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3987B1 - 거실 설치형 온풍난방기 - Google Patents

거실 설치형 온풍난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3987B1
KR930003987B1 KR1019910004592A KR910004592A KR930003987B1 KR 930003987 B1 KR930003987 B1 KR 930003987B1 KR 1019910004592 A KR1019910004592 A KR 1019910004592A KR 910004592 A KR910004592 A KR 910004592A KR 930003987 B1 KR930003987 B1 KR 9300039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air
heater
air outlet
signal
rece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4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8748A (ko
Inventor
구니요시 사가기바라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최창선
린나이 가부시기가이샤
나이또 스스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최창선, 린나이 가부시기가이샤, 나이또 스스무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9100187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87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3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39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거실 설치형 온풍난방기
제1도는 본 발명 실시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제2도는 상기 실시예의 온풍난방기 본체의 정면도.
제3도 내지 제5도는 다른 실시예의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난방기 2 : 온풍 배출구
3 : 수신부 4 : 원격조정장치
5 : 발신부 6 : 원격장치
8 : 발신부 9 : 수신부
10 : 원격장치 11 : 표시수단
본 발명은 주로 가정에서 사용하는 거실용 난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원격조정장치 또는 원격장치로 조작되는 거실용 난방기가 알려져 있다.
거실 설치형 난방기에서는, 이 난방기의 온풍배출구 근방에 장해물이 있으면, 이 장애물에 의해 더운바람이 난방기쪽으로 역류되어, 난방기의 온도가 비정상적으로 올라가는등의 악영향을 주게 된다.
그래서, 본 발명은 이 원격조작장치 또는 원격장치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을 둔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청구항 1기재의 거실 설치형 온풍난방기는 온풍배출구를 구비하는 거실 설치형 온풍난방기에 있어서, 원격장치 또는 원격조작장치에 형성된 발신부로부터의 신호를 받는 수신부를 상기 온풍배출구 주변에 형성한 것이며, 청구항 2기재의 거실 설치형 온풍난방기는 온풍배출구를 구비하는 거실 설치형 온풍난방기에 있어서, 상기 거실 설치형 난방기의 작동시는 이것에 따라 움직이는 신호를 발신하는 발신부를 형성하고, 원격장치 또는 원격조작장치에 상기 발신부로부터의 신호를 받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의 수신내용을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형성한 것에 있어서, 상기 발신부를 상기 온도배출구 근방에 형성한 것이다.
상기 구성을 구비하는 청구항 1기재의 거실 설치형 온풍난방기에서는 원격장치 또는 원격조작장치에 형성된 발신부로부터의 신호를 수신부가 수신하여, 상기 거실 설치형 온풍난방기를 제어시킨다. 이때, 온풍배출구의 전방에 장해물이 있으면 수신부가 온풍배출구의 근방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원격장치 또는 원격조작장치로부터의 신호를 수신부에서 수신할 수 없어, 상기 제어, 예를들면 상기 난방기가 작동되지 않는다. 이것은 상기 온도배출구 전방에 장애물이 있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인식시키므로서, 온풍배출구 전방에 있는 장애물을 놓지않도록 하게 할 수 있다.
또, 청구항 2기재의 거실 설치형 온풍난방기에서는 발신부에서 발신된 난방기의 작동상태, 또는 이상이 발생한 경우는 이상신호가 원격장치 또는 원격조작장치에 형성된 수신부에 수신되어, 원격장치 또는 원격조작장치의 디스플레이등의 표시수단으로 표시된다. 이 경우, 온풍배출구의 전방에 장애물이 있으면 발신부가 온풍배출구의 근방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신호는 방해물에 의해 차단되어 수신부에서 상기 신호를 받을 수 없게 되고, 따라서 원격장치 또는 원격조작장치에 형성된 표시수단으로 상기 내용을 표시할 수 없게 되며, 그 후 상기 온풍배출구의 전방에 장애물이 있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인식시켜, 온도배출구의 앞부근에 장애물을 놓지않도록 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2도에 나타낸 실시예는 가스를 열원으로 하는 거실 설치형 온풍난방기에 적용한 실시예이며, 이것은 난방기(1)의 전면 하부에 온도배출구(2)를 형성하고, 이 온풍배출구(2)의 근방에 수신부(3)를 형성한 것이며,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이 온풍배출구(2)에 근접하는 측방위치에 이 수신부를 형성했다.
그러나, 이 부착위치는 온풍배출구(2)의 근방이라면 도시한 위치에 한하지 않고, 예를들면 온풍배출구(2)의 하방에 수신부를 형성해도 좋다.
5는 원격조작장치(4)에 형성되어 있는 도시하지 않은 조작버튼을 조작했을 때, 상기 수신부(3)를 향해서 신호를 보내는 발신부를 나타내며, 이 발신부(5)로부터의 신호를 상기 수신부(3)가 받으면 상기 온풍난방기(1)의 조작장치를 작동시켜서 연소의 개시 및 정지 또는 온도조절등의 조작을 한다.
그러나, 이와같은 상기 온풍배출구(2)의 근방에 수신부(3)를 형성했을 때, 이 온풍배출구(2)의 전방에 장애물(a)이 있으면, 장애물(a)에 의해서 수신부(3)가 발신부(5)로부터의 신호를 받을 수 없게 되므로서, 상기 온풍난방기를 작동시킬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장애물에 의해서 더운바람이 난방기쪽으로 역류되어, 난방기의 온도가 비정상적으로 올라가는등의 종례에에서 볼 수 있는 악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안전하고, 또 사용자에게 온풍배출구(2)의 전방에 장애물(a)를 인식시키므로서, 온풍배출구(2)의 전방에 있는 장애물(a)를 놓지않도록 하게 할 수가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발신부(5)에 적외선 발신기를 형성하고, 수신부(3)에 이 적외선 발신기로부터 발신되는 적외선을 수신하는 포터트랜지스터를 형성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원격조작장치(4)에 형성된 조작버튼을 조작했을 때, 수신부(3)를 향해서 신호를 보내는 것을 나타냈으나, 제3도에서 나타낸 것과같이, 원격조작장치(4) 대신에 원격장치(6)에 실내온도 센서등의 검지소자(7)를 내장하고, 이 검지소자(7)의 검지신호를 발신부(5)에서 수신부(3)를 향해서 계속 보내서 난방기(1)를 제어하도록 한 것이어도 좋다. 이것은 상기 검지소자(7)를 난방기(1)내에 형성한 것에 비해, 예를들면 체감온도를 정확하게 검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이 실시예에 있어서의 수신부(3)를 온도배출구(2)의 근방에 형성했을 때는, 온도배출구(2)의 전방에 장애물(a)이 있으면, 이 장애물(a)에 의해 수신부(3)가 발신부(5)로부터의 신호를 받지못하므로, 원격장치(6)내에 형성된 전지가 소모되어, 발신부(5)로부터의 신호를 보낼 수 없을 때와 같은 상태가 되어, 난방기(1)의 작동이 정지된다.
따라서, 장애물이 있는 상태에서는 더운바람이 난방기쪽으로 역류되어 난방기의 온도가 비정상적으로 올라가는등의 종래예에서 볼 수 있는 악영향을 주지않아 안전하여, 또 상기 난방기(1)의 온풍배출구의 전방에 장애물이 있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인식시켜, 온풍배출구의 전방에 장애물을 놓지않도록 하게 할 수 있다.
제4도에서 나타낸 실시예는 등유를 연료로 하는 거실 설치형 온풍난방기에 적요한 실시예이며, 이것도 난방기(1)의 전면하부에 온풍배출구(2)를 형성하고, 상기 온풍배출구(2)의 근방에 수신부(3)와 발신부(8)를 형성하고, 또 원격조작장치(4)에 상기 수신부(3)를 향해서 신호를 보내는 발신부(5)를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발신부(8)로부터의 신호를 받는 수신부(9)를 형성한다. 상기 원격조작장치(4)에 형성된 발신부(5)에서 신호를 보내면 난방기(1)에 형성된 수신부(3)가 상기 난방기(1)에 형성된 탱크내의 등유량을 검지장치(도시하지 않았음)로 검지하여, 상기 난방기(1)에 형성된 발신부(8)에서 이 등유량에 대응한 신호를 보낸다.
이것을 원격조작장치(4)에 형성된 수신부(9)로 수신하여, 상기 원격조작장치(4)에 형성된 디스플레이등에 표시하므로서, 상기 탱크내의 등유량을 알릴 수 있다. 이 경우도 상기 온풍배출구(2)의 전방에 장애물(a)이 있으면, 이 장애물(a)에 의해서 수신부(3), (9)가 발신부(5), (8)로부터의 신호를 받지 못하므로, 상기 온풍난방기의 등유량을 확인할 수 없다.
따라서, 이경우에도 사용자에게 온풍배출구(2) 전방의 장애물(a)를 인식시켜서, 상기 온풍배출구(2) 전방에 장애물(a)를 놓아서는 안되는 인식을 환기시킬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온풍배출구(2) 근방에 수신부(3)와 발신부(8)를 형성했으나, 이것은 어느한쪽만을 온풍배출구(2) 근방에 형성하므로서 초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또, 이 실시예에서는 원격조작장치(4)의 발신부(5)에서 난방기(1)로 신호를 보냈을 때만, 즉 상기 난방기(1)에 형성된 검지기구가 작동하여 등유량을 검지하고, 이것을 난방기(1)의 발신부(8)에서 신호로서 발신하여, 상기 원격조작장치(4)에 수신되도록 했으나, 상기 난방기(1)에 형성된 검지기구가 계속 작동되어 등유량을 검지하고, 이것을 발신부(8)에서 신호로서 계속 발진시키도록 해도 좋다.
제5도에서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난방기(1)의 전면하부, 즉 온풍배출구(2) 근방에 발신부(8)를 형성하고, 또 원격장치(10)에 수신부(9)와 이 수신부에 의해서 수신되는 내용을 표시하는 표시수단(11)으로서 디스플레이장치를 형성한 것이다.
이 경우도, 온풍배출구(2)의 전방에 장애물(a)이 있으면, 원격장치(10)에 형성된 수신부(9)가 발신부(8)로부터의 상기 신호를 받지 못하므로, 상기 발신부(8)에서 보내오는 내용을 이 표시수단(11)에 표시할 수 없으며,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온풍배출구(2)의 전방에 장애물(a)이 있는 것을 인식시켜, 상기 온풍배출구(2)의 전방에 장애물(a)를 놓지못하도록 하게 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온도배출구(2)를 전면하부에 형성한 난방기(1)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했으나, 소형의 난방기(1)라면, 상기 온풍배출구(2)가 전면상방에 있어도 좋다.
상기 구성을 구비하는 청구항 1기재의 거실 설치형 온풍난방기에 있어서는, 수신부의 설치위치를 온풍배출구 근방에 설치하는 것만으로, 상기 온풍배출구의 전방에 장애물이 있어, 이 장애물에 의해서 원격장치 또는 원격조작장치에 형성된 발신부로부터의 신호를 수신부가 받을 수 없게 되고, 상기 거실 설치형 온풍난방기가 작동하지 않는등의 상태가 되며, 따라서, 사용자에게 온풍배출구 전방에 장애물이 있다는 것을 인식시켜서, 상기 온풍배출구의 전방에 장애물을 놓지않게 할 수 있으며, 상기 온풍배출구의 전방에 장애물이 놓여지는 것에 의해 좋지않는 상태를 가급적 줄이게 한다.
또, 청구항 2기재의 거실 설치형 온풍난방기에서는 상기 온풍배출구의 근방에 발신부를 형성한 것만으로, 온풍배출구의 전방에 장애물을 놓으면 수신부의 수신내용을 표시하는 표시수단에 발신부에서 보내지는 내용이 표시되지 않으며, 이것에 의해 상기 온풍배출구 전방에 장애물이 있는 것을 인식시켜, 상기 온풍배출구의 전방에 장애물을 놓지않게 할 수 있다.

Claims (2)

  1. 온풍배출구를 구비하는 거실 설치형 온풍난방기에 있어서, 원격장치 또는 원격조작장치에 형성된 발신부로부터의 신호를 받은 수신부를 상기 온풍배출구 주변에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거실 설치형 온풍난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실 설치형 난방기의 작동시는 이것에 따라 움직이는 신호를 발신하는 발신부를 형성하고, 원격장치 또는 원격조작장치에 상기 발신부로부터의 신호를 받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의 수신내용을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형성하며, 상기 발신부를 상기 온도배출구 근방에 형성하여 이루어진 거실 설치형 온풍난방기.
KR1019910004592A 1990-04-10 1991-03-22 거실 설치형 온풍난방기 KR9300039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93209A JPH0820122B2 (ja) 1990-04-10 1990-04-10 床置型温風暖房機
JP2-93209 1990-04-10
JP??2-93209 1990-04-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8748A KR910018748A (ko) 1991-11-30
KR930003987B1 true KR930003987B1 (ko) 1993-05-19

Family

ID=14076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4592A KR930003987B1 (ko) 1990-04-10 1991-03-22 거실 설치형 온풍난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820122B2 (ko)
KR (1) KR930003987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65542U (ja) * 1983-10-13 1985-05-09 大阪瓦斯株式会社 吹出し型空調器
JPS6068343U (ja) * 1983-10-18 1985-05-15 大阪瓦斯株式会社 空調器
JPS6428418A (en) * 1987-07-22 1989-01-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Remote control device of kerosene space heater
JP2676871B2 (ja) * 1989-01-24 1997-11-1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暖房用燃焼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8748A (ko) 1991-11-30
JPH0820122B2 (ja) 1996-03-04
JPH03294746A (ja) 1991-1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93296A (en) Apparatus for carbon monoxide detection and automatic shutoff of a heating system
US7579956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ignition sources and ventilating systems during high carbon monoxide conditions
US7327246B2 (en) Safety shut-off system
US854442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 water heater
US20040226600A1 (en) Gas control assembly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gas to unvented gas appliances
EP3462423A1 (en) Life safety device with carbon monoxide monitoring
US5158446A (en) Combination pressure and temperature limit control for a fuel-fired, forced draft heating appliance combustion product exhaust system
US6040636A (en) System controlling vehicle warm up operation responsive to environment CO level
US20080220384A1 (en) Air quality sensor/interruptor
JP4670377B2 (ja) 換気装置
KR930003987B1 (ko) 거실 설치형 온풍난방기
JP4648643B2 (ja) 異常状態の通信機能を備えたファンヒータ
JPH06241568A (ja) 暖房器具の制御装置
JP2000274827A (ja) 暖房機
JPS6123264Y2 (ko)
JP2004151932A (ja) 防犯システム
JPS6330913Y2 (ko)
JPS63187052A (ja) 燃焼機器の安全装置
KR200247011Y1 (ko) 가스중간밸브차단 확인용 무선현관문잠금장치
JP3745236B2 (ja) 床暖房装置
JP3475073B2 (ja) 換気制御装置
JPS605860B2 (ja) 空気調和機等のワイヤレス遠隔制御装置
JP4529199B2 (ja) ガス遮断制御装置
KR20230045481A (ko) 캠핑용 환기장치
JP4032576B2 (ja) 給湯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42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