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0013B1 -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0013B1
KR970000013B1 KR1019880013510A KR880013510A KR970000013B1 KR 970000013 B1 KR970000013 B1 KR 970000013B1 KR 1019880013510 A KR1019880013510 A KR 1019880013510A KR 880013510 A KR880013510 A KR 880013510A KR 970000013 B1 KR970000013 B1 KR 9700000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elevator
cars
layer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3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6508A (ko
Inventor
윌리암 블라인 제프레이
딘커레이 샤 데니스
Original Assignee
인벤티오 아게
하. 라이흐무쓰, 알. 쯔빈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벤티오 아게, 하. 라이흐무쓰, 알. 쯔빈덴 filed Critical 인벤티오 아게
Publication of KR8900065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65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00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00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15Control system configuration and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23Control system configuration, i.e. lay-out
    • B66B1/343Fault-tolerant or redundant control system configu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8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제어 방법 및 장치
제1도는 견인 구동 장치 또는 유압 구동 장치에 의해 구동되고, 2쌍의 카(2-car-pair)내에 장착된 원격 제어장치를 구비하며, 본원 발명에 따라 작동하는 복수의 카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블록 다이아그램.
제2도는 제1도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카에 장착된 한쌍의 마이크로 컴퓨터 회로의 블록 다이아그램.
제3도는 제2도의 각 마이크로 컴퓨터 회로내의 EPROM 내로 프로그램되고, 디스패처(dispatcher)를 스위칭하거나 복수의 2쌍의 카의 뱅크 제어 장치(BC) 마스타 스트라데지를 스위칭하기 위해 반복 시퀀스(sequence)로 작동하는 형식의 프로그램 모듈을 간략하게 도시한 흐름도.
제4도는 제2도의 마이크로 컴퓨터 회로의 각 EPROM 내로 프로그램되고, 카 호출 장치를 따라 서비스홀 호출(hall calls)의 플로우어 제어장치(FC) 마스터 방식을 구현하기 위해 반복 시퀀스로 작동하는, 시퀀싱 루틴을 구비한 프로그램 모듈 ATBBO의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엘리베이터 시스템 19 : 펜트하우스 (penthouse)
22a/b : 구동장치 24a/b : 카 제어기
26 : 기계실 80a,80b,80c,80d : 마이크로 컴퓨터
82a,82b : 제2로컬에어리어네트워크 86a,86b : 제1로컬에어리어네트워크
116L : 푸시버튼 286 : CPU
본 발명은 분배 제어 회로를 장착한 뎐인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유압 엘리베이터 시스템, 특히 엘리베이터 시스템내의 중요한 부품의 손실에 의해 발생하는 엘리베이터의 작동상태의 악화에 따르는 제어신호 및 통신 결함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 및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로 사용된 제어기에 의해 홀웨이 고정구 통신 결함은 보유중인 일정 형태의 서비스를 구비하여 트립 또는 블록 작동단계를 지난 백업 동작 모우드를 구비할 수 있으나 모든 카 제어기가 하부 계층으로 고정된 블록 작동을 실행한다면 건물내에서 전반적으로 작동되지 않아 정상 서비스에 비해 질적인 면에서 불리하다.
종래에는 미합중국 특허 제4,511,017호에 기재된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카의 작동 제어 및 홀 호출 응답 방식에 있어 여러 가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컴퓨터 프리프로그램이 이용해 왔다.
이들 작동 제어 및 홀 호출 응답 방식은 정상적인 서비스가 회전 방식에서 카 배열의 블록을 계층으로 바꾸거나 미리 배열하여 저하될 때 블록 작동에서 비상시 백업 엘리베이터 서비스 또는 변화를 제공한다.
엘리베이터 뱅크 구조에 대한 다양한 배열이 고체상태 제어기로부터 이용된 것이 알려져 있으나 역학적으로 정의된 작업이 점진적으로 작동된 블록 작동 고장 모드 배열을 포함하여 건물에서 작동되어질 동안 비상시 제한되도록 되어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사용한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의 도입에 따라, 그리고 각 엘리베이터 카와 각 계층에 배치되어 있는 전자회로에 의해 원격 제어 장치와의 통신이 문제거리가 되는데, 이는 홀 호출신호의 보전성(integrity) 및 이 홀호출에 응답하도록 각 엘리베이터 카에 할당된 제어방식이 동작 효율에 중요한 인자가 되기 때문이다. 이런 목표는 승객이 건물내에서 전체적으로 서비스를 연속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지 않아 제어기는 블록 작동 모드에서 작동하기 위해 분류될 때 가장 유효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주요 문제점들중 하나는 각 관련된 카가 모든 계층에 접근 가능하도록 블록 작동 상에 있는 모든 제어기에 의해 계층으로 분할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의 블록 작동의 모드로 진행하는 모든 카는 기다리는 시간을 최소로 하기 위해 보다 유효한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잠재력을 가진 카에 뱅크에 효율이 가장 좋은 카를 제공하지 않아 적합하지 않다.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전술한 종래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문제점을 해소한 분배 마이크로프로세서 제어회로를 구비한 견인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유압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제어방법 및 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관점에 따르면 연속적인 엘리베이터 서비스의 과도하게 제한된 블록작동을 빌딩의 각 계층에서 보호하기 위해 복수의 엘리베이터 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각 엘리베이터 카의 카 호출신호는 각 카내에 설치된 전자회로로부터 별도의 이동케이블을 통해 원격 제어 장치까지 로컬네트워크(local network)상에서 교신된다. 각 원격 제어 장치에는 각 카에 개별적인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사용한 컴퓨터 회로가 구비되며, 각 원격 제어 장치는 또한 각 계층에 인접 설치된 한 세트의 계층 제어회로내에서 종료하는 승강기(riser) 케이블을 통해 지역 네트워크상의 코리도어 신호정보와 교신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사용된 컴퓨터회로를 구비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케이블 승강기를 따라 각 계층에 등록되어 있는 홀 호출에 응답하여 각 엘리베이터 카를 최적의 위치와 타이밍을 할당하기 위한 계층 제어방식을 구현할 수 있다. 홀호출 방식의 응답과 동시에 상기 원격 제어 장치는 각 층의 서비스를 위해 등록된 카 호출에 개별적으로 카응답을 제어하고, 상기 각 원격 제어 장치는 그 작동 능력과 통신 신호 보전성을 반복적으로 점검하여 현재의 원격 제어 장치의 작동 우선순위의 고장이 있는 경우 계층 제어 방식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전술한 방법에 따라 다수의 엘리베이터 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 엘리베이터 카는 각 엘리베이터 서비스의 과도하게 제한된 블록 작동에 의해서 건물의 각 계층으로부터 보호된다. 제1 지역 네트워크와 제2 지역 네트워크를 포함하며, 제1로컬네트워크는 이동케이블상의 원격 제어 장치에 연결되어진 각 카에 설치된 전자회로 및 카 호출 신호를 가지며, 각 원격제어장치에는 각 엘리베이터 카에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사용한 컴퓨터 회로가 구비된다. 각 원격 제어 장치의 제2지역 네트워크는 각 카에 개별적인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사용하는 컴퓨터 회로가 구비되며 각 원격 제어 장치는 또한 각 계층에 인접 설치된 한 세트의 계층 제어회로내에서 종료하는 상승기 케이블을 통해 지역 네트워크상의 코리도어 신호정보와 교신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사용한 회로를 구비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케이블 승강기를 따라 각 계층에 등록되어 있는 홀 호출에 응답하여 각 엘리베이터 카를 최적의 위치와 타이밍을 할당하기 위한 계층 제어 스트라테지를 구현할 수 있다. 홀 호출용 스트라테지내의 응답과 동시에 상기 원격 제어 장치는 각 층의 서비스를 위한 등록된 카 호출에 개별적으로 카 응답을 제어하고, 상기 각 원격 제어 컴퓨터 회로는 그 작동 능력과 통신 신호 보전성을 반복적으로 점검하여 현재의 원격 제어 장치의 작동 우선 순위의 고장이 있는 경우 계층 제어 방식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원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제어 신호 결함에 대해서 보호하기 위한 방법과 엘리베이터 카 손실에 관한 것으로서, 엘리베이터 카 손실은 두 쌍의 카에 대해서 각 카와 설치된 전자회로를 갖고 각 계층에서 코리도어 호출 정보와 입력 및 출력 신호를 가진 분배 제어 시스템을 사용하며, 입력과 출력신호는 관련된 매 카 원격 제어기에 접속된 가동 케이블 상에서 각 카에 대해 직렬로 전달된다. 각 원격 제어기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사용한 컴퓨터 회로를 포함하는데 이런 회로는 각 계층에 인접한 분배 전자 회로에 직렬로 통신 링크를 연결하며 승장 호출에 응답하기 위해 두쌍의 카 계층 제어(FC) 마스터를 실행하기 위해 작동한다. 원격 제어기는 카에 관련된 카 호출에 각각 응답하고 이런 응답에 대해 선택된 계층 제어기가 결함이 있거나 통신 결함이 있으면 승장 호출에 응답하기 위해 계층 제어 마스터 방식을 수행하도록 각 비 FC 마스터 방식이 있다.
반복적으로 각 카에 대해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원격 제어기가 FC 마스터 제어기가 되도록 두쌍의 카에 대해서 계층 제어 마스터 방식을 지시하는 이런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따라서 다른 원격 제어기에 이런 상태를 알린다. 그후 FC 마스터 제어기는 정보를 기다리고 있는 승객에 제공하기 위해 가청 및 시청형 코리도어 신호를 뒤로 보내고 승장 호출을 처리하기 위해 일련의 통신 상승기 상에 계층 제어 회로 세트를 제어한다. 선택된 제어기가 두쌍의 카내의 관련된 제어기와 통신하지 않고 직렬 승강기를 제어할수 없다면 제어기는 그 자체에 블록 동작을 작동시키고 단일에 카 시스템으로서 동작시키기 위해 직렬의 상승기를 제어하기 위해 관련된 결합부를 제공한다. 또한 제어기가 상태 통신 요건들을 만족한다면 블록 작동으로 나아간다.
본 발명에 따라서, 복수의 두쌍 카로 이루어진 엘리베이터 뱅크가 사용될 때 반복적으로 각 카에 대한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원격제어기가 디스패처로서 작동하는 뱅크제어(BC) 마스터의 부차적인 기능을 선택하기 위해 부차적인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이런 BC 마스터는 엘리베이터 뱅크의 모든 카들을 감시하여 모든 승장 호출을 처리하고 각 승장 호출에 대해 가장 좋은 카를 제공한다. 응답에 대해 가장 좋은 카는 상대적인 카 이동위치를 기초로 하여 운행중 기다리는 시간을 최소로 하고 통상적으로 승객을 태운다. BC 마스터는 그의 상태를 다른 원격 제어기를 가진 3 또는 다수 카 통신 링크를 지나 모든 다른 제어기에 전달하여 각 두쌍의 카에 대하여 직렬 통신 승강기를 따라 FC 마스터를 통해 계층 제어회로의 세트를 제어한다. FC 마스터 제1프로그램이 제공된다면 BC 마스터는 뱅크의 두쌍 카에 대해 FC 마스터 제어기로서 이중 기능하도록 그 자체가 선택된다. 그의 신호 통보가 직렬 통신 링크 상에 있는 다른 제어기에 보내진다.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시스템과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작동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방법은 두 방향 통신용 토큰 전달 방식을 사용할 때 작동하는 이동케이블 상에 전달 동안 관련된 복수의 원격 제어기에 부분적으로 매설된 분배 제어 시스템을 사용한다. 원격 제어기에 결합된 각 카는 두쌍의 카로 그룹지어 있는데 이런 두쌍의 카는 승장 호출에 응답하기 위해 두쌍의 카 방식을 제공하도록 각 계층에 인접한 복수의 분배식 전자 회로에 통신 링크를 직렬로 결합시킨다. 반면에, 원격 제어기는 카와 결합된 카 호출에 각각 응답하는 역할을 한다. 원격 제어기는 직렬의 세 네크워크 링에 걸쳐서 서로 전달되어 계층 제어 방식을 제공하기 위해 서로에 대하여 준비된 나머지 각 제어기는 우선 순위 작동하는 원격 제어기를 미리 설치해서 통신 결함이 생긴다.
본 발명의 시스템과 방법은 본 발명을 적절하게 이해하기 위해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일부분만 도시되어 기술된 것이다.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보조 부분은 본 출원인과 동일한 양도인에게 양도되어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에 기재되어 있다. 따라서 미합중국 특허 제4,683,989호의 엘리베이터 통신 제어기 제목하에는 엘리베이터 카의 중심 뱅크를 제어하는 제어기내에 제거 가능하게 장착된 코리도어 고정구들 사이에 일련의 이중 통신을 제어하기 위한 어드레스 가능한 엘리베이터 통신 제어기가 기재되어 있고 카는 제어기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카들의 중심벵크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각 통신 제어기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 여분있게 사용된 단일의 IC 주문칩에 배치되어, 다양한 코리도어 고정구가 승장 호출 푸시버튼 및 결합된 지시계 램프를 구비하여 제어된다. 상하 승장 호출 랜턴이 각 계층에 위치되고 디지털 또는 수평 카 위치 지시계와 상태 판넬은 선택된 계층에 위치 설정된다. 엘리베이터 카는 도어제어기, 카 위치,지시계, 방향 화살표와 카 호출푸시버튼 및 지시계 램프와 같은 기능을 한다.
특히 제1도에는 본 발명에 따라 이용될 수 있는 제어기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시스템(10)이 도시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시스템(10)은 엘리베이터 카(12a)와 같은 하나 이상의 엘리베이터 카 또는 카를 포함한다. 시스템의 운동은 그의 설비가 유압식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있을때 견인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있어서 건물(도시생략)내의 펜트하우스(19)로부터 카가 상부에 도시되거나 기계실(26)내의 카가 하부에 도시되어진 바와 같이 교대로 구동된다. 본 발명이 견인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사용될 때 카(12a)는 카B로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승강구에 장착되어 카 A를 형성한다. 그의 두쌍의 카는 제 1도의 중심부 좌측에 있는 공간을 차지한다. 건물은 도면을 간략하기 위해 도시된 0,1,2,3,4,5,6,7층 또는 랜딩(landing)과 같은 복수의 랜딩을 구비한다.
카(12a)는 #0 구동장치로 간주되어진 구동장치(22a)의 축상에 있는 견인 시이브(sheave)(20a)상에 장착된 복수의 와이어 루프(18a)에 의해 지지된다. 균형추(CTWT)는 루우프(18a)의 타단부에 접속된다. 카B로 도시된 유사한 배열은 시이드(20b)상에 있는 와이어 루우프(18b)에 의해 지지되고 #1 구동장치(22b)로 구동된다. 구동장치(22a,22b)는 워드-레온드 구동 시스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DC 구동 모터를 가진 DC 시스템이고 고체 상태 구동시스템에서 사용될 수 있다.
견인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635cm 카 이동과 같은 카 이동의 표준 증분치에 대해 신호를 제공하기 위해 카 이동 방향의 설계를 일체화한다. 따라서 카(12a)에 장착된 센서를 사용하여 하나의 통보를 가진 여러 통로에 전진되는데, 이런 카(12a)는 635cm 카 이동과 같은 카의 이동에 대해 표준 증분치의 신호를 제공한다. 그후 거리펄스는 카 제어기(24a)로 전진되고 카 제어기(24a)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용 계층 선택기 및 속도 패턴 발전기를 구비한다. 펄스 카운터가 카를 이네이블하기위해 유지되어 정확한 이동 방향에서 레벨되어진 카 제어기와 견인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설명이 미합중국 특허 제4,463,833호에 기재되어 있고, 본 발명은 그의 기능을 향상시키는데 사용되어진다. 계층선택기를 지난 카 제어기(24a)는 넓은 위치와 카(12a)에 대한 호출을 유지한다. 또한 제어기는 카가 신호를 호출하기 위해 신호를 정지 및 개시하지만 엘리베이터 카 도어(13a)용 도어 제어와 같은 보조장치를 제어하기 위해 신호를 제공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카 B에 대한 카 제어기(24b)는 카 A에 대해 작동하는 카 제어기(24a)와 같은 기능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두쌍의 카 견인 시스템에 있어서, 각각의 카 제어기(22a,22b)는 계층 0에서 푸시버튼(116L)과 결합된 홀 렌턴쌍으로 이루어진 상부 계층 랜턴(112L)과 같은 홀랜턴을 제어한다. 또한 각 제어기는 카 호출의 리세팅을 제어하고 홀 호출은 카 또는 홀 카가 작동될 때 제어한다. 카(12a)는 랜딩(15b)에서 폐쇄부에 도시된 도어(13)에 장착된다.
제1도에 도시된 간단한 엘리베이터 시스템(10)은 카 B에 대한 이동 케이블(84a)과 카A에 대한 이동 케이블(84b)는 각 카에 대해 각각의 전자제어부에 각 두방향 통신 통로를 제공한다. 마이크로프로세싱 전자제어부는 대응하게 번호가 붙여진 마이크로 컴퓨터 #0과 #1이 제1도에 도시되어진 바와 같이 도시되거나 카 제어기(24a,24b)에 인접한 펜트하우스에 장착된다. 또한 이런 마이크로 컴퓨터는 기계실(26)에 장착된다. 이런 예에서 #0 마이크로 컴퓨터(80b)는 카 제어 통신 링크(28b)을 카 제어기에 접속되어서 각각의 이동 케이블과 카 제어 링크를 따라 카를 위해 두 방향 통신 통로를 제공한다.
이동 케이블(84a)은 감지에 있어서 제어 케이블이 카(12a)의 카도어 작동자에 대해 특정의 지연 논리 기능을 제어하기 위해 본 발명에 있어서 혼합된 케이블이다. 카 데이타 링크(86a)는 카A의 하부 또는 카(12a)의 측면상에 위치 설정되어 도시된 카 위치 단자(83a)로부터 돌출되어 도시된 것이다. 카 B에도 유사한 배열이 카 B에 대해서 각각의 동일한 배열에 있어서 기술 목적상 도시된 이동 케이블(84b)의 경향이 있다. 따라서 지연제어 기능의 적절한 실행 뿐만 아니라 카 B에 연결된 마이크로 컴퓨터(80b)을 위한 두 방향 통신 통로를 제공한다. 카 데이타 링크(86a)는 이동 케이블에 달리 유도 가능하게 결합된 외부 소음으로 차폐되고 꼬여진 3쌍의 두 도선의 배열로 구성된다. 이런 케이블링은 전달 신호의 데이타 양을 보존시키고 카에 있어서 여러 제어 회로기판(도시생략)을 통해서 카 작동에 대해 회로에 수용된 정보의 신뢰도를 확신시키는데 사용된다. 본 발명에 사용된 계층 회로기판은 전술한 미합중국 특허 제4,683,989호의 제1도에 기재되어 있고 상기 특허원은 본 발명을 이해하고자 참고된 것이다.
제1도의 카A와 B을 기준으로 처리된 설명은 각 마이크로 컴퓨터(80a,80b)를 가진 견인 엘리베이터 시스템용 두쌍의 카에 대한 것으로서, 이런 각 마이크로 컴퓨터는 펜트하우스(19)의 설치가 도시된 카 제어기(24a,24b)로부터 제거 가능하게 장착된 것이다. 또한 제1도에 있어서는 마이크로 컴퓨터(80a,80b)에서 호이스트웨이 테이타링크(82a,82b)를 지나 다양한 코리도어 고정구까지 두 방향 통신 통로용 통로가 도시도어 있다. 이들은 세쌍의 두도선(106a/b)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들 도선은 외부 소음으로부터 차폐되어 꼬여져 있으며 많은 양의 데이타 전달을 확실하게 한다. 계층 0과 계층 1에 대하여 승강구(16b)에는 FC01이 장착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계층0에 대해 한쌍의 상부 지시 계층랜턴(112L)들 사이에 인터페이스하는 홀 고정구 회로기판(108a/b)은 같은 계층 위치에 설정된 업 푸시버튼(116L)에 결합된다. 홀 고정구 회로기판(108a/b)은 계층 1에 대하여 한쌍의 상부 및 하부 지시 계층 랜턴과 통신하기 위해 연결된다. 또한 업 및 다운 푸시버튼세트(118L)는 그들 사이에 위치 설정된다. 맨 좌측의 계층 랜턴(112L,114L)의 코리도어 위치는 카 A에 의해 작동된 호이스트 웨이와 결합된다. 푸시버튼(116L,118L)의 인접 우측에 대한 계층랜턴은 카 B에 의해 작동된다. 푸시버튼(116L,118L)은 계층 대 계층의 수직 중심선상에 배치되는데 이런 계층대 계층은 서로 물리적으로 제거되지 않도록 인접하거나 간격진 호이스트 웨이의 두쌍의 카를 작동시키는데 사용된다. 본 발명은 두쌍의 카에 있어서 결합된 홀 웨이 고정구 모두와 두 방향으로 통신하는 홀 고정구 회로기판(108a/b)에 두쌍의 카가 사용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의 특별한 배열에 있어서, 마이크로 컴퓨터(80a)는 호이스트 상승기(82L)상에 마이크로 컴퓨터(80b)가 제어를 제공하는 바와 같이 호이스트 데이타 링크(82a)에 따라 완전한 제어를 측정한다.
다른 홀 고정구 회로기판(110a/b)은 홀 고정구 회로기판(108a/b)과 같은 한쌍의 계층들 사이에 설치되고 후면 입구 도어 또는 엘리베이터 카(12a,12b)의 도어에서 하나 또는 둘 계층 0과 1에 작동하기 위해 필요하게 된다. 이런 장치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승객에게 요구가 필요하며 배면 도어는 건물의 계층 간에 이동을 전달한다. 이 배면 홀 고정구 회로(110a/b)는 홀 고정구 회로기판(108a/b)과 같은 상부 및 하부 화살표 방향과 푸시버튼의 홀 고정구 신호 및 방향 지시계의 보완을 제공한다.
호이스트(16a)의 상부 근처에는 적절한 위치에서 설치된 또 달리 동일한 홀 고정구 회로 기판(120a/b)이 있어서 호이스트웨이 상승기(82L)의 한쌍의 차폐식 도체(106a/b)와 접촉하여 계층 6과 계층 7에 운행한다.
한쌍의 상부 방향과 하부 방향 지시 계층 랜턴(130L) 및 계층 6에 대해 업과 다운 푸시버튼이 홀 고정구 회로기판(120a/b)과 통신한다. 따라서 계층 7의 다운 푸시버튼(128L)과 결합된 하방향 지시쌍의 홀랜턴(126L)과 동일한 통신 회로가 있다. 카 A의 호이스트웨이 위치 설정을 운행하는 방법은 맨좌측 방향에 쌍으로 구성된 계층 랜턴(130L,126L)과 푸시버튼(132L,128L)의 인접 우측에 대해 계층 랜턴이 상술한 하부 계층에 대해 유사한 카 B가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좌측에 카 A에 대해 수평 위치 지시계(122L)와 우측에 카 B에 대해 수형 위치 지시계(124L)가 있어서, 카가 계층에 도달할 때 예상 승객이 카에 탑승하기 위해 건물 주위의 최종 랜딩에서 기다리는 동안 각각의 엘리베이터 카(12a,12b)의 위치를 알 수 있도록 한다.
엘리베이터 시스템(10)의 또 다른 정보 표시 부분은 상태 판넬에 있는 두쌍의 카가 있는데 이런 상태 판넬은 건물의 로비내의 수위실 책상 또는 건물 관리인 사무실에 있어 건물중앙부에 통상적으로 제공된다. 상태 판넬(134)은 호이스트웨이 상승기 테이타 링크(82L)에서 조립된 도체(106a/b)를 지난 마이크로 컴퓨터(80a,80b)와 교신한다. 따라서 각 엘리베이터 카와 엘리베이터 카가 진행되는 방향에 따라 운행된 계층상에 카 위치를 지시하기 위해 몇몇 상태 지시계를 따라 두쌍의 카(12a,12b)에 있는 각 엘리베이터 카를 위해 LEDS와 같은 위치 지시계의 표시를 제공한다.
상태판넬(134)은 계층에 도시되어 있고 제2두쌍의 카로 이루어진 카 C와 카 D로 두쌍의로 형성되어진 엘리베이터 카의 뱅크에 대해 그의 위치 중심부에 있다. 특정의 것을 제외하면 제1도의 중심부 우측에 두쌍의 카는 그들 사이에 인터페이스되는 홀 고정구 회로기판(108c/d)에 제어된 계층 랜턴(112R)과 업 푸시버튼(116R)(우측에 R로 표시)과 같은 다양한 코리도어 고정구와 대칭이다. 이것은 홀 고정구 회로 기판(108a/b)용 위치 설정을 제공하는 호이스트웨이(16b)보다 호이스트웨이(16c)에서 건물 수직 높이와 거의 동일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중 두쌍의 카에 사용될 때 제2호이스트웨이 데이타 링크(82c,82d)는 호이스트 승강기(82R)로 결합되어 승강기(82R)는 카 C와 카 D의 제2두쌍의 카에 대해 꼬여진 3쌍의 도체 차폐부 세트를 따라 두방향 통신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것은 대칭 부분에서 다양한 홀 고정구를 운행하고 아울러 이런 두쌍의 카에 대해 상태 판넬(134)에 정보를 제공한다. 관련된 설비는 카의 4개의 카 뱅크에 포함되어 운행될지라도 이와 달리 유사한 구조의 상태 판넬이 사용되지만 분리되어 사용된다. 제1도에 도시된 것에 대해서 기술한 본 발명은 유압식 출력 공급 장치(32a)의 #0 펌프 장치와 협동하여 #0 마이크로 컴퓨터(80a)에 의해 유압식 엘리베이터 스스템(10)의 또다른 도시에 대해 특별히 언급되지 않았다. 기술된 통신은 대칭 변화에 따른 이런 유형의 시스템이다. 유압식 엘리베이터 시스템(10)은 와이어 루우프(18a)를 따라 카 제어기(24a) 및 구동 장치와 같은 펜트하우스(19)에 설치된다. 시이브(20a)와 CTWT는 없거나 제거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마이크로컴퓨터(80a)와 카 제어기(24a) 사이의 카 통신 링크(28a)는 엘리베이터 카(12a)가 유압식 잭(40a)(또다른 팬톰이 도시)을 구동시키기 위해 공급 파이프 선택부를 지나 펌프장치(32a)로부터 유압식 시스템에 의해 구동되기 때문에 더이상 필요하지 않는다. 카A에 대해 팬톰이 도시되어진 바와 같이 유압식 시스템은 그의 중간부(43a)를 가진 다단계를 사용할 수 있다. 카(12a)의 하부 측면에 고정된 신호 작동 피스톤 또는 플랜저(42a)는 플랜저(42a)의 운동에 따라 카를 이동시키기 위해 충분하다. 잭(40a)의 베이스는 건물 또는 대지의 베이스에 확고하게 고정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유압식 출력 공급장치(32c,32d)는 기계실(26)내에 모두 설치된 #2 펌프 장치와 #3 펌프 장치로 각각 명칭되고 이들 공급장치 각각은 서로 대응하는 마이크로 컴퓨터(80c,80d)로 제어된다. 유압식 잭(40c,40d)은 적절하게 루틴되고 공급 파이프 선택부(60c,60d)를 지나 유압식 구동시스템을 형성한다.
이런 설명이 특정의 견인 엘리베이터 구조면에서 #마이크로 컴퓨터(80b)에 대해서 언급되지 않았지만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이중 두쌍의 카 뱅크로 이루어진 엘리베이터 카가 수직으로 구동되어 균일한 뱅크를 제공하기 위해 유압식 수단에 의해 운동의 모드에 대한 불필요한 것으로 간주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견인 엘리베이터 또는 유압식 엘리베이터 카 쌍등이 되도록 결합된 카쌍 또는 비결합된 카쌍을 포함하는 특정의 두쌍 또는 복수의 두 개의 카쌍을 쉽게 응용할 수 있는 데있다. 그러나 본 발명을 기초로 하여 카A와 카B의 두쌍의 카는 서로 교신하도록 각각의 마이크로 컴퓨터들 사이에 접속된 제3두방향 통신 링크(133a/b)를 제공한다.
이들 두 마이크로 컴퓨터중 하나는 호이스트 승강기(82b)을 거쳐 두방향 통신을 의미하는 홀웨이 직렬 링크의 FC 마스터가 되도록 다른 마이크로 컴퓨터와 교신 가능하다. 다른 마이크로 컴퓨터(80b)는 마이크로 컴퓨터(80a)의 통신 결합이 있을 경우 홀웨이 직렬 링크의 FC 마스터에 의한 기능을 대기시킨다. 따라서, 마이크로 컴퓨터(80a)가 제3통신 링크(33a/b)를 따라 마이크로 컴퓨터(80b)와 교신하지 않도록 교신결합이 있거나 마이크로 컴퓨터(80a) 결합에 승장 호출이 응답하기 위해 계층 제어 마스터 방식을 실행시킨다.
본 발명은 마이크로 컴퓨터(80a,80b)로서 용장성 있게 작동하는 두 FC 마스터를 제공한다. 따라서, 마이크로 컴퓨터(80a)를 어드레스하는 최하부 카 스테이션(#0이 #1 보다 작음)을 갖는 마이크로 컴퓨터는 이런 응답에 명확하게 되는 마이크로 컴퓨터(80b)로서 연속적으로 FC 마스터가 되게 한다. 유사한 제3두 방향 통신 링크는 카 C와 카 D를 갖는 두쌍의 카를 작동시키기 위해 유사하게 #2와 #3 마이크로 컴퓨터(80c,80d)사이에 있다. 다른 제3두 방향 통신 링크(33b/c)는 각각의 마이크로 컴퓨터가 이런 제3두 방향 통신 링크와 교신할 수 있도록 제공하기 위해 #1 마이크로 컴퓨터(80b) 와 #2 마이크로 컴퓨터(80c)에 연결한다. 실제 이들은 이중 두쌍의 카 엘리베이터 뱅크내의 각 직렬의 홀웨이 링크(82L,82R)에 대해 계층 제어 마스터가 있다. FC 마스터 제어기 또는 마이크로 컴퓨터(80a,80b)중의 하나는 디스패처 또는 뱅크 제어부로서 부차적인 역할을 한다. 디스패처 또는 뱅크 제어부는 엘리베이터 뱅크내의 카에 결합된 마이크로 컴퓨터 제어기의 모두에 대해 디스패처로서 사용된다. 이런 마스터는 모든 카를 감시하고 모든 홀 호출을 처리하는 역할을 하며 상대적으로 카 이동 위치부에 기초로하여 할당되기 위해 각 홀 호출에 대해 가장 좋은 카를 선택하고 운행할 동안 대기 시간을 최소로 하여 통상적으로 향상된 것을 승객에 제공한다. 제2도에는 블록(246)에 대해 대칭이고 좌측면에 있는 블록(246) 내부에 위치 설정된 마이크로 컴퓨터 회로(80a)와 블록(246') 내부에 위치 설정된 마이크로 컴퓨터 회로(80b)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은 각 카 A와 각 카 B의 작동 모두를 제어하기 위해 설계된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이용한 제어기를 실제적으로 동일하게 사용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블록(246) 내부에 실제 유사하게 도시된 마이크로 컴퓨터(80a)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도모하고자 1987년 6월 19일자로 엘리베이터 시스템 리빙(Leveling) 안전 제어와 방법(WE53,784) 제목하 출원된 미합중국 특허 제07/064,913호의 제7도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언급된 미합중국 특허원에는 안전 작동을 위해 엘리베이터 안전 코드를 포함하여 프로그램 제어 기능을 실행하는 카 제어기가 기술되어 있다.
블록(246) 내부에 있는 마이크로 컴퓨터 회로의 약간 수정된 도면에는 1987년 6월 19일자로 엘리베이터 시스템 모니터링 호출 오일(WE,53,783)이라는 제목하 미합중국 특허 제07/064,915호로 출원된 제3도의 유압식 엘리베이터 시스템이 기술되어 있다. 이들 두 특허원은 본 발명의 출원인과 동일한 양도인에게 양도된 것이다. 최후 언급한 미합중국 특허원은 유압식 구동 펌프가 유압식 잭을 패스하는 루턴을 통해 오일을 지나 작동될 때 작동중인 엘리베이터 카를 작동중지 시키기 위해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블록(246) 내부에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평활한 개시를 하기 위해 작동 온도까지 유압식 오일을 올리고 모터 또는 그와 결합된 장치가 손상되지 않게 한다.
제2도는 최종 언급한 미합중국 특허에 기재된 도면과 유사하고 블록(246,246') 내부에 사용된 참조 부호와 특징에 의한 참고는 다음 기술될 설명으로부터 명백히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관련된 개선된 부분을 제외하면 대부분이 동일하다. 마이크로 컴퓨터(80a)는 또다른 유압식 엘리베이터 시스템(10)이 이동 케이블(84a)과 이와 유사한 이동케이블(84b) 및 마이크로 컴퓨터(80b)내의 두 방향 통신 통로를 지난 것이 제1도에 도시되어진 바와 같이 카(12a)의 모든 작동을 제어한다. 코리도어 고정구 신호 기능용 두 방향 통신 통로는 동일하게 번호가 붙여진 CPU(286)중의 어느 하나와 교신하는 부호(82b)와 공통으로 결합되어진 호이스웨이 데이타 링크(82a)이다. 하나 또는 양 CPU는 어드레스 버스(300), 데이타 버스(302) 및 제어부(304)를 통해 각각 일련의 입력/출력 제어기(296) 지난 정보를 수용한다.
CPU(286)는 6-MHz 작동 속도에 작동되도록 설계되어진 두 통합된 8비트 장치이고 모델 NO 80188를 가진 INTEL로부터 이용 가능한 형태이다. 또한 회로(246)은 데이타 기억장치의 8K를 제공하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이다. 그의 일부분은 그 자체의 장기간 사용한 축전지를 제외하면 특정의 작동 공급 전압이 없을시 장기간 수명이 연장된 축전지에서 데이타의 약 2K 바이트를 유지시킬 수 있다. EPROM 메모리(292a)는 회로블록(246)에 있고 유사한 EPROM 메모리(292b)는 이들 메모리 장치 각각을 가진 회로 블록(246')에 있는데 이들 메모리 장치는 주처리 기능의 기억장치에 이용 가능한 프로그램 판독 메로리의 32K 또는 16K로 분할된다. EPROM 프로그램은 유압식 엘리베이터 시스템, 그의 다양한 카 신호부, 제어부, 및 전달 방식가능을 작동뿐만 아니라 코리도어 신호 처리 기능을 위해 연속적인 서브 루틴의 체인으로서 각각의 CUP(286)에 의해 순서적으로 통해 스텝된다.
시각 진단 모듈(295)은 마이크로 컴퓨터 회로(246)의 상태를 나타내도록 제공되어지고 더불어서, 각 EPROM(292a,292b)와 RAM (294)는 버스(300,302)를 통해서 각 CPU(286)과 통신하고, 시스템의 외부 부분과 통신하는 장치에 정보를 입력 및 출력시키는데 사용되는 부호(304)로부터 제어된다. 통신 회로망 구성과 고전압 인터페이싱이 카 A 및 B의 각 입력 및 출력 채널에 대해 릴레이 버퍼 I/O(298)상에서 가능해진다. 이러한 채널들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이 전술 참조한 1987년 6월 19일자 미합중국 특허 제064,913호에 기재되어 있다. 각 마이크로 컴퓨터 회로블록(246)내의 직렬 입/출력 I/O 통신 제어기(296)은 어드레스 버스(300) 데이타버스(302) 및 제어라인(304)상에서 각 카 데이타 링크(86a,86b)의 출력이 있고, 각 이동 케이블(84a,84b)내의 그 직렬 인터페이싱 기능부와 통신한다. 두 개의 상호 의존 계층 제어기 링크는 호이스트웨이 승강기(82L)에 대해 (82a,82b)를 합병함으로써 호이스트웨이 데이타 링크에 대해 각각의 제어기(296)를 사용한다. 이로인해 양방향 통신로가 푸시버튼 홀 호출, 시각랜턴, 가청 카 위치 시그널링 등의 모든 코리도어 고정 시그널링을 제공하는 홀 웨이 직렬 링크의 적당히 선택된 층 제어(FC) 마스터로서 역할을 한다. FC 마스터 제어기에 대한 선택 과정은 그 순서 루틴과 관련된 프로그램 모듈 FCMHL의 설명과 관련하여 보다 명확해지는데, 제4도로 도시되며 각각의 EPROM(292a,292b)에 프로그램된다. 여기에서는 두쌍의 카 엘리베이터 시스템이 견인 구동 장치에 의해 구동되거나, 유압식 구동 장치로서 실행되는가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동일한 마이크로 컴퓨터 구조를 갖는 이러한 엘리베이터 제어기쌍의 상세한 설명은 FCMHSL을 포함하는 동일한 프로그램 모듈이 그 각 EPROM 내에 있다는 이해로서 단순한 설명의 중복에 불과하므로, 카 C와 D에 대해서는 더 이상 도시하지 않는다. 이러한 프로그램들은 각 두쌍의 카에 대한 마이크로컴퓨터 회로중 하나에 의한 FC 마스터 스위칭이나 우세를 점할 목적으로 통신제어를 행하는 효과에 따라 좌우된다. 이러한 것은 우선순위를 갖는 하부 카 위치 어드레스와 더불어 FC 마스터 제어기에 기본을 두고 있는데, 이것은 코리도어 직렬 링크상에 어떤 통신 고장이 없는 상태에서 가능하며, 그 경우에 해당 카는 제4도에서 상세히 도시되는 바와 같이 블록 동작 상태하에 있다.
마이크로 컴퓨터(80a)와 (80b)간의 통신은 제3의 양방향 통신 링크(133a/b)를 포함하는데, 그 링크는 각각의 직렬I/O 제어기(296)에 의해 다중 통신 링크를 조작하기 위해 나머지 캐패시터 사이를 접속시켜준다. 각 마이크로 프로세서 회로(246)은 예를들면 5개까지 다중 통신링크를 조작할 수 있는데, 그 어떠한 링크는 단일 라인의 로딩이 방지될 수 있도록 구동 장치를 이네이블 및 디스에이블시킬 수 있다. 제1도와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같이, 유사한 양방향 통신 링크(133c/d)는 마이크로컴퓨터(80c와 80d)만을 통신하는 방식으로 되어 있다. 이것은 또한 통신링크(133b/c)에 대해 기술되는데, 그 링크(133b/c)는 0과 2 같은 선택된 원격FC 마스터 제어기 사이의 통신이 정상 선택 처리상태가 저하되지 않은 통신을 유지할 동안, 이루어질 수 있도록 두쌍의 엘리베이터 카에 있다. 이것은 전술한 바와같은 두쌍의 카 세트에 있는 원격제어기의 다른 카 위치 어드레스와 관련한 각 하부 카 위치 어드레스를 갖는 원격제어기이다. 제3의 양방향 통신 링크(133a/b,133b/c,133c/d)의 설비에 의해 FC 마스터 제어기가 제3양방향 통신 링크(133b/c)를 통해서 두쌍의 카에 있는 원격제어기의 FC 마스터에 정보를 전송할 뿐만 아니라, 관련 원격제어기에 정보를 전송할 수 있도록 적당한 직렬 통신로를 제공한다.
이러한 통신 링크에 의해 또한 스위칭 방식에 대한 디스패처나 뱅크제어(BC) 마스터로서 작용을 하기 위해 선택된 원격제어기중 하나를 공유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토큰 전달 방식이 다음 원격제어기에 주어질때까지 모든 다른 제어기가 순차적이거나 정돈된 방식으로 수신하는 동안 각 원격제어기가 송신할 기회를 갖도록 모든 원격제어기는 토큰 전달 방식을 행할 수 있다. 이는 카가 정차한 경우의 카 이동위치정보, 상향 및 하향 이동 방향, 카의 도어가 개방 또는 폐쇄위치에 있는가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행해지는데, 이 정보는 원격제어기가 1층의 118R 등의 임의의 푸시버튼 위치에 홀 호출이 있는 경우를 인식할 수 있도록 직렬출력 데이타 ±SOD를 제공하기 위해 각각의 직렬 입력 데이타 ±SID 클록킹을 통해 코리도어 고정구와 통신을 하게하는 RS-485 타입의 통신 프로토콜이다. 상기 프로토콜이 호출 테이블로 들어가 상기 정보가 제3의 양방향 통신링크(133b/c,133a/b)상에서 상기 정보를 전달하는 FC 마스터나 #2 마이크로 컴퓨터(80c)에 전달된다.
다른 정상선택 FC 마스터 #0 마이크로 컴퓨터(80a)는 홀 호출이 있는 것을 인식하고 카 A 또는 B 제어기는 코리도어 고정구 118L과 118R 사이에 푸시버튼을 켜고 끄는 등의 동기화가 이루어지도록 호이스트웨이 데이타링크(82L)상에 직렬메시지를 출력시킨다. 디스패처나 BC 마스터 지시에 의해 신호가 형성된 모든 호출이 마이크로 컴퓨터 원격층 제어기들중 어느 하나에만 행해지는 고유한 기능을 갖기 때문에, 1층에서의 서비스동안 계층 랜턴(114L,114R)에 대해서 상기와 같은 상태가 이루어진다. 우선 순위를 제외하면 동일한 프로그램 제어하에서 각 원격제어기가 작동한다. 계층 제어방식은 엘리베이터 서비스에 고장이 있는 경우, 가장 낮은 카로부터 가장 높은 위치의 카로 우선순위가 이어지도록 카 위치 어드레스와 비례하여 각 원격제어기에 대한 타이머의 세팅에 기초를 두고 있다고 가정한다.
제3도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면, 제2도의 각 마이크로 컴퓨터회로의 EPROM내에 프로그램되는 단축된 형태의 프로그램모듈이 도시되어 있는데, CPU(286)은 라벨(310)에서 직렬시퀀싱을 시작하고, 종료로 표시된 라벨(321)로 이르도록 플로우 도의 이동이 312 및 316 등의 6각형 형태의 콘테이너와 314 및 318 등의 동작 블록용의 4각형 형태의 콘테이너에 포함된 여러 가지 결정 단계를 거친다. CPU(286)은 상기 모듈이 진행되는 시간동안 순서적으로 표시된 임의의 관련 프로그램 루틴을 통해 연속적으로 스텝을 거치고, 이러한 형태의 다른 모듈을 검토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시스템과, 여러 가지 카 시그널링, 제어 및 코리도어 신호 처리 기능을 행하기 위해 연속적인 서브 루틴의 체인이 제공된다. 이로인해 본 발명의 설명이 불가피하게 장황하게 된다.
제3도에 도시된 제1결정단계(312)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대한 전력이 막 턴온되었는지 여부를 알아보는 검사를 나타내는데, 전력이 310에서 턴온된 상태이므로, 그 응답은 예 Y이고 작동블록(314)는 RAM(294)에서 DISP 타이머를 세트시킨다. 이러한 것은 타이머가 타이밍 아웃전에 동작상태로 되는 시간의 길이에 응답하여 각 원격제어기에 대한 다른 값으로 세트된 프로그램 타임 카운터나 소프트웨어 카운터를 제공하기 위해 행해진다. 예를들면, 최소 타이머 FD가 HEX7, DECIMAL7에 대응하는 2진수 00000111로 세트된다. 카운터는 0.5초 간격에서 카운트하도록 세트되어 있고, 7로부터 카운팅 되는데, 그 시간은 3.5초가 된다. #1 원격제어기 타이머 F1은 HEX9, DECIMAL9에 대응하는 2진수 00001001로 세트되어 있어서 9로부터 카운팅되는 시간은 4.5초이다. 유사하게, 크기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타이머 F2는 5.5초의 카운트를 나타내고, 타이머 F3은 전술한 형태의 스태거 관계 또는 다른 상태를 나타내기 위해서 6.5초로 세트된다. DISP 타이머에 의해 각각 다른 값으로부터 카운트되어, 디스패처 신호가 #3 링크에서 검출된 후 즉시 발생되어야 하는 타이머의 디스에이블 상태가 없는 한 최하위 숫자의 카로부터 최상위 숫자의 카로 카운팅의 타임아웃이 이루어진다. 이것은 제2도의 제3의 양방향 통신 링크(133a/b)에 대응하는 다중카 통신 링크에 대응하는 것이다.
각각의 타이머가 세트된 후, 다음 결정단계(316)에서 #3 링크상에 디스패처신호가 있는지 여부를 알아보기 위한 검사가 이루어진다. 응답이 긍정응답이라면, 작동블록(318)은 전력이 방금 턴온되었으므로, 카운팅 아웃과정에 있어서 이네이블될 것으로 가정된 카의 디스패처 타이머를 디스에이블 시킨다. 이것은 디스에이블된 DISP 타이머가 예에 따라 3.5초 후에 카운트아웃되는 최소 타이머 FD가 아니것을 나타낸다. DISP 타이머 F1, F2, F3에 대응하는 3.5초후에 카운팅이 계속되는데, F1, F2, F3 는 각각 4.5,5.5,.6.5.에 대응한다. 최소 타이머 F0가 디스에이블 되지 않는다고 생각하면 결정단계(316)이 #3 링크상에 디스패처 신호가 있는지 여부의 검사가 부정응답을 나타내는 것을 보이므로, #0 마이크로 컴퓨터(80a)에 대한 DISP 타이머는 각각의 타이머가 타임아웃되었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결정단계(322)를 통해서 카운트아웃이 진행된다. 응답이 아니오N이 아니면 타이머 F0가 3.5초후에 결정 단계 (322)에 의해 타임 아웃이 실제로 나타나기까지 결정단계(316)을 통해 복귀 루우프를 형성한다.
결정단계(322)에 대한 긍정응답이 카 디스패처로서 #3 링크상에 신호를 제공하기 위해 작동블록(324)를 통해 진행되고, 블록(324)로부터 325를 통해 나간다. 이로 인해 각각의 나머지 마이크로 컴퓨터(80b,80c,80d)각각에 의해 결정단계(316)에서 각각의 DISP 타이머의 카운트아웃을 종료시키기 위해 모든 원격제어기에 신호가 제공되는데, 마이크로 컴퓨터(80b,80c,80d)는 다중 카 통신 링크 #3상에서 신호를 수신하여, 출구(321) 이전에 각각의 카 디스패처 타이머를 디스에이블 시키기 위해 오른쪽 작동블록(318)로 예 Y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방식에 있어서, #0 마이크로 컴퓨터(80a)를 구비한 원격제어기는 카 뱅크의 디스패처나 뱅크제어(BC) 마스터가 되는 우선 순위를 갖고, 제어기가 어느 카가 가장 편리한 방식으로 코리도어 호출에 이를 수 있는가를 계산한 후에 카에 코리도어 호출에 대한 응답이 지워진다. 디스패처는 시스템내의 카 뱅크에 대해 모든 다른 마이크로프로세서와 통신하기 때문에 모든 엘리베이터 카가 위치한 곳을 알며, 본 발명은 병렬 두쌍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자동적으로 디스패처제어를 전달하는 방식으로 기술된다. 이러한 것은 본래 디스패처로 선택되어진 원격제어기와 뱅크내의 다른 카 사이에 연속적인 고장이 있는 경우에 발생된다. 유사하게, 디스패처로 선택된 원격제어기의 셧다운에 대한 디스패처의 스위칭 기능이 있다. 이러한 스위칭 기능은 거의 순차적으로 발생되는데, 이하 기술된다.
홀 호출 서비스를 위한 계층 제어(FC) 마스터방식의 실행에 대한 설명이 유사한 우선 순위에 따라 행해진다. 이러한 우선 순위는 비슷한 근거를 갖고 있지만, 각각의 타이머는 타이머가 동작상태에 있는 시간의 길이에 대응하는 카운트수에 대한 프로그램을 간단히 삽입시킴으로써 다른 값이나 다른 시간 간격 FC0,FC1,FC2,FC3로 세트된 제 2세트의 프로그램타입 카운터나 소프트웨어 카운터를 제공하기 위해 RAM(294)를 사용한다. 3초간의 최소 타이머 FC0에 대한 동일한 관계의 크기가 0.5초의 시간간격에서의 카운트률을 갖는 여러 가지 숫자 시스템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선택되는데, 이에 의해 DECIMAL6으로부터 카운트가 시작된다. FC1,FC2,FC3 대한 시간간격에 있어서의 비례적인 스케일은 각각 4,5,6초의 DISP 타이머에 대해 사용되는 타이머로부터 서로 1초 다르게 또한 1카운트 다르게 선택된다.
제4도의 플로우차트는 제2도의 마이크로컴퓨터 회로 EPROM (292a,292b) 으로 프로그램화 되는 관련된 시퀀싱 루틴을 갖는 프로그램모듈 ATBBO이다. 제4도는 제1도에 도시된 두쌍의 카중에서 관련된 제어기 마이크로 컴퓨터 회로(80a,80b)에 의해 매카 작동상 트리거 되는 적절한 블록 작동 모드를 실행하기 위해 반복적으로 시퀀스 작동한다. 적절한 시간을 이용한 블록 작동을 위해 프로그램 ATBBO(410) 작동시키도록 카 A(80a)와 같은 특정의 카와 그의 관련된 원격 제어기가 가능하다. 두쌍의 카에 카 B 및 마이크로 컴퓨터(80b)가 이는 제2도의 관련된 RAM(294) 와 함께 CPU(286)에 의해 각각 작동되는 ATBBO 모듈을 작동시킨다. 각각의 이런 제어기가 직렬 호이스트웨이 승강기(82c)와 통신할 수 없을 때 또는 각 제어기가 그들과 통신할 수 없는 각 홀 고정구 회로기판(108a/b)을 통한 바와 같이 분배 코리도어 고정구와 이런 인터페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런 경우, 마이크로 컴퓨터(180a)는 그의 다수 계층에 승객에 서비스하기 위해 홀 호출에 응답하도록 호이스트웨이 승강기(82c)와 연속해서 통신할 수 있다. 카 A는 카 B에 대해 적절한 블록 작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방법으로 이런 홀 호출에 응답하기 위해 단일 카 시스템으로서 연속적으로 작동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호이스트웨이 승강기(82)는 카 A와 통신이 불가능하다면, 그의 제어기는 마이크로 컴퓨터(80b)가 그에 서비스하기 위해 홀 호출에 응답하는 단일의 카 시스템으로서 작동되고 홀 웨이 직렬 링크를 제어할 동안 적절한 블록 작동에 대해 프로그램을 작동시킨다. 다른 카와 함께 단일의 카 시스템으로서 작동되는 임의의 카에 대해 서비스의 이런 작동 모드는MODE2와 대응하는 블록 작동을 동작시키고 미합중국 특허 제4,765,442호와 동일한 제4도에 관해 또다른 통신 가능성이 최종 언급된 미합중국 특허원에 기재되어 있고 제어기의 복수의 두쌍 카는 작동되어진 상황이다. 예컨데 카 A와 카 B에 대한 각각의 호이스트 상승기(82c) 및 카 C와 카 D에 대한 호이스트웨이 상승기(82R)과 각 카와 관련된 제어기 각각은 최소한 하나의 코리도어 승강기와 통신이 두절된다면 MODE3에서 블록 작동이 개시된다. 각각의 두쌍의 카 제어기들 사이의 통신 결함이 있으면 동일하게 유지되고 임의의 결합된 카에 의해 임의의 코리도어 고정구와 통신 신호용 인터페이스가 없어서, 선택된 카는 이런 기준의 MODE3에서와 같이 모든 카에 대해 블록 작동을 시작한다.
본 발명의 ATTBBO의 동작 시퀀싱에 한 기술은 카의 복수의 뱅크 작동에 대한 뿐만 아니라 개개의 제어기 작동 방식에 최소한 제한되고 향상되어 최종 언급된 미합중국 특허 제4,765,442호의 엘리베이터 시스템과 결합하여 작동되는데 특히 적합하다.
모든 카가 적절한 타임 이용 블록 작동으로 진행하는 상황이 최소한 제한하는 건물에 서비스를 제공하여 마이크로 컴퓨터 회로에 의해 수행된 분배 제어 시스템을 완전히 평균화 시킨다. 본 발명에 따라 적절한 블록 작동에 대한 한가지 제한은 직렬 링크 통신은 결함이 있기 때문에 서비스에 대해 홀 호출의 부족에 의해 필요하게 된다. 이런 제한은 카가 건물에 연속적인 효율을 서비스하도록 호출패턴을 형성하여 아웃세트에서 행하여지고 적절한 블록 작동이 진행될 때 시스템이 마모되지 않는다.
제4도에 있어서, 라벨(410)의 프로그램 모듈 ATBBO 삽입시킨후 작동 블록(412)에서 제1단계는 각 각의 카 C 또는 카 D에 대해 건물의 최하부 계층에 대한 업 호출로 들어간다. 하나의 카 또는 두 카는 이런 예 목적상 사용되고 직렬 승강기(82R)에 통신 신호 제어의 부족을 반복적으로 검사하는 그들의 관련된 제어기에 의해 블록 작동이 설계된다. 최하부 계층에 대한 업 호출의 입구는 적절한 블록 작동으로 진행시키는 카 또는 복수의 카에 대해 중계 호출로 구성한다. CPU(286)는 최하부 계층 또는 랜딩(15c)으로 엘리베이터 카 C를 보내기 위해 루틴 모듈을 작동시키고 호출 루틴의 연속적인 동작을 지나 블록(412)에서 중계 호출에 응답한다.
도어 개방 루틴은 후면 카 도어 뿐만 아니라 전면 카 도어(13c,13b), 및 최하부 계층에 대한 중계 호출의 입구는 승객이 카의 출구로 부터 나오기 위해 최하부 계층에 도달할 때 열려지도록 신호가 보내지어 세트된다.
직렬 호이스트 승강기(82R)의 결합 이전 통신은 각 카에 대한 정보가 제어기 뱅크에 있도록 다수의 카 통신 링크 (133c/d,133b/c)를 따라 분기하는 뱅크의 모든 제어기에 정보를 제공한다. 따라서, 다른 제어기의 각 계층이 서비스 될 수 있고 뱅크 내의 다수의 카가 적절한 블록 작동 모드에서 어떻게 작동하는가를 지시한다. 카 C와 D와 같은 두 카가 적절한 블록 작동이 두가지가 있을 때마다, 하나의 카는 계층 3과 같은 특정의 계층 이상으로 진행할 수 없고 블록 작동 상의 다른 카는 계층 4 이하로 내려가지 못한다. 따라서, 적절한 블록 작동을 작동시킬 때 이런 두쌍의 카들 사이에 동등하게 분할된 계층 0 내지 계층 7을 갖는다. 제1 결정 단계(41)는 제1호를 패턴이 랜싱 또는 최하부 계층(15c)에 카가 도달하기 전에 카 C에 상태보고를 제공하는 RAM(294)에서 스트라치 패드 메모리에 기억되는지를 검사한다. 상태 보고에서 제1호출 패턴이 있으면 다수의 카가 뱅크에 어떻게 있는가, 다수의 카가 계층에 어떻게 서빙하는가, 카 수는 카 C에 대해 #2 카 D에 대해 #3이라는 정보를 포함한다. 카 C는 최하부 계층으로 내려간 후, 제1호출 패턴은 뱅크와 공통이 아닌 나머지 계층에 근거하여 세트되고 결정된다. 결정 단계(414)에서 Y로 제1호출 패턴이 있으면 작동 블록(416)은 공통 계층의 #을 계산하고 상기 #은 다른 카가 작동하는 이상인 계층을 의미하고 계층 0 내지 계층 7의 건물내에서 계층을 서빙하는 뱅크내에 있는 카의 #을 계산한다.
예컨대, 하나 이상의 카는 서브될 수 있는 6공통 계층이 있고 이들의 공통 계층을 서비스하는 계층에 3개의 카가 있다. 이런 계산은 다음 작동 블록(420)에 대한 정보로서 처리하는데 블록(420)은 이들 공통 계층을 서브가능한 카 #에 의해 분할된 공통 계층의 #과 동일한 분할 부분으로부터 유도된 계층에서 호출을 개시하거나 케이블을 가진 두 카는 그곳으로 들어가 나온다. 다음 작동 블록(422)는 공통 계층을 서어비스하는 카의 뱅크와 공통이 아닌 건물의 나머지 계층에서 호출한다. 따라서, 하나의 계층만을 서브하는 카에 대해 호출하도록 한다. 예컨데, 제1동의 건물 최상부 계층인 계층 0과 계층 사이에 승객을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되도록 카 A가 있다. 그후 카 A는 자동식으로 계층 7에서 승객을 서브하기 위해 호출하고 이런 계층은 뱅크와 공통 계층이 없고 카 B, C는 이런 예 계층 0 내지 계층 5을 위해 6개의 공통 계층을 서빙하는 카이다. 다음 작동 블록(424)은 모든 계층에 대해 대기 타이머를 가진 각 카에 대해 정각에 카운트다운을 제공하는 대기타임머로 명칭된 소프트웨어 타이머의 로딩을 제공한다. 따라서 각 카에 대한 작동 블록(424)은 단지 하나의 카가 특별한 계층을 서비스한다면 2분에 해당하는 매 대기시간의 값으로 증가하여 공통계층을 서빙하는 카의 #과 동일하다. 두 카가 공통계층을 서브할 수 있다면 각각의 카 제어기에 있어서 이런 계층에 대해 세팅하는 대기 타임머는 5분이다. 카운터는 240으로 부터 하향계수하는 동안 0.5초 간격으로 계수하도록 세트되며, 이에 걸리는 시간은 단위 대기시간의 경우인 120초 또는 2분이 될 것이다. 이것은 또한 필요한 단위 대기시간에서 10진 240을 하향계수하기 위하여 16빈 F0 및 2진 11110000에 대응한다.
맨 아래층으로 내려온 각 카는 각 카가 맨 아래층으로 부터의 운행 개시시에 서비스할 수 있는 각 층에 대하여 별도의 타이머가 장전된 각각의 제어기 마이크로 컴퓨터(80b,80c,80d)를 갖는다. 이어서 초기 패턴의 홀 호출의 초기 세트로 들어가게 되어서 각 카는 각 카 관련 마이크로 컴퓨터에서 세트되었던 각 층에 대하여 개개의 대기 타이머로써 제1패턴의 이러한 홀 호출에 응답할 수도 있다. 따라서 각 카는 각 카가 다른 시간에 각 층을 서브시하기 때문에 각 층에 대하여 그것의 타이머가 다른 시간을 갖게될 것이다 이것은 특정 카가 모든 층을 동시에 운행하고 서비스할 수 없었기 때문에 타이머를 변화시킨다. 이것은 특정층으로 운행하는 걸리는 양만큼 시간을 빗나가게할 어떤 시간 갭이 있어야 할 필요성을 충족시켜준다.
다음 판별 단계(426)는 카가 맨 아래층에 있는가 알아보도록 검사하며, 그 결과가 긍정 응답인 경우 출구가 라벨(433)에서 우측으로 향한다. 부정응답인 경우는, 작용블록(430)이 가상 호출(dummy call)로 들어가는 것처럼 앞서 언급하였던 ATBBO 프로그램 모듈의 개시시에 작용블록(412)에 유사한 맨 아래층에 대한 상승호출(up-call)로 들어가게 된다. 만일 판별단계(414)가 제1호출 패턴이 있고 응답이 부정인가의 내부를 검사한다면, 다음 판별 단계(442)는 한층에 대한 대기 타이머가 뱅크에 공통이 아니나 카 C에 의해 서비스될 수 있는 어떤 층에서 만료되었는가 검사하게 된다. 만일 그 답이 Y이면, 작용블록(444)은 단지 하나의 카가 서비스할 수 있는 한층인 그 층에 대한 호출로 들어가게 된다. 그러나, 만일 검사 단계(442)가 특정층에 대한 대기 타이머가 만료되지 않았다는 것을 발견하게 되면, 다음 판별 단계(446)는 카가 호출에 응답하였는가의 여부를 검사하게 된다. 한 카가 홀 호출에 응답할 때 그것의 타이머는 특정층을 서비스할 수 있는 두 개의 공유 카 중 하나인 경우에 4분이 될 2분의 대기 시간 배수로 다시 부하가 걸리게 된다.
한층이 서비스될때마다 작용블록(448)은 특정층으로 다시 서비스하기 위하여 너무 오랜기간동안 대기하지 않도록, 그 특정층에 대하여 세트된 그 특정 카에 대한 타이머를 재부하시킨다. 그 층에 대한 각 타이머를 세트시킬 수 있는 시간은 카 C가 그 층에서 호출에 응답하였을 때이다. 카 C에 의해 서비스된 특정층에 대한 타이머가 부하될 시간은 지정층으로 가도록 결정한 카내의 승객에 의해 등록된 바와 같이 카 호출이 지정층에 대하여 응답될때이다. 카가 그 층에 있을때의 타이머의 리세팅은 패턴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특정층에 대하여 호출이 있는 경우에 그 층에 대하여 타이머가 종료할때까지 카 C로 다시 그 특정층으로 돌아가게 할 가능성을 배제시킨다.
특정층 및 공통 카에 대한 대기시간이 서비스되는 카의 수에 직접 비례하게 되는 경우, 특정층으로의 서비스가 차단동작시 모든 카에 의해 공유된다. 대기시간은 특정층을 서비스하는 공통 카의 수에 비례하고 타이밍은 이 적당한 시간 기준의 차단동작에 대하여 향상되며, 그에 따라 빌딩을 보다 효과적으로 서비스하게 된다. 적당한 차단 동작 프로그램 모듈 ATBBO는 복수의 2카쌍 엘리베이터 시스템으로 확장될 수 있는 2카쌍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의한 동작목표에 특히 적합하지만, 분포처리 회로망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어기에 대하여 기술되어 왔다. 이 개념의 연장으로 간주될 다른 빌딩 구조에 대하여도 어떤 특수 소프트웨어가 필요치 않게 된다.

Claims (10)

  1. 건물(16b,16c)의 각 계층(0,1,...7)으로 부터 엘리베이터 서비스의 블록 동작 모드가 극도로 제한되지 않도록 보호하기 위해 각각의 카가 로컬에어리어 네트워크(86a,86b)상에서 통신하는 그 카 호출 신호를 각 카에 배치된 전자회로(83a)로 부터 분리 이동 케이블(84a,84b)을 통해 원격제어기(80a,80b)로 전송하도록 하고, 상기 각각의 원격 제어기는 각 카와 별개로 마이크로프로세서 이용 컴퓨터 회로(제2도의 246 또는 246')를 포함하며 또한 로컬에어리어 네트워크상의 코리도어 신호 정보를 각 계층에 근접 분포된 한조의 계층 제어회로(108a/b,110a/b,120a/b)에서 종료하는 승강기 케이블(82L 또는82R)을 통해 통신하도록 하여, 다수의 엘리베이터 카(제1도의 12a,12b 또는 A,B,C,D)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이용 컴퓨터 회로를 가진 상기 각각의 원격 제어기로 하여금 통신 네트워크, 관련 카 이동 위치 및 타이밍을 기초로 하여 보다 나은 카를 상기 케이블 승강기에 따라 각 계층에서 기입된 홀 호출 신호에 응답하는 동작으로 할당시키기 위한 계층 제어방식을 위한 연속적인 실패 제어 모드를 수행할 수 있게 하는 단계(제2도,제3도,제4도 0,1,2,3)와; 상기 각각의 원격 제어기로 하여금 코리도어 케이블 승강기 상의 그 동작 능률 및 통신 신호 보전성을 반복적으로 검사하도록 하는 단계(제3도의 316 또는 제4도의 410,430,432)를 포함함으로써 최하부 계층으로 승객이 이동되는 건물을 전반적으로 서비스하기 위한 능력을 갖는 케이블 승강기 상에서의 통신시각 원격 제어기에 영향을 주는 통신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계층 제어 방식에서 최소한의 제한 효과로서 적절한 블록 동작 모드(ATBBO)의 실행을 각각 개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엘리베이터 카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적절한 블록 동작을 상기 실행 단계는 관련된 카가 최하부 계층(426)으로 하강되고 대기 타이머(442)의 카운팅 다운을 개시할 때 각각의 원격 제어기가 각층에 대한 타임머(제4도의 424)의 로딩을 초기화하고, 카가 최하부 계층으로부터 상부로 움직이기 시작할 때 부터 가동되도록 규정하므로써, 홀 호출은 특정한 계층(446)에 응답되고 그 후 타임머 로딩이 초기화하는 것과 동일한 대기 시간으로 특정 계층에서 대기 타임머를 재로딩하며, 계층이 서비스 되도록 카의 수에 정비례하고 블록 동작시 작동되는 카와 관련된 모든 제어기에 의해 서비스 계층에 분할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원격 제어기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이용 컴퓨터 회로가 로컬에어리어 네트워크를 통해 코리도어 신호 정보를 통신하기 위한 상기 단계는 기입된 홀 호출에 응답하는 승강기 케이블상의 신호를 통신할 수 없는 각 제어기에 대해 적절한 블록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검사 단계에 의해 판단됨에 따라 승강기 케이블 또는 홀 웨이 직렬 링크를 통해 직렬 신호 전송 포맷으로 양방향성 통신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엘리베이터 카는 두쌍의 카(A 및 B 혹은 C 및 D) 작동 시스템이고, 적절한 블록 동작의 실행을 개시하는 원격 제어기와 결합된 나머지 제어기는 상기 반복된 검사 단계에 의해 선택된 후 선택된 제어기가 각 층에서 기입된 홀 호출에 응답하는 그 자체에 의해 계층 제어 방식을 실행하고, 통신 경로가 실행가능한 반면 카의 기입된 카 호출과는 별개의 카 응답을 동시에 제어하는 한은 상기 두쌍이 카를 위한 홀 호출 응답으로서의 계층 제어(FC)방식을 갖는 단일 카 시스템을 충분히 실행하기 위한 각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이용 컴퓨터 회로를 작동시키는데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엘리베이터카는 두쌍의 카세트(A와 B, C와 D)를 포함하는 작동 시스템이며, 원격제어기와 결합된 나머지 제어기는 각 세트내의 적절한 블록동작을 실행하고, 각 제어기는 상기 두쌍의 복수의 카에 대해 각각 홀 호출 응답으로서 하나의 카 시스템 계층 제어(FC)방식을 완전히 실행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이용 컴퓨터 회로를 갖고 상기 반복된 검사 단계에 의해 작동하기 위해 선택되며 각각 선택된 제어기는 통신 통로가 실행가능하도록 계층에서 제한된 홀 호출에 응답하므로써, 그 자체에 의해 계층 제어 방식을 실행할 수 있으며 아울러 각 카로부터 기입된 카 호출에 개별적으로 카 응답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건물(16b,16c)의 각 계층으로 부터 엘리베이터 서비스의 블록 동작 모드가 극도로 제한되지 않도록 보호되는 다수의 엘리베이터 카(제1도의 12a,12b 또는 A,B,C,D)를 제어하기 위하여, 카 호출 신호를 통신하며, 이동 케이블(84a,84b)상의 원격제어기(80a,80b)에 접속된 각각의 카에 배치된 전자회로(83a등)를 포함하고, 상기 원격 제어기가 각각의 카와 별개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이용 컴퓨터 회로(제2도의 246,246')를 포함하도록 한 제1로컬에어리어 네트워크(86a,86b)와; 각각의 계층에 근접 분포된 일련의 계층 제어 회로(108a/b,110a/b,120a/b)에서 종료하는 승강기 케이블(82L 또는 82R)을 통해 코리도어 신호 정보를 통신하는 각각의 원격 제어기에 대한 제2로컬에어리어 네트워크(82a,82b)를 구비한 다수의 엘리베이터 카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마이크로프로세서 이용 컴퓨터 회로를 가진 상기 각각의 원격 제어기는 통신 네트워크 신호 보전성, 관련 카 이동위치 및 타이밍을 기초로하여 보다 나은 카를 상기 케이블 승강기에 따른 각 계층에서 기입된 홀 호출 신호에 응답하는 동작으로 할당시키도록 계층 제어방식(FC)에 대해 연속적인 실패 제어 모드(제2도,제3도,제4도(0,1,2,3))을 수행되게 하고, 상기 각 원격 제어기의 컴퓨터 회로는 제어 시스템내의 코리도어 케이블 승강기에 대한 통신 신호 보전성과 작동 능률을 반복적으로 검사하기 위한 수단(제3도(316) 4(420,430,432))을 포함함으로써, 최하부 계층으로 승객이 이동되는 건물을 전반적으로 서비스 하기 위한 능력을 가진 케이블 승강기에서의 통신시 각 원격 제어기에 영향을 주는 통신 고장이 있는 경우 계층 제어방식에서 최소한의 제한 효과로서 적절한 블록 동작 모드(ATBBO)의 실행을 각각 개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엘리베이터 카 제어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각 제어기 마이크로 컴퓨터내의 적절한 블록동작 프로그램 모듈은 홀 호출이 특정 계층에서 응답될때 관련된 카가 각각 최하부 계층(426)으로 부터 위로 이동되려고 시작하기 위해 카운팅 아웃되는 타임 카운팅을 위한 각 계층에 대해서 대기 타임머를 제공하는 타임 카운터 기능과, 최하부 계층에서 초기에 로딩되고 각 계층이 서비스되는 카의 수에 정비례하고 특정한 게층에 대해 호출이 응답되어 진후 재로딩 되고(448) 블록 동작시 작동되는 카와 관련된 모든 제어기에 의해 서비스를 계층에 분할시키는 대기 타임(42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엘리베이터 카는 복수의 두쌍의 카(A,B 및 C,D) 및 원격 제어기와 관련된 나머지 카를 구비한 작동 시스템이며, 원격 제어기는 각각의 상기 복수의 카쌍에 대해 홀 호출 응답용 계층 제어 방식을 가진 단일 카 시스템을 완전히 실행 가능하게 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이용 컴퓨터 회로를 포함하는 각 세트내의 적절한 블록 동작을 수행하기 시작하고, 그의 동작 능률을 반복적으로 검사하는 상기 수단에 의해 동작이 선택되고 각각 선택된 제어기 각각은 통신 통로가 실행가능한한 계층에서 기입된 홀 호출에 그 자체에 의해 응답하고 아울러 상기 카 호출 신호와는 별개의 카 응답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계층 제어방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각 원격 제어기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이용 컴퓨터 회로는 로컬에어리어 네트워크를 통해 코리도어 신호 정보를 직렬 통신하게 되며, 아울러 기입된 홀 호출에 응답하는 승강기 케이블상에서 신호를 통신할 수 없는 각 제어기에 대해 적절한 블록 동작을 수행하는 검사 수단에 의해 결정됨에 따라 그것이 실행가능한 네트워크인 한은 승강기 케이블 또는 홀 웨이 직렬 링크를 통해 직렬 전송 포맷으로 양방향 통신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엘리베이터 카 제어 시스템.
  10. 제6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엘리베이터 카는 두쌍의 카(A 및 B 혹은 C 및 D) 작동 시스템이며, 원격 제어기와 연결된 나머지 제어기는 적절한 블록동작을 수행하여 상기 두쌍의 카에 응답하는 홀 카용 계층 제어 방식을 가진 하나의 카 시스템을 별도로 수행하기 위하여 각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이용 컴퓨터 회로를 작동시키는데 각각 적합하며, 상기 수단이 그의 작동 능률을 반복적으로 검사하여 선택되어진 후, 상기 선택된 제어기는 통신 통로가 실행가능한 계층에서 기입된 홀 호출 응답하고 아울러 상기 카 호출 신호와는 별개의 카 응답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계층 제어방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엘리베이터 카 제어 시스템.
KR1019880013510A 1987-10-16 1988-10-15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제어 방법 및 장치 KR9700000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7/109,640 US4766978A (en) 1987-10-16 1987-10-16 Elevator system adaptive time-based block operation
US109,640 1987-10-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6508A KR890006508A (ko) 1989-06-14
KR970000013B1 true KR970000013B1 (ko) 1997-01-04

Family

ID=22328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3510A KR970000013B1 (ko) 1987-10-16 1988-10-15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4766978A (ko)
KR (1) KR970000013B1 (ko)
BR (1) BR8805350A (ko)
CA (1) CA1275517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47382A (ja) * 1988-03-30 1989-10-03 Hitachi Ltd エレベーター制御システム
US5168131A (en) * 1990-09-28 1992-12-01 The Cheney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elevator
ATE182856T1 (de) * 1994-01-12 1999-08-15 Inventio Ag Intelligent verteilte steuerung für aufzüge
WO2000034169A1 (en) * 1998-12-07 2000-06-15 Otis Elevator Company Wireless elevator hall fixtures
WO2001079102A1 (fr) * 2000-04-12 2001-10-25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Contrôleur de communication pour un système d'ascenseur
GB2364991B (en) * 2000-05-05 2004-05-26 Read Holdings Ltd Lift control system
US8177031B2 (en) * 2005-11-16 2012-05-15 Otis Elevator Company Commissioning of elevator hallway fixtures in a destination entry group elevator system
EP1980520A1 (de) * 2007-04-10 2008-10-15 Inventio Ag Verfahren zur Einstellung einer Vielzahl von Bedieneinheiten einer Aufzugsanlage mit einer Vielzahl von Stockwerken
FI121465B (fi) * 2009-08-25 2010-11-30 Kone Corp Kuljetusjärjestelmä
GB2487705B (en) * 2009-11-10 2014-03-05 Otis Elevator Co Elevator system with distributed dispatching
US8278779B2 (en) 2011-02-07 2012-10-02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redundant power to a device
CN107074483B (zh) * 2014-10-01 2020-10-13 通力股份公司 电梯布置、方法以及计算机程序产品
US20210147179A1 (en) * 2019-11-20 2021-05-20 Otis Elevator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ing elevator service over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CN112374311B (zh) * 2020-11-09 2022-08-09 深圳市海浦蒙特科技有限公司 电梯并联调度故障处理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99183A (en) * 1980-01-07 1981-08-10 Hitachi Ltd Method of controlling elevator
US4397377A (en) * 1981-07-23 1983-08-09 Westinghouse Electric Corp. Elevator system
US4473133A (en) * 1982-12-06 1984-09-25 Westinghouse Electric Corp. Elevator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8805350A (pt) 1989-06-13
CA1275517C (en) 1990-10-23
KR890006508A (ko) 1989-06-14
US4766978A (en) 1988-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0013B1 (ko)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제어 방법 및 장치
CA2125347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dernizing the control of an elevator group
US4193478A (en) Elevator control system and method
US4785914A (en) Elevator system leveling safeguard control and method
US3973648A (en) Monitoring system for elevator installation
EP2671836B1 (en) Safety control device for elevator
CN103917471B (zh) 电梯安全控制装置
FI72101C (fi) Reglerbara startintervaller foer hissar vid uppaotriktad rusningsstopp.
US4418795A (en) Elevator servicing methods and apparatus
AU2003232862B2 (en) Passenger guidance system and display device
CN105692366A (zh) 电梯系统及电梯系统的管理方法
US4106593A (en) Methods and tools for servicing an elevator system
KR970000011B1 (ko) 엘리베이터 시스템 카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A2042971C (en) Group control for lifts with double cages with immediate allocation of target calls
KR970000012B1 (ko) 엘리베이터 카 제어방법 및 장치
CA1111974A (en) Elevator system
JPS6320744B2 (ko)
CA1224286A (en) Elevator system
CA1190676A (en) Elevator system
US5427206A (en) Assigning a hall call to an elevator car based on remaining response time of other registered calls
US3236332A (en) Elevator control including means to select most favorable car to exclusively serve apriority call
JPH09208145A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装置及びその方法
JPS6093080A (ja) エレベータ装置
US5467844A (en) Assigning a hall call to a full elevator car
KR19990044162A (ko) 수평 이송 캐브를 이용하는 엘리베이터 셔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2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