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2603B1 - 백 밸런스 보정 회로 - Google Patents

백 밸런스 보정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2603B1
KR930002603B1 KR1019860009265A KR860009265A KR930002603B1 KR 930002603 B1 KR930002603 B1 KR 930002603B1 KR 1019860009265 A KR1019860009265 A KR 1019860009265A KR 860009265 A KR860009265 A KR 860009265A KR 930002603 B1 KR930002603 B1 KR 9300026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balance correction
back balance
color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9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5543A (ko
Inventor
미쯔오 세끼
이 게이 이찌 다니
Original Assignee
상요 덴기 가부시기가이샤
이우에 사또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0247473A external-priority patent/JPS62107592A/ja
Priority claimed from JP60247472A external-priority patent/JPS62107591A/ja
Priority claimed from JP60284969A external-priority patent/JPS62143591A/ja
Application filed by 상요 덴기 가부시기가이샤, 이우에 사또시 filed Critical 상요 덴기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700055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55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2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26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80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 H04N23/84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23/88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for colour balance, e.g. white-balance circuits or colour temperature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cessing Of Color Television Signals (AREA)
  • Color Television Image Signal Genera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백 밸런스 보정 회로
제1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
제2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블럭도.
제3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블럭도.
제4도는 제3도에 도시한 실시예 내의 스위칭 신호 발생기(14d)를 상세하게 도시한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제 1백 밸런스 보정 신호 발생기 1a : 광 검출기 장치
2, 20 : 제 2 백 밸런스 보정 신호 발생기
5 : 색 신호 레벨 보정 회로 8 : 보정 신호 스위칭 회로
9 : 조도 판별기 회로 10 : 제 1색 신호 레벨 보정 회로
12 : 신호 스위칭 회로 13 : 스위칭 신호 발생기
14 : 색 결정 회로 15 : 억제 회로
본 발명은 백 밸런스(white balance) 보정 회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컬러 비디오 카메라 등에 적용되는 백 밸런스 보정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정 시스템 및 자동 추적 시스템이 컬러 비디오 카메라의 백 밸런스 보정 회로용으로 사용된다. 고정 시스템 백 밸런스 보정 회로는 자동-추적 시스템 보다 구조면에서 더 간단하여, 일반적으로 여러형태의 컬러 비디오 카메라에 응용된다. 그러나 고정 시스템 백 밸런스 보정 회로는 불가피하게 복잡한 백 밸런스 셋트 동작을 필요로 하지만, 백 밸런스 보정 상태가 고정되기 때문에 피사체 영상의 광선의 색 온도변화를 따를 수 없다.
그러므로, 자동-추적 시스템의 백 밸런스 보정 회로가 최근 컬러 비디오 카메라에 점점 더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자동-추적 시스템의 백 밸런스 보정 회로는 주로 2개의 시스템으로 이루어진다. 제1시스템에서, 여러가지 색들의 색필터들로 구성된 다수의 광검출기 장치들은, 예를 들어 일본국 특허 공개 번호 제 90886/1983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광검출기 장치의 출력 레벨들을 비교하여 색 온도를 검출함으로써 검출된 색 온도를 기초로 하여 개방 루우프내에서 백 밸런스 보정을 실행하기 위해 피사체를 향하도록 배열된다(이하, 이러한 시스템의 회로를 제1자동-추적 시스템 백 밸런스 보정 회로라 칭함).
제2시스템에서, 적색 및 청색 신호들의 이득은 예를 들어, "국내 기술 보고서(National Technical Report)"제31권, 제1호(1985년 2월), 98-102페이지에 기술한 바와 같이 색 영상 신호들에 포함된 색차신호[(R-Y) 및 (B-Y)]의 평균 레벨이 제로화 되도록 폐쇠 루우프 내에서 제어된다(이하, 이러한 시스템의 회로를 제2자동-추적 시스템 백 밸런스 보정 회로라 칭함).
그러나, 상술한 제1자동-추적 시스템 백 밸런스 보정 회로는 피사체 위의 색 온도 변화에 대해 비교적 안정하게 동작하지만, 백 밸런스 보정 정확도는 이 회로가 개방 루우프 제어 내에 있고 광검출기 장치들이 촬상 장치와 스펙트럼 특성에 있어서 상이하기 때문에 충분히 높지가 않다. 다시 말하면, 제1자동-추적시스템 백 밸런스 보정 회로는 상당한 에러를 발생시키지는 않지만, 약간의 에러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제1자동-추적 시스템 백 밸런스 보정 회로는 낮은 광감도를 가지므로, 낮은 조도 하에서 정확히 동작할 수 없다. 따라서, 백 밸런스 보정은 낮은 조도 하에서 일반적으로 억제된다.
한편, 제2자동-추적 시스템 백 밸런스 보정 회로는 폐쇄 루우프 제어로 인해 높은 보정 정확도를 갖는 반면에, 피사체에서 색의 편증이 일어날 때 피사체 영상의 색을 흐리게 한다. 이것은 색차 신호들의 평균레벨이 항상 제로화되도록 제2자동-추적 시스템 백 밸런스 보정 회로가 적색 신호와 청색 신호의 이득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제2자동-추적 시스템 백 밸런스 보정 회로는 상술한 조건하에서 백 밸런스 보정을 정확히 실행하지만, 상황에 따라 심각한 기능 장애를 일으킬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제1 및 제2자동-추적 시스템 백 밸런스 보정 회로의 단점을 제거할 수 있고 정확한 백 밸런스 보정을 계속 실행할 수 있는 백 밸런스 보정 회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간단히 말하면, 본 발명에 다른 백 밸런스 보정 회로는 피사체의 촬상 상태에 응답하여 제1백 밸런스 보정 수단 및 제2백 밸런스 보정 수단의 동작 상태를 스위치하도록, 피사체의 색 온도를 기초로 하여 백 밸런스 보정을 실행하기 위한 제1백 밸런스 보정 수단, 및 색차 신호의 평균 레벨을 기초로 하여 백 밸런스보정을 실행하기 위한 제2백 밸런스 보정 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및 제2백 밸런스 보정 수단의 단점들은 이 장치들의 장점들을 저하시키지 않고서 제거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목적, 특징, 형태 및 장점들에 대해서 상세하게 기술하겠다.
제1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블럭도이다. 제1도를 참조하면, 이 실시예는 제1백 밸런스 보정 신호 발생기(1) 및 제2백 밸런스 보정 신호 발생기(2)를 포함한다.
제1백 밸런스 보정 신호 발생기(1)은 "일본국 기술 보고서"제31권, 제1호(1985년 2월), 90 내지 97페이지에 기술되어 있는 공지된 색 온도 보정 시스템을 사용한다. 즉, 적색 휠터를 구비한 다이오드와 청색 휠터를 구비한 다이오드를 결합함으로써 형성된 광검출기 장치(1a)는 광전 변환 출력을 기초로 하여 제1백 밸런스 보정 신호를 얻기 위해 비디오 카메라 케이스(도시하지 않음)의 전면에 고정된다. 더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광검출기 장치(1a)로부터 출력된 적색 광전 변환 전류(Ir) 및 청색 광전 변환 전류(1b)는 제1 및 제2로그 증폭기(1b 및 1c)에 각각 입력된다. 제1 및 제2로그 증폭기(1b 및 1c)는 각각 연산 증폭기 및 다이오드에 의해 형성된다. 제1 및 제2로그 증폭기(1b 및 1c)로 부터의 각각의 출력(V1 및 V2)는 다음과같이 표현된다.
Figure kpo00001
여기서, k는 볼츠만 상수이고, T는 절대 온도이며, q는 전하량이다.
제1 및 제2로그 증폭기(1b 및 1c)로부터의 출력들은 각각 제1 및 제2차동 증폭기(1d 및 1e)에 입력된다. 제1 및 제2차동 증폭기(1d 및 1e)는 각각 연산 증폭기 및 저항기 소자에 의해 형성된다. 이 제1 및 제2차동 증폭기(1d 및 1e)로부터의 출력들은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Figure kpo00002
여기서, Kr 및 Kb는 상수이고, Vor은 제 1차동 증폭기(1d)의 바이어스 전압이며, Vob는 제 2 차동 증폭기(1e)의 전압이다.
그러므로, 각각 제1백 밸런스 보정 신호들로서, 적색 제어 전압(Vr)은 제1차동 증폭기(1d)로 부터 얻어지고, 청색 제어 전압(Vb)는 제2차동 중폭기(1e)로부터 얻어진다.
피사체의 영상을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기 위한 CCD 고체 촬상 장치(3)으로부터의 출력은 휘도 신호/색 신호 분리 회로(4)로 입력된다. 이 휘도 신호/색 신호 분리 회로(4)는 고체 촬상 장치(3)로부터의 화상 신호를 적색 신호(R), 청색 신호(B) 및 휘도 신호(Y)로 분리시키도록 되어 있다. 적색 신호(R) 및 청색 신호(B)는 백 밸런스 보정용 레벨 조정을 받도록 적색 신호 레벨 보정 회로(5a) 및 청색 신호 레벨 보정 회로(5b)로 각각 입력된다. 즉, 적색 신호 레벨 보정 회로(5a) 및 청색 신호 레벨 보정 회로(5b)는 색 신호 레벨 보정 회로(5)를 형성한다. 색 신호 레벨 보정 회로(5)를 통과하는 적색 및 청색 신호(R 및 B)와 휘도 신호/색 신호 분리 회로(4)로부터 출력된 휘도 신호(Y)는 색차 신호[(R-Y) 및 (B-Y)]로 변환되도록 매트릭스 회로(7)에 공급된다.
한편, 제2백 밸런스 보정 신호 발생기(2)는 상술한 색차 신호[(R-Y) 및 (B-Y)] 각각의 레벨 평균값이 항상 "0"이 되도록 적색 신호(R) 및 청색 신호(B)를 보정하기 위한 제2백 밸런스 보정 신호를 얻도록 되어 있다. 더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적색 신호 레벨 보정 회로(5a)로부터의 출력 신호(R), 휘도 신호(Y) 및 청색 신호 레벨 보정 회로(5b)로부터의 출력 신호(B)는 진폭 검출되도록 제1검출기 회로(2a), 제2검출기 회로(2b), 및 제3검출기 회로(2c)에 각각 공급된다. 각각의 검출기 회로(2a, 2b 및 2c)는 입력신호들의 피이크 검출을 실행하도록 되어 있다. 적색 신호(R)을 검출하는 제1검출기 회로(2a)로 부터의 출력 및 휘도신호(Y)를 검출하는 제2검출기 회로(2b)로부터의 출력은 제1검출 색차 신호들로 변환되도록 제1비교기(2d)로 입력된다. 제1검출 색차 신호("1" 및 "0"의 2진 신호)는 적색 제어 전압(V5)로 변환되도록 제1저역 통과 휠터(2f)에서 레벨이 평균화 된다. 한편, 청색 신호(B)를 검출하는 제3검출기 회로(2c)로부터의 출력 및 휘도 신호(Y)를 검출하는 제2검출기 회로(2b)로부터의 출력은 제2검출 색차 신호들로 변환되도록 제2비교기(2e)로 입력된다. 제2검출 색차 신호("1" 및 "0"의 2진 신호)는 청색 제어 전압(V6)으로 변환되도록 제2저역 통과 휠터(2g)에서 레벨이 평균화 된다. 제2백 밸런스 보정 신호로서 적색 제어 전압(V5) 및 청색 제어 전압(V6)이 얻어진다.
제1백 밸런스 보정 신호(V3 및 V4) 및 제2백 밸런스 보정 신호(V5 및 V6)은 보정 신호 스위칭 회로(8)내에 입력된다. 보정 신호 스위칭 회로(8)은 제1스위치(8a) 및 제2스위칭(8b)를 포함한다. 제1스위치(8a)는 제1백 밸런스 보정 신호 발생기(1)로 부터의 적색 제어 전압(V3) 및 제2백 밸런스 보정 신호 발생기(2)로부터의 적색 제어 전압(V5)를 공급받는다. 제2스위치(8b)는 제1백 밸런스 보정 신호 발생기(1)로부터의 청색 제어 전압(V4) 및 제2백 밸런스 보정 신호 발생기(2)로부터의 청색 제어 전압(V6)을 공급받는다. 조도 판별기 회로(9)로부터 유도된 조도 판별 출력을 근거로 하여 제1 및 제2스위치(8a 및 8b)에서 스위칭 동작이 실행된다. 조도 판별기 회로(9)는 기준 전압 발생 장치(9a), 및 이 기준 전압 발생장치(9a)로부터 얻어진 기준 전압을 제2로그 증폭기(1c)로부터의 출력(V2)와 비교하기 위한 비교기(9b)를 포함한다. 비교기(9b)는 제2로그 증폭기(1c)의 출력(V2)가 상술한 기준 전압을 초과할 때 하이 레벨의 조도 판별 출력을 유도한다. 제1 및 제2스위치(8a 및 8b)는 하이 레벨 조도 판별 출력이 높은 조도하에서 입력될 때 색 신호 레벨 보정 회로(5)에 공급하도록 제1백 밸런스 보정 신호를 선택한다. 한편, 로우 레벨 조도 판별 출력이 낮은 조도하에서 입력되면, 제1 및 제2스위치(8a 및 8b)는 색 신호 레벨 보정 회로(5)에 공급하도록 제2백 밸런스 보정 신호를 선택한다.
적색 신호 레벨 보정 회로(5a) 및 청색 신호 레벨 보정 회로(5b)는 공급된 제1 또는 제2백 밸런스 보정 신호는 응답하여 적색 신호(R) 및 청색 신호(B)의 레벨을 조정한다. 그러므로, 색 신호 레벨 보정 회로(5) 및 제 1백 밸런스 보정 신호 발생기(1)은 개방 루우프 제어의 제 1백 밸런스 보정 수단을 형성하고, 색 신호 레벨 보정 회로(5) 및 제 2 백 밸런스 보정 신호 발생기(2)는 폐쇄 루우프 제어의 제 1백 밸런스 보정 수단을 형성한다. 바꾸어 말하면, 색 신호 레벨 보정 회로(5)는 통상적으로 2개의 백 밸런스 보정 수단에 의해 사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에서는, 제1백 밸런스 보정 신호 발생기(1)이 효율적으로 동작하는 높은 조도하에서는 제1백 밸런스 보정 신호들에 의해 보정이 실행되고, 제1백 밸런스 보성 신호 발생기(1)이 효율적으로 동작하지 못하는 낮은 조도하에서는 제2백 밸런스 보정 신호들에 의해 보정이 실행된다. 그러므로, 제1실시예에 따르면, 광감도는 낮은 조도하에서 낮아지지 않고, 넓은 조도 범위에서 백 밸런스 보정이 정확히 실행될 수 있다. 제1실시예에서는 약간의 색보정 에러가 낮은 조도하에서 발생될 수도 있지만, 이러한 약간의 색보정 에러는 전체 화면의 어두운 상태에서 시각적으로 무시될 수 있다.
제2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적인 계통도이다. 제2도를 참조하면, 이 실시예는 제1도에 도시한 실시예와 유사하게 제 1백 밸런스 보정 신호 발생기(1) 및 제 2 백 밸런스 보정 신호 발생기(2)를 포함한다. CCD 고체 촬상 장치(3), 휘도 신호/색 신호 분리 회로(4) 및 매트릭스 회로(7)은 제1도에 도시한 실시예의 것들과 유사하게 구성된다. 휘도 신호/색 신호 분리 회로(4)로부터 출력된 각각의 적색 신호(R) 및 청색 신호(B)는 제1색 신호 레벨 보정 회로(10) 및 제2색신호 레벨 보정 회로(11)에 공급되도록 2개의 전달 통로로 분기된다. 제 1색 신호 레벨 보정 회로(10)은 제1백 밸런스 보정 신호 발생기(1)로부터의 제1백 밸런스 보정 신호들을 근거로 하여 적색 신호(R) 및 청색 신호(B)의 레벨을 보정하는 적색 신호 레벨 보정 회로(11a) 및 청색 신호 레벨 보정 회로(11b)를 포함한다. 적색 신호는 레벨 보정 회로 (11b)로부터의 출력(B2)는 제2백 밸런스 보정 신호 발생기(2)의 제1검출기 회로(2a) 및 제3검출기 회로(2c)에 각각 공급된다. 제2검출기 회로(2b)는 휘도 신호/색 신호 분리 회로(4)로부터 휘도 신호(Y)를 공급받는다. 그러므로, 이 실시예에서, 제 1색 신호 레벨 보정 회로(10) 및 제1백 밸런스 보정 신호 발생기(1)은 개방 루우프 제어의 제1백 밸런스 보정 수단을 형성하고, 제2색 신호 레벨 보정 회로(11) 및 제2백 밸런스 보정신호 발생기(2)는 폐쇄 루우프 제어의 제2백 밸런스 보정 수단을 형성한다.
또한, 제1색 신호 레벨 보정 회로(10)으로부터의 출력(R1 및 B1) 및 제2색 신호 레벨 보정 회로(11)로부터의 출력(R2 및 B2)는 신호 스위칭 회로(12)에 공급된다. 이 신호 스위칭 회로(12)의 스위칭 동작은 스위칭 신호 발생기(13)으로부터 유도된 스위칭 신호에 의해 실행된다. 스위칭 신호 발생기(13)은 제1백 밸런스 보정 신호 발생기(1)로부터 유도된 청색 제어 전압(V4)와 제2백 밸런스 보정 신호 발생기(2)로부터 유도된 청색 제어 전압(V6) 사이의 레벨 차이가 선정된 값보다 큰지의 여부를 검출하기에 적합하다. 신호 스위칭 회로(12)는 스위칭 신호 발생기(13)로부터 유도된 스위칭 신호에 응답하여 제1색 신호 레벨 보정 회로(10)으로부터의 출력 또는 제2색 신호 레벨 보정 회로(11)로부터의 출력을 선택하여, 매트릭스 회로(7)로 공급한다.
상술한 구성에서, 스위칭 신호 발생기(13)은 제1백 밸런스 보정 신호내의 청색 제어 전압(V4)의 레벨을 제2백 밸런스 보정 신호내의 청색 제어 전압(V6)의 레벨과 비교하여, 이들 사이의 레벨차가 선정치보다 클때 스위칭 발생시켜서, 편색이 스크린(screen)상에 발생되고, 제2백 밸런스 보정 신호가 보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인식시킨다. 한편, 상기 레벨 차가 선정치보다 작으면, 이 스위치 신호 발생기(13)은 스위칭 신호를 비-활성화시켜서, 제2백 밸런스 보정 신호가 정확하다는 것을 인식시킨다. 제어 압력으로서 스위칭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스위칭 회로(12)는 스위칭 신호의 발생시에 제1색 신호 레벨 보정 회로(10)의 출력(R1 및 B1)들을 선택하여, 매트릭스 회로(7)에 이 출력들을 공급한다. 그러므로,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실시예에서, 보정 동작은 피사체에 편색이 야기될 때 제1백 밸런스 보정 신호에 의해 실행되고, 편색이 피사체상에 야기되지 않을 때 제2백 밸런스 보정 신호에 의해 실행되므로, 피사체의 편색에 관계없이 최적의 백 밸런스 보정이 항상 실현될 수 있다.
제 3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계통도이다. 제 3도를 참조하면, 제 1 색 신호 레벨 보정 회로(10) 및 제1백 밸런스 보정 신호 발생기(1)에 의해 형성된 제1백 밸런스 보정 수단과, 제2색 신호 레벨 보정 회로(1) 및 제2백 밸런스 보정 신호 발생기(20)에 의해 형성된 제2백 밸런스 보정 수단은 휘도 신호/색 신호 분리 회로(4)와 매트릭스 회로(7) 사이에 삽입되도륵 직렬로 접속된다. 즉, 이 실시예에서 제1백 밸런스 보정 수단에 의해 보정된 색 신호들은 제2백 밸런스 보정 장치에 의해 재보정된다. 제1 및 제2백 밸런스 보정 장치들은 이 실시예의 보정 수단들이 동일한 색 신호 전달 경로에 대해 직렬 방식으로 제공된 것을 제외하면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실시예의 보정 장치들과 구조가 유사하다. 그러나, 제2백 밸런스 보정 수단을 형성하는 제2백 밸런스 보정 신호 발생기(20)은 매트릭스 회로(7)로부터 얻은 색차 신호들을 수신하므로, 이 발생기는 단지 2개의 저역 통과 필터(20a 및 20b)을 포함하지만, 색차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검출기 회로 및 비교기는 생략된다.
또한,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실시예는 피사체에 편색이 야기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색 결정 회로(14) 및 이 색 결정 회로(14)로부터의 결정 출력에 응답하여 제2백 밸런스 보정 장치의 보정 동작을 억제하기 위한 억제 회로(15)를 포함한다. 이 색 결정 회로(14)는 2개 형태의 색차 신호[(R-Y) 및 (B-Y)]를 발생시키기 위해 제2색 신호 레벨 보정 회로(10)에 의해 보정 색 신호(R 및 B)와 휘도 신호/색 신호 분리 회로(4)로부터의 휘도 신호(Y)를 수신하기 위한 매트릭스 회로(14a), 이 매트릭스 회로(14a)로부터 한 색차 신호(R-Y)의 평균레벨을 출력시키기 위한 제3저역 통과 휠터(14b), 다른 색차 신호(B-Y)의 평균 레벨을 출력시키기 위한 제4저역 통과 휠터(14c), 및 제3 및 제4저역 통과 휠터(14b 및 14c)로부터의 출력들 중 최소한 한 출력이 선정된 레벨을 초과할 때 스위칭 신호를 발생시킥 위한 스위칭 신호 발생기(14d)를 포함한다.
이 스위칭 신호 발생기(14d)로 부터 유도된 스위칭 신호는 금지 회로(15)에 제공된 스위치(15a 및 15b)에 공급된다. 스위치(15a)는 스위칭 신호에 응답하여 매트릭스 회로(7)로 부터의 색차 신호(R-Y) 또는 정 전압 발생기(15c)로부터의 정전압 출력을 선택하여 출력시키도록 되어 있다. 스위치(15a)에 의해 선택된 색차 신호나 정 전압 출력은 제2백 밸런스 보정 신호 발생(20)의 제1저역 통과 휠터(20a)에 공급된다. 한편, 스위치(15b)는 스위칭 신호 발생기(14d)로부터의 스위칭 신호에 응답하여 매트릭스 회로(7)로부터 색차 신호(B-Y) 또는 정 전압 발생기(15c)의 정 전압 출력을 선택하여 출력시키도록 되어 있다. 스위치(15b)에 의해 선택된 색차 신호나 정 전압 출력은 제2백 밸런스 보정 신호발생기(20)의 제2저역 통과휠터(14d)에 공급된다.
제4도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스위칭 신호 발생기(14d)의 상세한 회로 계통도를 도시한 것이다. 제4도를 참조하면, 제3저역 통과 휠터(14b)의 출력은 제1미분 회로(41)에 제공된 2개의 트랜지스터(Q1 및 Q2)의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입력된다. 전원 공급선(43)과 접지선사이에 직렬로 삽입된 브리이더저항기(44 및 45)에 의해 발생되는 고정 전압은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인가된다. 트랜지스터(Q1 및 Q2)의 각각의 콜렉터들은 다이오드(D1 및 D2)의 캐소드에 접속된다. 다이오드(D1 및 D2)의 애노드는 공통 접속된다. 다이오드(D1 및 D2)의 공통 노드에서의 전위는 저항기(46)을 통하여 출력 트랜지스터(Q5)의 베이스에 전달된다. 이 출력 트랜지스터(Q5)의 콜렉터는 전원 공급선(43)에 접속되고 이 출력 트랜지스터(Q5)의 에미터는 저항기(47)을 통하여 접지된다. 스위칭 신호는 출력 트랜지스터(Q5)의 에미터로부터 유도된다. 한편, 제4저역 통과 휠터(14c)의 출력은 제2미분 회로(42)에 제공된 2개의 트랜지스터(Q3 및 Q4)중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에 입력된다. 브리이더 저항기(44 및 45)에 의해 발생된 고정 전압은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에 인가된다. 트랜지스터(Q3 및 Q4) 각각의 콜렉터는 다이오드(D3 및 D4)의 캐소드에 접속된다. 다이오드(D3 및 D4)의 애노드는 공통 접속되고, 이것의 공통 노드에서의 전위는 저항(46)을 통하여 출력 트랜지스터(Q5)의 베이스에 전달된다.
상술한 구조에서, 제1미분 회로(41)은 제3저역 통과 휠터(14b)의 출력 전압이 거의 0(zero)일때 트랜지스터(Q1 및 Q2)가 등가 상태로 유지되도록 셋트된다. 그러므로, 다이오드(D1 및 D2)의 공통 노드에서의 전위는 제3저역 통과 휠터(14d)의 출력 전압이 거의 0일때 하이 레벨로 되고 상기 출력 전압이 0레벨 이외로 될 때 로우 레벨로 떨어진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2미분 회로(43)은 제4저역 통과 휠터(14c)의 출력전압이 거의 0일때 트랜지스터(Q3 및 Q4)가 등가 상태로 유지되도록 셋트되므로, 다이오드(D1 및 D2)의 공통 노드에서의 전위는 제4저역 통과 휠터의 출력 전압이 거의 0일때 하이 레벨로 되고, 상기 출력 전압이 0레벨 이외로 될 때 로우 레벨로 떨어진다. 더 구체적으로, 트랜지스터(Q1)은 피사체의 색이 적색일때 도통되고 트랜지스터(Q3)는 피사체의 색이 청색일 때 도통하여 트랜지스터(Q2 및 Q4)는 피사체의 색이 녹색일 때 각각 도통되므로 다이오드(D1 및 D2)의 공통 노드에서의 전위나 다이오드(D3 및 D4)의 공통 노드에서의 전위는 로우 레벨로 떨어진다. 다이오드(D1 및 D2)의 다이오드(D3 및 D4)의 공통 노드의 최소한 한 노드가 로우 레벨로 떨어질 때, 출력 트랜지스터(Q5)는 이것의 에미터로부터 스위칭 신호를 출력시키기위해 도통 상태로 들어간다.
스위칭 신호가 스위칭 신호 발생기(14d)로부터 발생되지 않을 때, 억제 회로(15)의 스위칭(15a 및 15b)는 매트릭스 회로(7)로부터 출력된 색차 신호[(R-Y) 및 (B-Y)]를 선택하여, 제2백 밸런스 보정 신호 발생기(20)에 공급된다. 그러므로, 제2백 밸런스 보정 장치(20, 11)은 이때 보정 동작을 실행하므로, 제1백 밸런스 보정 장치(1, 10)에 의해 보정된 색 신호가 제2백 밸런스 보정 장치(20, 11)에 의해 재보정된다. 한편, 스위칭 신호가 스위칭 신호 발생기(14d)로부터 발생될때, 스위치(15a 및 15b)는 정전압 발생기(15c)로부터 정전압 출력을 선택하여 제2백 밸런스 보정 신호 발생기(20)에 공급하도록 각각 스위치된다. 결과적으로, 제2색 신호 레벨 보정 회로(11)내의 적색 신호 레벨 보정 호로(11a) 및 청색 신호 레벨 보정 회로(11b)는 입력된 색 신호들의 레벨을 변경시키기 않고서 출력을 유도한다. 그러므로, 제2백 밸런스 보정 수단(20, 21)들의 보정 동작은 이때 억제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제3도의 실시예에서, 제2백 밸런스 보정 수단(20, 11)들의 보정 도작은 색 결정 회로(14)가 피사체에 편색이 일어난다고 판단할 때 억제되므로, 백 밸런스 보정은 편색을 가진 피사체가 영상에 포착되더라도 선명도를 저하시키지 않고서 정확하게 실행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상세하게 기술했지만, 이것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예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원리 및 범위는 첨부된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Claims (5)

  1. 백 밸런스 보정 회로에 있어서, 피사체의 영상을 색 영상 신호로 변환시키기 위한 영상 감지기 수단 ; 상기 영상 감지기 수단의 출력을 휘도 신호와 색 신호로 분리하기 위한 휘도 신호/색 신호 분리 수단 ; 상기 휘도 신호/색 신호 분리 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상기 색 신호의 레벨을 스위칭 수단에 의해 공급된 제1백 밸런스 보정 신호 또는 제 2 백 밸런스 보정 신호에 기초하여 보정하기 위한 레벨 보정수단 ; 상기 피사체의 색 온도에 상관하는 상기 제1백 밸런스 보정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영상 감지기 수단과는 독립적으로 제공된 제1백 밸런스 보정 신호 발생 수단 ; 상기 휘도 신호/색 신호 분리 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상기 휘도 신호 및 상기 레벨 보정 수단에 의해 보정된 레벨을 갖는 상기 색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피사체의 색 온도에 상관하는 상기 제2백 밸런스 보정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2백 밸런스 보정 신호 발생 수단 ; 상기 제1백 밸런스 보정 신호 발생 수단에서 발생된 선정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피사체의 조도가 선정된 값보다 더 큰지 여부를 판별하기 위하여 상기 제1백 밸런스 보정 신호 발생 수단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조도 판별 수단 ; 및 상기 조도 판별 수단의 출력에 응답하여, 상기 피사체의 조도가 상기 선정된 값보다 클 때는 상기 제1백 밸런스 보정 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고, 상기 피사체의 조도가 상기 선정된 값보다 크지 않으면 상기 제2백 밸런스 보정 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상기 스위칭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 밸런스 보정 회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도 판별 수단이 상기 제 1백 밸런스 보정 신호 발생 수단으로부터 얻어진 청색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피사체에서의 광량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 밸런스 보정 회로.
  3. 백 밸런스 보정 회로에 있어서, 피사체의 영상을 색 영상 신호로 변환시키기 위한 영상 감지기 수단 ; 상기 영상 감지기 수단의 출력을 휘도 신호와 색 신호로 분리하기 위한 휘도 신호/색 신호 분리수단 ; 상기 피사체의 색 온도에 상관하는 제1백 밸런스 보정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상기 영상 감지기 수단과는 독립적으로 제공된 제1백 밸런스 보정 신호 발생수단 ; 상기 제1백 밸런스 보정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휘도 신호/색 신호 분리 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상기 색 신호의 레벨을 보정하기 위한 제1레벨 보정 수단 ; 제2백 밸런스 보정 신호 발생 수단으로부터의 제2백 밸런스 보정 신호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휘도 신호/색 신호 분리 수단으로부터의 상기 색 신호 출력의 레벨을 보정하기 위해 상기 제1레벨 보정 수단과 병렬로 제공된 제2레벨 보정 수단 ; 상기 휘도/색 신호 분리 수단으로부터의 상기 휘도 신호 출력 및 상기 제2 레벨 보정 수단에 의해 보정된 레벨을 갖는 상기 색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피사체의 색 온도에 상관하는 상기 제 2 백 밸런스 보정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 2 백 밸런스 보정 신호 발생수단 ; 상기 제 1백 밸런스 보정 신호와 상기 제2백 밸런스 보정 신호 사이의 레벨 차가 선정된 값보다 더 큰지의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레벨 차 판별 수단 ; 및 상기 레벨 차 판별 수단의 출력에 응답하여, 상기 레벨 차가 상기 선정된 값보다 클때는 상기 제1레벨 보정 수단의 출력을 선택하여 제공하고, 상기 레벨차가 상기 선정된 값보다 크지 않을때는 상기 제2레벨 보정 수단의 출력을 선택하여 제공하는 스위칭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 밸런스 보정 회로.
  4. 백 밸런스 보정 회로에 있어서, 피사체의 영상을 색 영상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영상 감지기 수단 ; 상기 영상 감지기 수단의 출력을 휘도 신호와 색 신호로 분리시키기 위한 휘도 신호/색 신호 분리수단 ; 상기 피사체의 색 온도에 상관하는 제1백 밸런스 보정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촬상 수단과 독립적으로 제공된 제 1백 밸런스 보정 신호 발생 수단 ; 상기 제 1백 밸런스 보정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휘도 신호/색 신호 분리 수단으로부터의 상기 색 신호 출력의 레벨을 보정하기 위한 제1레벨 보정 수단 ; 제1백 밸런스 보정 신호 발생 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제2백 밸런스 보정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레벨 보정 수단에 의해 보정된 상기 색 신호의 레벨을 재 보정하기 위한 제2레벨 보정 수단 ; 상기 휘도 신호/색 신호 분리 수단으로부터의 상기 휘도 신호 출력 및 상기 제2레벨 보정 수단에 의해 재보정된 레벨을 갖는 상기 색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피사체의 색 온도에 상관하는 상기 제2백 밸런스 보정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상기 제2백 밸런스 보정 신호 발생수단 ; 2가지 종류의 색차 신호중 하나의 색차 신호의 평균 레벨이 선정된 레벨 범위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별하기 위하여 상기 휘도 신호/색 신호 분리 수단으로부터의 상기 휘도 신호 출력 및 상기 제1레벨 보정 수단에 의해 보정된 레벨을 갖는 상기 색 신호에 기초하여 2가지 종류의 색차 신호들을 형성하기 위한 레벨 판별 수단 ; 및 상기 레벨 판별 수단의 출력에 응답하여, 상기 2가지 종류의 색차 신호중 하나의 신호의 평균 레벨이 상기 선정된 레벨 범위 이상일 때 상기 제2백 밸런스 보정 회로 발생 수단의 동작을 억제하기 위한 억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 밸런스 보정 회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억제 수단이 상기 제2백 밸런스 보정 신호 발생 수단에 색차 신호 대신 고정된 신호를 입력시킴으로써 상기 제2백 밸런스 보정 신호 발생 수단의 동작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 밸런스 보정 회로.
KR1019860009265A 1985-11-05 1986-11-04 백 밸런스 보정 회로 KR9300026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0247473A JPS62107592A (ja) 1985-11-05 1985-11-05 自動追尾式白バランス補正方式選択回路
JP60-247473 1985-11-05
JP?60-247472 1985-11-05
JP60-247472 1985-11-05
JP60247472A JPS62107591A (ja) 1985-11-05 1985-11-05 白バランス補正方式選択回路
JP60-284969 1985-12-18
JP60284969A JPS62143591A (ja) 1985-12-18 1985-12-18 白バランス補正制御回路
JP?60-247473 1985-12-18
JP?60-284969 1985-12-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5543A KR870005543A (ko) 1987-06-09
KR930002603B1 true KR930002603B1 (ko) 1993-04-03

Family

ID=27333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9265A KR930002603B1 (ko) 1985-11-05 1986-11-04 백 밸런스 보정 회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4739393A (ko)
EP (1) EP0221539A3 (ko)
KR (1) KR9300026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79591A (en) * 1986-01-31 1989-11-07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ickup apparatus compensating an image signal for variations in color temperature
US5153713A (en) * 1986-02-21 1992-10-06 Canon Kabushiki Kaisha Color temperature information forming device
US5146316A (en) * 1987-05-15 1992-09-08 Canon Kabushiki Kaisha White balance adjusting device
US5563656A (en) * 1987-08-27 1996-10-08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sensing apparatus with white balance adjustment
US4899212A (en) * 1987-08-28 1990-02-06 Fuji Photo Film Co., Ltd. White balance adjusting device for a camera
US4901152A (en) * 1987-08-31 1990-02-13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ickup apparatus
US5264921A (en) * 1987-11-30 1993-11-23 Canon Kabushiki Kaisha White balance including means for preventing colored object from disturbing the balance
JPH0787588B2 (ja) * 1987-12-29 1995-09-20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自動白バランス調整方法及び装置
JP2508951Y2 (ja) * 1988-02-03 1996-08-28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白バランス調節装置
US5016093A (en) * 1988-03-31 1991-05-14 Sony Corporation Video camera system with white balance adjustment
JPH0263394A (ja) * 1988-08-30 1990-03-02 Fuji Photo Film Co Ltd 彩度調整方法及び装置
US5134466A (en) * 1989-12-30 1992-07-28 Goldstar Co., Ltd. Combined white balance switching device of video camera
DE4102191C2 (de) * 1990-02-05 1997-04-17 Mitsubishi Electric Corp Automatische Weißabgleich-Steuervorrichtung
JPH03230698A (ja) * 1990-02-05 1991-10-14 Mitsubishi Electric Corp オートホワイトバランス調整装置
US5283632A (en) * 1990-04-09 1994-02-01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ickup apparatus
JPH042282A (ja) * 1990-04-19 1992-01-07 Canon Inc 撮像装置
US5177599A (en) * 1990-07-23 1993-01-05 Hitachi, Ltd. White balance controller for an image pick-up apparatus including an abnormality detector
US5172146A (en) * 1991-08-01 1992-12-15 Wooldridge Lloyd A Electronically controlled optical color correction system for a camera
DE69315285T2 (de) * 1992-09-02 1998-05-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Vorrichtung zum Verarbeiten eines Bildsignals
US5420630A (en) * 1992-09-11 1995-05-30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ickup apparatus performing white balance control based on data from regions of a frame
GB0207920D0 (en) * 2002-04-05 2002-05-15 Quantel Ltd Real-time gradiation control
JP5064947B2 (ja) * 2007-09-11 2012-10-3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方法、及び撮像装置
KR102126487B1 (ko) 2013-10-24 2020-06-2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촬영 장치의 자동 화이트 밸런스 조절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미지 촬영 장치
CN111953955B (zh) * 2020-08-26 2022-01-0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白平衡补偿方法、装置及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66588A (ja) * 1983-09-22 1985-04-16 Canon Inc ホワイトバランス装置
JPH0628478B2 (ja) * 1983-12-28 1994-04-13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ラ−撮像装置
JPS60218995A (ja) * 1984-04-13 1985-11-01 Canon Inc ホワイトバランス調整装置
JPS60240291A (ja) * 1984-05-15 1985-11-29 Konishiroku Photo Ind Co Ltd ホワイトバランス装置
JPH0632441B2 (ja) * 1984-09-11 1994-04-27 ソニー株式会社 ホワイトバランスの自動調整回路
JPH06101846B2 (ja) * 1985-02-12 1994-12-12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JP2506073B2 (ja) * 1985-04-24 1996-06-12 キヤノン株式会社 オ−トホワイトバランス調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221539A2 (en) 1987-05-13
US4739393A (en) 1988-04-19
KR870005543A (ko) 1987-06-09
EP0221539A3 (en) 1989-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2603B1 (ko) 백 밸런스 보정 회로
US4599643A (en) Apparatus responsive to plural color video signals for amplitude limiting the video signals to assist beam current limiting
FI65880C (fi) Ljuskontrollapparat foer en televisionsapparat
US4931856A (en) Image sensing apparatus
US5068718A (en) Image quality correcting system for use with an imaging apparatus
US4814861A (en) Signal processing apparatus with independent gain control for chrominance and color signals
US4739392A (en) White balance adjusting apparatus having a plurality of standard color references automatically selected by the detected color temperature
US5691821A (en) A/D converting apparatus and image sensing apparatus
KR930000464B1 (ko) 비데오 신호 처리 장치
US3928867A (en) Television receiver with picture level control
KR930004801B1 (ko) 빔 전류 제한 제어장치
EP0455220B1 (en) Image sensing apparatus
KR910006858B1 (ko) 칼러 카메라의 영상신호처리회로
FI76231B (fi) Videosignalbehandlingsanordning.
KR19990037476A (ko) 색신호 처리 회로와 그 방법 및 카메라 장치
KR960008992B1 (ko) 채도 조정방법 및 장치
JP2618908B2 (ja) 自動白バランス調整方法及び装置
KR900004966B1 (ko) 컬러비데오카메라의 화이트밸런스 보정장치
JP2506092B2 (ja) 撮像装置
KR910006855B1 (ko) 신호 샘플링 회로
JP2776965B2 (ja) 撮像装置
JP3434086B2 (ja) オートホワイトバランス補正装置及び補正方法
KR850001247B1 (ko) 자동 피크 빔전류 제한기
US4962417A (en) Chroma overload detector using a differential amplifier
KR930004831B1 (ko) 칼라 텔레비젼 수상기의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