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7199B1 - 기록테이프용 카아트리지 - Google Patents

기록테이프용 카아트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7199B1
KR910007199B1 KR1019830000923A KR830000923A KR910007199B1 KR 910007199 B1 KR910007199 B1 KR 910007199B1 KR 1019830000923 A KR1019830000923 A KR 1019830000923A KR 830000923 A KR830000923 A KR 830000923A KR 910007199 B1 KR910007199 B1 KR 9100071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b
tape
drive shaft
cartridg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0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4287A (ko
Inventor
겐지 오기로
신이찌 고도오
Original Assignee
히다찌 마꾸세루 가부시기 가이샤
나가이 아쓰시
가부시기 가이샤 히다찌 세이사꾸쇼
미다 가쓰시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426382U external-priority patent/JPS58141486U/ja
Priority claimed from JP8368882U external-priority patent/JPS58187082U/ja
Priority claimed from JP2643583U external-priority patent/JPS58165793U/ja
Application filed by 히다찌 마꾸세루 가부시기 가이샤, 나가이 아쓰시, 가부시기 가이샤 히다찌 세이사꾸쇼, 미다 가쓰시게 filed Critical 히다찌 마꾸세루 가부시기 가이샤
Publication of KR8400042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42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7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71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4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4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 G11B23/08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for housing webs or filaments having two distinct ends
    • G11B23/087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for housing webs or filaments having two distinct ends using two different reels or cores
    • G11B23/08707Details
    • G11B23/08735Cov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4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 G11B23/08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for housing webs or filaments having two distinct ends

Landscapes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기록테이프용 카아트리지
도면은 본 발명에 관한 테이프 카아트리지를 나타내고 있으며, 제1도는 전체의 외관 사시도.
제2도는 일부를 잘라낸 종단면도.
제3도는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
제4도는 제3도에 있어서의 A-A선 단면도.
제5도는 앞뚜껑의 클로우즈 록(close lock) 수단을 보여주는 부분 확대 평면도.
제6도는 제5도에 있어서의 B-B선 단면도.
제7도는 앞뚜껑 전면판의 하단에 형성한 노치와 본체 키이스의 저벽 앞면에 마련한 들편과의 관계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
제8도는 테이프리일의 일부 종단면 사시도.
제9도는 테이프리일의 종단면도.
제10도는 테이프리일의 저면도.
제11도, 제12도, 제13도는 테이프리일의 허브 구멍에 대하여 규격이 다른 구동축을 끼워 넣어 맞물린 상태를 각기 나타낸 종단면도.
본 발명은 본체 케이스의 앞면에 기록테이프 보호용의 앞뚜껑을 지닌 기록테이프용 카아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이런 종류의 기록테이프용 카아트리지에 있어서는 앞뚜껑 전면에 하단부에 노치를 마련하여 두고, 자기기록장치에 정전하였을 때 자기기록장치쪽의 위치결정 규제부재가 그 노치를 개재하여 노출하는 본체 케이스의 일부가 위치결정 규제부재와 접촉하게 되는 것이며, 이것으로 기록테이프용 카아트리지의 삽입 깊이를 규제하고 있다.
이것으로 문제가 되는 것은 기록테이프용 카아트리지를 자기기록장치에 빈번히 장치와 이탈함에 따라서 상기한 노치에 노출하는 본체 케이스의 일부가 위치결정 규제부재와의 접촉으로 상처가 나기 쉽고, 이 상처가 눈에 띄어서 보기 좋지 않고, 그뿐 아니라 먼지 때가 그 노치로부터 앞뚜껑의 안쪽으로 침입하여 테이프에 부착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그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이며, 다음에 그 상세한 것을 도면에 나타낸 비데오테이프 카아트리지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제1도-제3도에서 (1)은 본체 케이스이다. 본체 케이스(1)는 플라스틱제의 상하 케이스(1a),(1b)를 조합항 나사(도해없음)로 결합하여 형성하였다.
본체 케이스(1)의 내부 좌우에 비데오 신호 기록용의 자기테이프(2)를 감을 수 있는 테이프리일(3),(3)을 지니고 있다. 테이프리일(3),(3)은 본체 케이스(1)의 저면(4)을 관통한 좌우의 각 구동축 삽입구멍(5)에 대향하는 위치에 있어서 본체 케이스(1)의 상면(6)의 내면에 고정한 판스프링(7)에 따라 회전중심이 밀어내리는 방향으로 힘을 부여하고 있으며, 본체 케이스(1)를 비데오테이프레코오더에 장전하였을 때 비데오테이프 레코오더 쪽의 구동축이 각 삽입구멍(5)을 통과하여 각 테이프리일(3)의 허브 구멍(8)에 끼워져 맞물린다. 본체 케이스(1)의 앞쪽 좌우에 테이프가이드부재(9),(9)를 설치하였으며, 이들 가이드부재(9),(9)를 통하여 자기테이프(2)가, 한편의 테이프리일(3)로부터 케이스 앞면에 도출(導出)되어서 다른 편의 테이프리일(3)에 감겨진다.
본체 케이스(1)에는 케이스 전면을 덮는 테이프 보호용의 앞뚜껑(10)을 개폐조작할 수 있도록 고착되어 있다. 이 앞뚜껑(10)은 본체 케이스(1)의 앞면을 좌우 길이방향으로 전체길이에 걸쳐 덮는 전면판(11)과, 이 전면판(11)의 좌우양단에서 후방으로 돌출한 연결편(12a),(12b)과, 양연결판(12a),(12b)의 내면에 서로 대향하도록 돌설한 중심축(13a),(13b)을 지닌 플라스틱 성형품이다. 좌우의 연결편(12a),(12b)은 본체 케이스(1)의 좌우양측벽(15a),(15b)의 전반부에서 측벽(15a),(15b)보다 내측이 되도록 단형상으로 형성한 측벽(15c),(15d)에 끼워 넣어졌으며, 또한 중심측(13a),(13b)는 측벽(15c),(15d)에 관통하여 형성한 구멍(16)에서 회동할 수 있도록 끼워 넣는다.
상기한 구성으로 앞뚜껑(10)은 중심축(13a),(13b)을 받침점으로 본체 케이스(1)의 전면을 닫는 자세(姿勢)와 위쪽으로 열린 자세의 사이에서 회동될 수 있다.
또, 나중에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앞뚜껑(10)은 나선형스프링(17)(제5도)에 따라 닫는 자세가 되도록 힘을 주고 있다. 그리고, 비데오테이프 카아트리지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앞뚜껑(10)은 닫혀져 있어서 자기테이프(2)의 앞면바깥쪽을 카버하여 보호하며, 한편 비데오테이프 카아트리지를 비데오테이프레코오더에 장전하면, 앞뚜껑(10)을 열어서 본체 케이스(1)의 앞면에 밀어젖히고, 요형(凹形)으로 형성한 포켓(19)에 비데오테이프레코오더쪽의 테이프 로오딩핀(loading pin)(도시없음)을 삽입하여서 자기테이프(2)을 케이스 전방으로 끌어낸다.
본체 케이스(1)의 좌측벽(15d) 앞쪽의 측벽(15d)과 앞뚜껑(10)의 좌측편(12a)의 사이의 간극(20)에 비데오테이프 카아트리지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 앞뚜껑(10)을 닫는 자세로 크로우즈록 하는 수단을 맞붙이고 있다.
제5도 및 제6도는 이 클로우즈록 수단을 예를 들고 있으며 케이스 좌측벽(15a)의 측벽(15d)은 평면적으로 보면 전방으로 감에 따라서 케이스(1)의 안쪽으로 경사지게 하고 상기한 간극(20)을 깊은 안쪽이 좁고 앞쪽이 넓어지는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으며, 이 간극(20) 내에 록부재(locking member)(21)를 배치하고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록부재(21)의 전후 중앙부에 가로방향축(22)을 돌설하였으며, 이 축(22)이 측벽(15d)으로 관통한 베어링 구멍(23)에 이탈 방지한 상태로서, 또한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되었으며, 상기 축(22)을 받침점으로 록부재(21)의 선단 맞물림부(24)가 상하로 요동한다. 앞뚜껑(10)의 전면판(11)의 안쪽에는 좌단 가까이의 전기한 간극(20)으로 향하는 위치에 L자형의 맞물림편(26)이 하향(下向)돌설되어 있으며, 상기한 스프링(17)의 일단의 록부재(21)의 후단부에 쪽으로 접촉하여 록부재(21)를 그 선단 맞물림(24)가 맞물림(26)에 아래쪽으로부터 물림도록 압하하는 임을 부여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비데오테이프 카아트리지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닫는 자세로 있는 앞뚜껑(10)의 맞물림편(26)에 록부재(21)의 선단 맞물림부(24)가 항상 맞물려서 앞뚜껑(10)을 중심축(13)의 둘레에 여는 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을 지지한다. 테이프 카아트리지를 비데오테이프레코오더에 정상의 자세로 밀어 넣어서 장전하였을 때는 잘못된 장전 방지용을 겸한 비데오테이프레코오더 쪽의 록해제부재(27)가 전방으로부터 상대적으로 안내되어서, 전면판(11)의 하단에서 잘라내어 형성한 개구부(29)를 개재하여 상기한 간극(20) 내에 넣어서 록부재(21)의 후단부에 아래방향으로 돌출(突出)한 압압부(30)를 민다. 이것으로 록부재(21)의 선단 맞물림부(24)가 스프링(17)에 저항하여 아래방향으로 움직여져서 맞물림편(26)으로부터 이탈하고 앞뚜껑(10)의 클로오즈록 상태가 해재된다. 상기한 간극(20)은 전방이 넓고 후방으로 감에 따라서 점차 좁게 되어 있으므로 테이프 카아트리지가 비데오테이프레코오더에 좌우 위치가 엇갈린 상태에서 장전되어 있어도 록해제부재(27)는 상기한 간극(20)에 원활히 안내되어서 록부재(21)의 압압부(30)에 바르게 접촉하여 작용한다.
또, 비데오테이프 카아트리지를 전후 반대방향, 또는 상하 반대방향의 잘못된 자세로 비데오테이프레코오더에 밀어넣어 장전하였을 때는 록해제부재(27)가 상기한 개구부(27)에 합치하지 않으므로 록해제부재(27)가 다른 부분에 접촉하여 비데오테이프 카아트리지의 잘못된 장전을 방지한다. 케이스 좌측벽(15a)의 측벽(15d)의 내측면(16a)은 평면적으로 볼 때 전방으로 감에 따라서 케이스 안쪽으로 경사지게 하였으므로 우측의 테이프가이드부재(9)의 내면에서 테이프의 이완이 생겨 자기테이프(2)가 케이스의 안쪽으로 전극 끌어넣어 자기테이프(2)가 케이스 앞쪽으로 이완하여 나오는 것을 방지한다.
그런데 앞뚜껑(10)의 전면판(11)의 하단에는 제4도 및 제7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좌단 가까이 및 우단 가까이의 각 부위에 노치(31),(31)를 마련하고, 케이스 저면(4)의 전단모서리면에 들면 (32),(32)을 닫는 자세인 앞뚜껑(10)의 각 노치(31),(31)에 향하도록 돌출 형성한다. 그리고, 각 돌편(32)의 돌출량을 그 선단의 맞닿는면(33)이 전면판(11)의 두꺼운 살의 중간에 위치하도록 설정하고 있다.
그럴 때는 비데오테이프 카아트리지를 앞뚜껑이 닫힌 자세로 비데오테이프레코오더에 밀어넣어 장전하면 비데오테이프레코오더 쪽의 위치결정 규제부재가 앞뚜껑(10)의 상기한 노치(31)에 향하는 돌편(32)의 선단 맞닿는면(33)에 접촉하여 테이프카아트리지의 삽입 깊이를 규제한다. 이때 도시의 예와 같이 돌편(32)을 좌우 양단 가까운 부위에 마련하여 2점으로 위치결정 규제부재가 접촉작용하는 것으로 하면 안정하고도 좋은 삽입 깊이의 규제를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테이프카아트리지에서 비데오테이프레코오더 그 밖의 자기기록장치쪽의 위치결정규제부재가 접촉하는 돌편(32)을 이 선단의 맞닿는면(33)이 앞뚜껑(10)의 노치(31) 안에서 그 전면판(11)의 두꺼운 살의 중간에 위치하도록 돌출 형성하였다. 따라서 돌편(32)의 맞닿는면(33)이 사용하는 중에 자기기록장치쪽의 위치결정 규제부재와의 접촉으로 상처가 나도 이 맞닿는면(33)이 전면판(11)의 전면보다 안쪽에서 있으므로 외부로부터 보기 어렵게 되어 외관상 보기 흉한 것을 잘 방지할 수 있으며 전면판(11)보다도 전방으로 돌출하고 있지 않으므로 다른 물체와의 접촉으로 손상하는 일은 없다.
또 돌편(32)의 맞닿는면(33)이 전면판(32)의 내면 보다도 안쪽에 있으며, 돌편(32)과 노치(31) 사이에 생기는 간극을 개재하여 사용하지 않을 때에 먼지가 전면판(11)의 내부에 침입하여 테이프(2)에 부착할 염려가 있지만 그와 같은 불안도 방지할 수 있는 잇점을 갖는다.
제8도-제10도에는 테이프리일을 상세히 나타낸다. 각, 테이프리일(3)은 허브(108)와 아래쪽 플랜지(110)가 일체가 되도록 플라스틱으로 성형되었으며, 허브(180)의 상단에 별개체로 플라스틱으로 성형한 위쪽 플랜지(109)를 초음파 용착(溶着)하고 있다. 허브(108)의 중앙에 아래쪽을 향하는 개구상의 허브구멍(107)이 형성되었으며, 테이프리일(3)의 하면에는 허브구멍(107)의 외주에 허브 중심축(P)과 같은 중심의 원환상의 리브(114)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 테이프리일은 위에서 설명한 요령으로 카아트리지케이스(1) 내에 장치되어 있다.
허브구멍(107)의 내주면은 그 허브구멍(107)의 하단부를 제외한 부분이 허브 중심축(P)과 같은 중심의 원통상인 벽면(115)으로 형성되었으며, 허브구멍(107)의 하단부가 밀어 넓어진 테이프(taper)면 (116)에 형성되었으며, 허브구멍(107)의 깊은 속에 설치한 수평의 상단면(117)의 중앙부에 나중에 설명하는 구동축의 상단과의 접촉을 피하기 위한 탈출구멍(118)의 요형(凹形)으로 형성되어 있고, 원통형벽면(115)의 상부에 도면에서의 6개의 허브톱니(119)가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 형성되었으며, 각 허브톱니(119)의 돌출 단면(端面(119a))이 허브 중심축(P)가 평행한 수직면에 형성되어 각 허브톱니(119)의 하단면(119b)이 내리막 경사의 안내면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테이퍼면(116)의 테이퍼각(θ)이 110°, 허브톱니(119)의 하단면(119b)의 경사각(θ)이 130°되게 설정되었으며, 상기한 리브(rib)(114)의 하단접지부(114a)에서 상단면(117)에 이르는 구멍깊이를 H, 접지부(114a)에서 테이퍼면(116)의 상단에 이르는 높이를 H1, 허브톱니(119)의 돌출단면(119a)의 상하길이를 H2라고 하였을 때, h1 및 h2가 1/4 이상으로 설정되어 있다.
비데오테이프레코오더의 구동축(120)(제11도)은 리일받이(121)의 중앙부에서 돌출하였으며 구동축(120)에 여러 개의 맞물리돌조(122)가 내장(內裝)한 스프링(123)으로 밀어올리는 힘을 부여한 상태에서 부설되어 있으며, 리일받이(121)로 전기한 리브(114)를 개재하여 테이프리일(3) 전체를 위쪽으로 들어올려서 받아 멈추어 지지함과 동시에 구동축(120)과 맞물리돌조(122)의 허브구멍(107)에 대한 감입하는 깊이를 규제하고 맞물리돌조(122)가 허브톱니(120)의 의형치수나 돌출높이, 그뿐 아니라 맞물리돌조(122)의 지지구조나 그 높이 등이 상이하다. 제11도에 나타낸 구동축(120)은 외경의 치수가 가장 작으면서도 높게 돌출한 것이며, 허브톱니(119)의 돌출단면(119a)에 접촉하여 허브중심축(P)을 구동축(120)의 중심축에 일치시키는 형태의 것이다. 이럴 때는 작은 직경의 구동축(120)은 허브구멍(107)의 테이퍼면(116)이나 수직벽면(115)에 접촉 간섭하는 일이 없이 허브구멍(107)에 끼웠으며, 허브톱니(119)의 경사진 하단면(119b)에 안내되어서 허브톱니(119)의 돌출단면(119a) 사이에 원활하게 끼워넣는다.
그리고 구동축(120)이 허브구멍(107)에 완전히 삽입한 상태에서 구동축(120)의 외주에 아래쪽에 위치하는 맞물리돌조(122)가 허브톱니(119)의 사이에 뚫고 들어가서 맞물린다.
제12도에 나타낸 구동축(120)은 그 외주면이 아래로 경사진 테이퍼면에 형성되었으며, 그 외주테이퍼면이 허브구멍(107)의 하단테이퍼면(106)에 안내되어서 그 테이퍼면(106)에 있는 그대로 접촉작용 한다. 그리고 구동축(120)이 허브구멍(107)에 완전히 삽입한 상태에서 구동축(120)의 상단은 허브톱니(119)의 아래쪽에 위치하여 이에 접촉 간섭하지 않고 구동축(120)의 새로이 위쪽에 지지한 맞물림동조(122)만이 허브톱니(119)에 상술한 요령으로 맞물리게 한다.
제13도에서 나타낸 구동축(120)은 외주면의 상단부가 수직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이것으로는 외주면의 상단부가 허브구멍(107)쪽의 테이프면(116)에 안내되어서 상기한 수주면(115), 더욱 상세히 말하자면 테이퍼면(116)과 각 허브톱니(119)의 하단면(119b)의 경사진 내리막 단부 사이의 수직벽면(115a)에 접촉 작용한다. 이 경우에도 구동축(120)의 상단은 허브톱니(119)의 아래쪽에 위치하여 이에 접촉 간섭함이 없이, 이 구동축(120)의 위쪽에 지지한 맞물리돌조(122)가 허브구멍(107)에 마찬가지로 맞물리게 한다.
도시예에서는 이상과 같이 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테이프리일(3)은 상하 플랜지(109),(110)를 갖는 것이 필수인 것은 아니다.
또, 허브구멍(107)의 내주측면 중에서 허브톱니(119)가 돌출 형성되는 상단부분은 허브 중심축(P)과 같은 중심의 곧은 원통상의 벽면에 형성하여 두지 않아도 좋다. 또 규격이 다른 구동축(120)이 허브구멍(107)의 내주면의 하단부에 있어서 상기한 내주면과 테이퍼면(116) 어느 판편에 접촉하는 것을 조건으로 하지만 도시한 예와 같이 원통벽면(115a)과 테이퍼면(116) 양면에 접촉케 하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그렇다고는 하지만 원통벽면(115a)에 하나의 규격의 구동축(120)이 접촉작용하는 형태에 주안을 두는 경우에는 그 수직벽면(115a)의 상하 길이를 전기한 구멍깊이 H의 1/4이상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와 같은 구성에 의거할 때는 허브구멍(107) 내주면의 개구하단부에 밑이 넓은 테이퍼면(116)을 형성하고, 허브구멍(107) 내주면의 상부에서 허브톱니(119)를 돌출 형성하여 허브톱니(119)의 돌출단면(端面)(119a)을 수직면에 하단면(119b)을 내리막 경사의 안내면에 각기 형성하였으므로 허브톱니(119)의 돌출단면(119a)은 테이퍼면(116)이나, 허브구멍(107)의 내주면 보다도 허브구멍(107)의 안쪽 중앙에 위치하게 되며, 구동축(120)의 중에서도 크기가 작고 높게 돌출한 것은 허브구멍(107)의 내주면 하부에 접촉 간섭함이 없이 각 허브톱니(119)의 하단면(119b)에서 안내하여서 허브톱니(119)의 돌출단면(119a)에 원활하게 접촉작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 허브톱니(119)의 돌출단면(119a)의 상하길이 h2를 허브구멍(107)의 유효한 구멍 깊이 H의 1/4 이상으로 하고 있으므로 외경의 크기가 작은 구동축(120)의 중심축과 허브중심축(P)과의 중심조절작용도 확실성을 기할 수 있다. 한편, 테이퍼면(116)의 높이 h1도 허브구멍(107)의 구멍 깊이 H의 1/4 이상으로 설정하고 있으므로 이 사실은 테이퍼면(116)의 테이퍼각(θ)을 작게 할 수 있음을 의미하며 구동축(120)의 중에서도 외경이 크고 돌출량이 작은 것을 허브구멍(107) 내주측면의 하부에 접촉작용을 하게 함에 있어서 테이퍼면(116)이 그 구동축(120)의 끼움을 안내하는 기능을 잘 발휘하고, 특히 테이퍼면(116)에 구동축(120)의 외주를 접촉작용시키는 경우에는 접촉면적을 크게 할 수 있으므로 구동축(120)의 중심축과 허브중심축과의 중심조절 작용을 확실한 것으로 함에 유리하다.

Claims (1)

  1. 본체 케이스(1)에 이 케이스 전면을 닫는 앞뚜껑(10)을 개폐가 자유롭도록 장착하고 앞뚜껑(10)의 전면판(11)의 하단에 노치(31)를 가지며, 본체 케이스(1) 저벽(4)의 전단모서리에 자기기록장치쪽의 위치결정 규제부재가 접촉하는 돌편(32)이 노치(31)를 항하여 돌출하였으며, 이 돌편(突片)(32)의 돌출량을 그 선단의 맞닿는편(33)이 앞뚜껑(10)의 전면판(11)의 두꺼운 살 중간에 위치하도록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테이프용 카아트리지.
KR1019830000923A 1982-03-10 1983-03-08 기록테이프용 카아트리지 KR9100071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426382U JPS58141486U (ja) 1982-03-10 1982-03-10 テ−プカ−トリツジ
JP34263 1982-03-10
JP82-34263 1982-03-10
JP82-83688 1982-06-04
JP83688 1982-06-04
JP8368882U JPS58187082U (ja) 1982-06-04 1982-06-04 テ−プカ−トリツジ
JP83-26435 1983-02-23
JP2643583U JPS58165793U (ja) 1983-02-23 1983-02-23 テ−プカ−トリツ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4287A KR840004287A (ko) 1984-10-10
KR910007199B1 true KR910007199B1 (ko) 1991-09-19

Family

ID=27285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0923A KR910007199B1 (ko) 1982-03-10 1983-03-08 기록테이프용 카아트리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0088437B1 (ko)
KR (1) KR910007199B1 (ko)
CA (1) CA1187172A (ko)
DE (1) DE3362229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435006A1 (de) * 1983-09-24 1985-04-25 Sony Corp., Tokio/Tokyo Magnetische aufnahme- und wiedergabeanordnung
US4643304A (en) * 1983-11-12 1987-02-17 Hitachi Maxell, Ltd. Tape cartridge with extending reference surfaces
JPH0413804Y2 (ko) * 1984-11-02 1992-03-30
DE3441156A1 (de) * 1984-11-10 1986-05-15 Agfa-Gevaert Ag, 5090 Leverkusen Frontklappenverriegelung von magnetbandkassetten, insbesondere videobandkassetten
EP1168338A2 (en) * 1998-06-12 2002-01-02 Fuji Photo Film Co., Ltd. Magnetic tape cassette and tape reel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8407Y2 (ko) * 1972-06-29 1977-02-22
AU7738581A (en) * 1980-11-17 1982-05-2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Video tape casset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1187172A (en) 1985-05-14
EP0088437B1 (en) 1986-02-26
DE3362229D1 (en) 1986-04-03
KR840004287A (ko) 1984-10-10
EP0088437A1 (en) 1983-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10771Y1 (ko) 테이프 카셋트
JPH0450307A (ja) ヘルメットにおけるシールドの取付構造
KR910001955B1 (ko) 기록테이프용 카아트리지
KR910007199B1 (ko) 기록테이프용 카아트리지
CA1202287A (en) Recording tape cartridge
KR100306182B1 (ko) 테이프카세트
KR920007326B1 (ko) 테이프 카트리지
US4607308A (en) Magnetic tape cassette with dual guard panel structure
US4485990A (en) Recording tape cassette
EP0452149A2 (en)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JPH0629831Y2 (ja) テープカセット
JPS6312461Y2 (ko)
JPS6139282A (ja) テ−プカ−トリツジ
JP4379657B2 (ja) テープカセットのリールロック機構
JPH0146942B2 (ko)
JPS6316819B2 (ko)
KR950007807Y1 (ko) 오삽입 방지탭(tab)을 갖춘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
JPS6037736Y2 (ja) テ−プカセツト
US6118631A (en) Tape cassette
KR970001137Y1 (ko) 테이프 카세트
JPH0713110Y2 (ja) 磁気テ−プカセット
JPS626617Y2 (ko)
JPS6215908Y2 (ko)
KR870000991Y1 (ko) 비디오 테이프 레코오더의 카세트 삽입 안전장치
KR930005614Y1 (ko) 오디오 테이프 카트리지의 슬라이더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801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