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1333Y1 - 탈곡장치 - Google Patents
탈곡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30001333Y1 KR930001333Y1 KR9208514U KR920008514U KR930001333Y1 KR 930001333 Y1 KR930001333 Y1 KR 930001333Y1 KR 9208514 U KR9208514 U KR 9208514U KR 920008514 U KR920008514 U KR 920008514U KR 930001333 Y1 KR930001333 Y1 KR 930001333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mount
- increase
- threshing
- grain stem
- decrease ratio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7/00—Threshing apparat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hreshing Machine Ele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도면은 본 고안에 관한 탈곡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제1도는 콤바인의 측면도.
제2도는 탈곡장치의 측면도.
제3도는 기계연계기구를 도시한 구성도.
제4도 및 제5도는 긱각 변경조절기구을 도시한 단면측면도 및 일부 단면 저면도.
제6도는 기계연계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급동 6 : 키
F : 선별바람량 조절수단 5 : 요동선별장치
E : 곡물줄기공급량 검출수단 H : 변경조절수단
본 고안은 탈곡장치에 관한것이다.
이와 같은 탈곡장치에 있어서는 급동(扱胴)에 의하여 탈곡되고, 받침망을 빠져나간 처리물은 구렌팬, 낟알체 등에 의한 선별에서 선별되는 동시에 받침망을 통과하지 못하는 가지부착곁겨나, 배진물 등도 급실(扱室)후부의 배진구에서 선별부에 이송된다.
즉 탈곡 처리물은 모두 선별부에서의 선별작용을 받아서 회수부에 떨어지는 것과 배출하는 것으로 선별되는것이고, 탈곡대상으로 되는 곡물 줄기량(毅稈출)이 증가하면 당연히 선별부에 존재하는 처리물량도 증가한다.
따라서 선별부에서 회수부로 떨어지는 처리물량도 곡물줄기량에 의하여 좌우되기 때문에, 회수부에 있어서 선별 바람(風)을 처리물량에 따라서 변화할 수 있도록 하면 선별성능상 바람직한 것으로 된다.
그래서 이와같이 구성된 탈곡장치의 예가 일본국 특개평 1-206922호 공보에 공시되고 있다.
상기 공지예의 것은 탈곡곡물줄기량의 검출수단과 키(唐箕)의 회전속도를 변환함으로써 선별바람조정수단을 갖추고 있고, 곡물줄기량이 증감하면 제어장치를 통한 전기적인 연계기구에 의하여 상기 키의 회전속도를 증감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에 의하면 검출수단을 이송 체인에 끼워진 곡물줄기층의 두께를 검출함으로써 구성하고 있으나, 이것에 의해서 다음과 같은 불편함이 생기는 것이 발견되었다.
즉 탈곡장치는 주로 벼와 맥류의 탈곡을 행하는 것이나 맥류는 벼에 비하여 줄기부가 용이하게 눌리어 찌그러져 버리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동량의 벼와 맥류를 이송 체인으로 반송하여도 실제의 검출량에 큰 차가 생기게 되고, 따라서 검출량과 선별바람등의 연계조절을 벼와 맥류중의 한쪽에 맞추어서 설정하면 또 한쪽의 탈곡시에는 오(誤)검출로 되고, 선별성능이 떨어진다.
본 고안은 상기 불편함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고안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탈곡장치는 급동(2)과, 상기 급동(2)에 의해서 취급처리된 곡물줄기를 요동선별하는 요동선별장치(5)와, 상기 요동선별장치(5)에 선별바람을 이송하는 키(6)와, 상기 급동(2)에 공급되는 탈곡곡물줄기의 양을 검출하는 곡물줄기공급량 검출수단(E)과, 상기 선별바람의 양을 상기 탈곡곡물줄기의 양의 증감에 따라서 조절하는 선별바람량 조절수단(F)으로 구성되는 탈곡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별바람량조절수단(F)은 상기 키(6)의 아래쪽에 설치된 배풍구(25)를 덮을 수 있도록 제1횡축심(P1)둘레에 요동이 자유로이 설치된 덮개체(26)와, 한끝을 제2횡축심(P2)에 축지지연결되는 동시에 다른 끝을 상기 덮개체(26)에 접속된 요동가능한 아암(30)을 갖추고 있고, 상기 덮개체(26)에 의한 상기 배풍구(25)의 개구량의 조절에 의하여 상기 선별바람의 양을 조절하고, 또한. 상기 변경조절수단(H)은 상기 탈곡곡물줄기공급량 검출수단(E)과 연동연결되는 동시에 상기 아암 양단의 중간부에 설치된 피요동부(RR)를 갖추고 있으며, 상기 피요동부(RR)는 상기 탈곡곡물줄기량의 증감에 대하여 상기 덮개체(26)의 요동변위의 변화를 변경하기 위해 상기 제2축심(P2)과의 거리를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변경조절수단(H)은 상기 탈곡곡물줄기의 양에 대응한 상기 선별바람량의 변화비율로서 제1증감비율과 제2증감비율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1증감비율이 탈곡물로서의 벼에 대응하는 것이고. 상기 제2증감비율은 탈곡물로서의 맥류에 대응하는 것인 동시에 상기 제1증감비율은 상기 제2증감비율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예컨대 맥류를 탈곡할 경우에 곡물줄기공급량 검출수단에 의한 곡물줄기공급량의 검출량에 대한 선별바람량 조절수단에 의한 선별바람의 증감비율을, 며를 탈곡할 경우의 증감비율보다도 크게 변경조절수단에 의해 변경조절하는 것으로, 선별부에서의 실제의 처리물량에 대응한 상태에서 또한 탈곡대상곡물줄기의 종류에 따라 선별바람량의 증감 비율을 적절히 선택하여 설정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변경조절수단을 설치함으로써, 선별바람 자동제어를 도입한 탈곡장치에 있어서, 선별을, 곡물줄기 종류에 불구하고 보다 양호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한궤도 주행장치(17)를 갖춘 기 (18)의 상부에 탈곡장치(Z)가 탑재되어 또한 예취부(刈取部)(D)가 상기 기체(18)의 앞부분에 부설되어서 콤바인이 구성되 있다.
상기 예취부(D)는 끌어일으키는 장치(19), 곡물줄기의 그루터기를 절단하는 예취날(刈刃)(20)및 예취곡물줄기를 기체후방에 반송하는 공급반송장치(21)를 갖추고 있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곡장치(Z)는 탈곡부(A)와 선별부(B)와 회수부(C)와 제2물건환원부를 갖추고 있다.
상기 탈곡부(A)는 급실(1)내에 급동(2)을 축걸침하는 동시에 급동(2)의 아래측에 따라서 받침망(3)을 팽팽하게 설치한 것으로 이송 체인(4A)에 의하여 끼워 반송되어온 곡물줄기를 급동(2)에 의하여 취급처리하여, 그의 처리물을 상기 선별부(B)위에 떨어뜨려 공급한다.
상기 선별부(B)는 요동선별장치(5)와 이 요동선별장치(5)에 선별바람을 이송하는 키(6)로부터 이루어진다.
상기 요동선별장치(5)는 요동구동 자유로운 틀체(7)의 양측에 걸쳐서 구렌팬(8)과 이 구렌팬(8)의 뒷부분 하측에 연속하는 낟알 체(9)를 설치하는 동시에, 상하 2단의 스트로랙(10,11)을 전후로 설치하여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받침망(3)에서 떨어져 앞부분 구렌팬(15), 상기 스트로랙(16)을 통과하여 처리물을 구렌팬(8)에 의하여 받아멈추고, 비중차이를 선별하면서 뒷쪽의 낟알 체(9)에 요동 이송한 후, 낟알 체(9)에서 떨어뜨려 선별하면서 뒷쪽에 요동이송하여, 후단에서 낙하방출한다.
한쪽 급실(1)의 송진구(送塵口)(1a)에서 배출되어서 처리물을 상단의 스트로랙(10)에서 받아 멈추고, 떨어뜨려 선별하면서 뒷쪽에 요동 이송하여 하단의 스트로랙(11)에서 재차 떨어뜨려 선별하여 후단으로부터 기계밖으로 배출한다.
또 12는 볏짚 부스러기를 선별바람과 동시에 기계밖으로 배출하기 위한 배진팬이다.
상기 회수부(C)는 낟알 체(9)에서 떨어진 겨를 회수하는 제1물건회수부(13)와, 낟알 체(9)의 뒷끝에서 방출되거나, 스트로랙(10,11)에서 떨어진 가지부착겨등을 회수하는 제2물건회수부(14)로 이루어진다. 제1물건회수부(13)에는 회수된 제1물건을 가로 한쪽에 반송하기 위한 제1스크류(13a)를 설치하고 있고, 제2물건회수부(14)는, 탈곡장치의 좌우 세로벽에 걸쳐서 골짜기 형으로 또한 바닥부가 원형으로 성형된 바닥 케이스(14b)를 설치하여, 이 바닥 케이스(14b)의 바닥부에 회수된 제2물건을 가로 한쪽에 이송하기 위한 제2스크류(14a)를 설치하여, 구성하고 있다.
다음에 본원의 특징구성을 설명한다.
이 탈곡장치에는 이송 체인(4A)에 대향배치한 끼움레일(22A)의 변위에 의거하여 탈곡곡물줄기의 급동(2)으로의 송입량을 검출하는 곡물줄기공급량 검출수단(E), 및 키(6)에 의한 선별바람량을 조절하는 선별바람량조절수단(F)을 갖추어 곡물줄기량이 증감함에 따라서 선별바람량을 마찬가지로 증감하도록 하여 상기 곡물줄기공급량 검출수단(E)과 상기 선별바람량 조절수단(F)을 기계연계기구(G)를 통하여 연계하여 있는 것과 동시에, 곡물줄기량의 증감에 따른 선별바람량의 증감 정도를 기계적으로 변경조절하는 변경조절수단(H)이 상기 기계연계기구(G)중에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급동에의 송입량"이란 단위시간당의 곡물줄기의 공급량인 것이다.
그래서 이하의 각각의 수단(E,F,G,H)에 대하여 순차로 설명한다.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곡물줄기공급량 검출수단(E)은 끼움레일(22A)을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가이드 핀(23), 및 이 가이드 핀(23)의 상하로 움직임을 전후 움직임으로 변환하는 링크(24)로부터 이루어지고, 이송 체인(4A)과 끼움레일(22A)에 의하여 끼워 반송되는 탈곡곡물줄기의 두께를 검출한다.
또 상기 선별바람량 조절수단(F)은 키(6)로부터 상기 선별부(B)에 선별바람을 공급하는 통상의 풍로 이외에 선별바람의 일부를 기체(18)의 아래쪽에 배출하기 위한 배풍구(排風口) (25)을 개폐하는 덮개체(26)를 그의 앞부분에 설치한 제1횡축심(P1)둘레에 요동자유로이 구성하고 있다.
또 상기 기계연계기구(G)는 곡물줄기공급량 검출수단(E)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링크(24)의 상단부와 상기 덮개체(26)를 스프링(27)을 통하여 릴리이스 와이어(28)와 로드(29)로 연결하여, 가이드핀(23)이 상승하면 덮개체(26)도 상승요동하고, 가이드 핀(23)이 하강하면 덮개체(26)도 하강요동하는 상태에 연동하도록 구성하고있다.
즉 탈곡곡물줄기량이 증가하면 선별바람량도 증대하고, 탈곡곡물줄기량이 줄어들면 선별량도 줄어들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기계연계기구(G)중에 구체적으로는 상기 스프링(27)과 로드(29)와의 사이에 상기 변경조절수단(H)을 설치하고 있다.
제4도.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경조절수단(H)은 제2형축심(P2) 둘레에 회전이 자유로운 아암(30)의 반지점(反支点) 측단부에 상기 로드(29)의 상단부를 회전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상기 아암(30)의 길이방향 중간부에 있어서 2개의 횡방향핀(31)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회동편(32)의 선단부에 스프링(27)의 하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회동편(32)은 핀(31)둘레에 하향블록상의 경로로 약 180°회동이 자유롭고, 아암(30)의 길이방향에 따라서 제1자세와 제2자세에 전환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아암(30)은 회동편(32)을 좌우로 부터 끼우는 상태의 2장의 아암(30a,30a)및 보스(30b)로 되어 있고, 회동편(32)은 그의 반대회동 지점측에서 굴곡이 된 평면에서 볼때 U자형의 판재로 되는 동시에, 스프링(27) 하단에 걸어멈춤고정된 회전이 가능하게 지지핀(33)을 상기 회동편(32)에 떼어내는 것이 가능하게 원추형 접합하고 있다.
상기 회전가능지지판(33)은 양 아암판(30a, 30a)과 간섭하는 폭을 가지고 있고, 또 양 아암판(30a,30a)에는 회전가능지지핀(33)을 걸어넣는 오목부(34)를 2개소씩 형성하고 있으며, 회전가능지지핀(33)이 아암(30)의 선단측오목부(34A)에 걸어넣으면 회동편(32)의 제1자세로 되고, 회전가능지지핀(33)이 아암(30)의 기단측의 오목부(34B)에 걸어넣으면 제2자세로 된다.
여기서 걸어넣은 상태에 있어서 회전가능지지핀(33)이 걸어넣어져 있는 부위가 아암(30)이 요동이 되는 피요동부(RR)로 되는 것이다.
또 아암(30)의 제2횡축심(P2)에서 회전가능 지지핀(33)의 중심(피요동부)까지의 인간거리가 벼와 대응하는 제1상태(C1)에 있어서 상기 제1자세로 되어서, 제1이간거리(L)를 취하도록 구성이 되어, 맥류와 대응하는 제2상태(C2)에 있어서, 상기 제2자세로 되어져, 제2이간거리(ℓ)를 취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 제1이간거리(L)는 제2이간거리(ℓ)의 실질 3배로 설정되어 있다.
이 결과로, 상기 변경조절수단(H)에 있어서, 탈곡곡물줄기에 대한 선별바람의 증감조작에 있어서 그의 증감비율은 벼에 대한 제1증감비율, 맥류에 대한 제2증감비율로서 2종이 준비하게 되고, 제1증감비율은 제2증감비율의 실질 1/3으로 되는 것이다. 여기서 이 비율은 맥류의 줄기의 내압축강도가 벼의 그것의 약 1/3으로 되어있는 것에 의한 것이다.
따라서 맥류의 탈곡시에는 회동편(32)을 조작하여 제2자세로 하는 동시에 벼의 탈곡시에는 회동편(32)을 조작하여 제1자세로 하는 것이다.
또한 회동편(32)을 하향 불록상으로 회동함으로써. 상기 스프링(27)이 소위 토글스프링의 작용을 하는 것이므로, 다른 부품없이도 회동면(32)을 제1및 제2양 자세에 걸어멈춤이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곡물줄기량의 곡물줄기공급량 검출수단(E)을, 공급반송장치(21)의 요동변위치를 꺼냄으로서 구성하여도 좋다.
이 경우 공급반송체인(4B)과 쌍을 이룬 공급끼움레일(22B)의 변위를 이 끼움레일(22B)을 고정한 공급가이드(35)의 요동량으로 대체하여 꺼내는 것이다.
그리고 덮개체(26)를 그 요동지점측으로 고정한 브래킷(36)을 릴리이스와이어(28)에서 조작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또 상기 곡물줄기공급량 검출수단(E)을 급동(2)의 회전토오크를 사용하여 부하검출하고 이것에 의해 곡물줄기량을 추정하는 수단으로서도 좋고, 상기 변경조절수단(H)을 여하한 장소에 설치하여 실시하여도 좋다.
또 선별바람량을 흡입구의 면적변화나 키의 회전수 변화에 의하여 변경조절하는 것이라도 좋다.
더욱이 상기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공급곡물줄기의 종류에 의해서 수동에 의해서 증감비율을 변경하는 예를 표시하였으나, 끼움레일(22A)에 있어서 곡물줄기의 「부피」의 변화를 검출하여 증감비율을 자동적으로 변경할수 있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특허청구의 범위의 항에 도면과의 대조를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부호를 기재하였으나 이 기입에 의해 본 고안은 첨부도면의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Claims (4)
- 급동(2)과, 상기 급동(2)에 의해서 취급처리된 곡물줄기를 요동선별하는 요동선별장치(5)와, 상기 요동선별장치(5)에 선별바람을 이송하는 키(6)와, 상기 급동(2)에 공급되는 탈곡곡물줄기의 양을 검출하는 곡물줄기공급량 검출수단(E)과, 상기 선별바람의 양을 상기 탈곡곡물줄기의 양의 증감에 따라서 조절하는 선별 바람량 조절수단(F)으로 구성되는 탈곡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별바람량 조절수단(F)은 상기 키(6)의 아래쪽에 설치된 배풍구(25)룰 덮을 수 있도록 제l횡축심(P1)둘레에 요동이 자유로이 설치된 덮개체(26)와, 한끝을 제2횡축심(P2)에 축지지연결되는 동시에 다른 끝을 상기 덮개체(26)에 접속된 요동가능한 아암(30)을 갖추고 있고, 상기 덮개체(26)에 의한 상기 배풍구(25)의 개구량의 조절에 의하여 상기 선별바람의 양을 조절하고, 또한,상기 변경조절수단(H)은 상기 탈곡곡물줄기공급량 검출수단(E)과 연동연결되는 동시에 상기 아암 양단의 중간부에 설치된 피요동부(RR)를 갖추고 있으며, 상기 피요동부(RR)는 상기 탈곡곡물줄기량의 증감에 대하여 상기 덮개체(26)의 요동변위의 변화를 변경하기 위해 상기 제2축심(P2)과의 거리를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변경조절수단(H)은 상기 탈곡곡물줄기의 양에 대응한 상기 선별바람량의 변화비율로서 제1증감비율과 제2증감비율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1증감비율이 탈곡물로서의 벼에 대응하는 것이고, 상기 제2증감비율은 탈곡물로서의 맥류에 대응하는 것인 동시에 상기 제1증감비율은 상기 제2증감비율보다 크게 설정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증감 비율이 상기 제2증감 비율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는 비율이 3 :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횡축심(P2)에서 상기 피요동부(RR)까지의 이간 거리를, 제1상태(C1)에 대한 제1이간거리(L)와, 제2상태(C2)에 대응하는 제2이간거리(ℓ)에 전환이 가능하며, 상기 제1이간거리(L)가 상기 제2이간거리(ℓ)의 실질 3배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곡물줄기공급량 검출수단(E)은 이송 체인(4A)과 끼움레일(22A)에 의하여 끼워 반송되는 탈곡곡물줄기의 두께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9208514U KR930001333Y1 (ko) | 1989-11-16 | 1992-05-19 | 탈곡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97862 | 1989-11-16 | ||
JP29786289A JPH0793853B2 (ja) | 1989-11-16 | 1989-11-16 | 脱穀装置 |
KR1019900004404A KR900011379A (ko) | 1989-01-20 | 1990-03-31 | 탈곡장치 |
KR9208514U KR930001333Y1 (ko) | 1989-11-16 | 1992-05-19 | 탈곡장치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00004404A Division KR900011379A (ko) | 1989-01-20 | 1990-03-31 | 탈곡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30001333Y1 true KR930001333Y1 (ko) | 1993-03-27 |
Family
ID=27338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9208514U KR930001333Y1 (ko) | 1989-11-16 | 1992-05-19 | 탈곡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930001333Y1 (ko) |
-
1992
- 1992-05-19 KR KR9208514U patent/KR930001333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3688059B2 (ja) | コンバイン | |
KR930001333Y1 (ko) | 탈곡장치 | |
JPH0793853B2 (ja) | 脱穀装置 | |
JPH05268822A (ja) | 脱穀装置 | |
JPH0413958Y2 (ko) | ||
JP3422035B2 (ja) | 脱穀選別装置 | |
JP2540629Y2 (ja) | コンバイン | |
JPH0629949Y2 (ja) | 刈取脱穀機における2番物還元停止装置 | |
SU1314979A1 (ru) | Очистка зерноуборочного комбайна | |
JP3206072B2 (ja) | コンバイン用脱穀装置 | |
JP2502176Y2 (ja) | 脱穀装置 | |
JP2002360037A (ja) | コンバインの刈取機 | |
JPH0327394Y2 (ko) | ||
JP3430525B2 (ja) | コンバイン | |
JPH088599Y2 (ja) | 脱穀機における穀稈の塵芥堆積防止装置 | |
JP3633877B2 (ja) | 脱穀装置 | |
JPH05227825A (ja) | コンバイン | |
JP2000139180A (ja) | 脱穀機の選別制御装置 | |
JP2001086846A (ja) | 脱穀選別装置 | |
JP3391042B2 (ja) | 脱穀選別装置 | |
JP2000188938A (ja) | 脱穀装置 | |
JP2007000067A (ja) | コンバイン | |
JPH04346717A (ja) | コンバインの脱穀機枠 | |
JP2001218522A (ja) | 脱穀揺動選別装置 | |
JPH1175510A (ja) | コンバインの揺動本体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50309 Year of fee payment: 13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