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1512B1 - 패널의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패널의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1512B1
KR930001512B1 KR1019890007963A KR890007963A KR930001512B1 KR 930001512 B1 KR930001512 B1 KR 930001512B1 KR 1019890007963 A KR1019890007963 A KR 1019890007963A KR 890007963 A KR890007963 A KR 890007963A KR 930001512 B1 KR930001512 B1 KR 9300015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rface material
panel
supplied
core material
uncoi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7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6035A (ko
Inventor
미노루 사이또
도시조오 사지끼
히또시 고헤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아이지 기쥬쯔 겡뀨쇼
이시가와 다까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아이지 기쥬쯔 겡뀨쇼, 이시가와 다까시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아이지 기쥬쯔 겡뀨쇼
Publication of KR9000060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60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15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15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37/00Manufacture of metal sheets, bars, wire, tub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e of tubes of special shape
    • B21C37/02Manufacture of metal sheets, bars, wire, tub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e of tubes of special shape of she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Molding Of Porous Arti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패널의 제조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판 제조장치의 1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구성도.
제2도는 상기 제조장치의 블록화한 설명도.
제3도는 접속선의 1예를 나타낸 설명도.
제4도는 이면재 및 연속대패널을 절단하기 위한 주행컷터의 1예를 나타낸 설명도.
제5a도-제5t도는 본원제조 장치에 의해 성형되는 패널의 기타 실시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4 : 표, 이면재 가공부 2, 15 : 제2, 제1설치대
3, 16 : 표, 이면재 공급부 9, 22 : 엠보스 가공부
12, 25 : 성형부 13, 26 : 예열부
27 : 이면재 절단기 28 : 토출부
30 : 큐어오븐 31 : 형틀
41 : 주행컷터 S : 패널
본 발명은 복합판, 소위 두 기초재 사이에 자기(自己) 접착성을 가지는 심재원료를 개재시키는 동시에, 복합판을 연속적이며, 또한 좋은 효율로 양산할 수 있는 패널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속후프재를 표면재로 하고, 이것을 임의 단면의 통상체로 형성하고, 예열장치를 통과시킨후 그위에 이면재를 적층하여, 30℃-150℃로 가열하는 가열덕트를 설치한 이중 컨베이어로 공급한 후 상기 원료를 반응, 발포시켜서, 표, 이면재 사이에 합성수지 발포체를 개재시킨 복합판대를 제조하고 그후에 일정 길이로 절단하는 장치로서는 일본 특개소 50-123076호가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장치에서는, 표, 이면재를 금속 후프재로서 또한 판두께가 다른 면재로서 구성하는 경우, 혹은 이면재를 접속해서 사용하는 경우, 표면재의 종단과 이면재의 종단이 반드시 일치하지 않는다. 다시말하면, 표면재가 종료 되더라도 이면재가 남는 불일치가 생겨서 언코일러(uncoiler)부에서 이면재를 절단하여야 하므로 낭비를 해소하지 못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결점을 제거하기 위해, 언코일러와 심재토출부 사이의 임의의 위치, 바람직하기는 예열부와 토출부 사이의 적어도 1개소 이상에 이면재 절단기를 설치하므로서 패널을 연속적으로 그리고 좋은 효율로서 제조할 수 있는 패널의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아래에 도면을 사용해서 본 발명에 관한 패널의 제조장치의 1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 제2도는 상기 장치의 개략구성도와 그 구성을 블록화한 설명도인데, (1, 14)는 표, 이면재 가공부 (2, 15)는 제2, 제1설치대, (3, 16)은 표, 이면재 공급부, (9, 22)는 엠보스(Emboss) 가공부, (11, 24)는 반전부, (12, 25)는 성형부, (13, 26)은 예열부, (37)는 컷트부, (28)은 토출부, (30)은 큐어오븐, (41)은 주행컷터이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제2, 제1설치대(2, 15)는 장치를 3층 구조로 하므로서 제조장치를 일체화하기 위한 것인 동시에 후기하는 엠보스 가공부(9)를 통과한후의 표면재(A)의 화장면(化粧面)을 상면으로 하여 엠보스가공시의 크랙 발생 등의 발견을 용이하게 행하기 위한 것이다.
표, 이면재 공급부(3, 16)는 언코일러(4, 17), 핀치롤러(5, 18), 간이컷터(6, 19), 접속기(7, 20)으로서 되며, 언코일러(4, 17)에 코일 모양으로 감겨진 평판상의 금속박판으로서 되는 표, 이면재(화장도막, 화장필름, 등의 화장피막을 가지는 것)(A, B)를 장착하는 동시에 반전부(11, 24)에 무리함이 없이 표, 이면재(A, B)의 화장면을 상명으로 해서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제3도에서와 같이 표, 이면재공급부(3, 16)에 언코일러(4, 17), 핀치롤러(5, 18), 간이컷터(6, 19), 접속기(7, 20)를 설치하는 것은 표, 이면재(A, B)의 종단과 새로운 표, 이면재(A, B)의 선단을 가동중에 연결하여, 코일을 바꾸어서 걸기 위한 정지를 필요없게 하고 다시 좋은 효율로 연속생산을 가능하게 하기위한 것이다.
그리고, 핀치롤러(5, 18)는 표, 이면재(A, B)를 소정속도로 엠보스가공부(9, 22)에 공급하기 위한 것이며, 간이컷터(6, 19)는 필요시에 표, 이면재(A, B)를 절단하는 것이다.
엠보스가공부(9, 22)는 온도조절기(8, 21)와 엠보스 롤러(9a, 22a), 교정부(10, 23)로서 구성되며, 온도 조절기(8, 21)는 엠보스롤러(9a, 22a)의 직전에서 양면재(A, B)를 30-90℃정도로 가열해서 엠보스 가공하여 표면재(A, B)의 화장면의 도막, 필름 등에 균열이나, 구멍, 갈라짐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엠보스롤러(9a, 22a)는 수, 암의 요돌부로서 되는 형상이 외주면에 형성된 상, 하롤러를 치합시켜서 표, 이면재(A, B)에 임의의 형상을 나타나게 하는 것이다. 교정부(10, 23)는 엠보스 가공에 의해서 생긴 양면재(A, B)의 비틀어짐, 소위굴곡을 교정하는 곳이다.
(11, 24)는 반전부에서 양면재(A, B)를 반전해서 표면재(A)의 화장면을 아래로, 이면재(B)의 화장면을 위로해서 후기하는 발포성 반응혼합물(P)을 토출하기 좋게 하는 동시에, 장치를 밀착하는 것이다. (12, 25)는 성형부이며, 핀치롤러, 레벨러(leveler), 성형 롤러군으로 되면, 표, 이면재(A, B)를 성형하는 곳이다.
그 성형예로서는 제5a도-제5t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것이있다. (13, 26)은 예열부인데, 앞에서 말한 온도 조절기(8, 21)와 같은 구성으로서, 표, 이면재(A, B)를 30-110℃로 가열하기 위한 것이다. (27)은 이면재 절단기인데, 예를 들면 제4도에서와 같이 주행컷터 혹은 도시하지 않은 둥근 톱, 띠톱, 실톱 등으로서 되는 것이다. 토출부(28)는 예열부(13, 26)에서 가열된 표, 이면재(A, B)의 적어도 한쪽의 내측에 미발포반응 혼합물(이하, 단순히 심재재료라함)(P)을 토출 충전하는 부분이며, 토출부(28)는 회전날개를 갖춘 토출방식, 스프레이건(spray gun) 방식(공기가 포함되는 경우 및 공기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 또는 주입, 흘려서 넣는 방식의 어느 것에 의해서 공급하는 것이다.
그리고 심재원료(P)로서는 열경화성, 예컨대 폴리우레탄수지,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포옴용 수지, 페놀포옴수지 등의 발포성합성수지를 사용하는 것이다. (29)는 가이드 롤인데, 표면재(A)를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또, 이면재 공급부(16)는 예열부(26)에서 송출된 이면재(B)를 연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것이며, 이면재(B)로서는 예컨대 칼라강판, 아스베스트지, 크라프트지, 알루미늄박, 플라스틱시이트, 아스팔트 펠트 등의 1개, 또는 2종 이상을 적층한 것으로서, 심재원료(P)위에 적층되는 것이다.
큐어오븐(30)은 표면재(A) 이면재(B)사이에 심재원료(P)를 개재시킨 상태로서 반송함과 동시에 심재원료(P)를 양호한 환경하에서 반응 발포시키며 또한 소정의 판두께의 패널(S)에 형성하는 곳이다.
더우기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큐어오븐(cure oven)(30)은 롤러, 케터필러(cater piller), 벨트의 어느 1종, 또는 그 조합에의해 형틀(31)을 형성해서 되며, 원동륜(32, 33), 종동륜(34, 35), 상형부재(36), 하형부재(37), 가열원(38), 커버(39)로서 구성된 것이다. 또 커버(39)는 큐어오븐(30)내를 보온하는 동시에 심재원료(P)가 반응시에 방출하는 트리클로로모노플루오로메탄(tri chloro-mono ful-oro methane), 혹은 가열원(38)에서 방출되는 탄산가스, 일산화탄소 등을, 안전 및 위생상의 영향을 고려하여 주위의 작업환경에 방출하지 않으며, 보다 유효한 보온효과를 얻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큐어오븐(30)의 입, 출구부(30a, 30b)만은 큐어오븐(30)내의 기체의 누설을 최대한 저지하는 구조로 구성한 것이다. 주행컷터(41)는 큐어오븐(30)에서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연속대의 패널(40)을 소정 길이로 절단하는 동시에 교환 가능한 위칼날, 아래칼날에 의해 절단해서 패널(S)을 형성하고 다시 도시하지 않은 다음 공정의 포장부로 반송되고 포장된후에 출하하는 것이다.
그리고, 각 공정은 도시하지 않은 제어반에 의해 각 공정사이를 연락해서 콘트롤되며, 예컨대 제2실치대(2)의 3층에 계기, 텔레비젼카메라 등으로서 각각의 펙터를 아날로그, 디지털 묘사하거나 표면재(A)의 소실신호를 발신하여 이면재절단기(27)를 동작시키게 하는 것이다.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패널의 제조장치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즉, 언코일러(4)에 코일 모양으로 감겨진 0.2-0.5㎜ 두께의 컬러강판을 화장면측을 상면으로 해서 장착하고 핀치롤러(5)를 통해서 온도조절기(8)로 공급한다. 다음에 이면재(A)를 통해서 온도조절기(8)에 의해 약 30℃-60℃로 가열되어 화장도막을 소정의 경도까지 연하게 하여 엠보스 롤러(9a)에 의해 요돌의 엠보스 모양을 연속해서 형성한다.
그후, 교정부(10)에 의해 엠보스 가공에 의한 잔류 삐뚤어짐을 제거하고 반전부(11)에 의해 3층에서 1층으로 공급하고 성형부(12)에 의해 제5a도에서와 같은 표면재(A)를 성형한다. 성형된 단면요부 형상으로된 표면재(A)는 다음에 프레히터(13)에 의해 30℃-110℃ 정도로 가열되고 그 직후, 표면재(A)와 동일한 공정으로서 성형, 가열된 이면재(B)와 상기 표면재(A)의 내측면에 미발포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 기포(polyisocyanate foam)으로서 되는 심재원료(P)를 토출하고, 가이드롤러(29)에 의해 큐어오븐(30)으로 공급된다. 여기서 가동중에 표면재(A)가 종료되었을 경우에는 제어반의 지령에 의해, 바람직하기는 토출부(28)와 예열부(13)사이의 위치에서 이면재(B)를 절단하고 이면재(B)의 낭비를 최소한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한 큐어오븐(30)은 가열원(38)에 의해 미리 90℃의 분위기로 가열되어 있으며, 표면재(A), 이면재(B), 심재원료(P)를 일체로 접착시키는 동시에 경화시키고 그 출구(30b)에서 연속적으로 패널(40)로서 배출한다. 다음에 연속적으로 송출되는 연속대의 패널(40)을 3030㎜로 주행컷터로서 절단하고 제5a도에서의 패널(S)을 완성시킨다. 그후는 도시하지 않은 곤포부로 보내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관한 복합판 제조장치의 1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엠보스롤러를 2대 설치하여 더블엠보스로 한다든가 분리형 엠보스 롤러에 사용해서 2종류의 엠보스 모양에 대응한 장치로 할 수가 있다. 또, 큐어오븐(30)은 심재원료(P)의 종류에 따라 가열원(38)을 사용하지 않고 상온발포, 반응을 행하게 하는 경우도 있다.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에 관한 패널의 제조장치에 의하면, ① 표, 이면재로서 금속면재를 사용하고 접속기를 사용해서 연속생산을 하는 경우, 표면재의 종단에 맞추어서 이면재를 종료할 수(절단)가 있기 때문에 재료의 낭비와 조립라인정지에 의한 시간의 로스를 최소한으로 할 수가 있다.
② 엠보스 가공시는 코일에 대해 일정한 장력이 부하된 상태가 되기 때문에 요돌모양이 엠보스 가공중에 빗나가는 일이 없으며, 예쁜 요돌모양이 형성된다.
③ 엠보스 가공시의 잔류 삐뚤어짐이 교정부를 통과하므로서 쉽게 제거될 수가 있으므로 잘못된 곳이나 꼬임이 없는 등의 특징,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표면재(A)가 되는 금속박판을 공급하기 위한 언코일러(4)와, 코일교환을 연속해서 행하는 접속기(7)와, 핀치롤러(5)로서 되는 표면재 공급부(3)와, 이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표면재를 소정범위에서 가열하는 온도 조절기(8)와, 이 온도조절기로부터 공급되는 표면재에 임의의 엠보스 모양을 형성하는 엠보스 롤러(9a)와, 이 엠보스 형성된 표면재의 삐둘어짐을 제거하는 교정부(10)와, 이 교졍부에서 공급되는 표면재를 루우프하여 반전하는 동시에 성형하는 성형부(12)와, 이 성형된 표면재를 가열하는 예열부(13)로서 되는 표면재 가공부(1)와; 상기한 표면재 가공부와 같은 설비를 가진 이면재 가공부(14)와; 예열부 후방에 상기한 가공된 표, 이면재(A, B)의 내측의 적어도 한쪽에 심재원료를 토출하는 토출부(28)와; 일정형상으로 규제한 상태에서 가열하고, 상기 심재원료를 경화시키는 동시에 상기 표면재와 이면재 및 심재원료를 접착일체화하는 큐어오븐(30)과; 이 큐어오븐에서 공급되는 샌드위치 구조의 연속대의 패널을 일정길이로서 절단하는 주행컷터(41)를 구비한 패널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언코일러(4)와 심재원료 토출부(28) 사이의 임의의 위치에 적어도 1개소 이상의 이면재절단기(27)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의 제조장치.
KR1019890007963A 1988-10-29 1989-06-09 패널의 제조장치 KR9300015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274288A JP2639832B2 (ja) 1988-10-29 1988-10-29 パネルの製造装置
JP63-274288 1988-10-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6035A KR900006035A (ko) 1990-05-07
KR930001512B1 true KR930001512B1 (ko) 1993-03-02

Family

ID=17539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7963A KR930001512B1 (ko) 1988-10-29 1989-06-09 패널의 제조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639832B2 (ko)
KR (1) KR9300015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2909B1 (ko) * 2004-06-23 2006-08-21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패널 심재 가열경화장치
KR101278635B1 (ko) * 2013-05-27 2013-06-25 주식회사 문창 열풍기를 이용한 패널 제조장치
CN103266675B (zh) * 2013-06-06 2015-01-21 青岛浩铭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夹芯板的制备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639832B2 (ja) 1997-08-13
KR900006035A (ko) 1990-05-07
JPH02120036A (ja) 1990-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1512B1 (ko) 패널의 제조장치
JPS5924490Y2 (ja) 複合板製造装置
KR900004785B1 (ko) 복합판 제조장치
JPS629091Y2 (ko)
JPS6222341Y2 (ko)
JPS5821585B2 (ja) 複合板製造装置
JPH0684021B2 (ja) 複合板製造装置
JPH0677939B2 (ja) 複合板製造装置
JPS581535A (ja) サンドイッチ板製造装置
JPS5933309B2 (ja) サンドイッチ板製造装置
JPS6222342Y2 (ko)
JPH0481511B2 (ko)
JPH047300B2 (ko)
JPH0556246B2 (ko)
JPH0677938B2 (ja) 複合板製造装置
JPS6179654A (ja) サンドイツチ板製造装置
KR900004786B1 (ko) 복합판 제조장치
JPS63317331A (ja) 複合板製造装置
JPH0564083B2 (ko)
JPH0688272B2 (ja) 複合板製造装置
JPS61112644A (ja) サンドイッチ板製造装置
JPH0559805B2 (ko)
JPH0564082B2 (ko)
JPH0449460B2 (ko)
JPS60259405A (ja) 石こう−金属板複合パネルの製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