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4757B1 - 엘리베이터 시스템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4757B1
KR930004757B1 KR1019840005323A KR840005323A KR930004757B1 KR 930004757 B1 KR930004757 B1 KR 930004757B1 KR 1019840005323 A KR1019840005323 A KR 1019840005323A KR 840005323 A KR840005323 A KR 840005323A KR 930004757 B1 KR930004757 B1 KR 9300047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ler
hall lantern
car
hall
lan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5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2089A (ko
Inventor
알. 디른버거 라이너스
엘. 후산 알렌
제이. 브리크 마이클
Original Assignee
인벤티오 아게
하. 라이흐무쓰 · 알. 쯔빈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벤티오 아게, 하. 라이흐무쓰 · 알. 쯔빈덴 filed Critical 인벤티오 아게
Publication of KR8500020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20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47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47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66B3/02Position or depth indicators

Landscapes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시스템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계통도.
제2도는 제1도에서 블록 형태로 도시된 홀 랜턴 제어기로서 사용될 수 있는 홀 랜턴 제어기에 대한 부분 계통·블록도.
제3도는 제1도에서 블록 형태로 도시된 카아 제어기로서 사용될 수 있는 카아 제어기의 부분 계통·블록도.
제4도는 홀 랜턴 모듈에 의해 기억된 각종 신호들과 표들을 예시한 카아 제어기 RAM의 RAM 맵.
제5도는 홀 랜턴 제어기에 의해 기억된 신호들을 예시한 홀 제어기 RAM의 RAM 맵.
제6도는 홀 랜턴이 점등되어야 할 시기를 지정하도록, 카아 제어기의 RUN 기능에 행하여질 수 있는 변형에 대한 플로우 챠아트.
제7도는 홀 랜턴이 소등되어야 할 시기를 지정하도록, 카아 제어기의 LAND 기능에 행하여질 수 있는 변형에 대한 플로우 챠아트.
제8도는 제6도 및 제7도에 기재된 플로우 챠아트에 의해 명령을 받아서 우선 순위 실행에 의해 운용되는 홀 랜턴 모듈에 대한 플로우 챠아트.
제9도는 각 홀 랜턴 제어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플로우 챠아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구동기구 32 : 펄스 제어부
38 : 카아 호출 제어부 40 : 홀 호출 제어부
52 : 도어 작동자 60 : 카아 제어기
72 : 카아 위치 카운터(RAM) 74 : 층 높이표(ROM)
88,98,108 : 홀 랜턴 제어기 97 : 상·하향 홀 랜턴
132 : CPU 134 : 타이밍부
136 : RAM 138 : ROM
142 : 병렬 입력 포오트 143 : 8비트 섬 스위치
144 : 병렬 출력 포오트 154 : D. C. 조절기
160,162 : 광학 격리기 192 : 직렬 인터페이스
194 : 데이타 버스 196 : 버스 트랜시버
200 : 인터럽트 제어기 202 : 간격 타이머
204 : 클럭 206 : 출력 버퍼
212 : 입력 버퍼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홀 랜턴(Hall Lantern : H.L.)을 조작하기 위한 개량된 구성을 갖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빌딩의 각 중간층에 사용되는 통상의 홀 랜턴은 각 엘리베이터 카아(car)에 대하여 두개의 램프와 한개의 공(gong)을 갖추고 있다. 한편, 끝층은 각각 한개의 램프와 한개의 공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카아당 두개의 병렬 와이어(wire)가 각 중간층에 필요하며, 그 밖에 공통 와이어가 필요하게 된다. 이로 말미암아 승강 통로에 다수의 병렬 와이어가 설치되어야 함으로, 초기 설치시에 와이어링 코스트가 실질적으로 증가되며, 고장 수리에 시간이 소모되고 그 비용이 많이 들게 된다.
본 출원과 동일한 양수인에게 양도된 영국 특허증 제1473519호에 도시된 구성과 같은 매트릭스(matrix)구성은 승강 통로에 필요한 와이어링을 감소시키도록 개발되어 왔으나, 이 매트릭스는 비교적 복잡하고 가격이 높은 와이어링 패턴이다.
본 발명의 주 목적은 복잡한 와이어링 패턴을 필요로 하는 바와 같은 홀 랜턴에 필요한 승강 통로 와이어링을 감소시키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홀 랜턴 구성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상, 본 발명은 다수층이 있는 빌딩에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이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상기 빌딩에서 이동을 위해 장착된 엘리베이터 카아와, 상기 빌딩의 층들을 운행하도록 상기 엘리베이터 카아에 지시하기 위한 카아 제어기 수단과, 상기 엘리베이타 카아가 운행하는 각 층에 있는 홀 램프 수단과, 관련 홀 램프 수단을 선택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상기 엘리베이터 카아가 운행하는 각 층에 있는 홀 랜턴 제어기 수단과, 상기 엘리베이터 카아가 운행하는 각 층을 지나 뻗어 있는 직렬 홀 랜턴 상승 와이어 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홀 랜턴 제어기 수단 각각은 상기 홀 랜턴 상승 와이어 수단에 가해진 신호를 수신하도록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카아 제어기 수단은 상기 홀 랜턴 상승 와이어 수단을 통해 각각 상기 홀 랜턴 제어기 수단중 선정된 것 하나를 식별하는 직렬 메세지를 전송하기 위한 수단(TxD) 및 식별된 홀 랜턴 제어기 수단을 위한 명령을 포함하며, 상기 홀 랜턴 제어기 수단 각각은 자신의 메세지를 인식하기 위한 수단과 관련 명령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을 참조로한 다음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쉽게 이해될 것이다.
개략적으로 말하여, 본 명세서는 빌딩의 각 층에 있는 홀 랜턴이 홀 랜턴 제어기에 의해 제어되며, 엘리베이터 카아 제어기와 홀 랜턴 제어기 간의 통신이 직렬 방식인 개량된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기재하고 있다. 카아 제어기와 홀 랜턴 제어기들간의 전 이중(쌍방)통신을 위해 승강 통로에는 단지 3개의 와이어만 필요하다.
복잡한 와이어링 패턴은 각 홀 랜턴 제어기에 마이크로 컴퓨터를 활용함으로써 해소된다. 각 홀 랜턴 제어기에 대한 논리나 정보는 리이드 온리 메모리(ROM)에 기억되며, 그 논리는 각 층에 대하여 동일한다. 따라서 ROM들은 상호 교환 가능하다. 각 홀 랜턴 제어기는 8비트 DIP(Dual Inline Package) 스위치를 구비하고 있다. 각 스위치는 설치시에 관령층의 2진 어드레스에 세트되고, 그 층 어드레스는 각 홀 랜턴 제어기를 위한 유일한 식별 코드로서 기능한다. 카아 제어기에 있어 필요한 유일한 변형은 그것의 동작 프로그램에 홀 랜턴 모듈을 첨가하는 것이며, 이 프로그램은 층 선택기가 홀 랜턴 제어신호를 공급할때 명령을 받게 된다. 그러면, 홀 랜턴 모듈은 적당한 차례를 밟아 우선 순위 실행(Priority Executive : P.E.)에 의해 운용된다.
카아 제어기의 홀 랜턴 모듈은 함께 통신되어질 홀 랜턴 제어기의 특유의 층 어드레스 또는 식별 코드를 사용하여, 특정의 홀 랜턴 제어기에 대한 명령을 준비한다. 모든 홀 랜턴 제어기들은 직렬 통신 링크를 일정하게 감시하고, 카아 제어기에 의해 메세지가 링크상에 놓일때, 각 홀 랜턴 제어기는 자신의 특유의 어드레스를 메세지의 어드레스 부분과 비교한다. 메세지 어드레스가 홀 랜턴 제어기의 특유의 어드레스와 일치할때, 관련 홀 랜턴 제어기는 메세지의 나머지 부분에 응답하고, 패리티를 검사하며, 어떠한 전송 에러도 검출되지 않을때 메세지의 명령부에 응답한다.“상향 홀 랜턴을 켜라”, “하향 홀 랜턴을 켜라”“홀 랜턴을 꺼라”와 같은 명령들이 수행된 후, 홀 랜턴 제어기는 메세지를 다시 카아 제어기로 보내고 그 명령의 수신과 수행을 확인한다.
홀 랜턴 제어기가 에러를 검출하면, 관련 홀 랜턴 제어기는 카아 제어기로 무효 수신을 나타내는 메세지를 송출하고, 카아 제어기는 직렬 통신 링크를 통해 동일 메세지를 재전송함으로써 응답한다.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시스템용의 개선된 홀 랜턴 장치에 관한 것이며, 본 발명의 이해와 관련된 엘리베이터 시스템 부분만을 예시하여 기재될 것이다. 그외의 부가적인 것은 본 출원과 동일한 양수인에게 양도된 영국 특허증 제1436743호 및 제1468061호를 참조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는바, 전자의 영국 특허는 층 선택기와 속도 패턴 발생기를 갖춘 카아 제어기를 기재하고 있다. 이 특허의 층 선택기는 본 발명의 홀 랜턴 제어에 의해 사용되는 어떤 신호들을 공급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영국 특허 제1468061호는 명령 배열과, 프로그램 모듈 명령을 주고 현재 명령된 최고 우선 순위 프로그램에 따라 그들을 운용하는 우선 순위 실행에 관하여 기재하고 있다.
이제 도면을 참조하면, 제1도는 본 발명의 내용에 따라 구성된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계통도이고, 제2도 및 3도는 블록 형태로 도시된 제1도의 부분에 대한 확장도이다.
제1도는 엘리베이터 카아(12)를 갖춘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예시한 것으로, 그 카아의 이동은 카아 제어기(60)에 의해 제어되고, 이 제어기(60)는 시스템이 그룹 감시 제어하에 있을때에는 시스템 처리기(도시 생략)에 의해 제어될 수도 있다. 카아 제어기(60)는 층 선택기와 속도 패턴 발생기를 구비하고 있다. 그 층 선택기는 영국 특허증 제1436743호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을 이해하는데에는 층 선택기가 도어 제어부(52)에 대한 신호들을 공급하는 것이외에 홀 랜턴 제어부(68)에 의해 사용되는 신호
Figure kpo00001
,
Figure kpo00002
Figure kpo00003
를 공급한다는 것을 아는 것으로 충분한다. 신호
Figure kpo00004
Figure kpo00005
는 홀 랜턴 인에이블 신호로서, 참(true)일때 각각 상향 및 하향 홀 랜턴이 조명되어야 함을 가리킨다. 신호
Figure kpo00006
는 층 선택기가 엘리베이터 카아(12)가 상향 이동할때 어느 한 층에서 중지하도록 감속하기 시작하여야 한다는 것을 검출할때 저레벨(low level) 혹은 참으로 전환한다. 신호
Figure kpo00007
는 엘리베이터 카아(12)가 하향으로 이동할때 어느 한 층에서 감속과 중지를 시작하여야 할때 저레벨 혹은 참으로 전환한다. 신호
Figure kpo00008
은 엘리베이터 카아(12)가 한 착지 위치(landing position)에서 중지되고, 도어 불간섭 기간이 경과한때 저레벨 혹은 참으로 전환한다. 신호
Figure kpo00009
은 도어 폐쇄를 개시하는데 사용되고 또한 홀 랜턴을 끄는 신호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카아(12)는 복수의 층 또는 착지 위치(단지 1층, 2층 및 맨 윗층만이 도시되어 있음)를 갖는 구조체(14)에 대해 이동하기 위한 승강 통로(13)에 장착된다. 카아(12)는 구동기구(20)의 축상에 장착된 견인 활차(18)를 거쳐 동여매진 복수의 와이어 로우프(16)에 의해 지지된다. 구동 기구(20)는 원하는 바에 따라 AC 구동 모터를 가진 AC 시스템이거나 혹은 DC 구동 모터를 가진 DC 시스템일 수도 있다. 적당한 구동 기구(20)는 그것의 관련 폐루우프 궤한 제어와 함께 본 출원과 동일한 양수인에게 양도된 특허증 제2055258호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균형추(22)는 로우프(16)의 다른 종단에 연결된다. 카아(12)에 연결된 조속기 로우프(24)는 승강 통로(13)에서 카아(12)의 최고 이동점 위에 위치한 조속기 활차(26) 주위와 승강 통로의 바닥에 위치한 풀리(28) 위에 동여 매진다. 픽업(30)은 조속기 활차(26) 또는 조속기 활차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분리된 충격 휠에 있는, 외주상에서 이격되어 있는 개구(26a)를 통해 엘리베이터 카아(12)의 이동을 검출하도록 배치된다. 개구(26a)는 엘리베이터 카아(12)의 이동에 있어서의 각 표준 중분에 대한 펄스, 이를테면 각각의 0.635cm(.25인치)의 카아 이동에 대한 펄스를 제공하도록 이격되어 있다. 픽업(30)은 어떤 적당한 형태, 이를테면 광학형 또는 자기형일 수 있다. 픽업(30)은 카아 제어기(60)에 대해 거리 펄스를 공급하는 펄스 제어부(32)에 접속된다.
카아(12)에 장착된 푸시버튼 배열(36)에 의해 등록된 카아 호출은 카아 호출 제어부(38)에 의해 처리되고 그 결과의 정보는 카아 제어기(60)로 향하게 된다.
홀 통로에 장착된 푸시버튼, 예컨대 1층에 위치한 상향 푸시버튼 (40), 맨 윗층에 위치한 하향 푸시버튼(44) 및 2층과 다른 중간층에 위치한 상향·하향 푸시버튼(44)에 의해 등록된 홀 호출은 홀 호출 제어부(46)에서 처리된다. 그 처리된 결과의 홀 호출 정보는 카아 제어기(60)로 향하게 된다.
카아 제어기(60)는 승강통로(13)내의 카아(12)의 정확한 위치에 관한 정보를 유출하도록,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72)에 유지된 카운터와 같은 업/다운 카운터에서 펄스 검출기(32)로부터의 거리 펄스를 표준 증분의 분할에 따라 표로 만든다. 카아(12)가 맨 아랫층과 나란히 있을때, POS16로 칭해지는 카아 위치 계수는 영이다. 카아가 각 층과 나란히 있을때의 POS16의 계수는 관련층에 대한 제1어드레스로서 사용된다. 표준 증분에 따른 층 높이 표는 리이드 온리 메모리(ROM)(74)에 유지될 수 있다.
표준 증분에 따라 전진된 카아 위치는 엘리베이터 카아의 현재 속도에 대하여 필요한 감속 거리에 일치하는 계수값을 가산 또는 감산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전진된 카아 위치가 층 높이 표에서의 층 어드레스와 일치할때, 카아는 그 층이 목표층이라면 즉시 감속을 개시하여야 한다. 이것은 적절한 홀 랜턴이 인에이블 또는 켜지게 될 시점이다. 만일 그 층이 목표층이 아니라면, AVP층, 또는 AVP로 칭해지는 엘리베이터 카아(12)에 대해 전진된 층 위치가 이동 방향에 따라 증분되거나 감분되어야 한다. 전진된 층 위치 AVP(Advanced Floor Position)는 선정된 감속 계획에 따라 카아가 중지할 수 있는 이동 방향에서 엘리베이터 카아(12) 앞의 가장 가까운 층이다. 앞서 언급한 목표층은 카아(12)가 카아 호출 또는 홀 호출에 응답하거나 또는 단순히 정지하도록 중지하여야 하는 층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홀 랜턴 제어부(68)은 직렬 홀 랜턴 상승 와이어(80), 램프 및 공과 같은 각 층의 홀 랜턴 수단 및 각 층의 홀 랜턴 제어기를 갖추고 있다 예를들어, 맨 아랫층, 즉 1층은 홀 랜턴 수단(81)과 홀 랜턴 제어기(88)를 갖추고 있다. 이 홀 랜턴 수단(81)은 형광등과 같은 상향 홀 램프(82)나 상향 화살표(84)를 조명할 수 있는 다른 적당한 가시적 전자기 방사선 소스와, 공(86)이나 다른 적당한 가청 표시기를 구비할 수도 있다. 맨 윗층은 홀 랜턴 수단(89) 및 홀 랜턴 제어기(96)를 갖추고 있다. 이 홀 랜턴 수단(89)은 하향 화살표(92)를 조명하는 하향 램프(90)와 공(94)를 구비하고 있다. 2층 및 다른 중간층은 홀 랜턴 수단(97) 및 홀 랜턴 제어기(108)를 갖추고 있다. 그 홀 랜턴 수단(97)은 각각 상향 및 하향 화살표(102, 104)를 조명하는 상향 및 하향 램프(98, 100)와, 공(106)을 갖추고 있다.
각 홀 랜턴 제어기는 그것의 관련층에 있는 홀 랜턴 램프의 활성화를 제어한다. 예를들어, AC 소스와 같은 공통 소스(110)와 각 램프용의 솔리드 스테이트 스위치(solid state switch), 이를테면 1층용의 스위치(112)와 맨 윗층용의 스위치(114), 그리고 2층용의 스위치(116, 118)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들어, 스위치(116)는 소스(110) 양단에 램프(98)와 공(106)을 접속하는 반면, 스위치(118)는 소스(110) 양단에 램프(100)와 공(106)을 접속한다. 솔리드 스테이트 스위치는 게이트 구동 전류가 게이트 전극에 인가될때 온되고 게이트 구동의 제거를 수반하는 처음의 영교차 전압에서 오프되는 트라이액일 수도 있다. 그 게이트 전극은 관련 홀 랜턴 제어기에 의해 제어되는데, 그 홀 랜턴 제어기는 램프가 활성화되어야 할때 게이트 구동전류를 공급하고 램프가 비활성화 되어야 할때 게이트 구동 전류를 제거한다.
각종 홀 랜턴 제어기가 그것의 관련 층에 위치하며, 그 모든 제어기는 직렬 홀 랜턴 상승 와이어(80)를 거쳐 명령 신호를 수신한다. 홀 랜턴 상승 와이어(80)는 카아 제어기(60)로부터 복수의 홀 랜턴 제어기로의 직렬 메세지 전송을 위한 도체(120)와, 홀 랜턴 제어기로부터 카아 제어기(60)로의 직렬 메세지 전송을 위한 도체(122)와, 공통 도체(124)를 갖추고 있다. 도체(120, 122, 124)는 각 홀 랜턴 제어기에 용이하게 접속하기 위해서 기관실에 위치할 수도 있는 카아 제어기(60)로부터 승강 통로(13)를 통해 모든 층을 지나 연장된다. 그 홀 랜턴 제어기들은 유사한 구조이므로, 2층용의 홀 랜턴 제어기(108)만을 상세히 도시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각 홀 랜턴 제어기는 제2도에 도시한 것처럼 디지탈 컴퓨터(130), 특히 인텔 8748형과 같은 단일 칩 마이크로 컴퓨터(130)로서 구성하는 것이 좋다. 마이크로 컴퓨터(130)는, 예를들어, 중앙 처리 장치(CPU)(132), 시스템 타이밍 혹은 클럭(134),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136), 리이드 온리 메모리(RON)(138), 상승 와이어(80)와 통신하기 위한 직렬 인터페이스(140) 그리고 관련 홀 랜턴 또는 램프의 상태를 제어하기위한 래치 가능한 출력을 갖는 병렬 출력 포오트(144)를 갖추고 있다.
각 홀 랜턴 제어기에 대한 특유의 식별 코드는 일반적으로 부호 148로 표시된 8개의 저항기를 거쳐 단방향성 전위의 소스(146)에 접속되는 8비트 섬(thumb) DIP 스위치(143)에 의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방향성 전위는 AC 소스(110)에 접속된 변압기(150), 전파·단극 브릿지 정류기(152) 및 DC 조절기(154)를 가진 제1도에 도시된 소스(146)에 의해 제공될 수도 있다.
직렬 데이타 상승 와이어(80)의 도체(120)는 RS422 헤더(155), 입력 저항(156, 158) 및 HP4 N30과 같은 광학 격리기(160)를 거쳐 직렬 인터페이스(140)의 입력 단자 RxD에 접속된다. 입력 저항(156, 158)은 그것의 적절한 값을 선택함으로써 상승 와이어(80)상의 어떤 소정의 전압을 사용하는 것을 가능케 한다. 직렬 인터페이스(140)의 출력 단자 TxD는 광학 격리기(162)와 RS422 헤더(163)를 거쳐 상승 와이어(80)의 도체(122)에 접속된다.
소스(110) 전압의 반사이클마다 새로운 게이트 구동 신호를 공급할 필요없이 선택된 솔리드 스테이트 스위치에 대한 게이트 구동 전류를 유지하기 위해서 병렬 출력 포오트(144)는 래치 가능한 출력을 갖는 형태이거나, 플립플롭과 같은 적당한 메모리 장치와 결합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예시 목적상, 병렬 포오트가 래치 가능한 츨력 A와 B를 가지고 있다고 가정한다. 출력 A는 솔리드 스테이트 스위치(116)의 게이트 전극에 접속되고 출력 B는 솔리드 스테이트 스위치(118)의 게이트 전극에 접속된다. 램프(98)가 활성화 되어야 할때, CPU(132)는 논리 1 레벨로 출력 A를 래치하는 병렬 출력 포오트(144)에 신호를 공급한다. CPU는 램프(100)를 이와 비숫한 방식으로 제어하는바, 병렬 출력 포오트(144)의 출력 포오트 B는 램프(100)가 활성될때 논리 1 레벨에서 래치되게 된다. 공(106)은 관련 램프가 처음 활성화될때 울린다. 만일 공을 하향과 같은 이동 방향에 대하여 2번 그리고 반대 방향에 대하여는 1번 울리길 원한다면, CPU(132)는 두가지 소리가 발생되어야 할때 연속해서 관련 래치를 두번 세트시킬 것이다.
제3도는 직렬 통신 홀 랜턴 상승 와이어(80)와 카아 제어기(60)에 대한 그것의 접속부를 예시한 부분 계통 블록도이다. 카아 제어기(60)는 인텔 8085A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같은 CPU(184)를 가진 인텔 iSBC80/24tm과 같은 단일 보오드 마이크로 컴퓨터(183)를 구비하고 있다. 인텔 8024와 같은 클럭(186)은 시스템 타이밍을 제공한다. 마이크로 컴퓨터(183)는 또한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188), 리드 온리 메모리(ROM)(190) 및 인텔 8251A와 같은 직렬 인터페이스(192)를 갖추고 있다. CPU(184)는 데이타 버스(194)를 거쳐 RAM(188) 및 다수의 다른 기능부와 통신한다. 인텔 8287와 같은 버스 트랜시버, 즉 버스 송수신기(196)는 ROM(190) 및 직렬 인터페이스(192)와 작용하는 버스(198)를 버스(194)와 인터베이스 시킨다.
CPU(184)는 그것의 온 보오드 인터럽트 입력을 통해 직접 인터럽트 구동되고, 어떤 부가 인터럽트는 인텔 8259A와 같은 인터럽트 제어기(200)를 통해 처리된다. 인텔 8253과 같은 간격 타이머(202) 및 인텔 8244와 같은 클럭(204)은 인터페이스(192)를 위한 타이밍을 제공한고 또한 인터럽트 제어기(200)에 대한 부가 인터럽트를 제공한다.
직렬 인터페이스(192)는 정보를 전송할 준비가 되어 있을때 인터럽트 제어기(20)에 인터럽트 요청을 제공하며 또한 정보를 수신하고 그 정보를 CPU(184)에 의해 마련될 메모리 어드레스에 전달할 준비가 되어 있을때 인터럽트 요청을 제공한다.
직렬 인터페이스 (192)는 버퍼 또는 구동기(206) 및 RS422 헤더(208)에 접속되는 직렬 출력 포오트 TxD를 구비하고 있다. 구동기(206)는 모토로라 MC34878일 수 있다. 헤더(208)는 홀 랜턴 상승 와이어(80)의 도체(120) 및 (124)에 접속된다. 직렬 인터페이스(192)는 또한 직렬 입력 포오트 RxD를 포함한다. 홀 랜턴 상승 와이어(80)의 도체(122, 124)는 RS422 헤더(210) 및 버퍼 또는 수신기 (212)를 통해 입력 포오트 RxD에 연결된다. 이 수신기(212)는 모토로라 MC34868일 수 있다. 클럭(204), 간격 타이머(202), 직렬 인터페이스(192), 구동기(206), 수신기(212) 및 헤더(208, 210)는 80/24 보오드에 플러그로 끼워지는 인텔 iSBx351+m직렬 모듈+m보오드와 같은 분리된 보오드상에 장착된다.
제4도 및 5도는 카아 제어기(60) 및 홀 랜턴 제어기(108)의 각 RAM(188, 136)의 RAM 맵 형식 포맷을 기재한 것으로, ROM(190, 138)에 기억된 프로그램에 관계된 나머지 도면을 기술할때에도 참조로 쓰인다.
카아 제어기(60)의 동작 프로그램중 어떤 것은 그것을 실행할 필요성이 있을 경우에만 실행되는 독립 모듈의 형태인데, 하나 이상의 모듈이 임의의 시간에 동시에 실행될 필요성이 있을때 선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실행된다. 특정 모듈에 대한 실행의 필요성이 이를테면 다른 모듈 또는 하드웨어 인터럽트에 의해 검출될때, 프로그램은 명령을 받게 된다. 제4도는 모듈 명령표에 대한 예시적인 형식을 기재한 것이다. 그 모듈은 또한 그것의 실행 완료시에 자체적으로 명령을 내릴 수 있다. 선정된 우선 순위로 명령을 받는 모듈을 링크하기 위한 프로그램은 우선 순위 실행 프로그램이라 불리는데, 이러한 구성은 영국 특허 제1468061호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제6도는 엘리베이터 카아(12)의 각 운행을 제어하는 카아 제어기(60)의 RUN 모듈(실행 모듈)의 플로우 챠아트이다. RUN 모듈 또는 영국 특허 제1436743호에 도시된 등가 하드웨어 논리 기능부는 각각 상향 및 하향 랜턴이 조명되어야 할때 참(true) 신호
Figure kpo00010
Figure kpo00011
를 제공한다. 이 신호들은 제4도에 도시된 RAM(188)에 기억된다. 제4도의 RAM(188)에 도시된 플래그 HLON은 홀 랜턴 모듈이 명령을 받았을때를 지시하는데 사용된다. 제8도에 도시된 홀 랜턴 모듈은 홀 랜턴이 켜지거나 꺼질때 실행되는데, 그것은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좀더 구체적으로 말하여, 제6도의 RUN 모듈은 스텝(220)으로 진입하고 그것의 실행동안, 플래그 HLON의 상태를 검사하는 스텝(222)이 진행된다. 플래그 HLON이 세트되지 않으면, 그것을 홀 랜턴 모듈이 명령을 받지 않았음을 의미하며, 프로그램은 그것이 명령을 받아야 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검사를 진행한다. 스텝(224)은 상향 홀 랜턴을 켜라는 요구를 지시하면서
Figure kpo00012
가 참인지 알아보기 위해 검사한다. 만일 그것이 참이 아니면, 스텝(226)은 신호
Figure kpo00013
를 검사한다. 그리고 그것이 참이 아니면, 프로그램은 모듈의 홀 랜턴 부분을 끝맺으면서 터미날(228)로 진행한다. RUN 모듈은 결과적으로 그것의 실행을 완료하고 출구(230)에서 우선 순위 실행(P.E.)으로 돌아간다. 만일 스텝(224)에서 신호
Figure kpo00014
가 참인 것을 발견하면, 스텝(232)는 RAM(188)(제4도)에 기억된 상향을 홀 랜턴 상태를 검사한다. 만일 그것이 이미 온 상태라면, 스텝(232)는 터미날(228)로 진행한다. 한편 온 상태가 아니라면, 스텝(234)은 제4도에 도시된 명령표의 영 비트 위치를 세트함으로써 홀 랜턴 모듈에 명령을 내리며, 제4도에 도시한 플래그 HLON을 홀 랜턴 모듈이 명령을 받았음을 의미하도록 세트시킨다. 스텝(34)은 터미날(228)로 진행한다.
만일 스텝(226)이 신호
Figure kpo00015
를 참으로 발견하면, 스텝(236)은 하향 홀 랜턴의 상태를 검사하고, 그것이 이미 온 상태이면 터미날(228)로 진행하고, 온 상태가 아니라면 스텝(234)으로 진행한다. 만일 스텝(222)이 플래그 HLON을 세트로 발견하면, 프로그램은 홀 랜턴 모듈이 실행되어 적절한 홀 랜턴이 조명되었는가를 판단한다. 스텝(238)은
Figure kpo00016
가 참인지 알아보기 위해 검사한다. 만일 참이라면, 스텝(240)은 RAM(188)(제4도)에 기억된 상향 홀 랜턴의 상태를 검사한다. 만일 그것이 온 상태가 아니라면, 스텝(240)은 터미날(228)로 진행한다. 반면에 온 상태라면, 스텝(24)은 플래그 HLON을 리세트시키는 스텝(242)로 진행한다. 스텝(242)은 터미날(228)로 진행한다.
스텝(238)이
Figure kpo00017
가 참이 아니라는 것을 발견하면, 신호
Figure kpo00018
가 참이 되어야 하고 스텝(244)은 하향 홀 랜턴의 상태를 검사한다. 만일 그것이 온 상태가 아니라면, 스텝(244)은 터미날(228)로 진행하며, 그것이 온 상태라면, 플래그 HLON은 스텝(242)에서 리세트된다.
프로그램이 실행된 다음에, 스텝(222)은 플래그 HLON이 세트되지 않고, 신호 또는
Figure kpo00019
또는
Figure kpo00020
중 하나가 참이고 또 관련 홀 랜턴이 온인 것을 발견할 것이고, 단순히 스텝(234)를 우회할 것이다.
카아(12)가 어떤 층에서 정지할때, 제7도에 도시한 LAND(착지) 프로그램 모듈이 주기적으로 실행될 것이다. 다른 것들 중에서 LAND 모듈은 제8도에 도시된 홀 랜턴 모듈이 홀 랜턴을 끄기 위해 명령을 받아야 할때를 결정하도록 검사한다. 이 모듈은 홀 랜턴 인에이블 신호
Figure kpo00021
또는
Figure kpo00022
를 감시하거나, 도어 폐쇄 요구
Figure kpo00023
를 감시하는데, 이 도어 폐쇄 요구
Figure kpo00024
는 도어 작동자에게 카아 및 승강 도어를 폐쇄하도록 요구하기 위해 저레벨 또는 참으로 구동된다. 활성화된 홀 랜턴은 도어가 폐쇄되도록 요구될시 꺼져야 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말하여, LAND모듈은 단계(250)으로 진입하고 스텝(252)은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RAM(188)에 기억된 플래그 HLOFF를 검사한다. 플래그 HLOFF는 홀 랜턴이 꺼져야 하고 제8도에 도시된 홀 랜턴 모듈이 이러한 기능을 완성하도록 명령을 받아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게끔 세트된다. 이러한 점에서, 스텝(252)은 플래그 HLOFF가 세트되지 않은 것을 발견하고, 스텝(254)은 이를테면 제4도에 도시된 RAM의 상태표를 검사하는 것으로써 홀 랜턴의 상태를 검사한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만일 홀 랜턴 온 상태이면, 스텝(256)은 신호
Figure kpo00025
이 참인지 알아보도록 RAM(188)을 검사한다. 만일 그것이 참이라면, 스텝(258)은 RAM(188)내의 모듈 명령표의 영 비트 위치를 세트시킴으로써 홀 랜턴 모듈에 명령을 주고, 플래그 HLOFF를 세트시키고 RAM(188)에서
Figure kpo00026
Figure kpo00027
를 리세트시킨다. 스텝(258)은 터미날(260)로 진행되고, 결과적으로 출구 터미날(262)로 진행된다. 만일 스텝(256)이 신호
Figure kpo00028
이 참이 아니라는 것을 발견하면, 그것은 스텝(258)을 우회하여 터미날(260)로 진행한다.
스텝(252)이 플래그 HLOFF가 세트되지 않았다고 발견하고 동시에 스텝(254)이 홀 랜턴이 모두 꺼졌다는 것을 발견하면, 스텝(254)은 터미날(26)로 진행한다.
스텝(252)이 플래그 HLOFF가 세트된 것으로 발견하면, 스텝(264)은 RAM(188)기억된 홀 랜턴의 상태를 검사한다. 만일 홀 랜턴이 온 상태이면, 스텝(264)은 터미날(260)로 진행한다. 한편 모든 홀 랜턴이 꺼져 있으면, 스텝(264)은 플래그 HLOFF를 리세트 시키는 스텝(266)으로 진행한다.
제8도에 도시된 카아 제어기(60)의 홀 랜턴 모듈은 일단 각각 제6 및 7도에 도시된 RUN 또는 LAND 모듈에 의해 명령을 받게 되면 적절한 우선 순위에 따라 실행된다. 그것은 터미날(270)로 진입하고, 스텝(272)은 신호
Figure kpo00029
가 참인지 알아보도록 RAM(188)을 검사한다. 만일 참이라면, 스텝(274)는 방향 문자를“업(up : 상향)”으로 그리고 상태 문자를“온(on)”으로 세트시킴으로써 RAM(188)에 적절한 홀 랜턴 출력 워어드를 준비한다. 아울러 스텝(276)은 카아(12)가 정지할 층인 RAM(188)의 AVP층을 검사함으로써 홀 랜턴 출력 워어드를 준비하고, 2진수의 층 번호를 RAM(188)내의 적절한 홀 랜턴 워어드로 로딩한다. 스텝(276)은 또한 RAM(188)의 소프트웨어 카운터 NAK를 설정된 계수치, 예컨대 3으로 세트시킨다. 스텝(278)은 직렬 인터페이스(192)가 그것이 전송할 준비가 되어 있다는 것을 지시할때 출력 워어드를 직렬 인터페이스(192)로 보낸다. 그것은 이러한 지시를 적절한 인터럽트 라인을 거쳐 인터럽트 제어기(200)로 보낼수도 있다. 스텝(278)은 또한 RAM(188)의 홀 랜턴 모듈“명령(bid)”을 리세트 시키고 간격 타이머(202)를 개시시킨다. 간격 타이머(202)는 프리세트 시간의 종료시에 인터럽트를 발생하도록 프로그램될 것이다. 만일 카아 제어기의 홀 랜턴 모듈이 인터럽트가 간격 타이머(202)로부터 발생할때까지 메세지를 수신하였다는 확인을 통고하지 않게 되면, 그 메세지는 반복될 것이다. 그 다음에 스텝(278)은 단계(280)으로 표시된 P.E.로 돌아간다.
홀 랜턴 인터럽트는 터미날(282)로 유도될 것이다. 홀 랜턴 인터럽트는 다음 세가지 것중 하나를 의미한다. : (1) 홀 랜턴 제어기로부터 아무런 응답도 수신되지 않았고 상기 인터럽트 간격 타이머에 의해 발생되었다 ; (2) 홀 랜턴 제어기가 메세지가 그것에 어드레스 지정되었지만 패리티 에러가 검출되었음을 인식하였다는 것을 지시하는 응답 NAK(Negative Acknowledge : 부정 응답)가 홀 랜턴 제어기로부터 수신되었다 ; (3) 메세지가 홀 랜턴 제어기로 향하는 것으로 인식한 응답 ACK(Acknowledge : 긍정 응답)가 홀랜턴 제어기로부터 수신되었으며, 아무런 에러도 검출되지 않았고, 그리고 홀 랜턴 제어기가 그 요구된 명령을 수행하였다. 따라서, 스텝(284)은 NAK 메세지가 수신되었는지 알아보도록 검사한다. 만일 수신되었다면, 스텝(286)은 NAK 계수치를 감분시킨다. NAK 카운터는 전송에 있어 어떤 오기능이 발생한 경우에 프로그램이 메세지 반복 루우프로부터 중단되었음을 확실히 한다. 스텝(288)은 NAK 계수치가 영으로 감분되었는지 알아보도록 검사한다. 만일 감분되지 않았으면, 스텝(278)은 메세지를 반복한다. NAK 계수치가 영이라면, 메세지는 반복되지 않는다. 스텝(288)은 터미날(280)로 직접 진행하거나, 문제가 발생되었음을 관리인에게 알릴 적절한 스텝으로 우선 진행한다.
그것이 NAK 원인 인터럽트(NAK에 의해 발생된 인터럽트)가 아니었다는 것을 스텝(284)이 발견한다면, 스텝(290)은 그것이 적절한 층과 관련된 홀 랜턴 제어기로부터의 ACK 원인 인터럽트(ACK에 의해 발생된 인터럽트)였는지 알아보도록 검사한다. 만일 그렇지 않으면, 그것이 간격 타이머(202)로부터의 인터럽트이었거나, 응답이 어드레스 지정된 홀 랜턴 제어기로부터 나온 것이 아니며, 스텝(290)은 스텝(286)으로 진행한다.
스텝(290)이 정확한 홀 랜턴 제어기로부터 ACK 인터럽트를 발견한다면, 스텝(292)은 RAM(188)(제4도)에 기억된 홀 랜턴 상태표에서 문제의 홀 랜턴의 상태를 갱신하고, 시간 종료하지 않고 인터럽트를 제공하도록 간격 타이머를 리세트한다. 스텝(294)은 RAM(188)에 기억된 홀 랜턴 출력 워어드를 클리어시켜 P.E.로 돌아간다.
스텝(272)이 신호
Figure kpo00030
가 참이 아니 라는 것을 발견하면, 스텝(296)은 신호
Figure kpo00031
를 검사한다. 만일 참이라면, 스텝(298)은 방향 문자를“다운(down ; 하향)”으로 그리고 홀 랜턴 상태 문자를“온(on)”으로 세트시킴으로써 홀 랜턴 워어드를 준비한다. 다음에 그 명령은
Figure kpo00032
요구에 대하여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처리된다.
스텝(296)은
Figure kpo00033
가 참이 아니라는 것을 발견하면 스텝(300)은 신호
Figure kpo00034
가 참인지를 알기 위해 검사한다. 만일 그것이 참이라면 스텝(302)은 홀 랜턴 워드에서 홀 랜턴 상태 문자를“오프(off)”로 세트하고, 이 명령은
Figure kpo00035
명령에 대해 설명된 바와 같이 처리된다.
스텝(300)이
Figure kpo00036
이 참이 아니다는 것을 발견하면, 프로그램은 간단한 단계(280)의 P.E.로 돌아간다.
제9도는 각 홀 랜턴 제어기가 수행할 아무런 다른 과업을 갖지 않는 전용 제어기이기 때문에, 각 홀 랜턴 제어기에 의해 반복적으로 운용되는 홀 랜턴 프로그램의 플로우 챠아트이다. 이 프로그램은 전원이 공급될때 단계(310)로 진입하고, 스텝(312)은 특유의 어드레스를 읽어서 기억함으로써 자체적으로 초기화된다. 즉, 입력 포오트(142)는 DIP 스위치(144)에 의해 제공된 어드레스를 결정하도록 읽혀진다. 스텝(312)은 홀 랜턴 상승 와이어(180)에 접속된 직렬 입력 포오트(140)를 읽는 스텝(314)으로 진행한다. 그것은 시작 순서를 위해 검사한다. 전송중인 메세지가 없을때 즉, 데이타 라인이 정지(break) 조건일때, 그것은 스페이스(space) 또는 영 전압 레벨을 검출할 것이다. 메세지 전송을 개시하기 위해서는, MARK(영 이상의 선정된 전압 레벨)가 표준“시작(start)”이나 스페이스 변환에 선행하여야 한다. 스텝(316)은 변환에 대해 검사하고 그것이 하나를 검출할때까지 스텝(314)를 통해 순환한다. 변환이 검출될때, 스텝(318)은 직렬 데이타 클럭 주기의 1/2에 일치하는 지연루우프를 제공하며, 이어서 스텝(320)은 입력을 다시 샘플한다. 이것은 샘플링 점을 유효 데이타 비트의 중앙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초기 변환이 잡음에 의해 야기된 것이 아님을 검사하는데 쓰인다.
스텝(320)이 유효 시작 비트를 검출하면, 스텝(320)은 스텝(322)로 진행한다. 유효 시작 비트가 검출되지 않으면, 스텝(320)은 스텝(314)으로 돌아간다.
스텝(322)은 RAM(136)(제5도)의 비트 카운터를 초기 설정하고, 8비트의 데이타가 RAM(136)으로 순차적으로 읽혀져 들어와 제1입력 바이트를 형성한다. 스텝(324), (326) 및 (328)은 이 기능을 제공한다. 다음에 스텝(330)은 이 제1워어드를 검사한다. 제1워어드는 전송 명령 EOT(End of Transmission : 전송종료)의“마스터(master)”개시이어야 한다. 정확한 패리티와 유효 정지로써 수신된 이 워어드는 제1워어드가 수신되었던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다음 4데이타 워어드의 읽기를 개시할 것이다. 따라서, 스텝(332)은 그것이 유효 EOT인지 알아보도록 검사한다. 만일 그렇지 않으면 스텝(314)으로 진행한다. 만일 그것이 유효 EOT라면, 스텝(334)는 다음 4데이타 워어드를 읽어서 기억한 다음 스텝(322), (324), (326) 및 (328)과 유사한 순서를 따른다. 제1워어드는 어드레스 지정된 층의 2진수로 된 층 어드레스이고, 제2워어드는 상방향 또는 하방향을 의미하고, 제3워어드는 요구된 상태, 즉 온 또는 오프를 의미하며, 최종 워어드는 그 메세지를 ENQ(Enquiry : 문의 대조), 정지 및 패리티 비트로써 끝맺는다.
스텝(336)은 전송시의 층 어드레스가 자신의 특유의 어드레스와 일치하는지 알아보도록 검사한다. 만일 그 어드레스가 자신의 것이 아니라면, 스텝(338)은 RAM(136)내의 홀 랜턴 워어드를 클리어하고 스텝(314)으로 돌아간다. 만일 스텝(336)이 그 어드레스들을 일치하는 것으로 발견하면, 스텝(340)은 패리티를 검사한다. 스텝(342)은 전송에 있어 에러가 있었는지 판단한다. 만일 에러가 있었다면, 스텝(344)은 홀 랜턴 상승 와이어(80)를 거쳐 카아 제어기(60)로 직렬 전송하기 위해 그것의 어드레스와 메세지 NAK를 출력 포오트(140)에 보낸다.
스텝(342) 에러가 없음을 발견하면, 스텝(346)은 적절한 입력 워어드의 상태 명령을 검사한다. 만일 그것이“턴 오프(turn-off)”요구가 아니라는 것을 발견하면, 스텝(348)은 그것의 상향 홀 랜턴(98)에 대한“턴 온(turn-on)”요구인지 알아보도록 검사한다. 만일 그렇다면, 스텝(350)은 병렬 출력 포오트(144)의 출력 포오트 A가 고레벨로 되게 함으로써 상향 홀 랜턴을 턴온시킨다. 다음에 스텝(356)은 직렬 홀 랜턴 상승 와이어(80)를 통해 홀 랜턴 제어기의 어드레스와 메세지 ACK를 전송한다.
스텝(348)이 턴 온 요구가 상향 홀 랜턴에 대한 것이 아님을 발견하면, 턴온 요구는 하향 홀 랜턴에 대한 것이며, 스텝(354)은 병렬 포오트(144)의 출력 B를 고레벨로 되게 함으로써 하향 홀 랜턴(100)은 턴온시킨다. 다음에 스텝(354)은 스텝(356)으로 진행한다.
스텝(346)이 턴 오프 명령을 발견하면, 스텝(358)은 포오트(144)의 양 출력 A와 B를 논리 0레벨로 되게함으로써 활성화된 홀 랜턴을 턴 오프 시킨다.
요약하자면, 각 엘리베이터 카아에 대한 빌딩의 홀 랜턴이 총 3개의 와이어들에 의해 제어되는 개량된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관해 기재해 왔다. 그 3개의 와이어는 엘리베이터 카아의 카아 제어기와 엘리베이터 카아에 의해 이용되는 각 층에 위치한 홀 랜턴 제어기 사이의 직렬 홀 랜턴 상승 와이어를 형성한다. 각 홀 랜턴 제어기는 각기 리이드 온리 메모리에 기억된 유사 논리 프로그램을 가지고 ROM들을 상호 교환 가능하게 만드는 단일 칩 마이크로 컴퓨터에 의해 구성된다. 각 홀 랜턴 제어기의 유일한 비표준 특징은 8비트 DIP 스위치에 의해 제공되는 특유의 식별 번호이다. 2진수로 된 층 어드레스는 이 특유의 식별 번호로 사용되고, 이 층 어드레스는 간단히 홀 랜턴 제어기의 관련 DIP 스위치에 공급된다.

Claims (7)

  1. 빌딩내에서 이동하도록 장착된 엘리베이터 카아(12)와, 상기 빌딩의 각 층을 운행하도록 상기 엘리베이터 카아에 지시하기 위한 카아 제어기 수단(60)과, 상기 엘리베이터 카아에 의해 운행되는 각 층의 홀 램프 수단(98, 100)을 구비한 복수의 층을 가진 엘리베ㅇ;터 시스템에 있어서, 관련 홀 램프 수단을 선택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상기 엘리베이터 카아에 의해 운행되는 각 층의 홀 랜턴 제어기 수단(108)과, 상기 엘리베이터 카아에 의해 운행되는 각 층을 지나 연장되는 직렬 홀 랜턴 상승 와이어 수단(80)을 구비하며, 상기 각각의 홀 랜턴 제어기 수단은 상기 홀 랜턴 상승 와이어 수단에 공급되는 신호를 수신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카아 제어기 수단은 상기 홀 랜턴 상승 와이어 수단을 거쳐, 각각 상기 홀 랜턴 제어기 수단중 선정된 것을 식별하는 직렬 메세지를 전송하기 위한 수단(TxD)(제3도(192, 206, 208) ; 제7도)과, 그 식별된 홀 랜턴 제어기 수단에 대한 명령(제8도(278))을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홀 랜턴 제어기 수단은 그것의 메세지를 인식하기 위한 수단(제9도(330))과, 관련 명령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350, 354, 358)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메세지를 인식하기 위한 각 홀 랜턴 제어기 수단에 관련된 수단은 특유의 식별 코드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제2도(142, 143, 148)과, 홀 랜턴 상승와이어 수단을 거쳐 전송된 메세지에서 자신의 특유의 식별 코드를 인식하기 위한 수단(제9도(336))을 포함하고 있으며, 명령을 수행하기 위한 각 홀 랜턴 제어기 수단에 관련된 수단은 특유의 식별 코드를 포함하고 있는 메세지의 명령들만을 수행하고, 카아 제어기 수단은 선택된 홀 랜턴 제어기에 대한 각 메세지의 정확한 특유의 식별 코드를 포함하기 위한 수단(제8도(27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각 층에 대한 홀 램프 수단은 엘리베이터 카아에 의한 그 층을 위해 제공된 각 운행 방향에 대한 별도의 램프를 포함하고 있으며, 메세지 명령은 선정된 운행 방향을 식별하는 램프 턴 온 명령(제4도(188) ; 제8도(274, 298, 302))과, 어떤 활성화된 램프가 꺼지게 될 것을 요구하는 램프 턴 오프 명령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직렬 홀 랜턴 상승 와이어 수단은 각 홀 랜턴 수단으로부터 카아 제어기 수단으로 직렬 메세지가 전송될 수 있게 하는 수단(제2도(162, 122))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각 홀 랜턴 제어기 수단은 지시 받은 것으로 인식한 메세지에서 오차를 검출하기 위한 수단(제9도(340, 342))과, 그러한 오차 검출에 응답하여 제1직렬 메세지를 카아 제어기 수단에 전송하기 위한 수단(344)과, 오차가 검출되지 않을때 요구된 명령이 수행된 후 제2직렬 메세지를 카아 제어기로 전송하기 위한 수단(356)을 포함하고 있으며, 카아 제어기 수단은 홀 랜턴 제어기로부터 제1직렬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동일 메세지를 재전송하기 위한 수단(제8도(284, 286, 288, 278))을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카아 제어기는 각 홀 램프 수단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제4도(188) ; 제8도(292))을 갖추고 있으며, 상기 카아 제어기 수단은 적절한 홀 랜턴 제어기 수단으로부터의 제2직렬 메세지의 수신에 따르는 각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상태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각 홀 랜턴 제어기 수단은 식별 코드를 선택하기 위한 스위치 수단(제2도(143))을 포함하고 있으며, 그것의 관련 스위치 수단에 의해 선택된 식별 코드를 제외하면 모두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KR1019840005323A 1983-08-30 1984-08-30 엘리베이터 시스템 KR9300047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27920 1983-08-30
US527,920 1983-08-30
US06/527,920 US4587511A (en) 1983-08-30 1983-08-30 Elevator system with hall lamp status monitor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2089A KR850002089A (ko) 1985-05-06
KR930004757B1 true KR930004757B1 (ko) 1993-06-05

Family

ID=24103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5323A KR930004757B1 (ko) 1983-08-30 1984-08-30 엘리베이터 시스템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4587511A (ko)
JP (2) JPS6071485A (ko)
KR (1) KR930004757B1 (ko)
AU (1) AU576516B2 (ko)
BE (1) BE900461A (ko)
BR (1) BR8404322A (ko)
CA (1) CA1224287A (ko)
ES (1) ES8606184A1 (ko)
FR (1) FR2551040A1 (ko)
GB (1) GB214584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9099B2 (ja) * 1988-09-20 1994-12-0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の情報案内制御システム
JP2509359B2 (ja) * 1990-03-01 1996-06-19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タの信号伝送装置
FI87290C (fi) * 1991-01-17 1992-12-10 Kone Oy Foerfarande foer bestaemning av meddelandeidentifierare i ett foer hissar avsett datanaet
KR19980066441A (ko) * 1997-01-24 1998-10-15 이종수 엘리베이터의 신호전송 장치 및 방법
FI111621B (fi) * 1998-11-13 2003-08-29 Kone Corp Menetelmä monikorisen hissin paikan näyttämiseksi tasolla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82504A (en) * 1972-12-14 1974-01-01 Reliance Electric Co Multiplex system for elevator control
US3828892A (en) * 1973-03-12 1974-08-13 Westinghouse Electric Corp Elevator system
US3841443A (en) * 1973-09-13 1974-10-15 Westinghouse Electric Corp Elevator system
US3903499A (en) * 1973-10-04 1975-09-02 Reliance Electric Co Permutation addressing system
US3995719A (en) * 1975-05-16 1976-12-07 Westinghouse Electric Corporation Elevator system
US4032882A (en) * 1976-02-17 1977-06-28 Westinghouse Electric Corporation Elevator system
JPS5930353B2 (ja) * 1978-09-08 1984-07-2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情報送受信装置
US4277825A (en) * 1979-07-27 1981-07-07 Westinghouse Electric Corp. Converter apparatus
US4392125A (en) * 1981-03-16 1983-07-05 Nel-Tech Development, Inc. Multiplex communication system using remote microprocessors
JPS5869685A (ja) * 1981-10-20 1983-04-25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タの信号伝送装置
US4463352A (en) * 1982-07-06 1984-07-31 Honeywell Inc. Fault tolerant, self-powered data report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8421270D0 (en) 1984-09-26
JPH079875U (ja) 1995-02-10
GB2145848A (en) 1985-04-03
AU576516B2 (en) 1988-09-01
FR2551040A1 (fr) 1985-03-01
ES535486A0 (es) 1986-04-01
JPS6071485A (ja) 1985-04-23
CA1224287A (en) 1987-07-14
BR8404322A (pt) 1985-07-30
AU3232284A (en) 1985-03-07
BE900461A (fr) 1985-02-28
US4587511A (en) 1986-05-06
ES8606184A1 (es) 1986-04-01
KR850002089A (ko) 1985-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46761B1 (en) Elevator system having wireless transmitting/receiving units
US4193478A (en) Elevator control system and method
AU2002318768B2 (en) Device and system for modernisation of a lift installation
ES2301599T3 (es) Sistema y procedimiento para la modernizacion de una instalacion de ascensores.
US4555689A (en) Elevator system with lamp status and malfunction monitoring
KR920011083B1 (ko) 엘리베이터의 신호전송 방법 및 그의 장치
JP3454899B2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の負荷重量側路しきい値の自動選択装置及び方法
JPH078706B2 (ja) エレベ−タ用群制御システム
US20200102186A1 (en) Elevator system
US4341288A (en) Elevator system
KR930004757B1 (ko) 엘리베이터 시스템
US4084661A (en) Elevator system
KR970000013B1 (ko)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제어 방법 및 장치
US4436185A (en) Elevator system
US4742893A (en) Signalling procedure for a lift and a signalling system
US6672429B1 (en) Encoding system for communicating with elevator I/O devices
JPS5856716B2 (ja) エレベ−タ装置
JP2511241Y2 (ja) エレベ―タ装置
CN1173873C (zh) 用于控制呼叫响应的电梯系统
CA1249889A (en) Elevator system
KR970000012B1 (ko) 엘리베이터 카 제어방법 및 장치
CA1199134A (en) Elevator system
CA1249888A (en) Elevator system
US4662480A (en) Elevator system
JPH0585472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50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