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5874B1 -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5874B1
KR930005874B1 KR1019900002470A KR900002470A KR930005874B1 KR 930005874 B1 KR930005874 B1 KR 930005874B1 KR 1019900002470 A KR1019900002470 A KR 1019900002470A KR 900002470 A KR900002470 A KR 900002470A KR 930005874 B1 KR930005874 B1 KR 9300058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washing machine
water supply
foam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2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4675A (ko
Inventor
죠꾸 가꾸가
겐타로 모찌스끼
신지 야마구찌
요시이찌 바바
Original Assignee
산요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이우에 사또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이우에 사또시 filed Critical 산요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0146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46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58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58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2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37/225Damping vibrations by displacing, supplying or ejecting a material, e.g. liquid, into or from counterbalancing pocke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2Condition of the washing liquid, e.g. turb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08Control circuits or arrangement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ctric mot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40Driving arrangements  for driving the receptacle and an agitator or impeller, e.g. alternative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6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destroying scu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0Washing liquid condition, e.g. turb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02Water supp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08Draining of washing liquid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14Temperature of laundr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0Blow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 D06F2105/60Audible signa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34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water fi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세탁기
제1도는 본 발명에 있어서 세탁, 탈수, 건조기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측단면도.
제3도는 제1도를 세로로 자른 배면도.
제4도는 제1도의 요부를 자른 정면도.
제5도는 드럼의 분해사시도.
제6도는 세탁, 탈수, 건조기의 요부를 자른 배면도.
제7도는 탈수시의 진동 특성도.
제8도는 전기 회로도.
제9도는 마이크로 콤퓨터의 블록구성도.
제10도는 세탁공정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제11도는 이상발포 처리프로그램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제12도는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의 발포 검지회로도.
제13도는 제12도를 설명하기 위한 등가 회로도.
제14도는 이상 발포검지 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세탁기의 요부 단면도.
제15도는 제14도의 물넘침 피이프 부분의 분해사시도.
제16도 내지 제21도는 이상 발포 처리프로그램의 각각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프레임 2 : 외조
17 : 배수전동밸브(배수수단) 18 : 드럼
27 : 세탁모우터(회전구동수단) 43 : 물넘침구
44 : 물넘침파이프 45 : 전극
51 : 팬장치(송풍수단) 53a : 급수밸브 A(급수수단)
57 : 히이터 B(승온수단) 61 : 투시구멍
63 : 마이크로컴퓨터(제어수단) 65 : RAM(기억수단)
78 : 발광다이오드 구동회로(알림수단) 177 : 구획벽
178 : 뚜껑체(44,178 : 물넘침실) 179,180 : 두실
181,182 : 전극(45,181,182 : 거픔 검지수단)
185 : 조인트관 187 : 급수분기관(185,187 : 급수관)
191 : 차폐관 193 : 작은구멍
본 발명은 드럼식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드럼식 세탁기에 있어서는 세탁공정시에 드럼 회전에 의해 세제액이 결렬하게 교반되므로 드럼통내에 발포 현상이 일어나며, 이 발포가 과도하게 되면 거품이 드럼의 회전을 저해하거나 거품이 드럼통내에 남아서 헹굼 공정시 깨끗한 물을 오염되는 일이 있었다.
그래서, 프레임내에 외조를 지지하며, 그 외조내에 횡축형 세탁 드럼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그 세탁드럼을 회전시킴에 따라 드럼내에 투입된 세탁물을 세탁하는 세탁기에 있어서, 세탁조내에서 이상 발포를 검지하는 거품검지 수단을 설치하며, 세탁공정에 이 거품을 검지한 때에는 경보를 울려서 사용자에게 세탁수의 희석을 재촉하는 것이 일본국 특개소 59-118195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또, 상기 거품 검지수단으로서는 보유물(float)을 이용하며, 거품의 부유물을 밀어 올려서 검지스위치를 작동시킨다.
상술한 종래예에 있어서는 거품이 발생할때마다 사용자가 거품제거 작업을 하지 않으면 안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 상기 검품제거 작업은 단순히 세탁수를 희석할 뿐이므로 세탁수량이 많아져서 세탁물이 세탁수중에 부유하며 드럼 회전에 의한 초기의 두드림 세탁 효과를 얻을수 없게된다.
또, 거품 검지는 부유물식 이므로, 그 부유물을 밀어올리려면 상당량의 거품이 필요하며, 발포가 상당히 진행한 상태가 아니면 검지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 거품 검지수단으로서는, 한쌍 전극의 도통으로 검지하는 것도 공지한바, 이것을 부유물식과는 다르게 약간의 거품이나 물에도 도통해 버려서 오차 요인이 클 뿐만 아니라, 전극에 오물이 달아 붙기 쉬워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검지 정밀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발포해소 효과가 우수한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프레임내에 외조를 지지하며, 그 외조내의 주위에 다수의 투시구멍을 갖는 횡축형 세탁드럼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며, 회전 구동수단에 의해 그 세탁드럼을 회전시켜서 드럼내에 투입된 세탁물을 세탁하는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외조 내에의 급수수단과, 상기 외조내의 액배수수단과, 상기 각 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외조내에서 이상(abnormal)발포를 검출하는 거품검지수단을 상기 외조의 벽면에 설치하며, 배수관에 연통하는 물넘침실과 그 물넘침실내에 설치되며, 세탁중에 상기 발포를 검지하기 위한 한쌍의 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이 세탁중에 상기 거품검지수단으로부터의 발포검지신호가 입력된 경우에 상기 급수수단에 의한 급수동작과 상기 배수수단에 의한 배수 동작으로 되는 발포해소제어를 실행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이 발포해소제어에 있어서는, 급수와 배수의 순서는 어느쪽에서도 좋고, 양쪽 동시에 행해져도 좋다.
또, 본 발명의 세탁기는 상기 발포해소 제어중 상기 회전구동수단의 구동을 중단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세탁기는 상기 발포해서 제어중 상기 회전구동수단을 저속으로 구동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세탁기는 상기 급수 동작중 상기 급수수단을 간헐적으로 구동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세탁기는 상기 외조 내에의 송풍수단을 설치하며, 상기 제어수단 이 상기 발포해서 제어중 상기 송풍수단을 구동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세탁기는 프레임내에 외조를 지지하며, 그 외조내의 주위에 다수의 투시구멍을 갖는 횡축형 세탁트럼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회전 구동수단에 의해 그 세탁드럼를 회전시켜서 드럼내에 투입된 세탁물을 세탁하는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외조내에의 급수수단과, 상기 외조내의 액배수수단과, 상기 각 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외조내에서 이상 발포를 검출하는 거품검지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수단이 세탁중에 상기 거품검지 수단으로부터의 발포검지신호가 입력된 경우에, 상기 급수수단에 의한 급수동작과 상기 배수수단에 의해 배수동작으로되는 발포해소제어를 실행하고 외부에의 알림 수단과, 상기 발포해소제어를 실행한 것을 기억하는 기억수단을 설치하며,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발포해소제어를 실행한 경우 운전종료후에 상기 알림수단을 구동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세탁기는 프레임내에 외조를 지지하며, 그 외조내의 주위에 다수의 투시구멍을 갖는 횡축형 세탁드럼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며, 회전구동수단에 의해 그 세탁드럼을 회전시켜서 드럼내에 투입된 세탁물을 세탁하는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외조내에의 급수수단과, 상기 외조내의 액배수수단과, 상기 각 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외조내에서 이상 발포를 검출하는 거품검지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수단이 세탁중에 상기 거품검지 수단으로부터의 발포검지 신호가 입력된 경우에, 상기 급수수단에 의한 급수동작과 상기 배수수단에 의한 배수동작으로 되는 발포해소 제어를 실행하고, 상기 제어수단이 어느시점에서 상기 거품검지 수단으로부터 검지신호가 입력될 때까지의 시간의 대소에 의거하여 발포 정도를 판정함과 동시에 판정한 발포정도에 따라 상기 발포 해소 제어의 동작 상태를 변경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세탁기는 상기 외조내의 액을 승온시키는 승온 수단을 설치하여 세탁 개시로부터 소정시간 지연하여 상기 승온수단을 구동함에 동시에, 상기 소정시간중에 상기 거품검지 수단에 의해 발포검지 동작을 실행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세탁기는 상기 물넘침실내에 상기 전극을 그 물넘침실의 물넘침구로부터 구획하는 구획벽을 설치함에 따라 그 물넘침 실내를 서로 연통하는 2실 구조로 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세탁기는 상기 전극을 봉형상으로 하여, 상기 물넘침실내에 아래로 늘어뜨린 것이다. 또, 본 발명에 세탁기는 상기 전극 사이의 차폐하는 차폐판을 설치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세탁기는 상기 전극부착 기초로부터 상기 물넘침실내에 급수를 도입하는 급수관을 설치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세탁기는 상기 물넘침실로부터의 유출구 부분을 위쪽으로 돌출시킴과 동시에, 이 유출구부분 보다도 낮은 위치에 상기 외조내에 연통하는 작은 구멍을 설치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즉 이상 발포를 검지하면 급수함에 따라 거품을 제거하며, 또한 세탁수를 희석하여 배수함에 따라 세탁수를 적정 수위로 유지한다.
또, 발포해소 제어중 드럼을 정지시켜서 그 이상 발포를 방지한다.
또, 발포해소 제어중 드럼을 저속 회전시켜서 급수를 드럼내의 구석가지 골고루 미치게 한다.
또, 발포해소 제어중 급수를 건헐적으로 함에 따라 급수량을 절약한다.
또, 급수로 거품을 제거함과 동시에 송풍으로 거품을 날려 버린다.
또, 거품 경보는 운전 종료후에 이루어짐에 따라 다음번 운전시에 주의를 촉구한다.
또, 발포를 검지할 때까지의 시간에 따라 발포의 정도를 순위별로 구분한다.
또, 이 발포정도에 따라 발포해소 제어의 급수, 배수량을 조절한다.
또, 뜨거운 물로 세탁할 경우에 발포해소 제어로 급수하면 뜨거운 물의 농도가 저하하여 적당한 세정효과를 얻을 수 없으므로 발포검지 및 발포해소 제어는 세탁액을 승온시키기 전에 행한다.
또, 물넘침실내에 거품 검지용의 전극을 설치함에 따라 전용 거품 검지실을 생략함과 동시에, 전극을 외조내로부터 격리하여 물에 의한 도통을 방지한다.
또, 전극을 물넘침구로부터 구획하는 것으로 약간의 거품으로 전극이 도통하는 일이 없다.
또, 봉형상의 전극을 아래로 늘어뜨림에 따라 전극에 부착한 수분이 전극을 따라 아래쪽으로 낙하하기 쉽게되어 전극표면에 수분이 남기 어렵다.
또, 전극사이를 차폐판으로 차폐하고 있으므로, 전극간에 실 찌꺼기 등이 휘감겨 달라붙기 어려울뿐 아니라, 만약 전극이 변형하여도 양자가 접촉하기 어렵다.
또, 전극 기초로부터 급수함에 따라 전극을 세정할 수 있다.
또, 이 세정수는 세탁기 밖으로 아무데나 흘려내보내는 일없이 작은 구멍을 통해 외조내에 회수한다.
[실시예]
본 발명의 실시예를 각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4도에 있어서, (1)은 판금재의 프레임이며, (2)는 합성수지로 형성된 횡축 드럼 형상의 외조이며, (3)은 상기 외조(2)의 밑면에 형성된 수평 지지면이며, (4)는 그 지지면(3)에 고정된 철재의 설치판이다. (5)는 상기 외주(2)를 상기 프레임(1)의 상부 네구석으로부터 탄성적으로 치켜올려 지지하기 위한 상부 지지체이며, (6)은 상기 외주(2)의 설치판(4)와 상기 프레임(1)의 바닥부(1a)구석과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외조(2)를 아래쪽으로부터 탄성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하부 지지체이며, 상부를 위쪽에 사각원통 형상으로 돌출시킴에 따라 일체로 형성된 통체이며, 이것에 의해 상기 외조(2)상부에 의류 투입구 A(8)이 형성되어 있다. (9)는 상기 프레임(1)의 상단에 고정된 합성수지체의 상면판이며, 앞 가장자리 부분에는 전자부품등을 수용하는 조작부(9a)가, 뒤가장자리 부분에는 급수장치 등을 수용하는 수용부(9b)가 각각 형성되며, 그 중앙부에는 장방향의 의류 투입구 A(10)이 형성되어 있다. (11)은 상기 조작부(9a)의 상면에 설치된 각종 조작키이다. (12)는 주름 형상의 구무패킹이며, 이것에 의해 의류투입구 A(10)과 투입구 B(8)이 접속되어 있다. (13)은 상기 의류투입구 A(10)을 개폐하는 안전커버이며, (14)는 상기 안전커버(13)의 상변을 개폐하는 위뚜껑이며, (15)는 상기 외조(2)의 바닥부에 설치되어진 배수구부이며, (16)는 이 배수구부(15)로부터의 배수를 세탁기 밖으로 흐르도록 하기 위한 배수호오스이며, (17)은 상기 배수구부(15)를 개폐하는 배수 전동밸브이다. 그리고, (18)은 상기 외주(2)내에 회전이 원활하게 지지된 합성수지체의 횡축형 세탁겸, 탈수렴 건조 드럼이다. 제5도와 같이, 뒷면 개방형 몸통부(19)와 상기 몸통부(19)의 후면측에 장착된 유체 배런서(20)과, 그 배런서(20)의 후면측에 고정된 후면판(21)로 구성된다.
그래서, 상기 베런서(20)을 상기 몸통부(19)에 끼워 맞춰서 나사로 죈 후, 상기 후면판(21)을 상기 배런서(20)의 후면측에 부착한채로 나사를 죄는것에 의해 드럼(18)를 완성한다. (22)는 상기 몸통부(19)의 둘레면을 따라 길게 설치된 장방형상의 의류 투입구 C이며, 그 크기는 상기 의류투입구 B(8)과 거의 같게 설정되어 있다. (23)는 상기 의류투입구 C(22)를 개폐하기 위한 합성수지제 뚜껑체이다.
그리고, 상기 드럼(18)는 그 지지축(24), (25)로 지탱하여, 상기 외조(2)내에 회전 운동이 원활하도록 지지된다.
이때, 상기 지지축(25)는 상기 외조(2)의 전면벽(2a)으로부터 돌출하며, 이것에 구동풀리(26)이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27)는 상기 설치판(4)에 설치부재 A(28)에 의해 고정된 세탁모우터이며, 그 모우터축에 작은 폴리 A(29)가 고정되어 있다.
(30)은 상기 설치판(4)에 설치부재 B(31)에 의해 고정된 탈수모우터이며, 그 모우터축에 큰 풀리 A(32), 작은풀리 B(33) 및 브레이크드럼(34)가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작은 풀리 A(29)와 큰 풀리 A(32)가 상기 작은 풀리 B(33)과 구동풀리(26)이 각각 벨트(35), (36)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또, 상기 세탁모우터(27) 및 탈수모우터(30)은 상기 외조(2)에 있어서의 선단 근방에 배치되어 잇다.
그리고, 제6도에 있어서, 상기 외조(2)는 그 후면벽(2a)만 별체로 형성되며, 그 후면벽(2a)는 외조(2)는 외주(2)내에 상기 드럼(18)을 수납한 후에 접착된다. (37)은 상기 후면벽(2a)의 중앙부에 형성된 원통부이며, (28)은 상기 후면벽(2a)바깥벽에 일체로 형성된 송풍덕트이며, 상부 중앙으로부터 상기 원통부(37)에 걸쳐 형성되며, 상기 원통부(37)을 덮고 있고 있는 벽면(38a)는 그 원통부(37)에 근접시켜서 여기에 상기 지지축(24)를 지지하는 뒷부분에 베어링(39)가 고정되어 있다.
또, 상기 송풍덕트(38)의 상부에는 히이터 케이싱(40)이 형성되며, 여기에 시이즈(sieze) 히이커 A(41)가 내설되어 있다. (42)는 그 시이즈 히이터 A(41)를 둘러싼 철판이며, 먼지등이 발화하여도 수지재에 불길이 옮겨가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43)은 상기 후면벽(2a) 1/2의 높이 위치에 설치된 물넘침구이며, (44)는 상기 후면벽(2a)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물넘침구(43)으로부터의 넘친물을 흐르도록 하기 위한 물넘침 파이프이며, (45)는 이 물넘침 파이프(44)내에 설치된 한쌍의 전극이며, (46)은 상기 후면벽(2a) 하부에 형성된 에어트랩(air trap)이며, 후술하는 수위센서(47)에 입력호오스(48)을 통해서 접속되어 있다. (49)는 상기 물넘침 파이프(44)와 상기 배수호오스(16)과를 접속하는 물넘치 호오스이며, (50)은 상기 프레임(1)의 윗부분 구석부에 상하 방향으로 설치된 합성수지제의 제습관이며, (51)은 상기 제습관(50)의 상단에 설치된 팬 장치이며, 팬과 팬 모우터로 되며, 그 흡입구측이 상기 제습관(50)에 연통하게 송풍구측과 상기 히이터 케이싱(40)이 주름 형성의 순환덕트(52)를 통해서 접속되어 있다. 또, 상기 제습관(50)의 하단은 상기 물넘침 호오스(49)에 연통되어 있다. (53)는 상기 수용부(9b)에 내설된 이런식의 급수전자 밸브 장치이며, 한쪽 급수밸브 A(53a)는 급수호오스 A(54)를 통하여 상기 통체(7)에 형성된 접속구부(55)에 접속되며, 다른쪽 급수밸브 B(53b)는 급수 호오스 B(56)을 통하여 상기 제습관(50)의 상부에 접속되어 있다. (57)은 상기 외조(2)내의 바닥부에 설치된 시이즈 히이트 B이며, (58)은 상기 지지축(25)를 지지하며, 상기 외조(2)의 앞면벽(2a) 중심부에 고정된 압부분 베어링이며, (59)는 상기 뚜껑체(23)의 상면 중앙에 일체로 오목하게 만들어진 고임부로서, 미리세제, 표백제, 유연마무리제 등의 세탁 처리제가 고여있는 곳이다.
또, 이 고임부(59)는 처리체의 종류에 맞게 복수로 설치되어 있으면 편리한다. (60)은 상기 드럼(18)내에 설치되어진 배플(baffle)이며, (61)은, 상기 드럼(18)의 주위에 설치된 투시구멍이며, (62)는 상기 송풍덕트(38)과 상기 드럼(18)내를 연통하는 흡입구부이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세탁, 탈수, 건조기의 구체적 회로를 제8도 및 제9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63)은 제어의 중심이 되는 마이크로 콤퓨터(예컨데 일본 산요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제LC 6523형)이며, 그 구성은 알려진 바와같이 CPU(64), RAM(65), ROM(66), 타이머(67), 시스템버스(68) 및 입출력장치(69), (70)으로 구성된다. 상기 CPU(64)는 제어부(71)과 연산부(72)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71)은 명령의 꺼냄 및 실행을 행하며, 상기 연산부(72)는 명령의 실행단계에 있어서 제어부(71)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입력기기나 메모리로부터 부여된 데이터에 대해 2진 가산, 논리연산, 증감, 비교등의 연산처리를 행한다. 상기 RAM(65)는 기기에 관한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ROM(66)은 미리 기기를 움직이게 하는 수단이나 판단을 위한 조건 설정과 각종 정보처리를 위한 루울(rule)등을 읽어넣어 두는 곳이다.
드리고, 상기 마이크로 콤퓨터(63)에는 상기 각종 조작키이(11)군으로 구성된 입력키이회로(73)과, 상기 수위센서(47), 상기 윗뚜껑(14)의 개폐에 연통하여 개폐되는 안전스위치(74)와, 상기 드럼(18)의 회전검지용 리이드 스위치(75)와, 기준펄스 발생회로(76)과, 이상 발포 검지용 상기 전극(45), (45)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며, 마이크로 콤퓨터(63)은 이들의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세탁모우터(27)의 정역회전, 상기 탈수모우터(30), 상기 급수전자밸브 A(53a) 상기 급수전자밸브 B(53b). 상기 배수전동밸브(17), 상기 팬장치 (51)상기 히이터 A(41), 상기 히이터 B(57), 부저(buzzer) 구동회로 (77), 각종 발광 다이오드 (LED)군으로 구성된 발광 다이오드 구동회로(78)에 구동신호를 각각 송출한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 콤퓨터(63)과 각 부하는 쌍방향성 사이리스터(79) 내지(87)를 통하여 접속되며, 상기 마이크로 콤퓨터(63)으로부터는 이 쌍방향성 사이리스터(79) 내지 (87)의 온.오프 신호가 송출된다. 상기 수위센서(47)은 상기 외조(2)내의 수위변화를 상기 에어트랩(46)내의 압력 변화로써 검출하며, 이 압력에 따라 지성체를 코일내로 이동시키고, 그 결과로써 수위 변화를 코일의 인덕턴스 변화로써 검출하고, 또, 상기 인덕턴스 변화를 발진주파수의 변화로써 검출하여 상기 마이크로 콤퓨터(63)에 입력하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상기 마이크로콤퓨터(63)은 이 발진주파수의 변화에 의거하여 상기 외조(2)내의 수위를 연속적으로 동시에 광범위하게 검출한다.
그리하여, 본 실시예의 세탁, 탈수, 거조기는 세탁, 헹굼, 탈수, 건조의 각 공정을 프로그램에 따라 순차적으로 실행한다.
그리고, 세탁 공정시에 상기 세탁 모우터(27)에 의해 상기 드럼(18)이 저속으로 반복 반전되어, 드럼(18)내의 세탁물이 상기 배플에 걸려 올라가서 상방에서 하방으로 낙하하는 소위 두드럼 세탁이 행해진다. 또, 탈수공정시에는 상기 탈수 모우터(30)에 의해, 상기 드럼(18)이 고속으로 한방향으로 회전되어 드럼(18)내의 세탁물이 원심력으로 탈수된다. 또, 건조 공정시에는 상기 세탁모우터(27)에 의해 상기 드럼(18)이 저속으로 반복 반전됨과 동시에 상기 팬장치(51) 및 히이드 A(41)이 구동함에 따라 상기 흡입구부(62)로부터 상기 드럼(18)내에 건조한 바람이 도입되어 드럼(18)내의 세탁물과 열교환이 행해진다.
또, 본 실시예의 세탁기에 있어서는, 상기 배런서(20)과, 상기 세탁모우터(27) 및 탈수모우터(30)의 중량이 비교적 크지만, 상기 배런서(20)을 후단 근방에 배치하고, 상기 세탁모우터(27) 및 탈수모우타(30)을 선단 근방에 배치함에 따라 배런서(20)과, 모우터(27), (30)과의 중량 배런스를 취해서 상기 외조(2)가 기울여지지 않도록 하고 있다.
제7도는 이 중량 배런스를 다르게 한 경우 탈수시의 진동 상태를 계측한 것이며, 횡축(L)는 상기 배런서(20)과 모우터(27), (30)과의 중점과, 상기 드럼(18)의 수직방향 중심선화의 거리이며, 종축(W)는 탈수시 상기 외조의 최대 진폭이다. 즉, 상기 배런서(20)과 모우터(27), (30)과의 중점이 중심으로부터 빗나가있는 만틈, 중량 배런스가 흐트려져 드럼(18)의 회전이 불안정하게 되어 탈수시의 진동이 큰 것을 알수있다. 또, 상기 드럼(18)은 하벙수지제이므로, 경량인 것이 보통이며, 스텐레스등의 금속에 비하여 강도가 떨어지지만, 상기 배런스(20)을 가장 강도적으로 약한 입구 끝부분에 배치함으로써, 이 부분을 보강하여 이와같은 강도의 저하를 방지하고 있다.
이와같은 구성에 의거하여, 세탁공정이 동작을 제10도 및 제11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제10도와 같이 본 공정에서는 먼저, 설정수위까지 급수를 함과 동시에, 상기 히이트 B(57)가 통전되어 세탁수의 가열을 시작한다. (S-10) 내지 (S-13). 다음에 상기 세탁모우터(27)을 9초 온(ON)-3초 오프(OFF)의 반전 사이클로 설정시간 내의 반전을 반복한다(S-14) 내지 (S-22). 이것에 의해 상기 드럼(18)이 반전하며, 우선 상기 고임부(59)내에 고여있는 세제가 토입되어 용해하며, 드럼(18)내에는 세탁물이 상기 배플(60)에 걸려 있을 때에는 낙하하는 소위 두드럼 빨래가 행해진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세탁모우터(27)의 휴지와 동시에 상기 세탁모우터(27)및 탈수모우터(30)에 대하여 직류 제동을 행한다. 이것에 의해 상기 드럼(18)이 급격하게 정지하므로 그 반동으로 세탁물이 드럼(18) 내벽에 내팽개쳐져서 더욱 세탁력이 향상된다. 시간이 경과된 후에는 상기 히이터 B(57) 및 세탁모우터(27)을 오프하며 (S-23), (S-24), 세탁액을 배출한다(S-25).
그리고, 본 세탁공정중에 있어서는 제11도의 이상 발포처리 프로그램이 서브프로그램으로써 병행하여 행해진다.
즉, 상기 세탁모우터(27)에 통전됨과 동시에 게시 TA(초)를 개시한다(S-26). 이때, 세제농도에 따라서는 상기 드럼(18)의 반전으로 이상 발포하며, 이 거품이 상기 물넘침구(43)으로부터 물넘치 파이프(44)내에 침입하여 상기 전극(45), (45)을 도통시킨다. 그래서, 상기 마이크로 콤퓨터 (63)은 상기 전극(45), (45)가 2초간 연속해서 도통할 때까지의 시간 TA를 계측하며, 이 시간 TA와 상기 ROM(66)내에 기억한 기준치와를 비교한다(S-27) 내지 (S-29).
그리고, 0
Figure kpo00001
TA
Figure kpo00002
10가 되면, 이상 발포도가 대단히 높음으로서, 다음의 재급수 프로그램 중의 설정치 TC를 30초로 (S-30), 이와같은 방법으로 10<TA
Figure kpo00003
20로 되면 TC를 20초로(S-31), 20<TA
Figure kpo00004
30로 되면 TC를 10초로(S-32), TA>30로 되면 TC를 5초로(S-33) 각각 설정한다.
또, 상기 전극(45), (45)의 도통을 연속 2초로한 것을 단시간의 물넘침에 의한 도통과 구별하기 위함이다. 재급수 프로그램에서는 YA를 클리어하여(S-34), 세탁운전을 일시 중단한다(S-35). 그리고, 설정한 TC초만큼 배수한 후(S-37) 내지 (S-39), 다시 설정 수위까지 급수하여(S-40) 내지 (S-43)운전을 재개한다.
즉, 이상 발포처리 프로그램은 이상 발포가 발생한 경우에 세제 농도가 높은 만큼 발포정도가 커지기 때문에 발포정도에 따라 세탁액을 엷게한 것이다. 제12도는 상기 전극(45), (45)를 이용한 이상 발포검지 회로의 다른예를 나타내고 있다. 즉, 한쪽 전극(45)는 저항(R1), (R2), 트랜지스터 A(175), (2SA 1317형)을 통하여 상기 마이크로 콤퓨터(63)의 단자(PA)에 접속되며, 다른쪽 전극(45)는 저항(R3), 트랜지스터 B(176)(2SC 3331형)을 통하여 상기 마이크로 콤퓨터(63)의 단자 (PB)에 접속되어 있다. 또, 저항(R2), (R4)는 전류 제한용 저항이며, 저항(RT)는 트랜지스터의 온-오프를 확실히 행하도록 하기 위한 저항이다. 그리고, 세탁공정중에 상기 마이크로 콤퓨터(63)은 단자(PA)를 접지 상태로 한다. 그러면, 거품에 의해 전극(45), (45)가 도통한때에 틀내지스터 B(176)이 도통하여 단자(PB)에 전압 VCC입력되기 때문에 마이크로 콤퓨터(63)은 발포가 일어난 것을 판단한다. 또, 세탁공정 이외의시에 상기 마이크로 콤퓨터(63)는 단자(PA)를 개방 상태로 하면 트랜지스터 A(175)는 도통하지 않으므로 전극(45), (45)에 물등이 달아붙어도 오검지 하는 일은 없고, 전류가 흐르지 않으므로 전극(45), (45)의 부식도 방지할 수 있다.
그런데, 제13도는 상기 저항(R1) 내지 (R2), (RT)를 결정하기 위한 등가회로를 나타내며, X가 거품 저항이다. 이 도면에 있어서 A점의 전위는,
Figure kpo00005
로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트랜지스터 B(176)이 도통하기 위해서는 A점의 전위가 약 0.7V이상 필요하기 때문에, 거품 저항 X각 약 50킬로옴인 것을 고려하면, 구체적인 값으로써 R1= R3=5.6킬로옴, RT=12킬로옴, Vcc=5V로 결정하는 것에 의해 (a)식으로부터 A점의 전위가 약 0.82V이므로 전극(45), (45)에 의한 거품 검지가 가능하게 된다. 또, 공기중 수중기 저항은 수킬로옴 이상이므로, 만약 X=1메가옴으로써 (a)식에 대입하며, A점의 전위는 약 0.059V로 되어 상기 트랜지스터 B(176)이 도통하는 일은 없다.
따라서, 공기중의 수중기에 의한 전극(45), (45)의 도통을 검지하는 일은없다.
그래서, 상기 이상 발포검지 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제14도 및 제15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177)은 상기 물넘침 파이프(44)의 윗면을 덮어 씌우는 뚜껑체(178)의 아래면에 일체로 늘어뜨려 설치된 구획벽이며, 이구획벽(177)에 의해 상기 물넘침 파이프(44)의 내부가 하방만 연통하는 두실(178), (180)으로 구획되어 있다. 물넘침구(43)은 상기 두실(179), (180)내의 한쪽(179)상부에 설치되어 있다. (181), (182)는 상기 두실(179), (180)내의 다른쪽실(180)측에 상기 뚜껑체(178)로부터 각각 아래로 늘어뜨려진 한쌍의 봉형상 전극이며, 상기 전극(45), (45)와 같이 이상 발포시에 도통하여 상기 마이크로 콤퓨터(63)에 신호를 입력한다. (183), (184)는 상기 전극(181), (182)의 설치 기초부를 보호하기위해 부착된 탄성 절연체로써 상기 전극(181), (182)이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185)는 상기 뚜껑체(178)에 일체로 형성된 조인트관으로써, 상기 뚜껑체(178)의 윗면에 돌출한 한끝부(186)에 급수 호오스 A(54)로부터 분기된 급수분기관(187)이 접속되어 있는 동시에 다른끝부(188)는 상기 뚜껑체(178)의 바닥면에 있어서의 상기 전극(181), (182)간에 돌출되며, 상기 다른끝부(188)의 측면에 설치되어진 토출구부(189), (190)이 상기 전극(181), (182)의 기초부를 향하게 지향되어 있다. (191)은 상기 조인트관(185)의 다른끝부(188)으로부터 일체로 늘어뜨려 설치된 자폐판이며, 그 아래끝에는 상기 전극(181), (182)보다도 아래쪽에 위치한다.
상기 차폐판(191)은 상기 전극(181), (182)끼리를 은폐할 수 있을 정도로 폭이 넓지만, 상기 구획벽(177)이 폭 보다 작다. (192)는 상기 물넘침 파이프(44)로부터 물넘침 호오스(49)로의 유출부를 위쪽에 돌출시킴에 따라 형성된 유출구부이며, (193)은 상기 유출구부(192)의 위끝보다도 낮은 위치에로 상기 외조(2)와 물넘침 파이프(44)를 연통하도록 설치된 작은구멍이며, 그 입구면적은 상기 유출구부(192)의 입구 면적 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외조(2)내에의 급수와 동시에 상기 급수분기관(187)으로부터 상기 물넘침 파이프(44)의 다른쪽실(180)에 급수가 도입되며, 이 급수는 상기 토출구부(189), (190)으로부터 상기 전극(181), (182)에 흘려들어가서 전극(181), (182)를 그 기초로부터 세정한다.
다름에 상기 이상발포처리 프로그램(제11도)의 각각 다른 실시예를 제16도 내지 제21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16도에 있어서, 이상 발포를 검지하면 세탁운전을 일시 중단하며 (S-200), 통내에 급수를 개시한다(S-201).
이 급수 동작은 10초간 행해지지만, 급수개시로부터 5초 경과후에 배수가 병행하여 행해진다(S-202) 내지 (S-205).
상기 배수동작은 조내의 수위가 저수위까지 저하한 시점에서 종료하며(S-206), 그후 다시 설정수위까지 급수된 후(S-207), (S-208), 세탁 운전을 재개한다(S-209).
이와같이 발포해소 제어에 있어서, 배수보다도 급수를 먼저 행하는 것에 의해 급수로 거품을 제거한후에 액을 배출하게 되어 배수시에 상기 물넘침 호오스(49)로부터 물넘침 파이프(44)에 거품이 역류할 염려가 없게 된다. 제17도에 있어서, 이상 발포를 검지하면 세탁 운전을 일시 중단하며(S-210), 거품 제거시간(T)의 계시가 시작됨(S-211)과 동시에, 상기 급수밸브 A(53a)가 2초 온-2초 오프의 주기로 반복 구동되어 조내에 간헐적으로 급수된다(S-126) 내지 (S-127). 상기 거품 제거시간(T)가 30초 경과하면, 급수와 병행하여 배수가 행해지며(S-218), 상기 배수시간(T)가 1분 경과하면 급수 및 배수를 종료하며(S-129), 세탁운전을 재개한다(S-220). 제18도에 있어서, 이상 발포를 검지하면 세탁 운전의 드럼 회전을 1/3 펄스컷(pulse cut) 제어로 전환하여(S-221), 통내에 급수를 개시한다(S-222).
이 급수 동작은 15초간 행하여지지만 급수개시로부터 5초 경과후에 배수가 병행하여 5초간 행해진다(S-223) 내지 (S-225). 그리고 15초 경과후에 급수를 종료하여(S-226), 세탁 운전을 재개한다(S-227).
제19도에 있어서, 이상 발포를 검지하면 상기 팬장치(51)를 구동하여 조내에 바람을 도입함(S-230)과 동시에 세탁 운전의 드럼 회전을 1/3 펄스컷 제어로 전환하여(S-231) 조내에 급수를 개시한다(S-232).
이 급수 동작은 15초간 행하여지지만 급수 개시로부터 5초 경과후에 배수가 병행하여 5초간 행하여진다(S-223) 내지 (S-235).
그리고, 15초 경과후에 급수를 종료하여(S-236), 팬장치(51)을 오프하여(S-237), 세탁 운전을 재개한다(S-238).
또, 1/2 펄스컷 제어는 상술한 바와같이 제동 작용이 있지만 완전히 정지시키는 것 이어서는 안되며, 극히 천천히 회전을 한다(연속 통전시의 약1/10).
따라서, 상기 (S-221)이나 (S-231)의 제어는 1/3 펄스컷 제어로 한정하는 것 이어서는 안되지만 1/2펄스컷 제어를 제외하는 것이어서 안된다. 제20도에 있어서, 세탁공정의 상기 히이터 B(57)로의 통정을 급수완료후 다시 1분 지연시켜(S-240) 내지 (S-242), 이 1분 사이에 이상발포를 검지하면(S-243), 발포해소 프로그램을 실행한다(S-244) 내지 (S-245). 1분 경과후는 상기 히이터 B(57)에 통전하여 세탁수를 가열해(S-246) 내지 (S-247), 세탁운전을 속행한다(S-248). 제21도에 있어서, 세탁운전중에 이상 발포를 검지하며, 해소 제어를 실행한 경우에는 (S-250) 내지 (S-251), 그것을 상기 RAM(65)에 기억하며(S-252), 운전 종료후에 상기 발광다이오드 구동회로(78)에 지령하여 상기 조작부(9a)의 모든 발광다이오드를 점멸시켜 세제의 흘러넘침을 주의한다(S-253). 운전 종료로부터 10분후에 전원이 자동적으로 차단되므로 이 발광다이오드의 점멸 동작도 종료한다(S-254).
또, 이상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11도에 설명한 실시예와 같이 발포 정도에 따라 급.배수 시간을 변화시켜도 좋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청구항 1 내지 5,7에 기재된 세탁기에 의하면, 상기 발포를 검지하면 급수하는 것에 의해 거품을 제거하며, 동시에 세탁수를 희석하여 배수하는 것에 의해 세탁수를 적정수의로 유지하므로 발포해소를 위한 수고를 더는 동시에 확실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고, 게다가 해소 제어후의 두드림 세탁 효과를 저하시키는 일도없다. 따라서, 거품 제거효과가 우수한 것이다.
또한, 물넘침실내에 거품 검지용의 전극을 설치하는 것에 의해 전용의 거품 검지실을 생략할 수 있어 코스트가 낮다.
그리고, 물에 의해 도통하는 확률이 낮아 확실한 발포해소 제어를 행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기재된 세탁기에 의하면, 발포해소 제어중 드럼을 정지시키므로 그 이상의 발포를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기재된 세탁기에 의하면, 발포해소 제어중 드럼을 저속 회전시켜 급수를 드럼내의 구석 구석까지 골고루 미치게 하므로 거품 제거 효과가 크다.
또, 본 발명의 청구항 4에 기재된 세탁기에 의하면, 발포해소 제어중 급수를 간헐적으로 하는 것에 의해 급수량을 제어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청구항 5에 기재된 세탁기에 의하면, 급수로 거품을 제거함과 동시에 송풍으로 거품을 불어서 날려 버리므로 거품제거 효과가 크다.
또, 본 발명의 청구항 6에 기재된 세탁기에 의하면, 거품의 경보를 운전 종료후에 행하므로 다음회의 운전시에 사용자가 알아 차리기 쉬우며, 사용자는 이것에 이해 세제량을 절약할 수 있어 거품 제거 효과가 크다.
또, 본 발명의 청구항 7에 기재된 세탁기에 의하면, 발포를 검지할 대까지의 시간에 따라 발포의 정도를 순위로 나누고, 이 발포정도에 따라 급.배수량을 조절하므로 불필요한 거품제가 시간을 줄일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청구항 9에 기재된 세탁기에 의하면, 뜨거운물 세탁시의 발포검지 및 발포해소 제어를 세탁액을 승온시키기 전에 행하므로 급수동작에 의한 뜨거운 물의 온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청구항 11에 기재된 세탁기에 의하며, 전극을 물넘침구로부터 구획하는 것으로 약간의 거품으로 전극이 도통하는 일이 없이 검지미스를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청구항 12에 기재된 세탁기에 의하면, 전극에 부착한 수분이 전극을 따라 아래쪽으로 낙하하기 쉽게되어서 전극 표면에 수분이 남기어려우므로 전극의 부식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청구항 13에 기재의 세탁기에 의하면, 전극간에 실찌꺼기가 달어붙기 어렵기 때문에, 만약 전극이 변형하여도 양 전극이 접촉하기 어렵다.
또, 본 발명의 청구항 14에 기재된 세탁기에 의하면, 전극 기초부로부터 급수하는 것에 의해 전극을 세정할 수 있으므로 항상 검지 정밀도가 양호하다.
또, 본 발명의 청구항 15에 기재한 세탁기에 의하면, 전극의 세정수를 모두 회수할 수 있으므로 절수 효과가 양호하다.

Claims (13)

  1. 프레임(1) 내에 외조(2)을 지지하며, 그 외조(2) 내의 주위에 다수의 투시구멍(61)을 갖는 횡축형 세탁드럼(18)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며, 회전구동수단(27)에 의해 그 세탁드럼(18)를 회전시켜서 드럼(18)내에 투입된 세탁물을 세탁하는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외조(2) 내에의 급수수단(53a)과, 상기 외조(2)내의 액배수수단(17)과, 상기 각 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63)과, 상기 외조(18) 내에서 이상 발포를 검출하는 거품검지수단(45), (181), (182)를 상기 외조(2)의 벽면에 설치하며, 배수관에 연통하는 물넘침(44), (178)과, 그 물넘침실내에 설치되며, 세탁중에 상기 발포를 검지하기 위한 한쌍의 전극(45), (181), (182)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수단(63)이 세탁중에 상기 거품검지수단(45), (181), (182)으로부터의 발포검지신호가 입력된 경우에, 상기 급수수단(53a)에 의한 급수동작과 상기 배수수단(17)에 의한 배수동작으로 되는 발포해소제어를 실행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63)이 상기 발포해소제어중 상기 회전 구동수단(27)의 구동을 중단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63)이 상기 발포해소제어중 상기 회전구동수단(27)을 저속으로 구동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63)이 상기 급수 동작중 상기 급수수단(53a)을 간헐적으로 구동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조(2)내에 송풍수단(51)을 설치하며, 상기 제어수단(63)이 상기 발포해소제어중 상기 송풍수단(51)을 구동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6. 프레임(1)내에 외조(2)을 지지하며, 그 외조(2)내의 주위에 다수의 투시구멍(61)을 갖는 횡축형 세탁드럼(18)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며, 회전구동수단(27)에 의해 그 세탁드럼(18)를 회전시켜서 드럼(18)내에 투입된 세탁물을 세탁하는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외조(2)에의 급수수단(53a)과, 상기 외조(2)내의 액배수수단(17)과, 상기 각 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63)과, 상기 외조(18)내에서 이상 발포를 검출하는 거품검지수단(45), (181), (182)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수단(63)이 세탁중에 상기 거품검지수단(45), (181), (182)으로부터의 발포검지신호가 입력된 경우에, 상기 급수수단(53a)에 의한 급수동작과 상기 배수수단(17)에 의한 배수동작으로 되는 발포해소 제어를 실행하고 외부에의 알림수단(78)과, 상기 발포해소제어를 실행한 것을 기억하는 기억수단(65)를 설치하며, 상기 제어수단(63)이 상기 발포해소제어를 실행한 경우 운전종료후에 상기 알림수단(78)을 구동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7. 프레임(1)내에 외조(2)을 지지하며, 그 외조(2)내의 주위에 다수의 투시구멍(61)을 갖는 횡축형 세탁드럼(18)을 회전가능 하게 지지하며, 회전구동수단(27)에 의해 그 세탁 그럼(18)를 회전시켜서 드럼(18)내에 투입된 세탁물을 세탁하는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외조(2)내에의 급수수단(53a)과, 상기 외조(2)내의 액배수수단(17)과, 상기 각 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63)과, 상기 외조(2)내에서 이상 발포를 검출하는 거품검지수단(45), (181), (182)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수단(63)이 세탁중에 강기 거픔검지수단(45), (181), (182)으로부터의 발포검지신호가 입력된 경우에, 상기 급수수단(53a)에 의한 급수동작과 상기 배수수단(17)에 의한 배수 동작으로 되는 발포해소 제어를 실행하고 상기 제어수단(63)이 어느 시점에서 상기 거품검지수단(45), (181), (182)로부터 검지 신호가 입력될 때까지의 시간대소에 의거하여 발포 정도를 판정함과 동시에 판정한 발포정도에 따라 상기 발포해소 제어의 동작상태를 변경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조(2)내의 액을 승온시키는 승온수단(57)을 설치하며, 상기 제어수단(63)이 세탁개시로부터 소정시간 지연하여 상기 승온수단(57)을 구동함과 동시에, 상기 소정시간중에 상기 거품검지수단(45), (181), (182)에 의한 발포검지 동작을 실행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넘침실(44), (178)내에 상기 전극(45), (181), (182)을 그 물넘침실의 물넘침구(43)로부터 구획하는 구획벽(177)을 설치함에 따라 그 물넘침실 내를 서로 한부분으로 연통하는 두실(179), (180)구조로 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45), (181), (182)은 봉형상이며, 상기 물넘침실(44), (178)내에 아래로 늘어뜨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간을 차폐하는 차폐판(191)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의 설치기초로부터 상기 물넘침실(44), (178)내에 급수를 도입하는 급수판(185), (187)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물넘침실(44), (178)로부터의 유출구부를 위쪽으로 돌출시킴과 동시에 이 유출구부 보다도 낮은 위치에, 상기 외조(2)내에 연통하는 작은구멍(193)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세탁기.
KR1019900002470A 1989-03-28 1990-02-04 세탁기 KR9300058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76925 1989-03-28
JP7692589 1989-03-28
JP1-236231 1989-09-12
JP1236231A JPH0696069B2 (ja) 1989-03-28 1989-09-12 洗濯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4675A KR900014675A (ko) 1990-10-24
KR930005874B1 true KR930005874B1 (ko) 1993-06-25

Family

ID=26418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2470A KR930005874B1 (ko) 1989-03-28 1990-02-04 세탁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038586A (ko)
EP (1) EP0390343B1 (ko)
JP (1) JPH0696069B2 (ko)
KR (1) KR930005874B1 (ko)
AU (1) AU632251B2 (ko)
CA (1) CA2011556C (ko)
DE (1) DE69024516T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0987A (ko) * 2012-09-04 2014-03-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104151A1 (de) * 1991-02-12 1992-08-13 Miele & Cie Waeschebehandlungsmaschine
JPH051486U (ja) * 1991-06-19 1993-01-14 史朗 金尾 洗濯機用ホース
KR200151035Y1 (ko) 1994-12-07 1999-07-15 윤종용 드럼형 세탁기의 진동 및 소음 감소장치
EP0781882B2 (en) * 1995-12-28 2005-08-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rum appliances with balancing devices
DE19905534B4 (de) * 1999-02-10 2010-02-04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Trommelwaschmaschine mit einer Wäschetrommel, deren Trommelmantel eine strukturierte Oberfläche aufweist
GB0006502D0 (en) * 2000-03-18 2000-05-10 Notetry Ltd Laundry appliance
US6401284B1 (en) * 2000-04-04 2002-06-11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controlling washing during spinning in tilt-type washing machine for attenuation of vibration
US6778868B2 (en) * 2000-09-12 2004-08-17 Kabushiki Kaisha Toshiba Remote control of laundry appliance
JP3643772B2 (ja) * 2000-12-05 2005-04-27 株式会社東芝 ドラム式洗濯機
TW554115B (en) * 2001-01-12 2003-09-21 Toshiba Corp Cylinder washing machine
JP4538996B2 (ja) * 2001-08-07 2010-09-0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食器洗い機
US6553594B2 (en) 2001-09-20 2003-04-29 Maytag Corporation Control system for clothes washing machine incorporating heater
JP3955571B2 (ja) * 2002-01-11 2007-08-08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改善された凝縮ダクト構造を有する洗濯機及び乾燥機
AU2003215913B2 (en) * 2002-01-11 2005-09-15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DE10205306B4 (de) * 2002-02-08 2006-12-28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Trommelwaschmaschine mit einer von vorn beschickbaren Wäschetrommel
KR100499488B1 (ko) * 2002-11-26 2005-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세탁기의 제어방법
KR100464054B1 (ko) 2002-12-27 2005-0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일체형 캐비넷/터브를 구비한 드럼 세탁기
EP2314749A3 (en) 2002-12-27 2013-01-09 LG Electronics Inc. Drum type washing machine
US20040244121A1 (en) * 2003-06-09 2004-12-09 Lg Electronics Inc. Mono-tub drum-type 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S2260977B1 (es) * 2003-07-15 2007-08-16 Bsh Electrodomesticos España, S.A. Tambor de lavadora de ropa.
KR100531379B1 (ko) * 2003-08-13 2005-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 세탁기의 세탁물 구김 제거 방법
DE10361406A1 (de) * 2003-12-29 2005-07-21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Verfahren zum Waschen von Wäsche in einer prozessgesteuerten Haushalt-Waschmaschine
KR100634802B1 (ko) 2004-07-20 2006-10-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 세탁기
US7236099B2 (en) * 2005-04-01 2007-06-26 Maytag Corporation Household appliance with user interface with bi-colored LEDs
KR101095555B1 (ko) * 2005-05-04 2011-12-19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거품제거방법
KR100775831B1 (ko) * 2005-06-08 2007-1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세탁기의 거품감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드럼세탁기
KR100730943B1 (ko) * 2005-07-01 2007-06-2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드럼세탁기의 거품제거 구조
JP4600221B2 (ja) * 2005-09-06 2010-12-1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ドラム式洗濯機
KR100651853B1 (ko) 2005-09-30 2006-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서트사출형 베어링하우징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캐비넷/터브 일체형 드럼세탁기
US7841220B2 (en) 2005-09-30 2010-11-30 Lg Electronics Inc. Drum-type washing machine
KR100730930B1 (ko) * 2005-12-19 2007-06-2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드럼세탁기의 탈수방법
EP1971714B1 (en) * 2005-12-29 2019-05-08 Arçelik Anonim Sirketi A washing machine and a control method
US7536882B2 (en) 2006-03-29 2009-05-26 Lg Electronics Inc. Drum type washing machine
DE102006060256A1 (de) * 2006-12-14 2008-06-26 E.G.O. Elektro-Gerätebau GmbH Verfahren zur Steuerung einer Waschmaschine
DE102007033492A1 (de) * 2007-07-18 2009-01-22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Verfahren zur Steuerung der Schaumerzeugung in einer Waschmaschine sowie hierzu geeignete Waschmaschine
KR20090024467A (ko) * 2007-09-04 2009-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DE102007042968B4 (de) * 2007-09-10 2021-05-12 BSH Hausgeräte GmbH Verfahren zur Erkennung von Schaum in einer Trommelwaschmaschine und hierzu geeignete Trommelwaschmaschine
DE102007044883A1 (de) * 2007-09-20 2009-04-09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unststoff-Laugenbehälter für eine Waschmaschine oder einen Waschtrockner
JP4840400B2 (ja) * 2008-04-28 2011-12-2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ドラム式洗濯機
JP4848026B2 (ja) * 2009-05-15 2011-12-28 信広 久保 表情筋鍛錬具
US8844082B2 (en) 2010-12-14 2014-09-30 Whirlpool Corporation Laundry treating appliance with biofilm treating cycle
US8490439B2 (en) * 2011-09-30 2013-07-23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Water recirculation and drum rotation control in a laundry washer
CH710591B1 (de) * 2015-01-06 2018-11-30 V Zug Ag Waschmaschine mit Unwuchtkompensation und progressiver Lagerung.
CN111856587A (zh) * 2019-04-26 2020-10-30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泡沫感知装置、衣物处理装置及感知方法
US11028527B2 (en) 2019-09-27 2021-06-08 Whirlpool Corporation Laundry treating appliance for drying laundry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50778A (en) * 1952-07-28 1956-06-19 American Machine & Metals Automatic washer controls and methods
GB800007A (en) * 1955-08-05 1958-08-20 Westinghouse Electric Int Co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washing machines
US3192744A (en) * 1963-07-01 1965-07-06 Hoyt Mfg Corp Laundry apparatus
DE1460883A1 (de) * 1964-12-30 1969-04-17 Constructa Werke Gmbh Verfahren und Niederschlagen von Waschmittelschaum bei Waschmaschinen
DE2325586A1 (de) * 1973-05-19 1974-12-05 Miele & Cie Wasch- oder geschirrspuelmaschine mit einer einrichtung zur vermeidung des ueberschaeumens
CA1056736A (en) * 1975-04-18 1979-06-19 Gentaro Hayashi Balancing construction for centrifugal extractor
DE2827345A1 (de) * 1978-06-22 1980-01-10 Hartmann & Braun Ag Nichtdispersiver infrarot-gasanalysator
US4410329A (en) * 1981-11-06 1983-10-18 General Electric Company Washing machine with oversuds detection and correction capability
JPS59119195A (ja) * 1982-12-02 1984-07-10 ユナイテツド キングドム アトミツク エナ−ヂイ オ−ソリテイ 多管式熱交換器
JPS59120197A (ja) * 1982-12-28 1984-07-11 三洋電機株式会社 ドラム式洗濯機
JPS59119287U (ja) * 1983-02-01 1984-08-11 三洋電機株式会社 ドラム式洗濯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0987A (ko) * 2012-09-04 2014-03-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632251B2 (en) 1992-12-17
AU5061890A (en) 1990-10-04
EP0390343A2 (en) 1990-10-03
US5038586A (en) 1991-08-13
DE69024516T2 (de) 1996-06-13
DE69024516D1 (de) 1996-02-15
KR900014675A (ko) 1990-10-24
JPH0373194A (ja) 1991-03-28
EP0390343A3 (en) 1991-03-27
EP0390343B1 (en) 1996-01-03
CA2011556C (en) 1997-11-25
JPH0696069B2 (ja) 1994-11-30
CA2011556A1 (en) 1990-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5874B1 (ko) 세탁기
US6536243B2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with turbidity sensor
KR950003372B1 (ko) 드럼식 세탁기
KR100621279B1 (ko) 세탁기
EP1213384A2 (en) Automatic washing machine
JPH0698989A (ja) 一槽式洗濯機
TWI726286B (zh) 洗衣機
JP2008110002A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CA1102575A (en) Basket overflow for water recirculating clothes washing machine
KR19990085040A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JP5383435B2 (ja) 洗濯機
JP2834859B2 (ja) 洗濯機
JPH11262595A (ja) 洗濯機
KR100271176B1 (ko) 드럼 세탁기의 잔수제거장치
JP2008104494A (ja) ドラム式洗濯機
JP2019047942A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KR20000055285A (ko) 드럼세탁기의 거품제거방법
KR200235746Y1 (ko) 세탁기
JP7289045B2 (ja) 洗濯機
EP4219821A1 (en) Drainage fluid channel including filter and washing machine having same
JP2950884B2 (ja) ドラム式洗濯機
KR100229475B1 (ko) 세탁기
KR20000055286A (ko) 드럼세탁기의 거품제거방법
KR100308015B1 (ko) 세탁기의세탁수펌핑방법및그장치
KR20040013280A (ko) 세탁기의 펄세이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12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