접속부(302)의 앞뒤방향에 대하여 대략 수직인 도전판에 형성된 홈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홈은 접속해야 할 코오드(401)의 심선다발(402)의 직경보다 작은 폭이고, 피복된 코오드(401)를 상기 홈에 압입해서 그 피복을 벗겨내어 그 심선 다발(402)을 홈에 파고들게 할 수 있는 압입접촉부(311)와, 상기 핀콘택트(300)의 중간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핀콘택트 (300)가 상기 콘택트 수납구멍(201)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상기 콘택트수납구멍 (201)의 안쪽면에 형성된 단부(204)와 걸어맞추어져서 상기 핀콘택트(300) 및 이것을 지지하는 상기 콘택트지지판(500)을 상기 절연보디(200)에 지지하는 걸어맞춤편 (313)을 구비한 다극코넥터.
KR2019900004603U 1989-04-17 1990-04-16 다극코넥터 KR930005927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9045269U JPH0718128Y2 (ja) 1989-04-17 1989-04-17 多極コネクタ
JP89-45269 1989-04-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9397U KR900019397U (ko) 1990-11-09
KR930005927Y1 true KR930005927Y1 (ko) 1993-09-04

Family

ID=12714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04603U KR930005927Y1 (ko) 1989-04-17 1990-04-16 다극코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021012A (ko)
JP (1) JPH0718128Y2 (ko)
KR (1) KR930005927Y1 (ko)
DE (1) DE4011958A1 (ko)
GB (1) GB223201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116168A1 (de) * 1991-05-17 1993-01-28 Minnesota Mining & Mfg Verbinder fuer koaxialkabel
JPH0722761B2 (ja) * 1991-11-14 1995-03-15 愛知製鋼株式会社 誘導装置を備えた鋼材整形装置
JP2595406Y2 (ja) * 1992-03-25 1999-05-31 ホシデン株式会社 プラグ型多極コネクタ
US5344336A (en) * 1993-06-04 1994-09-06 Molex Incorporated Insulation displacement electrical terminal
WO1997001875A1 (en) * 1995-06-26 1997-01-16 The Whitake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electrical contact and strain relief
US5616048A (en) * 1995-06-26 1997-04-01 The Whitake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electrical contact and strain relief
DE19653831A1 (de) * 1996-12-21 1998-06-25 Bosch Gmbh Robert Elektrisches Gerät
DE19929928B4 (de) * 1999-06-29 2006-08-17 Delphi Technologies, Inc., Troy Fassung für eine elektrische Verbindungsvorrichtung
US6688920B2 (en) * 2001-01-23 2004-02-10 Tyco Electronics Amp Gmbh Connector assembly
US6764350B2 (en) * 2002-04-23 2004-07-20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Connector contact retention
DE202006005024U1 (de) * 2006-03-29 2006-05-24 Hoppecke Technologies Gmbh & Co. Kg Kontaktstift
GB2465609B (en) * 2008-11-25 2012-08-15 C & C Marshall Ltd Connector
CN204333509U (zh) 2012-03-12 2015-05-13 莫列斯公司 电连接器及对接装置
DE102015105088B4 (de) * 2015-04-01 2018-10-11 Mitsumi Electronics Europe GmbH Hochfrequenz-Winkelstecker
DE102016007880A1 (de) * 2016-06-28 2018-01-11 Eisele Pneumatics Gmbh & Co. Kg Kupplungsvorrichtung
DE102017124594A1 (de) * 2017-10-20 2019-04-25 Harting Electric Gmbh & Co. Kg Vorrichtung zur elektrischen Kontaktierung
US10931037B2 (en) * 2018-07-25 2021-02-23 J.S.T. Corporation Dual contact IDC header pin
CN112072345A (zh) * 2020-09-27 2020-12-11 成都工业学院 一种快插接头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16711A (en) * 1923-06-27 1924-06-05 Alfred James Bartlett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projectile toys
US2810210A (en) * 1954-06-14 1957-10-22 Curtiss Wright Corp Simulated oil cooling system for aircraft engine
DE2524347C2 (de) * 1975-06-02 1985-01-10 Grote & Hartmann Gmbh & Co Kg, 5600 Wuppertal Steckhülse mit Leiterkralle, insbesondere Lackdrahtkralle
NL173002C (nl) * 1976-03-30 1983-11-16 Du Pont Verbindingsinrichting voor een meeraderige kabel en samenstel, omvattende een verbindingsinrichting omsloten door een tweedelig huis.
US4225009A (en) * 1979-04-04 1980-09-30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Internal air release control apparatus air gun
US4277124A (en) * 1979-10-01 1981-07-07 Amp Incorporated Connector having wire-in-slot connecting means and crimped strain relief
US4327958A (en) * 1980-05-05 1982-05-04 Amp Incorporated Connector jack
US4354719A (en) * 1980-09-22 1982-10-19 Amp Incorporated Two-row electrical connector composed of connector modules
JPS5894291U (ja) * 1981-12-19 1983-06-25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圧接形電気コネクタ
EP0109297B1 (en) * 1982-11-16 1987-01-21 Molex Incorporated Improvements in electrical contact members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ies
US4627682A (en) * 1983-07-29 1986-12-09 Karl Hehl Multi-pin male and female contact bars
AU557587B2 (en) * 1983-12-29 1986-12-24 Thomas & Betts Corporation Insulation piercing compression connector
BE900692A (nl) * 1984-09-27 1985-03-27 Burndy Electra Nv Connector voor individuele geleiders en werkwijze voor de bedrading van dergelijke connector.
US4734054A (en) * 1985-07-08 1988-03-29 Siemens Aktiengesellschaft Plug connector
JPS62135357U (ko) * 1986-02-19 1987-08-26
JPH0530307Y2 (ko) * 1987-02-12 1993-08-0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9008234D0 (en) 1990-06-13
GB2232018B (en) 1994-01-19
JPH0718128Y2 (ja) 1995-04-26
US5021012A (en) 1991-06-04
KR900019397U (ko) 1990-11-09
GB2232018A (en) 1990-11-28
DE4011958A1 (de) 1990-10-18
DE4011958C2 (ko) 1991-11-28
JPH02136972U (ko) 1990-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5927Y1 (ko) 다극코넥터
US6482045B2 (en) Connector socket, connector plug and connector assembly
US4917629A (en) Electrical connector and termination method thereto
US4697862A (en) Insulation displacement coaxial cable termination and method
US4653825A (en)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4737117A (en) Double-row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of making same
US4632486A (en) Insulation displacement coaxial cable termination and method
US5536182A (en)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JPH10223269A (ja) 圧接コネクタ
US6364702B1 (en) Electrical cable connector
US4676576A (en) Communications connector
US5078617A (en) Piercing insulation displacement board terminal
US6250959B1 (en) Connector for coaxial cables with very fine conductors
EP0607485B1 (en) Modular coaxial cable connector
JPS6130390B2 (ko)
US6283793B1 (en) Electrical connector system
US6190196B1 (en) Cable connector assembly
JPH10189120A (ja) 多極の遮蔽されたケーブルプラグ
US5267874A (en) Connector with wire guiding fixture
US20110250797A1 (en) Cable assembly with improved terminating means
EP0590796B1 (en) Mixed coaxial connector
CA1109130A (en) Electrical connector
JPS63138678A (ja) 電気コネクタ
JP2001057274A (ja) シールドコネクタ
US4265505A (en) Electrical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90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