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9134Y1 - 자기기록재생기의 소거 방지탭 감지장치 - Google Patents

자기기록재생기의 소거 방지탭 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9134Y1
KR960009134Y1 KR2019940007689U KR19940007689U KR960009134Y1 KR 960009134 Y1 KR960009134 Y1 KR 960009134Y1 KR 2019940007689 U KR2019940007689 U KR 2019940007689U KR 19940007689 U KR19940007689 U KR 19940007689U KR 960009134 Y1 KR960009134 Y1 KR 9600091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rasing
lever
tab
sensing
tape casset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076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1330U (ko
Inventor
강성식
최성훈
백명철
홍성표
이지영
유이현
이수범
박희윤
박일모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헌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헌조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400076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9134Y1/ko
Publication of KR95003133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133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91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9134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05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4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 G11B23/041Details
    • G11B23/042Auxiliary features

Landscapes

  • Impression-Transfer Materials And Handling Thereof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기기록재생기의 소거 방지탭 감지장치
제1도 및 제2도는 종래 장치의 구성 및 장치를 보인 것으로
제1도는 이젝트 상태 및 테이프 카세트가 삽입된 상태에서 소거 방지탭이 있는 경우를 보인 평면도.
제2도는 테이프 카세트가 삽입된 상태에서 소거 방지탭이 없는 경우를 보인 평면도.
제3도 내지 제5도는 본 고안 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보인 도면으로서
제3도는 본 고안 장치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제4도는 본 고안 장치의 요부인 텐션 제어레버의 평면도.
제5도 (a)(b)는 소거 방지탭 감지레버에 의한 스위치 접속동작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베이스 플레이트 11 : 공급릴 테이블
12 : 텐션암 13 : 텐션 제어레버
13c : 구동 돌출부 13d : 스토퍼
14 : 캠기어 19 : 소거 방지탭 감지레버
19a : 구동핀
본 고안은 자기기록재생기의 소거 방지탭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거 방지탭 감지레버가 테이프 카세트 로딩 및 언로딩시 테이프 카세트의 운동 궤적으로부터 벗어나게 하여 소거 방지탭 감지 작용이 안전하게 행하여지도록 하고, 텐션 제어레버에 의해 소거 방지탭 감지레버를 겸하여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한 자지기록재생기의 소거 방지탭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테이프 카세트에는 잘알려 지고 있는 바와 같이, 케이스의 일측부에 소거 방지탭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소거 방지탭을 원래 형태로 유지하게 되면 해당 테이프 카세트는 새로운 내용을 녹화, 녹음하거나 녹화, 녹음된 내용을 소거할 수 있게 되고, 소거 방지탭을 절취하게 되면 그렇게 할 수 없으므로 기록된 내용을 보존하기 위하여는 소거 방지탭 절취하고 사용하게 된다.
또한, 브이씨알과 같은 자기기록재생기에는 테이프 카세트에 있는 소거 방지탭이 원상을 유지하고 있는가, 아니면 절취되었는가를 감지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종래에도 이러한 소거 방지탭 감지장치가 알려 지고 있으나, 테이프 카세트 로딩 및 언로딩시 테이프 카세트가 소거 방지탭 감지장치와 간섭됨으로서 충격 소음이 발새하고, 이젝트시 테이프 카세트가 소거 방지탭 감지장치에 걸려 불량, 고장이 발생하는 결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 출원인은 테이프 카세트의 소거 방지탭 감지하기 위한 소거 방지탭 감지레버와, 이에 의해 접속되는 감지 스위치와, 상기 소거 방지탭 감지레버를 이젝트 모드시에는 테이프 카세트의 로딩 궤적 밖에 위치하고, 언로딩 유지 모드시에 로딩 궤적 안에 위치하도록 동작시키는 평선 플레이트 및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자지기록재생기의 소자 방지탭 감지장치를 안출하여 실용신안등록출원 제93-15479호(소거탭 감지장치)에 선출원한 바 있다.
제1도 및 제2도는 선출원 고안에 의한 자지기록재생기의 소거 방지탭 감지장치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로서, 도면에서 1은 베이스 플레이트 2는 테이프 카세트, 3는 소거 방지탭 감지레버를 각각 보인 것으로, 테이프 카세트(2)의 소거 방지탭(2a)을 감지하기 위한 소거 방지탭 감지레버(3)와, 이에 의해 접속되는 감지 스위치(4)와, 상기 소거 방지탭 감지레버(3)가 이젝트 모드시에는 테이프 카세트(2)의 로딩 궤적 밖에 위치하고 언로딩 유지 모드시에 로딩 궤적 안에 위치하도록 동작시키는 작동판(5) 및 탄성부재(6)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소거 방지탭 감지레버(3)는 스위치 접속부(3a)와 소거 방지탭 접촉부(3b)를 가지고 있으며 베이스 플레이트(1)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작동판(5)의 일측 단부에 인접하게 위치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1)에 고정된 축(3')에 중간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스프링(6)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탄력 지지됨과 아울러 회동 제한공(3c)이 일정 부위에 형성되어 베이스 플레이트(1)에 돌출 형성된 회동 제한편(3d)이 회동 제한공(3c)에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소거 방지탭 감지레버(3)는 회동 제한공(3c)과 동 제한편(3d)에 의해 정해지는 일정 각도 범위에서만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소거 방지탭 감지레버(3)의 소거 방지탭 접촉부(3b)는 테이프 카세트(2)가 데크부에 장착되는 경우 테이프 카세트(2)의 소거 방지탭(2a)과 인접한 부위에 위치하도록 결합되며, 또한 상기 소거 방지탭 감지레버(3)가 접속시키는 감지 스위치(4)가 상기 스위치 접속부(3a)에 의해 접속될 수 있는 부위에 위치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1)에 고정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감지 스위치(4)는 구동 제어 회로부에 연결되어 신호가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도면에서 7은 베이스 플레이트(1)에 고정된 안내핀을 보인 것으로, 상기 작동판(5)에 형성된 안내장공(5a)에 삽입되어 평선 플레이트(5)이 좌우로 직선 이동하도록 안내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선출원 소거 방지탭 감지장치는 제1도와 같이, 이젝트 모드에서는 작동판(5)이 좌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소거 방지탭 감지레버(3)를 밀어 줌에 따라 소거 방지탭 감지레버(3)가 스프링(6)의 힘을 이기고,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며, 이때 소거 방지탭 감지레버(3)의 소거 방지탭 접촉부(3b)는 테이프 카세트(2)가 장착될 때 간섭되지 않도록 테이프 카세트(2)의 이동궤적 외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된 상태에서 테이프 카세트(2)가 로딩수단에 의해 데크부에 장착되면 소거 방지탭 감지레버(3)의 소거 방지탭 접촉부(3b) 또는 다른 부분에 걸리는 일이 없이 안전하게 장착되며, 이와 같이 테이프 카세트(2)가 안착된후 언로딩 상태(ULC; Unloading Condition)의 모드, 즉 ULC모드로 진행되면서 작동판(5)이 제2도와 같이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작동판(5)의 단부가 소거 방지탭 감지레버(3)로부터 떨어지게 되므로 소거 방지탭 감지레버(3)에는 스프링(6)의 힘만 작용하게 된다.
이때 테이프 카세트(2)에 소거 방지탭(2a)이 없는 경우에는 소거 방지탭 감지레버(3)가 스프링(6)의 복원탄력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감지 스위치(4)를 접속시키게 된다.
그러나, 테이프 카세트(2)에 소거 방지탭(2a)이 있는 경우에는 소거 방지탭 감지레버(3)의 소거 방지탭 접촉부(3b)가 테이프 카세트(2)의 소거 방지탭(2a)에 접촉되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지 못하게 되므로 제1도와 같이, 소거 방지탭 감지레버(3)가 감지 스위치(4)를 접속시키지 못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선출원 고안은 테이프 카세트 로딩 및 언로딩시 테이프 카세트가 소거 방지탭 감지레버와 간섭되지는 않으므로 충격 소음이 발생하지 않게 되고, 이젝트시 테이프 카세트가 소거 방지탭 감지레버에 걸려 불량, 고장이 결합이 방지되므로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하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선출원 소거 방지탭 감지장치는 테이프 카세트의 소거 방지탭의 유무를 감지하기 위하여 소거 방지탭 방지레버(3)를 베이스 플레이트(1) 상에서 좌우로 이동하는 작동판(5)에 의하여 구동시키는 것으로서 작동판(5)를 별도로 요구하게 되므로 구성이 복잡하게 되고, 제품의 제작원가가 증가되는 요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결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텐션 레버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하여 설치된 기존의 텐션 제어레버를 이용하여 소거 방지탭 감지레버를 구동하도록 안출한 것인바, 이러한 본 고안을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는 본 고안 장치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의 브이씨알은 베이스 플레이트(10)에 공급될 테이블(11)이 축(11')으로 축착되고, 공급될 테이블(11)의 일측부에는 텐션암(12)과, 텐션제어레버(13)가 축(12')(13')으로 각각 축착되어 있으며, 상기 공급릴 테이블(11)의 하부에는 캠기어(14)가 축(14')으로 축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텐션암(12)과 텐션 제어레버(13)에는 연결편(15), (16)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공급릴 테이블(11)에는 텐션밴드(17)가 둘러져 텐션밴드(17)의 양단부는 상기 연결편(15), (16)에 각각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텐션암(12)은 베이스 플레이트(10)에 스프링(18)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탄지되고, 텐션암(12)의 선단부에는 텐션 포스트(12a)가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텐션 제어레버(13)에는 상기 텐션암(12)의 접촉부(12b)가 접동되는 텐션암 구동핀(13a)과 상기 캠기어(14)의 캠홈(14a)에 삽입되는 캠핀(13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텐션 제어레버(13)는 상기 캠기어(14)가 회전함에 따라 캠기어(14)의 캠홈(14a)에 캠핀(13b)이 삽입되어 있으므로 축(13')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며, 상기 텐션암(12)은 상기 텐션 제어레버(13)가 회동함에 따라 텐션암 구동핀(13a)에 접촉부(12b)가 접촉 동작되게 되어 있으므로 텐션 제어 위치가 조절되어 진다.
이와 같은 장치는 텐션암 탄지용 스프링 및 텐션 밴드의 길이를 각 모드에 따라 적정한 량 만큼 가변하여 텐션을 적정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특히 재생 모드에서 리뷰 및 역 슬로우로 모드 변화시 테이프의 늘어짐을 조절할 수 있어 화면 노이즈(noise)를 개선한 수 있으며, 텐션 암의 축을 지지하기 위한 사용 부품수를 절감하고 작업불량을 해소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는 것으로서, 본 고안 출원인에 의하여 창안되어 특허출원 제93-19922호에 선출원되어 있다.
제4도는 본 고안의 요부인 텐션 제어레버의 평면도, 제5도는 감지 스위치 동작 설명도를 각각 보인 것으로, 이하 제3도 내지 제5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선출원 발명 텐션 제어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기종의 텐션 제어레버(13)를 이용하여 소거 방지탭 감지레버(19)를 겸하여 구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소거 방지탭 감지레버(19)에는 구동핀(19a)이 형성되고, 상기 텐션 제어레버(13)에는 상기 구동핀(19a)이 접촉 동작되는 구동 돌출부(13c)가 형성되며, 본 고안은 기존 텐션제어 장치에 이러한 간단한 구성을 급가함으로써 소거 방지탭 감지레버(19)를 구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소거 방지탭 감지레버(19)는 스프링(20)으로 베이스 플레이트(10)에 탄지되어 있고, 소거 방지탭 감지레버(19)에는 테이프 카세트의 소거탭을 감지하기 위한 돌출부(19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텐션 제어레버(13)의 구동 돌출부(13c) 일측부에는 소거 방지탭 감지레버(19)의 구동핀(19a)의 위치를 규제하기 위하여 원호면을 갖는 스토퍼(13d)가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서 21은 소거 방지탭 감지레버(19)의 돌출부(19c)에 의하여 접속되는 감지 스위치를 보인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상기 캠기어(14)의 회전에 의하여 텐션 제어레버(13)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텐션 제어레버(13)의 구동 돌출부(13c)가 소거 방지탭 감지레버(19)의 구동핀(19a)을 밀어붐에 따라 소거 방지탭 감지레버(19)가 제3도의 실선 상태에서 가상선 상태로 이동하여 소거 방지탭 감지레버(19)의 돌출부(19b)가 이젝트 및 테이프 카세트 삽입 모드시 테이프 카세트와 간섭되지 않도록 외측으로 이동되고, 캠기어(14)의 회전에 의해 텐션 제어레버(13)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소거방지탭 감지레버(19)가 가상선 상태에서 실선 상태로 회전함에 따라 소거 방지탭 감지레버(19)의 돌출부(19b)가 테이프 카세트의 소거탭을 감지할 수 있는 위치로 이동하여 소거탭의 유무를 감지하게 되며, 상기 소거 방지탭 감지레버(19)가 가상선 상태인 경우에는 제5도 (가)와 같이 감지 스위치(21)를 오프시키고, 실선 상태인 경우에는 (나)와 같이 감지 스위치(21)를 눌러 온시키게 되어 소거 방지탭 감지레버(19)의 위치 변화를 회로적으로 체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텐션 제어레버(13)에 형성된 스토퍼(13d)는 플레이 등의 소정 모드시 소거 방지탭 감지레버(19)의 구동핀(19a)의 회전 범위를 규제하여 소거 방지탭 감지레버(19)를 일정한 위치에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 자지기록재생기의 소거 방지캡 감지장치는 테이프 카세트 로딩 및 언로딩시 테이프 카세트가 소거 방지탭 감지레버와 간섭되지 않으므로 충격 소음이 발생하지 않게 되고, 이젝트시 테이프 카세트가 소거 방지탭 감지레버에 걸려 불량, 고장이 발생하는 결함이 방지되므로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하는 이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 텐션 제어장치의 텐션 제어레버(13)를 겸용으로 이용하여 소거 방지탭 감지레버(19)를 구동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으며, 상기와 같이 캠기어(14)와 텐션 제어레버(13)를 구비한 기종에 별도의 부품을 추가하지 않고 매우 유리하게 적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소거 방지탭 감지레버(19)에 구동핀(19a)을 형성하고, 캠기어(14)에 의해 회동하여 텐션암(12)의 위치를 변동시키는 텐션 제어 레버(13)에는 상기 구동핀(19a)이 접촉 동작되는 구동 돌출부(19c)를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지기록재생기의 소거 방지탭 감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 제어레버(13)의 구동 돌출부(13c) 일측부에 상기 소거 방지탭 감지레버(19)의 구동핀(19a)의 위치를 규제하기 위한 스토퍼(13d)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지기록재생기의 소거 방지탭 감지장치.
KR2019940007689U 1994-04-13 1994-04-13 자기기록재생기의 소거 방지탭 감지장치 KR9600091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7689U KR960009134Y1 (ko) 1994-04-13 1994-04-13 자기기록재생기의 소거 방지탭 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7689U KR960009134Y1 (ko) 1994-04-13 1994-04-13 자기기록재생기의 소거 방지탭 감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1330U KR950031330U (ko) 1995-11-22
KR960009134Y1 true KR960009134Y1 (ko) 1996-10-15

Family

ID=19380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07689U KR960009134Y1 (ko) 1994-04-13 1994-04-13 자기기록재생기의 소거 방지탭 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913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1330U (ko) 1995-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067617A (en) Cassette tape recorder
KR960009134Y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소거 방지탭 감지장치
KR900003835A (ko) 겸용식 기록 및 재생 장치
US5151833A (en) Magnetic tape device having a switching mechanism for diverting rotation of the capstan to rotation for loading/unloading a cassette in the device
US4656552A (en) Cam driven actuating mechanism for a tape player
KR200141218Y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소거 방지탭 감지장치
JPS6035740B2 (ja) 反転式磁気記録再生装置
US5184264A (en) Adjustably mounted audio control head
JPS5850500Y2 (ja) カセット式テ−プレコ−ダ
KR910008051B1 (ko) 회전 에이/씨 헤드를 이용한 고속 탐색장치
KR860002515Y1 (ko) 카세트 데크의 이젝트 방지장치
KR0141862B1 (ko) 테이프 레코더의 오소거 방지방법 및 그 장치
JPS62217459A (ja) カセツト式記録再生装置
KR900010407Y1 (ko) 테이프 주행 장치에서의 테이프 이송장치
KR840001729Y1 (ko) 테이프 레코오더
KR940002832Y1 (ko) 테이프 플레이어용 테이프 엔드 검출 기구
JPH075559Y2 (ja) 画面検索機能を有するビデオテープレコーダ
JPS581879Y2 (ja) 往復走行型カセットテ−プレコ−ダ
JPH0668310A (ja) 情報記録再生装置
KR200147775Y1 (ko) 브이씨알의 간단한 탭감지스위치 동작장치
KR970000498Y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카세트 로딩 감지장치
KR970007172B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프론트 로딩용 하우징의 오삽입 방지장치
JPH0229536Y2 (ko)
KR0118663Y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핀치암 및 이젝트 레버 연동장치
KR940001230Y1 (ko) 테이프 레코더의 테이프 보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8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