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4774Y1 - 진공발생장치 - Google Patents

진공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4774Y1
KR930004774Y1 KR2019880018388U KR880018388U KR930004774Y1 KR 930004774 Y1 KR930004774 Y1 KR 930004774Y1 KR 2019880018388 U KR2019880018388 U KR 2019880018388U KR 880018388 U KR880018388 U KR 880018388U KR 930004774 Y1 KR930004774 Y1 KR 9300047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main body
apparatus main
chamber
pis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183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0379U (ko
Inventor
마사루 오리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오리이
마사루 오리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오리이, 마사루 오리이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오리이
Publication of KR89001037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037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47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4774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FPUMPING OF FLUID BY DIRECT CONTACT OF ANOTHER FLUID OR BY USING INERTIA OF FLUID TO BE PUMPED; SIPHONS
    • F04F5/00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 F04F5/14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the inducing fluid being elastic fluid
    • F04F5/16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the inducing fluid being elastic fluid displacing elastic fluids
    • F04F5/20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the inducing fluid being elastic fluid displacing elastic fluids for evacu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진공발생장치
제1도 내지 제3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제1도는 제3도의 I-I선 사시단면도.
제2도는 평면도.
제3도는 측면도.
제4도는 종래의 진공발생장치의 일례인 개략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장치본체 2 : 유로
3 : 필터수납실 4 : 실린더실
9a : 관통구멍(유입구멍) 10 : 필터
11 : 피스톤 14 : 스프링(탄성부재)
16 : 근접스위치(검지수단) 17 : 흡인구멍
18 : 도통구멍
본 고안은, 고속으로 흐르는 기체에 의해서 부압을 발생시키도록 한 진공발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러한 종류의 진공발생장치로서는, 일본국 실개소 62-88582호 공보에 기재된 것이 있다. 이 진공발생장치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축공기공급원 A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부압발생수단 B의 유로 C에 흐르게 하므로서, 유로C에 개구하는 분기구멍 D내에 부압을 발생시키도록 한 것이며, 기본구멍 D와 흡착패드 E를 접속하는 배관 F의 중간부에는 흡착패드 E로부터 흡입되는 공기중에 포함된 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 G가 장착되는 동시에, 어떠한 사고에 의하여 부압이 발생하지 않을 경우, 및 필터 G의 막힘에 의해서 필터 G이후에 부압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를 검지하기 위한 검지수단 H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의 진공발생장치에 있어서는, 부압발생수단 B, 필터 G 및 검지수단 H를 서로 별개로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그것들을 접속하는 배관의 접속작업에 많은 시간과 품이 든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별개로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각각에 하우징이 필요하게 됨과 동시에 서로를 접속하는 배관이 필요하게 된다. 이 때문에, 장치전체가 대형화되고 설치개소가 제약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배관시간을 대폭적으로 경감할 수 있고, 또한 소형화를 이룰 수 있는 진공발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장치본체의 내부에, 기체가 흐르는 곧바른 유로와, 장치본체의 외면에 개구한 유입구멍이 형성된 진공발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본체의 내부에, 각각 상기 유로에 따라서 뻗은 필터수납실과 실린더실을 형성하고, 상기 필터수납실의 일단부를 상기 유로에 연통시키며, 타단부를 상기 유입구멍에 연통시키고, 상기 실린더의 일단부를 상기 필터수납실의 타단부에 연통시키며, 상기 필터수납실에 필터를 장입하고, 상기 실린더실의 타단부에 탄성부재에 의해 실린더실의 일단부측으로부터 타단부측을 향해서 가압된 피스톤을 미끄럼이동가능하게 설치하고, 또한 이 피스톤이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대항해서 소정위치에 이동한 것을 검지하는 검지수단을 상기 장치본체에 부설한 것이다.
[실시예]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제1도 내지 제3도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또한, 제1도는 제3도의 I-I선 사시단면도, 제2도는 평면도, 제3도는 측면도이다.
도면중 부호(1)은 장치본체이다, 이 장치본체(1)은, 윗면(1a) 및 아랫면(1b)가 정방형이고, 좌우의 측면(1c), (1d) 및 전후의 측면(1e), (1f)가 장방형인 편평한 직방체형상을 이룬 것으로서, 그 내부에는 각각 좌측면(1c)쪽에서부터 우측면(1d)쪽을 향해서 뻗은 서로 평행한 유로(2), 필터수납실(3) 및 실린더실(4)가, 앞측면(1e) 쪽에서부터 뒤측면(1f)쪽을 향해서 순차로 형성되어 있다.
유로(2)는, 좌측면(1c)로부터 우측면(1d)까지 관통되어 있고, 서로의 중심선을 일치시켜서 좌측면(1c)로부터 우측면(1d)를 향해서 연달아 설치된, 노즐장착구멍부(2a), 이 노즐장착 구멍부(2a)보다 작은 지름이고,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향함에 따라서 점차 작은 지름으로 되는 테이퍼구멍형상의 축경(縮徑)구멍부(2b), 이 축경구멍부(2b)의 우단부와 동일지름이고, 일정한 지름을 가진 등경(等徑)구멍부(2c), 좌단부가 등경구멍부(2c)와 동일지름이고,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향함에 따라서 점차 지름이 커지는 테이퍼구멍형상의 확경(擴徑) 구멍부(2d) 및 이 확경구멍부(2d)보다 큰 지름의 머플러장착구멍부(2e)로서 구성되어 있다.
노즐장착구멍부(2a)에는, 노즐(5)이 나사맞춤으로 고정되어 있다. 이 노즐(5)의 선단면은, 축경구멍부(2b)의 바로앞까지 뻗어 있고, 압축공기공급원(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공급된 압축공기가, 노즐(5)로부터 분출된 후, 바로 축경구멍부(2b)내로 유입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노즐(5)의 선단부는 노즐장착구멍부(2a)보다 작은 지름으로 되어 있고, 노즐(5)의 선단부와 노즐장착구멍부(2a)의 내주면과의 사이에는 고리형상의 간극(6)이 형성되어 있다.
머플러장착구멍부(2e)에는 머플러(7)가 나사맞춤으로 고정되어 있다. 이 머플러(7)는, 밑바닥을 가진 통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다공질의 소결금속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유로(2)를 통과한 압축공기는, 머플러(7)의 내부를 지나서 외부로 유출하게 되고, 이에 의해서 압축공기가 유로(2)로부터 외부로 유출할때에 발하는 소음을 경감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머플러(7)의 좌단측의 외주면에는, 머플러(7)를 장치본체(1)에 나사맞춤할때에 사용되는 톱니형상의 돌조(7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필터수납실(3)의 좌단부에는, 고무제의 마개(8)가 착탈가능하게 삽입되고, 동우단부에는 플러그(9)가 나사맞춤으로 고정되어 있다. 이 플러그(9)는, 흡착패드등의 부압을 이용하는 기기에 접속된 배관(모두 도시하지 않음)을 접속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중앙부에는, 필터수납실(3)과 외부를 연통하는 관통구멍(유입구멍)(9a)가 형성되어 있다. 또, 필터수납실(3)의 내부에는 필터(10)가 삽입되어 있다. 이 필터(10)는, 다공질소결금속 또는 섬유등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마개(8)와 플러그(10)와의 사이의 필터수납실(3) 내부전체에 걸쳐서 충전되어 있다.
또, 실린더실(4)내의 좌단부에는 피스톤(11)이 기밀적(氣密的)으로 또한 미끄럼이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 피스톤(11)의 우단면에는, 영구자석(12)이 매설고정되어 있다. 또한, 실린더실(4)내의 중앙부에는, 스프링받이부재(13)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이 스프링바디부재(13)는, 스프링(14)의 탄성력에 의해 피스톤(11)의 우단면에 맞닿고 있다. 따라서, 피스톤(11)은, 스프링(14)에 의해 스프링받이부재(13)를 개재해서 오른쪽으로부터 왼쪽을 향해서 가압되어 있으며, 이에 의해서 장치본체(1)의 좌단부에 고정된 스토퍼(15)에 맞닿고 있다.
피스톤(11)이 스토퍼(15)에 맞닿은 상태에서, 영구자석(12)으로부터 소정거리 오른쪽으로 사이가 떨어진 장치본체(1)의 윗면에는, 근접스윗치(검지수단)(16)이 설치되어 있다. 이 근접스윗치(16)는, 피스톤(11)이 스프링(14)의 탄성력에 대항해서 소정거리만큼 오른쪽으로 이동했는지의 여부를 검지하기 위한 것이며, 피스톤(11)이 스토퍼(15)에 맞닿은 상태로부터 소정거리만큼 오른쪽으로 이동하면, 영구자석(12)의 자력에 의해 작동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근접스윗치(16)의 작동에 의해서, 파이롯트, 램프등의 확인수단(도시하지 않음)이 작동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소정거리란, 실린더실(4)내가 소망하는 부압이 되었을때에 피스톤(11)이 스프링(14)에 대항해서 이동하는 거리이다.
또, 상기 장치본체(1)의 내부에는, 일단부가 간극(6)에 임하는 노즐장착구멍부(2a)의 내주면에 개구하고, 타단부가 필터수납실(3)의 좌단부 내주면에 개구하는 흡인구멍(17)이 형성되어 있고, 이 흡인구멍(17)에 의해서 유로(2)와 필터수납실(3)이 연통되어 있다. 또, 필터수납실(3)의 우단부와 실린더실(4)의 우단부와의 사이에는, 그것들을 연통하는 도통(道通)구멍(18)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면중 부호(19)는 장착볼트(도시하지 않음)를 끼워 통하기 위한 볼트 삽입관통구멍이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진공발생장치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노즐(5)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면, 그 압축공기는 축경구멍부(2b)에 고속으로 유입한다. 이때, 압축공기는 간극(6)내의 공기를 수반해서 축경구멍부(2b)내로 유입한다. 그결과 간극(6)내가 부압으로 되고 간극(6)에 흡인구멍(17)을 개재해서 연통된 필터수납실(3)내가 부압으로 된다. 이에 의해, 필터수납실(3)에 플러그(9)를 개재해서 접속된 흡착패드등의 기기내의 공기가 진공흡인된다. 이 흡인된 공기는 필터(10)를 통과할 때에 먼지가 제거되어 흡인구멍(17)을 통해서 간극(6)내로 유입하고, 압축공기와 함께 등경구멍부(2c) 및 확경구멍부(2d)를 통해서 머플러(7)로부터 외부로 유출한다. 또, 필터수납실(3)내가 부압으로 됨에 따라 필터수납실(3)에 도통구멍(18)을 개재해서 연통된 실린더실(4)내가 부압으로 된다. 그리되면, 피스톤(11)이 스프링(14)에 대항해서 오른쪽으로 이동한다. 이 피스톤(11)의 이동에 따라서 영구자석(12)이 오른쪽으로 이동하고, 근접스윗치(16)가 작동한다. 이에 의해서, 파일럿, 램프가 점등하고, 소망의 부압으로 되어 있는 것이 확인된다.
또한, 압축공기의 유량이 부족하거나, 혹은 필터(10)가 과도하게 막혀 있으면, 필터수납실(3)의 우단부내가 소망하는 부압에 이르지 못한다. 그 결과, 필터수납실(3)의 우단부에 연통된 실린더실(4)내도 소망하는 부압에 이르지 못한다. 따라서, 피스톤(11)이 소정의 위치까지 오른쪽으로 이동하지 않고, 근접스윗치(16)가 작동하지 않는다. 이에 의해서, 소망하는 부압을 얻지 못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한 진공발생치에 있어서는, 부압발생부인 유로(2)와, 먼지를 제거하는 부분인 필터(10)와, 검지부인 실린더실(4) 및 피스톤(11)을 장치본체(1)에 내장시킴과 동시에, 그들 각부를 각각 장치본체(1) 내부에 형성한 흡인구멍(17) 및 도통구멍(18)에 의해서 연통시키고 있기 때문에, 종래의 진공발생장치와 같이 배관을 개재해서 각부를 접속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배관의 접속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대폭적으로 경감할 수 있다. 또한 각부를 장치본체(1)내에 형성하고 있으므로, 각각에 대응한, 하우징을 필요로하지 않고, 장치본체(1)만으로 충분한다. 또한, 유로(2), 필터(10)를 수납하는 필터수납실(3) 및 실린더실(4)을 서로 평행으로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그들 사이의 장치본체(1) 내부에 불필요한 부분이 생기는 것을 극력억제할 수 있고, 그에 따라서 장치본체(1) 자체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장치전체의 소형화를 이룰 수 있고, 설치개소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또, 필터수납실(3)을 유로(2)에 따라서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필터(10)를 길게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흡인된 공기를 필터(10)의 길이방향으로 흐르게하고 있기 때문에, 장치전체를 소형화한데 비해서 먼지제거효과를 높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실린더실(4)을 가늘고 길게 형성할 수 있고, 그 내부에 배치하는 스프링(14)의 길이를 길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소정의 부압하에서 피스톤(11)이 이동하는 이동거리를 길게 할 수가 있어, 이에 의해서 검지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마개(8)를 필터수납실(3)에 착탈가능하게 장착하고 있기 때문에, 마개(8)를 떼내고, 필터(10)를 필터수납실(3)으로부터 꺼내므로서, 필터(10)의 세정 또는 교환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유로(2), 필터수납실(3) 및 실린더실(4)의 각 중심선이 한평면상에 위치하도록 배치하고 있으나, 길이방향으로 볼때 각 중심선이 세모골의 정점에 위치하도록 그것들을 배치하여도 된다. 또한, 검지수단으로서, 영구자석(12)에 의해서 작동하는 근접스윗치(16)를 사용하고 있으나, 다른 검지수단, 예를들면 피스톤(11)의 이동에 의해 작동하는 리밋스윗치등을 사용해도 된다. 그러한 경우, 영구자석(12)이 불필요하게 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진공발생장치에 의하면, 장치본체의 내부에 기체가 흐르는 곧바른 유로와, 장치본체의 외면에 개구한 유입구멍이 형성된 진공 발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본체의 내부에, 각각 상기 유로에 따라서 뻗은 필터 수납실과 실린더실을 형성하고, 상기 필터수납실의 일단부를 상기 유로에 연통시켜, 타단부를 상기 유입구멍에 연통시키고, 상기 실린더실의 일단부를 상기 필터수납실의 타단부에 연통시키며, 상기 필터수납실에 필터를 장입하고, 상기 실린더실의 타단부에 탄성부재에 의해 실린더실의 일단부측으로부터 타단부측을 향해서 가압된 피스톤을 미끄럼이동가능하게 설치하고, 또한 이 피스톤이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대항해서 소정위치에 이동한 것을 검지하는 검지수단을 상기 장치본체 부설한 것이므로, 배관시간을 대폭적으로 경감할 수 있고, 또한 장치전체의 소형화를 도모하여, 설치 개소의 자유도를 높일 수가 있고, 또 소형인데 비해 먼지제거효과를 높일 수 있는 동시에, 검지감도를 높일 수 있는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

  1. 장치본체(1)의 내부에, 기체가 흐르는 곧바른 유로(2)와, 장치본체(1)의 외면에 개구한 유입구멍(9a)이 형성된 진공발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본체(1)의 내부에, 각각 상기 유로(2)에 따라서 뻗은 필터수납실(3)과 실린더실(4)을 형성하고, 상기 필터수납실(3)의 일단부를 상기 유로(2)에 연통시키며, 타단부를 상기 유입구멍(9a)에 연통시키고, 상기 실린더실(4)의 일단부를 상기 필터수납실(3)의 타단부에 연통시키며, 상기 필터수납실(3)에 필터(10)를 장입하고, 상기 실린더실(4)의 타단부에 탄성부재(14)에 의해 실린더실(4)의 일단부측으로부터 타단부측을 향해서 가압된 피스톤(11)을 미끄럼이동가능하게 설치하고, 또한 이 피스톤(11)이 탄성부재(14)의 탄성력에 대항해서 소정위치에 이동한 것을 검지하는 검지수단(16)을 상기 장치본체(1)에 부설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진공발생장치.
KR2019880018388U 1987-11-12 1988-11-10 진공발생장치 KR930004774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172058 1987-11-12
JP1987172058U JPH0511987Y2 (ko) 1987-11-12 1987-11-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0379U KR890010379U (ko) 1989-07-08
KR930004774Y1 true KR930004774Y1 (ko) 1993-07-23

Family

ID=15934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18388U KR930004774Y1 (ko) 1987-11-12 1988-11-10 진공발생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511987Y2 (ko)
KR (1) KR930004774Y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7076Y2 (ko) * 1975-07-18 1982-02-10
JPS5649250Y2 (ko) * 1975-09-16 1981-11-17
JPS62107991A (ja) * 1985-11-05 1987-05-1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部品装着装置の装着ヘツ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511987Y2 (ko) 1993-03-25
KR890010379U (ko) 1989-07-08
JPH0179586U (ko) 1989-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7364B1 (ko) 진공발생용 유니트
JP4582484B2 (ja) 真空吸着装置
EP2126384B1 (en) Level compensator having a vacuum pump therein
EP3412920B1 (en) Silencer and ejector in which silencer is used
TWI726334B (zh) 噴射真空泵及密封閥單元
US6729852B2 (en) Vacuum producing device
JP6562312B2 (ja) 粉塵除去装置及び粉塵除去システム
KR100580900B1 (ko) 다수의 진공 발생 유니트
JP2009036096A (ja) 真空発生ユニット
KR20150110498A (ko) 평면 진공 그리퍼
KR930004774Y1 (ko) 진공발생장치
KR20050053339A (ko) 진공발생장치
KR20010101892A (ko) 진공 펌프용 필터와 소음기
JP4124546B2 (ja) フィルタ装置
JPH06330900A (ja) 真空発生装置
JP5411651B2 (ja) 吸着ユニット
JP2554562Y2 (ja) 真空発生器組立体
KR100347369B1 (ko) 마운터 헤드
SU1131641A1 (ru) Вакуумный захват
JPH0744467Y2 (ja) 吸着装置
KR850000847Y1 (ko) 진공 발생장치
JP2004293358A (ja) 真空発生装置
JP2009097403A (ja) 真空発生装置
JP2891763B2 (ja) エゼクタ装置
JP2549907Y2 (ja) 急速真空解除機能付真空発生器組立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70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