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2142B1 - 다중신호 전송장치 및 다중신호 수신장치 - Google Patents

다중신호 전송장치 및 다중신호 수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2142B1
KR930002142B1 KR1019900008607A KR900008607A KR930002142B1 KR 930002142 B1 KR930002142 B1 KR 930002142B1 KR 1019900008607 A KR1019900008607 A KR 1019900008607A KR 900008607 A KR900008607 A KR 900008607A KR 930002142 B1 KR930002142 B1 KR 9300021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additional
level
energy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8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2270A (ko
Inventor
노리야 사까모도
세이지로 야스끼
끼요유끼 가와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찌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9100022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22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2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21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07Systems with supplementary picture signal insertion during a portion of the active part of a television signal, e.g. during top and bottom lines in a HDTV letter-box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1/00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11/24High-definition television systems
    • H04N11/28High-definition television systems involving bandwidth reduction, e.g. subsamp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5High-definition televi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4Systems for the transmission of one television signal, i.e. both picture and sound, by a single carrier
    • H04N7/045Systems for the transmission of one television signal, i.e. both picture and sound, by a single carrier the carrier being frequency modul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다중신호 전송장치 및 다중신호 수신장치
제 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신호 전송장치의 제 1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신호 수신장치의 제1실시예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신호 전송장치의 제2실시예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신호 수신장치의 제2실시예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신호 전송장치의 제3실시예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신호 전송장치의 제3실시예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
제7도는 제5도의 회로에 입력하는 대역특성을 나타낸 도면.
제8도(a) 및 제8도(b)는 제5도의 2차원 LPF의 대역 제한 기능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공간주파수영역에서의 스펙트럼도.
제9도는 제5도의 셀렉터의 출력을 설명하기 위해서 나타낸 필드 신호의 설명도.
제10도(a) 및 제10도(b)는 제5도의 수직 LPF(low pass filter) 출력의 공간주파수 영역에서의 스펙트럼도.
제11도는 제5도의 승산회로 출력의 수평 주파수축에서의 스펙트럼도.
제12도는 제5도의 BPF(band pass filter) 출력의 수평주사수 축에서의 스펙트럼 설명도.
제13도(a) 및 제13도(b)는 제5도의 BPF출력의 공간주파수 영역에서의 스펙트럼 설명도.
제14도는 제 5 도의 수평·수직 LPE의 구체적 구성예를 나타낸 회로도.
제15도 제5도의 수직 LPF의 구체적 구성예를 나타낸 회로도.
제16도(a) 및 제16도(b)는 제15도의 회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서 나타낸 필드신호의 설명도.
제17도(a) 및 제17도(b)는 제6도의 수평·수직 2차원 HPF(high pass filter) 출력의 공간주파수 영역에서의 스펙트럼 설명도.
제18도(a) 및 제18도(b)는 제6도의 가산 회로(116) 출력의 공간주파수 영역에서의 스펙트럼 설명도.
제19도(a) 및 제19도(b)는 제6도의 BPF(120) 출력의 공간주파수 영역에서의 스펙트럼 설명도.
제20도(a) 및 제20도(b)는 제6도의 가산기(117) 출력의 공간주파수 영역에서의 스펙트럼 설명도.
제21도는 제5도 및 제6도에 나타낸 누적가산 회로의 따른 실시예를 나타낸 회로도.
제22도는 본 발명에 관계된 다중신호 전송장치 실시예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
제23도는 같은 다중신호 수신장치의 제4실시예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
제24도는 와이드 어스펙트(aspect) 방식의 TV신호를 현행의 NTSC방식의 TV수신기로 수신했을 경우의 화면 포맷(format)을 나타낸 도면.
제25도는 와이드 어스펙트 방식의 TV신호를 와이드 어스펙트 방식의 TV수상기에서 수신했을 경우의 화면 포맷을 나타낸 도면.
제26도(a) 및 제26도(b)는 제22도의 수직 LPF(126) 출력의 공간주파수 영역에서의 스펙트럼 설명도.
제27도(a) 및 제27도(b)는 제22도의 감산회로(163) 출력의 공간주파수 영역에서의 스펙트럼 설명도.
제28도는 제22도는 LPF(126)의 구체적 구성예를 나타낸 회로도.
제29도는 제22도의 시간압축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서 사용된 화상 포맷을 나타낸 도면.
제30도는 제22도의 시간압축회로의 구체적 구성예를 나타낸 회로도.
제31도는 제30도의 시간압축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서 나타낸 시간압축 포맷의 설명도.
제32도는 제22도의 라인 추출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서 나타낸 라인 설명도.
제33도는 제23도의 지연조정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서 나타낸 시간축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31,51,52,53,111,221 : 입력단자
11,54,56,61,73,75,81,130,131,162 : 2차원 LPF
13,36,62,122 : 레벨 변환회로
17,33,37,54,59,118,132,133,211 : 출력단자
14,63,169 : 제산회로
16,20,40,57,58,75,84,96,97,101,102,103,116,117,127,141,223,233 : 가산회로
18,38,69,125,231 : 절대치회로
19,39,70,126,232 : 누적가산회로
35,64,72,119,121,128,129,227 : 승산회로
60,109 : 셀렉터 60,120 : 수평 BPF
68,115 : HPF
91,92,94,95,203,204,205 : 1H 지연회로
98,99,100,104,105,106 : 계수회로 108,202 : 필드메모리
167,171,230 : 라인 추출회로 206,207,209 : 계수회로
168,228 : 레벨 변환회로
본 발명은 예를 들면 현행 방식과 양립가능한 TV신호에 고정밀 세밀화용 TV신호를 주파수 다중으로하여 전송하는 다중신호 전송장치 및 이 다중 신호를 수신하는 다중신호 수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TV방송에 있어서는 화상의 고정밀 세밀화에 관한 연구, 개발이 활발하게 행해지고 있다.
고정밀 세밀화 시스템에 있어서는 현재, 현행 방식과의 양립성을 피하기 위해서 현행 방식의 TV신호를 주신호로 하고 이것에 고정밀 세밀화용의 TV신호를 부가신호로서 주파수 다중으로 하도록 되어있다.
이 주파수 다중방식으로서는 예를 들면 「T. Hukinuki 등의 "Extended Definition TV Fully Compatible with Existing Standards" IEEE TRANSACTIONS COMMUNICATIONS, VOL, NO. 8, 1984, 8」 (이하 문헌 1이라고 한다)에 기재된 방식과 「M. A. Isnardi 등의 "Encoding for Compatibility and Recoverability in the ACTV System" IEEE TRANSACTIONS BROADCASTING VOL. BC-33 NO. 4. 1987, 12」 (이하 문헌 2이라고 한다)에 기재된 방식이 있다.
그런데 주신호를 고정밀세밀화하기 위한 부가신호는 현행의 TV 수상기로서는 화상재생에 기여하지 않는다. 그리고 주신호에 대한 잡음신호로서 취급되어진다. 이때문에 주신호에 대한 부가신호의 방해가 문제로 된다. 부가신호는 고정밀 세밀화 시스템의 TV수상기에 있어서만 유효하게 사용되는 것이다.
상기 방해를 없애기 위해서는 부가신호의 다중레벨을 낮게 하면 좋다. 그러나 부가신호의 다중레벨을 낮게하면 그 신호대 잡음비(이하 S/N비로 기술한다)가 저하하고 고정밀 세밀화 시스템의 수신장치에 의해서는 부가신호를 정확하게 재생할 수가 없다. 고정밀 세밀화용 부가신호는 고주파신호이기 때문에 TV신호의 일반적인 성질에서 생각하면 그 평균전력은 주신호의 평균전력에 비교해 대단히 낮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이경우는 주신호에 대한 부가신호의 방해는 문제되지 않도록 고안되어진다. 그러나, 실제로는 화상의 에지(edge) 부에서 주신호의 정점값을 크게한다고 하는 방해를 초래한다. 화상에지부는 고주파수 신호에 대응하기 때문에 어 신호에 대해서 더욱더 부가신호(고주파신호)가 다중되며 이 다중신호는 전송가능한 레벨을 넘어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생긴다.
이 결과 수신측에 있어서 화상에지부의 재생신호가 부정확하게 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상기 문헌 2에 있어서는, 송신측에서는 부가신호를 비선형 압축해서 보내고, 수신측에서 이것을 비선형 신장해서 재생하는 방법이 이용되어진다.
이 방법에 의하면 부가신호의 S/N비를 저하시키는 것 없이 주신호의 에지부에 대한 부가신호의 방해를 저감시킬 수 있다고 생각되어진다.
그러나 이 방법에서는 다음과 같은 2개의 문제가 생긴다.
1. 하나는 부가신호의 재생출력에서 파형외곡이 생긴다고 하는 문제이다. 즉 비선형 압축처리에 있어서는 고주파 성분이 발생한다.
한편, 부가신호를 주신호로 주파수 다중해서 전송할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전송지역의 이용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부가신호의 전송지역은 압축전 부가신호의 스펙트럼 지역과 같은 지역에 설정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송신측의 비선형 압축처리로 발생된 고주파 성분이 수신측에 전송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수신측의 비선형 신장처리에 의해서 얻어진 부가신호는 파형외곡을 발생한다.
2. 따른 하나는, 부가신호의 분해능 저하에 의해 시각적으로 대단히 부자연한 화질악화가 생긴다고 하는 문제이다.
즉, 아날로그 신호로서 전송되는 부가신호를 수신측에서 디지틀 처리할 경우, 아날로그/디지틀 변환회로로서 8비트의 회로를 이용하는 것이 많다. 이것은 10비트의 회로를 이용하면 회로의 코스트가 현저하게 상승하기 때문이다.
8비트 회로의 분해능은 256계조(gradation)이다. 그러나 부가신호의 분해능으로서는 10-20계조 밖에 확보할 수가 없다.
이것은 주신호에 대한 부가신호의 방해를 없애기 위해서 부가신호의 정점값을 1/10 혹은 그것이하로 압축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분해능의 저하는 단지 양자화 잡음의 증대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시각적으로 대단히 부자연스런 화상을 초래한다.
특히 지금의 예에 서는 저하된 분해능이 수신측의 비선형 신장 처리로 더욱더 강조되기 때문에 화상의 부자연함이 두드러질 것이다.
이상 기술한 바와 같이 주신호에 이주 신호와 상관성이 있는 고정밀 세밀화용 부가신호를 주파수를 다중해서 전송하는 종래의 장치에 있어서는 주신호의 에지 부에 대한 부가신호의 방해를 없게할 수 있는 것과 부가신호를 정확하게 재생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상관성은 주신호의 레벨이 클때는 부가신호의 레벨도 크고 주신호의 레벨이 작을 적을 때는 부가신호의 레벨도 적게된다는 것과 같은 관계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목적은 주신호의 에지부에 대한 부가신호의 방해를 없게할 수 있고, 또 부가신호를 정확히 재생할 수 있는 다중신호 전송장치 및 다중신호 수신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다중신호 송신장치는 TV신호로서의 주신호인 복수 화소분의 에너지를 검출하는 에너지 검출회로와 이 에너지 검출회로의 검출출력을 기초로해서 상기 주신호와 상관성있는 부가신호의 레벨을 제어하는 레벨제어 신호와, 이 레벨 제어회로에 의해서 레벨을 제어시킨 상기 부가신호를 상기 주신호에 주파수를 다중하는 주파수 다중처리 회로에 의해 구성된다. 또 본 발명의 목적은TV신호로서의 주신호에서 이 주신호와 상관성이 있는 부가신호가 주파수 다중된 다중신호를 수신하는 다중신호 수신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다중신호 수신장치는 TV신호로서의 주신호에 이주신호와 상관성있는 부가신호가 주파수 다중되어 있고, 또 상기 부가신호의 레벨이 상기 주신호의 복수화소분의 에저 에너지 검출출력을 기초로해서 제어되고 있는 다중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장치와, 상기 다중 신호를 상기 주신호와 상기 부가신호에서 주파수를 분리하는 주파수 분리회로와, 이 주파수 분리회로에 의해서 분리된 상기 주신호의 복수 화소분의 에너지를 검출하는 에너지 검출회로와, 이 에너지 검출회로의 검출 출력을 기초로해서 상기 주파수 분리회로에 의해서 분리된 상기 부가신호의 레벨을 송신측과는 역특성으로 제어하는 레벨제어회로에 의해 구성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주신호와 부가신호와는 상관성이 있기 때문에 주신호의 에너지 검출출력과 부가신호와의 상관성도 보증된다. 따라서 에너지 검출출력의 레벨이 크게되는 주신호의 에지부에서는 부가신호의 레벨을 억제한다.
이에 따라 주신호 에지부에서의 부가신호의 방해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 검출된 에너지는 복수 화소분의 에너지이기 때문에 주신호와 같은 넓은 스펙트럼을 가지지 않고서 저지역 성분만을 가진다. 따라서 에너지의 검출출력을 기초로해서 부가신호의 레벨을 제어해도 부가신호의 스펙트럼은 거의 확대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원래 부가신호의 스펙트럼 지역에서 레벨제어후의 부가신호를 전부 전송할 수 있기 때문에 부가신호의 재생출력에서 파형외곡이 생기는 것도 없다. 또 주신호는 그대로 수신측에 송신되기 때문에 수신측에서는 주신호의 에너지로서 송신측과 완전히 같은 것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수신측에서 원래의 부가신호를 재생할때에 조금도 분해능을 저하시키는 것 없이 정확히 재생할 수있다. 또한 송신측과 수신측의 레벨 제어는 서로 역특성이 있으면 좋기 때문에 제어형태의 선택상 자유도가 높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관계된 다중신호 전송장치의 제1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이다. 또, 제2도는 본 발명에 관계된 다중 신호 수신장치의 제1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이다. 또한 제1도 및 제2도는 색도신호의 처리계는 나타내고 있지않다. 우선, 제1도의 다중신호 전송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서 "1"은 휘도신호(Y)의 주신호(Y1)가 입력되는 단자이다. 또 "2"는 휘도신호(Y)의 부가신호(Y2)가 입력되는 입력단자이다.
여기서, 주신호(Y1)과 부가신호(Y2)와는 상관성이 있고, 예를 들면 TV신호의 저역성분과 고역성분이다. 그리고 주신호(Y1)는 현행 방식의 지역에서 전송가능한 저역성분, 부가신호(Y2)는 현행방식의 대역을 넘는 고역분이다.
입력단자(1)에서 입력된 주신호(Y1)는 2차원 LPF(11)에 입력되어서 대역이 제한되고 부가신호(Y2L2)로서 출력된다.
이 대역제한은 주신호(Y1)의 공간주파수 영역의 일부에 스페이스를 만들고 이 스페이스에 후술하는 부가신호를 삽입하기 위한 대역제한이다.
2차원 필터(11)에서의 주신호(Y1)는 가산회로(16)에 공급되고 레벨제어에 얻어진 부가신호(Y2')와 주파수다중된다.
이 다중 신호는 출력단자(17)에 접속된 도시되지 않은 송신부에 의해 송신된다.
부가신호(Y2)의 레벨 제어처리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입력단자(2)에서 입력된 부가신호(Y2)는 필터부(12)에 입력된다.
이 필터부(12)에서는 주신호(Y1)에 부가신호를 주파수 다중할 경우 주신호(Y1)의 스페이스에 부가신호의 지역이 합치하도록 부가신호(Y2)의 지역을 제한하고 있다.
필터부(12)에서의 출력(Y2L2)은 레벨 변환회로(13)에 의해 A(일정치) 배된다. 이 레벨 변환출력은 제산회로(14)에 의해 주신호(Y1)에서 구한 제어회로(X)(에너지 정보)를 나누는 수로서 제산된다.
이 제산에 의해 얻어진 부가신호는 주파수 다중처리회로(15)에 의해 주신호(Y1)에 대해서 주파수 다중하는데 적당한 지역에 시프트된다.
이 변환처리를 받은 부가신호(Y2')가 가산회로(16)에서 주신호(Y1)에 주파수 다중된다.
상기 제어신호(X)는 다음과 같이 해서 얻어진다. 즉, 2차원 LPF(11)에서의 주신호(Y1)는 우선 절대치회로(18)에 의해 절대치를 얻는다.
절대치 출력은 누적가산회로(19)에 의해 N(N은 2이상의 양의 정수) 화소분씩 누적가산된다. 누적가산출력은 가산회로(20)에 의해 미리 정해진 고정치(B)와 가산된다. 고정치(B)와 누적가산 출력의 가산결과가 전술한 제어신호(X)로서 사용된다. 또한 고정치(B)는 유리수이다.
이 고정치(B)는 누적가산출력이 0일 경우에 제산출력이 무한대로 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해서 얻어진 제어 신호(X)는 다음 식(1)과 같이 나타낸다.
X=∑ X0+B………………………………………………………(1)
그리고 이 제어신호(X)에 의해서 부가신호(Y2)가 제산되기 때문에 제산회로(14)에서 출력되는 부가신호(Y2L2)는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
Y2L2= Y2L2/X………………………………………………………(2)
다음으로 제2도의 다중 신호수신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서 "31"은 다중신호(Y)가 입력되는 입력단자이다.
이 입력단자(31)에 입력된 다중신호는 주파수 다중신호 분리회로(32)에 의해 주신호(Y1)과 부가신호(Y2')로 분리된다. 이 주파수 다중신호 분리회로(32)에 의해 분리된 주신호(Y1)는 출력단가(33)에 접속된 도시하지 않은 화상표시부에 공급된다.
한편, 부가신호(T'2)는 송신측에 있어서 주파수 다중처리회로(15)에 의해 주파수 영역이 이동되는 것이기 때문에 주파수 영역 복원회로(34)에 의해 원래의 영역으로 복원되고 부가신호(Y2L2)로 된다. 이 부가신호(Y2L2)는 승산회로(35)에 의해 주신호(Y1)에서 구해진 제어신호(X)와 승산된다.
이 제어신호(X)는 전술한 송신측의 제어신호(X)와 같고 앞의 식(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값을 갖는다.
따라서 승산회로(35)에서의 출력을 레벨변환회로(36)에서 변환한다면 다음 식(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부가신호(Y2L2)가 출력된다.
Y2L2=Y2L3·X……………………………………………………………………(3)
레벨 변환회로(36)는 전술한 송신측의 레벨변환회로(13)와는 역특성을 가지고 입력 신호를 1/A배한다.
이 레벨 변환출력을 출력단자(37)에 접속된 도시하지 않은 화상 표시부에 공급되고 전술한 주신호(Y1)와 함께 화상표시로 공급된다.
재현된 부가신호(Y2L2)는 송신측의 부가신호(Y2)가 수직방향으로 대역제한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수평방향에 대해서는 충분한 정보량을 가진것이기 때문에 이 부가신호(Y2L2)를 화상표시용으로서 주신호(Y1)와 함께 사용해도 시각상으로는 송신측의 화질과의 차는 거의 없다.
상기 제어신호(X)는 송신측과 같은 양상으로 절대치회로(38), 누적가산회로(39), 가산회로(40)에 의해 생성된다.
이상 전술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는 주신호(Y1)와 부가신호(Y2)의 상관성을 이용하고 송신측에서는 절대치의 누적가산에 의해 주신호(Y1)의 N화소분의 에너지를 구해서 이것을 기초로해서 얻어진 제어신호(X)를 나누는 수로서 부가신호(Y2)를 제산하고 이 제산출력(Y2')는 주신호(Y1)에 주파수 다중하여 송신하고, 수신측에서는 절대치의 누적가산에 의해 주신호(Y1)의 N화소분의 애너지를 구하고 이것을 기초로해서 얻어진 제어신호(X)와 부가신호(Y2)를 승산함으로서 원래의 부가신호(Y2)를 재생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주신호(Y1)와 부가신호(Y2)는 상관성이 있기 때문에 제어신호(X)와 부가신호(Y2)와의 상관성도 보증된다.
따라서 제어신호(X)의 레벨이 크게되는 주신호(Y1)의 에지부에서는 부가신호(Y2)의 레벨을 억제할 수있다.
이에 따라 주신호(Y1)의 에지부에 있어서 주신호(Y1)에 대한 부가신호(Y2)의 방해를 저감할 수 있다. 또 제어신호(X)는 주신호(Y1)의 N화소분의 에너지를 나타낸 것이기 때문에 주신호(Y1)와 같은 넓은 스펙트럼을 가지지 않고 저감 성분만을 가진다.
따라서 제어신호(X)를 나누는 수로서 부가신호(Y2)를 제산해도 부가신호(Y2')의 스펙트럼은 원래의 부가신호(Y2)의 스펙트럼과 거의 변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원래의 부가신호(Y2)의 스펙트럼 지역에서 제산후의 부가신호(Y1)를 전부 전송할 수 있기 때문에, 부가신호(Y2)의 재생출력에서 파형 외곡이 생기는 것은 아니다.
또 주신호(Y1)는 그대로 수신측에 보내지기 때문에 수신측에서는 이 주신호(Y1)를 처리하면 송신측의 제어신호(X)와 거의 같은 것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수신측에서 원래의 부가신호(Y2)를 재생할 때에 조금도 분해능을 저하시키는 것 없이 정확히 재생할 수 있다. 또한 주신호(Y1)의 누적가산 출력에서 고정치(B)를 가산한 것을 제어신호(X)로 한 것처럼 했기 때문에 누적가산출력이 0인 경우에도 제산결과가 무한대로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3도는 본 발명에 관계된 다중신호전송장치의 제2의 실시예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제4도는 본 발명에 관계된 다중신호 수신장치의 제2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이다. 또한 제3도 및 제4도에 있어서 먼저의 실시예와 동일부에는 동일부호를 붙여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먼저의 실시예에서는 제어신호(X)를 구하는데 적당하고 주신호(Y1)의 절대치를 누적가산할 경우를 설명했다. 이것에 대해 본 실시예는 주신호(Y1)의 2승치를 누적 가산하도록 한 것이다. 즉 제3도 및 제4도에 있어서는 제1도 및 제2도의 절대치회로(18), (38)를 각각 2승치회로(21), (41)로 치환되도록 한 것이다.
이와같은 구성에 있어서도 먼저의 실시예와 같은 양상으로 주신호(Y1)의 N화소분의 에너지를 구할 수있다.
전술한 다중신호 송신장치 및 수신장치는, 예를들면 현행 NTSC TB TV방식과 호환성이 있는 와이드어스펙트 방식 TV 신호의 부가신호를 송신 수신할 경우에도 이용된다. 이 이용방법으로서는 본 발명자등이 문헌 「A WIDE SCREEN EDTV "IEEE Transaion on Consumer Electronis, Vol. 35, No.3, 1989, 8"」에 기재된 방법이 있다. 이 문헌에서는 와이드 어스펙트 TV 신호가 선터 패널의 신호와 사이드패널(sn)의 신호로 분리된다. 또한 사이드패널의 신호는 저역성분(0.9MHz 이하)과 고역성분으로 분리된다. 그리그 저역성분은 수평오버스캔부에서 주파수 다중된다. 또 고역성분은 제1필드와 제2필드의 신호로 분리되고 제1필드신호는 화면 센터애서 주파수 다중되며, 제2필드의 신호는 수직오버스킨부에 다중된다. 이때 제1필드의 신호가 화면 센터 신호에 방해를 주지 않도록 제2필드 신호인 복수화소의 에너지에 의해 레벨제어된다. 결국 제1, 제2의 필드신호는 상관성이 있기 때문에 송신측에 있어서 제2의 필드신호인 복수화소의 에너지 정보에 의해서 제1필드신호인 레벨제어롤 행하여도 수신측에 있어서는 제1필드의 레벨을 송신측과 같은 레벨로 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치에 있어서 주신호로서 상기 제1필드의 신호가 이용되고 부가신호로서 제2필드의 신호를 이용해도 좋다. 이는 주신호의 에너지 정보를 이용하고 부가신호 전송도중의 레벨을 억제하고 부가신호가 다른 신호에 방해를 주지 않도록 하는 점에서 본 발명의 특징이 있다. 다른 신호는 상기 실시예와 같이 주신호 자신이어도 좋고 문헌과 같이 센터신호이어도 좋다. 제5도는 본 발명에 관계된 다중신호 전송장치의 제3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이다. 또 제6도는 본 발명에 관계된 다중신호 수신장치의 제3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이다. 이 실시예는 수평방향의 고정밀세밀화 신호를 부가신호로서 전송하는 시스템에서 본 발명을 적용한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현행방식이 NTSC 방식일 경우를 대표해서 설명한다. 우선 제5도의 다중신호 전송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서 "51"은 칼라 TV신호의 휘도신호(Y)가 입력되는 입력단자이다. "52"는 같은 색도신호(I)가 입력되는 입력단자이고 "53"은 색도신호(Ω)가 입력되는 입력단자이다, 입력단자(51)에서 입력되는 휘도신호(Y)는 제7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0-6MHz의 수평대역을 가진다. 이 휘도신호는 컷 오프(cut-off) 주파수가 4MHz의 로패스 필터(이하, LPE라고 한다)(54)와 감산회로(55)에 의해서 수평 대역이 0-4MHz의 주신호(Y1)와 수평대역이 4-6MHz의 부가신호(Y2)로 분리된다. 이 주신호(Y1)와 부가신호(Y2)를 제7도에 나타낸다. 여기서 주신호(Y1)는 NYSC 방식의 휘도신호로서 사용된다.
한편, 부가신호(Y2)는 고정밀 세밀화용 휘도신호로서 사용된다. LPE(54)에서 출력되는 주신호(Y1)는 수평·수직의 2차원 LPF(56)에 의해 대역 제한된다. 이 대역제한의 상태를 제8도에 나타낸다. 여기서 제8도(a)는 수평·수직 공간주파수 영역의 스펙트럼을 나타내고 제8도(b)는 시간·수직의 공간 주파수 영역의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제8도(a)에 나타낸 바와같이 LPF(56)에서는 수평방향 ±2MHz 이상, 수직방향 ±(3×525)/8-525/2[c.p.h]의 성분이 제거된다. 이 제거영역은 제8도(b)에서는 사선으로 나타낸다. 이 제거영역은 부가신호를 다중하기 위해 영역으로서 사용된다. 주신호(Y1)가 이와같은 제거영역을 가진것으로서도 이 영역의 성분은 원래 화면상으로는 경사방향의 화상성분이고 인간의 눈에는 뜨이지 않기 때문에 해상도가 저하하는 것은 없다. 또한 LPF(56)의 구체적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LPF(56)의 출력은 가산회로(57)에 의해 상세하게 후술하는 재산처리에 의해서 얻어진 부가신호(Y2')와 주파수 다중된다. 이 경우 부가신호(Y2')에 대해서 상세하게 후술하지만 부가신호(Y2)는 LPF(56)에 의해서 처리된 주신호(Y1)의 제거영역에 주파수 다중 할 수 있도록 주파수 이동되었던 것이다. 이 이동신호는 가산회로(58)에 의해 다중처리를 받은 색도신호(I), (Q)와 주파수 다중된다. 이 다중신호는 출력단자(59)에 접속된 도시하지 않는 송신부에 의해 수신측에 송신된다.
상기 부가신호(Y2)의 재산처리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감산회로(55)에서 출력되는 부가신호(Y2)는 셀럭터(60)에 의해 제1필드(F1)의 1라인 간격의 신호와, 제2필드(F2)의 1라인 간격의 신호가 0레벨의 신호로 치환된다. 이 상태를 제9도에 나타낸다. 여기서 X표시를 붙이는 위치가 0레벨의 신호에 의해 치환되는 위치이다. 이 치환에 의해 부가신호(Y2)의 수직대역은 525/8[c.p.h]로 된다. 이에 따라 상기 LPF(56)에 의해서 처리된 주신호(Y1)의 수직영역과 같은 수직영역을 가진 부가신호(Y2L1)가 얻어진다. 셀렉터(60)의 출력(Y2L1)은 수직방향의 LPF(61)에 공급되고, 상기 처리에 의해 생긴 수직방향의 반복성분을 제거시킨다. 이 LPF(61)의 출력특성을 제10도에 나타낸다. 여기서 제10도(a)는 수평·수직영역의 스펙트럼을 나타내고 제10도(b)는 시간·수직영역의 스팩트럼을 나타낸다. 또한 LPF(61)의 구체적 성분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 셀렉터(60) 및 수직 LPF(61)는 제1도의 필터부(12)에 대응한다. LPF(61)에 의해서 대역제한되고 출력되어 부가신호(Y2L2)는 레벨 변환회로(62)에 의해 A(일정수)배 된다. 이 레벨 변환회로(62)의 출력은 재산회로(63)에 의해 주신호(Y1)에서 구해진 제어신호(X)를 나누는 수로서 제산된다. 이 제산결과(Y2L')가 주파수 다중 처리회로로 처리되고 그 주파수 영역이 시프트(shift)되면 앞의식(2)에 의해서 나타난 부가신호(Y2')가 얻어진다. 또한 제어신호(X)의 생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제산회로(63)에서 출력되는 부가신호(Y2L3)는 승산회로(64)에 의해서 주파수가 16/7 fsc(=8.2MHz)로, 또 필드마다에 위상이 반전하는 캐리어신호를 사용하고 변조된다. 이에 따라 상기 LPF(56)의 제거역에 위치하는 부가신호(Y2)가 얻어진다. 여기서 fsc는 색부반송파 주파수이다. 제11도는 변조후의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또한 제11는 휘도신호(Y)의 샘플링 주파수가 4fsc인 경우를 대표해서 나타낸다. 제11도에 있어서 사선을 붙인 성분은 변조에 의해서 생긴 반복성분이다. 반복성분의 수평대역은 0-2MHz이다.
따라서 승산회로 HPF에 의해서 지역 제한된다. 이에 따라 제12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반복성분의 제거된 부가신호(Y2')가 얻어진다. 이 부가신호(Y2')의 수평·수직영역의 스펙트럼을 제13도(a)에 나타내고, 시간·수직영역의 스펙트럼을 제13도(b)에 나타낸다. 이 제13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부가신호(Y2')는 수직회로(64)의 변조와 BPF(65)의 작용에 의해서 LPF(56)의 제거영역에 해당하는 수직 525/2[c.p.h] 수평 2-4MHz의 위치에서 위치결정된다. BPF(63)에서의 출력되는 부가신호(Y2')는 스위치(66)를 통해서 가산회로(57)에 공급되고 주신호(Y1)와 주파수 다중된다. 스위치(56)의 온·오프는 동작검출회로(67)의 동작검출출력에 따라서 제어된다. 이 동작검출 회로(67)는 입력단자(51)에서 입력되는 휘도신호(Y)의 프레임 간 차이분을 얻고서 그레벨을 소정 레벨과 비교함으로서 화상이 움직이는 화상인지 정지된 화상인지를 판정한다. 스위치(66)는 동작검출회로(67)에 의해서 정지된 화상이라고 판정되었을 경우만 온(ON) 상태로 된다. 이에 따라 정지된 화상의 경우만 부가신호(Y2')가 주신호(Y1)에 주파수 다중된다.
상기 제어신호(X)는 다음과 같이 해서 생성된다. 상기 LPF(56)에 의해 지역제한된 주신호(Y1)는 HPF(68)에 공급되고 수평대역이 2-4MHz 성분을 추출시킨다. 이 성분은 제7도에 Y3로서 나타낸다. 주신호(Y1)에서 얻어진 고역성분(Y3)은 직류성분을 포함하지 않는분, 주신호(Y1)보다도 부가신호(Y2)와 상관성이 높다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는 이고역성분(Y3)을 사용하여 제어신호(X)가 생성된다. 즉, 이 고역성분(Y3)은 절대치 회로(69)에 의해 절대치를 얻은 후, 누적가산회로(70)에 의해 누적가산된다. 이 누적가산결과는 가산회로(71)에 의해 고정치(B)로 가산된다. 이 가산결과가 제어신호(X)로서 제산회로(63)에 공급된다.
전술한 색도신호(I), (Ω)의 다중처리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즉, 입력단자(52)에서 입력되는 색도신호(I)는 승신회호(72)에 의해 주파수(fsc) 캐리어 신호를 사용하여 변조된다. 이 변조출력은 LPF(73)에 의해 수평대역을 0-1.5MHz로 지역제한된다.
한편 입력단자(53)에서 입력되는 색도신호(Ω)는 승산회로(74)에 의해 색도신호(I)용 캐리어신호와는 위상이 90°벗어난 주파수(fsc)의 캐리어 신호를 사용하여 변조된다. 이 변조출력은 LPF(75)에 의해 수평대역을 0-0.5MHz로 제한된다. LPF(73), (75)의 출력은 가산회로(75)에 의해 주파수 다중된다. 이 다중출력은 가산회로(58)에 의해 주신호(Y1)와 부가신호(Y2')와의 다중신호에서 주파수 다중된다.
이상 제5도에 나타낸 다중신호 전송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설명했지만 여기서 2차원 LPF(56)와 수직HPF(61)와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우선 2차원 LPF(56)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4도는 2차원 LPF(56)의 구체적 구성의 한예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이 제14도에 있어서 앞서 제5도의 LPF(54)에서 출력된 주신호(Y1)은 커트 오프 주파수가 2MHz의 수평 LPF(81)와 가산회로(82)에 의해서 수평 대역이 0-2MHz의 저역성분과 2-4MHz의 고역성분으로 분리된다. 가산회로(82)에서 출력되는 고역성분은 수직·시간방향의 LPF(83)에 의해 수평 대역을 0-(3×525)/8[c·p·h]에 제한된다. 이 대역제한 출력은 가산회로(84)에 의해서 LPF(81)에서 출력되는 저역성분과 주파수 다중된다. 이에따라 앞의 제8도에 나타낸 바와같은 스펙트럼에서 지역제한된 주신호(Y1)가 얻어진다.
다음으로 수직방향의 LPF(61)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5도는 LPF(61)의 구체적 구성의 한예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이 제15도에 있어서 1H 지연회로(91), (92), 261H 지연회로(1필드 지역회로)(93), 1H 지연회로(94), (95), 가산회로(96), (97) 계수회로(98), (99), (100), 가산회로(101)는 프레임 내의 제1필드를 위해 저역통과 필터(LPE)를 형성한다. 이 LPF는 5개의 탭(tap)을 가지고 그 필터 연상대상 라인의 모식도는 제16도(a) 에 나타낸 바와같이 되어 있다. 또 1H 지연회로(91), (92), 261H 지연회로(1필드지연회로(93), 1H지연회로(94), 가산회로(102), (103), 계수회로(104), (105), (106), 가산회로(107)는 프레임내의 제2필드를 위해 저역통과 필터(LPF)를 형성한다. 이 LPF도 5개의 탭을 가지고 그 필터 연산 대상 라인의 모식도는 제16도(b)에 나타난 바와같이 되어있다. 가산회로(109)의 출력은 필드 메모리(108)에 의해 1필드분 지연된다. 이 지연출력과 가산회로(101)의 출력은 셀렉터(109)에 의해 필드마다 상호 선택된다. 이에따라 셀렉터(109)에서는 앞의 제10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지역제한된 부가신호(Y2)가 얻어진다. 또한 필드 메모리(108)는 제1필드의 LPF 출력이 261H 지연회로(93)에 의해 1필드분 지역되어 있기 때문에 제2필드의 LPF 출력을 1필드분 지연시켜서 시간 조정을 행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같이 수직 LPF(61)의 출력은 원신호에 대해서 필드분 지연되기 때문에 제5도에 나타낸 제어신호(X)도 실제는 원신호에 대해서 1필드분 지연되도록되어있다. 또한 앞의 제14도에 나타낸 LPF(83)도 제15도에 나타낸 바와같은 구성으로 되어있다.
이상 제5도의 다중 신호 전송장치를 설명했지만 다음의 제6도의 다중 신호 수신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6도에 있어서 "111"는 수신된 다중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단자이다. 이 입력단자(111)에서 입력되는 다중신호는 Y/C 분리회로(112)에 의해 휘도신호(Y0)(주신호(Y1)와 부가신호(Y2')와의 다중신호)와 색도신호(C)로 분리된다. Y/C 분리회로(112)에 의해서 분리된 휘도신호(Y0)는 필드지연 회로(113), 2차원 HPF(114), HPF(115), 가산회로(116)에 의해 주신호(Y1)와 부가신호(Y2')로 분리된다. 즉, 휘도신호(Y0)는2차원 HPF(114)에 의해 제17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고지역에서 지역제한된다. 이 대역제한 출력은 HPF(115)에 의해서 수평대역을 2-4MHz에서 대역제한된다. 이에따라 제5도에서 설명한 제거영역에서 다중되어있던 부가신호(Y2')가 얻어진다. 이 부가신호(Y2')는 가산회로(116)에 의해서 필드지연회로(113)를 통해서 공급되는 주신호(Y4)에서 감소된다. 그러면 가산회로(116)에서는 제18도(제8도에 대응)에 나타낸 바와같이 지역제한 주신호(Y1)가 얻어진다. 또한 상기 2차원 HPF(114)는 기본적으로 제15도에 나타낸 수직 LPF(61)와 같도록 구성을 가지고 계수회로(98), (99), (100), (104), (105), (106)의 계수를 변화됨으로서 전술한 제17도와 같은 출력특성을 같도록 설치되어 있다. 필드지연회로(113)는 부가신호(Y2')가 2차원 HPF(114)에 의해서 1필드분 지연되는 것을 함해서 휘도신호(Y0)를 1필드분 지연하는 것이다. 가산회로(116)에서 출력되는 주신호(Y1)는 가산회로(117)에 공급된다. 가산회로(117)에서는 주신호(Y1)와 부가신호(Y2')에서 재생된 부가신호(Y2)가 주파수 다중된다.
이에따라 수평대역이 0-6MHz의 휘도신호(Y)가 얻어진다. 이 휘도신호(Y)는 출력단자(118)에 접속된 도시하지 않은 표시부에 공급된다. 부가신호(Y2)의 재생은 다음과 같이 행해여 진다. 즉 HPF(115)에서 출력되는 부가신호(Y2')는 승산회로(119)에 의해 송신측과 같이 필드마다 위상이 반전하는 주파수 16/7fsc의 캐리어 신호를 사용하여 복조된다.
이 복조출력은 BPF(120)에 공급되어 수평대역이 4-6MHz의 성분을 추출시킨다. 이에따라 제19도에 나타낸 스펙트럼을 가진 부가신호(Y2')(제10도에 대응)가 얻어진다.
이 부가신호(Y'2)는 승산회로(121)에 의해서 송신측과는 역으로 주신호(Y1)에서 구해진 제어신호(X)를곱하는 수로서 승산된다. 이 승산은 앞의식(3)에 나타낸다. 승산회로(121)에서 출력되는 부가신호(Y2)는 송신측과는 역으로 레벨 변환회로(122)에 의해 1/A배된다.
이 레벨 변환 출력은 스위치(123)를 통해서 상기 가산회로(117)에 공급되고 주신호(Y1)와 주파수 다중된다. 이에따라 제20도에 나타낸 스팩트럼을 가진 휘도신호(Y)가 얻어진다. 스위치(123)의 온·오프는 동작검출회로(124)에 의해 제거된다.
이 동작검출회로(124)는 Y/C분리 회로에서 출력되는 휘도신호(Y0)의 프레임간 차이분을 얻음으로서, 화상이 움직이는 화상인지 정지된 화상인지를 판정한다. 스위치(123)는 동작검출회로(124)에서 정지된 화면이라고 판정했을 경우에 온 상태로 된다.
이에따라 부가신호(Y2)는 정지된 화면시만 주신호(Y1)에서 주파수 다중된다. 상기 제어신호(X)는 다음과 같이해서 생성된다. 즉, 상기 가산회로(116)에서 출력되는 주신호(Y1)는 HPF(124)에 공급되고, 수평대역이 2-4MHz의 고역성분(Y3)을 추출시킨다.
이 고역성분(Y3)은 송신측과 같고 절대치 회로(125)에서 절대치를 얻은 후 누적가산 회로(126)에서 누적가산된다. 이 누적가산출력은 가산회로(127)에 의해 고정치(13)로 가산된다. 이에따라 제어신호(X)가 얻어지고 상기 승산회로(121)에 공급된다.
누적가산회로(126)의 누적가산처리는 앞의식(1)에서 나타낸다. 상기 색도신호(C)는 다음과 같이 해서 복조된다. 즉, Y/C분리회로(112)에서 출력되는 색도신호(C)는 승산회로(128), (129)에 의해서 각각 서로 위상이 90도 다른 주파수(fsc)의 캐리어신호를 이용하고 복조된다.
이 복조에 의해서 승산회로(128), (129)에서는 각각 색도신호(I), (Q)가 출력된다. 이 색도신호(I), (Q)는각각 LPF(130), (131)에 의해 0-1.5MHz, 0-0.5MHz에 대역제한된 후, 출력단자(132), (133)에 접속된 도시하지 않은 화상표시분에 공급된다.
또한 제5도 및 제6도에서는 누적가산회로(70),(126)로서 1클럭 지연회로와 가산회로로 이어진 회로를 나타냈지만 제21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가산회로(141)와 1클럭주기의 클럭(CK)에서 구동되는 래치회로(142)로 이루어진 누적가산회로를 이용하여도 좋다.
이상 본 발명을 수평방향의 고정밀 세밀화 신호를 부가신호로서 전송하는 시스팀의 다중신호 전송장치 및 다중신호 수신장치에 적용할 경우를 설명했지만, 이 경우에 있어서도 부가신호(Y2)를 충실히 재생할 수 있고, 또 화상의 에지부에 있어서 주신호(Y1)에 대한 부가신호(Y2)의 방해를 없앨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더구나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주신호(Y1)에서 제어신호(X)를 생성하는데 적당하고 부가신호(Y2)에 의해 상관성이 높은 4-5MHz의 고역성분(Y3)을 이용해서 생성하도록 한것이기 때문에 주신호(Y1)에 대한 부가신호(Y2)의 방해 저감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주파수 다중신호를 분리를 위한 기술은 예를들면 문헌 「IEEE TRANSACTION ON COMUNICA-TIONS, VOL. COM-30. NO.8, 1984, 8 "Extended Definictuion TV Fully Comatible with Existing Standerds" FUKINUKE등」에 개시되어 있는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제22도는 본 발명에 관계된 다중신호전송장치의 제4의 실시예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이다. 또 제23도는 본 발명에 관계된 다중신호 수신장치의 제4의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이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수직방항의 고정밀 세밀화 신호를 부가신호(Y2)로서 전송하는 방식의 다중신호 전송장치 및 다중신호 수신장치에 적용했을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수직방향의 고정밀세밀화 신호를 부가신호(Y2)로서 전달하는 시스템으로서는 예를들면 현행방식보다 어스펙트비의 커다란 화면을 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와이드 어스펙트 시스팀이 있다. 여기서 현행 방식과의 양립성을 고려한 와이드 어스펙트 방식의 한예를 제24도 및 제25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24도는 와이드 어스펙트 방식의 TV신호를 현행의, 예를들면 NTSC방식의 TV수상기에 수신했을 경우의 화면 포맷을 나타내고 제2도는 와이드 어스펙트 방식의 TV수상기에서 수신했을 경우의 화면 포맷을 나타낸다. 제24도에 있어서, "151"은 어스펙트 비 4 : 3의 NTSC화면이고 "15"는 어스펙트 비 16 : 9의 와이드 어스펙트 화면이고 "153""154"는 예를들면 일정휘도의 화면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와이드 어스펙트 화면(151)은 수직방향으로 시간 압축을 받아서 NTSC화면 (152)내에서 수습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이 와이드 어스펙트 화면(153), (154)을 부가함에 따라서 NTSC화면(151)을 형성하도록 되어있다.
이와같은 TV신호를 와이드 어스펙트 방식의 TV수상기에서 수신했을 경우는 와이드 어스펙트 화면(l52)을 수직방향으로 신장함으로서 제25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TV수상기의 화면표시 영역 전체에 와이드 어스펙트 화면(152)을 표시하도록 되어있다.
또한 TV수상기의 수직해상도를 480개로 하면 와이드 어스펙트 방식의 TV신호를 NTSC방식의 TV수상기에서 수신했을 경우는 와이드 어스펙트 화면의 수직해상도를 360개로 되고, 와이드 어스펙트 방식의 TV수상기에서 수신했을 경우는 480개로 된다.
이상 기술한 바와같은 구성에 있어서 각 라인 수직방향의 고정밀 세밀화 신호, 결국, 부가신호(Y2)는 화면(153), (154)에 대응하는 부분에 주파수 다중된다.
이 경우 부가신호(Y2)는 525/4[c.p.h]의 성분을 포함하기 때문에 NTSC방식의 TV수상기에서는 화면(153), (154)의 부분에 부가신호(Y2)에 의한 방해가 꽤 현저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화면(153), (154)부분에서의 주신호(Y1)에 대한 부가신호(Y2)의 방해를 없애고 또 부가신호(Y2)를 정확히 재생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22도의 다중신호 정송장치를 설명한다. 또한 이 제22도에 있어서는 휘도신호의 처리계만 나타내고 색도신호의 처리계는 생략한다. 도면에 있어서 "162"은 와이드 어스펙트 방식의 TV신호의 휘도신호(Y)가 입력되는 입력단자이다.
또한 이 휘도신호(Y)는 예를들면 인터레이스 신호이다. 입력단자(161)에서 입력되는 휘도신호(Y)는 수직방향의 LPF(162)와 강산회로(136)에 의해서 수직방향의 저역성분과 고역성분으로 분리된다.
이 보간(interpolation) 필터는 입력단자(201)에서 입력되는 주신호(Y1)를 필드메모리(202), 1H 지연회로(203), (204), (205)에서 지연하고, 각 텝 출력에서 계수회로(206), (207), (208), (209)에 의해서 계수를 곱해서, 이들을 가산회로(210)에서 가산하고 출력단자(211)에서 출력하도록 한 것이다.
이 경우 계수회로(206), (207), (209)의 계수는 합계하면 1로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 이 계수는 형성된 라인에 의해서 다르기 때문에 라인마다 변환되도록 되어있다. 이에따라 출력단자(211)에서는 시간 압축된 주신호(Y1)가 얻어진다.
시간압축시회로(164)는 이와같이 해서 얻어진 주신호(Y1)에 화면(153), (154)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일정휘도의 신호를 부가하고 이것을 주신호(Y1)로서 출력한다. 제31도에 시간압축의 모양을 나타낸다.
이 시간압축에 의해서 주신호(Y1)의 수직대역은 0-525/2[c.p.h]로 되돌아간다. 이와같이 일정 휘도의 신호가 부가된 주신호(Y1)는 가산회로(165)에 의해 부가신호(Y2')와 시간 다중된다. 이 다중신호는 출력단자(166)에 접속된 도시되지 않는 송신부에 의해 송신된다.
부가신호(Y2)는 라인 추출회로(167)에 의해 라인 추출을 받는다. 이 라인 추출은 제1필드(F1)와 제2필드(F2)를 합해서 생각하면 제32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4라인에서 1라인분의 신호를 추출하도록 해서 행하여진다.
그러나 실제에서는 제1필드(F1)의 신호는 1라인 간격으로 추출하고 제2의 필드(F2)의 신호는 모두 추출한다고 해서 행하여 진다. 라인 추출회로(167)에서 출력되는 부가신호(Y2)는 레벨변환회로(168)에 의해 A배된다. 이 A배 출력은 제산회로(169)에 의해서 주신호(Y1)에서 구해진 제어신호(X)를 나누는 수로서 제산된다.
이 제산에 의해서 얻어진 부가신호(Y2')는 시간다중처리회로(170)에 의해 제29도의 사선부 결국, 화면(153), (154)의 시간다중 하기 위해 지연처리를 받는다.
이 지연처리를 받은 부가신호(Y2')는 가산회로(165)에 의해 시간압축된 주신호(Y1)와 다중된다. 이에따라 제29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다중신호가 얻어진다. 상기 제어신호(X)는 다음과 같이 해서 생성된다. 즉, 시간압축회로(164)에서 출력되는 주신호(Y1)은 라인 추출회로(171)에 의해 라인추출을 받는다.
이 라인 추출은 수직방향으로 3라인에서 1라인분의 신호를 추출하도록 해서 이루어진다. 이 라인추출 처리는 라인간 추출회로(167)의 처리에 대응시키기 위해서이다. 라인추출회로(171)의 출력은 절대치회로(172)에 의해 절대치를 얻은 후, 누적가산회로(173)에 의해 N화소분씩 누적가산된다.
이 누적가산 출력은 가산회로(174)에 의해 고정치(B)와 가산되고 제어신호(X)로서 제산회로(169)에 공급된다. 이에따라 제산회로(169)에서는 앞의식(2)에서 나타낸 부가신호(Y2')가 얻어진다. 다음으로 제23도의 다중신호 수신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 제23도에 있어서도 색도신호의 처리개는 생략한다. 이 제23도에 있어서 "221"은 수신된 다중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단자이다. 이 입력단자(221)에서 입력되는 다중신호중에 주신호(Y1)는 시간신장회로(222)에 의해 4/3배로 시간 신장된다. 이에따라 주신호(Y1)의 수직대역은 0-(3×525)/8[c.p.h]까지 좁혀진다.
시간 신장회로(222)에서 출력되는 주신호(Y1)는 가산회로(223)에 의해 재생부가 신호(Y2)로 시간 다중된다. 이에따라 수직방향의 고정될 세밀성분을 포함하는 와이드 어스펙트비의 휘도신호(Y)가 얻어진다. 이휘도신호(Y)는 출력단자(224)에 접속된 도시하지 않는 화상표시부에 의해서 화상표시에 제공된다.
상기 부가신호(Y2)는 다음과 같이해서 재생된다. 즉, 입력단자(221)에서 입력되는 다중신호는 부가신호분리회로(225)에 공급된다. 이 부가신호분리회로(225)는 입력회로에서 화면(153), (154)의 위치에서 시간 다중된 부가신호(Y2')를 분리한다.
이 부가신호(Y2')는 지연조정회로(226)에 의해 지연조정을 받은후, 승산회로(227)에 공급된다. 여기서 지연조정회로(226)는 제33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각 라인의 부가신호(Y2')의 시간축을 이것이 송신축에 빠져나온 라인의 시간축에 맞추기 위한 회로이다.
이 경우 지연조정회로(226)는 시간을 거슬러 올라가서 시간조정을 행하고 있다고는 볼 수 없고 실제에서는 후술하는 라인 추출회로(230)에서 필드 지연회로를 설치항으로서 모두 1필드분 늦게 신호 처리를 행하도록 되어있다. 이와같이 해서 지연조정된 부가신호(Y2')는 승산회로(227)에 의해서 주신호(Y1)에서 구해진 제어신호(X)를 곱하는 수로서 승산된다.
이에따라 부가신호(Y2)가 재생된다. 재생된 부가신호(Y2)는 송신측과는 역특성을 가진 레벨 변환회로(228)에 의해 1/A배된다. 이 1/A배출력은 수직방향의 LPF(229)에 의해 수직대역을 528/8[c.p.h]으로 제한시킨후, 가산회로(223)에 있어서 수직대역(3×525)/8 [c.p.h]의 주신호(Y1)에서 주파수 다중된다.
상기 제어신호(X)는 송신측과 같은 양상으로 라인 추출회로(230), 절대치 회로(231), 누적가산회로(232), 가산회로(233)에 의해서 생성된다. 이상 본 발명을 수직방향의 고정밀 세밀화 성분을 전송하는 와이드 어스펙트 방식의 장치에 적용할 경우의 한 실시예를 설명했지만 이 경우에 있어서도 주신호(Y1)에 대한부가신호(Y2)의 방해 저감 및 부가신호(Y2)의 정확한 재생을 꾀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은 앞의 실시예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예를들면 앞의 실시예에서는 주신호의 에너지를 검출하는데 주신호의 절대치 혹은 2승치를 누적가산할 경우를 설명했지만 이것 이외의 구성을 이용해도 좋은 것도 물론이다.
또 앞의 실시예에서는 부가신호의 레벨을 제어하는데 송신측에서는 부가신호를 제산처리하고, 수신측에서는 승산처리할 경우를 설명했지만 송신측과 수신측에서 역의 제어가 어루어져 있다면 이것이외의 제어를 행하도록 해도 좋다.
또 앞의 실시예에서는 부가신호가 수평방향 혹은 수지방향의 고정밀 세밀화용 신호일 경우를 설명했지만 주신호와 상관성을 가진 신호이라면 이것이외의 신호이어도 좋다.
이외에도 본 발명은 그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 변형 실시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이상 기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주신호의 에지부에 대한 부가신호의 방해를 없앨 수 있고, 또 부가신호를 정확히 재생시킬 수 있다.

Claims (14)

  1. TV신호로서의 주신호의 복수 화소분의 에너지를 검출하는 에너지 검출수단과, 이 에너지 검출수단의 검출출력을 기초로해서 상기 주신호와 상관성이 있는 부가신호의 레벨을 제어하는 레벨 제어수단과, 이 레벨제어수단에 의해서 레벨을 제어시킨 상기 부가신호를 상기 주신호에 주파수 다중하는 주파수 다중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신호 전송장치.
  2. TV신호로서의 주신호에서 이 주신호와 상관성이 있는 부가신호가 주파수 다중되고, 또, 상기 부가신호의 레벨이 상기 주신호의 복수화소분 에너지의 검출출력을 기초로해서 제어되는 다중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장치와, 상기 다중신호를 상기 주신호와 상기 부가신호에서 주파수 분리하는 주파수 다중신호 분리수단과, 이 주파수 다중신호 분리수단에 의해서 분리된 상기 주신호의 복수 화소분의 에너지를 검출하는 에너지검출수단과, 이 에너지 검출수단의 검출출력을 기초로해서 상기 주파수 다중신호 분리수단에 의해서 분리된 상기 부가신호의 레벨을 송신측과는 역특성으로 제어하는 레벨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신호 수신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신호 레벨의 크기를 검출하는 크기검출 수단과, 이 크기 검출수단의 검출출력을 복수 화소분 누적 가산하는 누적 가산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신호 수신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 제어수단은 상기 에너지 검출수단의 검출출력에서 소정의 고정치를 합성한 것으로 상기 부가신호의 레벨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신호 수신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신호는 화상의 고정밀세밀화용 신호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신호 수신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검출수단은 상기 주 신호중에서 적어도 직류성분을 제거한 성분의 에너지를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신호 수신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신호는 필터부에 의해서 TV신호의 공간주파수 영역에서의 수직방향의 ±[(3×525)/8]-±[525/2](c.p.h), 수평방향의 ±2MHz이상의 수직방향 경사성분이 제거되고 제거영역을 가진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신호 수신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신호는 2차원 필터에 의해 전술한 제거영역에서 주파수 다중 되도록 주파수 영역이 시프트 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신호 송신장치.
  9. TV신호로서 주신호의 복수 화소분의 에너지를 검출하는 에너지 검출수단과, 이 에너지 검출수단의 검출출력을 기초로해서 상기 주신호와 상관성이 있는 부가신호의 레벨을 제어하는 레벨제어수단과, 이 레벨제어수단에 의해서 레벨을 제어시키는 상기부가 신호를 상기 주신호에 시간 다중하는 시간 다중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신호 전송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전술한 주신호와 부가신호는 광지역의 TV신호를 구성하고, 전술한 주신호는 그중의 저지역 성분이고, 전술한 부가신호는 전술한 주신호와 상관성 있는 고지역 성분이고, 전술한 시간 다중수단은 전술한 부가 신호를 전술한 주신호가 형성하는 화면의 상측 영역과 하측 영역에 시간 다중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신호 전송장치.
  11. 광대역 TV신호의 저역성분인 주신호와, 전술한 광대역 TV신호의 고역성분인 부가신호를 포함하는 다중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장치에 있어서, 전술한 다중신호는 전술한 주신호가 시간 압축되고, 전술한 부가신호가 전술한 주신호의 복수 화소분의 에너지에 의해 레벨제어되고, 또 시간 압축된 주신호의 상측영역과 하측영역에서 시간 다중 되어있는 신호로서 이 신호를 수신하는 장치와, 전술한 다중신호에서 주신호와, 그 상측 영역과 하측 영역의 부가신호를 분리하는 분리수단과, 전술한 주신호를 시간 신장하는 시간 신장수단과, 전술한 주신호의 복수 화소분의 에너지를 연속적으로 검출하는 에너지 검출수단과, 이 에너지 검출수단의 출력에 따라서 전술한 분리 수단에서 출력되는 부가 신호의 레벨을 제어하는 레벨 제어수단과, 이 레벨제어수단에서의 부가신호와 전술한 시간 신장된 주신호를 주파수 다중하는 다중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신호 수신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전술한 부가 신호는 와이드 어스펙트 TV신호의 사이드패널용 신호의 제1 및 제2의 펄스신호를 포함하고, 적어도 전술한 제2필드의 신호가 전술한 수직 오버 스캔부에서 시간 다중되도록 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신호 수신장치.
  13. 와이드 어스펙트 TV신호의 사이드패널용 신호의 제2필드의 고역성분 신호인 복수 화소분의 에너지를 검출하는 에너지 검출수단과, 이 에너지 검출수단이 검출출력을 기초로해서 상기 주신호와 상관성이 있는 제1필드의 고역성분인 부가신호의 레벨을 제어하는 레벨제어 수단과, 상기 주 신호를 수직 오버스캔부에서 시간다중하는 수단과, 상기 레벨 제어수단에 의해서 레벨을 제어시키는 상기 부가신호를 상기 와이드어스펙트 TV신호의 센터 패널용 신호에서 주파수 다중하는 주파수 다중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신호 전송장치.
  14. 와이어 어스펙트 TV신호의 센터패널 신호와 사이드패널 신호를 포함하는 다중신호를 수신하는 장치에 있어서, 수직 오버스캔부에서 다중되는 사이드 신호의 제2필드 고역 성분의 복수 화소분의 에너지를 검출하는 에너지 검출수단과, 센터 패널에서 주파수 다중시킨 사이드패널 신호의 제1필드 고역성분과 센터패널 신호를 주파수 분리하는 주파수 분리수단과, 분리된 사이드 패널 신호의 제1필드 고역성분의 레벨을전술한 에너지 검출수단에 의해서 얻어진 검출출력을 기초로 해서 송신측과는 역특성으로 제어하는 레벨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신호 수신장치.
KR1019900008607A 1989-06-07 1990-06-07 다중신호 전송장치 및 다중신호 수신장치 KR9300021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9-144947 1989-06-07
JP1144947A JPH0810927B2 (ja) 1989-06-07 1989-06-07 多重信号伝送及び受信装置及びその方法
JP144947 1989-06-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2270A KR910002270A (ko) 1991-01-31
KR930002142B1 true KR930002142B1 (ko) 1993-03-26

Family

ID=15373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8607A KR930002142B1 (ko) 1989-06-07 1990-06-07 다중신호 전송장치 및 다중신호 수신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067018A (ko)
JP (1) JPH0810927B2 (ko)
KR (1) KR930002142B1 (ko)
CA (1) CA20183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51135A (en) * 1990-06-01 1994-09-27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Managing letterbox signals with logos
US5345270A (en) * 1990-06-01 1994-09-06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Managing letterbox signals with logos and closed captions
US5093725A (en) * 1990-06-22 1992-03-03 At&T Bell Laboratories Dynamic signal modification for achieving interference reduction in concurrently transmitted signals
US5432557A (en) * 1992-09-07 1995-07-11 U.S. Philips Corporation Extended television signal receiver
US5982950A (en) * 1993-08-20 1999-11-09 United Parcel Services Of America, Inc. Frequency shifter for acquiring an optical target
JPH0767081A (ja) * 1993-08-24 1995-03-10 Nippon Television Network Corp 付加信号のレベル適応伝送受信装置
TW243577B (ko) * 1993-08-31 1995-03-21 Toshiba Co Ltd
JP2844514B2 (ja) * 1993-11-26 1999-01-0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テレビジョン信号処理装置
DE4415981A1 (de) * 1994-05-06 1995-11-09 Thomson Brandt Gmbh Farbfernsehempfänger mit PALplus-Betrieb
KR100317351B1 (ko) * 1994-12-07 2002-02-19 구자홍 팔프러스티브이의직류오프셋보상회로
KR100343671B1 (ko) * 1994-12-07 2002-1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팔프러스(pal+)티브이의헬퍼잡음보상회로
US5880941A (en) * 1994-12-22 1999-03-09 Sony Corporation Digital video signal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for storing a vertical resolution signal
US5751338A (en) * 1994-12-30 1998-05-12 Visionary Corporate Technologies Methods and systems for multimedia communications via public telephone networks
US6972786B1 (en) 1994-12-30 2005-12-06 Collaboration Properties, Inc. Multimedia services using central office
KR100339250B1 (ko) * 1999-04-29 2002-05-31 최홍식 압력발생 및 부피팽창을 완화시키는 김치의 포장방법
US7847727B2 (en) * 2006-08-29 2010-12-07 Pinpoint Productions LLC Object identity and location track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9407B2 (ja) * 1987-02-09 1996-10-0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テレビジョン信号の送信装置、記録装置、受信装置
US4985769A (en) * 1988-03-23 1991-01-1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ultiplex TV signal processing apparatus
US4945411A (en) * 1988-08-31 1990-07-31 North American Philips Corporation HDNTSC channel with time and frequency multiplex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2270A (ko) 1991-01-31
JPH0310481A (ja) 1991-01-18
JPH0810927B2 (ja) 1996-01-31
CA2018395A1 (en) 1990-12-07
US5067018A (en) 1991-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10901B1 (ko) 텔레비젼형 신호 처리 및 수신 장치
KR100388579B1 (ko) 공통지연소자를갖는휘도/색차를분리시키기위한방법및장치
EP0497222B1 (en) Video noise reduction system employing plural frequency bands
KR930002142B1 (ko) 다중신호 전송장치 및 다중신호 수신장치
US4754322A (en) YC-signal separation circuit responsive to magnitude of vertical correlation
EP0497221B1 (en) Dual band progressive scan converter with noise reduction
EP0546840B1 (en) Vide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US5268760A (en) Motion adaptive impulse noise reduction circuit
Okada et al. Flicker-free non interlaced receiving system for standard color TV signals
KR100218817B1 (ko) 비디오신호처리및수신장치
KR920006152B1 (ko) 대역변환방식의 텔레비젼신호 전송/수신시스템
KR940011599B1 (ko) 다중화신호 전송장치 및 다중화신호 수신장치
JPH0439274B2 (ko)
JPH02257195A (ja) テレビジョン信号処理装置
KR920004567B1 (ko) 다중화 신호 수신 장치
JP2660094B2 (ja) テレビジョン信号処理装置及び方法
EP0641127A2 (en) Widescreen TV transmitting apparatus
JP2928597B2 (ja) 帯域圧縮テレビジョン信号の受信装置
KR0140246B1 (ko) Muse/ntsc 방식 신호변환방법 및 그 장치
JPH01253381A (ja) テレビジョン信号走査変換伝送方法
JPH07245744A (ja) テレビジョン信号処理装置
EP0804041A2 (en) Vide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for an improved definition television receiver
JPH05207398A (ja) 映像機器のマスク処理回路
JPH06350975A (ja) テレビジョン信号の構成方法
JPH07255041A (ja) テレビジョン信号処理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