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7775Y1 - 브이씨알의 간단한 탭감지스위치 동작장치 - Google Patents

브이씨알의 간단한 탭감지스위치 동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7775Y1
KR200147775Y1 KR2019950038945U KR19950038945U KR200147775Y1 KR 200147775 Y1 KR200147775 Y1 KR 200147775Y1 KR 2019950038945 U KR2019950038945 U KR 2019950038945U KR 19950038945 U KR19950038945 U KR 19950038945U KR 200147775 Y1 KR200147775 Y1 KR 2001477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
sensing switch
state
switch
ta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389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6025U (ko
Inventor
김현주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500389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7775Y1/ko
Publication of KR97004602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602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77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7775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05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 G11B15/06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by sensing auxiliary features on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e.g. to stop machine near the end of a tape
    • G11B15/07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by sensing auxiliary features on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e.g. to stop machine near the end of a tape on contain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4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 G11B23/041Details
    • G11B23/042Auxiliary featur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상승/하강의 접점 방식을 갖는 탭 감지 스위치 구동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동 장치를 구비한 탭 감지 스위치는 카세트 테이프에 형성된 탭의 유무를 감지하여 이에 의해 녹화와 녹화 불가를 결정하게 된다.
종래의 탭 감지 스위치 구동 장치는 슬라이드 방식으로 되어 있어 정밀한 부품 가공이 요구되며, 제작시에 가공 불량에 의한 불량품 발생 가능성과 사용시 마모로 인한 오동작의 가능성이 높았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슬라이드 접점 방식을 상승/하강 접점 방식으로 바뀌어진 탭 감지 스위치를 포함하는 탭 감지 스위치 구동 장치를 구성하였다.
이와 같은 탭 감지 스위치 구동 장치는 1/2 거치형 브이씨알 및 캠코더를 포함하는 각종의 비디오 테이프 기록 재생 장치에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브이씨알의 간단한 탭 감지 스위치 동작 장치
제1도는 종래의 장치에 탭이 제거된 카세트 테이프가 수납되어 탭 감지 스위치가 on상태에 있는 것을 보여 주는 개략적인 부분 평면도.
제2도는 종래의 장치에 탭이 제거되지 않은 카세트 테이프가 수납되어 탭 감지 스위치가 off 상태에 있는 것을 보여 주는 개략적인 부분 평면도.
제3도는 제1도와 같이 탭 감지 스위치가 on 상태에 있는 구동 장치의 측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장치에 탭이 제거된 카세트 테이프가 수납될 경우 탭 감지 스위치가 on 상태에 있는 것을 보여 주는 개략적인 부분 평면도. 그리고,
제5도는 본 고안의 장치에 탭이 제거되지 않은 카세트 테이프가 수납되어 탭 감지 스위치가 off 상태에 있는 것을 보여 주는 개략적인 부분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카세트 테이프 2 : 탭 감지 레버 보스
3,3a : 탭 감지 레버 4, 4a : 탭 감지 스위치
5, 5a : 스프링 6, 6a : 메인 베이스
본 고안은 자기 테이프를 이용하여 영상을 녹화하고 재생하는 장치에 있어서, 카세트 테이프가 수납될 때 카세트 테이프의 출입을 인식하고 녹화 가능 탭 유무를 감지하는 탭 감지 스위치의 구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종래의 슬라이더 접점 방식을 상승/하강 접점 방식으로 바꿈으로써 오토플레이, 녹화 등에서의 작동 불량의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탭 감지 스위치 구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카세트 테이프에는 녹화 방지를 위해 제거될 수 있는 녹화 가능 탭이 있다. 카세트 테이프는 녹화를 할 경우, 이전에 녹화된 내용이 지워 지면서 새로운 내용이 녹화되게 된다. 따라서, 실수에 의해서 지워져서는 안되는 내용이나 보존해야할 내용을 담은 카세트 테이프에 다른 내용이 녹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카세트 테이프에 마련된 수단이 녹화 가능 탭이다. 즉, 이 녹화 가능 탭을 제거하면, 녹화 가능한 테이프가 녹화 방지용 테이프로 바뀌어 진다.
탭이 제거된 카세트 테이프와 제거되지 않은 카세트 테이프는 일반 재생, 착탈 등의 작동에서는 동일하게 작동될 수 있지만, 녹화 작업에서는 다른 작동 반응을 나타내게 된다. 탭이 제거되지 않은 카세트 테이프가 데크에 수납된 후 녹화 버튼을 누를 경우, 정상적으로 녹화가 수행되며, 탭이 제거된 카세트 테이프가 데크에 수납된 후 녹화 버튼을 누를 경우, 카세트 테이프가 자동적으로 배출되도록 되어 있다. 본 고안은, 이 처럼 녹화 방지용 탭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고, 탭의 존재 여부에 따라 녹화 버튼을 누를 경우 정상적으로 녹화가 이루어지게 하거나 또는 카세트 테이프가 배출되게 하는 배출 작동이 구동되게 하는 것에 관련된 것이다.
종래의 탭 감지 스위치의 구동 장치가 제1도와 제2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1도는 종래의 장치에 탭이 제거된 카세트 테이프가 수납되어 탭 감지 스위치가 on 상태에 있는 것을 보여 주는 개략적인 부분 평면도이고, 제2도는 종래의 장치에 탭이 제거되지 않은 카세트 테이프가 수납되어 탭 감지 스위치가 off 상태에 있는 것을 보여 주는 개략적인 부분 평면도이고, 제3도는 제1도와 같이 탭 감지 스위치가 on 상태에 있는 구동 장치 의 측면도이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녹화 가능 탭이 제거된 카세트 테이프(1)가 기기 내에 수납되어 안착되면 탭 감지 레버(3)가 동작하여 슬라이드 방식으로 탭 감지 스위치(4)가 접점되어 진다. 탭 감지 스위치(4)가 접점되어 on 상태에 있을 때 녹화 버튼을 누르면 카세트 테이프(1)를 배출시키도록 되어 있다.
한편,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녹화 가능 탭이 제거되지 않은 카세트 테이프(1 )가 기기 내에 수납되어 안착되면 탭 감지 레버(3)가 동작할 때, 탭이 제거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탭 감지 레버(3)는 카세트 테이프(1)에 부착된 탭에 의해 지지되어 탭 감지 스위치(4)와 접촉하지 않게 되어 탭 감지 스위치(4)는 off 상태에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녹화 버튼을 누르면 녹화가 정상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장치에서 탭 감지 스위치가 슬라이드 방식으로 접촉되므로 상대 부품 및 조립용 보스 등의 관련 부품의 치수가 정밀하게 관리되어야만 스위치의 접점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가공상의 오차 또는 조립상의 오차가 발생할 경우와, 부품의 마모가 발생할 경우에 스위치가 접속되지 않아 앞에서 설명한 종래의 기술에서는 녹화 불능 상태의 카세트 테이프에서도 녹화가 이루지게 되는 것과 같은 오동작을 발생시킨다. 이와 같은 오동작은 제품의 신뢰성에 치명적인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고안의 목적은 자기 테이프를 이용하여 영상을 녹화하고 재생하는 장치에 있어서 탭 감지 스위치의 구동 장치에서 종래의 슬라이더 접점 방식을 상승/하강 접점 방식 으로 바꿈으로써 오토플레이 녹화 등에서의 작동 불량의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탭 감지 스위치 구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탭 감지 스위치의 구동 장치는 중심부에 회전축을 가지며 일단에 탭 접촉부를 가지며 타단에 상하로 이동하는 스위치 접촉부를 갖는 탭 감지 레버, 상기 레버의 상기 스위치 접촉부의 하강에 의해 접점 방식으로 접속되는 탭 감지 스위치, 상기 레버의 스위치 접촉부 쪽의 소정 지점과 데크 본체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레버의 스위치 접촉부 쪽의 부분을 하강시키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스프링 및 상기 레버의 회전축을 지지하는 지지체가 설치된 메인 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승/하강 접점 방식으로 오토플레이, 녹화 등에서의 작동 불량의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4도는 본 고안의 장치에 탭이 제거된 카세트 테이프가 수납될 경우, 탭 감지 스위치가 on 상태에 있는 것을 보여 주는 개략적인 부분 평면도이고, 제5도는 본 고안의 장치에 탭이 제거되지 않은 카세트 테이프가 수납되어 탭 감지 스위치가 off 상태에 있는 것을 보여 주는 개략적인 부분 평면도이다.
탭 감지 레버(3a)는 카세트 테이프(1)에 제거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탭의 유무에 따라 위치가 변화하는 탭 접촉부를 그 일단에 가지며 , 탭 감지 레버(3a)의 중심부에는 회전축이 형성되어 있어 탭 접촉부의 위치 변화에 따라 탭 감지 레버(3a)가 회동할 수 있다. 또한, 탭 감지 레버(3a)의 타단에는 탭 감지 레버(3a)의 회동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도록 형성된 스위치 접촉부가 형성되어 있다. 스위치 접촉부가 하강하면 탭 감지 스위치(4a)와 접촉하여 탭 감지 스위치(4a)를 on 상태로 만들며, 스위치 접촉부가 상승하면 탭 감지 스위치(4a)와 이격되어 탭 감지 스위치(4a)를 off 상태로 만든다.
탭 감지 스위치(4a)는 스위치 접촉부의 하강에 의해 접점 방식으로 접속된다. 탭 감지 레버(3a)에는 스위치 접촉부쪽으로 소정 지점에는 스프링(5a)이 설치되어 데크 본체와 연결되어 있으며 탭 감지 레버(3a)의 스위치 접촉부 쪽의 부분을 하강시키는 방향으로 힘을 가한다. 따라서, 카세트 테이프(1)가 수납되지 않은 상태에서 탭 감지 레버(3a)의 스위치 접촉부는 탭 감지 스위치(4a)와 접촉하고 있게 된다. 또한, 제4도와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베이스(6a)에는 레버의 회전축을 지지하는 지지체가 설치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탭 감지 스위치(4a)는 직접 카세트 테이프(1)의 탭을 접촉하지는 않지만, 탭 감지 레버(3a)를 통하여 탭의 유무를 감지할 수 있다. 공지된 바와 같이, 카세트 테이프(1)에는 탭이 형성되어 있어 이 탭의 유무에 따라 녹화가 가능하거나 녹화가 방지된다. 물론, 이 탭은 사용자가 특정의 카세트 테이프의 내용을 보존하기 위 하여 임의로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만일 고장 등으로 탭의 유무의 감지에 착오가 생겨서 녹화 방지용 카세트 테이프에 다른 내용이 녹화된다면, 사용자의 부주의에도 문제는 있지만 기기의 고장이 더 직접적인 원인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탭 감지 스위치 동작 장치를 구성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것이다.
본 고안에 관련된 몇 가지 실시예를 간단히 살펴 본다. 우선, 탭 감지 스위치(4a)에 스프링과 같은 탄성 수단을 더 설치하는 것이다. 이러한 탄성 수단은 스위치 몸체와 스위치 몸체가 부착되는 부분 사이에 형성될 수도 있고, 스위치 몸체와 스위치 내부의 접점 사이에 설치 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많은 스위치의 접점들은 탄성적으로 접촉될 수 있는 재료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지만, 이 경우에는 적극적으로 탄성 수단을 설치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렇게 탄성 수단을 구비하면, 접점 사이에 이루어지는 마모와 외력에 의한 변형으로 발생할 수 있는 접점의 접촉 불량을 근본적으로 막아줄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는 탭 감지 스위치(4a)의 위치를 현재의 위치에서 레버를 중심으로 대칭되는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다. 현재의 위치에서는 탭 감지 스위치(4a)가 접점 불량인 경우에 모든 카세트 테이프가 녹화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어 기기가 작동되지만, 새로운 위치에서는 접점 불량의 경우 모든 카세트 테이프가 녹화 방지용으로 판단되어 기기가 작동된다. 다시 말해서, 새로운 위치에서 탭 감지 스위치(4a)가 접점 불량인 상태에서 녹화 버튼을 누를 경우에 자동적으로 모든 카세트 테이프를 배출하게 된다. 이 경우는 탭 감지 스위치(4a)가 고장난 경우에, 탭이 재거되지 않은 녹화 가능한 카세트 테이프도 배출되므로 문제는 되지만 녹화 방지용이 녹화되는 문제는 발생하지 않게 된다 .
그러나, 탭 감지 스위치(4a)의 위치를 바꾸는 것이 적합하지 않은 경우에는 또 다른 실시예로서 다른 작동 방식의 스위치를 사용하는 것이다. 즉 탭 감지 레버(3a)와 접촉된 상태에서 접속 상태(on 상태)가 되고, 접촉되지 않은 상태에서 차단 상태(off 상태)가 되는 탭 감지 스위치(4a)에서, 탭 감지 레버(3a)와 접촉된 상태에서 차단 상태(off 상태 )가 되고 접촉되지 않은 상태에서 접속 상태(on 상태)가 되는 탭 감지 스위치(4a)를 사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탭 감지 스위치 구동 장치는 ½ 거치형 브이씨알 및 캠코더를 포함하는 각종의 비디오 테이프 기록 재생 장치에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해서 탭 감지 스위치의 접점 불량으로 발생할 수 있는 오동작을 방지하여 녹화 방지 카세트 테이프가 녹화되어지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테이프 카세트의 로딩/언로딩동작에 따라 브이씨알 데크의 메인베이스상에 설치된 탭 감지 스위치를 선택적으로 작동시켜 온/오프시켜 주기 위한 선택적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브이.씨.알. 데크의 탭감지 스위치 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택적 구동수단은, 상기 메인베이스상에 설치된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각각 대응되는 양측으로 돌출 분기된 스위치 접촉부 및 탭 접촉부를 가지고, 상기 스위치 접촉부는 상기 메인베이스에 설치된 스프링에 의해 일방으로 바이어스된 상태로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탭 접촉부는 테이프 카세트의 로딩/언로딩동작에 의해 간섭되어 회동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스위치 접촉부와 탭 접촉부가 상반된 방향으로 회동되는 탭 감지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이. 씨. 알. 데크의 탭 감지 스위치 구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탭 감지 스위치가 탄성 수단을 구비한 접점 방식의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이. 씨. 알. 데크의 탭 감지 스위치 구동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탭 감지 스위치가 카세트 테이프의 탭이 있는 경우에 접속 상태(on 상태)가 되고 탭이 없는 경우에 차단 상태가 되도록 탭 감지 레버에 대해 대칭 위치로 위치 변경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이. 씨. 알. 데크의 탭 감지 스위치 구동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탭 감지 스위치가 탭 감지 레버와 접촉된 상태에서 차단 상태(off 상태 )가 되고 접촉되지 않은 상태에서 접속 상태(on 상태)가 되는 탭 감지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이. 씨. 알. 데크의 탭 감지 스위치 구동 장치.
KR2019950038945U 1995-12-07 1995-12-07 브이씨알의 간단한 탭감지스위치 동작장치 KR2001477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8945U KR200147775Y1 (ko) 1995-12-07 1995-12-07 브이씨알의 간단한 탭감지스위치 동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8945U KR200147775Y1 (ko) 1995-12-07 1995-12-07 브이씨알의 간단한 탭감지스위치 동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6025U KR970046025U (ko) 1997-07-31
KR200147775Y1 true KR200147775Y1 (ko) 1999-06-15

Family

ID=19432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38945U KR200147775Y1 (ko) 1995-12-07 1995-12-07 브이씨알의 간단한 탭감지스위치 동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777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6025U (ko) 1997-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0317B1 (ko) 카세트 장착장치
US4710831A (en) Loading and unloading system for flexible disc drive apparatus
KR200147775Y1 (ko) 브이씨알의 간단한 탭감지스위치 동작장치
US5189570A (en) Bistable magnetic head advancing/retracting device for rotating magnetic recording medium
JPH0529981B2 (ko)
JPH09237455A (ja) ディスクローディング装置
KR200141218Y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소거 방지탭 감지장치
US4839757A (en) Manual head loading mechanism for flexible disk drive
AU2002359081B2 (en) Disk cartridge
US7017169B2 (en) Disk cartridge and disk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US6349013B1 (en) Sensor for identifying a magnetic recording medium utilizing rotatable flags which cooperate to enter a cut-out portion in the medium
US4513330A (en) Accidental erasing preventative device for a cassette tape recorder
JP4339772B2 (ja) ディスク状記録媒体搬送装置
JP2944290B2 (ja) テーププレーヤの検知装置
KR20000013866U (ko) 테이프 레코더용 녹화방지 판별장치
KR0141862B1 (ko) 테이프 레코더의 오소거 방지방법 및 그 장치
KR0133387Y1 (ko) 립스위치 이탈장치
JP2689949B2 (ja) ディスク装置
KR200180188Y1 (ko) 테이프 레코더의 임피던스롤러 일체형 헤드크리너 구동장치
KR960009134Y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소거 방지탭 감지장치
JP2640063B2 (ja) ディスクプレーヤーのディスク検出装置
KR19990027743U (ko) 미니디스크의 오삽입 방지 장치
JPH0442457A (ja) カセット識別検出機構
JPH0434220B2 (ko)
JPH04263163A (ja) 情報記録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