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1890B1 - 화상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표시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30001890B1 KR930001890B1 KR1019900005560A KR900005560A KR930001890B1 KR 930001890 B1 KR930001890 B1 KR 930001890B1 KR 1019900005560 A KR1019900005560 A KR 1019900005560A KR 900005560 A KR900005560 A KR 900005560A KR 930001890 B1 KR930001890 B1 KR 93000189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ctron beam
- horizontal
- plate
- electrode
- scree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01J29/10—Screens on or from which an image or pattern is formed, picked up, converted or stored
- H01J29/18—Luminescent screens
- H01J29/20—Luminescent screens characterised by the luminescent material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1/00—Cathode ray tubes; Electron beam tubes
- H01J31/08—Cathode ray tubes; Electron beam tubes having a screen on or from which an image or pattern is formed, picked up, converted, or stored
- H01J31/10—Image or pattern display tubes, i.e. having electrical input and optical output; Flying-spot tubes for scanning purposes
- H01J31/12—Image or pattern display tubes, i.e. having electrical input and optical output; Flying-spot tubes for scanning purposes with luminescent screen
Landscapes
- Cathode-Ray Tubes And Fluorescent Screens For Displa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표시장치의 수평집속전극, 수평편향전극 및 스크린부의 수평방향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수평집속전극의 전자빔 통과구멍에 대한 수평편향전극의 전자빔 통과구멍의 위치편차량 및 수평집속전극과 수평편향전극과의 사이의 전위차와, 전자빔의 스크린위에서 수평방향랜딩위치의 관계를 도시한 특성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표시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와 스크린위에 조사되는 전자빔의 수평방향랜딩위치를 피드백제어하기 위한 회로계통의 블록도.
제4도는 표시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제5도는 동 장치에 있어서의 스크린위의 형광체층의 요부확대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빔랜딩위치검출수단 31 : 증폭회로
32 : 레벨시프트회로 51 : 배면전극
52 : 선형상 음극 53, 53' : 수직집속전극
54 : 수직편향전극 55 : 빔변조전극
56 : 수평집속전극 57 : 수평편향전극
58 : 빔가속전극 59 : 스크린
60, 64, 66 : 슬릿 62 : 절연기판
63a, 63b : 도전체 67 : 판형상전극
68 : 도전판 70 : 형광체
71 : 유리판
본 발명은 컬러텔레비젼수상기, 계산기의 단말디스플레이 등에 사용되는 화상표시장치용 형광에 관한 것이다.
컬러영상을 표시시키기 위한 평판형의 컬러표시장치로서, 일본국 특개소 57-135590호 공보에 개시된 음극 루미네센스를 이용한 것이 있다.
이 표시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4도는 그 기본구성을 도시한 것이며, 뒤쪽으로부터 앞쪽을 향하여 순서대로 배면전극(51), 빔원(beam source)으로서의 선형상 음극(52), 수직집속전극(53), (53'), 수직편향전극(54), 빔변조전극(55), 수평집속전극(56), 수평편향전극(57), 빔가속전극(58) 및 스크린(59)이 배치되어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이 편평한 유리밸브(도시하지 않음)의 진공으로 이루어진 내부에 수납되어 있다.
빔원으로서의 선형상 음극(52)은 수평방향으로 선형상으로 분포하는 전자빔을 발생하도록 수평방향으로 가설되어 있으며, 이러한 선형상 음극(52)이 적당한 간격을 개재해서 수직방향으로 복수개(52a1)∼(52d1)의 4개만 도시되어 있다)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는 15개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이들 선형상 음극은 예를들면 10∼20㎛ø의 텅스텐선의 표면에 산화물 음극재료가 도포되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후술하는 바와같이, 위쪽의 선형상 음극(52a1)에서부터 순서대로 일정시간씩 전자빔을 방출하도록 제어된다. 배면전극(51)은, 그 일정시간 전자빔을 방출해야할 제어되는 선형상 음극(52)이외의 다른 선형상 음극(52)로부터의 전자빔의 발생을 억제하고, 또한 발생된 전자빔을 앞쪽으로만 향해서 밀어내는 작용을 한다. 이 배면전극(51)은 유리밸브의 후벽의 내면에 도전재료를 도포하여 형성해도 된다. 또, 이들 선형상 음극(52), 배면전극(51)으로 구성되는 전자빔원 대신에, 면형상의 전자원을 사용해도 된다.
수직집속전극(53)은 선형상 음극(52a1)∼(52d1)의 각각과 대향하는 수평방향으로 긴 슬릿(60)을 가진 판형상전극이며, 선형상 음극(52)으로부터 방출된 전자빔을 그 슬릿을 통하여 방출하고, 또한 수직방향으로 집속시킨다. 슬릿(60)은 도중에 적당한 간격으로 선반이 설치되어 있어도 되고, 혹은 수평방향으로 작은 간격으로 다수개가 병렬로 설치된 관통구멍의 배열이어도 된다. 수직집속전극(53')도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되어 있다.
수직편향전극(54)은 상기 슬릿(60)의 각각의 중간위치에 수평방향으로해서 복수개 배치되어 있으며, 각각 절연기판(62)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도전체(63a), (63b)가 설치된 것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서로 대향하는 도전체(63a), (63b) 사이에 수직편향전압이 인가되어 전자빔을 수직방향으로 편향시킨다. 여기서는 1쌍의 도전체에 의해서 1개의 선형상 음극으로부터의 전자빔을 수직방향으로 16라인분의 위치에 편향시킨다. 그리고 16개의 수직편향전극(54)에 의해서 15개의 선형상 음극(52)의 각각에 대응하는 15쌍의 도전체쌍이 구성되고, 결국 스크린(59)위에 240개의 수평라인을 그리도록 전자빔을 편향시킨다.
다음에, 빔변조전극(55)은 각각이 수직방향을 슬릿(64)을 가진 직사각형 모양의 전극(55)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소정간격을 개재해서 수평방향으로 복수개가 나란히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는 320개의 빔변조전극(55a)∼(55n)이 설치되어 있다(도면에서는 10개만 도시되어 있다). 이 빔변조전극(55) 각각이 전자빔을 수평방향으로 1화소분으로 구획해서 방출하고, 또한 그 통과량을 각각의 화소를 표시하기 위한 영상신호에 의해서 변조한다. 따라서, 빔변조전극(55)을 320개 설치하면 수평 1라인당 320개의 화소를 표시할 수 있다. 또 영상을 컬러로 표시하기 위하여 각 화소는 R, G, B의 3색의 형광체로 표시하도록 하고, 각 빔변조전극에는 그 R, G, B의 각 영상신호가 순차 가해진다. 또, 320개의 빔변조전극(55)에는 1라인분의 320조의 영상신호가 동시에 가해지고, 1라인분의 영상이 일시에 표시된다.
수평집속전극(56)은 빔변조전극(55)의 슬릿(64)과 서로 대향하는 수직방향으로 긴 복수개(320개)의 슬릿(66)을 가진 판형상전극(67)이며, 수평방향으로 구분된 각각의 화소마다의 전자빔을 각각 수평방향으로 집속하여 가는 전자빔으로 한다.
수평편향전극(57)은 상기 슬릿(66)의 각각의 중간의 위치에 수직방향으로해서 복수개 배치된 도전판(68)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사이에 수평편향전압이 인가되어 각 화소마다의 전자빔을 각각 수평방향으로 편향시키고, 스크린(59)위에서 R, G, B 각 형광체를 순차 조사하여 발광시키도록 한다. 그 편향폭은, 여기서는 각 전자빔마다 1화소분의 폭이다.
가속전극(58)은 수직편향전극(54)과 마찬가지의 위치에 수평방향으로해서 설치된 복수개의 도전판(68)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자빔을 충분한 에너지로 스크린(59)에 사돌(射突)시키도록 가속한다.
스크린(59)은, 전자빔의 조사에 의해서 발광되는 형광체(70)가 유리판(71)의 뒷면에 도포되고, 또 메탈백층(도시하지 않음)이 부가되어 구성되어 있다. 형광체(70)는 빔변조전극(55)의 1개의 슬릿(64)에 대하여, 즉 수평방향으로 구분된 각 1개의 슬릿(64)에 대하여 R, G, B의 3색의 형광체가 1쌍씩 설치되어 있으며, 수직방향으로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도포되어 있다.
제4도중에서 스크린(59)에 표시한 수평방향의 점선은 복수개의 선형상 음극(52)의 각각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수직방향의 구분을 나타내고, 수직방향의 점선은 복수개의 빔변조전극(55)의 각각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수평방향의 구분을 나타낸다. 이들 양자에 의하여 칸막이된 1개의 구획에는, 제5도에 확대해서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방향에서는 1화소분의 형광체(70)가 있고, 수직방향에서는 16라인분의 폭을 가지고 있다. 1개의 구획의 크기는, 예를들면, 수평방향이 1㎜, 수직방향이 16㎜이다.
또한 제4도에 있어서는, 알기 쉽게 하기 위하여 수평방향의 길이가 수직방향에 대하여 매우 길게 확대되어 그려져 있는 점에 주의해야 한다.
또, 여기서는 1개의 빔변조전극(55) 즉 1개의 전자빔에 대하여 R, G, B의 형광체(70)가 1화소분의 1쌍만 설치되어 있으나, 2화소이상분의 2쌍이상 설치되어도 된다. 그 경우에는 빔변조전극에는 2개이상의 화소를 위한 R, G, B 영상신호가 순차 가해지고, 그것과 동기해서 수평편향이 이루어진다.
이상과 같은 표시장치에 있어서 이하와 같은 문제가 있다.
그것은, 빔변조전극(55), 수평집속전극(56), 수평편향전극(57), 그외 전극으로 이루어진 전극군과 스크린(59)의 형광체 스트라이프 패턴과의 위치편차등에 의한, 스크린위에 조사되는 전자빔의 수평방향의 피치와 형광체 스트라이프 피치의 편차이다.
그 원인의 하나는, 표시장치의 조립공정중에 있어서의 전극군과 스크린의 위치편차이며, 예를들면 스크린(59)은 유리판위에 형성되나 일반적으로 유리판은 열처리를 거칠때마다 수축하여, 30∼40㎝의 유리판이라면 수 10㎛정도 수축할 가능성이 있으며, 또 그값은 일정하지 않다. 따라서 형광체 스트라이프 패턴의 피치에 변화가 발생한다.
원인의 두번째는, 화상표시시에 있어서의 열팽창차이다. 전극군의 재료는 그 열팽창계수가 유리에 가까운 42-6합금(42% Ni, 6% Cr, 나머지 Fe)등을 사용하나, 화상표시상태에 있어서 전극군과 스크린을 동일한 온도로 유지하는 것은 곤란하며, 스크린위에 조사되는 전자빔의 수평방향에 피치와 형광체 스트라이프피치의 편차가 발생한다. 또, 그 편차는 온도의 변화를 수반하여 경시적으로 변화할 가능성도 있다.
그외에, 전극군 혹은 스크린의 뒤집힘도 그 원인이 된다. 또 전극군, 스크린 단일품상태에서의 전극군의 슬릿, 통과구멍의 피치정밀도, 스크린의 형광체 스트라이프피치 정밀도도 문제가 된다.
이와 같은 원인으로 인하여, 스크린위에 조사되는 전자빔의 수평방향의 피치와 형광체 스트라이프피치가 동일하게 되지 않고, 표시장치의 수평방향의 중심부에서 전자빔과 형광체 스트라이프의 수평방향의 위치맞춤을 행하면, 양끝부분에 있어서는 피치오차가 누적되어, 중심부에 대하여 색편차를 일으킨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여, 얼룩이 없는 양호한 화상을 얻을 수 있는 화상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화상표시장치는, 전자빔 통과구멍을 배열한 복수의 판형상전극에 의해서 전자원으로부터의 전자빔을 제어하고 스크린위의 형광체에 조사해서 화상표시를 행하는 화상표시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판형상전극중 제1판형상전극의 전자빔 통과구멍의 배열피치를 제2판형상전극의 전자빔 통과구멍의 배열피치와 다르게 하는 동시에, 이들 두 전극간의 전위차를 제어하는 수단을 설치하고, 전자빔의 스크린위로의 랜딩위치를 제어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상기 화상표시장치에 의하면, 제1판형전극의 전자빔 통과구멍의 배열피치를 제2판형상전극의 전자빔 통과구멍의 배열피치와 다르게 함으로써, 제1판형상전극의 전자빔 통과구멍 및 제2판형상전극의 전자빔 통과구멍을 통과하여 스크린에 조사되는 각 전자빔의 궤도에 스크린위의 위치에 따른 임의의 편향을 부여하는 동시에, 제1판형상전극과 제2판형상전극사이의 전위차를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스크린위의 위치에 따른 임의의 편향량을 확대 혹은 축소해서 스크린위에 조사되는 전자빔의 랜딩피치를 제어할 수 있고, 스크린위에 조사되는 전자빔의 수평방향의 피치와 스크린의 형광체 스트라이프피치의 피치편차를 해소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제4도에 도시한 종래의 화상표시장치에 있어서 수평편향전극(57)의 전자빔 통과구멍 즉 도전판(68)사이의 슬릿의 수평방향의 피치를, 다른 전극의 전자빔 통과구멍 즉 수평집속전극(56)의 슬릿(66) 및 빔변조전극(55)의 슬릿(64)의 수평방향피치에 대하여 약간 크게(예를들면 0.05%∼0.2%정도)함으로써, 제1판형상전극(즉, 수평집속전극(56) 및 빔변조전극(55))의 전자빔 통과구멍에 대한 제2판형상전극(즉, 수평편향전극(57))의 전자빔 통과구멍의 위치를 스크린위의 위치에 따라서 변화시킴 점에 특징을 가진 것이다.
제1도에 수평집속전극(56) 및 수평편향전극(57)부의 수평방향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수평편향전극(57)의 전자빔 통과구멍(즉 도전판(68)사이의 슬릿)의 수평방향의 피치(P7)를, 수평집속전극(56)의 전자빔 통과구멍(슬릿(66))의 수평방향의 피치(P6)에 대하여 ΔP만큼 크게 하고, 또 화면의 수평방향의 중심부에 있어서 수평집속전극(56)의 전자빔 통과구멍과 수평편향전극(57)의 전자빔 통과구멍의 위치맞춤을 행하였다. 따라서, 중심부에서는 수평집속전극(56)의 전자빔 통과구멍과 수평편향전극(57)의 전자빔 통과구멍의 위치편차는 0이며, 중심으로부터 주변방향으로 감에 따라서 위치편차는 커지고, 중심으로부터 N번째(중심의 전자빔 통과구멍에서부터 세어서 N개째의 전자빔 통과구멍의 위치)의 위치에서는 N×ΔP의 위치편차가 발생하게 된다.
제1도중의 1-N, …, 1-2, 1-1, 10, 1+1, 1+2, …, 1+N은 수평집속전극(56) 및 수평편향전극(57)의 전자빔 통과구멍을 통과하여 스크린(59)에 조사되는 전자빔의 궤도를 표시하는 것이며, 수평편향전극의 전자빔 통과구멍의 수평집속전극의 전자빔 통과구멍에 대한 위치편차에 대응하여, 중앙부로부터 주변방향을 향함에 따라서 스크린(59)위로의 수평방향 랜딩위치편차(수평집속전극의 전자빔 통과구멍의 수평방향위치에 대한)가 커진다.
다음에, 제2도를 사용해서 수평집속전극의 전자빔 통과구멍에 대한 수평편향전극의 전자빔 통과구멍의 위치편차량 및 수평집속전극과 수평편향전극 사이의 전위차와, 전자빔의 스크린위에서의 수평방향 랜딩피치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도에 있어서, 가로축은 수평집속전극과 수평편향전극의 전자빔 통과구멍의 위치편차량, 세로축은 스크린위에 조사되는 전자빔의 수평방향 랜딩위치편차량이며, (10a), (10b), (10c)는 수평집속전극과 수평편향전극사이의 전위차 Vf-d를 Va, Vb, Vc로 변화시킨 경우와 전자빔 통과구멍의 위치편차량과 전자빔의 랜딩위치편차량의 관계를 표시한 것이다. 이와 같은 관계에 있어서 수평편향전극의 전자빔 통과구멍의 수평방향피치(P7)의 수평집속전극의 전자빔 통과구멍의 수평방향피치(P6)와의 차(ΔP)와, 전자빔의 스크린위에서의 수평방향 랜딩피치(L)와의 관계를 생각할 수 있다.
화면의 수평방향중심 즉 전자빔 통과구멍의 위치편차가 0인 부분으로부터 화면주변부를 향해서 i번째 위치의 전자빔 통과구멍의 위치편차는 (i×ΔP)가 되고, 수평집속전극과 수평편향전극사이의 전위차가(Vb)인 경우 전자빔의 스크린위에서 수평방향 랜딩위치편차량을 (Li)라고 한다. 마찬가지로 (i+1)번째 위치의 전자빔 통과구멍의 위치편차는 (i+1)×ΔP, 전자빔의 스크린위에서의 수평방향 랜딩위치편차량을 (Li+1)로 한다. 화면의 중심으로부터 주변부를 향해서 i번째 전자빔과(i+1)번째 전자빔사이의 피치(Pi)는
Pi=Li+1-Li+P6
로 표시할 수 있다.
제2도중 (10a), (10b), (10c)는 직선으로 그려져 있으나, 실제, 수평집속전극(56) 및 수평편향전극(57)의 전자빔 통과구멍(슬릿)의 폭, 양자의 사이의 갭, 전압조건을 잘 선택하고, 또한 전자빔 통과구멍의 위치편차량의 범위를 한정하면 거의 직선으로 간주할 수 있다. 따라서 여기서는 (10a), (10b), (10c)는 직선으로 한다. 그러므로, 상기 화면의 중심으로부터 주변부를 향해서 i번째 전자빔과 (i+1)번째 전자빔의 수평방향 랜딩위치편차량(Li) 및 (Li+1)은 각각,
Li=Ab×i×ΔP
Li+1=Ab×(i+1)×ΔP
이다. 여기서, Ab는 직선(10b)의 기울기이다.
또 i번째 전자빔과 (i+1)번째 전자빔사이의 피치(Pi)는
Pi=Ab×(i+1)×ΔP-Ab×i×ΔP+P6
=Ab×ΔP+P6
가 된다. 또 수평집속전극과 수평편향전극사이의 전위차 Vf-d를 변화, 예를들면 Vf-d를 Va로 하면, Pi는
Pi=Aa×ΔP+P6
Vf-d를 Vc로 하면, Pi는
Pi=Ac×ΔP+P6
여기서, Aa는 직선(10a)의 기울기, Ac는 직선(10c)의 기울기이다.
이상을 정리하면, 수평편향전극의 전자빔 통과구멍의 피치를 수평집속전극 및 그외의 전극의 전자빔 통과구멍의 피치에 대하여 ΔP만큼 크게 함으로써 스크린위에 조사되는 전자빔의 수평방향의 피치는 Ab×ΔP+P6가 되고, 또 그값은 Ab를 변화 즉 수평집속전극과 수평편향전극사이의 전위차 Vf-d를 조정함으로써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수평집속전극(56)의 전자빔 통과구멍의 피치(P6)를 1㎜, 통과구멍(슬릿)의 폭을 0.3㎜, 수평편향전극(57)의 전자빔 통과구멍(슬릿)의 폭을 동일하게 0.3㎜, 수평집속전극(56)과 수평편향전극(57)의 갭을 0.4㎜, 수평편향전극(57)과 스크린(59)의 갭을 20㎜, 수평집속전극(56) 및 수평편향전극(57)으로의 인가전압을 모두 수 100V정도, 스크린(59)의 인가전압을 10㎸로해서, 수평편향전극의 전자빔 통과구멍의 위치편차량, 수평집속전극과 수평편향전극사이의 전위차와 전자빔의 스크린 위에서의 수평방향 랜딩피치의 관계를 표시하는 직선(거의 직선)의 기울기를 1∼5정도의 범위에서 조정할 수 있었다(양전극 간의 전위차를 변화시킴으로써). 따라서 수평집속전극의 전자빔 통과구멍과 수평편향전극의 전자빔 통과구멍 피치차(ΔP)를 0.001㎜(0.1%)로 하면, 스크린 위에 조사되는 전자빔의 수평방향의 피치를 1.001∼1.005㎜의 범위에서 조정할 수 있고, 이것은 수평방향 200㎜의 화면의 양끝부분의 전자빔의 스크린위로의 수평방향 랜딩위치편차량으로 표시하면 0.1∼0.5㎜에 상당한다.
이상 본 실시예에 의하면, 스크린위에 조사되는 전자빔의 수평방향의 피치의 형광체 스트라이프피치에 대한 편차를 보정할 수 있고, 얼룩이 없는 양호한 화상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수평편향전극(57)의 전자빔 통과구멍 즉, 도전판(68)사이의 슬릿의 수평방향의 피치를, 타전극의 전자빔 통과구멍 즉 수평집속전극(56)의 슬릿(66) 및 빔변조전극(55)의 슬릿(64)의 수평방향피치에 대하여 약간 변화시켰으나, 예를들면 수평집속전극(56)의 슬릿(66) 또는 빔변조전극(55)의 슬릿(64)의 수평방향의 피치를 타전극의 전자빔 통과구멍의 수평방향의 피치에 대하여 변화시켜도 되고, 또 빔변조전극(56)의 슬릿(64), 수평집속전극(56)의 슬릿(66), 수평편향전극(57)의 전자빔 통과구멍 즉 도전판(68)사이의 슬릿을 각각 다르게해도 동등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화면의 수평방향의 중심부에 있어서 수평집속전극(56)의 전자빔 통과구멍과 수평편향전극(57)의 전자빔 통과구멍의 위치맞춤을 행하였으나, 이것은, 반드시 화면의 수평방향의 중심부일 필요는 없고, 예를들면 좌우 어느쪽의 끝부분이어도 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표시장치의 화상표시기간중에 있어서의 온도변화등에 의한 스크린위에 조사되는 전자빔의 수평방향피치의 경시적 변화를 보상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 구성을 제3도에 도시한다. 도중의 표시장치는 제1실시예와 완전히 동일한 것이며, 수평편향전극(57)의 전자빔 통과구멍 즉, 도전판(68)사이의 슬릿의 수평방향의 피치를 타전극의 전자빔 통과구멍 즉, 수평집속전극(56)의 슬릿(66) 및 빔변조전극(55)의 슬릿(64)의 수평방향피치에 대해 약간 크게(예를들면 0.05%∼0.2%정도)한 것이다. 따라서 수평집속전극(56)과 수평편향전극(57)사이의 전위차에 의해 스크린위에 조사되는 전자빔의 수평방향피치의 조정을 행할 수 있다.
(30)은 스크린(59)의 수평방향끝부분에 설치된 빔랜딩위치검출수단이며, 스크린(59)의 수평방향끝부분에 있어서의 수평방향의 빔랜딩위치를 검출한다(랜딩위치에 따른 전기신호를 출력한다). 구체적으로는 반도체 위치검출소자(PSD)를 사용하였다(예를들면 일본국 하마마쯔포토닉스사 제품 S1771등). 빔랜딩위치검출수단(30)의 출력은, 증폭회로(31)에 의해 소정의 레벨로 증폭되고, 레벨시프트회로(32)에 의해 수 100V로 바이어스되어 수평집속전극(56)에 인가된다. 즉, 수평방향의 빔랜딩위치신호를 수평방향의 빔랜딩위치제어수단(수평집속전극(56)과 수평편향전극(57)사이의 전위차에 의해 스크린위에 조사되는 전자빔의 수평방향위치의 제어)으로 피드백하도록 된다.
따라서 상기 피드백 루프의 루프이득을 적당한 값으로 설정함으로서 전자빔의 수평방향랜딩위치의 피드백 제어를 행할 수 있고, 스크린위에 조사되는 전자빔의 수평방향피치의 경시적 변화를 보상할 수 있다.
이상 본 실시예에 의하면, 스크린위에 조사되는 전자빔의 수평방향피치의 경시적 변화를 보상할 수 있고, 경시적으로 안정된 화상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있어서는, 스크린위에 조사되는 전자빔의 수평방향피치의 경시적 변화를 빔랜딩위치검출수단(30)을 사용해서 검출했으나, 예를들면 전자빔의 수평방향피치의 경시적 변화의 원인의 대부분이 화상표시장치의 온도변화에 따른 전극군과 스크린과의 열팽창차인 것과 같은 경우, 전자빔의 수평방향피치의 변화량을 화상표시장치의 각 부의 온도와 대응시킬 수 있고, 따라서 빔랜딩위치검출수단(30)으로 교환해서 열전대등의 온도검출수단을 화상표시장치의 임의의 부분에 장착하고, 그 출력을 수평방향의 빔랜딩위치제어수단(수평집속전극(56)과 수평편향전극(57)사이의 전위차에 의해 스크린위에 조사되는 전자빔의 수평방향위치의 제어)으로 피드백해도 동등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의 문제점이었던 빔변조전극, 수평집속전극, 수평편향전극, 그외 전극으로 이루어진 전극군과 스크린의 형광체 스트라이프패턴과의 위치편차등에 의한 스크린위에 조사되는 전자빔의 수평방향의 피치와 형광체 스트라이프피치의 편차를 해소할 수 있고, 극히 균일한 화상을 얻을 수 있어, 실용상의 효과는 크다.
Claims (8)
- 전자빔 통과구멍을 배열한 복수의 판형상전극(53, 53', 55, 56, 57)에 의해서 전자원(52)으로부터의 전자빔을 제어하고 스크린(59)위의 형광체에 조사해서 화상표시를 행하는 화상표시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판형상전극중 제1판형상전극(56)의 전자빔 통과구멍의 배열피치를 제2판형상전극(57)의 전자빔 통과구멍의 배열피치와 다르게 하는 동시에, 이들 두 전극간의 전위차를 제어하는 수단을 설치하고, 전자빔의 스크린위로의 랜딩위치를 제어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스크린위의 소정의 기준위치에 있어서 그 전자빔 통과구멍의 위치맞춤을 행한 상기 복수의 판형상전극중 제1판형상전극(56)의 전자빔 통과구멍의 배열피치를 제2판형상전극(57)의 전자빔 통과구멍의 배열피치와 다르게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스크린 중심부에 있어서 전자빔 통과구멍의 위치맞춤을 행한 상기 복수의 판형상전극중 제1판형상전극(56)의 전자빔 통과구멍의 배열피치를 제2판형상전극(57)의 전자빔 통과구멍의 배열피치와 다르게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1판형상전극(56)과 제2판형상전극(57)사이의 전위차를 스크린 형상으로 형성한 빔랜딩위치검출수단(30)에 의해 검출한 빔랜딩위치신호에 의해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1판형상전극(56)과 제2판형상전극(57)사이의 전위차를 화상표시장치의 일부에 설치한 온도검출수단에 의해 검출한 온도에 의해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 전자빔 통과구멍을 배열한 복수의 판형상전극(53, 53', 55, 56, 57)에 의해서 전자원(52)으로부터의 전자빔을 제어하고 스크린(59)위의 형광체에 조사해서 화상표시를 행하는 화상표시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판형상전극중 제1판형상전극(56)의 전자빔 통과구멍의 배열피치를 제2판형상전극(57)의 전자빔 통과구멍의 배열피치와 다르게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적어도 스크린(59)위의 소정의 기준위치에 있어서 그 전자빔 통과구멍의 위치맞춤을 행한 상기 복수의 판형상전극중 제1판형상전극(56)의 전자빔 통과구멍의 배열피치를 제2판형상전극(57)의 전자빔 통과구멍의 배열피치와 다르게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적어도 스크린 중심부에 있어서 전자빔 통과구멍의 위치맞춤을 행한 상기 복수의 판형상전극중 제1판형상전극(56)의 전자빔 통과구멍의 배열피치를 제2판형상전극(57)의 전자빔 통과구멍의 배열피치와 다르게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63284515A JPH0795432B2 (ja) | 1988-11-10 | 1988-11-10 | 画像表示装置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10019100A KR910019100A (ko) | 1991-11-30 |
KR930001890B1 true KR930001890B1 (ko) | 1993-03-19 |
Family
ID=17679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00005560A KR930001890B1 (ko) | 1988-11-10 | 1990-04-20 | 화상 표시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JP (1) | JPH0795432B2 (ko) |
KR (1) | KR930001890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017842A (en) * | 1990-05-03 | 1991-05-21 |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 Image display apparatus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19952B2 (ja) * | 1983-12-20 | 1994-03-16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平板型画像表示装置 |
-
1988
- 1988-11-10 JP JP63284515A patent/JPH0795432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0
- 1990-04-20 KR KR1019900005560A patent/KR930001890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H02129838A (ja) | 1990-05-17 |
KR910019100A (ko) | 1991-11-30 |
JPH0795432B2 (ja) | 1995-10-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0201609B1 (en) | Electron gun of picture display device | |
KR930001890B1 (ko) | 화상 표시장치 | |
US4970430A (en) | Fluorescent display apparatus | |
US4270068A (en) | Fluorescent display device | |
EP0631296B1 (en) | Flat type picture display apparatus | |
US4973889A (en) | Flat configuration cathode ray tube | |
EP0454920B1 (en) | Image display apparatus | |
JPH0619952B2 (ja) | 平板型画像表示装置 | |
JP2754546B2 (ja) | 画像表示装置 | |
US5140230A (en) | Flat configuration cathode ray tube | |
JP2734594B2 (ja) | 平板型画像表示装置 | |
JP3189513B2 (ja) | 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 |
JPS60131742A (ja) | 平板型表示装置 | |
JPS6221217B2 (ko) | ||
JPS59146142A (ja) | 平板型画像表示装置 | |
JPS61131348A (ja) | 画像表示装置 | |
JPS60105143A (ja) | 平板形陰極線管 | |
JPS62110237A (ja) | 平板形陰極線管 | |
JPH01130453A (ja) | 画像表示装置 | |
JPS6089040A (ja) | マトリツクス電子源 | |
JPH05151918A (ja) | 画像表示装置 | |
JPS61181044A (ja) | 平板型画像表示装置 | |
JPH03159037A (ja) | 表示装置 | |
JPH07169417A (ja) | 画像表示装置 | |
JPH0745219A (ja) | 平面型画像表示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50309 Year of fee payment: 13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