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5853B1 - 동력 조타장치 - Google Patents

동력 조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5853B1
KR930005853B1 KR1019880011705A KR880011705A KR930005853B1 KR 930005853 B1 KR930005853 B1 KR 930005853B1 KR 1019880011705 A KR1019880011705 A KR 1019880011705A KR 880011705 A KR880011705 A KR 880011705A KR 930005853 B1 KR930005853 B1 KR 9300058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housing
wheel
lead wire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1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4932A (ko
Inventor
마사히꼬 노구찌
다다시 야기
하지메 고즈까
미즈히꼬 모리시따
마사요시 오오니시
Original Assignee
미쯔비시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시끼 모리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2874287A external-priority patent/JPS6470265A/ja
Priority claimed from JP22874187A external-priority patent/JPS6470264A/ja
Priority claimed from JP22874387A external-priority patent/JPS6470266A/ja
Application filed by 미쯔비시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시끼 모리야 filed Critical 미쯔비시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0049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49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5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58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0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 B62D6/08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responsive only to driver input torque
    • B62D6/1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responsive only to driver input torque characterised by means for sensing or determining torq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09Electric motor acting on the steering colum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57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trol features of the drive means as such
    • B62D5/046Controlling the motor
    • B62D5/0469End-of-stroke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 Force Measurement Appropriate To Specific Purpo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동력 조타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동력 조타 장치의 측단면도.
제2도는 토오크 센서의 장착 위치 근방을 도시한 제1도의 일부 확대도.
제3도 및 제4도는 오토크 센서 인출선의 감김 상태를 도시한 제1도의 Ⅲ-Ⅲ선에 의한 확대 단면도.
제5도는 모터의 전동 기구의 구성을 도시하는 제1도의 Ⅴ-Ⅴ선에 따른 확대 단면도.
제6도 및 제7도는 각각 제1도의 Ⅵ-Ⅵ선 및 Ⅶ-Ⅶ선에 따른 축부 근방의 확대 단면도.
제8도는 제1도의 Ⅳ-Ⅳ선에 의한 회전 제한 기구의 또다른 실시예의 확대 횡단면도.
제9도는 제1도의 Ⅳ-Ⅳ선에 의한 회전 제한 기구의 또다른 실시예의 확대 횡단면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회전 제한 기구의 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타륜축 3 : 토션 바아
4 : 토오크 센서 5 : 모터
7 : 제어부 8 : 회전 제한 기구
12a : 입력축 12b : 출력축
14 : 이송 나사부 23 : 하부축 하우징
46 : 리이드선 81 : 이동 너트(이동 부재)
82 : 구속 부재 80a, 85a : 스톱퍼부
본 발명은 자동차의 조타에 요하는 힘을 전동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보조하는 전동식 동력 조타 장치(파워 스티어링)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를 직진 상태로부터 우 또는 좌로 조타시키도록 타륜 조작을 행하는 경우, 차륜에는 이 조타를 억제하는 방향으로의 저항이 노면으로부터 작용하고, 이 저항력은 특히 저속 주행시, 정지시 또는 악로 주행시에 있어서는 상당히 커지므로 운전자는 타륜 조작에 의해 상당한 노력 부담을 강요받게 된다. 거기서, 운전자가 타륜에 가해지는 조작력에 따라 타륜에 연동 연결된 축체에 생기는 토오크(조타 토오크)를 상기 축체의 중도에 장착한 토오크 센서에 의해 검출하고, 이 검출 토오크의 방향 및 크기에 따라 조타 개구내에 배치한 모터를 구동하여 상기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타륜 조작에 요하는 힘을 보조시키고, 운전자의 노력 부담을 경감시키고, 쾌적한 조타 감각을 제공하는 전동식 동력 조타 장치가 실용화되고 있다.
상기 토오크 센서로서는 타륜에 연동하는 입력축과, 차륜에 작용하는 노면으로부터의 저항에 따른 구속력을 조타 기구측으로부터 맏는 출력축을 토션 바아를 거쳐 동축상에 연결하여 상기 축체를 구성하고, 상기 토션 바아에 상기 조타 토오크에 따라 생긴 비틀림을 상기 양축간의 상대 변위로서 양축의 연결 부분에 장착한 전위차계에 의해 검출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종래의 동력 조타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전위차계에의 입력 전위의 인가 및 출력 전위의 인출은 상기 축체 주위에 형성한 슬립링과, 상기 축체를 둘러싸는 하우징에 고정 설치된 플랜지를 미끄럼 접촉시켜 행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동력 조타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토오크 센서 부분의 조립시에 브러시와 슬립링의 접촉상태에 불량이 생기는 일이 있으며, 또 조립이 적절히 행해지고 초기 접촉 상태가 양호한 경우에 있어서도 브러시의 시간경과 마모 또는 주행중인 차체의 진동에 기인하는 브러시와 스립링 사이의 접촉 불량의 발생은 피할 수 없고, 이 접촉 불량에 기인하는 조타 토오크의 검출 정밀도 저하에 의해 타륜의 조작량과 실제 조타 각도의 불일치가 생기고, 부자연스런 조타 동작이 발생하고, 조타 감각의 악화를 초래한다는 난점이 있었다.
거기서 토오크 센서로서 이용하는 전위차계에의 입력 전위의인가 및 압력 인출을 상기 토오크 센서의 상기 하우징 사이를 직접적으로 접속하는 리이드선을 거쳐 구성하고, 상기 슬립링 및 브러시를 폐지함으로써 전술한 난점의 해소를 모도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구성으로 한 경우, 토오크 센서는 타륜과 함께 회전하는 상기 축체상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하므로 타륜의 회전에 수반하여, 상기 리이드선이 축체의 외주에 감기고 또 타륜의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리이드선에 인장력이 작용하고, 그 중도부 또는 토오크 센서나 혹은 하우징과의 접속부에 있어서 이것이 파단할 우려가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리이드선의 길이를 충분히 길게 한 경우, 이 리이드선을 수납하기 위해 토오크 센서 장착부의 상기 하우징이 블록해지며, 상기 하우징의 배치 위치에 제약을 받는다는 난점이 있었다.
또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종래의 동력 조타 장치에 있서는 상기 브러시와 슬립링의 접촉 상태가 불량인 경우, 조타 토오크의 검출이 불가능하게 되거나 검출 정밀도 저하를 초래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이 접촉 부분의 조립에 세심한 주의를 하여 행할 필요가 있으며, 조립 작업에 많은 시간과 수고를 요한다는 난점이 있었다.
또, 조립이 적절히 행해지고, 브러시와 슬립링의 초기 접촉 상태가 양호한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브러시의 시간경과 마모에 기인하는 접촉 불량의 발생은 피할 수 없고, 토오크 센서의 검출 정밀도가 시간의 경과와 함께 저하한다는 난점이 있으며, 또 주행중 차체의 진동에 수반하여 상기 브러시가 진동하고, 상기 브러시와 슬립링의 접촉이 불연속이 되는 일이 있으며, 이 경우, 조타 토오크를 연속적으로 검출할 수 없게 되는 결과, 상기 모터가 단속적으로 구동되고, 부자연스런 조타 동작이 생긴다는 난점이 있었다.
이들의 난점은 전술한 바와같은 전위차계를 이용한 토오크 센서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들면 타륜에 연결되는 축체에 왜곡 게이지를 점착하고, 상기 축체에 발생하는 왜곡으로서 조타 토오크를 검출하는 토오크 센서 등에 의해 조타 토오크를 검출하는 구성으로 한 동력 조타 장치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생기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이며, 토오크 센서의 장착부분의 조립 작업이 간소화되는 동시에 상기 센서의 검출 정밀도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저하하는 일, 및 차체의 진동에 기인하여 조타 토오크 검출이 불연속이 되는 일이 없고, 타륜 조작량에 확실히 대응하는 조타가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동력 조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토오크 센서의 출력을 이에 직접적으로 접속한 리이드선을 거쳐 인출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으며, 게다가 리이드선에 파단을 발생하는 일이 없고, 그 길이를 가급적 짧게 할 수 있으며, 토오크 센서부의 배치 위치에 제약을 받지 않는 동력 조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동력 조타 장치는 타륜에 연동 연결한 축체의 도중에 장착한 토오크 센서에 의해 타륜에 가해지는 조타 토오크를 검출하고, 이 검출 결과를 기초로 하여 조타 보조용 모터를 구동하는 동력 조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축체 주위에 복구회 감기고, 그 일단을 상기 축체의 외측에 배치한 단자에, 또 타단을 상기 토오크 센서에 각각 접속한 리이드선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동력 조타 장치는 타륜에 연동 연결한 축체의 도중에 상기 축체를 둘러싸는 통형 하우징내에 위치시켜 장착하고 있으며, 상기 축체의 주위에 감긴 리이드선을 거쳐 그 출력을 상기 하우징 외부로 인출하게 한 토오크 센서의 검출 토오크를 기초로 하여 조타 보조용 모터를 구동하는 동력 조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축체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그 축심 주위의 회전이 양자의 어느것에 구속되는 동시에, 축길이 방향에의 이동이 가능하게 기워진 이동 부재와, 상기 이동 부재를 상기 축체의 회전에 따라 이동시키는 수단과, 상기 이동 부재의 이동 경로중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부재의 이동 영역을 규정하는 스톱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동력 조타 장치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축체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축길이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게 장착된 이동 부재와, 상기 이동부재의 일부에 결합하고 상기 이동 부재의 축심 주위의 이동을 구속하는 구속 부재와, 상기 구속 부재와 상기 이동 부재의 결합부에 있어서 양자 사이에 끼워진 탄성체와, 상기 이동 부재를 상기 축체의 회전에 따라 이동시키는 수단과, 상기 이동 부재의 이동 경로중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부재의 이동 영역을 규정하는 스톱퍼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타륜에 연결되는 축체에 장착되고 상기 축체와 함께 회전하는 토오크 센서의 외부로부터의 입력 및 상기 센서의 출력 신호의 외부로의 인출을 상기 축체 외측에 고정 설치된 단자와 토오크 센서를 직접적으로 접속하는 리이드선을 거쳐 행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서는 타륜이 회전 조작되고 이에 연결되는 축체가 회전되는 경우, 이 회전에 따라 상기 이동 부재가 상기 축체의 축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지만 이 이동 영역은 상기 스톱퍼부에 따라 규정되고 타륜의 회전수는 상기 스톱퍼부에 의해 규정되는 이동 영역의 길이에 상당하는 회전수로 제한된다.
본 발명에 있서는 타륜이 회전 조작되고 이에 이은 축체가 회전된 경우, 상기 축체 또는 하우징의 어느 한쪽의 구속되어 있는 이동 부재는 그 축심 주위의 회전을 상기 구속 부재에 의해 축체와 함께 회전하면서, 또는 하우징과 함께 정지된 상태에서 축체의 회전에 따라 이동하지만 이 이동 영역은 상기 스톱퍼부에 의해 규정된 이동 영역으로 제한되고, 타륜의 회전수는 이 이동영역의 길이에 상당하는 회전수로 제한된다. 또 상기 이동시에 구속 부재와 축체 또는 하우징과의 결합부분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를 거쳐 미끄럼 접촉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을 기초로 하여 상술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관한 동력 조타 장치에 있어서의 타륜에 연결되는 축체의 측단면도이다.
도시한 축계는 이에 축 길이 방향의 과대한 충격력이 작용된 경우에 이 힘을 흡수하고, 충돌 사고시에 운전자를 보호하는, 소위 안전 핸들 구조를 구비한 것이다. 도면에 있어서 1은 도시하지 않은 타륜을 그 상단부(제1도의 우측 단부)에 동축을 이루어 고정설치한 상부축(10)과, 상부에 제6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편평부를 형성하고 있으며 박육 원통형을 이루는 연결부재(11)를 거쳐 상기 상부축(10)의 하단부에 이와 동축을 이루어 연결된 하부축(12)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타륜의 회전에 수반하여 그 축심 주위로 회전하는 타륜축(스티어링 칼럼)이다. 상부축(10) 하부에는 상기 연결부재(11)의 상부와 마찬가지로 제6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편평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편평부 외주면에는 축 길이 방향으로 상호 적정거리 격리되어 2개의 환형홈(10a,10a)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연결 부재(11) 상부에는 상기 환형홈(10a,10a)사이의 격리 거리와 거의 같은 거리만큼 축 길이 방향으로 서로 격리시킨 위치에, 이를 관통하는 각 복수개의 소격 원형구멍(11a,11a…)이 각각 균등 분포를 이루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축(10)은 그 편평부를 연결부재(11)의 편평부에, 제6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양자간에 작은 간극을 두고 내부 끼움시키고, 상기 원형 구멍(11a,11a)에 각각을 환형홈(10a,10a)의 외측에 정돈 결합시킨 상태에서 각 원형 구멍(11a,11a…)으로부터 환형홈(10a,10a)내에 주입, 고화되는 수지를 거쳐 상부축(10)과 연결되어 있다. 이 나사부(14)는 서로 끼워맞추어진 상부축(10)및 연결 부재(11) 각각의 편평부의 작용에 의해 통상의 타륜 조작에 수반하여 이에 부하되는 주위 방향의 힘에 대해서는 충분한 강도를 갖고 상부축(10)과 연결 부재(11)를 견고하게 연결하지만 축 길이 방향으로 과대한 충격력이 작용한 경우, 상기 수지가 전단 파괴되어 이 충격력이 수반하는 상부축(1)의 축 길이 방향으로의 이동을 허용한다.
상부축(10)은 원통형을 이루는 상부축 하우징(20)의 내부에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20)의 하부는 연결 부재(11)를 둘러싸고 원통형을 이루는 연결 부재 하우징(21)의 상부에 축 길이 방향으로 적당한 거리로 격리된 2곳에 각 복수개의 작은 볼(22a,22a)을 유지하고 박육 원통형을 이루는 볼 유지 부재(22)를 거쳐 외부 끼움되어 있다. 또, 상부축 하우징(20)은 그 외측 하부에 배치한 브래킷(20a)을 거쳐 도시하지 않은 부착 볼트에 의해 차체의 일부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브래킷(20a)은 상부축(10)의 축 길이 방향 하향으로 이에 작용하는 과대한 힘에 의해 그 일부가 파단되는 일방 브래킷으로 되어 있다.
이리하여 상부축(10)에 축 길이 방향 하향의 과대한 충격력이 작용한 경우, 상부축(10)과 연결 부재(11)를 연결하는 상기 수지가 파단되는 동시에 상부축 하우징(20)을 차체에 지지하는 브래킷(20a)도 파단되고, 상부축(10)이 연결 부재(11)에 대해 상대 운동하는 동시에 상부축 하우징(20)도 연결 부재 하우징(21)에 대해 상대 이동하고, 그때 상부축 하우징(20)과 연결 부재 하우징(21) 사이에 끼워진 상기 작은 볼(22a,22a…)의 각각과 양 하우징 사이에 생기는 미끄럼 저항에 의해 상기 충격력이 흡수되는 종래부터 공지의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런데 하부축(12)은 상기 연결 부재 하우징(21) 하부에 연장 설치되고 통형을 이루는 하부축 하우징(23)에 수납되어 있으며 그 중앙 부분을 직경이라는 일정한 원형 단면으로 가공되어 이루어지는 토션 바아(3)에 의해 동축상에 연결된 상하 두개의 입력축(12a)과 출력축(12b)으로 이루어진다. 입력축(12a)은 연결 부재 하우징(21)에 볼 베어링(24)으로 지지되고, 그 축심 위치에 이를 축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을 갖는 중공 단축이며, 그 상부는 상기 연결 부재(11)의 하단부에 내부 끼움되고, 상기 구멍에 내부 끼움된 상기 토션 바아(3)의 상부와 함께 이를 반경 방향으로 관통하는 고정핀(3a)으로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입력축(12a)은 연결 부재(11)를 거쳐 상기 상부축(10)의 회전, 환언하면 타륜의 회전에 수반하여 회전한다.
한편, 출력축(12b)은 하부축 하우징(23)의 대략 중앙부와 하부에 있어서 볼 베어링(25)과 볼 베어링(26)에 의해 각각 지지되어 있으며, 또 그 축심 위치에 형성한 구멍중에 내부 삽입된 상기 토션 바아(3)를 이 하단부 근방 위치에 있어서 이들을 반경 방향으로 관통하는 고정핀(3b)으로 지지하고 있다. 또, 출력축(12b)의 상단부(12c)는 상기 입력축(12a) 중공부내에 작은 간극을 갖고 끼워맞춰지고, 베어링 기능을 하게 되어 있다.
또, 입력축(12a) 및 출력축(12b)은 제7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각각의 맞닿음부에 스톱퍼부(12e 및 12f)를 형성하고 있으며, 토션 바아(3)의 과대한 비틀림에 기인하여 입력축(12a)과 출력축(12b) 사이에 생기는 주위 방향의 과대한 상대 변위를 제어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출력축(12b)의 하단부는 유니버셜 조인트(13)를 거쳐 타륜의 회전을 조타하기 위한 차체 좌우 방향 운동으로 변환하는 도시하지 않은 스티어링 기어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출력축(12b)의 회전 방향 및 회전량에 따라서 조타가 이루어지게 되어있다.
그런데 타륜 조작이 이루어진 경우, 이에 따라 입력축(12a)이 회전하려는 한편, 타륜에 작용하는 노면으로부터의 저항에 의해 상기 스티어링 기어의 작동은 억제되고, 이에 연결된 출력축(12b)의 회전도 억제된다. 따라서 양축간에 걸쳐 설치된 상기 토션 바아(3)에는 상기 조타 토오크의 방향 및 크기에 대응하는 비틀림이 발생하고, 그 결과 입력축(12a)과 출력축(12b)과의 사이에는 이 비틀림에 대응한 주위 방향으로의 상대 변위가 발생한다. 상기 조타 토오크를 검출하는 토오크 센서(4)는 그 양단면을 입력축(12a)의 하단과 출력축(12b)의 상기 볼 베어링(25)의 장착 위치의 중간부에 형성된 대경부 상측 견부에 각각 맞닿게하고, 축 길이 방향 이동을 이들에 구속된 상태로 상기 출력축(12b)의 외주면에 헐겁게 끼워진 슬라이브(40)상에서 상대 변위에 따라 그 출력 전위가 변화하는 전위차계를 구성한 것이다. 출력축(12b)의 상기 볼 베어링(25)의 장착 위치에 형성된 대경부의 상측 견부에 각각 맞닿게하고, 폭 방향 이동을 이들에 구속된 상태에서 슬리이브(40)가 헐겁게 끼워져 있으며, 상기 조타 토오크를 검출하는 토오크 센서(4)는 이 슬리이브(40)상에 상기 상대 변위에 대응하는 출력 신호를 발하는 전위차계를 구성한 것이다.
제2도는 토오크 센서(4)의 장착 위치 근방의 확대도이며, 토오크 센서(4)는 상기 슬리이브(40)의 외측으로 압입되고, 출력축(12b)의 외주면에 때려 박은 정지핀(41a)과의 결합에 의해 슬리이브(40)와 함게 그 회전을 출력축(12b)에 구속된 저항체 유지 부재(41)와, 그 하반부를 상기 슬리이브(40)에 회전 가능하게 외부끼움되고 그 상반부를 입력축(12b)하부의 외주면에 헐겁게 끼워 입력축(12a) 외주면에 때려 박은 정지핀(42a)과의 결합에 의해 그 회전을 입력축(12a)에 구속된 검출자 유지 부재(42)로 이루어진다. 검출자 유지부재(42)와 입력축(12a)을 지지하는 상기 볼 베어링(24) 사이에는 상기 유지 부재(42)를 하방으로 향하게 하여, 즉 저항체 유지 부재(41)를 향해 가하는 압축 스프링(42b)이 끼워지고, 상기 압축 스프링(42b)의 가압력에 의해 저항체 유지 부재(41)의 상측 단면과 검출자 유지 부재(42)의 하측 단면과는 도시한 바와같이 각각의 하부축(12)의 축심에 대략 직교하고, 축 길이 방향으로 소정 간극을 거쳐 서로 대향된 상태로 유지되어 있으며 전자에는 그 축심을 중심으로 하고 적절한 반경 방향 폭의 원환형을 이루어 저항체(43)가 형성되고, 후자에는 상기 저항체(43)에 주위 방향의 적절한 위치에서 미끄럼 접촉하는 검출자(44)가 장착되어 있다. 제2도중에는 두개의 검출자(44)가 도시되어 있으나, 한쪽 검출자(44)는 다른쪽이 고장난 경우의 대체용이다.
저항체 유지 부재(41)의 하부는 도시한 바와같은 원통형을 이루고 있으며, 그 외주면에는 복수개의 입출력 단자(45,45,…)가 축 길이 방향으로 적당한 간극을 떼어 병설되어 있다. 이들 입출력 단자(45,45,…)는 저항체 유지 부재(41)의 내부를 거쳐 저항체(43)의 양단부에 접속된 각 두개의 입력 단자와, 저항체 유지 부재(41)에 내장항 도시하지 않은 프리앰프를 거쳐 상기 두 검출자(44,44)에 각별히 접속된 두개의 출력 단자로 이루어지며, 각 입출력 단자(45,45,…)는 이들에 각별히 고착된 6개의 도선을 일방향으로 정렬시킨 상태에서 일괄하여 피복한 편평 케이블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리이드선(46)에 의해 하부축 하우징(23)에 고착된 단자 상자(47)에 접속되어 있다. 이리하여 상기 저항체(43)는 리이드선(46) 및 단자 상자(47)를 거쳐서 도시하지 않은 외부 전원과 접지 사이에 접속되고, 그 양단부간에 입력 전위를 가하게 되어 있으며, 또 검출자(44)의 미끄럼 접촉 위치에 대응한 전위로서 얻어지는 토오크 센서(4)의 출력 전위는 검출자(44)에 접속된 입출력 단자(45), 리이드선(46) 및 단자 상자(57)를 거쳐 외부로 인출하고 제어부(7)의 입력축에 가해지고 있다.
제어부(7)는 이 신호에 의해 타륜에 가해진 조타 토오크의 크기 및 방향을 인식하고 그 출력축에 도시하지 않는 구동회로를 거쳐 접속된 조타 보조용 모터(5)(제3도 참조)에 구동 신호를 발하고, 사익 모터(5)를 타륜 조작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제3도 및 제4도는 모두 제1도의 Ⅲ-Ⅲ선에 따른 확대 단면도이며, 상기 리이드선(46)은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같이, 저항체 유지 부재(41)의 주위에 한쪽 방향으로 복수회 감긴 상태에서 상기 하부축 하우징(23)내에 수납되어 있다. 그런데, 리이드선(6)의 입출력 단자(45,45…)측의 고착 위치는 타륜의 회전 조직에 따른 출력축(12b)의 회전에 수반하여 회전하는 한편, 단자 상자(47)의 고정 위치는 부동이며 하부축 하우징(23)내에 있어서의 리이드선(46)의 감김 상태는 타륜의 회전 위치에 따라 변화한다. 즉, 제3도,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이드선(46)이 타륜측으로부터 보아 시계방향으로 감겨 있는 경우에는 타륜이 우측(시계 방향)으로 그 한계 위치까지 회전될 때(제3도의 상태)의 감김수(n)와 역 방향으로 한계 위치까지 회전될 때(제4도의 상태)의 감김수(N) 사이에는 리이드선(46)의 두께를 무시하면 상기 양 한계 위치 사이의 타륜 회전수에 균등한 차가 생기고, 제3도에 있어서의 리이드선(46)의 감김 직경(d) 및 제4도에 있어서의 감김 직경(D)는 상기 리이드선(46)의 길이와 상기 감김수(n,N) 사이의 차에 의해 정해진다.
리이드선(46)의 길이가 과소한 경우, 타륜이 우측으로 회전 조작될 때 리이드선(46)이 저항체 유지 부재(41)의 원통형 부분의 외주면에 감고, 더욱 더 회전시킴으로써 이에 인장력이 작용하는 일이 없으며, 반대로 길이가 과대한 경우, 타륜이 좌로 회전 조작된 때에 하부축 하우징(23)내에 수납할 수 없고, 상기 리이드선이 굴곡되는 일이 있으며 어떤 경우라도 리이드선(46)의 단선 또는 입출력 단자(45,45)와의 고착부의 파단을 발생될 우려가 있다. 통상의 자동차에 있어서 타륜의 회전 가능 범위는 직진 상태를 중앙으로 하여 좌우로 각각 2.5회전 정도이므로 상기 감김수(n,N)사이의 차가 5보다 커지며, 게다가 감김 직경 d가 저항체 유지 부재(41)의 원통부 직경보다 약간 커지는 동시에 감김 직경 D가 토오크 센서(4)의 장착 위치에 있어서의 하부축 하우징(23)의 내경보다 약간 작아지도록 리이드선(46)의 길이 및 감김수를 설정함으로써 전술한 단선 및 파단의 발생은 미연에 회피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토오크 센서(4)는 이하와 같은 순서로 조립된다. 우선 입력축(12a)의 축심 위치에 토션 바아(3)를 고정한 상태에서 하부축 하우징(23)내에 피봇시켜 두고, 출력축(12b)에 슬리이브(40)를 외부 끼움시키는 동시에 그 외측에 저항체 유지 부재(41)와 검출자 유지 부재(42)를 전술한 바와 같은 형태로 조합하고, 또 저항체 유지 부재(41)의 외주에 배치한 상기 입출력 단자(45,45…)에 리이드선(46)의 각별한 도선을 접속해 둔다. 이어서 저항체 유지 부재(41)의 외주면에 리이드선(46)을 감은 상태에서 출력축(12b)을 하부축 하우징(23)내에 소정 위치까지 삽입시키고, 단자 상자(47)를 고착시키기 위해 하부축 하우징(23)에 형성한 구멍으로부터 상기 리이드선(46)을 인출하고, 이를 하부축 하우징(23) 외부에 있어서 단자 상자(47)의 대응하는 단자에 접속한다. 그리고 출력축(12b)을 회전시키면서 리이드선(46)을 감고, 상기 리이드선(46)을 하부축 하우징(23)내에 복수회 감은 상태에서 수납시키고, 단자 상자(47)를 하부축 하우징(23)의 외측에 고착한다. 이 경우 감은 수는 상술한 감은 수 n, N의 중간치로 해두고, 이 상태에서 출력축(12b)을 회전시키고, 저항체(43)에 대한 검출자(44)의 미끄럼 접촉 위치로 변경하고, 토오크 센서(4)가 소정 전위를 출력하도록 상기 센서(4)의 0점 조절을 행한 후, 고정핀(3b)을 때려 설치하여 출력축(12b)과 토션 바아(3)를 연결한다.
상기 모터(5)의 회전력은 워엄축(51) 및 워엄 휘일(50)을 거쳐 출력축(12b)에 전달된다. 위엄 휘일(50)은 출력축(12b)에 이와 동축을 이루어 외부 끼움되어 있으며, 볼 베어링(25)의 끼움 위치에 형성된 상기 대경부의 하측 견부와, 상기 볼 베어링(26)을 외부 끼움시켜 이루어지며 출력축(12b)에 압입 고정된 원통형을 이루는 베어링 유지 부재(26a) 상단면에 의해 그 양측면을 끼워서 축 길이 방향으로 위치 결정되어 있다. 베어링 유지 부재(26a)는 그 하부를 상기 고정핀(3b)으로 상기 토션 바아(3)와 함께 출력축(12b)에 고정하여 축 방향 및 반경 방향으로 출력축(12b)에 구속되어 있으며, 상기 유지 부재(26a)에 축 길이 방향으로 위치 결정된 상태에서 외부 끼움된 볼 베어링(26)은 출력축(12b)을 레이디얼 방향으로 지지할 뿐 아니라, 워엄 휘일(50) 및 상기 변환 기구에 작용하는 드러스트 하중도 부하될 수 있도록, 그 외륜 양측을 하부축 하우징(23)의 내주면에 형성한 견부와, 상기 하우징(23)의 하측에 고착되는 후술하는 회전 제한 기구(8)의 하우징(80)의 상단면에 끼워져 있다. 상기 워엄 휘일(50)은 그 축 삽입 구멍의 내주면에 축 길이 방향 전장에 걸쳐 형성된 직사각형 홈에 출력축(12b)의 외주면에 때려 박은 멈춤핀(50a)의 두부를 결합시킴으로써 주위 방향으로 위치 결정되어 있으며, 워엄 휘일(50)의 회전은 상기 멈춤핀(50a)을 거쳐 출력축(12b)에 전달된다.
제5도는 조타 보조용 모터(5)의 전동 기구의 구성을 도시하는 제1도의 Ⅴ-Ⅴ선에 따른 확대 단면도이다. 본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축 하우징(23)의 외측에는 한쪽에 대경 개구부를 구비하여 내부를 직경 축소하여 이루어지는 유저 통형을 이루는 워엄축 하우징(54)이 이에 대략 직교하여 연장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워엄축(51)은 워엄축 하우징(54)내에서 출력축(12b)과 축심을 거의 직교시킨 상태에서 피봇되고, 그 길이 방향 주간부에 형성된 워엄치를 상기 워엄 휘일(50) 외주에 맞물려 있다. 워엄축(51)은 그 길이 방향 중간부에 형성된 상기 워엄 휘일(50) 외주에 맞물려진 상태로 이 맞물림 위치 양측을 볼 베어링(52,53)에 의해 각각 지지시키고, 사익 워엄축 하우징(54)내부에 각각 지지시키고 상기 워엄축 하우징(54)내부에 피봇되어 있다.
조타 보조용 모터(5)는 그 회전축과 동축상에 장착된 전자 클러치(6)를 내측으로 하여 워엄축 하우징(54)의 상기 개구부에 그 일부를 내부 끼움한 상태에서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54) 내부에서 워엄축(51)은 그 기단부의 외주면에 형성한 스플라인(51a)을 전자 클러치(6)의 출력축에 결합시켜 상기 모터(5)에 연동 연결되어 있다.
모터(5)에의 구동 전류의 공급, 차단은 토오크 센서(4)의 검출 토오크에 따라 상기 제어부(7)로부터 발생되는 구동 신호에 따라 행해진다. 그리고 모터(5)의 회전력은 전자 클러치(6)를 거쳐 워엄축(51)에 전달되고 또 상기 워엄축에 맞물리는 워엄 휘일(50)을 거쳐 출력축(12b)에 전달된다. 상기 출력축(12b)의 회전은 그 하단부에 연동 연결한 도시않은 상기 운동 변환 기구에 전달되고, 상기 기구의 동작에 따라 좌 또는 우측으로의 조타가 이루어진다.
상기 베어링 유지 부재(26a)의 장착 위치로부터 더욱 하방으로 연장된 출력축(12b)의 하부에는 출력축(12b)의 소정 회수 이상의 회전을 제한하는 회전 기구(8)가 구성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토오크 센서(4)의 리이드선(46)은 직진 형태를 중앙으로 하는 좌우로 각 2.5 회전 정도의 출력축(12b)의 회전에 대해서는 중도부의 절단 또는 단자와의 고착부의 파단이 생기지 않는 길이로 하고 있으나 출력축(12b)이 회전한 경우 상기 절단 또는 파단의 우려가 있다. 회전 제한 기구(8)는 출력축(12b)의 과대한 회전을 기계적으로 억제하고 리이드선(46)의 절단 또는 파단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설치한 것이며, 하부축 하우징(23)의 하측에 이와 동축을 이루어 연장 설치된 원통형 하우징(80)과, 출력축(12b)의 하부 외주면에 형성한 나사부(14)에 나사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80) 내부에 헐겁게 끼워지고 원기둥형을 이루는 스톱퍼 너트(81)로 이루어진다. 제9도는 제1도의 Ⅳ-Ⅳ선에 따른 회전 제한 기구(8)의 확대 횡단면도이다.
하우징(80)의 길이 방향 대략 중앙부에 이를 반경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나사구멍에 외측으로부터 나사 끼움되고 원기둥형을 이루는 선단부(82a)를 하우징(80)의 내부에 적당 길이 돌출시켜 구속 부재(82)가 때려 박혀 있으며, 상기 구속 부재(82)의 선단부는 상기 이동 너트(81)의 외면에 그 축 길이 방향 전장에 걸쳐서 형성된 긴 홈(81a)에 결합되고, 이동 너트(81)의 축심 주위의 회전을 하우징(80)에 구속하고 있다.
또 하우징(80)의 하단부에는 원통형을 이루는 베어링 하우징(85)이 그 내부에 볼 베어링(84)을 압입 고정시킨 상태에서 나사 부착되어 있으며, 출력축(12b)의 하부를 상기 볼 베어링(84)으로 하우징(80)에 지지시키는 동시에 그 상단면(85a)을 하우징(80)의 상부 내면에 형성된 하향 견부(80a)에 축 길이 방향으로 적당한 길이 격리시킨 상태에서 대향되어 있다. 이리하여 구속 부재(82)에 의해 그 회전이 억제된 상기 이동 너트 (81)는 출력축(12b)의 회전에 따라 상기 나사부(1)의 나사 진행에 따라 출력축(12b)의 축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지만, 이 이동은 이동 너트(81)의 상단면과 상기 견부(80a)와의 맞닿음 위치 및 이동 너트(81)의 하단면과 상기 상단면(85a)의 맞닿음 위치에 있어서 각각 억제되고, 그 결과 양 맞닿음 위치 이후의 출력축(12b)의 회전이 억제된다. 따라서 예를들면 상기 견부(80a)와 상기 상단면(85a) 사이의 격리 거리가 나사부(14)의 리이드의 5배에 이동 너트(81)의 축 길이 방향 길이를 가산한 값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이동 너트(81)의 축 길이 방향의 나사 결합 위치가 견부(801)와 상단면(85a)의 중앙에 초기 설정되어 있는 경우, 출력축(12b)의 회전은 이것이 직진 상태로부터 좌우로 각2.5 회전한 위치로 억제되고, 토오크 센서(4)에 있어서의 리이드선(46)의 절단이 회피된다.
즉, 타륜의 회전 조작에 따라서 출력축(12b)이 우 또는 좌로 회전한 경우, 이 회전에 따른 이송 나사부(1)의 나사 전진에 따라 구속 부재(82)에 의해 그 회전을 구속 받는 이동 너트(81)는 출력축(12b)의 회전의 축 길이 방향으로 상향 또는 하향 이동하지만, 이 이동은 전술한 바와 같이 배치된 이동부인 상기 견부(80a) 또는 상기 상단면(85a)과의 맞닿음에 의해 각각 억지되고, 그 결과, 맞닿음 위치 이후의 출력축(12b)의 회전이 제한된다. 예를들면 견부(80a)와 베어링 하우징(85)의 상단면(85a) 사이의 축 방향 격리 거리를 이동 너트(81)의 축 길이 방향 치수에 상기 이송 나사부(14)의 리이드의 N배를 가한 길이로 설정해두고 출력축(12b)이 직진 상태에 대응하는 회전 위치에 있을 때 이동 너트(81)가 상기 견부(80a)와 상단면(85a)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초기 조립을 행함으로써 출력축(12b)의 회전 가능 범위를 직진 상태를 중앙으로 하여 좌우로 각 N/2회전 범위로 제한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리이드선(46)으로서 편평 케이블을 이용하고 있으나, 단자 상자(47)의 각 단자와 각각에 대응하는 입출력 단자(45,45…)를 각별히 접속하는 복수개의 리이드선(46,46…)을 이용하여도 좋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토오크 센서(4)로서 전위차계를 이용한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예를들면 타륜측(1)의 일부에 접착한 왜곡 게이지에 의해 타륜측(1)에 생기는 왜곡으로서 조타 토오크를 검출하는 것등, 그밖의 토오크 센서를 이용한 경우에 있어서도 본 발명은 적용할 수 있다.
또, 토오크 센서(4)의 장착 위치도 본 실시예중에 도시하는 타륜축(스티어링 칼럼)(1)의 중도부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유니버셜 조인트(13)의 하단에 연결된 예를들면 래크 피니온식 운동 변환 기구중의 피니온축 등 타륜의 회전에 연동하는 축제의 도중이면 어떤 위치에 장착되어 있어도 좋음, 또 조타 보조용 모터(5)의 배치 위치도 본 실시예중에 도시하는 위치에 한하는 것이 아니라 토오크 센서(4)의 장착 위치보다도 차륜 근처의 위치이면 어떤 위치라도 좋음은 물론이다.
그런데 제3도 및 제4도는 모두 제1도의 Ⅲ-Ⅲ선에 따른 확대 단면도이며, 본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리이드선(46)은 저항체 유지 부재(41)의 주위에 복수회 감긴 상태에서 상기 하부축 하우징(23)내에 수납되어 있다. 타륜의 회전 조작에 수반하여 상기 모터(5)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출력축(12B)이 회전되는 경우, 리이드선(46)의 입력단자(45,45…)에의 접속부는 출력축(12B)과 동시에 회전하는 한편, 리이드선(46)의 단자 상자(47)축 접속부는 부동이므로 리이드선(46)의 감김 상태는 제3,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축 하우징(23)에 대한 출력축(12B)의 상대적 회전 위치에 수반하여 변화한다. 즉, 리이드선(46)이 타륜측으로부터 보아 시계 방향으로 감겨 있는 경우, 출력축(12B)이 직진 상태로부터 우측(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는 리이드선(46)은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른 출력축(12b)의 회전에 의해 리이드선(46)이 저항체 유지 부재(41) 외주에 강하게 감겨지고, 이에 인장력이 작용하는 결과, 중도부가 단선되거나 또는 입출력 단자(45,45…) 또는 단자 상자(47)와의 접속부가 파단될 우려가 있다. 반대로 출력축(12b)이 좌측으로 회전될 때는 리이드선(46)은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축 하우징(23)의 내주면에 가까운 위치에서 감긴 상태로 되며, 다른 출력축(12b)의 회전에 의해 리이드선(46) 감김 직경 D가 하부축 하우징(23)의 내경보다 커지는 결과, 상기 하우징(23)내에 있어서 리이드선(46)의 일부가 굴곡되고 상기 단선 및 접속부의 파단이 생길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동력 조타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회전 제한 기구(8)의 동작에 의해, 출력축(12b)의 회전 가능 범위를 직진 상태시의 츨력축(12b)의 회전 위치를 중앙으로 하여 좌우로 N/2회전 정도로 기계적으로 제한하고 있으므로 출력축(12b)이 직진 상태로부터 우측으로 N/2회전한 경우의 리이드선(46)의 최소 감김 직경 d가 저항체 유지 부재(41)의 외경 이상이 되며, 반대로 좌측으로 N/2회전한 경우의 리이드선(46)의 최대 감김 직경 D가 토오크 센서(4) 장착 부분에 있어서의 하부축 하우징(23)의 내경 이하로 되게 하여 상기 리이드선(46)의 초기 조립시의 감은 수 및 길이를 결장함으로써 전술한 단선 및 접속부에 있어서의 파단의 우려가 완전히 해소되고, 게다가 필요한 최소 길이를 갖는 리이드선(4)을 이용할 수 있고, 하부축 하우징(2)에 과대한 크기의 것을 이용할 필요도 없다.
또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이동 부재로서 이동 너트(81)를 이용하고 이 회전을 구속 부재(82)에 의해 하우징(80)에 구속시키는 동시에 출력축(12b)의 외주면에 형성된 이송 나사부(1)에 나사 결합시키고 이송 나사부(14)의 나사 전진에 따라 이동 너트(81)를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하고 있으나,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출력축(12b)의 외측에 헐겁게 끼워지는 동시에 그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를 하우징(80)의 내주면에 축 길이 방향으로 적당 길이에 걸쳐 형성된 암나사(80b)에 나사 결합시켜 이루어지는 원통형의 이동 부재(91)를 갖고, 이 내주면에 축 길이 방향의 전장에 걸쳐 형성된 긴 홈(91a)에, 출력축(12b)에 꼭 끼워맞춘 키이(92)를 헐겁게 결합시키고, 상기 키이(92)에 의해 이동 부재(91)의 회전을 출력축(12b)에 구속시키는 동시에 그 외주면에 형성한 수나사와 암나사(80b)와의 나사 결합에 의해 출력축(12b)과 함께 회전하는 이동 부재(91)가 축 길이 방향으로 나사 전진 이동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이동부를 하우징(80)측에 설치하였으나, 예를들면 이송 나사부(14)의 축 길이 방향으로 적정 길이 이격한 2개소에 너트를 나사 결합시키고 적절한 수단으로 이에 회전 멈춤을 실시함으로써 출력축(12b)측에 이동부를 배치할 수 있다.
또, 이동 부재인 이동 너트(81)를 하우징(80)에 구속시키기 위한 수단도 본 실시예중의 구속 부재(82)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들면 하우징(80)에 때려 박은 핀에 다른 구속 부재를 이용해도 좋고, 또는 하우징(80)의 내면 형상을 다각형으로 하는 동시에 이동 너트(81)의 외형을 상기 하우징(80)형상으로 합치하는 다각형으로 하고, 양자를 상호 헐겁게 끼움으로써 구속 부재(82)를 이용하지 않고 이동 너트(81)의 회전을 하우징(80)에 구속시킬 수도 있다.
제8도는 제1도의 Ⅳ-Ⅳ선에 따른 회전 제항 기구(8)의 다른 실시예의 확대 횡단면도이다. 하우징(80)의 길이 방향 대략 중앙부에는 이를 반경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나사구멍에 나사 결합시켜 구속 부재(82)가 부착되어 있다. 하우징(80)내부에 돌출된 구속 부재(82)의 선단부(82a)는 원기둥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중도부에는 탄성체인 ○링(82b)이 감겨 있다.
구속 부재(82)의 선단부(82a)는 하우징(80) 내부에 있어서 상기 이동 너트(81) 외면에 그 축길이 방향에 걸쳐 형성된 긴홈(81a)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 너트(81)의 축심 주위의 회전을 하우징(80)에 구속하고 있다. 선단부(82a)는 상기 긴홈(81a)의 풀보다도 충분히 작은 직경을 갖고 있으며, 긴홈(81a)의 양측벽에 직접적으로 맞닿는 일이 없고,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 ○링(82b)을 거쳐 맞닿고 있다.
제9도는 제1도의 Ⅳ-Ⅳ선에 따른 회전 제한 기구(8)의 다른 실시예의 확대 횡단면도이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이동 부재로서 이동 너트(81)를 이용하고 이를 구속 부재(82)에 의해 하우징(80)에 구속시키는 동시에 출력축(12b)의 외주면에 형성된 이송 나사부(14)에 나사 결합시키고 상기 이송 나사부(14)의 나사 전진에 따라 이동 너트(81)를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하고 있으나, 하우징(80), 내주면에 축 길이 방향으로 적당 길이에 걸쳐 형성된 암나사(80b)에 나사 결합되고 출력축(12b)에 헐겁게 결합시키는 동시에 출력축(12b)과의 사이에 끼워진 키이(92)에 의해 출력축(12b)에 대해 그 회전이 구속된 이동 부재를 구성할 수도 있다.
또 구속 부재(82)도 이 실시예에 도시한 것에 한하지 않고, 예를들면 하우징(80)에 핀을 때려 박음으로써도 구성할 수 있으나, 구속 부재(82)는 출력축(12b)의 회전마다 이동 부재인 이동 너트(81)와의 결합부에 미끄럼 접촉하여 마모되기 때문에 소모품의 교체가 용이하게 행해지도록 본 실시예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80)의 외측으로부터 나사 결합시키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구속 부재(82)와 이동 부재인 이동 너트(81) 사이에 끼워진 탄성체로서, 구속 부재(82)의 선단부(82a)에 감은 ○링(82b)을 이용하고 있으나, 구속 부재(82)의 선단부(82a)에 고무 혹은 수지를 적절한 두께로 라이닝하거나 또는 적절한 두꼐를 갖는 판형 고무 혹은 수지를 점착하는 등으로 상기 탄성체를 구성해도 좋고, 또는 구속 부재(82)와의 결합부가 되는 이동 너트(81)의 긴홈(81a)의 측벽면에 고무 혹은 수지를 라이닝 또는 점착시킴으로써 탄성체를 구성해도 좋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동력 조타 장치에 있어서는 타륜에 연동 연결된 축체의 도중에 장착한 토오크 센서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인출하고, 또 상기 토오크 센서에의 입력이 축체 주위에 감긴 라이드선을 거쳐 행해지므로 종래 슬립링과 리이드선을 토오크 센서측 단자와 축체 외측에 고정적으로 설치한 단자에 각각 접속하는 용이한 작업에 의해 토오크 센서 장착 부분의 조립이 가능하며, 이 조립에 요하는 시간의 단축 및 수고의 경감이 가능하고, 또 종래 브러시의 마모에 기인하여 발생되고 있던 검출 정밀도의 시간 경과에 따른 저하 우려가 없고 또 차체의 진동에 수반하는 브러시의 진동에 의해 슬립링 사이에 발생하는 접촉 불량에 기인하여 발생되고 있던 불연속적 토오크 검출 우려가 없으므로 타륜에 가해진 조타 토오크가 정확하게 그리고 연속적으로 검출되고, 타륜의 조작량과 확실히 대응하는 조타가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등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타륜에 연동 연결된 축체의 회전에 따라 축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 부재를 설치하고, 이 이동 부재의 이동 영역을 이동부에 의해 규정하여 상기 축체의 회전을 이동부재의 이동 영역의 길이에 상당하는 회전 범위에 있어서 제한하고 있으므로 상기 축체에 작용하는 조타 토오크를 검출하는 토오크 센서의 출력을 상기 축체 주위에 감긴 리이드선을 거쳐 인출하는 구성으로 한 경우에 상기 리이드선의 단선의 우려가 없고, 또 리이드선을 수납하기 위한 볼록한 하우징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검출 정밀도의 시간 경과에 따라 저하 및 검출 불능 상태의 발생 우려가 없는 토오크 센서를 그 배치 위치에 제약을 받지 않고 이용할 수 있으며, 신뢰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동력 조타 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등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또, 이동 부재와 상기 이동 부재의 회전을 구속하는 구속 부재 사이에 끼워진 탄성체의 작용에 의해 이동부재가 이동할 때 구속 부재와의 결합부에 있어서 양자의 미끄럼 이동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소음 및 진동이 대폭 감소되는 등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3)

  1. 타륜에 연동 연결한 축체의 중도에 장착한 토오크 센서(4)에 의해 타륜에 가해지는 조타 토오크를 검출하고, 이 검출 결과를 기초로 하여 조타 보조용 모터(5)를 구동하는 동력 조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축체의 주위에 복수회 감기고 그 일단이 상기 축체 외측에 배치한 단자에, 또 그 타탄이 상기 토오크 센서(4)에 각각 접속된 리이드선(46)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조타 장치.
  2. 타륜에 연동 연결한 축체 중도에 상기 축체를 둘러싸는 통형 하우징(80)내에 위치시켜 장착하고 있으며, 상기 축체의 주위에 감긴 리이드선(46)을 거쳐 그 출력을 상기 하우징(80) 외부로 인출하게 한 토오크 센서(4)의 검출 토오크를 기초로 하여 조타 보조용 모터(5)를 구동하는 동력 조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축체와 상기 하우징(80) 사이에 그 축심 주위의 회전을 양자의 어느쪽에 구속하는 동시에 축 길이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게 끼워진 이동 부재(81)와, 상기 이동 부재(81)를 상기 축체의 회전에 따라 이동시키는 수단과, 상기 이동 부재(81)의 이동 경로중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부재(81)의 이동 영역을 규정하는 스톱퍼(12e,12f,80a,85a)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조타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축체와 상기 하우징(80) 사이에 축 길이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게 장착된 이동 부재(81)와, 상기 이동 부재(81)의 일부에 결합하고 상기 이동 부재(81)의 축심 주위의 이동을 구속하는 구속 부재(82)와, 상기 구속 부재(82)와 상기 이동 부재(81)의 결합부에 있어서 양자 사이에 끼워진 탄성체와, 상기 이동 부재(81)를 상기 축체의 회전에 따라 이동시키는 수단과, 상기 이동 부재(81)의 이동 경로중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부재(81)의 이동 영역을 규정하는 스톱퍼(12e,12f,80a,85a)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조타 장치.
KR1019880011705A 1987-09-11 1988-09-10 동력 조타장치 KR9300058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2874287A JPS6470265A (en) 1987-09-11 1987-09-11 Power steering device
JP22874187A JPS6470264A (en) 1987-09-11 1987-09-11 Power steering device
JP62-228743 1987-09-11
JP22874387A JPS6470266A (en) 1987-09-11 1987-09-11 Power steering device
JP62-228742 1987-09-11
JP62-228741 1987-09-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4932A KR890004932A (ko) 1989-05-10
KR930005853B1 true KR930005853B1 (ko) 1993-06-25

Family

ID=27331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1705A KR930005853B1 (ko) 1987-09-11 1988-09-10 동력 조타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020616A (ko)
EP (1) EP0329795B1 (ko)
KR (1) KR930005853B1 (ko)
DE (1) DE3881197T2 (ko)
WO (1) WO19890023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2784A (ja) * 1989-09-27 1991-05-14 Mazda Motor Corp 車両の後輪操舵装置
DE4012480A1 (de) * 1990-04-19 1991-10-24 Teves Gmbh Alfred Messwertaufnehmer fuer eine elektromotorisch angetriebene servolenkung
JPH04133864A (ja) * 1990-09-25 1992-05-07 Honda Motor Co Ltd 車輌用操舵装置の制御方法
FR2736716B1 (fr) * 1995-07-11 1997-10-10 Rockwell Body & Chassis Syst Dispositif de mesure de couple, notamment pour un motoreducteur d'activation d'un organe fonctionnel d'un vehicule automobile
US5795997A (en) * 1996-08-01 1998-08-18 Gittins; Arthur J. Vehicle steering offset monitor
JP2942737B2 (ja) * 1996-09-17 1999-08-30 鋼板剪断機械株式会社 動力伝達装置
US5880381A (en) * 1996-12-12 1999-03-09 Trw Inc. Method of testing vehicle parts
US6446749B2 (en) * 1997-04-02 2002-09-10 Robert Bosch Gmbh Method and arrangement for operating a steering system for a motor vehicle
JP3678548B2 (ja) * 1997-07-29 2005-08-03 光洋精工株式会社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DE19834897C1 (de) * 1998-08-03 1999-10-21 Mannesmann Vdo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Drehmomentsensors mit Torsionswinkelbegrenzung und nach diesem Verfahren hergestellter Drehmomentsensor
DE60007190T2 (de) * 1999-02-04 2004-08-12 Ntn Corp. Elektrisch angetriebene Lenkeinrichtung
US6295879B1 (en) * 1999-03-08 2001-10-02 Trw Inc. Torque sensing apparatus for an electric assist steering system
EP1106475B1 (en) * 1999-11-30 2003-03-12 Koyo Seiko Co., Ltd. Power steering apparatus
WO2002062602A2 (en) * 2001-02-07 2002-08-15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Torque sensing for a steering system
US6799654B2 (en) * 2002-02-05 2004-10-05 Delphi Technologies, Inc. Hand wheel actuator
WO2006013976A1 (ja) * 2004-08-06 2006-02-09 Nsk Ltd. 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6062535A (ja) * 2004-08-27 2006-03-09 Showa Corp 電動舵取補助装置
US7412906B2 (en) * 2005-06-30 2008-08-19 Globe Motors, Inc. Steering system torque sensor
EP2374691B1 (en) 2007-11-06 2014-04-23 Honda Motor Co., Ltd.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US7950486B2 (en) 2008-06-06 2011-05-31 Polaris Industries Inc. Vehicle
US8079602B2 (en) 2008-06-06 2011-12-20 Polaris Industries Inc. Suspension systems for a vehicle
US8122993B2 (en) * 2008-06-11 2012-02-28 Polaris Industries Inc. Power steering for an all terrain vehicle
JP2012046170A (ja) * 2010-07-30 2012-03-08 Jtekt Corp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EP2695793B1 (en) * 2011-04-04 2016-03-30 NSK Ltd. Steering device
JP2012224298A (ja) * 2011-04-22 2012-11-15 Honda Motor Co Ltd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DE102013213216A1 (de) * 2013-07-05 2015-01-08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Unterstützen eines Fahrers eines Fahrzeugs in einer Engstelle
MX2017014403A (es) 2015-05-15 2018-04-11 Polaris Inc Vehiculo utilitario.
US9884647B2 (en) 2015-12-10 2018-02-06 Polaris Industries Inc. Utility vehicle
CA3088152A1 (en) 2018-01-10 2019-07-18 Polaris Industries Inc. Vehicle
US10793181B2 (en) 2018-02-13 2020-10-06 Polaris Industries Inc. All-terrain vehicle
US10946736B2 (en) 2018-06-05 2021-03-16 Polaris Industries Inc. All-terrain vehicle
FR3098483B1 (fr) * 2019-07-12 2021-06-18 Jtekt Europe Sas Système de direction assistée avec une colonne de direction rétractable selon une course de recul améliorée au moyen d’un capteur inductif traversant
MX2022000509A (es) * 2019-07-12 2022-02-10 R H Sheppard Co Inc Arbol de direccion acoplado.
KR20210012202A (ko) * 2019-07-24 2021-02-03 주식회사 만도 스티어 바이 와이어식 조향장치
US11260803B2 (en) 2019-07-26 2022-03-01 Polaris Industries Inc. Audio system for a utility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305016A (ko) * 1969-05-05 1973-01-31
DE2658697C3 (de) * 1976-12-23 1980-07-10 Still Gmbh, 2000 Hamburg Einrichtung zum Messen eines Drehmomentes in einer Welle
MX156827A (es) * 1983-05-05 1988-10-03 Allied Corp Mejoras a mecanismo de direccion asistido por energia electrica para un vehiculo automotriz
JPS6150238U (ko) * 1984-09-07 1986-04-04
JPS6158169U (ko) * 1984-09-21 1986-04-18
GB2181521B (en) * 1985-10-11 1988-12-14 Trw Cam Gears Ltd A power assisted steering system
US4828063A (en) * 1986-02-12 1989-05-09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Mount for steering gear box
US4838074A (en) * 1987-04-06 1989-06-13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Steering torque detecting device
JPS6470267A (en) * 1987-09-11 1989-03-15 Koyo Seiko Co Power steering device
DE3732124A1 (de) * 1987-09-24 1989-04-13 Kabelmetal Electro Gmbh Vorrichtung zur stromuebertragung zwischen zwei relativ zueinander bewegbaren kontaktstell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881197D1 (de) 1993-06-24
DE3881197T2 (de) 1994-01-27
EP0329795B1 (en) 1993-05-19
KR890004932A (ko) 1989-05-10
EP0329795A1 (en) 1989-08-30
US5020616A (en) 1991-06-04
WO1989002387A1 (en) 1989-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5853B1 (ko) 동력 조타장치
KR930005852B1 (ko) 동력 조타장치
US8636099B2 (en) Rack-driven steering apparatus and rack-driven auxiliary power steer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4890683A (en) Power steering apparatus
JP2002029434A (ja) 電動式舵取装置
JP2001322554A (ja) 電動式舵取装置
KR101085336B1 (ko) 세레이션이 형성된 댐핑 커플러를 구비한 자동차의 전기식동력 보조 조향장치
CN107406102B (zh) 转矩传感器和电动助力转向系统
KR101393166B1 (ko) 랙구동형 동력 보조 조향장치
JPH05262243A (ja) 電動式動力舵取装置
KR20120029152A (ko) 랙 타입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
US20180086364A1 (en) Steering column for vehicle
JP2001233224A (ja) 電動式舵取装置
US20230159084A1 (en) Steer by wire type steering apparatus
KR102660337B1 (ko) 스티어 바이 와이어 조향 장치
US20230159089A1 (en) Rack assist type power sterring apparatus
JP5012055B2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KR102582280B1 (ko) 랙구동형 동력 보조 조향장치
JP2603569B2 (ja) 動力舵取装置
KR20060035865A (ko) 칼럽타입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
JP2002340017A (ja) ジョイント機構及びそれを用いた操舵補助装置
JP2000280921A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1158367A (ja) 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H04331662A (ja) 動力舵取装置
JPH04331664A (ja) 動力舵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61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