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2759B1 - 기록재생장치 - Google Patents

기록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2759B1
KR920002759B1 KR1019840005848A KR840005848A KR920002759B1 KR 920002759 B1 KR920002759 B1 KR 920002759B1 KR 1019840005848 A KR1019840005848 A KR 1019840005848A KR 840005848 A KR840005848 A KR 840005848A KR 920002759 B1 KR920002759 B1 KR 9200027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sette
tape
moving
magnetic
mov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5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2539A (ko
Inventor
마사오 오오야마
Original Assignee
쏘니 가부시기가이샤
오오가 노리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4668883U external-priority patent/JPS6056949U/ja
Priority claimed from JP14669083U external-priority patent/JPS6056945U/ja
Priority claimed from JP59170926A external-priority patent/JPS6150242A/ja
Application filed by 쏘니 가부시기가이샤, 오오가 노리오 filed Critical 쏘니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50002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25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27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27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0Guiding record carrier
    • G11B15/66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 G11B15/665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by extracting loop of record carrier from container
    • G11B15/6653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by extracting loop of record carrier from container to pull the record carrier against drum
    • G11B15/6656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by extracting loop of record carrier from container to pull the record carrier against drum using two-sided extraction, i.e. "M-typ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75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Landscapes

  • Automatic Tape Cassette Changers (AREA)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기록재생장치
제1도는 본원 발명의 자기기록재생장치의 일실시예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자기기록재생장치의 구동 및 테이프로딩기구의 평면도로서, 이동부의 오픈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3도는 제2도의 자기기록재생장치의 구동 및 테이프로딩기구와 같은 평면도로서, 이동부의 클로즈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4도는 제2도의 A-A선 확대단면도.
제5도는 제3도의 B-B선 확대단면도.
제6도는 본원 발명의 이동부의 카세트장착기구, 로크기구 및 테이프로딩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제7도는 제4도와 같은 단면도로서, 로크기구만을 나타낸 약선도.
제8도는 제5도와 같은 단면도로서, 로크기구만을 나타낸 약선도.
제9도는 제1도 내지 제6도의 장치에 포함된 자기헤드장치부 및 테이프로딩기구의 약선적 사시도.
제10도는 테이프로딩기구에 포함된 로딩링 및 로딩블록의 사시도.
제11도는 본원 발명의 자기기록재생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평면도.
본원 발명은 테이프카세트에 수납된 자기테이프에 오디오신호, 영상신호 등을 기록하거나 또는 이를 자기테이프에서 재생하는 자기기록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오디오, 영상신호 등을 기록재생하기 위한 여러가지의 자기기록재생장치가 제안되었다. 특히, 자기테이프를 수납하는 테이프카세트를 사용하는 영상테이프 기록재생장치(VTR)는 몇가지 다른 방식이 있다. 그 중 한 방식은 카세트가 하우징의 전면패널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하여 VTR로 수평으로 삽입되는 카세트장작기구를 채용하는 것이며, 카세트 자체만이 하우징내에 수평 및 수직으로 이동하여 소정의 동작위치에 위치된다. 다른 방식의 VTR은 카세트가 상기 하우징의 상측 패널에서 상방으로 돌출하는 카세트홀더 내로 삽입되면, 카세트홀더가 하방으로 이동하여 테아프카세트를 소정의 동작위치에 위치시키는 카세트장착기구를 채용하는 것이다. 이들 두 종류의 카세트장착기구는 현저한 결점을 가지고 있다. 제1의 방식은 카세트가 하우징내에서 수직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이 하우징은 이 동작을 위한 충분한 수직공간을 요하며, 따라서 VTR은 두께가 증가한다. 한편, 제2의 방식에 있어서는 카세트홀더가 카세트를 수납 또는 인출하기 위하여 하우징의 상측패널에서 돌출되어 있으므로, 하우징의 상측 패널에 다른 장체를 장착할 수 없다.
종래 기술에 의한 상기 자기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프론트로딩, 선형운동방식의 자기기록재생장치가 제안되어 있으며, 이러한 장치에 있어서는 카세트장착부가 하우징의 전면에서 삽입 및 인출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에 있어서는 테이프구동부 및 자기헤드장치부만이 카세트장착부의 부품으로서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프론트로딩방식의 자기기록재생장치는 전면에 사용과 동시에 열리게 되는 덮개를 가진 카세트를 작동시키지 못한다. 또, 이 장치는 사용과 동시에 자기테이프가 테이프카세트에서 인출되어 자기헤드장치부로 로딩되는 테이프카세트를 작동시키지 못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제안된 프론트로딩자기기록재생장치는 카세트를 이젝트위치에서 테이프구동 또는 동작위치로 카세트를 이동시키는 카세트홀더를 갖추고 있지 않다. 끝으로, 자기테이프를 자기헤드장치부로 로딩하기 위한 테이프로딩기구를 갖춘 자기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 하우징 내에서 카세트를 수평으로 이동시키고, 테이프를 반송하는 동작이 각각 이루어져서 카세트가 카세트홀더내로 삽입되고, 자기테이프가 로딩동작되어 기록 또는 재생모드를 설정하는 전체동작은 비교적 장시간을 필요로 한다.
또, 카세트홀더를 갖춘 자기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 하우징에서 이젝트위치까지 카세트홀더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이젝트버튼을 별도로 작동시켜야 할 필요가 있었다.
따라서, 본원 발명의 목적은 상기 한 단점을 해소한 개선된 자기기록재생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원 발명의 다른 목적은 두께를 얇게한 하우징을 가진 자기기록재생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원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른 장치 또는 물체를 하우징의 상측 패널에 위치시킬 수 있는 자기기록재생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원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면에 덮개를 가진 테이프카세트 또는 테이프카세트내의 자기테이프가 인출되어 사용과 동시에 자기헤드장치부로 로딩외는 테이프카세트를 사용할 수 있는 자기기록재생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원 발명의 다른 목적은 테이프카세트를 카세트홀더내로 삽입하고, 자기테이프가 로딩되어 본 장치가 기록 또는 재생모드로 되는 일련의 동작이 비교적 짧은 시간에 이루어지는 자기기록재생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원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카세트홀더를 하우징으로부터 이젝트위치까지 자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자기기록재생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원 발명에 의하면, 테이프카세트에 수납된 자기테이프에 신호를 기록 또는 재생하기 위한 자기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 개구부가 형성된 전면패널을 가진 하우징과,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에서 전방으로 돌출하는 오픈위치와 상기 하우징내에 수납되는 클로즈위치와의 사이에서 대략 수평으로 이동가능한 지지부로 구성된 이동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동부는, 테이프카세트를 수납하고, 카세트가 개구부를 통하여 이동할 수 있는 하강된 동작위치와 상기 카세트를 하우징에서 이젝트하여 상기 장치로부터 인출할 수 있는 상승된 이젝트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부에 대하여 수납한 카세트를 이동시키기 위한 카세트장착기구와, 상기 이동부와 항께 이동하도록 상기 지지부에 장착되어 상기 동작위치에 있는 테이프카세트에 신호를 기록 또는 재생하는 자기헤드장치부를 구비하고, 상기 카세트장착기구는 상기 이동부가 상기 콜로즈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카세트를 상기 동작위치로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재생장치를 제공한다.
본원 발명의 상기 및 기타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도면에 따른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해질 것이며, 각 도면에 있어서 동일 및 상당부분에 대하여 같은 부호로 표시한다.
다음에,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원 발명의 자기기록재생장치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도에 있어서, (1)은 자기기록재생장치의 하우징을 나타내고, 이 하우징(1)의 전면의 조작패널(1a)에 조작스위치 등이 설치되어 있다. (2)는 조작패널(1a)에 면하여 설치한 이동부를 나타내며, 이 이동부(2)는 이동부(2)가 제1도에 도시한 오픈위치에 있을 때 자기테이프가 수납된 자기테이프카세트(5)를 소정 위치에 장착하는 카세트장착기구와, 자기테이프에 대해 소정의 기록 또는 재생을 행하는 자기헤드장치부와, 테이프카세트의 자기테이프를 자기테이프에 대해 로딩 또는 언로딩하는 테이프로딩기구를 구비한다. 또한, 이 이동부(2)를 그 일측, 즉 전면패널(2a)이 조작패널(1a)에 대략 동일 면이 되는 상태에서 하우징(1)내에 수납되는 클로즈위치와, 전면패널(2a)이 조작패널(1a)에 대해 소정량 전방으로 돌출하는 오픈위치와의 사이를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3)은 이동부(2)의 전면패널(2a)에 설치한 오픈/클로즈버튼이며, 이 오픈/클로보튼(3)의 조작에 의해 이동부(2)가 클로즈위치 또는 오픈위치를 취하도록 이동한다.
(4)는 이 이동부(2)에 설치한 카세트장착기구를 구성하는 카세트홀더이며, 이 카세트홀더(4)에는 제1도에서와 같이 카세트홀더(4)가 카세트수납 및 인출위치에 있을 때, 카세트입구(4a)를 통하여 테이프카세트가 삽입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카세트(5)를 사용하고 있지 않을 때 카세트(5) 내측에서 자기테이프를 보호하기 위하여 카세트 전면에 회전가능한 덮개(5')를 갖춘 형태로 이루어진 것이다.
여기서, 이동부(2)의 하우징(1)에 대한 슬라이딩구동기구에 대하여 제2도 및 제3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클로즈위치에 위치하는 이동부(2)의 양측에 따라서 하우징 내부에 1쌍의 렉(6a),(6b) 및 1쌍의 롤러(7a),(7b)를 설치한다. 한편, 이동부(2)의 일측 후단부 가까이에 제1의 구동모터인 구동모터(8)를 설치하고, 이 구동모터(8)에 의해 1쌍의 렉(6a),(6b)에 맞물리는 1쌍의 피니언(9a), (9b)을 회전시켜서 하우징(1)에 대해 이동부(2)가 슬라이딩이동되도록 한다. 즉, 그동모터(8)의 회전축(8b)에 모터폴리(8a)를 설치하고, 이 모터폴리(8a)를 벨트(10)를 통해 동일축상에 기어(11a)가 고정된 폴리(11b)에 연결하고, 1쌍의 피니언(9a),(9b)와 동일축상에 고정된 기어(9c)를 이 기어(11a)에 맞물린다. (12a) 및 (12b)는 각각 이동부(2)가 클로즈위치 및 오픈위치에 위치할 때의 피니언(9b)의 위치에 대응하여 렉(6b) 근방에 설치한 오픈위치 및 클로즈위치검출스위치이며, (13a) 및 (13b)는 1쌍의 롤러(7a) 및 (7b)에 계합되도록 이동부(2)의 양측에 설치한 1쌍의 레일이다. 이 경우, 구동모터(8)는 오픈/클로즈버튼(3)에 의해 클로즈동작(이동부(2)가 클로즈위치로 슬라이딩이동하는 동작)이 선택되고, 또한 카세트장착기구에 관련하여 설치하는 후술하는 카세트장착 완료검출스위치에 의해 카세트장착완료가 검출되었을 때, 정회전하여 이동부(2)가 클로즈위치로 이동하도록 하고, 이동부92)가 클로즈위치에 위치했을 때에, 피니언(9b)이 접촉하여 클로즈위치검출스위치(12b)에 의해 이것을 검출하고, 구동모터(8)가 비동작상태가 되도록 한다. 또한, 이 구동모터(8)는 오픈/클로버튼(3)에 의해 오픈동작(이동부(2)가 오픈위치로 이동하는 동작)이 선택되고, 또한 테이프로딩기구에 관련하여 설치되는 후술하는 로타리엔코더에 의해 자기기록재생장치가 스톱모드를 선택하고 있을 것을 검출했을 때, 역회전하여 이동부(2)가 오픈위치로 이동하도록 하고, 이동부(2)가 오픈위치에 위치했을 때에 피니언(9b)이 접촉하여 오픈위치검출스위치(12a)에 의해 이것을 검출하고, 구동모터(8)가 비동작상태가 되도록 한다.
다음에, 이동부(2)의 카세트장착기구에 대하여 제4도 내지 제6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14)는 이동부(2)의 기판을 나타내며, 이 기판(14b)상에 2쌍의 측판(15a), (15b) 및 (16a), (16b)을 설치하고, 1쌍의 측판(15a), (15b)의 내측의 전면패널(2a) 가까이에 지지축(18a), (18b)을 통하여 1쌍의 대략 L자형의 승강암(17a), (17b)을 그 제1의 단부(17a'), (17b')에서 장착하고, 이 승강암(17a), (17b)의 제2의 단부(17a"), (17b")에서 지지축(19a), (19b)에 의해 카세트홀더(4)를 회전가능하도록 장착한다. 승강암(17a), (17b)이 회전하면 제2의 단부(17a"), (17b")가 기판(14)에 대해 승강하도록 하여 카세트홀더(4)가 기판(14)상의 카세트장착 또는 동작위치와 그 상측의 카세트삽입 또는 인출위치와의 사이를 승강하도록 한다. 승강암(17a)의 제2의 단부(17a")와 카세트홀더(4) 사이에 코일스프링(20)을 걸어서, 카세트홀더(4)가 카세트삽입위치에 있을 때 코일스프링(20)의 편의력(偏倚力)에 의해 카세트홀더(4)의 전면패널(2a)측으로 향한 카세트삽입구가 카세트(5)의 삽입이 쉽도록 경사상측을 향하도록 하는 동시에(제4도), 카세트장착 또는 동작위치에서 카세트홀더(4) 및 이 카세트홀더(4)에 삽입된 테이프카세트(5)가 기판(14)에 대해 평행으로 장착되도록 한다(제5도).
(21)은 안내홈(22)을 통하여 측판(15a)을 관통하도록 카세트홀더(4)에 설치된 장착검출조작핀이며, 안내홈(22)은 이 장착검출조작핀(21)의 이동범위에 대응하여 측판(15a)에 대략 원호형으로 형성된다. (23)은 이 안내홈(22) 하단 근방에 설치한 예를들면 리프스위치(leaf switch)로 이루어진 카세트장착 완료검출스위치이며, 카세트장착 또는 동작위치에 카세트홀더(4)가 위치했을 때 장착검출조작핀(21)에 의해 카세트장착 완료검출스위치(23)가 조작되고, 이 카세트장착 완료검출스위치(23)에 의해 카세트(5)의 장착 또는 동작위치결정의 완료가 검출되도록 한다.
또한, 승강암(17a), (17b)의 지지축(18a), (18b) 근방 하단부에 핀(24a), (24b)을 각각 설치하는 동시에 측판(15a), (15b)의 대략 중간 상단부에 한쌍의 스프링앵커핀(25a), (25b)을 설치하고, 이들 핀(24a), (25a)과 (24b), (25b) 사이에 코일스프링(26a), (26b)을 걸고, 이 코일스프링(26a), (26b)에 의해 승강암(17a), (17b)의 제2의 단부(17a"), (17b")를 기판(14)에 대해 이간하는 상승방향, 즉 카세트홀더(4)를 카세트삽입위치 측에 유지하는 방향으로 부세한다.
(27a) 및 (27b)는 각각 측판(15a) 및 (15b)측으로 향하여 제2의 단부(17a") 및 (17b")에 설치한 로크핀이며, 승강암 (17a), (17b)이 코일스프링(26a), (26b)의 편의력에 항거하여 기판(14) 가까이에 하강하여 카세트홀더(4)를 카세트장착 또는 동작위치에 장착했을 때, 후술하는 로크기구에 의해 이 로크핀(27a), (27b)이 계지되어 카세트홀더(4)가 카세트장착위치에 유지되도록 승강암(17a), (17b)이 로크된다.
또한, (28)은 카세트홀더94)에 삽입된 테이프카세트(5)가 카세트장착 또는 동작위치에 이동할 때 개폐덮개(5')에 계지되도록 측판(15b)의 내측에 설치된 덮개계지핀이며, (29)는 지지축(18a)을 중심으로 승강암(17a)의 제1의 단부(17a')의 주위에지에 원호형으로 설치한 기어이며, 이 기어(29)에 측판(15a)에 장착한 완충작용을 수반하여 회전하는 기어(29a)를 맞물려서 승강암(17a), (17b)이 완만하고 유연하게 승강하도록 한다.
여기서, 로크핀(27a), (27b)에 대한 로크기구에 대하여 제7도 및 8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제7도 및 제8도는 각각 제4도 내지 제6도에 있어서의 로크기구에 관련된 부분만을 도시한다. 승강암(17a), (17b)의 로크핀(27a), (27b)에 관련하여 승강암(17a), (17b)에 대향해서 측판(15a), (15b)에 로크레버(30a), (30b)를 설치한다. 이 경우, 로크레버(30a), (30b)에는 승강암(17a,), (17b)이 카세트홀더(4)를 카세트장착위치에 장착했을 때의 로크핀(27a), (27b)을 전면패널(2a)측으로부터 계지하는 갈고리형상의 로크클릭(31a), (31b)을 설치하고, 이 로크클릭(31a), (31b)의 하측에서 지지축(32a), (32b)을 통하여 측판(15a), (15b)에 회전가능하도록 축지지되고, 로크레버(30a), (30b)의 회전에 따라 승강암(17a), (17b)의 승강에 수반하는 로크핀(27a), (27b)의 이동범위에서 벗어난 위치로 로크클릭(31a), (31b)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 갈고리형상의 로크클릭(31a), (31b)의 상에 지부(31a'), (31b')를 전면패널(2a)측으로 경사진 형상으로 하고, 로크핀(27a), (27b)의 이동범위내에 위치하는 로크클릭(31a), (31b)에 승강암(17a), (17b)의 하강에 따라 로크핀(27a), (27b)이 맞닿을 때, 이 로크핀(27a), (27b)에 의해 로크클릭(31a), (31b)이 로크핀(27a), (27b)의 이동범위 밖에 위치하도록 로크레버(30a), (30b)가 회전하도록 한다. 또한, 로크레버(30a), (30b)의 지지측(32a), (32b)보다 전면패널(2a)쪽으로 더 가까운 위치에 앵커핀(32a), (32b)을 설치하여, 이 앵커핀(33a), (33b)과 측판(15a), (15b)에 설치한 핀(34a), (34b)과의 사이에 코일스프링(35a), (35b)을 걸고, 카세트홀더(4)가 테이프카세트장착 또는 동작위치에 장착되었을 때의 로크핀(27a), (27b)을 로크클릭(31a), (31b)이 계지하는 방향으로 로크레버(35a), (35b)를 코일스프링(35a)(35b)에 의해 부세한다.
(36a) 및 (36b)는 각각 로크레버(30a) 및 (30b)에 인접한 측판(15a), (15b)에 장착한 L 자형의 조작레버이며, 이 조작레버(36a), (36b)의 중심부를 지지축(37a), (37b)을 통해 측판(15a), (15b)에 회전가능하도록 축지지하고, 조작레버(36a), (36b)의 제1의 단부(36a'), (36b')를 로크레버(30a), (30b)의 핀(33a), (33b)에 접촉시킨다. 또한, (38a), (38b)는 각각 중심부를 지지축(39a) 및 (39b)를 통해 측판(16a) 및 (16b)에 회전가능하도록 축지지한 L자형의 전달레버이며, 조작레버(36a), (36b)의 제2의 단부(36a"), (36b")를 와이어(40a), (40b)를 통해 이 전달레버(38a), (38b)의 제1의 단부(38a'), (38b')에 연결하고, 이 전달레버(38a), (38b)의 제2의 단부(38a"), (38b")에 회전가능하도록 롤러(41a), (41b)를 설치한다.
(42a) 및 (42b)는 각각 중심부를 지지축(43a) 및 (43b)을 통해 측판(16a) 및 (16b)에 회전가능하도록 축지된 V자형 해제레버를 나타내며, 이 해제레버(42a), (42b)의 지지축(43a), (43b)과 전달레버(38a), (38b)의 제2부 단부(38a"), (38b")와의 사이에 코일스프링(44a), (44b)을 걸어서, 해제레버(42a), (42b)의 지지축(43a), (43b)과 전달레버(38a), (38b)의 지지축을 연결하는 직선상에 전달레버(38a), (38b)의 롤러(41a), (41b)가 위치하도록 한다. 또한, 해제레버(42a), (42b)의 지지축(43a),(43b)에 토션스프링(45a), (45b)의 코일부를 삽통하고, 이 토션스프링(45a), (45b)의 일단을 해제레버(42a), (42b)에 고정하고, 타단올 측판(16a), (16b)에 계지하여, 이 해제레버(42a), (42b)의 제1의 단부(46a), (46b) 및 제2의 단부(47a), (47b) 사이에 전달레버(38a), (38b)의 롤러 (41a), (41b)가 위치하도록 한다.
또한, 카세트홀더(4)가 카세트삽입위치로 이동해도 카세트홀더(4)가 하우징(1)에 접촉하는 일이 없도록 제4도 및 제7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오픈위치 가까운 위치에 이동부(2)가 클로즈위치로부터 이동하였을 때에, 해제레버(42a), (42b)의 제1의 단부(46a), (46b)에 접촉하도록 하우징(1) 내부상측의 조작패널(1a)쪽에 개구부(1b) 근방에 돌출편(1c)을 형성하여, 이동부(2)가 오픈위치로 이동할 때, 이 돌출편(1c)에 의해 토션스프링(45a), (45b)의 편의력에 항거하여 해제레버(42a), (42b)가 일단 회동되어 해제레버(42a), (42b)의 회동에 의해 해제레버(42a), (42b)의 제2단부(47a), (47b)가 롤러(41a), (41b)를 가압하여, 이 해제레버(42a), (42b)의 제2의 단부(47a), (47b)에 의해 전달레버(28a), (28b)-와이어(40a), (40b)-조작레버(36a), (36b)를 통해 로크레버(30a), (30b)가 로크클릭(31a), (31b)에 의한 로크편(27a), (27b)의 계지를 해제하도록하여 스프링(26a), (26b)이 암(17a), (17b)을 상승시키고, 따라서 홀더(4)는 카세트삽입 및 인출위치에 위치하게 된다(제4도 및 제7도).
따라서, 이동부(2)가 오픈위치로부터 제5도 및 제8도의 클로즈위치로 이동하면, 해제레버(42a), (42b)가 돌출편(1c)에 의해 해제되어 토션스프링(45a), (45b) 및 코일스프링(44a), (44b)의 편의력에 의해 해제레버(42a), (42b) 및 전달레버(38a), (38b)가 다시 원래의 회전 이전의 위치로 회전되는 동시에, 코일스프링(35a), (35b)의 편의력에 의해, 홀더(4)가 동작위치로 될 때 로크레버(30a), (30b)가 로크핀(27a), (27b)을 계지하는 회전 전의 위치로 회전되도록 한다.
끝으로, 자기테이프에 대해서 소정의 기록 또는 재생을 행하는 자기헤드장치부와, 자기테이프를 자기헤드장치부에 대해 로딩 또는 언로딩하는 테이프로딩기구를 제2도, 제3도, 제6도, 제9도 및 제10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9도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48)은 기판(14)상의 소정위치에 설치한 회전자기 헤드장치를 나타내며, 이 회전자기헤드장치(48)는 기판(14)상에 경사시켜 고정한 고정드럼(48a)과, 이 고정드럼(48a)상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한 회전드럼(48b)으로 이루어지며, 이 회전드럼(48b)의 고정드럼(48a)과의 대향면에서 자기헤드(도시하지 않음)를 고정한다. (49)는 이 회전자기헤드장치(48)의 일측 근방에 설치한 소거헤드이다. 이들 회전자기헤드장치(48)와 소거헤드(49)에 의해 자기헤드장치부를 구성한다.
(50a) 및 (50b)는 1쌍의 로딩블록을 나타내며, 이 로딩블록(50a), (50b)은 테이프로딩기구로서, 기판(14)상을 이동하는 V자형의 가이드베이스(51a), (51b)와, 이 가이드베이스(51a), (51b)상의 중심부 및 일단부에 설치한 리턴가이드(52a), (52b) 및 경사사이드(53a), (53b)와, 장공(54a), (54b)을 가지고 가이드베이스(51a), (51b)의 타단 하면부에 핀(55a), (55b)을 통해 회전가능하도록 장착하여 기판(14)의 하면부측에 위치시킨 링크(56a), (56b)(제10도)로 구성하고, 로딩시에 리턴가이드(52a), (52b)와 경사가이드(53a), (53b)에 의해 자기테이프를 로딩하도록 한다. (57a) 및 (57b)(제9도)는 각각 카세트장착 도는 동작위치측으로부터 대칭으로 회전자기헤드장치(48) 양측에 걸쳐 기판(14)에 형성한 가이드 홈이며, 이 가이드홈(57a), (57b)에 핀(55a), (55b)이 삽통되고, 후술하는 로딩링의 회전에 따라 이 핀(55a), (55b)이 가이드홈(57a), (57b)에 따라 로딩블록(50a), (50b)이 제6도에 실선으로 표시한 언로딩위치 및 제6도에 일점쇄선으로 표시한 로딩위치 사이를 이동한다.
(58a) 및 (58b)는 각각 위치규제용의 대략 V자형의 V자홈(59a) 및 (59b)을 가지고 가이드홈(57a) 및 (57b)의 회전자기헤드장치(48) 즉 단부상에 설치한 위치규제블록이며, 로딩시 위치규제블록(58a), (58b)의 V자홈(59a), (59b)에 리턴가이드(52a), (52b)가 접촉하여 로딩블록(50a), (50b)의 로딩위치의 위치결정이 이루어진다.
한편 제2도에 있어서, (60)은 기판(14)의 하면부측의 소정 위치에 장착한 제2의 구동모터인 로딩모터를 나타내며, 이 로딩모터(60)의 축에 모터폴리(60a)를 설치하고 이 모터폴리(60a)를 벨트(61)를 통해 동일축상에 윔(62a)이 고정된 폴리(62b)에 연결하고, 윔(62a)은 기판(14)에 회전가능하도록 축지지된 윔휠(63)과 맞물린다. 또한, 이 윔휠(63)과 동일축상에 2개의 기어(64a) 및 (64b)을 설치하고, 한쪽 기어(64a)를 주위에 랙이 설치된 제1의 로딩링(65a)에 맞물리고 다른쪽 기어(64a)를 아이들기어(66)를 통해 주위에 랙이 설치된 제2의 로딩링(65b)에 맞물린다. 이 제1 및 제2의 로딩링(65a) 및 (65b)은 회전자기헤드장치(48)에 대해 대략 동심원형상으로 기판(14)의 하면부측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한 것이며, 이 제1 및 제2의 유도핀(66a) 및 (66b)을 로딩블록(50a) 및 (50b)의 링크(56a) 및 (56b)의 장공(54a) 및 (54b)에 끼워 맞춘다. 로딩모터(60)가 제1의 방향으로 회전 즉 정회전하면 로딩블록(50a), (50b)은 제1 및 제2의 4딩링(65a), (65b)에 의해 로딩위치로 이동하고, 모터(60)가 역회전하면 링(65a), (65b)이 회전하여 블록(50a), (50b)을 언로딩위치로 리턴시킨다.
(67)은 테이프로딩기구의 상태 및 치를 검출하는 검출장치(제2도)로서 한쪽 예를들면 제1의 로딩링(65a)의 랙에 맞물린 로타리엔코더를 표시하며, 이 로타리엔코더(67)는 예를들면 일측 외주부의 둘레회전방향으로 교대로 흑과 백의 패턴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고, 로딩링크(65a), (65b)의 회동에 따라 이동하는 패턴의 방향 및 수를 발광다이오드와 포토트랜지스터와의 조합에 의한 포토커플러(도시하지 않음) 등에 의해 판독함으로써 자기기록재생장치의 모드, 즉 로딩블록(50a), (50b)이 로딩위치에 있는가 또는 언로딩위치에 있는가 하는 것이 검출된다.
구동모터(8)가 정회전하여 홀더(4)가 그 동작위치, 즉 카세트장착위치체 있는 상태에서 이동부(2)를 오픈 위치로부터 클로즈위치로 이동시킬 때, 이 구동코터(8)의 정회전과 동시에 로딩모터(60)를 정회전시켜서, 이동부(2)가 클로즈위치로 이동할 때까지 로딩블록(50a), (50b)이 로딩위치에 위치하도록 하고, 로타리엔코더(67)로 로딩불록(50a), (50b)이 로딩위치에 위치한 것을 검출했을때에 로딩모터(60)가 비동작상태가 되도록 한다. 또한, 로딩모터(60)는 포토코플러에 의해 구동모터(8)의 정회전 또는 이에 대응하는 이동부(2)의 이동을 검출한 것에 정회전하는 것을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로딩모터(60)가 역회전하면 제1 및 제2의 로딩링(65a), (65b)을 통해 로딩블록(50a), (50b)을 언로딩위치로 이동하도록 하고, 구동모터(8)가 역회전하여 이동부(2)를 클로주위치로부터 오픈위치로 이동시킬 때, 이 구동모터(8)의 역회전과 동시에 로딩모터(60)를 역회전시켜서, 해제레버(42a), (42b)의 제2의 단부(46a), (46b)가 하우징(1)의 돌출편(1c)에 접촉하는 위치로 이동부(2)가 이동할 때까지 로딩블록(50a), (50b)이 언로딩위치에 위치하도록 하고, 로타리엔코더(67)에서 로딩블록(50a), (50b)이 언로딩위치에 위치한 것을 검출했을 때, 로딩모터(60)가 비동작상태가 되도록 한다. 또한, 로딩모터(60)는 포토커플러에 의해 구동모터(8)의 역회전 또는 이에 대응하는 이동부(2)의 이동을 검출함으로써 역회전하는 것을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로딩모터(60)는 자기기록재생장치의 오픈/클로즈버튼(3)의 동작에 따라 정회전, 역회전 및 비동작상태가 되도록 한다.
또한, (68)은 캡스턴(capstan), (69)는 로딩 또는 언로딩에 따라 켑스턴(68)에 압착 또는 이간하도록 이루어진 핀치롤러, (70a) 및 (70b)는 카세트장착 또는 동작위치에 대응하여 설치한 1쌍의 릴축, (71a), (71b) 및 (72a), (72b)는 각각 카세트장착 또는 동작위치에 장착되는 테이프카세트(5)의 위치 및 높이를 규제하는 위치결정핀 및 높이규제 핀이다. 또한, 자기헤드장치부 등에 대한 신호처리계통 및 자기헤드기록장치의 기타부분은 종래와 같이 구성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러진 자기기록재생장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 외측의 오픈위치에 위치하는 이동부(2)의 카세트 삽입위치에 있는 카세트홀더(4)에 테이프카세트(5)를 삽입하고, 코일스프링(20) 및 (26a), (26b)의 편의력에 항거하여 카세트홀더(4)를 밀어 내리면, 승강암(17a), (17b)이 회전되어 덮개계지핀(28)에 의해 개폐덮개(5')가 개방되고, 테이프카세트(5)가 카세트장착위치에 장착된다. 이 경우, 승강암(17a), (17b)의 로크핀(27a), (27b)이 로크레버(30a), (30b)의 로크클릭(31a), (31b)에 계지됨으로써 승강암(17a), (17b)이 카세트홀더(4)를 카세트장착 또는 동작위치에 유지하도록 로크되는 동시에, 장착검출조작핀(21)에 의해 카세트장착 완료검출스위치(23)가 조작되고, 이 카세트장착 완료검출스위치(23)에 의해 카세트장착완료가 검출된다.
덮개(5')가 개방되었을 때 카세트(5)가 그 동작위치로 되어 카세트하우징의 개구에서 테이프가 이동하는 것이 노출되면, 리턴가이드(52a), (52b) 및 경사가이드(53a), (53b)가 테이프이동의 내측에서 카세트하우징내로 상향으로 돌출된다.
클로즈동작이 오픈/클로즈버튼(3)에 의해 선택되면, 구동모터(8)가 정회전하고, 이 구동모터(8)의 회전력이 모터폴리(8a)-벨트(10)-폴리(11b)-기어(11a)-기어(
9c)를 통해 피니언(9a), (9b)에 전달되고, 이동부(2)가 랙(6a), (6b)에 따라서 하우징(1)내의 클로즈위치로 이동된다. 또한, 이 때 로딩모터(60)가 정회전하고, 이 로딩모터(60)의 회전력이 모터폴리(60a)-벨트(62)-폴리(62b)-윔(62a)-윔휠(63)-기어(64a), (64b) 및 아이들기어(66)를 통해서 제1 및 제2의 로딩링(65a) 및 (65b)에 전달되고, 이 제1 및 제2의 로딩링(65a) 및 (65b)이 소로 역방향으로 회전되고, 이 회전하는 제1 및 제2의 로딩링(65a), (65b)에 의해 로딩블록(50a), (50b)이 가이드홈(57a), (57b)에 따라 언로딩위치에서 로딩위치로 이동되고, 자기테이프가 자기헤드장치부에 대해 로딩된다. 즉, 자기헤드장치부의 드럼(48a), (48b) 주위에 테이프를 감는다. 이와 같이하여 이동부(2)의 클로즈 동작 종료전에 로딩이 완료되면, 이 로딩완료가 로타리엔코더(67)에 의해 검출되고, 로딩모터(60)가 비동작상태로 된다. 그 후,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부(2)의 클로즈동작이 완료되면, 이 클로즈동작의 완료가 피니언(9b)과 클로즈위치검출스위치(12b)에 의해 검출되며, 구동모터(8)가 비동작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자기기록재생장치는 기록 또는 재생이 곧 가능한 스톱모드로 설정된다. 따라서, 카세트(5)의 삽입으로부터 기록 또는 재생상태로 이행시키는데 클로즈동작에 필요한 비교적 짧은 시간으로 할 수 있다.
다음에,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테이프카세트(5)를 하우징(1)으로부터 이젝트할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스톱모드이며 또한 오픈/클로버튼(3)에 의해 오픈동작이 선택되면, 구동모터(8) 및 로딩모터(60)가 각각 역회전되고, 이 구동모터(8) 및 로딩모터(60)의 역회전에 의해 전술과는 역으로 이동부(2)가 오픈위치로 이동되는 동시에 로딩블록(50a), (50b)이 언로딩위치로 이동된다(제2도). 또한, 테이프의 언로딩 동작시릴축(70a), (70b)중 하나 또는 양쪽 모두가 회전하여 자기테이프가 테이프카세트(5)내에 완전히 수납된다. 그리고, 해제레버(42a), (42b)의 제1의 단부(46a), (46b)가 하우징(1)의 돌출편(1c)에 접촉하는 위치에서 이동부(2)가 이동하기 전에 언로딩 동작이 완료되면, 이 테이프언로딩동작의 완료가 로타리엔코더(67)에 의해 검출되어, 로딩모터(60)가 비동작상태로 된다. 그리고, 제4도 및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제레버(42a), (42b)의 제1의 단부(46a), (46b)가 하우징(1)의 돌출편(1c)에 접촉하는 위치를 통과하도록 이동부(2)가 이동하면, 로크핀(27a), (27b)에 대한 로크기구가 해제된다. 즉, 돌출핀(1c)에 의해 토션스프링(45a), (45b)의 편의력에 항거하여 해제레버(42a), (42b)가 회전되고, 이 해제레버(42a), (42b)의 제2의 단부(47a), (47b)에 의해 전달레버(38a), (38b)-와이어(40a), (40b)-조작레버(36a), (36b)를 통해 로크레버(30a), (30b)가 회전되고, 로크클릭(31a), (31b)에 의한 로크핀(27a), (27b)의 계지가 해제되고, 코일스프링(26a), (26b)의 편의력에 의해 카세트홀더94)를 카세트삽입위치에 유지하도록 승강암(17a), (17b)이 회전하는 동시에 카세트홀더(4)가 코일스프링(20)의 편의력에 의해 소정의 카세트삽입위치에 위치하도록 된다. 그 후,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부(2)가 오픈위치까지 이동하여 오픈동작을 완료하면, 이 오픈동작의 완료가 피니언(9b)가 오픈위치검출스위치(12a)에 의해 검출되고, 구동모터(8)가 비동작상태로 된다.
제11도에 본원 발명의 자기기록재생장치의 요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제11도에 있어서, 제1도 내지 제10도와 대응하는 부분에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예에 있어서는, 이동 및 로딩의 구동원으로서 하나의 겸용 모터(73)를 기판(14)의 하면부측의 소정 위치에 설치하여 하우징(1)에 대하여 이동부(2)를 이동시키며, 테이프를 로딩 및 언로딩동작하도록 하고, 이 겸용 모터(73)의 축에 2개의 모터폴리(8a) 및 (60a)을 설치하고, 이하 제1의 실시예와 같이 구성한다. 오픈/클로즈버튼(3)에 의해 클로즈동작이 선택되고, 또한 카세트장착 완료검출스위치(23)에 의해 카세트장착 완료가 검출되었을 때, 이 겸용 모터(73)를 정회전시킴으로써, 이동부(2)를 클로즈위치에 이동시키는 동시에 테이프로딩기구(50a), (50b)~(70a), (70b)가 자기테이프를 로딩하도록 하고, 오픈/클로즈버튼(3)에 의해 오픈동작이 선택되고, 또한 로타리엔코더(67)에 의해 스톱모드가 선택되어 있는 것을 검출했을 때, 이 겸용 모터(73)를 역회전시킴으로써 이동부(2)를 오픈위치로 이동시키는 동시에 테이프로딩기구(50a), (50b)~(70a), (70b)가 자기테이프를 언로딩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 제1도 내지 제10도에 나타낸 실시예와 같은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로크레버(30a), (30b)의 로크클릭(31a), (31b)에 의한 로크핀(27a), (27b)의 계지해제를 돌출편(1c)과 해제레버(42a), (42b) 등의 기구에 의해 기계적으로 행하도록 한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이동부(2)의 위치를 검출하여 로브레버(30a), (30b)를 작동시키는 솔레노이드(도시생략)의 동작을 적절히 제어하는 검출장치에 의해 전기적으로 행하도록 해도 된다.
본원 발명에 위한 장치에 있어서, 이동부(2)는 하우징(1)에 대하여 내외로 수평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하우징내에 테이프카세트를 수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즉, 카세트홀더(4)의 수직 이동은 하우징(1)에서 이동부(2)를 전방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그 결과 본원 장치는 높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 본원 발명에 의한 장치는 다른 장치나 구성품을 적층할 수 있다. 즉, 하우징(1)의 상부패널에는 상부로 돌출된 것이 없으므로 다른 장치를 하우징(1)의 상부패널상에 장착할 수 있다.
카세트홀더(4)를 이동부(2)에 설치하여, 카세트삽입 및 이젝트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하고, 동작위치 및 테이프카세트의 덮개는 카세트홀더의 동작과 관련하여 개폐될 수 있으므로, 본원 발명에 의한 자기기록 재생장치는 덮개가 부착된 테이프카세트로 조작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이동부(2)는 테이프로딩기구를 갖추고 있으므로, 본원 발명에 의한 자기기록재생장치는 기록재생동작을 위해 카세트하우징에서 테이프를 인출하는 방식의 테이프카세트로 조작할 수 있다.
또, 테이프로딩기구는 이동부의 슬라이드동작과 관련하여 동작하기 때문에, 테이프를 카세트홀더내로 삽입하고, 자기테이프가 로딩되어 본 장치가 기록 또는 재생모드로 되는 일련의 동작이 비교적 짧은 시간에 이루어진다.
끝으로, 카세트홀더(4)는 이동부(2)가 그 오픈위치로 이동하는 동작과 관련하여 이젝트위치로 자동적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테이프카세트는 이젝트버튼의 조작 또는 별도의 조작없이 이동할 수 있으며, 따라서 이젝트버튼은 필요없다.
전술한 바와 같이 첨부도면에 따라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원 발명의 범위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정의된 바와 같은 본원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은 여러 가지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Claims (9)

  1. 테이프카세트에 수납된 자기테이프에 신호를 기록 또는 재생하기 위한 자기기룩재생장치에 있어서, 개구부(1b)가 형송된 전면패널을 가진 하우징(1)과,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에서 전방으로 돌출하는 오픈위치와 상기 하우징내에 수납되는 클로즈위치와의 사이에서 대략 수평으로 이동가능한 지지부로 구성된 이동부(2)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동부(2)는, 테이프카세트(5)를 수납하고, 카세트가 개구부를 통하여 이동할 수 있는 하강된 동작위치와 상기 카세트를 하우징에서 이젝트하여 상기 장치로부터 인출할 수 있는 상승된 이젝트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부에 대하여 수납한 카세트를 이동시키기 위한 카세트장착기구와, 상기 이동부와 함께 이동하도록 상기 지지부에 장착되어 상기 동작위치에 있는 테이프카세트에 신호를 기록 또는 재생하는 자기헤드장치부를 구비하고, 상기 카세트장착기구는 상기 이동부가 상기 클로즈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카세트를 상기 동작위치로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재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장착기구는 상기 카세트를 수납하기 위한 카세트홀더(4)로 구성되고, 또한 상기 카세트장착기구는 상기 이동부에 대하여 상기 동작위치와 이젝트위치와의 사이에서 상기 카세트홀더(4)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재생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카세트(5)는 상기 자기테이프를 상기 자기헤드장치부에 로딩되도록 수납할 수 있는 개구와, 카세트를 사용하지 않을 때 상기 개구를 폐쇄하는 덮개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자기기록재생장치는 상기 카세트홀더의 동작에 대응하여 상기 덮개를 개폐하기 위한 덮개 개폐기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재생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로즈위치에서 상기 오픈위치로의 상기 이동부의 동작에 대응하여 상기 동작 위치에서 상기 이젝트위치로 상기 카세트홀더를 이동시키는 자동이젝트기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재생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이젝트기구는 상기 카세트홀더를 상기 이젝트위치로 편의시키기 위한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편의력에 대항하여 상기 카세트홀더를 상기 동작위치에 로크시키기 위한 로크기구와, 상기 클로즈위치에서 상기 오픈위치로의 상기 이동부의 동작에 의하여 상기 로크기구를 해제하기 위한 로크해제기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재생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동작위치에 있는 상기 테이프카세트로부터 상기 자기헤드장치부로 상기 자기테이프를 로딩하고, 상기 자기헤드장치로부터 상기 테이프카세트로 상기 자기테이프를 언로딩시키기 위한 테이프로딩기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재생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제1의 기간동안 상기 오픈위치에서 상기 클로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테이프로딩기구는 상기 제1의 기간동안 자기테이프를 완전히 로딩시키고, 상기 이동부는 제2의 기간동안 상기 클로즈위치에서 상기 오픈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테이프로딩기구는 상기 제2의 기간동안 자기테이프를 완전히 언로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재생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를 구동시키는 제1의 구동모터와, 상기 테이프로딩기구를 구동시키는 제2의 구동모터와, 상기 제1의 구동모터를 구동시키는 조작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의 구동모터는 상기 제1의 구동모터와, 상기 이동부와, 상기 조작스위치중 최소한 하나의 동작을 선택함에 따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재생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로딩기구의 상태 및 위치를 검출하는 검출장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의 구동모터의 동작은 상기 검출상태 및 위치에 의하여 개시되거나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재생장치.
KR1019840005848A 1983-09-24 1984-09-24 기록재생장치 KR9200027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3-146688 1983-09-24
JP83-146688 1983-09-24
JP83-146690 1983-09-24
JP14668883U JPS6056949U (ja) 1983-09-24 1983-09-24 記録再生装置
JP14669083U JPS6056945U (ja) 1983-09-24 1983-09-24 記録再生装置
JP59170926A JPS6150242A (ja) 1984-08-16 1984-08-16 磁気記録再生装置
JP84-170926 1984-08-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2539A KR850002539A (ko) 1985-05-13
KR920002759B1 true KR920002759B1 (ko) 1992-04-02

Family

ID=27319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5848A KR920002759B1 (ko) 1983-09-24 1984-09-24 기록재생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KR (1) KR920002759B1 (ko)
AT (1) AT393176B (ko)
CH (1) CH666571A5 (ko)
DE (1) DE3435006A1 (ko)
FR (1) FR2552577B1 (ko)
GB (1) GB2149187B (ko)
NL (1) NL8402913A (ko)
SE (1) SE45447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579B2 (ja) * 1984-05-30 1995-01-11 ソニー株式会社 磁気記録再生装置
JPS6185661A (ja) * 1984-09-29 1986-05-01 Sony Corp テ−プレコ−ダ−
DE3511848A1 (de) * 1985-03-30 1986-10-09 Grundig E.M.V. Elektro-Mechanische Versuchsanstalt Max Grundig holländ. Stiftung & Co KG, 8510 Fürth Vorrichtung zur fuehrung eines magnetbandes in einem video-magnetbandgeraet
DE3519020A1 (de) * 1985-05-25 1986-11-27 Grundig E.M.V. Elektro-Mechanische Versuchsanstalt Max Grundig holländ. Stiftung & Co KG, 8510 Fürth Vorrichtung zum antrieb eines kassetteneinzugsmechanismus und eines bandfaedelmechanismus in einem videorecorder mit magnetbandkassette
EP0203784B1 (en) * 1985-05-27 1991-05-29 Sony Corporation Apparatus for loading a record medium cassette
JPH0792958B2 (ja) * 1985-05-27 1995-10-09 ソニー株式会社 カセツト式記録再生装置
JPS61283060A (ja) * 1985-06-07 1986-12-13 Sony Corp カセツトロ−デイング装置
JP2586467B2 (ja) * 1987-01-21 1997-02-26 ソニー株式会社 カセツト装着装置
JP2531171B2 (ja) * 1987-03-26 1996-09-04 ソニー株式会社 磁気記録再生装置
KR910010165B1 (ko) * 1987-05-13 1991-12-17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자기기록 재생장치
GB2219427B (en) * 1988-05-04 1992-11-18 M4 Data Ltd Electric motors
JP2850347B2 (ja) * 1989-02-10 1999-01-27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US5327306A (en) * 1990-03-30 1994-07-05 Sony Corporation Compact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having movable reels and reel spindles
DE4119304A1 (de) * 1991-06-12 1992-12-17 Erkelenz Thomas Vorrichtung zum betrachten einer auf einem informationstraeger befindlichen strassennetzes
DE4319863C2 (de) * 1992-06-17 2001-03-29 Gold Star Co Bandlaufsystem für magnetische Aufzeichnungs- und Wiedergabegeräte
GB0114211D0 (en) * 2001-06-12 2001-08-01 Epoint Ltd Drawer support mechanism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225438A (ko) * 1957-03-05
US3661344A (en) * 1969-05-24 1972-05-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JPS5087010A (ko) * 1973-11-30 1975-07-12
BE822012A (fr) * 1974-11-08 1975-05-09 Enregistreur en forme de boitier/tiroir
US4071859A (en) * 1975-08-19 1978-01-31 Sanyo Electric Co., Ltd. Tape cartridge positioning and ejection device
GB1578397A (en) * 1976-07-02 1980-11-05 Nihon Technical Kk Cassette tape player
US4202021A (en) * 1977-06-30 1980-05-06 Pioneer Electronic Corporation Front-loaded cassette tape deck
DE2822584A1 (de) * 1978-05-24 1979-11-29 Braun Ag Tonband-kassettengeraet mit frontseitiger bedienung
JPS6037725Y2 (ja) * 1978-12-28 1985-11-11 クラリオン株式会社 テ−ププレヤ用オ−トロ−デイング装置
JPS5680844A (en) * 1979-12-07 1981-07-02 Shinshirasuna Denki Kk Cassette holder for tape recorder
JPS5694540A (en) * 1979-12-27 1981-07-31 Tanashin Denki Co Cassette type tape recorder
GB2067002B (en) * 1979-12-29 1984-12-05 Pioneer Electronic Corp Player for magnetic tape cassette recordings
JPS57135467A (en) * 1981-02-14 1982-08-21 Sony Corp Cassette loading device
JPS57212649A (en) * 1981-06-24 1982-12-27 Hitachi Ltd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KR910007199B1 (ko) * 1982-03-10 1991-09-19 히다찌 마꾸세루 가부시기 가이샤 기록테이프용 카아트리지
JPS5948861A (ja) * 1982-09-14 1984-03-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テ−プレコ−ダ
JPS5952451A (ja) * 1982-09-17 1984-03-27 Sanyo Electric Co Ltd カセツトロ−デイング駆動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2539A (ko) 1985-05-13
SE8404758L (sv) 1985-03-25
AT393176B (de) 1991-08-26
GB8424092D0 (en) 1984-10-31
GB2149187A (en) 1985-06-05
FR2552577A1 (fr) 1985-03-29
DE3435006A1 (de) 1985-04-25
DE3435006C2 (ko) 1993-04-15
CH666571A5 (de) 1988-07-29
ATA302784A (de) 1991-01-15
GB2149187B (en) 1986-12-03
SE8404758D0 (sv) 1984-09-24
NL8402913A (nl) 1985-04-16
FR2552577B1 (fr) 1987-08-07
SE454474B (sv) 1988-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2759B1 (ko) 기록재생장치
US4641210A (en)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US5301176A (en) Apparatus for carrying out recording and/or reproducing signals for disk-shaped recording medium
GB2066996A (en) Tape cassette loading device in a magnetic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US3764757A (en) Magnetic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tape guide and pick-up system for use with a tape cartridge
EP0317370B1 (en) Cassette loading apparatus for digital audio tape recorder
US4408237A (en) Magnetic record/playback apparatus
GB2263809A (en) A dual chassis video tape deck.
US6388974B1 (en) Recording medium driving apparatus
US5706147A (en) Cassette loading device for tape recorder
CA1150405A (en) Cassette changer apparatus
JPH0644371B2 (ja) 記録又は再生装置
CA2009320C (en) Cassette loading mechanism of a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EP0498304B1 (en) Apparatus for handling a plurality of cassettes
US4996612A (en) Cassette loading apparatus having optimum error protection device
JPH11296954A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US5568339A (en) Recording and/or reproducing device operable with a plurality of different size cassettes
EP0376287B1 (en) Cassette loading apparatus with single switch control
KR950003984B1 (ko) 복수 카세트 탑재 기기의 카세트 정보 검출 장치
KR860000920B1 (ko) 기록 디스크 재생장치에 있어서의 아암 이송장치
JPH0371465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S6150242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7334903A (ja) ディスクプレーヤ
JP2596147B2 (ja) カセット装着装置
JPH07502362A (ja) カセット装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09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