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7326B1 - 테이프 카트리지 - Google Patents

테이프 카트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7326B1
KR920007326B1 KR1019850001719A KR850001719A KR920007326B1 KR 920007326 B1 KR920007326 B1 KR 920007326B1 KR 1019850001719 A KR1019850001719 A KR 1019850001719A KR 850001719 A KR850001719 A KR 850001719A KR 920007326 B1 KR920007326 B1 KR 9200073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reel
tape
engagement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1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7147A (ko
Inventor
마에하라요시미
Original Assignee
히다찌마꾸세루 가부시끼가이샤
나가이 아쯔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찌마꾸세루 가부시끼가이샤, 나가이 아쯔시 filed Critical 히다찌마꾸세루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500071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71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73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73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4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 G11B23/08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for housing webs or filaments having two distinct en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4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 G11B23/08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for housing webs or filaments having two distinct ends
    • G11B23/087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for housing webs or filaments having two distinct ends using two different reels or cores
    • G11B23/08707Details
    • G11B23/08721Brakes for tapes or tape reels

Landscapes

  • Braking Arrangements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테이프 카트리지
제1도는 본 발명을 대상으로 하는 테이프 카트리지의 일부 절단 평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관한 릴 브레이크 수단을 도시한 중요부의 확대 평면도.
제3도는 제2도에 있어서의 Ⅲ-Ⅲ 선에 따른 단면도.
제4도는 릴 브레이크 수단의 사시도.
제5도는 본 발명의 구성 부재인 브레이크부의 선단 돌기부와 테이프 릴 측의 걸어 맞춤 톱니와의 관계를 도시한 중요부의 확대 평면도.
제6도는 종래의 릴 브레이크 수단을 도시한 중요부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케이스 2 : 테이프릴
2b : 테이프 릴의 플랜지 3 : 테이프
5 : 걸어맞춤 기어 5a : 걸어맞춤기어의 홈 바닥면
5b : 걸어맞춤 기어의 돌출 각부 7 : 원추형축
9 : 조작구멍 11 : 스프링 부재
13 : 보스 14 : 브레이크부
14a : 브레이크부의 선단 돌기부 20 : 브레이크부의 최선단
21 : 브레이크부의 맞닿음 걸어맞춤면
21a : 맞닿음 걸어맞춤면에 있어서의 걸어맞춤 기어와의 접촉점 보다도 선단측 부분
a : 릴 브레이크 수단
P : 브레이크부의 맞닿음 걸어맞춤면과 걸어맞춤 기어와의 접촉점
L : 궤적
본 발명은 사용하지 않을 때에 내장되어 있는 테이프 릴의 회전을 저지하는 릴 브레이크 수단을 구비한 테이프 카트리지에 있어서, 이 릴 브레이크 수단을 개량하여 작동의 확실성을 도모한 것이다.
제6도는 표준 규격의 비디오용 테이프 카트리지(VHS 형)의 대표적인 릴 브레이크 수단을 도시하고 있으며, 이것은 본체 케이스(1)내에 하부 플랜지(2b)의 바깥둘레에 각 형의 걸어맞춤 톱니(5)가 연속으로 형성된 테이프 릴(2), 기단부가 원추형축(7) 주위를 회전운동 하는 브레이크부(14), 브레이크부(14)를 한 방향으로 회전운동을 가하는 스프링 수단을 갖고, 브레이크부(14)의 선단돌기부(14a)가 테이프 릴(2)측의 걸어맞춤 기어(5)에 언제나 잡아당긴 상태로 맞닿아 걸어 맞춤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더구나, 구체적으로는 브레이크부(14)의 선단돌기부(14a)에 있어서, 최선단(20)은 걸어맞춤 기어(5)의 홈 바닥면(5a)에 맞닿고, 이 상태에서 맞닿음 걸어 맞춤면(21)이 걸어맞춤기어(5)의 돌출각부(5b)에 점접촉한다. 점접촉 되는 것은 걸어맞춤 기어(5)로의 선단 돌기부(14a)의 안내 걸어맞춤 및 빼내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그러나, 여기서 주목할 것은 본체 케이스(1)내에 있어서, 테이프 릴(2)가 제1도에 도시한 것과 같이 케이스 바닥벽에 뚫어 마련한 구동축 삽입구멍(4)위에 언제나 동심형으로 위치하고 있지 않으며, 지름 방향으로 일정 범위내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한 것과 브레이크부(14)가 테이프 릴(2)가 테이프를 풀어내는 방향 B로 회전하는 것이 걸리는 상태로 맞닿아 걸어 맞춤해서 저지되는 점이다.
즉, 상술한 맞닿음 걸어 맞춤면(21)과 걸어 맞춤 기어(5)의 버티는 힘이 클때, 원래 브레이크부(14)가 걸어맞춤 기어(5)에서 빠지기 어렵게 된다. 이것에 더하여, 테이프 릴(2)가 제6도의 가상선으로 표시한 것과같이 지름방향으로 이동하면, 브레이크부(14)에 의한 버티는 힘이 더욱 이롭게 된다.
그 때문에, 종래에는 테이프 카트리지를 데크에 장진하여, 데크측의 부재로 브레이크부(14)를 스프링 부재(11)에 대항해서 브레이크 해제 방향(화살표 Q방향)으로 움직이려고 하였을 때, 과대한 힘을 필요로 하며, 릴 브레이크가 완전히 떨어지지 않은 상태를 초래하는 일이 있었다. 이와같은 상태하에서는 케이스 앞면으로 테이프(3)을 원활하게 끄집어내는 조작을 할 수가 없고, 테이프(3)이 한쪽만 늘어지는 변형이 되든지 또는 찢어지든지하여, 릴 브레이크 수단의 구성 부재에도 손상을 받는다. 그렇게 까지 되지 않더라도, 브레이크부(14)나 이것을 움직이기 위한 중간 부재등에 무리한 힘이 가해져, 반복하고 있는 사이에 릴 브레이크수단이 작동 불능 상태로 되는 일이 있었다.
본 발명자는 그 원인을 추구한 바, 브레이크부(14)의 선단 돌기부(14a)에 있어서 맞닿음 걸어 맞춤면(21)의 형상에 문제가 있는 것을 알게 되었다.
즉, 이 맞닿음 걸어맞춤면(21)은 걸어맞춤 기어(5)의 홈의 깊이와 테이프 릴(2)의 지름 방향 이동에 대응시키기 위해 일정한 길이가 필요해지만, 종래의 맞닿음 걸어맞춤면(21)은 걸어 맞춤 기어(15)와의 접촉점 P보다도 선단측 부분(21a)가 이 접촉점 P를 통하는 브레이크부(14)의 회전운동 중심주위의 원호 L보다도 바깥측에 있었다. 이것으로서는 테이프 릴(2)가 가상선과 같이 지름방향과 떨어지는 측으로 이동하여 가면 갈수록, 테이프(3)이 감기어서 질량이 큰 테이프 릴(2)를 테이프에 감아가는 방향 A로 눌러 되돌리는 회전을 할 수 없으면, 브레이크부(14)가 원추형축(7) 주위를 브레이크 해제 방향으로 회전운동할 수 없는 것이 그 이유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사실과 견해에 따라, 기본적으로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릴 브레이크 수단에 있어서 데크 장진시에 상술한 브레이크부(14)의 선단돌기부(14a)가 테이프 릴(2)의 상기 걸어맞춤 기어(5)에서 가벼운 힘으로 확실하게 빠지도록 하는 테이프 카트리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브레이크부(14)의 맞닿음 걸어 맞춤면(21)의 형상을 개량하여, 이 맞닿음 걸어 맞춤면(21)이 걸어맞춤 기어(5)의 돌출각 부(5b)와의 접촉점 P보다도 선단측 부분(21a)에 해당 접촉점를 P통하는 브레이크부(14)의 회전운동 중심 주위의 궤적 L에 따르게 한다. 또는 상기 궤적 L의 내측에 있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브레이크부(14)의 선단 돌기부(14a)가 걸어맞춤 기어(5)에서 벗겨진 때 맞닿음 걸어 맞춤면(21)이 걸어맞춤 기어(5)의 돌출각부(5b)로 원활하게 접촉하면서 이동하여 가도록 한 것이다.
[실시예]
제1도는 비디오용 테이프 카트리지를 예시하고 있으며, 이 본체 케이스(1)은 덮개 맞춤 상태로 나사에 의해 결합된 플라스틱 제품의 상하 케이스(1a), (1b)로 되고, 케이스 바닥 벽의 좌우에 구동축 삽입구멍(4), (4)를 마련하고, 본체 케이스(1)내에 좌우 1쌍의 테이프 릴(2), (2)가 케이스 바닥면에 마련된 구동축 삽입구멍(4), (4)위에 위치시켜서 회전이 자유롭고, 또한 지름 방향으로 일정한 범위내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장치되고, 이들 두 릴(2), (2)에 테이프(3)의 양끝이 걸려서 연결되어 감겨져 있다. 테이프(3)은 도면상 우측의 공급축 릴(2)에서 케이스 앞면으로 도출된 다음, 좌측의 감는 측 릴(2)에 감기게 된다. 본체 케이스(1)내에 있어서, 각 테이프 릴(2)를 지름방향으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륵 한 것은 구동축 삽입구멍(4)를 거쳐서 데크측의 구동축이 테이프 릴(2)의 허브부로 용이하며 확실하게 걸리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그리고, 도면에서는 생략하였으나, 본체 케이스(1)의 앞면에는 이것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 테이프(3)의 바깥쪽을 피복하여 보호하기 위한 앞덮개가 개폐가 자유롭도록 원추형 접합되어 있다.
각 테이프 릴(2)는 상하에 플랜지(2a), (2b)를 가지며, 그 아래 플랜지(2b)의 바깥둘레에 각형의 걸어맞춤 기어(5)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도 내지 제4도는 릴 브레이크 수단 a를 도시하고 있으며, 이것은 본체 케이스 내의 뒤쪽방향 중앙부위의 불필요한 공간을 이용하여 배치되어 있다.
즉, 본체 케이스(1)의 뒤쪽방향 중앙부위에서 케이스 바닥벽(6)의 내면에 좌우 1쌍의 원추형 축(7), (7)을 일체로 수직으로 마련함과 동시에, 각 원추형축(7)에 가까운 가로 바깥측 쪽에 스프링 받음 부재(8)을 일체로 수직으로 마련하고, 두 원추형측(7), (7)사이의 앞쪽에 조작구멍(9)를 마련한다. 그리고, 1쌍의 릴 스톱퍼(10), (10), 1쌍의 스프링 부재(11), (11) 및 조작부재(12)를 조합시킨다.
각 릴 스톱퍼(10)은 기단에 세로 방향의 원통형 보스(13)을 가지며, 이 보스(13)에서 브레이크부(14)와 브레이크 해제용 조작부(15)가 연이어서 나온 플라스틱 성형품이며, 그 보스(13)이 각 원추형축(7)에 윗쪽으로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끼워 맞춰서 지지되어 있다.
각 스프링 부재(11)은 일정한 상하폭을 가진 평판형으로, 긴쪽 방향의 중간부에 V자형의 오목부(11a)가 폭방향으로 걸쳐서 굴곡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스프링 부재(11)은 원추형축(7), 스프링 받음 부재(8) 및 원추형축(7)에 장착된 릴 스톱퍼(10)과의 사이에 윗쪽에서 수평으로 장착하고, 그 중간 오목부(11a)를 원추형축(7)에 끼워 맞춤하는 상태로 맞닿게 지지하고, 한쪽 끝 축을 스프링 받음부재(8)로, 다른쪽끝 측을 릴 스톱퍼(10)의 상기 조작부(15)의 선단의 맞닿음 작용부(16)으로 각각 받아서 지지한다. 원추형축(7)과 스프링 받음부재(8)을 일정한 배치관계가 있도록 설정하여 스프링 부재(11)에 탄성력을 부여하고, 이 각 스프링 부재(11)의 탄성력으로 원추형축(7) 주위에 릴 스톱퍼(10)을 브레이크부(14)의 선단 돌기부(14a)가 테이프 릴(2)의 걸어맞춤기어(5)에 걸어맞춤하는 자세로 회전운동을 가한다.
조작부재(12)는 수평판부(12a)와 수직 상승부(12b)를 가진 플라스틱 성형품이고, 아래 케이스(1b)의 내면으로 요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수평판부(12a)가 상기 조작 구멍(9)를 덮고, 상승부(12b)가 두 릴 스톱퍼(10), (10)의 조작부(15), (15)의 맞닿음 작용부(16), (16)의 앞쪽에서 맞닿아서 작용을 한다.
이러한때는 스프링 부재(11)의 탄성력으로 각 릴 스톱퍼(10)이 일정방향으로 회전운동이 가해지고, 테이프 카트리지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각 브레이크부(14)의 선단돌기부(14a)가 대응하는 각 테이프 릴(2)의 걸어맞춤 기어(5)에 걸어 맞춤하여 테이프 릴(2)의 흔들림을 저지한다. 테이프 카트리지를 데크에 장진하면, 제3도에 도시한 것과 같이 데크측의 푸셔(19)가 아래쪽에서 조작구멍(9)에 돌입해서 조작부재(12)를 밀어올리고, 이 조작부재(12)의 요동으로 각 릴 스톱퍼(10)이 스프링 부재(11)에 대항해서 원추형축(7) 주위로 회전운동하고, 브레이크부(14)의 선단 돌기부(14a)가 걸어맞춤 기어(5)에서 떨어져서 릴 브레이크가 해제된다.
이상의 구성은 기본적으로 종래의 것과 같으며, 본 발명의 특징은 다음과 같은 점이 있다.
우선, 제5도에 있어서, 각 브레이크부(14)의 선단 돌기부(14a)에 착안하면, 이 선단 돌기부(14a)는 테이프 릴(2)측으로 향해서 기본적으로 갈고리 형으로 구부러져 있고, 최선단(20)이 테이프 릴(2)가 지름방향으로 유동하더라도 걸어맞춤 기어(5)의 홈 바닥면(5a)에 언제나 맞닿으면, 이 맞닿음 상태에서 선단 바깥측으로 설정한 맞닿음 걸어 맞춤면(21)이 걸어맞춤 기어(5)의 돌출각부(5b)에 점접촉으로 맞닿아 걸어맞춤하고, 각 테이프 릴(2)가 테이프를 감는 방향 A로 회전하는 것은 허용하지만, 테이프를 풀어내는 방향 B로 회전하는 것은 버리는 상태로 저지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도면중 부호 P는 맞닿음 걸어맞춤면(21)과 걸어맞춤 기어(5)와의 접촉점을 표시한다.
더우기, 본 발명에서는 맞닿음 걸어맞춤면(21)이 상기 접촉점 P보다도 선단측 부분(21a)에 있어서 상기 접촉점 P를 통하는 브레이크부(14)의 회전운동 중심 주위의 가상 궤적 L의 내측에 있도륵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맞닿음 걸어 맞춤면(21)위의 접촉점 P가 테이프 릴(2)의 지름 방향으로의 유동에 따라서 이동하는 것은 물론이다. 맞닿음 걸어 맞춤면(21)은 이 접촉점 P가 최선단(20)에서 가장 멀어지는 부위 보다도 약간 길게 형성하고 있다. 맞닿음 걸어 맞춤면(21)을 그 이상으로 길게 하여도 기능적으로는 전혀 무의미하여, 그 형상은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예를들면, 도면의 선단 돌기(14a)의 외측에는 맞닿음 걸어 맞춤면(21)에 연결되는 둥그런면(22)를 형성하였으나, 이 동그런면(22)는 실질적인 기능을 갖지 않는다.
사용하지 않을 때, 브레이크부(14)는 스프링 부재(11)로 선단돌기(14a)가 테이프 릴(2)측으로 언제나 회전운동이 가해지고, 기단부가 원추형축(7)에 지지되어서 선단돌기(41a)가 걸어 맞춤 기어(5)에 맞닿아 걸어 맞춤하고 있으므로, 테이프 릴(2)가 테이프를 풀어내는 방향 B로 회전하는 것을 팽팽하게 잡아당겨주는 원리로 확실하게 저지한다.
그리고, 테이프 카트리지를 데트에 장진하였을 때는 상술한 요령으로 브레이크부(14)의 선단 돌기부(14a)가 원추형축(7)주위로 화살표 Q방향으로 회전운동하도록 작용력을 받는다. 이때, 선단돌기부(14a)의 맞닿음 걸어맞춤면(21)에서의 걸어 맞춤 기어(5)의 돌출각부(5b)에 대한 접촉점 P는 선단측으로 연속적으로 이동하여 가는 것이 되지만, 맞닿음 걸어 맞춤면(21)의 접촉점 P보다도 선단측 부분(21a)는 상기 접촉점 P의 회전운동 궤적 보다 내측에 있으므로, 맞닿음 걸어 맞춤면(21)이 걸어 맞춤 기어(5)의 돌출각부(5b)에 접촉하면서 선단돌기부(41a)는 원활하게 걸어맞춤 기어(5)에서 빠져 나가게 된 것이다.
따라서, 도시한 예에서는 보다 높은 작동의 확실성을 기하기 위해서, 맞닿음 걸어 맞춤면(21)에서 상기 접촉점 P보다 선단측 부분(21a)가 원호 궤적 L보다 내측에 있도록 설정하였으나, 해당 궤적 L에 대략 따르는 것이라도 좋다. 또, 이 선단측 부분(21a)가 궤적 L의 내측으로 크게 들어간 형상으로 하면, 테이프릴(2)가 테이프를 풀어 내는 방향 B에 큰 힘으로 움직였을 때, 브레이크 부(14)의 선단 돌기부(14a)가 스프링 부재(11)에 대항해서 벗겨질 가능성이 있으나, 이러한 형태로 실시할 수 있는 범위 이내 이면 본 발명에 포함된다.
[변형예]
도시예의 전체의 내용은 이상과 같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들면, 데크측의 부재(19)로 브레이크 부(14)를 화살표 Q방향(브레이크 해재 방향)으로 움직이는데 대해서는 브레이크부(14)의 일부를 케이스 바닥 벽(6)에 마련된 구멍에 일부가 향한 상태로 배치하고, 이 구멍을 거쳐서 케이스 내에 돌입해 오는 푸셔(19)가 브레이크 부(14)에 직접 맞닿음 작용을 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러한 때, 브레이크 부(14)의 중간부를 원추형축(7) 주위에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지지하고, 브레이크 부(14)의 기단부에 푸셔(19)가 맞닿아 작용하는 것으로 하든가, 브레이크 부(14)의 기단부를 원추형축(7)에 지지하여 중간부에 푸셔(19)가 맞닿아 작용하는 것으로 하든 가는 필요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는 것이다. 또, 걸어맞춤 기어(5)의 형상은 톱니 형상의 것도 포함한다.
또, 도시예에서는 본체 케이스(1)의 뒷쪽 중앙부에 2조의 릴 스톱퍼(10)을 장치하였으나, 릴 브레이크 수단 a를 본체 케이스(1)의 뒷쪽의 좌우 구석부등에 각각 분할 배치하여 좌우의 테이프 릴(2)의 회전을 따로따로 저지 하도륵 하여도 좋다. 물론, 좌우의 테이프 릴(2), (2)의 한쪽에 작용하는 릴 브레이크 수단 a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것을 채용하고, 다른쪽은 생략 또는 별도의 구조의 릴 브레이크 수단을 채용하도록 하여도 좋을 것이다.
또, 브레이크 부(14)를 브레이크 자세로 회전운동을 가하는 스프링 수단도 도시한예의 판 스프링 대신에 비틀림 스프링 등으로 하여도 좋으며, 브레이크 부(14) 그 자체에서 탄성 부재를 마련해서 이 탄성 부재가 스프링 작용을 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이외에, 본체 케이스(1)의 좌우의 가로측벽에 조작 구멍(9)를 마련하고 데크측의 푸셔(19)가 좌우의 가로측 쪽에서 본체 케이스(1)내에 돌입하는 형태로 고려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한 본 발명에 의하면, 브레이크 부(14)의 선단 돌기부(14a)와 그것이 맞닿아 걸어 맞춤하는 테이프 릴(2)의 플랜지 바깥둘레의 걸어맞춤 기어(5)와의 관계에 있어서, 걸어맞춤 기어(5)의 돌출각부(5b)에 맞닿아 걸어맞춤하는 상기 선단 돌기부(14a)의 맞닿음 걸어맞춤면(21)은 이것의 해당 돌출각부(5b)와의 접촉점 P보다도 선단측 부분(21a)에 있어서 해당 접촉점 P를 통하는 브레이크 부(14)의 회전운동 중심주위의 궤적 L에 따르던가, 내측으로 들어간 형상으로 하였다. 따라서, 선단 돌기부(14a)가 걸어 맞춤 기어(5)에서 화살표 Q방향으로 벗겨질 때, 맞닿음 걸어맞춤면(21)은 걸어맞춤 기어(5)의 돌출각부(5b)에 접촉하면서 원활하게 빠져나가게 되어 데크 장진시에 있어서의 릴 브레이크의 해제가 적은 힘으로 확실하게 행하여져 브레이크 부(14)를 포함한 기타의 릴 브레이크 수단 A의 구성 부재에 무리한 힘이 가하여지지 않고, 장기간에 걸쳐서 안정된 작동을 확보할 수 있다.

Claims (1)

  1. 테이프 릴(2)의 플랜지(2b)의 바깥둘레에 연속형성된 걸어맞춤 기어(5)에 브레이크부(14)의 선단 돌기부(14a)가 걸어맞춤 하는 것에 의해, 테이프 릴(2)의 회전운동을 저지하는 테이프 카트리지에 있어서, 브레이크부(14)의 선단 돌기부(14a)에 걸어맞춤 기어(5)의 돌출각부(5b)에 대한 맞닿음 걸어맞춤면(21)을 가지며, 상기 맞닿음 걸어 맞춤면(21)이 걸어맞춤 기어(5)의 돌출각부(5b)와의 접촉점 P보다도 선단측 부분(21a)에서 상기 접촉점 P를 통하는 브레이크부(14)가 그리는 궤적 L에 따르던가, 또는 내측에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카트리지.
KR1019850001719A 1984-03-19 1985-03-16 테이프 카트리지 KR9200073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9-52945 1984-03-19
JP59-52945 1984-03-19
JP59052945A JPH061623B2 (ja) 1984-03-19 1984-03-19 テ−プカ−トリツ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7147A KR850007147A (ko) 1985-10-30
KR920007326B1 true KR920007326B1 (ko) 1992-08-29

Family

ID=12929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1719A KR920007326B1 (ko) 1984-03-19 1985-03-16 테이프 카트리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648565A (ko)
EP (1) EP0158169B1 (ko)
JP (1) JPH061623B2 (ko)
KR (1) KR920007326B1 (ko)
DE (1) DE3570937D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0564B1 (ko) * 1997-08-26 2005-06-16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의영역분할및칼라영상합성회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42579U (ko) * 1987-04-21 1989-03-14
US4823223A (en) * 1987-04-21 1989-04-18 Konica Corporation Mechanism for locking tape reel in magnetic tape cassette
JPS63268177A (ja) * 1987-04-24 1988-11-04 Sony Corp テ−プカセツト
CA2015374A1 (en) * 1989-05-18 1990-11-18 Thomas A. Turgeon Topload tape cartridge for videocassette
US5072325A (en) * 1990-02-20 1991-12-10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Videotape cartridge for use with an adaptor
US5326047A (en) * 1990-08-31 1994-07-05 Victor Company Of Japan, Ltd. Reel-locking mechanism for compact tape cassette
HU212694B (en) * 1990-08-31 1996-10-28 Victor Company Of Japan Compact tape cassette
US5402955A (en) * 1991-07-25 1995-04-04 Victor Company Of Japan, Ltd. Reel-locking mechanism for compact tape cassette
KR100211868B1 (ko) * 1996-04-25 1999-08-02 전주범 브이씨알의 릴 브레이크 장치
EP2184103A1 (de) 2008-11-11 2010-05-12 Onea Engineering Austria GmbH Modularer Reaktor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450744A (en) * 1973-02-01 1976-09-29 Sony Corp Magnetic tape cassettes
JPS5633027Y2 (ko) * 1976-12-10 1981-08-05
GB2019356B (en) * 1978-03-23 1982-04-21 Sony Corp Tape cassette
DE3174054D1 (en) * 1980-07-28 1986-04-17 Hitachi Maxell Magnetic recording tape cartridge
MC1447A1 (fr) * 1980-12-12 1982-12-06 Check View Syst Dispositif de comptage du nombre de passages pour la lecture d'une cassette a rubans ou films,supports de sons et/ou d'images ou autres signaux,et/ou de blocage au-dela d'un nombre de passages determines au prealable
JPS6325583Y2 (ko) * 1981-05-14 1988-07-12
JPS5887181U (ja) * 1981-12-08 1983-06-13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テ−プカ−トリツ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0564B1 (ko) * 1997-08-26 2005-06-16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의영역분할및칼라영상합성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0197986A (ja) 1985-10-07
EP0158169B1 (en) 1989-06-07
US4648565A (en) 1987-03-10
JPH061623B2 (ja) 1994-01-05
KR850007147A (ko) 1985-10-30
EP0158169A1 (en) 1985-10-16
DE3570937D1 (en) 1989-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7326B1 (ko) 테이프 카트리지
CA1176749A (en) Tape cassette storage box
US5099378A (en) Carrier with external interlock for videocassette
EP0285384A2 (en) Disposable non-rewinding tape cassette
US5034842A (en) Carrier with thumb wind advance for videocassette
EP0450976B1 (en) Tape cassette
KR910007199B1 (ko) 기록테이프용 카아트리지
JPH0636502Y2 (ja) 磁気テープカセット装置の切換装置
US5072325A (en) Videotape cartridge for use with an adaptor
US5021903A (en) Magnetic tape cartridge
JPS6317092Y2 (ko)
JPS60109061A (ja) 磁気デイスク駆動装置
JPH0118542Y2 (ko)
JPS6312461Y2 (ko)
JPS61206992A (ja) 蓋開閉装置
JP2565268B2 (ja) テープカセット
KR930001362Y1 (ko) 카세트 테이프 케이스용 록킹장치
JP2956175B2 (ja) 記録、再生用カートリツジ
JPS6134285Y2 (ko)
KR920006377Y1 (ko) 비디오 테이프 레코오더의 카세트 안전삽입 장착장치
JPS6149186B2 (ko)
JPS6134284Y2 (ko)
KR930005614Y1 (ko) 오디오 테이프 카트리지의 슬라이더 잠금장치
JPS6134286Y2 (ko)
JPH04153968A (ja) テープカセ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