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4515B1 - 액상 직물 연화제 - Google Patents

액상 직물 연화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4515B1
KR930004515B1 KR1019860002331A KR860002331A KR930004515B1 KR 930004515 B1 KR930004515 B1 KR 930004515B1 KR 1019860002331 A KR1019860002331 A KR 1019860002331A KR 860002331 A KR860002331 A KR 860002331A KR 930004515 B1 KR930004515 B1 KR 9300045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component
group
formula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2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7416A (ko
Inventor
트린 토안
호프만 왈 에롤
마리온 샤틀레이 도날드
리 헤밍웨이 도날드
Original Assignee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원본미기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원본미기재 filed Critical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Publication of KR860007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74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45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45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005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their effect
    • C11D3/001Softening compositions
    • C11D3/0015Softening compositions liquid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38Cationic compounds
    • C11D1/645Mixtures of compounds all of which are cationi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 Ultra Sonic Daignosis Equipment (AREA)
  •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Fibers (AREA)
  • Polysaccharides And Polysaccharide Derivatives (AREA)
  • Saccharide Compound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액상 직물 연화제
본 발명은 가정 세탁 조작의 수세 과정 동안에 직물을 연화시키는 조성물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직물을 연화시키는 방법은 접촉할 경우 부드럽고 유연하며 푹신한 질감 또는 감촉(즉, 부드러움)을 세탁된 직물에 부여하기 위하여 실제로 널리 사용된다.
직물 연화용 액상 조성물은 본 분야에 오랜동안 공지되어 있으며 자동 세탁 조작의 수세 과정 도중에 소비자들에 의해 널리 이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직물 연화(fabric softening)"라는 용어는 본 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용어로서 바람직하게는 부드러운 감촉 및 폭신한 외관을 직물에 부여하는 공정을 의미한다.
4급 암모늄염 및 2개의 장쇄 비환식 지방족 탄화수소 그룹을 함유하는 치환된 이미다졸리늄염 형태의 양이온성 질소 화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세탁 수세 조작에서 사용될 경우 직물을 연화시킨다(참조에:Lamberti등에게 1972년 2월 22일자로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3,644,203호; Verbruggen에게 1984년 1월 17일자로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4,426,299호; "Cationic Surface Active Agents as Fabric Softeners, "R. R. Egan, Journal of the Americal Oil Chemists' Society, 178년 1월. 118 내지 121페이지; 및 "How to Choose Cationics for Fabric Softeners," J.A. Ackerman, Journal of the American Oil Chemists' Society, 1983년 6월, 1166 내지 1169페이지).
하나의 장쇄 비환식 지방족 탄화수소 그룹만을 함유하는 4급 암모늄염(예:모노스테아릴트리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은 2개의 알킬 장쇄를 함유하는 화합물이 쇄 길이가 동일한 경우 하나의 알킬 장쇄를 함유하는 화합물보다 나은 연화작용을 나타내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적게 사용된다(참조예:"Cationic Fabric Softeners," W.P. Evans, Industry and Chemistry, 1969년 7월, 893 내지 903 페이지). 1984년 8월 7일자로 파슬로우(Parslow)등에게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4,464,272호에도 또한 모노알킬 4급 암모늄 화합물이 덜 효과적인 연화제임이 기술되어 있다.
직물 연화용 조성물에 때때로 사용되는 또 다른 종류의 질소 함유 물질은 비4급 아미드-아민이다. 통상적으로 인용되는 물질은 고급 지방산과 하이드록시 알킬알킬렌디아민과의 반응 생성물이다. 이들 물질중 한예로는 고급 지방산과 하이드록시 에틸에틸렌디아민과의 반응 생성물이 있다(참조예:"Condensaton Products form β-Hydroxyethylethylenediamine and Fatty Acids or Their Alkyl Ester and Their Application as Textile Softeners in Washing Agents," H.W. Eckert, Fette Seifen-Anstrichmittel, 1972년 9월, 527 내지 533페이지).
이들 물질중 통상적으로 직물 연화용 조성물중의 연화 활성 물질로서 기타 양이온성 4급 암모늄염 및 이미다졸리늄염과 함께 인용된다(참조:1984년 7월 17일자로 Rapisards등에게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4,460,485호; 1983년 12월 20일자로 Rudy등에게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4,421,792호; 1982년 4월 27일자로 Rudy등에게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4,327,133호). 1973년 11월 27일자로 베르그(Berg)등에게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3,775,316호에는 (a) 하이드록시알킬 알킬폴리아민과 지방산과의 축합 생성물 (b) (i) 2개의 장쇄 알킬 그룹을 함유하는 0 내지 100%의 4급 암모늄염 및 (ii) 100 내지 0%의 일반식[R5R6R7R8N]+A-의 살균성 4급 암모늄 화합물(여기서, R5는 장쇄 알킬 그룹이고, R6는 아릴알킬 그룹 및 하나 또는 2개의 C=C 이중결합을 함유하는 C3-C18알케닐 및 알카디에닐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물질이며, R7및 R8은 C1-C7알킬 그룹이고, A는 음이온이다)의 4급 암모늄 화합물 혼합물을 함유하는, 세탁된 세탁물용 연화 표면처리 조성물이 기술되어 있다. 1975년 9월 9일자로 나이디취(Neiditch)등에게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3,904,533호에는 직물 연화용 화합물 및 1 내지 3개의 단쇄 C10-C14알킬 그룹을 함유하는 4급 암모늄염인 저온 안정화제로 이루어진 직물 상태 조절 제제가 기술되어 있으며, 여기서 직물 연화용 화합물은 2개 이상의 장쇄 알킬 그룹을 함유하는 4급 암모늄염, 지방산과 하이드록시알킬 알킬렌 디아민과의 반응 생성물 및 기타 양이온성 물질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다.
통상적인 양이온성 직물 연화제는 세탁과정으로부터 생성된 나머지의 세제성분에 의하여 수세조중에서 이들 연화제 효력의 대부분을 소실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양이온성 직물 연화제에 대한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의 불리한 효과가 1976년 8월 10일자로 위르세마(Wiersema)등에서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3,974,076호에 기술되어 있다.
비이온성 세제가 또한 양이온성 직물 연화제에 대하여 불리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때로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보다 한층 더 불리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이 밝혀졌다. 잔류 세제성분에 의한 간섭의 문제는 아주 철저히 직물을 수세시킴으로써 해결될 수 있다. 그러나, 보통의 이용자는 이러한 극단적인 방법을 사용하는 것을 꺼려하기 때문에 주요 종류의 세제에 걸쳐 잘 작용을 하는 직물 연화용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현재의 주요 세제 종류중 대표적인 것으로는 TIDER(음이온성 세제), WISKR[LAS(직쇄의 알킬레이트 설포네이트) 계면활성제중의 풍부한 음이온성 세제] 및 CONCENTRATED ALLR(비이온성 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주요한 종류의 세제의 만나 우수한 연화작용을 수행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목적은 주요 종류의 세제로 세탁된 세탁물에 부드러움을 부여하는 방법을 개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타 목적은다음 기재내용에 의해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은 가정 세탁 조작에서 사용하기 위한 액체 형태의 직물 연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 조성물의 각 성분들의 연화 활성에 비하여 본 발명 조성물이 상승적인 연화 활성을 나타낸다는 발견 및 세탁물을 대표적인 세제, 즉 음이온성 TIDE 분말세제, LAS 계면활성제 중에 풍부히 함유되어 있는 음이온성 WISK 액상 세제 및 비이온성 CONCENTRATED ALL 분말 세제를 사용하여 세탁한 후 수세과정에 이들 조성물을 가할 경우, 디탤로우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와 같은 통상적인 직물 연화제에 비하여 우수한 연화작용을 나타낸다는 발견에 근거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a) 하이드록시알킬알킬렌디아민, 디알킬렌트리아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폴리아민과 고급 지방산과의 반응 생성물 약 10% 내지 약 92%, (b) 하나의 장쇄 비환식 지방족 C15-C22탄화수소 그룹만을 함유하는 양이온성 질소 함유 염 및 약 8% 내지 약 90% 및 임의로 (c) 2개 이상의 장쇄 비환식 지방족 C15-C22탄화수소 그룹 또는 하나의 상기 탄화수소 그룹 및 하나의 아릴알킬 그룹을 함유하는 양이온성 질소 함유 염 0% 내지 약 80%로 이루어진 혼합물 약 3% 내지 약 35중량%를 함유하는 수성 분산액 형태의 직물 연화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이 방법과 관점에서 볼 때 직물을 위에서 정의한 조성물로 연화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세탁물을 TIDE. WISK 또는 CONCENTRATED ALL 세제를 사용하여 세탁한 후 (a) 고급 지방산과 폴리아민과의 반응 생성물 및 (b) 하나의 장쇄 비환식 지방족 탄화수소 그룹만을 함유하는 양이온성 질소 함유 염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두 성분으로 된 조성물의 수세 과정에 첨가할때, 당해 조성물이 이들 성분들의 연화작용에 비하여 상승적인 연화작용을 나타낸다는 것을 발견하게 되었다. 이들 조성물은 또한 상기 세제중에서, 디탤로우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DTDMAC)와 같은 통상적인 직물 연화제 및 상기 두성분으로 된 혼합물 및 DTDMAC를 함유하는 세 성분으로 된 조성물에 비하여, 연화제의 총 농도가 동일하게 사용될 경우, 보다 나은 연화작용을 나타낸다. 이러한 발견은 아주 놀라운 일이었으며, 선행 기술에서 인식되거나 인정되지 못한 것이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2가지의 필수성분, 즉 (a) 하이드록시알킬알킬렌디아민, 디알킬렌트리아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폴리아민과 고급 지방산과의 반응 생성물, (b) 하나의 장쇄 비환식 지방족 C15-C22탄화수소 그룹만을 함유하는 양이온성 질소 함유 염 및 임의로 (c) 2개 이상의 장쇄 비환식 지방족 C15-C22탄화수소 그룹을 함유하는 양이온성 질소 함유 염을 함유한다. 이들 세가지 성분(a), (b) 및 (c)는 각각 복수적인 마커쉬(Markush) 용어로 표현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이들 용어는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단수형 및 복수형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중의 직물 연화제의 양은 조성물에 대하여 약 3 내지 약 35중량%,바람직하게는 약 4 내지 27중량%이다. 보다 낮은 한계는 가장 세탁실례로서 통상적인 방법으로 세탁 수제조에 가할때 효과적인 직물 연화작용을 제공하는데 필요한 양이다. 보다 높은 한계는 포장비 및 유통비로 감소로 인하여 소비자가 보다 경제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농축 생성물의 경우에 적절하다.
[조성물]
직물 연화용 조성물은 다음 성분들로 이루어진다:
I. (a) 하이드록시알킬알킬렌디아민, 디알킬렌트리아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폴리아민과 고급 지방산과의 반응 생성물 약 10 내지 92%; (b) 하나의 장쇄 비환식 지방족 C15-C22탄화수소 그룹만을 함유하는 양이온성 질소 함유 염 약 8 내지 약 90%; 및 임의의 (c) 2개 이상의 장쇄 비환식 지방족 C15-C22탄화수소 그룹 또는 하나의 상기 탄화수소 그룹 및 하나의 아릴알킬 그룹을 함유하는 양이온성 질소 함유 염 0 내지 약 80%로 이루어진 혼합물 약 3 내지 35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4 내지 약 27중량[총 조성물 기준:(a), (b) 및 (c)의 %는 성분 I의 중량 기준임]; 및
II. 조성물중 나머지는 물 및 물과 C1-C41가 알코올과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액상 담체.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성분 I은 직물 연화용 활성물질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다음은 특정한 실시예를 포함하는 본 발명 조성물의 필수수분 및 임의 부분에 대한 일반적인 기재내용이다.
본 발명에서 이들 실시예는 설명을 위한 것일 뿐이며 달리 언급되어 있지 않는 한 특허청구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다.
[성분 I(a)]
본 발명의 필수적인 연화제(활성)는 하이드록시알킬알킬렌디아민, 디알킬렌트리아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폴리아민과 고급 지방산과의 반응 생성물이다. 폴리아민의 다기능성 구조로 보아 이들 반응 생성물은 여러가지 화합물들의 혼합물이다(참조예:위에서 인용한 H W. Eckert에 의해 발행된 Fette-Seifen-Anstrichmittel).
바람직한 성분 I(a)는 반응 생성물 혼합물 또는 이들 혼합물중 몇몇 선택된 성분들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질소 함유 화합물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바람직한 성분 I(a)는 다음 (i) 내지 (v)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화합물이다:
(i) 고급 지방산과 하이드록시알킬아릴렌디아민과의 몰비 약 2:1의 반응 생성물[여기서, 반응 생성물은 일반식(I)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함유한다]
Figure kpo00001
상기식에서, R1은 비환식 지방족 C15-C21탄화수소 그룹이며, R2및 R3은 2가 C1-C3알킬렌 그룹이다.
(ii) 일반식(II)의 치환된 이미다졸린 화합물
Figure kpo00002
상기식에서, R1및 R2는 위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iii) 일반식(III)의 치환된 이미다졸린 화합물
Figure kpo00003
상기식에서, R1및 R2는 위에서 정의한 바와같다.
(iv) 고급 지방산과 디알킬렌트리아민과의 몰비 약 2:1의 반응 생성물[여기서, 반응 생성물은 일반식(IV)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함유한다].
Figure kpo00004
상기식에서, R1, R2및 R3는 위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v) 일반식(V)의 치환된 이미다졸린 화합물
Figure kpo00005
상기식에서, R1및 R2는 위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성분 I(a)(i)는 상표 MazamideR6(Mazer Chemicals제품) 또는 CeranineRHC(Sandoz Colors & Chemicals제품)으로 구입할 수 있으며; 여기서 고급 지방산은 수소화탤로우 지방산이며, 하이드록시알킬알킬렌디아민은 N-2-하이드록시에틸에틸렌디아민이고, R1은 지방족 C15-C17탄화수소 그룹이며, R2및 R3은 2가 에틸렌 그룹이다.
성분 I(a)(ii)는 예로는 R1이 지방족 C17탄화수소 그룹이고 R2가 2가 에틸렌 그룹인 스테아르산 하이드록시에틸 이미다졸린이 있으며, 이는 상표 AlkazineRST(Alkaril Chemicals, Inc. 제품) 또는 상표 SchercozolineRS(Scher Chemicals, Inc제품)으로 판매된다.
성분 I(a)(iv)의 예로는 R1이 지방족 C15-C17탄화수소 그룹이고 R2및 R3이 2가 에틸렌 그룹인 N, N"-디탤로우알코일디에틸렌트리아민이 있다.
성분 I(a)(v)의 예로는 R1이 지방족 C15-C17탄화수소 그룹이고 R2가 2가 에틸렌 그룹인 1-탤로우아미도에틸-2-탤로우이미다졸린이 있다.
성분 I(a)(v)는 또한 처음에 Pka값이 6이하인 브론스테드산 분산 보조제에 분산시킬 수 있으나; 단, 최종 조성물의 pH는 8이하이어야 한다. 몇몇 바람직한 분산용 보조제에는 포름산, 인산 또는 메틸-설폰산이 있다.
N, N"-디탤로우알코일디에틸렌트리아민 및 1-탤로우에틸아미도-2-탤로우이미다졸린은 두가지 모두 탤로우 지방산과 디에틸렌트리아민과의 반응 생성물이며, 양이온성 직물 연화제 메틸-1-탤로우아미도에틸-2-탤로우이미다졸리늄 메틸설페이트의 전구체이다[참조:"Cationic Surface Active Agents as Fabric Softeners," R.R. Egan, Journal of the American Oil Chemicals' Society, January 1978, 118 내지 121 페이지). N, N"-디탤로우알코일디에틸렌트리아민 및 1-탤로우아미도에틸-2-탤로우이미다졸린은 실험 화학 약품으로서 세렉스 케미칼 캄파니(Sherex Chemical Company)로부터 구입할 수 있다. 메틸-1-탤로우아미도에틸-2-탤로우이미다졸리늄 메틸설페이트는 상표 VarisoftR475(Sherex Chemical Company제품)로 판매된다.
[성분 I(b)]
바람직한 성분 I(b)는 다음 염(i) 내지 (v)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장쇄 비환식 지방족 C15-C22탄화수소 그룹을 함유하는 양이온성 질소 함유 염이다:
(i) 일반식(VI)의 비환식 4급 암모늄염
Figure kpo00006
상기식에서, R4는 비환식 지방족 C15-C22탄화수소 그룹이며, R5및 R6은 C1-C4포화 알킬 또는 하이드록시알킬 그룹이고, A
Figure kpo00007
는 음이온이다.
(ii) 일반식(VII)의 치환된 이미다졸리늄 염
Figure kpo00008
상기식에서, R1은 비환식 지방족 C15-C21탄화수소그룹이며, R7은 수소 또는 C1-C4포화 알킬 또는 하이드록시알킬 그룹이고, A
Figure kpo00009
은 음이온이다.
(iii) 일반식(VIII)의 치환된 이미다졸리늄 염
Figure kpo00010
상기식에서, R2는 2가 C1-C3알킬렌 그룹이며, R1, R5및 A
Figure kpo00011
는 위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iv) 일반식(IX)의 알킬피리디늄 염
Figure kpo00012
상기식에서, R4는 비환식 지방족 C16-C22탄화수소 그룹이고, A
Figure kpo00013
는 음이온이다.
(v) 일반식(X)의 알칸아미드 알킬렌 피리디늄 염
Figure kpo00014
상기식에서, R1은 비환식 지방족 C15-C21탄화수소 그룹이고, R2는 2가 C1-C3알킬렌 그룹이며, A
Figure kpo00015
는 음이온 그룹이다.
성분 I(a)(i)의 예로는 상표 AdogenR471, Adogen 441, Adogen 444 및 Adogen 415로 세렉스 케미칼 캄파니에 의해 각각 시판되는 모노탤로우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모노(수소화 탤로우)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팔미틸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및 소야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와 같은 모노알킬트리메틸암모늄 염이 있다. 이들 염에서 R4는 비환식 지방족 C16-C18탄화수소 그룹이고, R5및 R6은 메틸 그룹이다. 모노(수소화 탤로우)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및 모노탤로우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가 바람직하다. 성분 I(b)(i)의 다른 예로는 R4가 C22탄화수소 그룹이며 상표 KemamineRQ 2803-C(Humko Chemical Division of Witco Chemical Corporation제품)로 시판되는 베헤닐 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R4가 C16-C18탄화수소 그룹이며, R5가 메틸 그룹이고, R6가 에틸 그룹이며; A가 에틸설페이트 음이온인, 상표 JordaquatR1033(Jordan Chemical Company제품)으로 시판되는 소야디메틸에틸암모늄 에토설페이트; 및 R4가 C18탄화수소 그룹이고, R5가 2-하이드록시에틸 그룹이며, R6이 메틸 그룹인, 상표 EthoquadR18/12(Armak Company제품)로 시판되는 메틸-비스(2-하이드록시에틸)옥타데실암모늄 클로라이드가 있다.
성분 I(b)(iii)의 에로는 R1이 C17탄화수소 그룹이고, R2가 에틸렌 그룹이며, R5가 에틸 그룹이고, A가 에틸설페이트 음이온인 1-에틸-1-(2-하이드록시에틸)-2-이소헵타데실이미다졸리늄 에틸설페이트가 있다. 이는 상표 MonaquatRISIES(Mona Industries, Inc제품)로 시판된다.
바람직한 조성물은 성분 I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50 내지 약 90중량% 수준의 성분 I(a) 및 약 10 내지 약 50중량% 수준의 성분 I(b)를 함유한다.
[음이온 A]
본 발명의 양이온성 질소 함유 염에서, 음이온 A-는 전기적 중성을 제공한다. 이들 염에서 전기적으로 중성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되는 음이온은 대부분의 경우 플루오라이드,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또는 요오다이드와 같은 할라이드이다. 그러나, 메틸설페이트, 에틸설페이트, 하이드록사이드, 아세테이트, 포르메이트, 설페이트, 카보네이트, 등과 같은 기타 음이온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클로라이드 및 메틸설페이트가 음이온 A
Figure kpo00016
로서 바람직하다.
[액상 담체]
액상 담체는 물 및 물과 단쇄 C1-C4가 1가 알코올과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다. 사용되는 물은 증류수, 탈이온수 또는 수도물일 수 있다. 물과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또는 부탄올과 같은 약 15% 이하의 단쇄 알코올과의 혼합물 및 이들 혼합물과의 혼합물은 또한 액상 담체로서도 유용하다.
[임의의 양이온성 질소 함유 염 I(c)]
2개 이상의 장쇄 비환식 지방족 C15-C22탄화수소 그룹 또는 하나의 상기 탄화수고 그룹 및 하나의 아릴 알킬 그룹을 함유하는 바람직한 임의의 양이온성 질소 함유 염은 다음 염(i) 내지 (vi)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다:
(i) 일반식(XI)의 비환식 4급 암모늄염:
Figure kpo00017
상기식에서, R4는 비환식 지방족 C15-C22탄화수소 그룹이고, R5는 C1-C4포화 알킬 또는 하이드록시알킬 그룹이며, R8은 R4및 R5그룹으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되고, A
Figure kpo00018
는 위에서 정의한 음이온이다.
Figure kpo00019
상기식에서, R4는 비환식 지방족 C15-C21탄화수소 그룹이고, R2는 탄소수 1 내지 3의 2가 알킬렌 그룹이며, R5및 R9는 C1-C4포화 알킬 또는 하이드록시알킬 그룹이며, A
Figure kpo00020
는 음이온이다.
Figure kpo00021
상기식에서, n은 1 내지 약 5이며, R1, R2, R5및 A
Figure kpo00022
는 위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iv) 일반식(XIV)의 4급 암모늄 화합물:
Figure kpo00023
상기식에서, R4는 비환식 지방족 C15-C22탄화수소 그룹이며, R5는 C1-C4포화 알킬 또는 하이드록시알킬 그룹이고, A
Figure kpo00024
는 음이온이다.
(v) 일반식(XV)의 치환된 이미다졸리늄염:
Figure kpo00025
상기식에서, R1는 비환식 지방족 C15-C21탄화수소 그룹이며, R2는 탄소수 1 내지 3의 2가 알킬렌 그룹이고, R5및 A
Figure kpo00026
는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vi) 일반식(XVI)의 치환된 이미다졸리늄염:
Figure kpo00027
상기식에서, R1, R2및 A
Figure kpo00028
는 위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성분 I(a)(i)의 예로는 디탤로우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디탤로우디메틸암모늄 미텔설페이트, 디(수소화 탤로우) 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디스테아릴 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및 디베헤닐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와 같이 널리 공지된 디알킬디메틸암모늄 염이 있다. 디(수소화 탤로우)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및 디탤로우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시판되는 디알킬디메틸암모늄 염의 예로는 디(수소화 탤로우) 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상표 Adogen 442), 디탤로우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상표 Adogen 470), 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상표 ArosurfRTA-100)가 있으며, 이들 모두 세렉스 케미칼 캄파니 제품이다. R4가 비환식 지방족 C22탄화수소 그룹인 디베헤닐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는 상표 Kemamine Q-2802 C(Humko Chemical Division of Witco Chemical Corporation)로 시판된다.
성분 I(c)(ii)이 예로는 R1이 비환식 지방족 C15-C17탄화수소 그룹이고, R2가 에틸렌 그룹이며, R5가 메틸그룹이고, R9이 하이드록시알킬 그룹이며, A가 메틸설페이트 음이온인 메틸비스(탤로우아미도 에틸)(2-하이드록시에틸) 암모늄 메틸설페이트 및 메틸비스(수소화 탤로우아미도에틸)(2-하이드록시에틸)암모늄 메틸설페이트가 있으며, 이들 물질은 세렉스 캄파니로부터 각각 상표 Varisoft 222 및 Varisoft 110으로 시판된다.
성분 I(c)(iv)의 예로는 R4가 비환식 지방족 C18탄화수고 그룹이고, R5가 메틸그룹이며, A가 클로라이드 음이온인 디메틸스테아릴벤젠암모늄 클로라이드가 있으며 이는 상표 Varisoft SDC(Sherex Chemical Company) 및 AmmonyxR(Onyx Chemical Company)로 시판된다.
성분 I(c)(v)의 예로는 R1이 비환식 지방족 C15-C17탄화수소 그룹이고, R2가 에틸렌 그룹이며, R5가 메틸 그룹이고 A가 클로라이드 음이온인 1-메틸-1-탤로우아미도에틸-2-탤로우이미다졸리늄 메틸설페이트 및 1-메틸-1-(수소화 탤로우아미도에틸)-2-(수소화 탤로우)이미다졸리늄 메틸설페이트가 있으며, 이들은 세렉스 케미칼 캄파니에 의해 각각 상표 Varisoft 475 및 Varisoft 445로 시판된다.
바람직한 조성물은 상기 성분 I의 중량을 기준으로 성분 I(c)를 약 10 내지 약 80중량%의 농도로 함유한다. 더욱 바람직한 조성물은 또한 (i) 디(수소화 탤로우)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v) 메틸-1-탤로우아미도에틸-2-탤로우이미다졸리늄 메틸설페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성분 I(c)를 함유한다. 성분 I(a)의 바람직한 배합범위는 성분 I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10 내지 약 80중량%의 농도이며, 성분 성분 I(b)의 배합범위는 약 8 내지 약 40중량%의 농도이다.
성분 I(c)가 함유되어 있는 경우, 성분 I은 총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4 내지 약 27중량%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이 조성물은 성분 I(a)가 약 2몰의 수소화 탤로우 지방산과 약 1몰의 N-2-하이드록시에틸에틸렌디아민과의 반응 생성물이며 성분 I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10 내지 약 70중량%의 농도로 존재하고; 성분 I(b)가 모노(수소화 탤로우) 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이며 성분 I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8 내지 약 20중량%의 양으로 존재하고; 성분 I(c)가 디(수소화 탤로우)디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디탤로우 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및 메틸-1-탤로우아미도에틸-2-탤로우이미다졸리늄 메틸설페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되며, 이 성분 I(c)가 성분 I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20 내지 약 75중량%의 농도로 존재하고; 디(수소화 탤로우)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대 메틸-1-탤로우아미도에틸-2-탤로우이미다졸리늄 메틸설페이트 중량비가 약 2:1 내지 약 6:1일 경우 더욱 바람직하다.
[기타 임의의 성분]
보조제를 본 발명 조성물에 공지된 목적을 위해 가할 수 있다. 이들 보조제에는 점도 조절제, 향료, 유화제, 방부제, 산화 방지제, 살균제, 살진균제, 착색제, 염료, 형광염료, 광택제, 불투명제, 냉동-융해 조절제, 수축 조절제 및 다림질을 용이하게 하는 약품이 포함되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들 보조제는, 사용될 경우, 통상적인 농도로, 일반적으로 각각을 조성물의 약 5중량% 이하로 가한다.
점도 조절제는 유기성 또는 무기성 물질일 수 있다. 유기성 점도 조절제의 예로는 지방산 및 에스테르, 지방 알코올 및 단쇄 알코올과 같은 수혼화성 용매가 있다. 무기성 점도 조절제의 예로는 수용성 이온화가능 염이 있다. 광범위한 이온화가능 염을 사용할 수 있다. 적절한 염의 예로는 원소주기율표 IA족 및 IIA족 금속의 할라이드(예:염화칼슘, 염화마그네슘, 염화나트륨, 브롬화칼륨 및 염화리튬)이 있다. 염화칼슘이 바람직하다. 이온화가능 염은 본 발명 조성물을 제조한 후 목적하는 점도를 갖도록 하기 위해 이들 성분을 혼합시키는 공정에서 특히 유용하다. 사용되는 이온화가능 염의 양의 조성물에 사용되는 활성 성분의 양에 따라 다르며 제조자의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조성물 점도를 조절하기 위해 사용되는 염의 대표적인 농도는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20 내지 약 6,000ppm, 바람직하게 약 20 내지 약 4,000ppm 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되는 살균제의 예로는 글루타르알데히드, 포름알데히드, 2-브로모-2-니트로프로판-1, 3-디올(Inolex Chemicals에 의해 상표 BronopolR로 시판됨) 및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과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과의 혼합물(Rohm and Haas Company에 의해 상표 KathonRCG/ICP로 시판됨)이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되는 살균제의 전형적인 농도는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1 내지 약 1,000ppm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가할 수 있는 산화 방지제의 예로는 프로필 갈레이트(Eastman Chemical Products, Inc. 로부터 상표 TenoxRPG 및 Tenox S-1으로 시판됨) 및 부틸화 하이드록시 톨루엔(UOP Process Division으로부터 상표 SustaneRBHT로 시판됨)이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실리콘을 함유하여 다림질을 용이하게 하고 직물 감촉을 개선시키는 것과 같은 추가의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리콘으로는 점도가 약 100센티스토크(cs) 내지 약 100,000cs, 바람직하게는 약 200cs 내지 약 60,000cs인 폴리디메틸실옥산이 있다. 이들 실리콘은 그대로 사용하거나, 통상적으로 공급업자로부터 직접 구입할 수 있는 예비유화된 형태의 연화제 조성물에 가할 수 있다. 이들 예비 유화된 실리콘의 예로는 상표 Dow CorningR1157 Fluid로 다우 코닝 코포레이션에 의해 시판되는 폴리디메틸실옥산의 60% 유제(350cs) 및 상표 General ElectricRSM 2140 Siliconess로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에 의해 시판되는 폴리디메틸실옥산의 50% 유제(10,000cs)가 있다. 임의의 실리콘 성분은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0.1 내지 약 6중량%의 양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시중구입 가능한 4급 암모늄 화합물중에 존재하는 기타 소수성분에는 에탄올 및 이소프판올과 같은 단쇄 알코올이 포함된다. 단쇄 알코올은 정상적으로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1 내지 10중량%로 존재한다.
바람직한 조성물은 총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2 내지 약 2% 향료, 0 내지 약 3%의 폴리디메틸실옥산, 0 내지 약 0.4%의 염화칼슘, 약 1 내지 약 1,000ppm의 살균제,약 10 내지 약 100ppm의 염료 및 약 0 내지 약 10%의 단쇄 알코올을 함유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pH는 일반적으로 약 3 내지 약 8, 바람직하게는 약 4 내지 약 6의 범위로 조절한다.
pH는 통상 제형중에 소령의 유리산을 도입함으로서 조절한다. 강한 pH 완충제가 함유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소량의 산만이 필요하다. 산성 물질이면 어느것이나 사용할 수 있으며; 연화제 분야의 전문가라면 누구든지 비용, 입수 가능성 및 안정성들을 기준으로 하여 유리산을 선택할 수 있다. 사용할 수 있는 산으로는 염산, 황산, 인산, 시트르산, 말레산 및 석신산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으로 pH는 표준 염화제 1 수은 참조전극과 비교하여 전강도 연화용 조성물중에서 하나의 유리 전극에 의해 측정한다.
본 발명의 직물 연화용 액상 조성물은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편리하고 만족스러운 방법에서는 약 72 내지 77℃에서 연화용 활성 예비혼합물을 제조한 후 온수 시트(seat)에 교반시키면서 가한다. 감온성 임의 성분은 직물 연화조성물을 보다 저온으로 냉각시킨 후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직물 연화용 액상 조성물은 통상적인 가정 세탁 조작의 수세 과정에 가하여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수세수의 온도는 약 5 내지 약 60℃이다. 본 발명의 직물 연화제의 농도는 일반적으로 수성 수세조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10 내지 약 200ppm, 바람직하게는 약 25 내지 약 100ppm이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은 직물 연화법은 관점에서 (1) 직물을 통상적인 세탁기중에서 세제 조성물로 세탁하고; (2) 전술한 양의 직물 연화제를 함유하는 욕조중에서 직물을 수세시키고; (3) 직물을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수회 수세하는 경우에는, 직물 연화 조성물을 최종 수세 과정에서 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직물은 자동 건조기 또는 옥외에서 건조시킬 수 있다.
[실시예]
다음 조성물 I 및 V, 및 동등한 활성 물질 농도로 사용된 조성물 II, III 및 IV에 의해 예시되는 이들의 개별 성분과 비교한 이들 조성물 I 및 V의 직물 연화 능력 평가는 본 발명의 조성물 및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나타나는 이익을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며 이에 한정시키려는 것이 아니다.
[조성물 I]
조성물 I은 본 발명의 한 조성물이며 직물 연화용 활성 물질로서 모노(수소화 탤로우) 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와 2몰의 지방산과 1몰의 N-2-하이드록시에틸에틸렌디아민과의 반응 생성물과의 39.2:60.8혼합물을 함유한다. 이는 다음과 같은 제조한다:
수소화 탤로우 지방산과 N-2-하이드록시에틸에틸렌디아민과의 반응 생성물[Mazamide 6] 4.41부를 계량하여 예비 혼합 용기에 도입시킨 다음 5.68부의 시판용 모노(수소화 탤로우) 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Adogen 441, 50%의 이소프로판올중의 50% 활성 물질]를 도입한다. 예비 혼합물을 응용. 혼합시키고 77℃로 가열한다. 이어서 예비혼합물을 교반시키면서 89.87부를 증류수(66℃로 가열)를 함유하는 혼합 용기에 가한 후,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과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과의 시판용 혼합물 0.02부[Kathon CG/ICP 1.5%의 활성 물질, 실온]를 가한다. 혼합물을 계속 교반시키면서 49℃로 냉각시키고, 0.02부의 CaCl2용액[25% 수용액, 실온]를 가한다. 이 단계에서 혼합물의 pH는 약 9.4이다. 이 pH는 소량의 농황산을 가하여 6.0으로 조절한다.
[조성물 II]
조성물 II는 N-2-하이드록시에틸에틸렌디아민 1몰과 지방산 2몰과의 반응 생성물을 유일한 직물 연화용 활성 성분으로서 함유하며, 이 조성물은 7.25부의 Mazamide 6를 사용하고 Adogn 441을 전혀 사용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조성물 I의 제조방법을 사용하여 제조한다. 사용하는 증류수의 양은 92.71부이다.
[조성물 III]
조성물 III은 모노(수수화 탤로우) 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를 유일한 직물 연화용 활성 성분으로서 함유하며, 이는 14.5부의 Adogen 441을 사용하고 Mazmide 6은 사용치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조성물 I의 제조방법을 사용하여 제조한다. 사용하는 증류수의 양은 85.46부이다.
[조성물 IV]
조성물 IV는 디(수소화 탤로우) 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를 유일한 직물 연화용 활성 성분으로서 함유하며, 이는 8.735부의 디(수소화 탤로우)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Adogen 448E, 83% 활성 성분, 약 5.8중량부의 모노(수소화 탤로우) 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및 13%의 에탄올을 함유함]를 Mazamide 6과 Adogen 441과의 혼합물 대신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조성물 I의 제조방법을 사용하여 제조한다. 사용되는 물의 양은 91.225부이다. 유제의 미조절 pH는 약 4.5이며 20%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소량 가하여 pH 6.1로 조절한다.
[조성물 V]
조성물 V는 2몰의 지방산과 1몰의 N-2-하이드록시에틸 에틸렌디아민과의 반응 생성물, 모노(수소화 탤로우) 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및 디(수소화 탤로우) 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의 혼합물을 직물 연화용 활성 성분으로서 함유한다. 이는 1.25부의 Mazamide 6, 1부의 Adogen 441, 6.625부의 Adogen 448E 및 91.085부의 증류수를 사용하여 조성물 1을 제조하는 방법으로 제조한다.
조성물 I 내지 V는 모두 총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7.25%의 직물 연화 성분을 함유한다. 이들 조성물은 다음 표 1A 및 1B에 요약한다:
[표 1A]
Figure kpo00029
a 모노(수소화 탤로우) 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b 디(수소화 탤로우) 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c 괄호안의 수치는 성분 I을 기준으로 하는 중량%에 관한 것이다.,
[표 1B]
Figure kpo00030
c 괄호의 수치는 성분 I을 기준으로 하는 중량%에 관한 것이다.
상기 5가지 조성물은 다음과 같은 본 발명의 평가 방법에 의해 이들의 직물 연화작용에 대해 시험한다. 각각 하나의 폴리/무명 셔츠, 하나의 폴리에스테르 블라우스, 1벌의 폴리에스테르 바지, 1벌의 폴리/무명 대님(denims), 하나의 폴리/무명 티셔츠, 2개의 무명 티셔츠, 하나의 나일론 슬립, 1벌의 나일론 양말, 3개의 무명 베드 타월, 2개의 폴리/무영 베갯잇 및 8개의 무명 테리 타월링 시험 천(terry towelling test cloths)을 포함하는 대표적인 세탁물을 제시된 용도에 따라 선택된 세제로 세탁기(kenmoreRHeavy Duty Automatic Washer Model 110)중에서 세탁한다. 사용되는 물의 양은 약 75.5ℓ이고, 물 경도는 약 7그레인(grain)/갤론이며 세탁수 온도는 약 38℃이고 수세수 온도는 약 18 내지 21℃이다. 수세과정에 68ml의 선택 직물 연화 조성물을 가하면 수성 수세조내에 약 65ppm의 활성 연화제가 생성된다. 이어서, 처리된 세탁물을 Kenmore Heavy Duty Electric Dryer Model 110중에서 45분 동안 고열 건조시킨다.
시험 테리천을 처리하기 위하여 다음 과정을 수행한다:세탁수를 제거(탈수기 사용)한 후 수세수 및 직물 연화 조성물을 가하기 전에 8개의 시험 테리천을 회수한 후, 이중 4개는 세탁물 묶음 내부에 밀어넣고(비노출), 나머지는 4개는 세탁물 묶음의 표면의 위치(노출)하게 한다. 건조시킨 후, 하나의 처리물의 "노출된" 시험 테리천을 다른 처리물의 "노출된" 테리천과 부드러움에 대하여 비교하여 이와 마찬가지로 "비노출된"테리천에 대하여도 비교한다. 전체적인 비교 평가치는 "노출된" 및 "비노출된" 테리천에 대하여 이들 2개의 비교 결과의 평균치를 나타낸다.
2개의 직물 연화 조성물의 상대적인 연화작용은 이들 2개의 조성물에 의해 처리된 테리 타월링(terry towelling) 시험천의 부드러움을 비교하는 전문 평점자들의 판넬에 의해 평가한다. 상이한 천들 사이의 비교치는 다음과 같은 판넬 점수 단위(PSU)에 의해 나타낸다.
0 PSU=차이없음
1 PSU=약간의 차
2 PSU=보통 차이
3 PSU=큰 차이
4 PSU=매우 큰 차이
이러한 등급은 상대적인 등급이며 각각의 PSU치는 고려되는 처리물의 쌍에 대해서만 적용할 수 있으나 상이한 처리물의 쌍 시험(pair tests)의 비교용으로 사용되는 부가요소는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 및 방법을 이용하여 수득할 수 있는 이점을 나타내기 위하여, 두 성분으로 된 조성물 I 및 세 성분으로된 조성물 V의 연화작용을 단일성분으로 된 조성물(II 내지 IV)의 연화작용과 비교한다. 표 2는 세탁물을 TIDE, 즉 계면활성제가 주로 음이온 형태인 과립상 증질(heavy duty) 세탁용 제제; WISK, 즉 계면활성제가 주로 음이온 형태인 액상 중질 세탁용세제; 및 CONCENTRATED ALL, 즉 계면활성제가 비이온성 형태인 과립상 중질 세탁용 세제중에서 세탁한 후의 직물 연화용 조성물 처리 결과를 나타낸다. 표 2에서, 양의 PSU치는 왼쪽의 조성물로 처리한 시험천이 주어진 PSU치에 의해 오른쪽 조성물로 처리된 시험천보다 더 부드러움을 나타낸다.
표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같이, 본 발명의 두 성분으로 된 조성물 I은 조성물(즉, 조성물 II 및 III)을 구성하는 2개의 개별물질과 비교할때 세제 형태를 통해 상승적인 연화 활성을 나타낼뿐 아니라 DTDMAC 조성물 IV 및 Mazamide 6, MTTMAC 및 DTDMAC를 함유하는 3개의 성분으로 된 조성물 V와 비교할때, 보다 나온 연화작용을 나타낸다. 또한 3개의 성분으로 된 조성물 V도 또한 이의 개개 성분(조성물 II 내지 IV)에 비하여 세제 형태를 통해 우수한 작용을 나타내며,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조성물임을 알 수 있다.
[표 2]
Figure kpo00031
다음 표 3A의 조성물 VI 내지 VIII 및 표 3B의 조성물 IX 내지 XI는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며 상기 조성물 1에 대해 언급된 것과 동일한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제공된 것이며 특허청구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다.
[표 3A]
Figure kpo00032
a 2몰의 수소화 탤로우 지방산과 1몰의 N-2-하이드록시에틸 에틸렌디아민과의 반응 생성물(Mazamide 6)
b 괄호안의 수치는 성분 I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는 중량%
c 1-탤로우아미도에틸-2-탤로우이미다졸린
d 모노(수소화 탤로우) 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e 디(수소화 탤로우) 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f 메틸-1-탤로우아미도에틸-2-탤로우이미다졸리늄 메틸설페이트
g 물 시트에 가한 General Electric SM 2140 실리콘(50%의 활성 성분)
h 약 50℃로 냉각시킨 후 물 시트에 가함
i 예비 혼합물에 가함.
[표 3B]
Figure kpo00033
a:2몰의 탤로우 지방산과 1몰의 N-2-하이드록시에틸 에틸렌디아민과의 반응 생성물(Mazamide 6)
b:괄호안의 수치는 성분 I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는 중량%
c:모노(수소화 탤로우)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d:디(수소화 탤로우)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e:메틸-1-탤로우아미도에틸-2-탤로우이미다졸리늄 메틸설페이트
f:물 시트에 가한 Dow Corning 1157 유체(60%의 활성성분)
g:약 50℃로 냉각시킨 후 물 시트에 가함
h : 예비 혼합물에 가함.
조성물 VI 내지 VIII은 통상적인 범위의 직물연화 활성 성분 농도를 나타내는 반면, 조성물의 IX 내지 XI은 고농도의 연화용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농축 조성물이다. 조성물 VI 내지 XI은 세제 형태를 통해 우수한 직물연화작용을 나타낸다.
[표 4]
Figure kpo00034
*표 3B에서와 동일한 기호임.
조성물 XII는 다음과 같은 고전단 밀링법으로 제조한다;200부의 Mazamide 6, 26부의 예비건조된 Adogen 441(97%의 활성성분), 522부의 Adogen 448E, 111부의 메틸-1-탤로우아미도 에틸-2-탤로우이미다졸리늄 메틸설페이트[varisoft 475, 90%의 활성 성분 및 10%의 이소프로판올] 및 25부의 청색 염료용액(1.35%의 활성 성분)을 예비 혼합물 용기에 도입한다. 예비 혼합물을 용융시키고, 혼합하여 77℃로 가열한다. 이어서 2부의 kathon CG/ICP를 예비 혼합물에 가한다. 용융 예비 혼합물 및 45부의 향료를 8972부의 탈이온수 중에 26부의 예비건조된 Adogn 441을 함유하는 혼합용기에 혼합시키면서 가한다. 혼합물을 밀링시켜 고전단 혼합시킨다. 67부의 예비 유화된 폴리디메틸 실옥산[Dow Corning DC 1157 유체 60%의 활성] 및 2.5부의 산화 방지제(10%의 활성)를 혼합시키면서 가하고, 혼합물을 50℃로 냉각시킨다. 2부의 농황산(98%활성)을 가하여 pH를 5.0으로 조절하고 0.2부의 CaCl2용액(25%의 수용액)을 가하여 생성물의 점도를 조절한다. 이어서 생성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킨다.

Claims (19)

  1. I. (a) 하이드록시알킬알킬렌디아민, 디알킬렌 트리아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폴리아민과 고급 지방산과의 반응 생성물 10% 내지 92%; (b) (i) 일반식(VI)의 비환식 4급 암모늄 염, (ii) 지방산(IX)의 알킬피리디늄 염, (iii) 일반식(X)의 알칸아미드 알킬렌 피리디늄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장쇄 비환식 지방족 C15-C22탄화수소 그룹만을 함유하는 양이온성 질소 함유 염 8 내지 90%; 및 (c) 2개 이상의 장쇄 비환식 지방족 C15-C22탄화수소 그룹 또는 하나의 상기 탄화수소 그룹 및 하나의 아릴알킬 그룹을 함유하는 양이온성 질소 함유 염 0 내지 80중량%로 이루어진 혼합물의 조성물 3 내지 35중량%; 및 II. 나머지는 물 및 물과 C1-C41가 알코올 15% 이하와의혼합물중에서 선택된 액상 담체 65% 내지 97%를 포함하는 수성 직물연화용 조성물.
    Figure kpo00035
    Figure kpo00036
    상기식에서, R1는 비환식 지방족 C15-C21탄화수소 그룹이며, R2는 2가의 C1-C3알킬렌 그룹이고, R4는 일반식(VI)에서는 비환식 지방족 C15-C22탄화수소 그룹이고, 일반식(IX)에서는 비환식 지방족 C16-C22탄화수소 그룹이며, R5및 R6은 C1-C2포화 알킬 또는 하이드록시알킬 그룹이고, A
    Figure kpo00037
    는 음이온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성분 I(a)가 (i) 일반식(I)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고급 지방산과 하이드록시알킬 알킬렌디아민과의 몰비 2:1의 반응 생성물, (ii) 일반식(II)의 치환된 이미다졸린 화합물, (iii) 일반식(III)의 치환된 이미다졸린 화합물, (iv) 일반식(IV)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고급 지방산과 디알킬렌 트리아민과의 몰비 2:1의 반응 생성물, (v)의 일반식(V)의 치환된 아미다졸린 화합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질소 함유 화합물인 조성물.
    Figure kpo00038
    Figure kpo00039
    상기식에서, R1은 비환식 지방족 C15-C21탄화수소 그룹이며, R2및 R3는 2가의 C1-C3알킬렌 그룹이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성분 I(a)가 성분 I의 중량을 기준으로 50 내지 90중량%의 농도로 함유되어 있고, 성분 I(b)가 성분 I의 10 내지 50중량%의 농도로 함유되어 있는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성분 I(a)가 2몰의 수소화 탤로우 지방산과 1몰의 N-2-하이드록시에틸에틸렌디아민과의 반응 생성물인 조성물.
  5. 제3항에 있어서, 성분 I(a)가 다음 일반식의 치환된 이미다졸린 화합물인 조성물.
    Figure kpo00040
    상기식에서, R1은 비환식 지방족 C15-C17탄화수소 그룹이다.
  6. 제2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성분 I(a)(v)를 함유하며, 성분 I(a)(v)가 pKa값이 6이하인 브론스테트산들의 그룹중에서 선택된 분산 보조제에 분산되어 있고, 최종 조성물의 pH가 8을 초과하지 않는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분산 보조제가 포름산, 인산 및 메틸설폰산을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되는 조성물.
  8. 제3항에 있어서,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2 내지 2%의 향료, 0 내지 3%의 폴리디메틸실옥산, 1 내지 1,000ppm의 살균제, 20 내지 100ppm의 산화 방지제, 10 내지 100ppm의 염료 및 0 내지 10%의 단쇄 알코올을 함유하는 조성물.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성분 I(c)가 성분 I의 중량을 기준으로 10 내지 80%로 함유되어 있는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성분 I(c)가 (i) 일반식(XI)의 비환식 4급 암모늄 염, (ii) 일반식(XII)의 디아미도 4급 암모늄 염, (iii) 일반식(XIII)의 디아미노 알콕시화 4급 암모늄 염, (iv) 일반식(XIV)의 4급 암모늄 화하물, (v) 일반식(XV)의 치환된 이미다졸리늄 염, (vi) 일반식(XVI)의 치환된 이미다졸리늄 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되는 조성물.
    Figure kpo00041
    상기식에서, R1는 비환식 지방족 C15-C21탄화수소 그룹이며, R2는 탄소수 1내지 3의 2가 알킬렌 그룹이며, R4는 비환식 지방족 C15-C22탄화수소 그룹이고, R5는 C1-C4포화 알킬 또는 하이드록시알킬 그룹이며, R8은 R4및 R5그룹으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되며, R9은 C1-C4포화 알킬 또는 하이드록시알킬 그룹이며, A|
    Figure kpo00042
    는 음이온이고, n은 1 내지 5이다.
  11. 제9항에 있어서, 성분 I(c)가 디(수소화 탤로우)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디탤로우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메틸-1-탤로우아미도에틸-2-탤로우이미다졸리늄 메티설페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되는 조성물.
  12. 제9항에 있어서, 성분 I의 중량을 기준으로 성분 I(a)가 10 내지 80%로 함유되어 있도, 성분 I(b)가 8 내지 40%로 함유되어 있는 조성물.
  13. 제12항에 있어서, 성분 I이 총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4 내지 27%로 함유되어 있는 조성물.
  14. 제13항에 있어서, 성분 I(a)가 2몰의 수소화 탤로우 지방산과 1몰의 N-2-하이드록시에틸에틸렌디아민과의 반응 생성물이고, 10 내지 70%(성분 I의 중량 기준)로 함유되어 있으며; 성분 I(b)가 모노(수소화 탤로우)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이고, 8 내지 20%(성분 I의 중량 기준)로 함유되어 있으며; 성분 I(c)가 디(수소화 탤로우)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이며, 20 내지 75%(성분 I의 중량 기준)로 함유되어 있는 조성물.
  15. 제13항에 있어서, 성분 I(c)가 디(수소화 탤로우)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와 메틸-1-탤로우아미도에틸-2-탤로우이미다졸리늄 메틸설페이트와의 혼합물이며, 성분 I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20 내지 75%로 함유되어 있는 조성물.
  16. 제15항에 있어서, 디(수소화 탤로우)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대 메틸-1-탤로아미도에틸-2-탤로우이미다졸리늄 메틸설페이트의 중량비가 2:1 내지 6:1인 조성물.
  17. 제12항에 있어서, 총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2 내지 2%의 향료, 0 내지 3%의 폴리디메틸실옥산, 0 내지 0.4%의 염화칼슘, 20 내지 100ppm의 산화 방지제, 1 내지 1,000ppm의 살균제, 10 내지 100ppm의 염료 및 0 내지 10%의 단쇄 알코올을 추가 함유하는 조성물.
  18. (1) 직물을 세제 조성물로 세탁하고, (2) I. (a) 하이드록시알킬알킬렌디아민, 디알킬렌트리아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폴리아민과 고급 지방산과의 반응 생성물 10% 내지 92%; (b) (i) 일반식(VI)의 비환식 4급 암모늄 염, (ii) 일반식(IX)의 알킬피리디늄 염, (iii) 일반식(X)의 알칸아미드 알킬렌 피리디늄 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장쇄 비환식 지방족 C15-C22탄화수소 그룹만을 함유하는 양이온성 질소 함유 염 8 내지 90%; 및 (c) 2개 이상의 장쇄 비환식 지방족 C15-C22탄화수소 그룹 또는 하나의 상기 탄화수소 그룹 및 하나의 아릴알킬 그룹을 함유하는 양이온성 질소 함유 염 0 내지 80중량%로 이루어진 혼합물의 조성물 3 내지 35중량%; 및 II. 나머지는 물 및 물과 C1-C41가 알코올 15% 이하와의 혼합물중에서 선택된 액상 담체 65 내지 97%를 포함하는 수성 직물연화용 조성물을 10 내지 200ppm의 양으로 함유하는 수세조중에서 직물을 수세시킴을 특징으로 하여, 직물을 연화시키는 방법.
    Figure kpo00043
    상기식에서, R1은 비환식 지방족 C15-C21탄화수소 그룹이며, R2는 2가의 C1-C3알킬렌 그룹이고, R4는 일반식(VI)에서는 비환식 지방족 C15-C22탄화수소 그룹이고, 일반식(IX)에서는 비환식 지방족 C16-C22탄화수소 그룹이며, R5및 R6은 C1-C2포화 알킬 또는 하이드록시알킬 그룹이고, A
    Figure kpo00044
    는 음이온이다.
  19. 제18항에 있어서, 수세조가 직물연화용 조성물을 25 내지 100ppm 함유하는 방법.
KR1019860002331A 1985-03-28 1986-03-28 액상 직물 연화제 KR9300045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17051 1985-03-28
US717,051 1985-03-28
US06/717,051 US4661269A (en) 1985-03-28 1985-03-28 Liquid fabric softe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7416A KR860007416A (ko) 1986-10-13
KR930004515B1 true KR930004515B1 (ko) 1993-05-27

Family

ID=24880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2331A KR930004515B1 (ko) 1985-03-28 1986-03-28 액상 직물 연화제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4661269A (ko)
EP (1) EP0199382B1 (ko)
JP (1) JPS61275475A (ko)
KR (1) KR930004515B1 (ko)
AT (1) ATE53229T1 (ko)
AU (1) AU577009B2 (ko)
CA (1) CA1260654A (ko)
DE (1) DE3671644D1 (ko)
DK (1) DK139786A (ko)
FI (1) FI80904C (ko)
GB (1) GB2174423B (ko)
GR (1) GR860814B (ko)
HK (1) HK48892A (ko)
IE (1) IE58593B1 (ko)
MX (1) MX162681A (ko)
SG (1) SG49392G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520803D0 (en) * 1985-08-20 1985-09-25 Procter & Gamble Textile treatment compositions
GB8508129D0 (en) * 1985-03-28 1985-05-01 Procter & Gamble Ltd Textile treatment composition
US4728337A (en) * 1985-11-08 1988-03-01 Ciba-Geigy Corporation Assistant combination and use thereof as wool textile finishing agent
US4770815A (en) * 1986-10-24 1988-09-1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etergent plus softener with imidazoline ingredient
US5019280A (en) * 1986-11-14 1991-05-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Ion-pair complex conditioning agent with benzene sulfonate/alkyl benzene sulfonate anionic component and compositions containing same
US4772404A (en) * 1986-12-24 1988-09-20 Lever Brothers Company Concentrated liquid fabric softener with whiteners
US4756850A (en) * 1987-06-10 1988-07-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rticles and methods for treating fabrics
EP0296995B1 (fr) * 1987-06-16 1994-05-04 Cotelle S.A. Compositions adoucissantes concentrées
US4800026A (en) * 1987-06-22 1989-01-2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urable amine functional silicone for fabric wrinkle reduction
US4822499A (en) * 1987-08-17 1989-04-1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iquid fabric softener with stable non-staining pink color
US4851139A (en) * 1987-08-26 1989-07-25 The Clorox Company Isotropic fabric softener composition containing fabric mildewstat
DE3877910T2 (de) * 1987-11-19 1993-05-19 British Petroleum Co Konditionierungsmittel fuer textilmaterialien.
US5013846A (en) * 1988-01-27 1991-05-0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rocess for preparing substituted imidazoline fabric conditioning compounds
DE68919236T2 (de) * 1988-01-28 1995-04-06 Unilever Nv Textilbehandlungszubereitung und deren Herstellung.
US4861502A (en) * 1988-02-08 1989-08-2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nditioning agent containing amine ion-pair complexes and composiitons thereof
US4857213A (en) * 1988-02-08 1989-08-1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iquid detergent containing conditioning agent and high levels of alkyl sulfate/alkyl ethoxylated sulfate
US5073274A (en) * 1988-02-08 1991-12-17 The Procter & Gamble Co. Liquid detergent containing conditioning agent and high levels of alkyl sulfate/alkyl ethoxylated sulfate
US4840738A (en) * 1988-02-25 1989-06-2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table biodegradable fabric softening compositions containing 2-hydroxypropyl monoester quaternized ammonium salts
GB8805837D0 (en) * 1988-03-11 1988-04-13 Unilever Plc Fabric conditioning composition
US4844820A (en) * 1988-03-15 1989-07-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iquid fabric softener comprising light-unstable red dye in protective package
US4863620A (en) * 1988-10-18 1989-09-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cidic liquid fabric softener with yellow color that changes to blue upon dilution
US4897208A (en) * 1988-10-31 1990-01-3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iquid fabric softener colored pink
JPH02139480A (ja) * 1988-11-21 1990-05-29 Kao Corp 柔軟仕上剤
DE3842057A1 (de) * 1988-12-14 1990-06-28 Henkel Kgaa Textile weichmacher fuer flotten mit hohen gehalten an elektrolyten und/oder optischen aufhellern
US4994193A (en) * 1988-12-15 1991-02-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iquid fabric softener
US4970008A (en) * 1988-12-20 1990-11-13 Kandathil Thomas V Fabric conditioner comprising a mixture of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and select tertiary amines
US5154841A (en) * 1988-12-21 1992-10-1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rocess for preparing substituted imidazoline fabric conditioning compounds
EP0398137A3 (en) * 1989-05-19 1991-11-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Rinse-added fabric conditioning compositions containing fabric softening agents and cationic polyester soil release polymers
US5116520A (en) * 1989-09-06 1992-05-26 The Procter & Gamble Co. Fabric softening and anti-static compositions containing a quaternized di-substituted imidazoline ester fabric softening compound with a nonionic fabric softening compound
NZ235490A (en) * 1989-10-16 1993-08-26 Colgate Palmolive Co Fabric-softening compositions
US4976878A (en) * 1990-01-18 1990-12-1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rocess for recovering gelled aqueous liquid fabric softener
JPH0441776A (ja) * 1990-06-01 1992-02-12 Kao Corp 液体柔軟仕上剤
ZA914152B (en) * 1990-06-01 1993-01-27 Unilever Plc Liquid fabric conditioner and dryer sheet fabric conditioner containing fabric softener,aminosilicone and bronsted acid compatibiliser
US5064544A (en) * 1990-06-01 1991-11-12 Lever Brothers Company, Division Of Conopco, Inc. Liquid fabric conditioner containing compatible amino alkyl silicones
US5174911A (en) * 1990-06-01 1992-12-29 Lever Brothers Company, Division Of Conopco, Inc. Dryer sheet fabric conditioner containing compatible silicones
JPH0768669B2 (ja) * 1990-10-05 1995-07-26 花王株式会社 濃縮型柔軟仕上剤
US5484540A (en) * 1991-03-08 1996-01-1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ncentrated fabric softening compositions
AU1902192A (en) * 1991-04-30 1992-12-21 Procter & Gamble Company, The Fabric softener containing substituted imidazoline and highly ethoxylated compounds
EP0536444A1 (en) * 1991-10-07 1993-04-1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table concentrated perfume emulsion
US5254269A (en) * 1991-11-26 1993-10-19 Lever Brothers Company, Division Of Conopco, Inc. Fabric conditioning composition containing an emulsified silicone mixture
AU673079B2 (en) * 1993-07-15 1996-10-24 Colgate-Palmolive Company, The Concentrated liquid fabric softening composition
US5599786A (en) * 1993-08-12 1997-02-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ellulase fabric-conditioning compositions
US5616553A (en) * 1993-08-12 1997-04-0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abric conditioning compositions
US5670472A (en) * 1994-04-19 1997-09-23 Witco Corporation Biodegradable ester diquaternary compounds and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JPH10500456A (ja) * 1994-04-29 1998-01-13 ザ、プロクター、エンド、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セルラーゼ布地調整組成物
US5445747A (en) * 1994-08-05 1995-08-2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ellulase fabric-conditioning compositions
JP3475596B2 (ja) * 1995-08-01 2003-12-08 チッソ株式会社 耐久親水性繊維、布状物及び成形体
EP0760243B1 (en) 1995-08-31 2006-03-2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Use of allylic alcohol perfumes as a malodour reduction agent
DE69526439T2 (de) 1995-09-18 2002-12-12 Procter & Gamble Stabilisierte Textilweichmacherzusammensetzungen
US6025321A (en) * 1996-03-29 2000-02-1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ryer-added fabric softener composition to provide color and other fabric benefits in package in association with instructions for use
CA2250225A1 (en) * 1996-03-29 1997-10-09 Frederick Anthony Hartman Use of a fabric softener composition
EP0839899B1 (en) 1996-10-30 2003-03-2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abric softening compositions
US5919750A (en) * 1997-07-24 1999-07-06 Akzo Nobel Nv Fabric softener composition
CN1272133A (zh) * 1997-07-29 2000-11-01 普罗格特-甘布尔公司 含有胺织物柔软剂的浓缩的、稳定的、优选透明的织物柔软组合物
EP0990695A1 (de) * 1998-09-30 2000-04-05 Witco Surfactants GmbH Weichspülmittel mit farberhaltender Wirkung
US6818610B2 (en) * 2001-07-27 2004-11-16 Procter & Gamble Company Fabric care systems for providing anti-wrinkle benefits to fabric
US20050192206A1 (en) * 2004-02-27 2005-09-01 O'brien Janese C. Methods and instructions for installing and removing a fabric conditioning article in a dryer
US7304027B1 (en) 2006-07-31 2007-12-04 The Dial Corporation Phase-stable concentrated fabric softeners containing borates
DE102007012910A1 (de) 2007-03-19 2008-09-25 Momentive Performance Materials Gmbh Mit Duftstoffen modifizierte, verzweigte Polyorganosiloxane
DE102007012909A1 (de) 2007-03-19 2008-09-25 Momentive Performance Materials Gmbh Mit Duftstoffen modifizierte, reaktive Polyorganosiloxane
US8038729B2 (en) 2007-06-15 2011-10-18 Ecolab Usa Inc. Liquid fabric conditioner composition and method of use
RU2495022C2 (ru) * 2008-11-26 2013-10-10 Колгейт-Палмолив Компани Композиции и способы для смягчения тканей
WO2015164677A1 (en) 2014-04-23 2015-10-29 Gregory Van Buskirk Cleaning formulations for chemically sensitive individuals: compositions and methods
US9506015B2 (en) 2014-11-21 2016-11-29 Ecolab Usa Inc. Compositions to boost fabric softener performance
US9725679B2 (en) 2014-11-21 2017-08-08 Ecolab Usa Inc. Compositions to boost fabric softener performance
US9688945B2 (en) 2014-11-21 2017-06-27 Ecolab Usa Inc. Compositions to boost fabric softener performance
KR20170105074A (ko) 2015-01-14 2017-09-18 그레고리 반 버스커크 얼룩 방출을 위한 개선된 직물 처리방법
US10975340B2 (en) 2017-05-16 2021-04-1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ctive agent-containing fibrous structure articles
US10975339B2 (en) 2017-05-16 2021-04-1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ctive agent-containing articles
US10975338B2 (en) 2017-05-16 2021-04-1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ctive agent-containing three-dimensional articles
US20230092174A1 (en) 2021-08-02 2023-03-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ctive agent-containing articles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131432A (ko) * 1968-12-09
DE1922047C3 (de) * 1969-04-30 1978-03-30 Henkel Kgaa, 4000 Duesseldorf Nachspülmittel für gewaschene Wäsche
CH592163A5 (ko) * 1973-10-16 1977-10-14 Alusuisse
US3974076A (en) * 1974-01-11 1976-08-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abric softener
NL7609621A (nl) * 1975-09-04 1977-03-08 Hoechst Ag Textielbehandelingsmiddel.
DE2722079C3 (de) * 1977-05-16 1979-12-06 Basf Ag, 6700 Ludwigshafen Flüssiges Weichmachungsmittel für Textilien
BE12T2 (fr) * 1977-07-06 1980-02-08 Procter & Gamble Europ Geconcentreerde vloeibare wasverzachter die een gemengd actief systeembevat
US4327133A (en) * 1977-11-21 1982-04-27 Lever Brothers Company Additives for clothes dryers
EP0013780B2 (en) * 1979-01-11 1988-08-3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ncentrated fabric softening composition
DE2925859A1 (de) * 1979-06-27 1981-01-22 Henkel Kgaa Waeschenachbehandlungsmittel
EP0032267A1 (en) * 1980-01-11 1981-07-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ncentrated textile treatment compositions and method for preparing them
US4421792A (en) * 1980-06-20 1983-12-20 Lever Brothers Company Additives for clothes dryers
US4399045A (en) * 1980-11-18 1983-08-1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ncentrated fabric softening compositions
DE3129549A1 (de) * 1981-07-27 1983-02-10 Henkel KGaA, 4000 Düsseldorf Mittel zum nachbehandeln gewaschener waesche in einem waeschetrockner
US4439335A (en) * 1981-11-17 1984-03-2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ncentrated fabric softening compositions
US4464272A (en) * 1982-02-10 1984-08-07 Lever Brothers Company Fabric softening composition
DE3309569A1 (de) * 1982-03-22 1983-10-27 Colgate-Palmolive Co., 10022 New York, N.Y. Konzentrierte waescheweichspuelmittel
US4424134A (en) * 1983-06-15 1984-01-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queous fabric softening compositions
US4460485A (en) * 1983-07-15 1984-07-17 Lever Brothers Company Polyester fabric conditioning and whitening composition
DE3412090A1 (de) * 1984-03-31 1985-10-24 Henkel KGaA, 4000 Düsseldorf Verwendung von fettsaeure/hydroxyalkylpolyamin-kondensationsprodukten in fluessigen tensidhaltigen zusammensetzung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8607692D0 (en) 1986-04-30
EP0199382B1 (en) 1990-05-30
AU577009B2 (en) 1988-09-08
IE58593B1 (en) 1993-10-20
JPS61275475A (ja) 1986-12-05
DK139786A (da) 1986-09-29
KR860007416A (ko) 1986-10-13
FI80904B (fi) 1990-04-30
MX162681A (es) 1991-06-17
EP0199382A2 (en) 1986-10-29
CA1260654A (en) 1989-09-26
AU5535486A (en) 1986-10-02
HK48892A (en) 1992-07-10
FI80904C (fi) 1990-08-10
DE3671644D1 (de) 1990-07-05
ATE53229T1 (de) 1990-06-15
FI861339A (fi) 1986-09-29
IE860828L (en) 1986-09-28
GB2174423A (en) 1986-11-05
FI861339A0 (fi) 1986-03-27
SG49392G (en) 1992-06-12
GB2174423B (en) 1989-06-28
US4661269A (en) 1987-04-28
GR860814B (en) 1986-07-21
DK139786D0 (da) 1986-03-25
EP0199382A3 (en) 1987-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4515B1 (ko) 액상 직물 연화제
US4863620A (en) Acidic liquid fabric softener with yellow color that changes to blue upon dilution
IE58594B1 (en) Textile treatment compositions
US3756950A (en) Fabric softening compositions
JPH04332764A (ja) 織物柔軟剤と桃色着色剤を含有する液体織物コンディショナー
CA2118368A1 (en) Liquid fabric softener compositions
US5154838A (en) Liquid softener
US4994193A (en) Liquid fabric softener
JP3186808B2 (ja) 繊維製品柔軟剤及び赤色染料を含有する繊維製品用液体コンディショナー
US4855072A (en) Liquid fabric softener
US4822499A (en) Liquid fabric softener with stable non-staining pink color
CA2618867A1 (en) Fabric conditioning composition
US4897208A (en) Liquid fabric softener colored pink
JP2551479B2 (ja) 布地コンディショニング組成物
US4844820A (en) Liquid fabric softener comprising light-unstable red dye in protective package
US4976878A (en) Process for recovering gelled aqueous liquid fabric softener
NZ204067A (en) Fabric softening compositions containing cationic softener and paraffin sulphon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