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0858B1 - 좌석체의 트림커버 - Google Patents

좌석체의 트림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0858B1
KR930000858B1 KR1019880009086A KR880009086A KR930000858B1 KR 930000858 B1 KR930000858 B1 KR 930000858B1 KR 1019880009086 A KR1019880009086 A KR 1019880009086A KR 880009086 A KR880009086 A KR 880009086A KR 930000858 B1 KR930000858 B1 KR 9300008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im cover
seat
skin
cover
ex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9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1335A (ko
Inventor
무네하루 우라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다찌에스
가와가미 다께시로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다찌에스, 가와가미 다께시로우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다찌에스
Priority to KR10198800090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0858B1/ko
Publication of KR9000013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13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08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08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10Loose or removable furniture covers
    • A47C31/11Loose or removable furniture covers for chairs

Landscapes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좌석체의 트림커버
제1도는 1매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프론트백의 평면도.
제1도(a)는 제1도의 프론트백의 변형예의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의 프론트백을 입체로 성형한 사시도.
제3도는 프론트쿠션의 1매의 재료을 평명으로 전개한 평면도.
제4도는 프론트쿠숀 입체로 성형한 사시도.
제5도, 제6도는 결합부에서 열융착된 트림커버의 일부단면도.
제7도, 제8도는 제2도의 ABC선상의 단면도.
제9도는 제4도의 c-d 단면도.
제10도는 제1도, 제2도의 e-f선의 단면도.
제11도는 제2도의 일부 g-h 단면도.
제12도는 제2도의 i-j 단면도.
제13도는 종래의 트림커버의 평면도.
제14도는 종래의 트림커버의 사시도.
제15도는 평면형상으로 재단한 각 부분을 나타내는 정면도.
제16도는 재봉틀 등에 의해 결합한 트림커버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좌석기부 2 : 플랩부
3 : 좌석기부의 상부연장부 5 : 표피
6 : 충전패드 7 : 이면기포
V : 홈부분 W : 결합부
본 발명은, 차량용 좌석체의 트림커버 및 이와 유사한 좌석체의 트림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하면 좌석체를 용이하고 미려하게 마무리하며, 더우기 공수(工數)를 삭감하여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좌석체 트림커버(trim cover)의 종래 기술에 대하여 제13도 내지 제16도에 따라 설명한다.
제13도, 제14도는 한가지 예로서의 차량용 좌석체 프론트백(F/B Front Back)의 트림커버를 나타내는 것으로, 제13도는 재료(표피, 충전패드, 이면기포(裏面基布))를 평면으로 전개한 것을 좌석기부(基部)(1), 좌석기부 양쪽의 한쌍의 플랩부(flap pa rt)(2), 좌석기부(1)의 상부연장부(3)의 4부분으로 분할, 재단하고, 이들 부분을 제14도의 개략 사시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체적으로 재봉틀에 의한 재봉등에 의해 결합한 것으로서, 플랩부(2)는 버킷(bucket)부분을 입체적으로 성형하고 있다.
제13도의 플랩부(2)의 a,b,c선과, 상부연장부(3)와 좌석기부(1)의 a',b',c'선은, 제14도에서는 a,b,c부분으로 결합해서, 입체적으로 되므로, 제13도의 각 부분은 입체를 고려해서 평면으로 전개하며 재단된 것이다.
제15도, 제16도는 차량용 자석체의 프론트쿠숀(F/C)의 트림커버를 나타내는 것으로, 각 부분의 구성과 입체성형에 대해서는, 제13도 및 제14도와 동일하다.
제15도에 있어서, 좌석기부(1)를 평면으로 상하 각각 ι부분만큼 약간 길게 재단하는 것은, 제16도에서 a,b,c의 곡선으로 성형되기 때문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좌석체의 프론트백, 프론트쿠숀은, 적어도 각각 4부분으로 구성되고, 도시는 생략하였지만, 뒷부분 좌석의 트립커버는, 더욱 많은 부분수로 구성되어서, 각 부분의 재단에 의한 재료손실 및 각부분의 결합부의 재료손실이 발생하고, 입체로 성형하기 위해서, 재봉틀 등으로 각 부분을 결합하는 데는 숙련을 필요로 하고, 수작업이므로, 공수도 많게 되고 마무리의 정도(精度)가 불균일하며, 주름 등의 발생에 의한 불량의 원인으로 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과제를 해결한 신규한 좌석체의 트림커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즉, 본 발명은, 버킷시이트(seat)의 좌석기부, 좌우한쌍의 플랩부, 좌석기부의 상부연장부 또는 뒷부분플랩부를, 평면형상으로 펼친 표피-충전패드-이면기포의 적충체(積重體)로 이루어진 1매의 재료로, 전기한 각 부분사이를 구분하는 적중체 결합선을, 상면쪽에 존재하는 홈부분의 형태로 형성하고, 이들 홈부분에서 절곡하여 입체형상을 부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체의 트림커버에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제1도 내지 제12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프론트백을 1매의 재료(표피, 충전패드, 이면기포)를 평면으로 전개한 도면을 나타내고, 제2도는 제1도의 프론트백의 형상을 입체형성한 사시도이다.
1매의 표피재료로서는 표피에 미리 얇은 충전패드, 이면기포를 3층으로 적층한 것도 포함한다.
제1도의 A,B,C,D,E,F선상의 단면은, 제5도 또는 제6도에 나타낸다.
제5도와 제6도에는 표피(5), 충전패드(6), 이면기포(7)의 3층으로, 열융착(고주파, 초음파, 고온프레스, 기타의 열융착법)에 의해 결합부(W)에서 결합되어 있는 3각형상의 홈부분(V)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결합부는 재봉틀로 재봉하여 형성된 것으로 해도 좋다. 이들 결합부(즉 각 부분의 경계)(w)의 융착된 선은 좁은 띠형상, 가는 선 혹은 짐형상의 연속선 및 재봉틀에 의한 재봉선이다. 이들 홈부분(V)은, 각각 제7도 또는 제8도와 같은 절곡된다. 이것이 예를들어 제2도의 A-B-C선상의 단면이다. 또, 제11도와 제12도는 각각 제2도의 단면 버킷부분 g-h, i-j를 나타낸다.
제11도는 제12도 보다 절곡각도가 평면에 대하여 커서, 결합부(w)가 내려가서 표피(5)가 인입되어 플랩부(2)가 버킷부분을 성형해서, 주름의 발생을 방지하고 있다. 제11도와 제12도에 있어서, 결합부(w)우측의 충전패드(6), 이면기포(7)가 없이 표피 (5)만으로도 결합부(W)에 홈부분(V)이 있으므로 입체로 성형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뒷자석(rear seat)에 대해서도 1매의 표피(5 )를 사용하여 착석부 이외는 충전패드(6), 이면기포(7)를 삭제할 수 있다.
제2도의 망선(網線)으로 나타낸 부분은, 플랩부(2)(버킷부분)가 좌석기부(1), 상부연장부(3)에 대하여 신장되어 성형되어 있다.
제10도는 제1도 또는 제2도의 e-f단면을 나타내며, 상부연장부(3)는 표피가 신장되어 있지 않지만 제2도의 망선부분(제10도의 V부분의 표피)은 신장성형되어 있다.
상기한 재료가 신장되어 잇는 상태라 함은,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께가 T로부터 늘어나서 t로 되어 얇게 되고, 길이(L)가 ι만큼 늘어나 있는 상태를 말하며, 제4도의 c-d단면이 그 예이다.
제1도(a)의 A-C선, B-B선, D,E,F 선은 연장인 d',e',f'와 B-B선은 교차하여 재봉되므로, D,E,F선은 B-B선으로부터 실밥등이 풀리는 일이 없다.
B-B선은 조립시 안쪽으로 인장되므로, B-B선은 골의 밑바닥으로 되어서, 전기한 상부연장부로의 d',e',f'가 짧으면 골에 인입되어 외부로부터 볼 수 없게 할 수 있다.
제1도(a)는 D.E.F선 또는 B-B선의 양끝과 같이 도중에서 끊기는 선을 풀리지 않게 재봉하는 것을 나타내는 예로서, 사용하는 재봉틀종류의 예로서는, 쌍침(double s ewing), 본봉(final sewing), 박음질(back stitching)등을 사용하며 그밖에 예로도 응용할 수 있다.
제3도는 프론트쿠숀을 1매의 재료를 평면으로 전개한 도면이고, 제4도는 그것을 입체로 성형한 입체사시도이다. 전기한 제1도, 제2도의 설명과 동일 또는 그 응용이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제3도는 좌석기부의 후부연장부(4)의 삼각형상 사선 부분을 잘라내거나 또는 바깥쪽으로 구부려서 코오너부를 성형한다. 바깥쪽으로 구부린 부분을 재봉하거나 또는 우레탄모울드의 오목부에 삽입하여 접착한다.
프론트백(F/B)이외에도 필요한 부분에 응용할 수 있다.
즉, 본 방식은 1매의 표피를 사용하며 표피의 늘어남이 작으므로 형상이 만들어지기 어렵거나 혹은 겉가죽은 늘어나도 주름이 생기는 등의 경우는 필요에 따라서 부분재단을 실시하고, 여분의 표피를 삭제 혹은 필요에 따라 그 양쪽을 봉합시키거나, 또는 부족부분에는 별도의 표피를 꿰매 붙여서 입체성형으로 하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 상기한 설명에 있어서는, 이음부(좌석의 둘레측면부)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지만, 통상, 필요에 따라 이음부가 플랩부, 좌석기부의 외단에 부착되며, 표피로서 프레임, 쿠숀 등의 지지부재에 입혀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도 혹은 제3도의 평면형상의 재료가 제2도 혹은 제4도와 같이 입체로 성형되어 있으므로 다음의 효과를 보유한다.
a) 제5도, 제6도의 결합부(W)과 홈부분(V)에 의해서 절곡위치가 정확하게 결정된다.
b) 제9도의 ι, 혹은 제11동의 표피(5)의 인입 등에 의한 변형은 재료의 늘어남이 없는 경우, 혹은 늘어남이 적은 경우도 재료에 가요성 등이 있으면 성형할 수 있다.
물론 재료에 늘어남이 있으면, 성형이보다 용하하게 된다.
c) 충전패드(6)에 표피(5)가 접착되어 있을 경우는, 표피만의 변형에 의한 주름 발생은 충전패드와 일체로 되어 있기 때문에 없다.
d) 충전패드와 이면기포가 없이 표피만의 경우, 혹은 표피와 충전패드만의 경우에도 홈부분(V)이 표피에 성형되어 있으면, 요구되는 입체 형상에 따라서는 성형될 수 있다.
e) 종래의 제14도의 a-b-c의 결합부는 도시는 생략했지만, 모울드에 접하는 부분이 볼록부로 되지만, 제7도, 제8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결합부(W)는 볼록부가 없는 모울드의 외형과 합치하므로 좌석체의 우레탄 모울드에 접착이 용이하고 확실하게 되어 성형후의 형상은 정확하게 유지될 수 있다.
f) 종래의 트림커버의 결점인 부품수의 삭감, 재단손실 및 각 부분결과의 재료손실의 삭감, 작업에 숙련자가 불필요한 점, 주름 등의 발생이 없어서, 품질이 향상되고 원가도 절감된다.
본 발명은 버킷시이트의 트림커버에 한정된 것은 아니고, 리어시이트 또는 좌석체이외의 유사한 것, 예를들어 차량의 내장제품, 가구등에 응용할 수 있다.

Claims (10)

  1. 버킷시이트의 좌석기부(1), 좌석기부 양측의 플랩부(2), 좌석기부의 상부연장부(3) 또는 후부연장부(4)를 평면형상으로 펼쳐진 표피(5)-충전패드(6 )-이면기포 (7)의 적층체로 이루어진 1매의 재료로서, 전기한 각 부분 사이를 구분하는 적층체의 결합선을, 상면쪽에 존재하는 홈부분(V)의 형태로서 형성하고, 이들 홈부분(V)의 위치에서 절곡하여 입체형상을 부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체의 트림커버.
  2. 제1항에 있어서, 전기한 홈 부분(V)을 열융착에 의해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체의 트림커버.
  3. 제1항에 있어서, 전기한 홈부분(V)을 재봉틀로 재봉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체의 트림커버.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전기한 홈 부분(V)에 상당하는 부분의 표피의 늘어남 혹은 표피의 이면기포 방향으로의 인입에 의해 절곡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는 좌석체의 트림커버.
  5.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전기한 버킷시이트의 각 부분의 사이의 결합선 부근을 부분적으로 재료전체의 늘어남 및 변형을 이용하여 성형해서 입체형상을 부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체의 트림커버.
  6. 제1항에 있어서, 후부연장부(4) 또는 좌석기부(1)와 좌우 양측의 플랩부(2)와 접하는 부분의 나머지 부분인 비어져 나오는 부분을 잘나내어서, 트림커버를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체의 트림커버.
  7. 제1항에 있어서, 후부연장부(4)와 좌우양측의 플랩부(2)와 접하는 코오너부를 잘라내지 않고 외측으로 절곡하여 우레탄모울드의 오목부에 삽입하여 접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체의 트림커버.
  8. 제1항에 있어서, 트림커버를 성형한 후, 우레탄모울드에 접착해서, 트림커버의 성형형상을 유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체의 트림커버.
  9. 제1항에 있어서, 좌석기부(1), 상부연장부(3), 좌우양측의 플랩부(2)의 각 부분으로 이루어지며, 전기한 좌석기부(1)와 전기한 상부연장부(3)와의 사이에 전기한 결합부의 선과 홈부분(B-B)을 형성함과 아울러, 전기한 좌석기부(1)에는 그 표피가 늘어난 상태로 몇줄의 세로 홈부분(D,E,F)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체의 트림커버.
  10. 제1항에 있어서, 전기한 좌석기부(1)의 몇줄의 세로 홈부분(D,E,F)의 선단(d', e',f')이 전기한 결합부의 선과 홈부분(B-B)을 넘어서 전기한 상부연장부(3)의 일부까지 뻗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체의 트림커버.
KR1019880009086A 1988-07-20 1988-07-20 좌석체의 트림커버 KR9300008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09086A KR930000858B1 (ko) 1988-07-20 1988-07-20 좌석체의 트림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09086A KR930000858B1 (ko) 1988-07-20 1988-07-20 좌석체의 트림커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1335A KR900001335A (ko) 1990-02-27
KR930000858B1 true KR930000858B1 (ko) 1993-02-08

Family

ID=19276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9086A KR930000858B1 (ko) 1988-07-20 1988-07-20 좌석체의 트림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085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1335A (ko) 1990-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018434B2 (ja) 一体成形座席体
JPH0626639B2 (ja) ゴルフクラブ・ヘツドカバ−の製作方法
MX2007000594A (es) Elemento de sujecion para areas extremas de prendas a ser sujetadas entre si.
JPS5940037B2 (ja) 座席体の製法
JP6637263B2 (ja) 車両用内装部品及びその製作方法
US4579388A (en) Seat
US3392731A (en) Brassiere pad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930000858B1 (ko) 좌석체의 트림커버
EP0300043A1 (en) Trim cover for seat
CN101233964A (zh) 粘结的弹性体
US20020111119A1 (en) Seamless brassiere shoulder strap
US20080096465A1 (en) Brassiere
JP3136098U (ja) ショーツ
JPH032234Y2 (ko)
BR112021011990A2 (pt) Elemento de assento de veículo e método para fabricar um elemento de assento de veículo
KR102618392B1 (ko) 원단의 연결부위에 재봉되는 이음밴드
JPH0235663B2 (ko)
CN211280744U (zh) 车辆用头枕
JPS61270139A (ja) ヘッドレストの加工方法
JPS5937978A (ja) 座席体
JP5546937B2 (ja) 車両用シート
JPH0237845B2 (ko)
JP3146250B2 (ja) トリムカバーの装飾用皺形成方法
JPH0140767Y2 (ko)
JPH03141975A (ja) トリムカバーの縫製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