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4789B1 - 급유장치 - Google Patents

급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4789B1
KR930004789B1 KR1019890003182A KR890003182A KR930004789B1 KR 930004789 B1 KR930004789 B1 KR 930004789B1 KR 1019890003182 A KR1019890003182 A KR 1019890003182A KR 890003182 A KR890003182 A KR 890003182A KR 930004789 B1 KR930004789 B1 KR 9300047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supply
nozzle
valve
tank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3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4377A (ko
Inventor
가쥬마사 아마노
Original Assignee
도끼꼬 주식회사
가와아이 다까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끼꼬 주식회사, 가와아이 다까시 filed Critical 도끼꼬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8900143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43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47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47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08Arrangements of devices for controlling, indicating, metering or registering quantity or price of liquid transferred
    • B67D7/28Arrangements of devices for controlling, indicating, metering or registering quantity or price of liquid transferred with automatic means for reducing or intermittently interrupting flow before completion of delivery, e.g. to produce dribble fe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oading And Unloading Of Fuel Tanks Or Ship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급유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의한 급유장치의 블럭도.
제2도는 본 발명의 급유장치의 1실시예의 정면도.
제3도는 제2도중 급유노즐의 평면도.
제4도는 제3도의 급유노즐의 종단면도.
제5도는 제3도의 급유노즐의 횡단면도.
제6도는 제4도의 급유노즐중 받음판, 봉형상로울러, 포터커롤러 및 슬리트의 일부를 절단한 사시도.
제7도는 만탱크 급유시에 있어서의 추가급유를 행하는 경우의 일반적인 타임챠트를 각 표시부의 표시상태를 곁들여서 표시하는 그림.
제8도는 밸브본체가 밸브 개방한 상태에 있는 급유노즐의 수평단면도.
제9도는 밸브본체가 밸브 폐쇄하고 소유로가 연통한 상태에 있는 급유노즐의 수평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급유장치에 관한 것이고, 특히 조작레버의 밸브폐쇄 망각에 의한 급유노즐로 부터의 유액의 유출을 방지하는 경우에는 사용하기 적합한 급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자동만탱크 급유 기능을 비치한 급유 장치의 일종을서 급유노즐의 토출파이프의 선단에 액면 센서를 배설하여 두고 급유에 임하여서는 이 토출파이프를 급유 차량의 급유구에 삽입한 후 급유노즐의 조작 레버를 밸브 개방 조작하여 개방상태로 유지하여 두면 이후는 전기한 액면 센서의 검출신호의 출력 유무에 따라 급유노즐 상류측의 펌프나 전자밸브를 구동 제어하는 것으로서 자동적으로 만탱크 급유를 행하고 급유를 완료정지하는 급유장치가 개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인은 상기한 바와같은 기능을 가지는 급유노즐로서 먼저, 한국특허출원 1988-1097호 발명의 명칭 “급유노즐”을 제한한바 있다. 이 급유노즐에 있어서는 급유 장치내부의 제어장치가 펌프모타를 구동 제어하여 만탱크 급유를 행하게 하고 있다.
즉 제7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차량으로의 급유 개시로 부터 ①의 시점에서 액면 센서로 부터 최초의 검출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장치는 차량 연료탱크가 거의 만탱크(급유량 Q0)로 된 것을 검출하고 펌프모타를 정지하여 급유를 정지한다.
그러나 ①의 시점까지의 급유 과정에 있어서 발생하는 거품이 있기 때문에 상기한 Q0로의 급유량은 실제 만탱크량 보다 발생한 거품의 분량만큼 적어지고 완전히 만탱크로 되지 않는 경우가 통상이다.
그래서 ③으로 표시하는 소정의 거품소실 대기 시간을 택하고 이 거품 소실 대기시간 경과후 예를 들어 액면 센서의 검출신호 소실을 조건으로 하여 추가 급유를 이행하고(⑤⑦⑨) 이 추가급유를 행한 후 급유를 완료하고 있다.(⑩)
이 경우 추가급유는 통상 이 추가급유시의 거품 발생을 억제하기 위하여 유량(유속)을 감소시켜 행하고 있다.
이 유량(유속)의 감속 방법으로서는 펌프의 회전수를 감소 변화시킨다. 또는 유로 도중에 전자밸브로 되는 유량 제한 밸브를 설치하는 등을 행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같은 펌프 회전수의 변화나 유량 제한 밸브의 밸브 개방도의 조정 변화를 행하는 것은 번거롭기 때문에 상기한 선출원의 급유노즐을 사용하는 것으로서 유량(유속) 감속을 행하고 있다.
그런데 전기한 제어장치에 의한 만탱크 급유 제어과정에 있어서의 추가급유에 대해서는 유량(유속) 감속을 행하여 급유를 행하는 것으로서 급유할 때에 거품이 되도록 발생하지 않게 하고 액면 센서보다 소정의 검출신호 출력 패턴에 맞는 신호출력이 이루어지기까지(예를 들어 액면 센서로 부터의 신호가 소정시간 이상 연속적으로 출력되기까지라든가 제6도 중 Q1-Qn에서 각각 표시하는 액면 센서로 부터의 신호 소멸로서 급유을 재개하고 액면 센서로 부터 신호 발생에 의하여 급유를 일단 정지할 때 까지의 개개의 추가급유에 있어서의 급유량이 소정량보다 적게 될 때까지 라든가)는 탱크 급유를 완료한 것으로 제어장치는 판단하지 않고 제어장치는 거품이 소실하여 버리면 정확한 만탱크 상태에 있지 않다고 판단하여 액면 센서로 부터의 신호소멸 즉 소실을 기다려 다시 급유(소위 추가급유)를 행하게 하고 있다.
그런데 상술한 종래의 급유장치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결점이 있다.
(1) 전기한 만탱크 급유시에 있어서는 거품 소실 대기시에는 급유를 일시적으로 정지하기 때문에 높은 급유소(현수식 급유장치인 경우) 또는 급유장치 본체(고정식 급유장치인 경우)에 배설된 급유량 표시기의 표시도 일시적으로 정지한다.
이때문에 급유자는 급유량 표시기의 정지에 의하여 해당 급유 차량에 대한 만탱크 급유가 완료한 것으로 잘못 판단하고 급유노즐을 급유 차량의 급유구로 부터 꺼내서 대기위치(현수식 급유장치인 경우) 또는 노즐걸이(고정식 급유장치인 경우)로 되돌려 놓을 수가 있다.
이 경우 밸브 개방 유지상태에 있는 조작레버를 밸브폐쇄하고 급유노즐을 급유 차량의 급유구에서 꺼내고 전기한 대기위치 또는 전기한 노즐걸이로 되돌려 놓으면 문제는 없다.
그러나 만탱크 급유는 상술한 바와같이 급유노즐의 밸브가 밸브 개방상태의 그대로 완료한다.
이때문에 급유자는 급유노즐을 급유구로 부터 꺼내서 대기위치 또는 노즐걸이로 되돌려 보내는 경우에는 조작레버를 밸브 폐쇄상태로 할 필요가 있으나 이것을 잊어버릴 경우가 있다.
(2) 상기한 (1)항과 같은 바람직하지 않는 경우가 생겼을 때 제어장치는 단순히 거품소실 대기 때문에 펌프 또는 전자밸브를 일시적으로 정지하고 있는 것에 지나지 않기 때문에 급유노즐을 대기위치 또는 노즐걸이로 되돌려 놓을 때 펌프 또는 전자밸브가 다시 구동되어 유액이 급유노즐로 부터 누출하게 되는 불합리점이 발생한다.
(3) 또 만탱크 급유를 완전히 종료한 후에는 액면 센서에 의하여 만탱크가 검출되어 펌프 또는 전자밸브는 정지상태를 계속 유지한다.
이 때문에 조작레버를 밸브 개방 상태로 유지한 상태로 대기위치 또는 노즐걸이로 되돌려 보내도 상기한 (1)항의 문제는 생기지 않는다. 그러나 다음에 급유할 때 조작레버가 밸브 개방 유지상태에 있는 급유노즐을 전기한 대기위치 또는 전기한 노즐걸이로 부터 벗기면 자동적으로 펌프 또는 전자밸브가 구동되기 때문에 급유노즐을 벗기는 순간 이 급유노즐로 부터 유액이 누출이 되는 불합리점이 발생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으로서 자동 만탱크 급유후 급유노즐이 그 조작레버가 밸브 개방 유지상태로 노즐 수납부에 걸려진 경우 이것을 통지하여 이 급유노즐의 밸브폐쇄를 촉구하는 것으로서 유액 누출을 방지하고 안전성을 도모한 급유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자동만탱크 급유시에는 차량의 연료탱크에 소정량의 유액의 급유후는 이 연료탱크내의 거품소실 대기시간을 두어 추가급유를 행하고 이 자동만탱크 급유를 완료하게 구성한 급유장치에 있어서 토출파이프와 이 토출파이프로 연통하는 급유로를 개폐하는 밸브와 이 밸브를 개방상태 또는 폐쇄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조작레버를 가지는 급유노즐과 이 급유노즐의 노즐 수납부에 대한 해제 또는 수납을 검출하는 노즐 검출수단과, 급유노즐 본체에 설치된 배브 개폐 상태를 검출함과 동시에 만탱크 급유후 조작레버가 밸브 폐쇄 위치로 되돌아온 것을 검출하는 밸브 변위 검출수단과, 급유노즐과 그 조작레버가 밸브 개방 유지상태로 노즐 수납부로 되걸었을 때의 노즐 검출수단 및 밸브 변위 검출수단으로 부터의 검출신호에 따라 밸브 개방 유지상태를 경고 통지하는 통지수단으로 구성한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도에 있어서 부호 1은 고정식 급유장치의 본체이고 하부케이스 2와 상부케이스 3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부케이스 2 내부에는 한쪽이 지하탱크(도시없음)에 연통한 배관 4, 모타 5로서 구동되는 펌프 6, 유량펄스방신기 7A를 부설한 유량계 7이 배설되어 있다.
배관 4의 다른 쪽에는 호스 9가 접속되며 그 선단에는 급유노즐 10이 배설되어 있다.
하부케이스 2의 외벽부에는 노즐걸이 11이 배설되고 이 노즐걸이 뒤쪽에는 급유노즐 10의 해제/수납으로서 ON, OFF하는 노즐스위치 12가 배설되어 있다.
상부케이스 3의 전면에는 급유량 금액, 단가 등을 표시하는 표시기 13이 배설됨과 동시에 내부에는 제어장치 14가 배설되어 있다.
부호 8은 전자밸브이다.
제어장치 14는 후술하는 제1도의 일점쇄선으로 둘러쌓인 각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다음으로 제3도 내지 제6도에 있어서 노즐본체 21의 내부에는 유통로 22가 배설되고 노즐본체 선단쪽에는 유통로 22에 연통하는 토출파이프 23이 노즐본체 21과 동축 방향으로 돌설되어 있다.
25는 주밸브 본체, 33은 밸브축이다.
41은 밸브축 33의 롯드 삽입공에 삽입된 습동 롯드이다.
습동 롯드 41에는 밸브축 33의 절취부 36에 대응하는 계합홈 42가 형성되어 있다.
48은 레버가이드, 49는 화살표 B-B′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 L자형의 연락레버, 53은 조작레버, 55는 반개폐계지부, 56은 전개폐계지부이다.
또 제5도중 57은 급유차량의 연료탱크내의 액면이 소정의 액면 레벨에 도달하였을 때 밸브 본체 25를 자동밸브 폐쇄시키는 자동밸브 폐쇄기구이다.
58은 자동밸브 폐쇄기구 57을 구성하는 다이어후레임이고 롯드 지지부 31의 측면쪽으로 배설되고 그 주연부가 노즐본체 21에 고착되어 있다.
59는 다이어후레임 58의 외측에 위치하여 노즐본체 21에 배설된 캡이고 이 캡 59와 다이어 후레임 48 사이에는 압력실 60으로 되어 있다.
61은 압력실 60의 다른쪽에 위치하여 다이어 후레임 58의 중앙부에 고착된 받음판이고 제6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Figure kpo00001
자형으로 형성되어 그 대향편 61A, 61A에는 장공 62, 62가 형성되어 있다.
63, 63은 축방향 양단이 각 장공 62, 62에 습동 가능하게 끼워진 한쌍의 봉형상로울러이고 절취부 36으로 부터 계합홈 42에 걸쳐 계합이탈 가능하게 계합되어 있다.
64는 압력실 60내에 위치하여 다이어 후레임 58쪽으로 배설한 스프링받이 65와 캡 59와의 사이에 장설된 스프링이고 다이어 후레임 58, 받음판 61을 경유하여 각 봉형상로울러 63을 습동 롯드 41의 계합홈 42 내에 끼이게끔 힘을 가하고 있다.
이와같이하여 자동밸브 폐쇄기구 57은 다이어 후레임 58, 캡 59, 받음판 61, 봉형상로울러 63 및 스프링 61로서 대략 구성되어 있다.
또 66은 노즐본체 21의 상부에 배설되어 다이어 후레임 58의 변위를 검출하고 만탱크 급유노즐제어를 행하기 위한 밸브 변위센서이고 이 밸브 변위센서 66은 발광소자와 수광 소자를 가지는 포토 커플러 67과 제4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받음판 61에 입설되어 다이어 후레임 58의 변위에 수반하여 발광소자와 수광소자의 사이를 차단하는 슬릿트 68을 표시하고 있고 신호선 69를 경유하여 제어장치 14에 접속되어 있다.
즉 밸브 변위센서 66은 다이어 후레임 58의 변위검출시에 “1”신호를, 비검출시는 “0”신호를 출력한다.
72는 보조밸브이다.
74는 토출파이프 23의 통선단부에 배설된 거품 검지센서로서의 대기 연통구이다.
토출파이프 23 내에 배설된 압력관 75는 노즐 본체 21에 형성된 통기로 76을 순차 경유하여 자동밸브 폐쇄 기구 57의 압력실 60에 연통하고 있다.
한편, 77, 77은 밸브시트에 배설된 흡기통로이고 그 한쪽은 압력관 75와 압력실 60 사이의 통기로 76에 연통하고 다른 쪽은 밸브시트와 보조밸브 72와의 사이의 링형 통로 78에 연통하고 있다.
79는 토출파이프 23의 통선단부에 위치하여 배기연통구 74로부터 선단쪽으로 배설되어 예를 들면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로 이루는 광전식의 액면 센서이고 신호선 80을 경유하여 급유장치 본체 1내의 제어장치 14에 접속되어 있어 후술하는 바와같이 급유차량의 연료탱크내의 거품을 검출한다.
다음에 제1도에 있어서 일점쇄선으로 둘러쌓인 부분은 전기한 제어장치 14에 비치된 각 부분의 구성을 표시하는 것이고 이 일점쇄선으로 둘러쌓인 외측의 각 부분은 상술한 바와 같이 급유장치 본체 1 또는 급유노즐 10에 배설되어 있다.
전기한 액면 센서 79는 만탱크 급유시에 있어서의 차량 연료탱크내에 있어서의 거품 또는 액면의 도달 유무를 검출하기 위한 것이고 거품 또는 액면의 검출시에는 ON 신호를, 거품 또는 액면의 비검출시에는 OFF 신호를 제어장치 14의 만탱크 제어수단 90에 공급한다.
변위센서 66은 만탱크 급유시에 대한 차량 연료탱크내의 유액면의 상승으로서 대기연통구 74에 대한 유액 또는 거품에 의한 닫힘에 수반하여 압력실 60의 압력변화에 의한 다이아 후레임 58의 변위를 검출하기 위한 것이고 이 검출신호를 만탱크 제어수단 90과 추가급유기간 표시기 91C와 앤드게이트 92의 제1입력단과 인버터 93으로 각각 공급한다.
이 추가급유기간 표시기 91C에는 만탱크 급유시에 대한 급유추가 기간의 사이에 점등한다.
유량 펄스발신기 7A는 급유유량에 대응하는 유량펄스신호를 만탱크 제어수단 90과 급유검출수단(모노 멀티 바이브레이타) 94의 T입력단과 급유량 계측수단 95에 각각 공급한다.
노즐스위치 12는 급유자의 노즐걸이 11에 대한 급유노즐 10의 해제(ON)/수납(OFF)에 따라 노즐스위치 신호를 인버터 96을 경유하여 만탱크 제어수단 90은 급유량 계측 수단 95와 엔드게이트 97의 제2입력단과, 인버터 98과 99에 각각 공급한다.
이 경우 만탱크 제어수단 90은 인버터 96으로 부터 공급되는 반전신호에 의하여 초기화되어 다음변 급유노즐 10을 벗겨내렸을 때의 차회급유에 대비되고 또 급유량 계측수단 95는 노즐스위치 12로부터의 노즐스위치 신호(ON신호 : “1”)에 의하여 리셋트 되고 금회 급유노즐 10을 벗겨낸 후의 급유작업에 대한 급유계측에 대비한다.
만탱크 제어수단 90은 만탱크 급유제어를 행함과 동시에 그 출력신호를 만탱크 완료표시기 91A와 엔드게이트 97의 제1입력단으로 각각 공급한다.
이 만탱크 완료표시기 91A는 급유차량으로 만탱크 급유가 완료한 시점에서 점등한다.
급유검출 수단 94는 유량 펄스발신기 7A에서 T입력단으로 공급되는 최초의 유량 펄스 신호에 동기하여 “0”에서 “1”로 올라가 거품 소실대기 상태의 급유중단 또는 만탱크 급유완료에 수반하는 유량펄스 신호의 정지로 부터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1”에서 “0”으로 내려가는 출력신호를 Q출력수단으로 부터 급유시간 표시기 91B쪽으로 공급한다. 이 급유기간 표시기 91B는 유량펄스 발신기 7A에서 유량펄스신호가 출력되어 있는 사이에 점등한다.
상기한 만탱크 완료표시기 91A, 급유기간 표시기 91B, 추가급유기간 표시기 91C는 제3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노즐 본체 21의 상면이 대략 중앙에 줄지어 배설되어 있다.
전기한 급유량 계측수단 95는 유량펄스발신기 7A에서 공급되는 유량펄스 신호에 따라 급유량을 계측함과 동시에 그 출력신호를 표시기 구동회로 100으로 공급하고 이 표시기 구동회로 100은 표시기 13을 표시제어한다.
인버터 98의 반전신호는 엔드게이트 92의 제2입력단으로 공급되고 이 엔드게이트 92의 출력신호는 노즐걸이 11근방에 배설된 밸브폐쇄 망각경보기 101과 RS플립플롭 102의 S입력단으로 각각 공급된다. 밸브폐쇄 망각경보기 101은 만탱크 급유에 있어서 추가급유 등의 거품소실 대기 시간에 있어서 또는 만탱크 급유 완료 후에 있어서 급유자가 급유노즐 10의 조작레버 53의 밸브폐쇄를 망각하여 노즐걸이 11로 다시 걸었을 때 즉 엔드게이트 92로 부터 “1”신호가 출력되었을 때 이 밸브폐쇄 망각을 경보하게 하고 있다.
이 경보기 101은 제2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케이스 3의 중앙 노즐걸이 수납부 11의 근방에 설치하여 있다.
인버터 99의 반전신호는 엔드게이트 103의 제1입력단으로 공급되어 한편 인버터 93의 반전신호는 엔드게이트 103의 제2입력단으로 공급된다.
이 엔드게이트 103의 출력신호는 RS플립플롭 102의 R입력단에 공급된다. 이 RS플립플롭 102의
Figure kpo00002
출력단으로 부터의 출력신호는 엔드게이트 104의 제2입력단으로 공급되고 한편 전기한 엔드게이트 97의 출력신호는 이 엔드게이트 104의 제1입력단으로 공급된다.
이 엔드게이트 104로 부터 출력되는 구동신호(“1”) 또는 정지신호 “0”은 모타 5 구동제어용의 구동회로 105로 공급된다.
이 경우 엔드게이트 91, 104가 펌프구동 제어수단 106을 구성하고 있다. 또 RS플립플롭 102, 인버터 93, 93 엔드게이트 103이 금지수단 110을 구성한다.
다음에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실시예의 동작을 제1도 및 제7도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즉, 토출파이프 23이 연료탱크의 급유구에 삽입한 급유노즐 10은 조작레버 53의 조작 전에는 제4도 및 제5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자동폐쇄 밸브 개구 57의 압력실 60은 통기로, 78, 압력관 75, 대기연통구멍 74를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외부에 연통하여 대기 상태가 된다. 따라서, 다이아 후레임 58과 받음판 61은 스프링 64로서 제5도 중 하단에 압동되고 봉형상로울러 63은 밸브축 33의 절취부 36과 습동 롯드 41의 계합홈 42내에 끼워지고, 밸브축 33과 습동 롯드 41은 화살표 A, A′ 방향으로 일체적으로 습동한다. 그리고, 압축스프링 40의 스피링힘으로서 밸브축 33을 경유하고 주밸브 본체 26은 의자 24에 착좌함과 동시에 부밸브 본체 34는 두 밸브 본체 26에 착좌한다. 또, 밸브축 33에 삽입된 습동 롯드 41은 스프링 52의 스프링임에 의해 밸브 본체 25에 습동된 선단의 밸브부 41B는 밸브축 33내의 밸브시트부 39에 착좌하고 소유로 38의 유입구 38A와 유출구 38C와의 사이를 차단한다.
이와 같이 밸브본체 25에 의해 상류측의 유통로 22와 하류측의 유통로 22인 연관 형상통로 78은 완전히 차단된다.
급유자는 차량으로의 만탱크 급유개시에 임하여 급유장치 본체 1의 노즐걸이 11로 부터 급유노즐 10을 꺼내고 그 토출파이프 23을 차량 연료탱크의 급유구로 삽입한다.
이때 노즐스위치 12로부터 노즐스위치 신호(ON신호 : “1”)가 급유량 계측수단 95와 엔드게이트 97의 제2입력단에 공급된다.
이로서 급유량 계측수단 95는 금회 급유에 대비하여 전회 급유시의 계측값이 0에 리셋트 되어 표시기 13의 급유량, 금액의 표시값도 0에 리셋트 된다.
더욱 전회 급유시 급유노즐 10을 노즐걸이 11에 다시 걸었을 때 만탱크 제어수단 90의 출력신호(“1”)이 제1입력단으로 공급되어 있는 엔드게이트 97의 제2입력단에 이 노즐스위치 12에서 노즐스위치(ON 신호 “1”)가 공급된 후 엔드게이트 97의 출력신호(“1”)가 엔드게이트 104의 제1입력단으로 공급된다.
또 이때 RS플립플롭 102의
Figure kpo00003
출력단에서는 전회급유 종료후 급유노즐 10의 조작레버 53의 밸브폐쇄조작이 이루어져 있는 것이 확인되었을 때는 “1” 신호가 엔드게이트 104의 제2입력단으로 공급된다.
이 결과, 엔드게이트 104로 부터 구동신호(“1”)이 구동회로 105로 공급되어 이 구동회로 105로서 모타 5가 기동되어 펌프 6이 지하탱크로 부터 유액을 흡상한다.
다음에는 급유를 행하게끔 조작레버 53을 제4도 중 화살표 C방향으로 인상하면 제5도의 상태인 노즐이 제8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주밸브 25가 개방하고 유통로 22가 크게 개방하여 대유량의 유액이 흘러 보조밸브 72가 액압으로 개방한다.
즉, 조작레버 53을 C방향으로 인상하면 연결레버 49를 경유하여 습동롯드 41이 스프링 52에 대항하여 후퇴한다.
이것에 의해 봉형상로울러 63을 거쳐 습동 롯드 41에 계합되어 있는 밸브축 33도 압축스프링 40의 스피링력에 대항하여 A방향으로 습동한다. 그 결과, 부밸브 본체 34를 주밸브 본체 26으로 부터 이탈하여 미소통로 30을 개방하고 소량의 유액이 상류측으로 부터 원형형상 통로 78측으로 흐른다.
이 형상에서 조작레버 53을 다시 인상하면 반개방용 계지부 55 또는 전개방용 계지부 56에 계지하고 조정너트 37이 주밸브 본체 26에 맞닿고 주밸브 본체 26은 밸브 의자 24에서 이탈하여 유통로 22를 크게 개방하여 대유량의 유액이 흐르면 보조밸브 72가 유액의 압력에 의해 밸브가 개방된다.
또, 보조밸브 72는 부밸브 본체 34를 주밸브 본체 26에서 이탈하여 소량의 유액이 밸브통로 30을 거쳐 흐름으로써 밸브가 개방된다. 이어서 토출파이프 23으로 부터 차량 연료탱크 내부로 급유개시함에 따라 유량펄스 발신기 7A에서 출력되는 유량펄스 신호에 따른 급유금철수단 94의 출력신호에 의하여 각 표시기 91A 내지 91C 중 먼저 최초로 급유기간 표시기 91B가 점등한다. (제6도 중 사선부분)
이로서 토출파이프 23으로 부터 유액이 토출되어 만탱크 급유가 개시되고 급유중인 것을 급유자에 알린다.
또 급유량 계측수단 95는 유량펄스 신호에 따라 급유량 금액을 계측함과 동시에 표시기 구동회로 100을 구동하고 표시기 13으로 급유량 및 금액을 순차표시 제어한다.
다음에 급유의 진행에 수반하여 연료탱크내의 유액면에 거품이 발생하고 이 거품이 발생한 유액면을 연료냉크 내를 요동하면서 만탱크 상태 부분까지 상승하다 보면 토출파이프 23의 대기연통구 74가 유액 또는 거품으로 폐쇄되어 압력실 60의 공기를 흡입함으로써 이 압력실 60이 압력을 받아 다이어 후레임 58은 제8도 중 상방으로 변위한다.
이에 의하여 받음판 61이 다이어 후레임 58에 연동하여 응동하기 때문에 받음판 61의 장공 62, 63에 습동 가능하게 끼워진 봉형상로울러 63, 63이 습동 롯드 41의 계합홈 42로 부터 이탈하고 봉형상로울러 63, 63은 밸브축 33의 절취부 36만 계합하고 있을 뿐임으로 압축스프링 40의 힘에 의하여 밸브축 33 및 밸브본체 25는 제9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동작하여 밸브본체 25가 밸브폐쇄하고 소유로 38이 개통된다.
이때 밸브 변위센서 66은 다이어 후레임 58의 변위에 의하여 전술한 밸브 변위를 검출하고 밸브 변위 검출신호(“1”)을 만탱크 제어수단 90 및 추가급유시간 표시기 91C로 공급한다.
이에 의하여 만탱크 제어수단 90으로부터 엔드게이트 97의 제1입력단에 “0”신호가 공급되기 때문에 엔드게이트 104에서 구동회로 105로 정지신호 “0”이 공급되어 모타 5가 정지하면 펌프 6으로부터 유액의 흡상이 정지함과 동시에 미리 정한 거품소실 대기시간(제7도 ③으로 표시하는 시간)의 계측을 개시한다.
또 추가 급유시간 표시기 91C도 제7도 중 ①의 시점으로 부터 점등한다.
희게 표시한 것은 소등을 표시하고 사선은 점등을 표시한다.
또한 ①…②까지로 표시한 것은 모타 5를 정지시켰을 때의 펌프 6의 관성에 의한 통과량이 흐르고 있을 사이에는 유량펄스 발신기 7A로 부터 유량 펄스가 출력되어 있기 때문에 급유기간 표시기 91B도 계속해서 점등하고 있다.
이어서 제7도 중 ②에 시점에서 차량에 대한 급유량 Q0분의 급유가 종료하고 유량펄스 발신기 7A에서 유량펄스신호가 출력되지 않으면 점등중의 급유기간 표시기 91B가 소등함과 동시에 표시기 13의 급유량 표시도 일시 정지한다.
이때, 밸브 변위센서 66으로부터 검출신호가 출력되어 있음으로 추가급유기간 표시기 91C는 계속 점등하고 있다.
이로서 만탱크 급유시의 추가급유에 대한 거품소실 대기 기간인 것을 급유자에게 통지한다.
이어서 제7도 중 ③으로 표시하는 기간의 거품 소실 대기시간 계측을 만탱크 제어수단 90이 종료하면 만탱크 제어수단 90은 이때(그림 중 ④에서 표시) 액면 센서 79로부터 검출신호(“1”) 공급되어 있지 않는 것을 조건으로 ④의 시점으로 부터 추가급유 상태로 들어간다.
즉 차량 연료탱크 내의 거품 소실로 인하여 액면 센서 79로 부터 OFF 신호가 만탱크 제어수단 90으로 공급되어 있으면 이 만탱크 제어수단 90으로 부터 엔드게이트 97의 제1입력단으로 “1”신호가 공급된다.
이때 노즐 스위치 12를 ON 상태에서, 또 RS플립플롭 102의
Figure kpo00004
출력단이 “1”로 되기 때문에 엔드게이트 104에서는 구동신호(“1”)이 구동회로 105로 공급되어 모타 5가 구동한 후 펌프 6에 의하여 유액의 흡상을 재개하고 추가급유를 개시한다.
그때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급유노즐 10은 제9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소유로 38에 의해서만 밸브 본체 25의 상류측과 하류측이 연통되고 있음으로 토출파이프 23으로서 토출되는 유액의 유량은 액면을 거품이 일지 않게 조여져 있다.
이로써 유량펄스 발신기 7A에서 유량펄스 신호가 출력되기 때문에 급유기간 표시기 91B가 제7도 중 ④의 시점에서 부터 ⑤의 추가급유기간 사이, 즉 유액면이 상승하여 액면 센서 79에서 검출신호(“1”)이 만탱크 제어수단 90에 공급되어 이 만탱크 제어수단 90이 엔드게이트 97의 제1입력단으로 “0”신호를 공급하여 모타 5를 정지시켜 통과량이 흐를 때까지의 사이에 점등한다.
또 이때 추가급유기간 표시기 91C는 계속 점등하고 있다.
동시에 표시기 13으로의 급유량, 금액 표시도 재개된다.
이로써 추가급유 기간인 것을 급유자에게 통지한다.
또한 만탱크 제어수단 90은 모타 5의 정지제어에 더하여 액면 센서 79로 부터 검출신호 “1”이 공급됨과 동시에 미리 정해진 만탱크 판정시간의 계측을 개시한다.
다음에, 만탱크 판정시간의 계측을 만탱크 제어수단 90이 완료하기 전에 제7도 중 ⑤에서 표시한 추가급유량 Q1일 때 발생한 거품이 소실하고 액면 센서 79로 부터의 검출신호가 “1”이 소실하여 비검출신호 “0”이 출력되면 만탱크 제어수단 90은 만탱크 판정을 정지하고 다시 엔드게이트 97의 제1입력단으로 “1”신호를 출력하여 모타 5를 구동하고 제7도 중 ⑤에서 표시하는 추가급유기간이 종료하여 ⑥으로 이행하면 유량펄스발신기 7A에서 유량펄스신호가 출력되지 않기 때문에 급유기간 표시기 91B가 소등한다.
이때, 추가급유기간 표시기 91C는 제7도 중 ⑥의 거품 소실 대기기간 사이에 계속 점등하고 있다.
이로서 거품소실 대기 기간인 것은 급유자에게 통지한다.
이 때문에 급유자는 지금의 상태가 거품소실 대기 시간인 것을 알고 잘못하여 급유노즐 10을 탱크로부터 빼버리는 오조작이 방지된다.
다음에, 제7도 중 ⑦로 표시하는 추가급유 기간에 들어서면 상기한 ⑤의 추가급유기간 사이, 즉 유액면이 상승하여 액면 센서 79에서 검출신호(“1”)이 만탱크 제어수단 90으로 공급되어 이 만탱크 제어수단 90이 엔드게이트 97의 제1입력단으로 “0”신호를 공급하여 모타 5를 정지시켜 통과량이 흐를 때까지의 사이에 점등한다.
또 이때 추가급유기간 표시기 91C는 계속 점등하고 있다.
동시에 표시기 13으로의 급유량, 금액 표시도 재개된다.
이로서 추가급유 기간인 것을 급유자에게 통지한다.
또한 만탱크 제어수단 90은 모타 5의 정지제어에 더하여 액면 센서 79로 부터 검출신호 “1”이 공급됨과 동시에 미리 정해진 만탱크 판정시간의 계측을 개시한다.
다음에, 만탱크 판정시간의 계측을 만탱크 제어수단 90이 완료하기 전에 제7도 중 ⑤에서 표시한 추가급유량 Q1일 때 발생한 거품이 소실하고 액면 센서 79로 부터의 검출신호가 “1”이 소실하여 비검출신호 “0”이 출력되면 만탱크 제어수단 90은 만탱크 판정을 정지하고 다시 엔드게이트 97의 제1입력단으로 “1”신호를 출력하여 모타 5를 구동하고 제7도 중 ⑤에서 표시하는 추가급유기간이 종료하여 ⑥으로 이행하면 유량펄스 발신기 7A에서 유량펄스신호가 출력되지 않기 때문에 급유기간 표시기 91B가 소등한다.
이때, 추가급유기간 표시기 91C는 제7도중 ⑥의 거품소실 대기기간 사이에 계속 점등하고 있다.
이로써 거품소실 대기 기간인 것은 급유자에게 통지한다.
이 때문에 급유자는 지금의 상태가 거품소실 대기 시간인 것을 알고 잘못하여 급유노즐 10을 탱크로 부터 빼버리는 오조작이 방지된다.
다음에, 제7도 중 ⑦로 표시되는 추가급유 기간에 들어서면 상기한 ⑤의 추가급유 기간과 같게 급유기간 표시기 91B가 점등한다.
이때, 추가급유 기간 표시기 91C는 계속 점등하고 있다.
더욱이, 다시 추가급유가 개시된 후 유액면이 상승하여 액면 센서 79로부터 검출신호(“1”)가 만탱크 제어수단 90으로 공급되어 동수단 90이 엔드게이트 97의 제1입력단으로 “0”신호를 공급하여 모타 5를 정지시켜, 이 때의 통과량이 흐르면 상기한 ⑥의 거품소실 대기기간과 같이 급유기간 표시기 91B를 소등한다.
이때, 추가급유기간 표시기 91C는 계속 점등하고 있다.
더욱이, 전술한 바와 같은 만탱크 제어수단 90에 의해 만탱크 판정이 되어 만탱크 판정시간의 계측 완료전에 액면 센서 79로 부터의 비검출신호 “0”이 출력되어 모타 5가 구동되고 제7도 중 ⑨로 표시하는 추가급유 기간에 들어서면 상기한 ⑤, ⑦의 추가급유 기간과 같이 급유기간 표시기 91B를 점등한다.
이때, 추가급유기간 표시기 91C는 계속 점등하고 있다.
이후 ⑨의 추가급유기간에 있어서 액면 센서 79로 부터 ON 신호를 만탱크 제어수단 90으로 공급되면 이 만탱크 제어수단 90으로 부터 엔드게이트 97의 제1입력단으로 “0”신호가 공급되기 때문에 엔드게이트 104에서 구동회로 105로 정지신호(“0”)이 공급되어 모타 5가 다시 정지한 다음 펌프 6에 의해 유액의 흡상이 정지한다.
또, 이때 유량펄스 발신기 7A로 부터 유량펄스 신호를 출력하지 않기 때문에 점등 중에 급유기간 표시기 91B를 소등한다.
그리고, 만탱크 제어수단 90은 모타 5의 정지제어에 추가하여 액면 센서 79로 부터 검출신호(“1”)이 공급됨과 동시에 만탱크 판정시간의 계측을 개시하고 이 만탱크 판정시간의 계측이 완료한 ⑩의 시점에서 액면 센서 79로 부터 검출신호(“1”)이 여전히 공급되어 있었으면 만탱크 제어수단 90은 거품면이 아니고 실제로 액면이 액면 센서 79에 도달하고 있는 것으로 간주하여 최종적으로 만탱크 급유가 완료된 것으로 판정한다.
이때, 상기한 바와 같이 급유기간 표시기 91B는 소등하고 있으나 만탱크 제어수단 90의 출력신호에 따라 만탱크 완료 표시기 91A가 여기서 비로소 점등하는 것으로서 만탱크 급유 완료를 급유자에게 통지한다. 급유자는 이 만탱크 종료후에 급유노즐 10의 조작레버 53을 제4도 중 화살표 C방향으로 회동하여 밸브폐쇄 조작한다.
이로써 연락레버 49는 제4도중 화살표 B′방향으로 회동하여 습동 롯드 41은 제9도 중 왼쪽으로 변위하고 소유로 38이 폐쇄된다.
이 습동 롯드 41의 변위에 따라 계합홈 42를 먼저 다이어 후레임 58의 변위에 연동하여 이동하고 있는 밸브축 33의 절취부 36과 다시 제4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결합한다.
이 때문에 급유노즐 10의 토출파이프 23을 연료탱크의 급유구로 부터 꺼내어 대기연통구 74개 개방되어 있으면 스프링 64의 힘에 의하여 로울러 63, 63은 다시 계합홈 42로 개합하여 다이어 후레임 58도 제9도에 표시하는 상태에서 제5도에 표시하는 상태로 복귀한다.
이 결과, 밸브변위센서 66의 슬릿트 68이 포토커플러 67을 차단하지 않는 위치로 복귀하기 때문에 밸브변위센서 66에서는 비검출신호(“0”)이 추가 공급기간 표시기 91C에 출력되어 이 표시기 91C는 소등한다.
즉, 밸브변위센서 66은 조작레버 53의 밸브폐쇄조작의 검출수단으로서 기능을 한다.
그리고, 급유자는 만탱크 급유일 때에는 만탱크 완료표시기 91A를 점등하고 추가급유기간 표시기 91C를 소등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여 급유노즐 10을 노즐걸이 11에 다시 걸면 된다.
급유노즐 10이 노즐걸이 11에 다시 걸게 되면 노즐스위치 12로부터 노즐스위치 신호(OFF 신호 : 0)가 출력되어 이 신호를 인버터 96을 경유하여 만탱크 제어수단 90에 공급되어 동일수단 90이 초기화됨과 동시에 만탱크 완료표시기 91A는 소등된다.
여기서, 예를 들어 만일 업무가 바쁠 때 급유자가 조작레버 53의 밸브폐쇄 조작을 잊고 급유노즐 10을 노즐걸이 11에 걸었을 경우는 엔드게이트 92의 출력신호가 “1”로 되기 때문에 밸브폐쇄 망각경보기 101이 작동하고 급유노즐 10이 밸브개방한 상태인 것을 급유자에게 경보한다. 또 이때 엔드게이트 92의 출력신호 “1”은 RS플립플롭 102의 S입력단에도 공급된다.
이에 의하여 RS플립플롭 102의
Figure kpo00005
출력단으로 부터는 “1”신호에 대신하여 “0”신호가 엔드게이트 104의 제2입력단에 공급되어 급유노즐 10을 노즐걸이 11에서 벗겼을 때의 노즐스위치 12로 부터의 노즐스위치 신호(ON 신호 : “1”)을 엔드게이트 104의 제1입력단으로 출력되었다 하더라도 모타 5의 구동은 금지되어 펌프 6에서는 유액이 토출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급유자는 조작레버 53을 밸브폐쇄 조작하여 급유노즐 10을 노즐걸이 11에 걸면 엔드게이트 92의 출력신호가 “0”으로 되고 밸브폐쇄 망각경보기 101의 경보가 소멸한다.
또 이때 인버터 99에는 노즐스위치 신호(OFF 신호 : “0”)가 인버터 93에, 밸브변위 신호(비검출신호 “0”)를 각각 공급하기 때문에 엔드게이트 103에서는 “1”신호를 RS플립플롭 102의 R입력단에 출력되어 이
Figure kpo00006
출력단은 “1”으로 된다.
이 결과, 엔드게이트 104의 제2입력단에는 “1”신호가 다시 공급되게 되어 다음 회의 급유작업에 대응된다.
이 결과, 종래와 같이 밸브 개방상태에 있는 급유노즐 10을 노즐걸이 11로 부터 벗겨냄으로 인한 유액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급유노즐을 고정식 급유장치에 적용하는 구성으로 하였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현수식 급유장치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급유정지 기구로서 펌프 6을 구동하는 모타 5를 제어하게 하였으나 제2도 파선으로 표시하는 바와 같이 유량계 7의 하류측에 전자밸브 8을 설치하고 이 전자밸브 8을 급유 정지기구로서 밸브폐쇄로 제어하게 하여도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에 효과를 가진다.
첫째, 만일 급유자가 만탱크 급유 완료후에 조작레버가 밸브개방 유지상태로 급유노즐을 노즐수납부에 다시 걸었을 경우에는 경보수단에 의하여 이 밸브 개방 유지상태를 경고 통지하기 때문에 밸브폐쇄 조작이 촉구되어 유액의 누출을 완전히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둘째, 급유자는 손압에 급유노즐의 추가급유 기간 표시수단에 의하여 만탱크 급유에 대한 추가급유 상태인 것을 확인할 수가 있어 이 상태에서 노즐을 탱크로부터 꺼내는 조작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세째, 상기한 첫째, 둘째에 의하여 급유자는 빠른 급유작업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로써 작업효과의 향상을 달성할 수 있음과 동시에 고객 서비를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4)

  1. 자동 만탱크 급유 등에는 차량의 연료 탱크에 소정량의 유액을 급유한 후에 이 연료탱크 내의 거품소실 대기 기간을 개재시켜 추가 급유를 행하여 자동 만탱크 급유를 완료하게끔 구성한 급유장치에 있어서, 토출파이프(23)와 이 토출파이프(23)로 연통하는 유통로(22)를 개폐하는 밸브(8)와 이 밸브를 개방상태 또는 폐쇄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조작레버(53)를 갖춘 급유노즐(10)과, 이 급유노즐의 노즐 수납부에 대한 해제 또는 재수납을 검출하는 노즐 검출수단과, 전기한 급유노즐 본체(21)에 설치되어 밸브의 개폐상태를 검출함과 동시에 만탱크 급유 후 조작레버(53)를 밸브폐쇄 위치로 되돌아간 것을 검출하는 밸브변위 검출수단과, 상기한 급유노즐(10)이 그 조작레버(53)를 밸브개방 유지상태로 노즐 수납부에 다시 걸었을 때의, 노즐 검출수단 및 밸브변위 검출수단으로 부터의 검출신호에 따라 밸브개방 유지상태를 경고 통지하는 경보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 급유장치.
  2. 청구범위 제1항에 있어서, 급유노즐(10)을 노즐수납부에서 해제하였을 때 급유펌프 구동용 모타(5)를 구동하는 구동 제어수단과, 노즐 검출수단이 급유노즐(10)을 검출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의 밸브변위 검출수단으로 부터의 검출신호에 따라 밸브를 밸브 개방상태에 있을 때에는 금지신호를 출력하는 금지수단을 가지고 있으며 금지신호가 구동 제어신호에 공급되어 급유노즐(10)이 노즐수납부로 부터 해제하였어도 급유펌프 구동용 모타(5)를 구동시키지 않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 급유장치.
  3. 청구범위 제1항에 있어서, 급유노즐 본체(21)에 설치되어 있고 밸브변위 검출수단의 검출신호에 따라 추가급유 기간중인 것을 표시하는 추가급유기간 표시수단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한 급유장치.
  4. 청구범위 제1항에 있어서, 급유노즐 본체(21)에 설치되어 있고 급유장치 본체의 유량펄스 발신기의 유량펄스 신호와 액면 검출수단의 검출신호에 따라 만탱크 급유가 완료한 것을 표시하는 만탱크 급유완료 표시수단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한 급유장치.
KR1019890003182A 1988-03-18 1989-03-15 급유장치 KR9300047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36271[U] 1988-03-18
JP1988036271U JPH0443518Y2 (ko) 1988-03-18 1988-03-18
JP?63-36271 1988-03-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4377A KR890014377A (ko) 1989-10-23
KR930004789B1 true KR930004789B1 (ko) 1993-06-08

Family

ID=12465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3182A KR930004789B1 (ko) 1988-03-18 1989-03-15 급유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443518Y2 (ko)
KR (1) KR93000478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1141298U (ko) 1989-09-27
KR890014377A (ko) 1989-10-23
JPH0443518Y2 (ko) 1992-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4745B1 (ko) 액체송출장치
KR930004789B1 (ko) 급유장치
JP2010030622A (ja) ベーパ回収システム
KR920003891Y1 (ko) 급유장치
JPH0551098A (ja) 給油システム
JP4104223B2 (ja) 給油ノズル
JP3956072B2 (ja) 給油装置
JP2750601B2 (ja) 給油装置
JP2596597B2 (ja) 給油装置
JPH0678118B2 (ja) 給油ノズル
JPH0114114B2 (ko)
JP3019115B2 (ja) 給油装置
KR920004697B1 (ko) 급유노즐
JP3109082B2 (ja) 油種判別機能を備えた給油装置
JP3166794B2 (ja) 誤油種補給報知装置
JPH03275497A (ja) 給油装置
KR100369515B1 (ko) 착오 유종 급유 방지 기능을 갖는 급유노즐
JPS63640Y2 (ko)
JPH0738235Y2 (ja) 給油装置
JPH09194000A (ja) 給油装置
JPH0223438B2 (ko)
JPH0431295A (ja) 満タン給油装置
JPH0543600B2 (ko)
JP3285912B2 (ja) 給油装置
JPH02205597A (ja) 残油排出手段を備えた給油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5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