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3189B1 - 최적의 오동작 방지기구를 갖는 카세트 장전장치 - Google Patents

최적의 오동작 방지기구를 갖는 카세트 장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3189B1
KR930003189B1 KR1019890020623A KR890020623A KR930003189B1 KR 930003189 B1 KR930003189 B1 KR 930003189B1 KR 1019890020623 A KR1019890020623 A KR 1019890020623A KR 890020623 A KR890020623 A KR 890020623A KR 930003189 B1 KR930003189 B1 KR 9300031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sette
loading
gear
tape
cassette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20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0698A (ko
Inventor
게니치 수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치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900010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06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31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31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75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75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 G11B15/67544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with movement of the cassette parallel to its main side and subsequent movement perpendicular thereto, i.e. front loading
    • G11B15/67547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with movement of the cassette parallel to its main side and subsequent movement perpendicular thereto, i.e. front loading the two movements being made by the cassette hold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16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presence, absence or position of record carrier or container
    • G11B15/17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presence, absence or position of record carrier or container of contain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0Guiding record carrier
    • G11B15/66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 G11B15/665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by extracting loop of record carrier from container
    • G11B15/6653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by extracting loop of record carrier from container to pull the record carrier against drum
    • G11B15/6656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by extracting loop of record carrier from container to pull the record carrier against drum using two-sided extraction, i.e. "M-type"

Landscapes

  • Automatic Tape Cassette Chang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최적의 오동작 방지기구를 갖는 카세트 장전장치
제1a도 내지 제1c도는 각기 본 발명에 의한 카세트 장전장치의 일실시예가 적용되는 VTR의 상면도, 저면도 및 측면도.
제 2 도는 제1b도의 클러치기어기구를 상세단면도.
제 3 도는 제1b도의 모드전환기구 및 벨트전달기구부의 상세사시도.
제 4 도 및 제 5 도는 제1a도와 제1b도의 실린더에 대한 테이프로딩의 상태 및 그것의 링크기구를 나타낸 상세사시도.
제 6 도는 본 발명의 주요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제7a도 및 제7b도는 제 6 도의 카세트홀더의 조립사시도.
제 8 도는 제 6 도의 웜유니트의 상세단면도.
제9a도 내지 제9d도 및 제10a도와 제10b도는 카세트 로딩기구의 동작과정을 나타낸 도면.
제11도는 1접점식 전환스위치를 사용할 경우의 카세트 위치검출회로를 나타낸 블록도.
제12도는 제 6 도의 오동작 방지기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13도는 3접점식 전환스위치를 사용할 경우의 카세트 위치검출회로를 나타낸 블록도.
제14도는 제13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1 : 지지판 12a,12b,13 : 연결판
14,112 : 카세트홀더 37,42 : 스위치 전환부재
41a,41b : 구동부 42a,42b : 계합부
41,241 : 전환스위치 113 : 프론트 장전기구
124,126,113,135 : 풀리 127 : 캡스틴모터
139a,139b : 테이프 인출부재 142a,142b : 링크기구
200 : 테이프 센서 201 : 온·오프검출회로
202 : 카세트 이탈위치 검출회로 203 : 카세트 장전위치 검출회로
204 : 제어회로 240a,240b : 카세트 검출부재
243a,243b : 계지부
본 발명은 카세트 장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이하 VTR이라고 함)등의 자기기록 재생장치에 사용되는 테이프카세트를 대략 수평형상으로 반송하여 테이프 구동부에 장전하는 카세트장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근래의 VTR에 있어서의 카세트 장전장치는 테이프카세트가 그 카세트홀더에 대략 수평형상으로 끼워 붙임되고, 프론트장전기구가 작동하여 카세트홀더를 반송해서 테이프구동부상에 도달하면, 하강되어 유지된 테이프카세트를 테이프 구동부가 장전한다 이때, 테이프카세트는 그 카세트 뚜껑이 열려, 그 테이프의 내측에 테이프장전기구의 테이프 인출부재가 진입되고, 이곳에 테이프장전기구가 구동되어 테이프로딩이 행해진다. 또 이젝트시에는 상술한 로딩과 반대동작에 의해 카세트를 카세트홀더의 밖으로 반출하도록 한 언로딩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와 같은 카세트장전장치에 있어서, 다음에 요구되는 것은 간이한 구성으로, 높은 정밀도의 동작제어를 확보하는 동시에, 그 제작조립작업의 간력화를 도모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대상으로서, 카세트홀더에 테이프카세트가 끼워붙임되어 로딩이 개시되는 것과 대략 동시에, 사용자에 의해 끼워붙임된 테이프카세트가 이탈되었을 경우, 이 테이프 카세트의 이탈을 검출하여, 원래의 테이프 끼워붙임 위치까지 카세트홀더를 복귀시키는 오동작 방지기구가 있다. 즉 이 오동작 방지기구는 카세트홀더의 이송로상의 위치에 이 카세트홀더에 설치한 카세트검출부재의 작동의 유무를 검출하는 검출수단을 배치 설정하여, 이 검출수단의 검출에 따라 움직이므로 프론트 장전기구를 반전 제어하여, 로딩도중의 케세트홀더를 카세트장착 위치까지 복귀시킨다.
그런데, 종래의 오동작방지기구에서는 그 구성상, 일단로딩동작이 개시되면, 그 테이프카세트가 장착되어 있지않은 것을 검출하여 프론트장전기구를 반전시켜, 카세트홀더를 원래의 카세트 끼워붙임 위치까지 복귀시키는 슬롯아웃까지에 시간이 지나치게 걸리기 때문에 그 도중에서 사용자가 잘못하여 오조작 등을 한고하는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이상 기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카세트 장전장치에서는 카세트홀더의 로딩개시후에 테이프카세트가 이탈되었을 경우, 카세트홀더의 배출까지에 시간이 지나치게 걸리기 때문에, 사용자에 의한 오조작 등을 일으킬 염려를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적정 에러방지장치를 가진 신규의 개량형 테이프 장전장치가 제공되어, 카세트홀더의 확실하고 신속한 동작제어를 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에 의한 오조작을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취급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피장전용의 카세트를 수용하여 대략 수평형상의 반송로에 따라서 이동자재로 설치된 카세트홀더 ; 상기 카세트홀더에 설치되며, 상기 카세트의 유무에 따라서 작동위치 및 비작동위치를 취하는 카세트 검출수단 ; 상기 카세트홀더를 선택적으로 구동하여 상기 카세트를 삽입위치에서 구동위치로 로딩하는 동시에, 상기 카세트를 구동위치에서 배출위치에 언로딩하는 장전수단 ; 상기 카세트홀더의 반송로상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설정되며, 상기 카세트 검출수단이 상기 비작동위치를 취할때, 어떤 계지수단으로 상기 카세트검출수단을 계지하는 복수의 계지수단 ; 상기 카세트의 삽입에따라 상기 장전수단에 의한 로딩을 허용하는 동시에, 이젝트조작에따라 상기 장전수단에 의한 언로딩을 허용하고, 다시 상기 장전수단에 의한 로딩이 실행되고있는 동안에 상기 복수의 계지수단의 어느 하나가 상기 카세트검출수단을 계지했을때, 상기 장전수단을 언로딩동작으로 전환시키는 제어수단으로 구성되는 카세트 장전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카세트홀더에 삽입된 위치에서 카세트가 삽입되지 않으면, 카세트 검출수단이 비작동위치를 취함으로써, 이 카세트검출부재가 계지수단의 하나에 개지되어 로딩이 저지된다. 그리고, 카세트가 삽입되어 로딩이 개시된 다음, 카세트가 카세트홀더에서 이탈되었을 경우는 그 로딩도중에 있어서,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계지수단에 카세트 검출수단이 선택적으로 계지되어, 그 계지에 연동해서 제어수단을 통해 프론트 장전수단이 언로딩 동작으로 전환되어 카세트홀더가 배출위치까지 배출된다. 따라서, 카세트홀더는 삽입된 카세트가 이틸했을 경우에 있어서도, 그 로딩후에 있어서의 카세트의 유무검출이, 그 이탈의 시기에따라 선택적으로 검출됨으로써, 배출위치에의 신속한 배출동작이 실현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 목적 및 잇점은 그 명세서로부터 명백하게되며, 실행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 및 잇점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나와있는 기구 및 조랍수단에 의해 실현되어 상용화 될 수 있다. 명세서는 첨부도면과함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고, 그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할 수 있도록 기술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 1a,b,c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적용되는 VTR을 나타내는 것이며, 제 1a도는 상면도를 타나내고, 동도면 b는 저면도를 나타내며, 동도면 c는 측면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즉 도면중(110)은 메인샤시이며, 일단부에는 틀체(111)가 설치된다. 이 틀체(111)에는 카세트홀더(112)가 화살표 A,B 방향으로 이동자재로 지지된다. 이 카세트홀더(112)는 화살표 A방향의 카세트 끼워붙임 위치에서, 테이프카세트 C(제 1a,b,c도 중에서는 도면의 형편상 도시하지 않음, 제 4 도 참조)가 삽입되며, 이것에 연동하여 후술하는 본 발명의 주요부로되는 카세트장전장치로서의 프론트장전기구(113)가 구동되어, 화살표 B방향으로 이송되어, 이 테이프카세트 C를 테이프 구동부의 테이프공급측 및 테이프 감기쪽릴대(114),(115)에 장전한다.
상기 릴대(114),(115)에는 기어(114a),(115a)가 각기 설치되며, 이들 기어(114a),(115a)의 중간부에는 테이프주행구동기구를 구성하는 구동기어(116)가 배치설정된다. 이 구동기어(116)는 요동부재(117)의 일단에 지지된다.
이 요동부재(117)의 타단에는 제 2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어(118)가 부착되고, 이 기어(118)는 구동기어(116)에 맞물린다. 이 기어(118)는 클러치기어기구(118a)의 제 1 의 기어(119)와 동축적으로 설치되어있으며, 이 제 1 의 기어(119)의 마찰부재(120)를 통해 제 2 의 기어(121)와 적중해서 배치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제1 및 제 2 의 기어(119,121)에는 클러치전환용의 기어(122)가 접리(接離) 자재로 대향배치된다. 이 기어(122)는 동작모드 전환기구에 연동되는 전환레버(123)를 통해 회전운동자재로 배치설정되어 있으며, 동작모드에따라 선택적으로 제1 및 제 2 의 기어(119),(121)에 맞물린다. 이 가운데 제 2 의 기어(121)에는 테이프구동용의 벨트전달기구(121a)를 구성하는 풀리(124)가 동축적으로 배치설정된다. 그리고, 풀리(124)에는 구동벨트(125)의 한쪽이 감기며, 이 구동벨트(125)의 다른쪽에는 구동풀리(126)에 감긴다(제 1b도참조). 이 구동풀리(126)는 회전구동자재인 캡스턴모터(127)의 회전축에 끼워붙임된다.
이 캡스턴모터(127)에는 캡스턴(128)이 동축적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그 구동력은 구동벨트(125)를 통해 풀리(124)에 전달된다. 그러면 이 풀리(24)는 기어(121), 제 1 의 기어(119), 기어(118), 요동부재(117), 구동기어(116)를 통해 릴대(114),(115)의 기어(114a),(115a)의 한쪽을 회전 구동시킨다. 또한 테이프는 캡스턴(128)과 핀치롤러 p와의 사이에 끼워둠되어 주행구동된다.
상기 캡스턴모터(127)의 회전체의 주위부에는 구동기어(129)가 끼워붙임되며, 이 구동기어(129)에는 승강기어(130)가 대향배치된다. 이 승강기어(130)는 메인샤시(110)에 대해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기구를 통해 축방향으로 이동자재로 설치되며, 그 상면에는 회전운동자재인 전환레버(131)의 일단이 계합된다(제 3 도 참조). 이 전환레버(131)는 타단이 동작모드 전환기구(131a)의 모드전환캠(132)의 일방면에 형성된 제 1 의 캠부에 계합되어 있으며, 이 모드전환캠(132)을 통해 회전운동제어되며, 카세트로딩 상태에서, 그 일단이 승강기어(130)에서 이간되어 이 승강기어(130)를 상기 스프링기구(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상승시켜 구동기어(129)에 맞물리게하고, 그 카세트로딩의 단전상태로 반전되며, 그 일단에서 승강기어(130)를 상기 스프링기구(도시하지않음)의 탄발력에 항거하여 축방향으로 하강시켜 구동기어(129)에서 이간시킨다. 또 승강기어(130)에는 동축적으로 풀리(133)가 설치되며, 이 풀리(133)에는 카세트 로딩용의 벨트전달기구(133a)를 구성하는 구동벨트(134)의 한쪽 끝부분이 감긴다. 이 구동벨트(134)의 다른쪽 끝부분은 풀리(135)에 감긴다. 이 풀리(135)는 상기 프론트장전기구(113)의 웜(136)(제 1a도 참조)과 동축적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캡스턴모터(127)의 회전력이 승강기어(130)의 승강에 대응하여 선택적으로 풀리(133), 구동벨트(134), 풀리(135) 및 웜(136)에 전달되어 프론트 장전기구(113)를 구동제어 시키고, 상술한 바와 같이 카세트홀더(112)의 로딩을 시킨다.
또, 메인샤시(110)에는 틀체(111)에 대응하여 자기헤드를 탑재해서 이루어진 헬리컬스캔방식의 실린더(137)가 회전자재로 배치설정되며, 이 실린더(137)의 주위부에는 테이프장전용의 제1 및 제 2 의 안내공(138a,)(138b)이 테이프입구측 및 테이프 출구측에 대응해서 설치된다. 그리고, 이들 제1 및 제 2 의 안내공(138a),(138b)에는 제 4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및 제 2 의 테이프인출부재(139a),(139b)가 이동자재로 수용된다. 이 제1 및 제 2 의 테이프인출부재(139a),(139b)에는 실린더(137)에 대략 평행인 경사포스트(140a),(140b) 및 메인샤시(110)에 대략 수직인 가이드롤러(141a),(141b)가 병설해서 탑재된다. 그리고, 제1 및 제 2 의 테이프 인출부재(139a),(139b)의 기부에는 제 5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및 제 2 의 링크기구(142a),(142b)의 일단이 연결되어 있다. 이들 제1 및 제 2 의 링크기구(142a),(142b)의 타단은 서로 맞물리는 제1 및 제 2 의 구동기어(143a),(143b)에 지지된다. 이 가운데 제 2 의 구동기어(143b)에는 잘린기어(144)가 동축적으로 설치되며, 이 잘린기어(144)에는 구동레버(145)의 일단부에 형성된 부채모양기어(145a)가 맞물린다. 이 구동레버(145)는 중간부가 회동축(146)을 통해 메인샤시(110)에 회전운동자재로 지지되어있으며, 그 타단부가 상기 모드전환캠(132)의 제 2 의 캠면(132b)에 계합된다.
이것에 의해 구동레버(145)는 모드전환캠(132)의 작동에 연동하여 구동되며, 잘린기어(144), 제1 및 제 2 의 구동기어(143a),1(143b), 제1 및 제 2 의 링크기구(142a),(142b)를 통해 제1 및 제 2 의 테이프인출부재(139a),(139b)를 구동하여 테이프로딩을 시킨다.
다음에, 이상과 같은 VTR에 적용되는 본 발명에 의한 카세트장전장치의 주요부에 대해 설명한다.
제 6 도는 제 1a,b,c도에 표시되는 VTR에서 카세트장전장치를 꺼내어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제 6 도중 (10),(11)은 지지체를 형성하는 제1 및 제 2 의 지지판이다. 이 제1 및 제 2 의 지지판(10),(11)은 윗 연결판(12a),(12b) 및 카세트가이드를 겸하는 아래 연결판(13)을 통해 상자모양으로 조립되며, 그 카세트착탈측에, 예를들어 도시하지 않은 출입뚜껑이 회전운동식으로 개폐자재로 배치설정된다.
그리고, 이들 제1 및 제 2 의 지지판(10),(11)간에는 상기 카세트홀더(112)가 화살표 A 및 B방향인 대략 수평형상으로 이동자재로 배치설정된다.
상기 제1 및 제 2 의 지지판(10),(11)의 각 하부에는 카세트홀더(112)가 실려 설치되는 가이드(10a),(도면에서는 한쪽만 도시되어있다)가 부착된다.
카세트홀더(112)는 제 7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및 제 2 의 측판(15),(16)이 상판 및 하판(17),(18)을 통해 대략 구형상으로 조립되어 카세트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하판에는 제 1a,b,c도에 나타낸 테이프구동부에 대응하여 잘린부분(18a),(18b)이 형성된다. 이 카세트홀더(14)의 하판(18)은 그 카세트 끼워붙임 위치에 있어서, 양단부가 상기 아래연결판(13)과 오버랩되며, 그 중간부만이 이간되어 형성되고 있으며, 그 중간부의 카세트착탈측의 선단부에는 예를들어 사용자의 안전보호를 위해 외측방향으로 절곡한 절곡부(19)가 형성되어있다(제 2 도 참조). 이것에 의해 예를들어 사용자가 카세트홀더(14)에 테이프카세트(20)를 끼워 붙임 하지않는 상태에 있어서, 손을 넣거나 했을 경우에 있어서도, 삽입한 손은, 카세트홀더(14)의 하판(18)의 절곡부(19)에 맞닿음으로써, 그 하판(18)에 의해 상처를 입는일이 없어진다.
또한, 하판(18)에는 그 안쪽의 끝부분에 홀더(14) 내에 카세트를 삽입했을때 삽입방향에 있어서의 카세트의 위치를 규제하고, 그 이상의 삽입을 저지하는 도시하지 않은 계지편이 설치되어 있다.
또, 카세트홀더(112)의 제1 및 제 2 의 측판(15),(15)의 외측에는 각각 안내핀(19a),(19b)이 대략 동축적으로 설치되며, 이들 안내핀(19a),(19b)은 제1 및 제 2 의 지지판(10),(11)에 형성된 대략 L자형상의 안내공(20a),(20b)에 각기 안내자재로 삽입된다. 또, 제 2 의 측판(16)에는 계합핀(21)이 상기 안내핀(19b)과 대략 평행으로 설치되며, 이계합핀(21)은 제 2 의 지지판(11)에 형성된 대략 L자 형상의 안내공(22)에 안내 자재로 삽입된다. 따라서, 카세트홀더(112)는 제1 및 제 2 의 지지판(10),(11)에 끼워둔 상태에서, 후술하는 프론트 장전기구(113)에 의해 카세트 끼워붙임위치에서 대략 수평형상(화살표 B방향)으로 가이드(10a)상을 슬라이드하여 반송되며, 상기 테이프구동부(제 1a,b,c도 참조)상에서 수직방향으로 하강되어 카세트장치 위치에 안내되며, 이 카세트장전(로딩) 위치에서 역방향(화살표 A방향)으로 반송되어 카세트를 꺼낼 수 있는 카세트 이탈위치에 이동(언로딩)된다.
또한, 제 2 의 지지판(11)의 외측에는 축(23)이 심어 설치되며, 이 축(23)에는 상기 프론트 장전기구(113)를 형성하는 제 1 의 로딩기어(24)가 회전자재로 지지된다. 이 제 1 의 로딩기어(24)에는 아암부(24a)가 형성되며, 이 아암부(24a)에는 계합공(24b)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 계합공(24b)에는 상기 카세트홀더(112)의 제 2 의 측판(16)의 안내핀(19b)이 삽입된다. 또 제 1 의 장전기어(24)에는 그 주위부에 기어부(24c)가 형성되며, 이 기어부(24c)에는 전달기어(25)가 맞물린다. 이 전달기어(25)는 상기 제1 및 제 2 의 지지판(10),(11)간에 회전자재로 가설된 축(26)의 일단에 끼워 붙여지며, 이 축(26)의 타단에는 전달기어(27)가 끼워붙여진다. 따라서, 제 1 의 장전기어(24)는 그 회전에 수반해서 전달기어(25) 및 (26)을 통해 전달기어(27)를 회전구동한다.
한편, 제 1 의 지지판(10)에는 축(28)이 심어설치되며, 이 축(28)에는 제 2 의 장전기어(29)가 회전자재로 지지된다.
이 제 2 의 장전기어(29)에는 기어부(29a)가 형성되며, 이 기어부(29a)에는 상기 전달기어(27)가 맞물린다. 또, 제 2 의 장전기어(29)에는 아암부(29b)가 형성되며, 이 아암부(29b)에는 계합공(29c)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 계합공(29c)에는 사기 카세트 홀더(112)의 제 1 의 측판(15)의 안내핀(19a)이 계합된다. 따라서, 이들 제1 및 제 2 의 장전기어(24),(29)는 전달기어(25), 축(26) 및 전달기어(27)를 통해 동기하여 회전구동되며, 그 회전에 연동해서, 카세트홀더(112)를 안내핀(19a),(19b)을 통해 반송구동 시킨다.
또 상기 제 2 의 지지판(11)의 축(23)에는 제 3 의 장전기어(30)가 제 1 의 장전기어(24)에 적중되어 배치설정되며, 이들 제1 및 제 3 의 장전기어(24),(30) 상호간이 스프링(31)을 통해 탄성계합된다. 이 제 3 의 장전기어(30)의 주위부에는 기어부(30a)가 제 1 의 장전기어(24)의 기어부(24c)에 대응하여 형성되며, 이 기어부(30a)에는 상기 웜(136)이 맞물린다. 이 웜(136)은 제 8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일단부에 벨트전달기구를 형성하는 풀리(135)가 축(34)을 통해 동축적으로 끼워붙여지며, 이 축의 중간부에는 일반적으로 리테이너어셈블리라고하는 스러스트베어링(35) 및 레이디얼베어링(36)이 축받이되어 일체적으로 조립된 웜유닛(37)의 형성된다.
그리고, 이 웜유닛(37)은 상기 제 2 의 지지판(11)에 부착된 부착부재(38)에 부착된다. 이 부착부재(38)에는 탄성을 갖는 제1 및 제 2 의 탄성지지부(39),(40)가 상기 축(34)의 타단부 및 레이디얼베어링(36)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제1 및 제 2 의 탄성지지부(39),(40)에 대해 웜유닛(37)의 웜(136)의 축(34)의 타단부 및 레이디얼베어링이, 그 탄성력에 항거하여 부착된다. 그리고, 상기 풀리(135)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캡스턴모터(127)의 회전력이 전달벨트(134)를 통해 선택적으로 전달되고, 그 회전력이 제 3 의 로딩기어(30)를 통해 제1 및 제 2 의 로딩기어(24),(29)에 전달된다.
상기 부착부재(38)에는 카세트위치검출용으로서 한조의 접점(41c)과, 이 한조의 접점(41c)를 온, 오프상태로 전환하는 제1 및 제 2 의 구동부(41a),(42b)를 갖는 전환스위치(41) 및 스위치전환부재(42)가 서로 대응되어 배치설정된다(제10a,b도 참조). 스위치전환부재(42)는 제1 및 제 2 도의 계합부(42a),(42b)를 가지고 스프링(43)을 통해 도면중 반시계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도록 배치설명되며, 그 제1계합부(42a)가 상기 전환스위치(41)의 제 1 구동부(41a)에 대향된다.
이 스위치전환부재(37)의 제 2 계합부(42b)는 상기 제 1 의 로딩기어(24)에 형성된 구동부(44)가 대향되어 있으며, 상기 카세트홀더(112)를 맞게 뚫는카세트 기워붙임 위치에서 이 제 1 의 로딩기어(24)의 구동부(44)와의 계합이 해제됨으로써, 제 2 계합부(42a)가 상기 전환스위치(41)의 제 1 구동부(41a)와 걸어 맞추어 한조의 접점(41c)을 온상태로 전환제어한다.
또한, 전환스위치(41)는 상기 제 2 구동부(41b)가 상기 제 2 의 지지판(11)의 안내공(20b)의 기부에 대응하여 배치되며, 카세트홀더(112)가 상기 테이프구동부에 도달한 상태에서 제 2 의 측판(16)의 안내핀(19b)과 걸어맞추어 한조의 접점(41c)을 오프상태로 전환제어한다. 따라서, 제9a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세트 홀더(112)에 테이프카세트 C가 끼워붙임되면, 카세트홀더(112)가 카세트삽입방향으로 이동하여, 제 1 의 로딩기어(24)가 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하며 또한 스위치전환부재(42)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 하기때문에 스위치전환부재(42)의 제 2 계합부(42b)가 구동부(44)에서 이탈함으로써, 전환스위치(41)는, 제10a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제 1 구동부(41a)가 스위치 전환부재(42)의 제 1 계합부(42b)와 걸어 맞추어 한조의 접점(42c)이 온상태로 전환된다. 이것에 수반해서, 제 9b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원으로되는 캡스턴모터(127)로부터의 구동력을 전달벨트(134)를 통해 웜(136), 제 3 의 로딩기어(30)에 전달하여, 기어(24),(29)에 전달시키고, 카세트홀더(112)를 로딩한다(제 9c도 참조).
그리고, 제 9d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세트홀더(112)가 상기 테이프구동부에 도달하면, 제10a도에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전환스위치(41)는 그 제 2 구동부(41b)가 카세트홀더(112)의 안내핀(19b)에 의해 전환되어 한조의 접점(41c)이 오프되며, 여기서 상기 캡스턴모터(127)의 구동력의 전달을 정지시킨다. 다음에 이젝트 조작이 이루어져 상기 캡스턴 모터(127)가 반전구동되면, 이것에 수반해서 웜(136), 제 3 의 로딩기어(30), 제1 및 제 2 의 로딩기어(24),(29)가 반전구동되며, 카세트홀더(112)가 언로딩되어 사용자가 테이프카세트를 꺼내는 카세트 이탈위치에 반송되는 것을 허용한다.
이때 상기 스위치전환부재(42)가 제10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의 로딩기어(24)의 구동부(44)에 스프링(43)의 탄발력에 항거하여 도면중 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 방향으로 힘이 더하게 되어, 마지막으로 제10a도에 나타낸 위치에서 상기 전환스위치(41)는 그 제 1 구동부(42a)가 스위치 전환부재(42)의 제 1 계합부(42b)와 이탈되어, 그 한조의 접점(42c)이 오프상태로 전환된다. 여기서, 상기 캡스턴모터(127)로부터의 구동력의 전달이 정지된다.
여기서, 상기 전환스위치(41)로서, 옐르들어 그 접점식의 한조의 접점(41c)을 사용했을 경우에는 그 카세트홀더(112)가 맞게 뚫는 카세트장전위치와 카세트이탈위치의 판별을, 제1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테이프종단센서(200)에 의해 테이프가 검출된 상태에서 카세트장전위치를 검출하고, 이 테이프가 검출되어 있지않은 상태에서 카세트 이탈위치를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즉, 검출스위치(41)의 2접점식접점(41c)의 온, 오프가 온, 오프검출회로(201)에 의해 검출되지만, 그 온 검출시에는 레이프센서(200)로부터의 테이프없음 신호 또는 테이프 있음 신호와 카세트이탈위치검출회로(202) 또는 카세트장전위치 검출회로(203)에서 비교검출되어, 제어회로(204)에 출력된다.
상기 제어회로(204)는 후술하는 타이머 동작이 가능한 CPU등의 시스템콘트롤러로 구성된다.
또, 제1 및 제 2 의 측판(15),(16)에는 오동작 방지용의 카세트 검출부재(240a),(240b)가 역시 축(244a),(244b)을 중심으로 회전운동자재로 배치설정된다. 이 카세트 검출부재는 제 7a,b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프링(21a),(21b)을 통해 도면중 시계방향으로 탄발력이 부여되어 있으며, 그 일단부에는 피구동부(242b)(제 6 도 및 제 7 도중에서는 도면의 형편상, 제 2 의 측판(16)측의 카세트검출 부재(240b)만을 명료하게 도시해 놓았다)가 테이프카세트 C의 선단부에 대응해서 형성된다. 또, 이 카세트 검출부재(240a),(240b)의 타단에는 계지부(243a),(243b)가 설치된다.
이 계지부(243a) 및 (243b)는 각기 상기 제1 및 제 2 의 지지판(10),(11)에 설치되는 계지부, 예를들어 3개의 제1 내지 제 3 의 절곡부(244a),(245a),(246a) 및 (244b),(245b),(246b)에 대응된다(제 6 도 참조). 이 제1 내지 제 3 의 절곡부(244a),(245a),(246a) 및 (244b),(245b),(246b)는 예를들어 제1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세트홀더(112)가 맞게 뚫리는 카세트삽착위치와 테이프구동부 상호간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설정된다. 따라서, 카세트검출부재(240a),(240b)는 카세트홀더(112)에 테이프카세트 C가 끼워붙임되면, 그 계지부(243A),(243B)가 제1 내지 제 3 의 절곡부(244a),(245a),(246a) 및 244b),(245b),(246b)에서 이간되며, 이 카세트홀더(112)를 반송가능 상태로 제어한다. 그리고, 카세트홀더(112)에 테이프카세트 C가 끼워붙임 되지않으면, 카세트검출부재(240A),(240B)는 스프링(21a),(21b)의 탄발력에 의해 도면중 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력이 더하여지게되며, 그 계지부(243a) 및 (243b)가 제 1 의 절곡부(244a),(244b)에 걸려 카세트홀더(112)의 반송을 저지한다. 또 테이프카세트 C가 로딩도중에 있어서, 이 카세트 C가 사용자에 의해 카세트홀더(112)에서 뽑아져서 이탈되었을 경우는, 그 이탈에 수반해서, 카세트검출부재(240a),(240b)가 스프링(21a),(21b)의 탄발력에의해 도면중 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력에 더하여지게되어, 그 계지부(243a) 및 (243b)가 로딩상태에 따라 제1 내지 제 3 의 절곡부(244a),(245a),(246a) 및 (244b),(245b),(246b)의 어느 하나에 대향되어 계지된다(제12도 참조). 여기서, 전환스위치(41)의 온에서 소정시간내에 전환스위치(41)가 오프로 되지 않는 것은 카세트가 장착상태로 되지않는 것을 의미하고 있으므로, 제어회로(204)의 타이머동작에 의해 이상이 있다는 것이 검지되어, 제어회로(204)로부터의 이상검지출력신호에 의해 캡스턴모터(127)를 반전구동함으로써 카세트로딩이 반전되며, 카세트홀더(112)는 그 계지된 위치에서 카세트배출위치까지 복귀이동된다.
이처럼, 상기 카세트 장전장치는 카세트 홀더(112)의 반송로를 형성하는 제1 및 제 2 의 지지체(10) 및 (11)에 제1 내지 제 3 의 절곡부(244a),(245a),(246a) 및 (244b),(245b),(246b)를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하고, 카세트 홀더(112)의 카세트 검출 부재(240a),(240b)의 작동의 유무를 테이프 끼워붙임 위치에서 로딩도중의 복수위치에서 검출하도록 구성했다.
이것에 의하면, 카세트 홀더(112)는 카세트 끼워붙임 위치에서 테이프카세트 C가 끼워붙임 되지 않으면, 카세트 검출 부재(240a) 및 (240b)가 제 1 의 절곡부(244a) 및 244b)에 계지되어 로딩이 저지된다. 그리고, 테이프 카세트 C가 끼워붙임되어 로딩이 개시된 다음, 테이프 카세트 C가 카세트 홀더(112)에서 이탈되었을 경우는 그 로딩 도중에 있어서, 그 이탈의 시기에 따라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제2 및 제 3 의 절곡부(245a),(245b) 및 (246a),(246b)에 카세트 검출 부재(240a),(240b)의 계지부(243a),(243b)가 선택적으로 계지되며, 그 계지에 연동해서 제어회로(204)에서 프론트 로딩기구가 반전제어되어, 카세트 배출위치까지 복귀 이동된다. 이것에 의해 카세트 홀더(112)는 그 로딩도중에 있어서도, 그 테이프 카세트 C의 이탈시기에 따라 신속한 검출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카세트 홀더(112)의 신속하고, 확실한 동작제어가 실현되고 가급적 취급조작성의 향상이 도모된다. 이경우 절곡부(245a),(245b)의 위치는 다음과 같이 설정된다.
즉, 그 위치에서 카세트 홀더(112)의 하판(18)의 양단돌출부(18c)(18d)가 아래연결판(13)에 평면적으로 겹쳐 있거나, 또는 틈새가 있었다고해도 조작자의 손가락이 들어가지 않을 정도의 틈새가 있으며, 또한 카세트 끝부분이 캐비닛 전면에서 손으로 잡을 수 없을 정도의 약간량만 돌출하거나 또는 매우 약간 캐비닛 전면에서 들어간 위치에서 정지할 수 있는 위치에서 설정된다. 이것에 의해 예를들면 조작자가 카세트를 삽입하여 로딩기구가 동작을 개시한 다음, 고의로 카세트를 꺼냈을때, 카세트 검출부재(243a),(243b)가 절곡부(245a),(245b)에서 계지되며, 카세트 홀더(14)내에 손가락 등을 삽입해도 하판(18)의 돌출부(18c),(18d)를 아래 연결판(13)과의 사이에까지 그것을 삽입할 수는 없다. 손가락 등을 삽입한 채 카세트 홀더(112)가 역방향으로 제 3 의 위치까지 이송되어도 절결부(18a),(18a)는 아래연결판(13)과의 사이에 충분한 스페이스가 비도록 설계되어 있으므로 문제는 없다. 또, 카세트 홀더(112)의 구동기구는 카세트 홀더(112)와 구동수단을 제1, 제 3 의 로딩기어(24),(30)와 스프링(31)에 의해 탄성력을 개재시켜 연결하고, 절곡부(18b)와 아래연결판과의 사이에 손가락등이 끼워도, 그 틈새가 스프링(31)만이 부가로 되는 폭으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다치는 일이 없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에서는 반송로상에 대응되는 제1 및 제 2 의 지지판(10),(11)에 계지부로서 제1 내지 제 3 의 절곡부(244a),(245a),(246a) 및 (244b),(245b),(246b)를 설치했을 경우에서 설명했지만, 이 수자에 한정됨이 없이, 테이프 카세트 C의 끼워붙임의 유무를 자다란 간격으로 검출할 경우에는 절곡부를 반송로상에 3개소 이상 설치하도록 구성하는 것으로 대응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전환 스위치로서 2접점식의 것을 사용하여 구성한 경우에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됨이 없이, 예를들어 제1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3접점식이며, 2개의 회로 SW1,SW2를 갖는 전환스위치(241)를 사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테이프 종단 검출장치를 사용하여 전환 스위치(241)의 전환상태를 판별함이 없이, 그 전환상태에서 직접 카세트 홀더가 맞게 뚫리는 위치의 판별이 가능해진다.
제14도는 이 경우의 동작 플로차트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됨이 없이, 기타 본 발명의 요지를 이탈하지 않은 범위에서 여러가지 변형을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카세트 홀더의 확실하고 신속한 동작 제어를 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에 의한 오조작을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취급 조작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조작자의 안전을 도모하도록 한 카세트 장전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3)

  1. 피장전용의 카세트를 수용하며, 대략 수평형상의 반송로에 따라서 이동자재로 설치된 설치된 카세트홀더 ; 상기 카세트홀더에 설치되며, 상기 카세트의 유무에 따라서 작동위치 및 비작동 위치를 검출하는 카세트 검출수단 ; 상기 카세트홀더를 선택적으로 구동하여 상기 카세트를 삽입위치에서 구동위치로 로딩하는 동시에, 상기 카세트를 구동위치에서 배출위치에 언로딩하는 로딩수단 ; 상기 카세트 홀더의 반송로상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설정되며, 상기 카세트 검출수단이 상기 비작동 위치를 취할때 어느 하나의 계지수단으로 상기 카세트 검출수단을 계지하는 복수의 계지수단과 ; 상기 카세트의 삽입에따라 상기 장전 수단에 의한 로딩을 허용하는 동시에, 이젝트 조작에따라 상기 장전수단에 의해 언로딩을 허용하고, 다시 상기 장전수단에 의한 로딩이 실행되고 있는 동안에 상기 복수의 계지수단의 어느 하나가 상기 카세트 검출수단을 계지했을때 상기 장전수단을 언로딩동작으로 전환하는 제어수단으로 구성되는 카세트 장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카세트가 삽입된 것 및 상기 카세트가 상기 구동위치에 도달함에 따라 이동하는 스위치수단과, 상기 스위치 수단에 따라 이동하는 타이머 동작에 의해 이상을 검출했을 때에 상기 장전수단을 로딩동작에서 언로딩동작으로 전환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카세트 장전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계지수단은 상기 반송로상의 3개소 이상에 배치설정되는 카세트 장전장치.
KR1019890020623A 1988-12-28 1989-12-28 최적의 오동작 방지기구를 갖는 카세트 장전장치 KR9300031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333606A JPH02177163A (ja) 1988-12-28 1988-12-28 カセット装填装置
JP63-333606 1988-1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0698A KR900010698A (ko) 1990-07-09
KR930003189B1 true KR930003189B1 (ko) 1993-04-23

Family

ID=18267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20623A KR930003189B1 (ko) 1988-12-28 1989-12-28 최적의 오동작 방지기구를 갖는 카세트 장전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996612A (ko)
EP (1) EP0376281B1 (ko)
JP (1) JPH02177163A (ko)
KR (1) KR930003189B1 (ko)
DE (1) DE68914423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8538B2 (ja) * 1993-08-17 2000-07-04 三菱電機株式会社 カセット装着装置
DE4430609C2 (de) * 1993-08-17 2001-11-08 Mitsubishi Electric Corp Kassettenladevorrichtung
US5600969A (en) * 1995-12-18 1997-02-11 Phillips Petroleum Company Process and apparatus to produce a small scale LNG stream from an existing NGL expander plant demethanizer
US7224549B1 (en) * 2004-05-17 2007-05-29 Storage Technology Corporation Apparatus for positioning a data storage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89941A (en) * 1978-12-28 1980-07-08 Victor Co Of Japan Ltd Mounting and demounting unit for tape container
JPS58166571A (ja) * 1982-03-26 1983-10-01 Hitachi Ltd カセツト装着装置
JPH0685251B2 (ja) * 1982-10-14 1994-10-26 キヤノン電子株式会社 磁気ディスク装置
JPS59193572A (ja) * 1983-04-15 1984-11-02 Hitachi Ltd カセツト移送装置
JPH0754600B2 (ja) * 1983-06-29 1995-06-0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カセット装着装置
JPS6185661A (ja) * 1984-09-29 1986-05-01 Sony Corp テ−プレコ−ダ−
JPH0356901Y2 (ko) * 1985-01-29 1991-12-24
GB2181610B (en) * 1985-10-08 1988-10-26 Hewlett Packard Ltd Monitoring apparatus
JP2544345B2 (ja) * 1986-04-09 1996-10-1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カセツト装着装置
NL8701279A (nl) * 1987-05-29 1988-12-16 Polygram Int Holding Combinatie van magneetbandcassetteapparaat, voorzien van een laadorgaan, en een magneetbandcassette, alsmede magneetbandcassetteapparaat behorende bij een dergelijke combinati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376281A2 (en) 1990-07-04
EP0376281A3 (en) 1991-01-23
US4996612A (en) 1991-02-26
DE68914423T2 (de) 1994-09-08
EP0376281B1 (en) 1994-04-06
JPH02177163A (ja) 1990-07-10
DE68914423D1 (de) 1994-05-11
KR900010698A (ko) 1990-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71440A (en) Automatic tape cartridge handling system
EP0867024B1 (en) A multi-drive, multi-magazine mass storage and retrieval unit for tape cartridges
GB2159317A (en) Disc loading apparatus for use in disc players
KR930003189B1 (ko) 최적의 오동작 방지기구를 갖는 카세트 장전장치
KR850001456B1 (ko) 오토 로우딩(auto-loading)장치
KR920002759B1 (ko) 기록재생장치
US5506739A (en) Tape cassette with slidably guided, spring-biased reel locking means
KR930007181B1 (ko) 웜 삭마 방지기능을 가지는 카세트 로딩장치
KR940011546B1 (ko) 카세트 장전 장치
KR930003188B1 (ko) 단일 스위치 제어에 의한 카세트 장전장치
KR970004647B1 (ko) 자동 카세트 교환기
US4353101A (en) Video tape recorder
US4159812A (en) Apparatus for loading a tape cassette
US4703138A (en) Protected switch unit for cassette tape recorder
US6188541B1 (en) Magnetic recording-reproducing device
US5234180A (en) Bi-directional rewinding apparatus for 8 mm video tape
US8033493B2 (en) Leader block rotating mechanism, read/write device, and method of rotating leader block
KR970011970B1 (ko) 카세트 장전장치
KR100249193B1 (ko) Vcr의 테이프테이크업장치
KR960002128Y1 (ko) 다중디스크 자동교환장치
KR200142333Y1 (ko) 테이프 레코더의 모드인식장치
KR200147775Y1 (ko) 브이씨알의 간단한 탭감지스위치 동작장치
KR920007321B1 (ko) 테이프 레코더의 테이프 이완해소장치
US6313966B1 (en) Cassette tape rotation control mechanism
KR0119517Y1 (ko) 테이프 카세트의 허브 케이스 가이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41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