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0060B1 - 고농도의 향로를 갖는 연속적 수성상의 향수 조성물 - Google Patents

고농도의 향로를 갖는 연속적 수성상의 향수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0060B1
KR930000060B1 KR1019890008182A KR890008182A KR930000060B1 KR 930000060 B1 KR930000060 B1 KR 930000060B1 KR 1019890008182 A KR1019890008182 A KR 1019890008182A KR 890008182 A KR890008182 A KR 890008182A KR 930000060 B1 KR930000060 B1 KR 9300000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lipid
aqueous phase
perfume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8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0071A (ko
Inventor
로즈-마리 네 빌라 앙드쟈니
아르레뜨 네 아리다우 자보또
알렝 리비어
자끄린 네르 칼베즈 그리에
Original Assignee
로레알
앙드레 비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레알, 앙드레 비우 filed Critical 로레알
Publication of KR900000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00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0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00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3/00Formulations or additives for perfume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4Liposomes; Vesic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고농도의 향로를 갖는 연속적 수성상의 향수 조성물
본 발명은 고농도의 향료를 갖는 연속적 수성상이 향수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향수 조성물들은 여러 형태로 얻어질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들은 고비율의 알콜을 함유하는 히드로알코올용액의 형태로 가장 흔히 얻어진다. 이들 히드로알콜 용액은 알콜의 존재 때문에 25중량%까지에 달하는 고비율의 향료를 함유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긴 하지만, 이들은 피부를 자극하고 피부를 건조하게 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향수 조성물들은 밀크 또는 크리임의 형태로서 물속 오일 또는 오일속 물 에멀션으로 이루어진다고 알려져 있다. 이들 에멀션에 있어서, 향료는 오일에 용해되어 있긴 하지만 소량으로 밖에는 도입될 수 없다.
끝으로, 콜로이드화된 향수들이 또한 제조되긴 하지만, 여기서는 콜로이드화 계면활성제는 향료의 입자들 사이에 침투한다. 이런 경우에 있어서, 콜로이드화제는 향수의 상태를 나쁘게 할 수 있다. 또한, 콜로이드화 계면활성제는 피부를 자극할 수 있고 또 제품에 끈적끈적한 작용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은 향수의 특색이 변질되지 않는 고농도의 향료를 함유하긴 하지만 저급알콜을 함유하지는 않으며 결코 피부를 자극함이 없이 피부용 리피드에 바이오미메틱 리피드(biomimetic lipid)를 부가함에 의해서 피부상에서 진정 작용을 갖는 향수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수용성 화장품용 보조제를 함유하여도 좋은 연속적 수성상 내에 다음 성분 a) 및 b)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농도의 향료를 갖는 연속적 수성상 향수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
a) 비이온성 리피드(들)은 R이 아래의 1)에 정의된 바와 같을때 콜레스테롤과 연관되고, 상기의 비이온성 리피드(들)은 리포아미노산, 콜레스테롤 설페이트, 콜레스테롤 포스페이트 및 C12-C22지방 알콜의 인산 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된 음이온성 안정화제와 연관되고, 상기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리피드(들)에 기초하여 1 내지 10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며, 액포들은 0.01μ 내지 1μ의 평균 직경을 가지며 이들 액포들은 형성하는 비이온성 리피드(들)은 전체 조성물중의 0.2 내지 4중량%를 차지하는, 다음 일반식의 직쇄 또는 측쇄 폴리글리세롤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최소한 하나의 비이온성 리피드로부터 얻어지는 액포 : 그리고 b) 향료는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기초하여 3 내지 20중량%의 양으로 조성물 내에 존재하여 액포의 리피드(들)대 향료의 중량비는 향료가 리포용성 화장품용 보조제들과 혼합될 수 있도록 0.05 내지 0.2의 범위에 있는, 0.1 내지 1u의 직경을 갖는 소적의 형태로서, C1-C4알콜이 본질상 없는, 최소한 하나의 좋은 냄새가 나는 천연 정유(essential oil) 및/또는 합성 생성물 :
Figure kpo00001
상기식에서 n은 2 내지 6 사이의 평균 통계값이고
R은 1) 지방족사슬 R1또는 R2CO (여기서, R1은 직쇄 또는 측쇄의 C12-C18지방족 라디칼이고 R2는 직쇄 또는 측쇄의 C11-C17지방족 라디칼이다)이거나, 또는
2)
Figure kpo00002
(여기서, R3는 라디칼 R1또는 R2CO이고 R4는 라디칼 R1인데, R1및 R2는 같거나 상이한 것으로서 상기에 나타낸 바와 같음)이다.
액포들은 비이온성 리피드들의 이분자 또는 다분자 충돌에 의해 한정된다고 알려져 있다. 블란서 특허 제2,315,891호 및 2,543, 018호는 수성상내의 리피드 액포들의 분산액을 기술하고 있다. 블란서 특허 제2,485,921호 및 2,490,504호는 비이온성 리피드들의 액포들은 염화제를 부가할 필요없이, 수성상내의 수불혼화성 액체, 특히 오일의 분산액을 안정화시킨다고 기술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향료의 소적들이 액포들의 도움으로 분산액의 형태로 유지되는 향수 조성물의 제조에 그같은 성질의 상기 액포들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비이온성 리피드들의 액포들은 사용된 향료의 특색을 변질시키지 않으며 피부 리피드들과 비교하여 바이오미메틱인 이들 비이온성 리피드들의 존재는 피부에 더 좋은 응집력을 제공하고 매우 진정되고 좋은 조성물이 이용되게 한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향수 조성물은 어떠한 악영향도 없이 넓은 면적의 피부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들은 실온에서의 저장시에 안정하며, 이들은 피부에 쉽게 뿌려질 수 있으며 좋은 느낌을 갖는 약간 윤기가 있는 백색 크리임 또는 유체 크리임의 형태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들은 사용하면 피부상에서의 향수의 보유력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조성물이 향수로 작용하는 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다.
향수 조성물은 20중량% 이하의 향료를 함유할 수 있다. 향료의 비율이 2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안정한 향수 조성물을 얻는 것이 어렵게 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들은 5 내지 16중량%의 향료를 함유한다.
바람직하게 액포들의 비이온성 리피드(들)은 0.5 내지 2중량%를 차지한다. 액포들 내의 음이온성 안정화제들은 액포들에 음전하를 부여하기 때문에 이들의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음이온성 안정화제들은 예컨대 디세틸 또는 디미리스틸 포스페이트를 포함하는 C12-C22지방 알콜의 인산 에스테르, 아실 라디칼 R5CO-가 C13-C10탄화수소 라디칼 R5를 함유하는 것들, 예컨대 팔미토일콜라겐산, 디팔미토릴-O, N-히드록시프롤린산 및 히드록시프롤린 리놀레에이트로부터 선택된 리포아미노산, 그리고 콜레스테롤 설페이트 및 포스페이트로 이루어진다.
사용된 정유들은 건식 또는 습식 스팀증류에 의해, 또는 기계적 공정에 의해, 또는 건식증류에 의해, 또는 휘발성용매로의 추출에 의해 천연 출발물질로부터 얻어진 생성물들이다(스탠다드 NF-T-75006참조).언급될 수 있는 실례로는 제라늄유, 베르가모트유, 삼목유, 라벤더유, 패출리유 및 배티버유가 있다. 합성 향료 생성물들로는 예컨대 바닐린, 리나홀, 페닐에틸알콜 및 리네릴 아세테이트가 있다.
본 발명에 따라, 향수는 리포용성 선 필터, 예컨대 2-에틸헥실 파라디메틸아미노벤조에이트와 같은 리포용성 보조제, 건조한 또는 노쇄한 피부의 상태를 호전시키기 위한 물질, 특히 콩 또는 아보카도로부터 유도된 것들, 비타민 E 및 F, 산화방지제 또는 동물성, 식물성, 광물성 또는 합성오일과 같은 비비누화성 물질들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수성상은 수용성염료, 불투명화제, 수용성 선 필터, 글리세롤, 소르비톨, 펜타에리트리톨, 이노시톨 또는 피롤리돈카르복실산 또는 그 염과 같은 흡습제, 비타민 또는 동물 또는 식물 추출물과 같은, 피부 상에서 생물학적 활성이 있는 화합물과 같은 수용성 화장품용 보조제들은 함유할 수 있다.
겔화제는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기초하여 0.1 내지 2중량%의 농도로 도입될 수 있다. 겔화제의 존재하에서, 윤기있는 유체 크리임이 얻어지는데 이것은 피부상에 쉽게 뿌려지고 좋은 느낌을 갖는다. 사용될 수 있는 겔화제로는 예컨대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와 같은 셀룰로오스유도체, 사티아검과 같은 조류의 유도체, 트라가칸트와 같은 천연 검, 또는 CARBOPOL이란 상표명으로 BF Goodrich사가 판매한 것과 같은 카르복실산의 혼합물이 있다. 메틸 파라히드록시 벤조에이트와 같은 방부제, 트리에탄올아민과 같은 pH 조절제가 또한 수성상에 부가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향수 조성물은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
제1단계에 있어서, 불란서특허 제2,315,991호, 2,543,018호 또는 2,221,222호에 기술된 것과 같은 통상의 방법을 사용하여, 비타민 또는 동물 또는 식물 추출물과 같은 피부 상에서 생물학적 활성이 있는 수용성 화합물, 흡습제 또는 방부제를 함유할 수 있는 탈염수로 이루어진 수성 상에서, 음이온성 안정화제 및 필요한 경우 콜레스테롤을 함유하는 비이온성 리피드(들)로부터 액포들의 분산액을 제조한다.
제2단계에 있어서, 액포들의 분산액이 제조되었으면, 그 연속적 수성상에 향료를 분산시킨다. 분산액은 기계적 교반, 예컨대 초분산기 또는 균질화기에 의해 또는 초음파에 의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리포용성 화장품용 보조제는 수성상 내에 도입되기 전에 향료에 용해된다. 수용성 화장품용 보조제는 향료와 같은 시기에 또는 향료가 분산되어진 후에 수성상 내의 액포들의 분산액에 부가된다. 바람직하게 이들은 수용액의 형태로 부가된다.
바람직하게, 리포용성 및/또는 수용성 화장품용 보조제들은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기초하여 0.01 내지 5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제한을 가함이 없이 순수하게 예시에 목적이 있는 아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더 좋은 이해를 제공한다.
[실시예 1]
[제1단계]
제1단계에서, 다음 일반식의 비이온성 양극성 리피드 A를 사용하여 수성상 내의 액포들의 분산액을 제조한다 :
Figure kpo00003
상기식에서 R1은 세틸기, C16H33이고 n은 3이다.
아래의 포오뮬레이션을 제조한다 :
-리피드 A ……………………………………………………………0.475g
-콜레스테롤 …………………………………………………………0.475g
-디세틸 포스페이트 ………………………………………………… 0.05g
-글리세롤………………………………………………………………… 3g
-물 ……………………………………………………………………… 70g
이러한 포오뮬레이션을 초분기산에서 40,000rpm으로 3분간 기계적 교반한다.
0.2μ의 평균 직경을 갖는 액포들을 수성 분산액으로 얻는다.
[제2단계]
베르갭텐이 없는 10g의 베르가모트유를 제1단계에서 얻은 분산액에 도입하고 그 혼합물을 2분간 초음파 처리하여 0.3 내지 0.5μ의 치수를 갖는 정유들의 소적들을 얻는다.
이어서 아래의 성분들을 함유하는 수용액을 가한다 :
-메틸 파라히드록시벤조에이트 …………………………………………0.2g
-물 ……………………………………………………………………… 14.98g
-폴리카르복시비닐산(The B.F.Goodrich에 의해 "CARBOPOL 940"이란 상표명으로 시판된 것). …………………………………………………………………0.42g
-트리에탄올아민 ………………………………………………………… 0.4g
백색 크리임의 외관을 갖는 향수 조성물을 얻는다. 3개월간 저정한 후 그 안정성을 체크한다.
[실시예 2]
[제1단계]
0.05g의 음이온성 약품(디미리스틸 포스페이트)와 회합되고 8g의 탈염수와 혼합된 다음 일반식의 0.95g의 비이온성 리피드 B로 이루어진 혼합물 I로부터 액포들을 제조한다 :
Figure kpo00004
상기식에서 R2는 라우릴기, C12H25이고, R3는 미리스틸 라디칼 C14H20와 세틸기 C16H33의 혼합물이고 n은 6이다.
블란서특허 제2,315,991호에 기술된 방법을 사용하여, 그 액포들을 61.63g의 물 및 3g의 글리세롤로 이루어진 혼합물 II에 녹인다.
[제2단계]
필요한 경우 퍼히드로스콸렌과 혼합된 베르가모트유(베르갭텐이 없는)로 이루어진, 다음(표 1)에 따른 혼합물 III을 부가한다. 그 분산액을 3분간 초음파 처리하고, 메틸 파라히드록시벤조에이트 및 트리에탄올아민을 함유하는, “CARBOPOL”이란 상표명으로 The B. F. Goodrich사에 의해 시판된 폴리카르복시비닐산 수용액으로 이루어진 혼합물 IV를 부가한다.
아래의 (표 1)에 제시된 여러 조성물들에 관한 테스트를 수행하고 얻어진 크리임의 안정성을 4 내지 45℃의 온도에서 두달 후에 체크한다.
(표 1)에 정의된 세 크리임들 중의 어느 하나의 정규적 개괄 이용은 사용자의 피부 상에서 매우 진정되고 기분좋은 느낌을 준다.
[실시예 3]
혼합물 IV가 “CARBOPOL”을 함유하지 않는다는 것을 제외하곤 실시예 2에서와 같이 조성물을 제조한다. 얻어진 조성물은 뛰어난 안정성을 갖는 밀크의 형태이며 개괄적인 이용은 실시예 2의 크리임들과 동일한 이점이 있다.
[표 1]
Figure kpo00005
[실시예 4]
아래의 포오뮬레이션에 해당하는 향수 L을 규정한다 :
베르가모트유………………………………………………………………10g
오랜지유 …………………………………………………………………… 6g
페닐에틸 알콜 ………………………………………………………………8g
자단유 ………………………………………………………………………10g
Figure kpo00006
-헥실신남알데히드 …………………………………………………… 10g
히드록시시트로넬랄 Schiff염기와 메틸 안트라닐에이트의 축합생성물(Aurantiol이란 상표명으로 GIVAUDAN에 의해 시판된 제품)……8g
벤질 아세테이트 …………………………………………………………… 5g
코마린 ………………………………………………………………………10g
헬리오트로핀 ……………………………………………………………… 5g
바닐린 ……………………………………………………………………… 5g
이소메틸리오논 …………………………………………………………… 12g
처리된 삼목유로부터 얻어진 메틸 케톤의 혼합물(VERTOFIM란 상표명으로 I.F.F.에 의해 시판된 제품) …………………………………………………………11g
실시예 2의 제1단계의 종료시에 얻은 분산액에 12g의 향료 L을 부가하여 혼합물에 분산시키며, 그 분산액을 3분간 초음파 처리하고 실시예 2의 제2단계에서 얻은 혼합물 IV를 얻어진 분산액에 부가한다. 실시예 2의 크리임과 동일한 안정성을 갖는 백색 크리임을 얻는다.
이러한 크리임의 개괄적 이용은 실시예 2의 크리임의 이용과 동일한 결과들을 산출한다.
[실시예 5]
실시예 4에 정의된 20g의 향료 L을 실시예 2의 제1단계의 종료시에 얻은 분산액에 부가한다. 그 나중의 과정은 실시예 4에서와 같다. 실시예 4의 크리임과 본질상 동일한 안정성 및 이용성을 갖는 백색 크리임을 얻는다.
[실시예 6]
아래의 포오뮬레이션에 해당하는 향료 O를 경계짓는다 :
베르가모트유 …………………………………………………………………8g
오렌지유 ………………………………………………………………………8g
만다린유 ………………………………………………………………………8g
오렌지 페리트그레인유 …………………………………………………… 7g
리나릴 에세테이트 …………………………………………………… 12g
Figure kpo00007
-헥실신남알데히드 ………………………………………………………11g
페출리유 ………………………………………………………………………6g
머스크 케톤 ………………………………………………………………… 6g
버티버유 …………………………………………………………………… 11g
실시예 4에 정의된 “VERTOFIX” 제품 ………………………………… 13g
이소메틸리오닌 …………………………………………………………… 10g
상기에 정의된 5g의 향료 O 및 8g의 탈염수를 실시예 2의 제1단계의 종료시에 얻은 분산액에 부가한다. 분산액을 형성하고 3분간 초음파 처리한다. 이어서, 아래의 포오뮬레이션을 갖는 혼합물을 분산액에 부가한다 :
BF Goodrich에 의해
CARBOPOL이란 상표명으로 시판된
폴리카르복시비닐산 ………………………………………………………0.2g
트리에탄올아민 ……………………………………………………………0.2g
메틸 파라히드록시벤조에이트 ……………………………………………0.2g
탈염수 ……………………………………………………………………15.77g
실시예 3의 밀크와 실제상 동일한 안정성 및 개괄적 이용성을 갖는 밀크를 얻는다.

Claims (11)

  1. 연속적으로 수성상 내에 다음 성분 a) 및 b)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농도의 향료를 갖는 연속적 수성상 향수 조성물 : a) 비이온성 리피드(들)은 R이 아래의 1)에 정의된 바와 같을때 콜레스테롤과 연관되고, 상기의 비이온성 리피드(들)은 리포아노산, 콜레스테롤 설페이트, 콜레스테롤 포스페이트 및 C12-C22지방 알콜의 인산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된 음이온성 안정화제와 연관되고, 성기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는 리피드(들)에 기초하여 1 내지 10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며, 액포들은 0.01μ내지 1μ의 평균 직경을 가지며 이들 액포들을 형성하는 비이온성 리피드(들)은 전체 조성물중의 0.2 내지 4중량%를 차지하는, 다음 일반식의 직쇄 또는 측쇄 폴리글리세롤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최소한 한의 비이온성 리피드로부터 얻어지는 액포 ; 그리고 b) 향료는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기초하여 3 내지 20중량%의 양으로 조성물내에 존재하며 액포의 리피드(들)대 향료의 중량비는 향료가 리포용성 화장품용 보조제들과 혼합될 수 있도록 0.05 내지 0.2의 범위에 있는, 0.1 내지 1μ의 평균 직경을 갖는 소적의 형태로서, C1-C4알콜이 본질상 없는, 최소한 하나의 좋은 냄새가 나는 천연 정유 및/또는 합성생성물 :
    Figure kpo00008
    상기 식에서 n은 2 내지 6 사이의 평균 통계값이고 R은 1) 지방족 사슬 R1또는 R2CO (여기서, R1은 직쇄 또는 측쇄의 C12-C18지방족 라디칼이고 R2는 직쇄 또는 측쇄의 C11-C17지방족 라디칼이다)이거나, 또는
    2) 라디칼
    Figure kpo00009
    (여기서, R3은 라디칼 R1또는 R2CO이고 R4는 라디칼 R1인데, R1및 R2는 같거나 또는 상이한 것으로서 상기에 나타낸 바와 같음)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연속적 수성상이 수요성화장품용 보조제들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향료가 리포용성 화장품용 보조제들과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1 내지 3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5 내지 16중량%의 향료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1 내지 4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액포들의 비이온성 리피(들)이 전체 조성물의 0.5 내지 2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1 내지 5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방 알콜의 인산 에스테르가 디세틸 또는 디미리스틸 포스페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1 내지 6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리포아노산을 팔미토일로올라겐산, 디팔미토일-O, N-히드록시프롤린산 또는 히드록시프롤린 린올레이트와 같이, 아실기 R5-CO-가 C13-C19탄화수소 사슬 R5를 함유하는 리포아미노 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제1 내지 7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향료에 부가된 리포용성 화장품용 보조제는 선필터, 건조하거나 또는 노쇠한 피부상태를 호전시키기 위한 물질, 산화방지제 및 동물, 식물, 광물, 또는 합성오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9. 제1 내지 8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용성 화장품용 보조제는 수용성 염료, 불투명화제, 수용성선 필터, 흡습제 및 피부상에서 생물학적으로 활성이 있는 화합물들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0. 제1 내지 9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성상에 겔화제가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겔화제는 셀룰로오스 유도체, 조류의 유도체, 천연 검 및 폴리카르복시비닐 산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19890008182A 1988-06-14 1989-06-14 고농도의 향로를 갖는 연속적 수성상의 향수 조성물 KR9300000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8807911A FR2632519B1 (fr) 1988-06-14 1988-06-14 Composition parfumante, a phase aqueuse continue, ayant une forte concentration en parfum
FR88-07911 1988-06-14
FR88-7911 1988-06-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0071A KR900000071A (ko) 1990-01-30
KR930000060B1 true KR930000060B1 (ko) 1993-01-08

Family

ID=9367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8182A KR930000060B1 (ko) 1988-06-14 1989-06-14 고농도의 향로를 갖는 연속적 수성상의 향수 조성물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5079227A (ko)
EP (1) EP0347306B1 (ko)
JP (1) JPH0276808A (ko)
KR (1) KR930000060B1 (ko)
AR (1) AR243075A1 (ko)
AT (1) ATE74499T1 (ko)
AU (1) AU616272B2 (ko)
CA (1) CA1339087C (ko)
DE (2) DE347306T1 (ko)
ES (1) ES2012017T3 (ko)
FR (1) FR2632519B1 (ko)
GR (2) GR900300035T1 (ko)
MX (1) MX170093B (ko)
ZA (1) ZA89452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55542B1 (fr) * 1989-12-13 1994-02-11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pour application topique contenant des huiles essentielles.
FR2655540B1 (fr) * 1989-12-13 1994-02-11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pour le soin des cheveux et utilisation de ladite composition.
US5246918A (en) * 1990-07-11 1993-09-21 Unilever Patent Holdings B.V. Process for preparing perfumed personal products
DE69103487T2 (de) * 1990-07-11 1995-02-16 Quest Int Parfümierte strukturierte Emulsionen in Körperpflegemitteln.
FR2676924B1 (fr) * 1991-05-31 1995-02-03 Saint Laurent Parfums Yves Microemulsion contenant un concentre parfumant et produit correspondant.
DE4121945C2 (de) * 1991-07-03 1993-11-04 Merz & Co Gmbh & Co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stabilen, hydrophilen oder ambiphilen creme-zubereitungen, enthaltend vesikulaere bestandteile, stabile creme-zubereitungen mit vesikulaeren bestandteilen und deren verwendung
US5643600A (en) * 1991-09-17 1997-07-01 Micro-Pak, Inc. Lipid vesicles containing avocado oil unsaponifiables
US5160494A (en) * 1992-04-14 1992-11-03 Dow Corning Corporation Alkylmethylsiloxane containing perfume compositions
EP0571677A1 (en) * 1992-05-29 1993-12-01 Unilever Plc Aqueous parfume oil microemulsions
JPH06509816A (ja) * 1992-06-16 1994-11-02 フイルメニツヒ ソシエテ アノニム 香料添加された組成物
FR2704144A1 (fr) * 1993-04-23 1994-10-28 Patrinove Stimulation des kératinocytes par l'asc III pour moduler les fibroblastes.
US5468725A (en) * 1993-07-01 1995-11-21 International Flvos & Fragrances Inc. Alcohol free perfume
US5585343A (en) * 1993-11-02 1996-12-17 Givaudan-Roure Corporation Low VOC perfume formulations
WO1995014495A1 (en) * 1993-11-22 1995-06-01 Chemia Corporation Air freshener and moth and insect repellant products
FR2730928B1 (fr) * 1995-02-23 1997-04-04 Oreal Composition a base de vesicules lipidiques a ph acide et son utilisation en application topique
BR0014675A (pt) 1999-10-01 2002-07-23 Johnson & Johnson Processo para acalmar seres humanos utilizando composições de cuidado pessoal
US20020153508A1 (en) * 2000-06-29 2002-10-24 Lynch Matthew Lawrence Cubic liquid crystalline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ir preparation
US20020151527A1 (en) * 2000-12-20 2002-10-17 Benjamin Wiegand Method for reducing acne or improving skin tone
US20020146469A1 (en) * 2000-12-20 2002-10-10 Benjamin Wiegand Methods for reducing chronic stress in mammals
GB2384563A (en) * 2002-01-29 2003-07-30 Johnson & Johnson Consumer Method of measuring the stress or relaxation level of a mammal
GB0203045D0 (en) * 2002-02-08 2002-03-27 Johnson & Johnson Consumer Method of afefecting sleep and sleep-related behaviours
US20040175438A1 (en) * 2003-03-03 2004-09-09 Benjamin Wiegand Methods for alleviating symptoms associated with menopause using sensory regimen
US20040209795A1 (en) * 2003-04-21 2004-10-21 Vlad Florin Joseph VOC-free microemulsions
US7655613B2 (en) * 2004-10-20 2010-02-02 Firmenich Sa Solubilizing systems for flavors and fragrances
DE102007052536A1 (de) * 2007-11-01 2009-05-07 Beiersdorf Ag Wirkstoffkombinationen aus Anisfruchtextrakt und Weißen Teeextrakt
US9200236B2 (en) 2011-11-17 2015-12-01 Heliae Development, Llc Omega 7 rich compositions and methods of isolating omega 7 fatty acid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84985A (en) * 1977-07-11 1980-01-22 Henkel Kommanditgesellschaft Auf Aktien (Henkel Kgaa) Stable, aqueous or aqueous-alcoholic solutions of fat-soluble perfume oils containing hydroxyalkyl ether-ethoxylates
US4171455A (en) * 1978-09-19 1979-10-16 Shiseido Company Ltd. Polyoxypropylene polyoxyethylene addition ether of higher branched primary saturated alcohol
EP0043327B1 (fr) * 1980-07-01 1984-01-18 L'oreal Procédé d'obtention de dispersions stables dans une phase aqueuse d'au moins une phase liquide non miscible à l'eau et dispersions correspondantes
JPS57159707A (en) * 1981-03-30 1982-10-01 Yoshiaki Nakamura Dissolution of perfume in water
FR2571963B1 (fr) * 1984-10-24 1987-07-10 Oreal Composition a usage cosmetique ou pharmaceutique contenant des niosomes et au moins un polyamide hydrosoluble et procede de preparation de cette composition.
FR2597345B1 (fr) * 1986-04-22 1990-08-03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ou pharmaceutique a base d'une dispersion aqueuse de spherules lipidiqu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456001B2 (ko) 1992-09-07
EP0347306B1 (fr) 1992-04-08
AR243075A1 (es) 1993-07-30
DE347306T1 (de) 1990-05-03
ZA894524B (en) 1990-02-28
DE68901157D1 (de) 1992-05-14
KR900000071A (ko) 1990-01-30
GR900300035T1 (en) 1991-07-31
ES2012017A4 (es) 1990-03-01
JPH0276808A (ja) 1990-03-16
AU3635089A (en) 1989-12-21
GR3004832T3 (ko) 1993-04-28
ATE74499T1 (de) 1992-04-15
CA1339087C (fr) 1997-07-29
FR2632519A1 (fr) 1989-12-15
AU616272B2 (en) 1991-10-24
ES2012017T3 (es) 1992-11-01
FR2632519B1 (fr) 1992-02-21
MX170093B (es) 1993-08-06
EP0347306A1 (fr) 1989-12-20
US5079227A (en) 1992-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0060B1 (ko) 고농도의 향로를 갖는 연속적 수성상의 향수 조성물
DE69915798T2 (de) Erweichende zusammensetzung basierend auf jojoba ester
US4393043A (en) Solutions containing at least one essential fatty acid and vegetable oil, and 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these solutions
EP0433132B1 (fr) Composition cosmétique pour application topique contenant des huiles essentielles
JPH0210803B2 (ko)
JP4308472B2 (ja) 高不鹸化物及びその使用方法
EP0084341B2 (en) Emulsion-type composition for external use
DE1467829A1 (de) Enthaarungspraeparat
DE4119890A1 (de) Kosmetische und pharmazeutische oelkomponente
DE1492149A1 (de) Masse zur Behandlung und zur Pflege der Haut
JPH09509667A (ja) 化粧品および/または薬用の製剤
JP2895234B2 (ja) 可溶化剤
US8927034B2 (en) High unsaponifiable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JPH0532556A (ja) 皮膚外用剤
JPH06279467A (ja) リン脂質組成物
JPH0616536A (ja) リン脂質/糖脂質の混合物よりなるベシクルを含有する、化粧品用または皮膚科製薬用組成物
JPH0780739B2 (ja) 酸化防止系およびそれを含む組成物
JP3197937B2 (ja) 化粧料
RU2042351C1 (ru) Крем для ухода за кожей лица и тела
RU2395273C1 (ru) Крем для кожи после загара
RU2241440C2 (ru) Косметическое средство для ухода за проблемной кожей и способ его получения
RU2005471C1 (ru) Крем для кожи лица
RU2021802C1 (ru) Дезодорант тела
JPH0665047A (ja) 皮膚外用剤
JPH07238086A (ja) レシチン配合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123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