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5255Y1 - 양변기 - Google Patents

양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5255Y1
KR930005255Y1 KR2019900008080U KR900008080U KR930005255Y1 KR 930005255 Y1 KR930005255 Y1 KR 930005255Y1 KR 2019900008080 U KR2019900008080 U KR 2019900008080U KR 900008080 U KR900008080 U KR 900008080U KR 930005255 Y1 KR930005255 Y1 KR 9300052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rim
hole
toilet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080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0810U (ko
Inventor
이태경
Original Assignee
대림요업 주식회사
이부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림요업 주식회사, 이부용 filed Critical 대림요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000080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5255Y1/ko
Publication of KR92000081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081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52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525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4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 E03D9/05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ventilating the bow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양변기
제1도는 본원 고안 양변기의 측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주요부의 확대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물탱크 2 : 핸들레버
3 : 배수콕 4 : 림
5 : 수봉수면 6 : 공기배출구
7 : 공기층 8 : 제트구멍
9 : 본체 10 : 배수구
11 : 작동시 물의 진행방향 12 : 수세공
13 : 공기배출방향 14 : 선단부
16 : 단턱
본원 고안은 양변기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배출구를 갖는 양변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양변기는, 수세작동시 물탱크에서 림으로 물이 나오면서 림에 있던 공기는 림의 저부에 형성된 수세공으로 배출되고, 역시 본체의 제트구멍 상부의 수봉수면에서 림상부까지의 공기층도 상기 림의 저부의 수세공을 통하여 배출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양변기는 공기가 배출되는 구멍의 위치가 림의 저부에 형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수세작동시는 특히 제트구멍의 상부공기층의 공기가 쉽게 배출되지 못하고 물의 압력에 밀려 물과 공기가 혼합되어 제트구멍으로 배출되면서 공기트랩현상이 발생하였다. 이 때문에 분사효과가 저하되게 되고, 수봉수면으로 기포가 떠오르면서 뽕뽕하고 터지는 현상이 수세작동시 소음이 크고 수세작동시간이 길어져 물이 낭비되는 등의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본원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양변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이다.
본원 고안의 목적은 수세작동시 공기트랩현상이 발생하지 않음으로써 분사효과가 뛰어나며, 소음을 보다 작게 할 수 있으며, 물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양변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원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본원 고안의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양변기 본체의 림의 선단부 내측에, 림의 저부에 형성된 수세공의 수평위치보다 높은 위치에 단턱을 설치하고, 이 단턱에 공기배출구를 형성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원 고안의 구성을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핸들레버(2), 배수콕(3)등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물탱크(1)와, 다수의 수세공(12)이 저부에 형성된 림(4), 제트구멍(8), 배수구(10)등으로 이루어지는 본체(9)로 구성되는 양변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9)의 림(4)의 선단부(14) 내측에 림(4)의 저부에 형성된 수세공(12)의 수평위치보다 높은 위치에 단턱(16)을 설치하고, 이 단턱(16)에는 수세작동시 제트구멍(8)의 상부공기층(7)이 배출될 수 있는 공기배출구(6)를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공기배출구(6)는 최소한 1개 이상의 원형공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또는 최소한 1개 이상의 타원공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미설명부호(5)는 수봉수면, (11)은 작동시 물의 진행방향, (13)은 공기배출방향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원 고안의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물탱크(1)의 핸들레버(2)를 작동하면 물탱크(1)내의 배수콕(3)이 열려 물의 일부는 림(4)을 통해 림(4)의 저부수세공(12)으로 유출되고 또 일부는 림(4)의 선단부(14)쪽의 제트구멍(8)으로 분사되어 제트작용을 하면서 오물과 함께 배수구(10)를 통해 배출되게 된다. 이때 상기한 바와 같이 본체(9)내에 채워져 있던 물도 오물과 함께 화살표(15)의 방향으로 배수된다. 그러나, 제트구멍(8)의 상부의 수봉수면(5)에서 림(4)상부까지의 공기층(7)은 종래와는 달리 제3도에서와 같이 림(4)의 선단부(14)내측에 설치된 단턱(16)의 공기배출구(6)를 통해서 즉 화살표(13)의 방향과 같이 위쪽으로 용이하게 배출되는 것이다.
따라서, 수세작동시 제트구멍(8)의 상기 공기층(7)이 종래와 같이 제트구멍(8)으로 배출되지 않고 단턱(16)에 형성된 공기배출구(6)를 통해 배출되므로 공기트랩현상이 방지되어 공기층(7)이 제트구멍(8)을 통해 수봉수면(6)으로 떠올라 터질 때 발생하는 소음이 없게 되며, 분사효과가 뛰어나며 또한 짧은 시간에 수세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물의 소비를 줄일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원 고안의 수세작동시 공기트랩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소음을 보다 작게할 수 있으며, 분사효과가 뛰어나고, 또한 물의 소비를 줄일 수 있는 것으로서 신규유용하며 실용적인 고안인 것이다.

Claims (3)

  1. 핸드레버(2), 배수콕(3)등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물탱크(1)와, 다수의 수세공(12)이 저부에 형성된 림(4), 제트구멍(8), 배수구(10)등으로 이루어지는 본체(9)로 구성되는 양변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9)의 림(4)의 선단부(14)의 내측에 림(4)의 저부에 형성된 수세공(12)의 수평위치보다 높은 위치에 단턱(16)을 설치하고, 이 단턱(16)에는 수세작동시 제트구멍(8)의 상부 공기층(7)이 배출될 수 있는 공기배출구(6)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2. 제1항에서 있어서, 상기 공기배출구(6)는 최소한 1개 이상의 원형공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배출구(6)는 최소한 1개 이상의 타원공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KR2019900008080U 1990-06-08 1990-06-08 양변기 KR9300052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8080U KR930005255Y1 (ko) 1990-06-08 1990-06-08 양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8080U KR930005255Y1 (ko) 1990-06-08 1990-06-08 양변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0810U KR920000810U (ko) 1992-01-27
KR930005255Y1 true KR930005255Y1 (ko) 1993-08-11

Family

ID=19299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08080U KR930005255Y1 (ko) 1990-06-08 1990-06-08 양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525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7055B1 (ko) * 2008-05-28 2011-01-12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양변기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7055B1 (ko) * 2008-05-28 2011-01-12 와토스코리아 주식회사 양변기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0810U (ko) 1992-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8951B1 (ko) 수세(水洗)식 변기
KR100814681B1 (ko) 넘침 방지 보조수조를 갖는 양변기
US5218726A (en) Water conserving toilet
KR930005255Y1 (ko) 양변기
JP2555806B2 (ja) サイホン式洋風便器
KR960701267A (ko) 수세변기(flush toilet bowl)
KR100439130B1 (ko) 분사 회전형 개폐식 변기
JP4161489B2 (ja) 大便器
JP2798193B2 (ja) 水洗便器
JPH06173322A (ja) 便 器
JP2007169935A (ja) 水洗便器
US237036A (en) meyer
JPH077425Y2 (ja) サイフォン便器
JP2742042B2 (ja) 水洗便器
CN208777397U (zh) 一种马桶水路的排气结构
KR200237120Y1 (ko) 분사 회전형 개폐식 변기
JP3084423B2 (ja) 便 器
JP2002088882A (ja) 大便器
JPH01163328A (ja) 水洗式便器
JP2001254420A (ja) ロータンク式サイフォンゼット便器
KR830000072B1 (ko) 서브탱크(sub tank)식의 변기
KR970005513Y1 (ko) 절수형 좌변기
JPH06173308A (ja) 便器の洗浄方法
KR200146968Y1 (ko) 변기의 세척수 절수장치
KR200163132Y1 (ko) 양변기의 림측 급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5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