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4783B1 - 자동차 차체의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차체의 건조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30004783B1 KR930004783B1 KR1019890000343A KR890000343A KR930004783B1 KR 930004783 B1 KR930004783 B1 KR 930004783B1 KR 1019890000343 A KR1019890000343 A KR 1019890000343A KR 890000343 A KR890000343 A KR 890000343A KR 930004783 B1 KR930004783 B1 KR 93000478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hicle body
- detecting means
- traveling
- drying
- fram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3/00—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 B60S3/04—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정면도.
제2도는 주요부분 측면도.
제3도는 정지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제4도는 공기 및 유압회로를 나타낸 도면.
제5a도는 주행위치 검출수단, 상세 세차브러시위치 검출수단 및 상면 건조노즐위치 검출수단의 각 검출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제5b도는 제5a도의 출력신호를 나타낸 도면.
제6도는 제어시스템의 블록도.
제7도는 브러싱처리를 나타낸 도면.
제8도는 제7도의 경우에 있어서의 제어수단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
제9도는 상면 건조노즐의 승강위치의 설정원리를 나타낸 도면.
제10도는 건조처리를 나타낸 도면.
제11도는 제10도의 경우에 있어서의 제어수단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
제12도는 상면 세차브러시의 지지기구의 설계변경의 한 예.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주행 프레임 2 : 상면 건조노즐
3 : 회전수 가변원동기 4 : 상세 세차브러시
D1: 주행위치 검출수단 D2: 차체검출수단
D3: 판별수단 D4: 회전수 제어수단
D5: 상면 세차브러시위치 검출수단
본 발명은 자동차 차체의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차체의 건조장치는 세차기에 사용되고 있다.
종래, 자동차 차체의 건조장치에 있어서, 자동차 차체의 상면의 건조처리를 함에 주행 프레임에 설치한 상면 건조노즐을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상면 건조노즐을 자동차 차체의 상면 형상에 추종하도록 승강 작동시키고 있다.
자동차 차체의 건조장치로서는, 일본국 실용신안 공고 소57-12382호 공보에 기재한 것등이 공지되어 있다. 자동차 차체의 건조장치에서는 상면 건조노즐로 부터 하방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설된 유연성 안내로울러를 자동차 차체면상에 회전 이동시켜, 이것에 의하여 상면 건조노즐의 차체면으로 부터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있다. 더구나, 자동차의 경사면, 예를 들면, 앞유리 등과 건조노즐과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상면 건조노즐의 이동방향 전방에 배설된 접촉침이 경사면에 접촉하면 상면 건조노즐이 상승하도록 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서는 양호한 시계를 얻기 위하여 앞유리나 뒷유리의 건조처리는 특히 꼼꼼히 하는 것을 요구하고 있다. 또, 건조처리의 효과는 주행 프레임의 주행속도를 저속으로 하면 향상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런데, 종래의 자동차 차체의 건조장치에서는 주행 프레임의 주행속도가 일정하기 때문에 꼼꼼한 건조처리를 하기 위하여는 건조처리의 시간이 길어진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주행 프레임의 주행속도를 고속으로 하면 앞유리나 뒷유리의 건조처리가 불충분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에 비추어 이룩한 것이로, 건조처리함에 장시간을 요할 것없이 앞유리나 뒷유리에 충분한 건조처리를 할 수 있는 자동차 차체의 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자동차 차체의 건조장치는 주행 프레임에 상면 건조노즐을 승강할 수 있도록 설치하여 상면 건조노즐을 자동차 차체의 상면 형상에 추종하도록 승강 작동되게 한 자동차 차체의 건조장치에 있어서 주행 프레임을 주행시키는 회전수 가변원동기와, 주행 프레임의 주행 위치를 검출하는 주행위치 검출수단과, 자동차 차체를 검출하는 차체검출수단과, 주행위치 검출수단의 출력신호와 차체검출수단의 출력신호에 기초하여 자동차 차체의 상면의 경사각도가 일정값 이상임을 판별하는 판별수단과, 주행위치 검출수단의 출력신호와 판별수단의 출력신호에 기초하여 회전수 가변원동기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회전수 제어수단을 구비하여 주행 프레임의 주행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차체검출수단으로서는 주행 프레임에 승강할 수 있도록 설치된 상면 세차 브러시의 승강위치를 검출하는 상면 세차브러시위치 검출수단, 또는 주행 프레임의 자동차에 대향하는 측면의 상ㆍ하방향으로 설치한 여러개의 센서등을 사용할 수 있다. 즉, 자동차 차체 상면의 높이를 검출하는 기능을 지닌 것이면 무엇이나 좋다.
또, 차체검출수단으로서 초음파의 송ㆍ수신기를 사용하여 판별수단으로서 초음파의 수신신호를 얻을 수 없는 경우에 자동차 차체의 상면의 경사각도가 일정값 이상이면 판별하는 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을 구비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차체의 건조장치는 주행 프레임에 상면 건조노즐을 승강할 수 있도록 설치하고 주행 프레임을 주행시키는 회전수 가변원동기를 구비하고 있다. 그때문에, 주행 프레임의 주행에 따라 상면 건조노즐을 승강시킴으로써 자동차 차체의 상면과 상면 건조노즐의 간극이 건조처리에 적합한 크기로 자동차 차체의 상면 건조처리를 하게 된다.
그때, 주행 프레임의 주행에 따라서 주행위치 검출수단이 그 주행위치에 관한 신호를 출력한다. 또, 자동차 차체를 검출하는 차체검출수단과, 주행위치 검출수단의 출력신호와 차체검출수단의 출력신호를 기초하여 자동차 차체의 상면의 경사각도가 일정값 이상임을 판별하는 판별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그때문에, 판별수단의 출력신호로 부터 자동차 차체의 상면의 경사각도가 일정값 이상인 주행 프레임의 주행위치가 판별된다. 그리고, 주행위치 검출수단의 출력신호와 판별수단의 출력신호에 기초하여 회전수 가변원동기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회전수 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그때문에, 주행 프레임의 주행속도를 자동차 차체의 상면의 경사각도가 일정값 이상인 주행위치에서는 다른 주행위치에 있어서의 주행속도와는 다른 주행속도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주행 프레임의 주행속도를 자동차 차체의 상면 경사각도가 일정값 이상인 주행위치에서는 저속으로 하고, 다른 주행위치에서는 고속으로 할 수 있다.
또, 차체검출수단으로서 주행 프레임에 승강할 수 있도록 설치된 상면 세차브러시의 승강위치를 검출하는 상면 세차브러시위치 검출수단을 사용하였을 경우에는 상면 세차브러시는 자동차 차체의 상면에 접촉하고 있으므로 상면 세차브러시 위치 검출수단은 자동차 차체 상면의 높이, 즉 차체 높이에 대응한 신호를 출력한다. 그래서, 판별수단은 상기 신호와 주행위치 검출수단의 출력신호를 기초하여 주행거리에 대한 차체 높이의 변화를 구함으로써 자동차 차체의 상면의 경사각도를 연산하여 미리 정하여져 있는 일정값과 비교함에 따라 자동차 차체의 상면의 경사각도가 일정값 이상인지 어떤지를 판별할 수 있다.
또, 차체검출수단으로서 주행 프레임의 자동차에 대향하는 측면의 상ㆍ하방향으로 설치된 다수의 센서를 사용하였을 경우에도 센서의 출력신호가 차체 높이에 대응한 신호이기 때문에 위치 검출수단을 사용하였을 경우와 마찬가지로 하여 판별수단에서의 판별을 하게 된다.
나아가서, 차체검출수단으로서 초음파의 송ㆍ수신기를 사용하였을 경우에는 송신된 초음파는 자동차 차체의 상면에서 반사되므로, 그 경사각도가 일정값 이상이면 반사된 초음파가 수신하지 못하게 된다. 그때문에, 판별수단은 초음파의 수신신호를 얻을 수 없을 경우에 자동차 차체의 상면의 경사각도가 일정값 이상이라고 판별할 수 있다.
다음에,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정면도, 제2도는 그 주요부분 측면도이다. 주행 프레임(1)에는 주행레일(7), (7)에 잇따라서 왕복 주행할 수 있도록 차륜(8), (8)이 축설되어 있다. 그리고, 주행 프레임(1)의 양축 상부에 각기 송풍기(9), (9)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송풍기(9), (9)의 배출구에 연결되게 접한 송풍관(10), (10)의 선단에 상면 건조노즐(2)이 연결되어 있다.
상면 건조노즐(2)의 하부 중앙에는 유연상 안내로울러(11)가 설치되어 있으며, 좌우 양단에는 지지간(12), (12)이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지지간(12), (12)의 선단에는 승강부재(13), (14)가 고착되어 있다. 승강부재(13), (14)는 그 상부에 축설된 가이드 로울러(15), (15)와 그 하부에 축설된 가이드 로울러(16), (16)에 의하여 주행 프레임(1)의 양 측면에 설치된 안내부재(17), (17)에 맞물려 있다. 또, 한편의 승강부재(13)의 상단에는 상면 건조노즐(2)의 상한위치를 검출한 상한 리밋스위치(18)를 작동시키는 작동부재(19)가 설치되어 있다. 상한 리밋스위치(18)와 작동부재(19)에 따라 상면 건조노즐 상한위치 검출수단(D10)이 구성되어 있다. 또, 다른편의 승강부재(14)의 상단에는 승강부재(13), (14)가 일정각도 이상으로 요동하였을 때 작동하는 요동 리밋스위치(20)가 설치되어 있다.
상면 건조노즐(2)의 상단 중앙부에는 체인(21), (21)의 일단이 고착되어 있다. 체인(21), (21)은 주행 프레임(1)에 축설한 안내활자(22), (22), (23), (23)를 경유한 다음 들이워져서 동활차(動滑車)(24), (24)를 달아매었고, 그 타단은 주행 프레임(1)에 고착되어 있다. 동활차(24), (24)는 동활차틀(25)에 출설되어 있으며, 이 동활차틀(25)은 하단이 주행 프레임에 축설된 구동수단으로서의 실린더(29)의 피스톤로드(5)의 상단에 고착되어 있다. 또, 동활차틀(25)의 상한위치를 정하는 스토퍼(26)가 주행 프레임(1)에 설치되어 있다. 실린더(29)의 상단에는 피스톤로드(5)를 정지시키는 나중에 설명하는 정지장치(6)가 설치되어 있다.
안내활차(23), (23)의 회전축(27)에는 승강상면 건조노즐위치 검출수단(D9)이 설치되어 있다.
차륜(8), (8)에는 종동(從動) 스프로킷(28), (28)이 같은 축에 설치되어 있으며, 주행 프레임(1)에 지지되는 원동기(29), (29)의 구동축에는 구동 스프로킷(30), (30)이 설치되어 있다. 종동 스프로킷(28), (28)과 구동 스프로킷(30), (30)에는 체인(31), (31)이 걸려 있다. 그리고, 한편의 회전수 가변원동기(3)의 구동축에는 주행위치 검출수단(D1)이 설치되어 있다.
주행 프레임(1)의 하부 중앙에는 리밋스위치(32)가 설치되어 있다. 이 리밋스위치(32)는 주행 프레임(1)이 주행레일(7), (7)의 스타아트위치에 있을 때에 한편의 주행레일(7)에 설치된 캠(33)에 따라 작동한다. 전술한 리밋스위치(32)와 캠(33)에 따라 스타아트위치 검출수단(D6)이 구성된다.
상면 세차브러시(4)는 주행 프레임(1)의 양 측면에 각기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된 회동축(34), (34)에 요동아암(35), (35)을 개재하여 요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요동아암(35), (35)은 그 중간부에 회동축(34), (34)이 고착되어 있으며, 그 선단부에 상면 세차브러시(4)의 지지축(21)이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되어 있다. 한편의 요동아암(35)의 기초단부에는 원동기(36)가 설치되어 있는데, 그 출력은 요동아암의 내부에 설치된 전동기구(도면에 없음)를 개재하여 상면 세차브러시(4)의 지지축(21)에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다른편의 요동아암(35)의 기초단부에는 평형추(W)가 고착되어 있다. 또, 한편의 회전축(34)에는 자석(37)이 설치되어 있고, 상면 세차브러시(4)가 상한위치인때 작동하는 리이드스위치(38)와 함께 세차브러시 상한위치 검출수단(D7)을 구성하고 있다. 또, 상기 회동축(34)에는 차체검출수단(D2)을 구성하는 상면 세차브러시 검출수단(D5)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다른편의 회동축(34)에는 상면 세차브러시(2)를 상한위치에 격납하는 격납용 실린더(39)의 피스톤로드(40)가 작동아암(41)을 개재하여 부착되어 있다.
제3도에는 제1도, 제2도에 나타낸 정지장치(6)의 구체적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실린더(29)의 피스톤로드(5)의 외주에는 링형상의 브레이크슈우(brake shoe)(42)가 감겨져 있다. 정지장치(6)의 실린더형상 케이싱(61)은 브레이크슈우(42)를 포함한 피스톤로드(5)를 둘러싸도록 배설되어 있다. 케이싱(61) 내에는 거기에 공기실(62)을 구획 형성하는 브레이크 피스톤(43)이 미끄러져 움직이기 자유롭도록 끼워맞춤과 동시에 이 피스톤(43)을 가압하여 공기실(62)의 용적을 축소하도록 작용하는 브레이크 스프링(44)이 수용되어 있다. 공기실(62)은 공급구(45)를 개재하여 가압 공기원(Ai)(제4도)에 연통하게 된다. 또, 공기실(62)내에는 여러개의 브레이크아암(46)이 피스톤로드(5)를 둘러싸도록 방사상으로 수용되어, 그들의 브레이크아암(46)의 기초단(상단)은 브레이크슈우(42)와 케이싱(61)의 내면등으로 피스톤로드(5)의 지름방향으로 요동이 자유롭도록 지지되어 있으며, 또, 그 선단(하단)에는 로울러(47)가 회전이 자유롭도록 축설되어, 이 로울러(47)의 외주면에는 브레이크 스프링(44)에 따라 상방으로 가압되어 있는 브레이크 피스톤(43)의 테이퍼면(48)이 압접되어 있다. 따라서, 공기실(62) 내에 가압공기가 공급되어 있지 않을 때는 브레이크 스프링(44)의 탄발력으로 브레이크 피스톤(43)이 상승되어, 그 테이퍼면(48)은 로울러(47)를 개재하여 브레이크아암(46)을 지름방향 안쪽으로 요동하여 브레이크슈우(42)를 피스톤로드(5)에 밀어넣으면 피스톤로드(5)에 브레이크가 걸리게 된다. 또, 가압공기원(Ai)으로 부터 공기실(62)에 가압공기가 공급되면 브레이크 피스톤(43)은 브레이크 스프링(44)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하방으로 밀어내리워져서 로울러(47)는 바깥쪽으로 이동한다. 그때문에, 브레이크아암(46)은 브레이크슈우(42)를 피스톤로드(5)에 세게 누르지 않게 되므로 피스톤로드(5)는 자유롭게 작동한다.
제4도는 공기 및 유압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가압공기원(Ai)에 접속 배관(49)은 압력을 조정하는 감압밸브(50)와 3방 전자밸브(51)를 개재하여 정지장치(6)의 공기공급구(45)에 접속되어 있다. 또, 배관(49)은 감압밸브(52)와 3방 전자밸브(53)을 개재하여 가압용기(54)의 상부에도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가압용기(54)에 담겨진 작동유는 고정드로틀 부착 체크밸브(55)를 개재하여 실린더(29)에 공급된다. 고정드로틀 부착 체크밸브(55)는 실린더(29)가 수축할 때 열리고 신장할 때 닫힌다.
제5a도는 제1도, 제2도에 나타낸 주행위치 검출수단(D1), 상면 세차브러시 검출수단(D5) 및 상면 건조노즐위치 검출수단(D9)의 각 검출부의 구체적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제5b도는 그 출력파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5a도에 있어서, 외주부에 여러개의 슬릿패턴(slit pattern)이, 내주부에 하나의 슬릿패턴이 써넣어진 디스크(RD)에 대향하여 슬릿판(S1)이 배치되어 있다. 슬릿판(S1)에는 외주부의 슬릿패턴에 대응한 A상 슬릿(SA) 및 B상 슬릿(SB), 내주부의 슬릿패턴에 대응하여 Z상 슬릿(SZ)이 각기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A상 슬릿(SA) 및 디스크(RD)를 사이에 끼워서 발광다이오우드(LEDA)와 광트랜지스터(TrA)가, B상 슬릿(SB) 및 디스크(RD)를 사이에 끼워서 발광다이오우드(LEDB)와 광트랜지스터(TrB)가, 나아가서 Z상 슬릿(SZ) 및 디스크(RD)를 사이에 끼워서 발광다이오우드(LEDZ)와 광트랜지스터(TrZ)각기 마주보고 배치되어 있다. 디스크(RD)를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발광다이오우드(LEDA)~(LEDZ)의 빛은 통과 또는 차단되므로 광트랜지스터(TrA)~(TrZ)는 제5b도에 나타낸 신호(STrA)~(STrZ)를 출력한다. 이들 신호중에는 신호(STrA), (STrB)는 90°의 위상차의 주기(T)의 펄스신호이고, 신호(STrZ)는 원점위치를 나타낸 신호이다. 그리고, 신호(STrA)~(STrZ)를 회전방향 판별회로와 카운터(도면에 없음)에 입력함으로써 디스크(RD)의 회전각을 펄스수로서 검출할 수 있다. 그때문에, 주행 프레임(1)의 스타아트위치로 부터의 주행위치, 상면 세차브러시(4)의 상한위치로 부터의 승강위치 및 상면 건조노즐(2)의 상한위치로 부터의 승강위치를 각각의 펄스수로서 검출할 수 있다.
제6도는 상면 건조노즐(2)의 승강위치를 설정하는 승강위치 설정수단(D11), 자동차 차체의 상면의 경사각도가 일정값 이상임을 판별하는 판별수단(D3), 회전수 가변원동기(3)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회전수 제어수단(D4) 및 다른 제어수단으로서 마이크로컴퓨우터를 사용하였을 경우의 제어시스템의 블록도이다. 제어수단(60)은 연산처리를 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싱 유닛(mico processing unit)(61)과 프로그램 및 고정데이터를 기억하고 있는 읽기전용 기억기(read only memory)(M1)와, 작업기억영역(work area) 및 가변데이터의 기억에 사용할 수 있는 등속호출 기억장치(rendam access memory)(M2)와, 입력접속장치(interface)(62)와, 출력접속장치(63)와, 그들을 접속하는 버스(bus)(64)로 구성되어 있다. 입력접속장치(62)에는 전술한 주행위치 검출수단(D1), 상면 세차브러시 검출수단(D5), 상면 건조노즐위치 검출수단(D9), 상면 건조노즐 상한위치 검출수단(D10), 스타아트위치 검출수단(D6), 상면 세차브러시 상한위치 검출수단(D7), 전ㆍ후진신호 발생수단(D8) 및 요동 리밋스위치(20)의 출력신호가 입력되어 있다. 출력접속장치(63)는 제4도에 나타낸 전자밸브(51), (53)의 솔레노이드코일(L51), (L53), 주행 프레임(1)에 설치된 회전수 가변원동기(3), (3), 요동아암(35)에 설치된 원동기(36), 격납용 실린더(39)의 제어장치(65)가 접속되어 있다. 또, 버스(64)에는 등속호출 기억장치(M2)로 된 기억수단(M)도 접속되어 있다.
다음에, 전술한 구성을 구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7도는 주행 프레임(1)의 전진할 때의 브러싱처리를 나타낸 도면이고, 제8도는 그 경우에 있어서의 제어수단(60)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며, 제9도는 상면 건조노즐(2)이 승강위치의 설정원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7도에 있어서, 주행 프레임(1)이 위치(1a)에, 상면 세차브러시(4)가 상한위치(4a)에 각기 있을때, 전ㆍ후진신호 발생수단(D8)이 전진을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면 제어수단(60)은 제8도의 순서도에 따라 동작한다. 스텝(S1)에서 브러싱처리인지 아닌지를 판정하게 된다. 그리고, 브러싱처리이면 스텝(S3)에 전진하고, 그렇지 않으면 스텝(S2)에 진행하여 다른 처리를 한다. 스텝(S3)에서 격납용 실린더(39)의 제어장치(65)를 동작시켜 격납용 실린더(39)의 피스톤로드(40)가 자유로히 신장할 수 있도록 한다. 또, 원동기(36)를 작동시켜 상면 세차브러시(2)를 회전시킨다. 그리고, 회전수 가변 원동기(3), (3)를 회전수 제어수단(D4)에 따라 브러싱처리함에 적당한 회전수로 작동시켜 차륜(8), (8)의 회전에 따라 주행 프레임(1)은 전진을 개시한다. 그때문에, 제7도에서 나타낸 바와같이 상면 세차브러시(4)는 위치(4b)로 하강한다. 이때 주행위치 검출수단(D1)은 주행 프레임(1)의 위치에 관한 신호를, 상면 세차브러시위치 검출수단(D5)은 상면 세차브러시(4)의 위치에 관한 신호를 각기 출력한다. 그리고, 주행 프레임(1)이 전진하여 위치(1a)를 이탈하면 스타아트위치 검출수단(D6)은 캠(33)이 리밋스위치(32)를 작동시키지 않으므로 신호를 출력하지 않게된다. 그때문에, 동작은 스텝(S4)에서 스텝(S5)으로 진행한다. 이때, 제7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상면 세차브러시(4)는 위치(4c, 4d, 4e)와 같이 자동차(V)의 차체에 접촉하여 브러싱 처리를 한다. 한편, 스텝(S5)에서 주행위치 검출수단(D1) 및 상면 세차브러시위치 검출수단(D5)의 출력신호가 입력되어서 스텝(S6)에서 승강위치 설정수단(D11)이 상면 건조노즐(2)의 승강위치를 설정하고, 스텝(S7)에서 기억수단(M)으로 주행위치에 대응시켜서 기억시킨다. 이들의 스텝(S5~D7)은 스텝(S8)에서 전ㆍ후진신호 발생수단(D8)의 전진신호가 출력되지 않게 될 때까지 반복된다. 그리고, 제7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상면 세차브러시(4)가 위치(4f~4g)로 진행하여 주행 프레임(1)이 위치(1b)에 도달하면 전진신호가 출력되지 않게 되어 동작은 제8도의 스텝(S8)에서 스텝(S9)으로 진행한다. 스텝(S9)에서는 회전수 가변원동기(3), (3)를 작동하지 않게 하여 주행 프레임(1)을 정지시킨다. 또, 원동기(36)를 작동하지 않게 하여 상면 세차브러시(4)의 회전을 정지시켜 제어장치(65)로 격납용 실린더(39)를 구동하여 상면 세차브러시(4)를 상승시킨다. 그때, 제7도에 나타낸 위치(4h)까지 상승하면 자석(37)이 리이드 스위치(38)를 작동시키므로 상면 세차브러시 상한위치 검출수단(D7)이 신호를 출력한다. 그때문에, 제어장치(65)는 격납용 실린더(39)를 정지시키면 상면 세차브러시(4)를 상한위치에 격납하여 브러싱 처리를 종료한다.
다음에, 제9도에 따라 전술한 스텝(S8)에서의 상면 건조노즐(2)의 승강위치의 설정원리를 설명한다.
상면 세차브러시(4)는 그 상한위치(4a)로 부터 회동축(34)이 각도(θ1)이 회전한 위치에 하강하여 자동차(V)의 차체 상면에 접촉하고 있다. 이때, 요동아암(35)은 회동축(34)을 통하는 수평선(H)에 대하여 각도(θ2)만큼 경사져 있다. 이 각도(θ2)는 상한위치(4a)에서의 각도(θ0)와 각도(θ1)에 대응하는 상면 세차브러시위치 검출수단(D5)의 출력신호로 부터 용이하게 구할 수 있다. 그리고, 회동축(34)과 지지축(21)과의 중심 사이의 거리를 L이라고 하면 수평선(H)으로 부터 지지축(21)의 중심까지의 거리(A)는 ①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A=Lsinθ2………………………………………………①
그리고, 상면 건조노즐(2)의 건조처리에 가장 적합한 위치가 도면에 나타낸 승강위치이기 때문에 승강위치 설정수단(D11)이 설정하는 상한위치로 부터의 하강위치(SD3)는 ②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SD3=A+X+C(θ1)
=Lsinθ2+X+C(θ1)………………………………②
X는 상면 건조노즐(2)의 상한위치, 회동축(34) 높이의 위치에 따라 정하여지는 수치이다. 또, 보정치 C(θ1)는 요동아암(35)의 수평선(H)으로 부터의 각도(θ2)에 따라 상면 세차브러시(4)의 자동차(V)의 차체 상면에 대한 압력이 변화하여 상면 세차브러시(4)가 변형하므로 지지축(21)의 중심과 자동차(V)의 차체 상면과의 거리의 변화를 보정하기 위한 것으로, 미리 θ1에 대하여 정하여진 수치이다. 이때, 주행위치 검출수단(D1)의 출력신호는 위치(SD1)에 대응한다. 그러나, 상면 건조노즐(2)은 위치(SD1′)에 있다. 그리고, 주행 프레임(1)이 전진하는 방향에 대하여 위치(SD1)가 커지게 되는 것이므로, 위치(SD1′)는 ③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SD1′=SD1-B=SD1-Lcosθ2………………………………③
승강위치(SD3)와 거리(B)는 각도(θ1)에 대응시켜서 미리 제어수단(60)에 기억되어 있다.
따라서, 기억수단(M)에는 ③식으로 나타낼 수 있는 어드레스에 ②식으로 나타낼 수 있는 데이터가 기억된다.
제10도는 주행 프레임(1)의 후진시의 건조처리를 나타낸 도면, 제11도는 그 경우에 있어서의 제어수단(60)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제10도에 있어서, 주행 프레임(1)이 위치(1b)에, 상면 건조노즐(2)이 상한위치(2a)에 각기 있을 때, 전ㆍ후진신호 발생수단(D8)이 후진을 나타낸 신호를 출력하면, 제어수단(60)은 제11도의 순서도에 따라서 동작한다. 스텝(S11)에서 건조처리인지 아닌지 판정하게 된다. 그리고, 건조처리이면 스텝(S13)에 진행하며, 그렇지 않으면 스텝(S12)에 진행하여 다른 처리를 한다. 스텝(S13)에서 송풍기(9), (9)를 작동시켜, 또 회전수 가변원동기(3), (3)를 회전수 제어수단(D4)에 따라 고속회전으로 작동시킴에 따라 상면 건조노즐(2)로 부터 공기가 분출하여 주행 프레임(1)이 고속으로 후진함에 따라 건조처리를 시작한다. 이때, 제어수단(60)의 동작불량등 때문에 상면 건조노즐(2)이 자동차(V)의 차체 상면에 접촉하여 요동하면 요동 리밋스위치(20)가 작동한다. 그때문에, 스텝(S14)에서 요동 리밋스위치(20)의 출력신호가 있다고 판정되어 스텝(S15)에 진행하여 모든 동작이 정지된다. 한편, 동작불량등의 불합리가 발생하지 않으면 스텝(S16)에 진행하여 주행위치 검출수단(D1)의 출력신호를 입력한다. 그리고, 스텝(S17)에서 기억수단(M)의 기억내용을 판독한다. 이때, 제10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상면 건조노즐(2)은 요동아암(35)의 회동축(34)의 중심과 거리(D) 만큼 분리되어 있다. 그때문에, 주행위치(SD1)일 때의 판독어드레스(Ad)는 ④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Ad=SD1+D………………………………………………④
이 ④식의 어드레스(Ad)에 기억되어 있는 설정치(SD3)가 상면 건조노즐(2)의 건조처리에 가장 적합한 승강위치에 있다. 이때, 어드레스(Ad)에서 주행 프레임(1)의 전진방향으로 대응하는 쪽에 일정값만큼 떨어진 어드레스(Adx)에 기억된 설정치(SD3X)도 판독한다. 그리고, 스텝(S18)에서 설정치(SD3)로 부터 설정치(SD3X)를 감산하여, 이 설정치의 절대치가 일정값 이상인지 아닌지가 판정된다. 이 설정치의 절대치가 일정값 이상이면 자동차(V)의 차체 상면의 경사각도가 일정값 이상인 경우이기 때문에 스텝(S19)에 진행하여 회전수 가변원동기(3), (3)를 저속회전으로 작동시킨다. 이러한 차가 일정값 이하이면 스텝(S20)에 진행하여 회전수 가변원동기(3), (3)를 고속회전으로 작동시킨다. 그리고, 스텝(S19), (S20)에서 스텝(S21)에 진행한다. 스텝(S21)에서 상면 건조노즐 승강위치 검출수단(D9)의 출력신호(SD4)가 입력된다. 그리고, 스텝(S22)에서 설정치(SD3)와 비교된다. 이러한 비교의 결과, SD4>SD3이면 스텝(S23)으로, SD4=SD3이면 스텝(S25)으로, SD4<SD3이면 스텝(S24)으로 각기 진행한다. 스텝(S23)에서는 전자밸브(53)는 솔레노이드코일(L53)에 흐르는 전류가 끊겨서 비여자로 된다. 그때문에, 실린더(29)에 작동유가 공급되므로 상면 건조노즐(2)은 상승한다. 그리고, 스텝(S21), (S22), (S23)의 루우프(loop)는 상면 건조노즐(2)이 가장 적합한 위치로 되기까지 반복된다. 스텝(S24)에서는 전자밸브(53)는 솔레노이드코일(L53)에 전류가 흐르게 되므로 여자되어, 상면 건조노즐(2)의 자체의 무게에 따라 실린더(29)에 공급된 작동유는 가압용기(54)에 복귀하므로 상면 건조노즐(2)은 하강한다. 이때, 고정드로틀 부착 체크밸브(55)의 체크밸브가 닫혀 있으므로 작동유는 고정드로틀에 따라 고정된다. 따라서, 상면 건조노즐(2)은 상승시에 비하여 느린 속도로 하강한다. 그리고, 스텝(S21), (S22), (S24)의 루우프는 상면 건조노즐이 가장 적합한 위치로 되기까지 반복된다. 스텝(S25)에서는 전자밸브(51)는 솔레노이드코일(L51)에 전류가 흐르게 되므로 여자된다. 그때문에, 정지장치(6)가 작동하여 피스톤로드(5)가 정지되므로 상면 건조노즐(2)은 일정한 승강위치에 유지된다. 그리고, 주행 프레임(1)이 제10도에 나타낸 위치(1a)에 복귀하여 스타아트위치 검출수단(D6)이 신호를 출력하면 스텝(S26)의 판정에 따라 스텝(S27)에 진행하며, 신호가 출력되지 않으면 스텝(S16)에 복귀한다. 그때문에, 상면 건조노즐(2)은 제10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위치(2b~2h)처럼 승강하여 자동차(V)의 차체 상면과 건조처리에 적합한 위치를 유지한다. 또, 주행 프레임(1)은 상면 건조노즐(2)이 위치(2c~2d)에 있을 때는 저속으로 주행하고, 위치(2d-2e-2f)에 있을 때는 고속으로 주행하며, 위치(2f~2g)에 있을 때는 저속으로 주행하고, 위치(2g)을 지나면 다시 고속으로 주행한다. 그리고, 스텝(S27)에 진행하면 송풍기(9), (9) 및 회전수 가변원동기(3), (3)를 정지시켜 상면 건조노즐(2)을 상승시킨다. 이때, 제10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상면 건조노즐(2)이 위치(2i)에 도달하면 상면 건조노즐 상한위치 검출수단(D10)이 신호를 출력하여 상승을 정지시켜 건조처리를 종료한다.
다음에,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특유한 효과를 설명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요동리밋스위치(20)가 작동하여 신호를 출력하면 전체 동작을 정지시킨다. 또, 상면 건조노즐(2)의 하부 중앙에 유연성 안내 로울루(11), (11)를 설치하고 있다. 그때문에, 제어장치(60)에 작동불량등이 발생하여 상면 건조노즐(2)이 자동차(V)의 차체에 접촉하여도 차체에 상처를 줄 염려가 적지 않다.
나아가서, 실린더(29)에 설치된 정지장치(6)가 피스톤로드(5)를 정지시킨다. 그때문에, 상면 건조노즐(2)은 피스톤로드(5)가 정지되었을 때의 승강위치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면 건조노즐(2)과 자동차(V)의 차체 상면 사이의 간극은 건조처리에 적합한 일정한 간격으로 정확히 유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을 이탈하는 일이 없이 여러가지의 설계변경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차체검출수단으로서 주행 프레임(1)의 자동차에 대향하는 측면의 상ㆍ하방향으로 설치된 여러개의 센서나, 초음파의 송ㆍ수신기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차체 높이를 검출하면서 상면 건조노즐(2)의 승강작동과 주행 프레임(1)의 주행속도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주행 프레임(1)의 전ㆍ후진 다같이 건조처리를 할 수도 있다.
또, 상면 건조노즐(2)을 실린더(29)를 사용하여 승강 작동시키는 대신에 원동기를 사용할 수 있고, 체인(21), (21)에 따라 달라매는 대신에 요동아암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 주행 프레임(1)에 대한 자동차의 방향이 결정되어 있을 경우 등에서는 스텝(S18)에서 실행하는 설정치(SD3)로 부터 설정치(SD3X)를 감산한 값의 절대치가 일정값 이상인지 아닌지를 판별하여 일정값 이상이면 스텝(S19)에 진행하며, 일정값 이하이면 스텝(S20)으로 진행하는 대신에 감산한 값이 부호가 자동차의 방향에 따라 미리 정하여 둔 부호일 때는 스텝(S19)에 진행하고, 미리 정하여 둔 부호가 아닐 때는 그 절대치가 보정값 이상인지 아닌지에 따라 스텝(S19) 또는 스텝(S20)으로 진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러한 경우에는 자동차 차체 상면의 경사각도가 일정값 이상인 앞유리이거나 뒷유리의 건조처리의 한쪽만을 저속으로 할 수 있다. 그때문에, 특히 꼼꼼한 처리가 요구되는 앞유리만을 저속으로 건조처리함에 따라 건조처리에 요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나아가서, 상면 세차브러시(4)를 요동아암(35)을 사용하여 축설하는 대신에 제12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원동기(71)에 의하여 구동되는 스프로킷(16)과 스프로킷(67)에 체인(68)을 걸어서 체인(68)의 대칭위에 대차(69) 및 평형추(70)를 설치하여, 대차(69)에 상면 세차브러시(4)의 지지축(21)을 축설하도록 하여도 좋다.
전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자동차 차체의 건조장치에 의하면, 주행 프레임의 주행속도를 자동차 차체의 상면의 경사각도가 일정값 이상인 주행위치에서는 다른 주행위치에 있어서의 주행속도와는 다른 주행속도로도 할 수 있다. 그때문에, 자동차 차체의 상면 경사각도가 일정값 이상으로 되는 앞유리나 뒷유리의 건조처리를 하는 주행위치에서는 저속으로 하고, 다른 주행위치에서는 고속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앞유리나 뒷유리의 건조처리를 꼼꼼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건조처리를 장시간을 필요로 하는 일은 없다.
Claims (4)
- 주행 프레임(1)에 상면 건조노즐(2)을 승강할 수 있도록 설치하고, 상면 건조노즐(2)을 자동차 차체의 상면 형상에 추종하도록 승강 작동하게 한 자동차 차체의 건조장치에 있어서, 주행 프레임(1)을 주행시키는 회전수 가변원동기(3)와 ; 주행 프레임(1)의 주행위치를 검출하는 주행위치 검출수단(D1)과 ; 자동차 차체를 검출하는 차체검출수단(D2)과 ; 주행위치 검출수단(D1)의 출력신호와 차체검출수단(D2)의 출력신호에 따라서 자동차 차체의 상면의 경사각도가 일정값 이상임을 판별하는 판별수단(D3)과 ; 주행위치 검출수단(D1)의 출력신호와 판별수단(D3)의 출력신호에 따라서 회전수 가변원동기(3)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회전수 제어수단(D4)을 구비하여 주행 프레임(1)의 주행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차체의 건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차체검출수단(D2)이 주행 프레임(1)에 승강할 수 있도록 설치된 상면 세차브러시(4)의 승강위치를 검출하는 상면 세차브러시위치 검출수단(D5)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차체의 건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차체검출수단(D2)이 주행 프레임(1)의 자동차에 대향하는 측면의 상ㆍ하방향으로 설치된 다수의 센서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차체의 건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차체검출수단(D2)이 초음파의 송ㆍ수신기로 되어 있고, 판별수단(D3)은 초음파의 수신신호를 얻을 수 없는 경우에 자동차 차체의 상면의 경사각도가 일정값 이상이라고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차체의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63015354A JPH01190564A (ja) | 1988-01-26 | 1988-01-26 | 自動車車体の乾燥装置 |
JP63-15354 | 1988-01-26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90011741A KR890011741A (ko) | 1989-08-22 |
KR930004783B1 true KR930004783B1 (ko) | 1993-06-08 |
Family
ID=11886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890000343A KR930004783B1 (ko) | 1988-01-26 | 1989-01-14 | 자동차 차체의 건조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JP (1) | JPH01190564A (ko) |
KR (1) | KR930004783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586307B2 (ja) * | 2010-04-01 | 2014-09-10 | エムケー精工株式会社 | 洗車機 |
-
1988
- 1988-01-26 JP JP63015354A patent/JPH01190564A/ja active Granted
-
1989
- 1989-01-14 KR KR1019890000343A patent/KR930004783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H01190564A (ja) | 1989-07-31 |
KR890011741A (ko) | 1989-08-22 |
JPH05268B2 (ko) | 1993-01-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930004783B1 (ko) | 자동차 차체의 건조장치 | |
JP2008074178A (ja) | 洗車機の洗浄方法 | |
KR930004786B1 (ko) | 차량의 차체 세정장치에 있어서의 상면 건조노즐의 승강작동 제어장치 | |
JP2619724B2 (ja) | 洗車機 | |
JP2577255B2 (ja) | 自動車の車体乾燥方法 | |
JPH0813632B2 (ja) | 自動車車体の乾燥装置 | |
JPH0510261B2 (ko) | ||
JPH02303960A (ja) | 車両の上面乾燥装置 | |
JP3718982B2 (ja) | 門型洗車機 | |
JPH10236285A (ja) | 洗車機 | |
JP4488615B2 (ja) | 洗車機 | |
JP2628151B2 (ja) | 車体洗浄装置における車形検出装置 | |
JPH0813631B2 (ja) | 自動車の車体上面に対する乾燥方法 | |
JPH0577545B2 (ko) | ||
JPH0471737B2 (ko) | ||
JP2001310710A (ja) | 洗車機 | |
JP2773567B2 (ja) | 洗車機 | |
KR100293073B1 (ko) | 인코더를이용한건조장치 | |
JP4021562B2 (ja) | 洗車機 | |
JP2000318584A (ja) | 洗車機 | |
JPH10297441A (ja) | 洗車機 | |
JPH05305862A (ja) | 車両の上面洗浄方法および車両の上面洗浄装置 | |
JP2000335381A (ja) | 洗車機 | |
JP2000142331A (ja) | 門型洗車機 | |
JPH01178050A (ja) | 車両の車体洗浄装置における処理装置の昇降作動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19960327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