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700579A - 뼈형태계측 방법 및 장치와 뼈평가 시스템 - Google Patents

뼈형태계측 방법 및 장치와 뼈평가 시스템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700579A
KR920700579A KR1019900702694A KR900702694A KR920700579A KR 920700579 A KR920700579 A KR 920700579A KR 1019900702694 A KR1019900702694 A KR 1019900702694A KR 900702694 A KR900702694 A KR 900702694A KR 920700579 A KR920700579 A KR 9207005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ne
image
amount
light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702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0164600B1 (ko
Inventor
마꼬또 요시다
간지 구로메
아쓰시 아사히나
야스끼 하나오까
가즈오 이모세
Original Assignee
이다가끼 히로시
데이진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다가끼 히로시, 데이진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이다가끼 히로시
Publication of KR920700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7005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46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46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04B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7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1076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for measuring dimensions inside body cavities, e.g. using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8Testing, adjusting or calibrating thereof
    • A61B6/582Calibration
    • A61B6/583Calibration using calibration phanto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60Analysis of geometric attribu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nt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Rheumat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Multimedia (AREA)
  • Geometr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Transforming Light Signals Into Electric Signal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 Image Analysi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뼈형태계측 방법 및 장치와 뼈평가 시스템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X선 사진 필름을 사용하는 뼈계측 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뼈계측 장치 및 뼈평가 시스템에 사용되는 X선 사진 필름을 얻기 위한 X선 촬영시의 피사체, 즉, 피검뼈 및 표준 블록인 아루미늄 스텝웨지의 배치를 예시하는 평면도, 제3도는 제1도의 나타내는 뼈계측장치의 내부에 설치되는 뼈계측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시킨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Claims (39)

  1. 소정의 표준물질과 함께 피검뼈에 X선을 조사함으로써 얻어진 X선 사진 필름에 조사된 광의 트과광량을 사용하여 이 X선 사진 필름중의 피검뼈의 촬상에 관한 데이터를 자동적으로 판독하기 위한 자동영상판독 수단과, 상기 자동영상판독 수단에 의하여 판독된 피검뼈의 영상에 관한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영상기억수단과, 상기 영상기억수단에 기억된 영상에 관한 데이터를 사용하여 피검뼈에 관한 뼈계측을 위한 연산처리를 실행하는 연산수단과, 상기 연산수단의 연산에 의하여 얻어진 뼈계측 결과의 출력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뼈계측 출력 수단을 조합하여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뼈계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뼈계측 장치는, 또한, 상기 자동영상 판독수단에 의하여 판독된 피검뼈의 영상에 관한 데이터에서 이 피검뼈의 영상을 화상으로 표시하기 위한 화상표시수단과, 상기 화상표시수단에 표시된 피검뼈의 화상에 있어서 뼈계측에 필요한 기준위치를 포인트 입력으로 지정하기 위한 포인트 입력수단을 구비한 뼈계측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뼈계측 장치는 케이스 수단을 갖고, 상기 표시수단은 이 케이스 수단의 전면에 표시화면을 구비하고 있는 뼈계측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트 입력수단은 상기 화상표시수단에 표시된 피검뼈의 화상에 있어서 뼈계측에 필요한 기중위치의 포인트 입력을 지정함과 동시에 이 포인트 입력의 소거가 가능한 뼈계측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트 입력수단은 상기 포인트 입력을 소정의 마크의 농담화상으로써 상기 화상표시수단에 표시하는 마크표시 수단으로 구성되고, 이 마크표시 수단은 상기 농담화상 마크의 계조치를 반전함으로써 표시할 수 있는 뼈계측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영상 판독수단은 상기 X선 사진 필름을 주행시키기 위한 자동주행수단과, 이 X선 사진 필름에 조사되는 빛을 발생하는 띠형상의 광발생수단과, 이 X선 사진 필름을 투과한 상기 투과광량을 검지하는 띠형상의 검지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인 뼈계측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영상 판독수단이 이 자동주행수단은 상기 X선 사진 필름을 주행시켜서 상기소정의 표준물질의 영상을 인식하고, 이 영상이 상기 빛에 조사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필름주행 제어수단을 구비하고, 또 상기 자동영상 판독수단의 관발생수단은 이 표준물질의 소정부위에서의 투과광량이 소정범위가 되도록 발생시키는 광조절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뼈계측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주행 제어수단은 펄스모터를 구비하여 상기 X선 필름을 일정한 간헐피드속도로 주행하도록 제어하는 간헐피드 제어수단인 뼈계측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영상 판독수단은 상기 X선 사진 필름에 조사되는 빛을 발생하는 광발생수단과, 이 X선 사진 필름을 투과한 상기 투과광분을 검지하는 검지수단과, 상기 소정의 표준물질에 관하여 그 투과광량이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영역을 구하는 영역검색수단과, 이 영역에 있어서의 이 표준물질에 관한 투과광량의 범위내에 계측대상 부분에 관한 투과광량의 범위가 들어 있는가의 여부를 판정하는 제1의 판정수단과, 이 계측대상 부분의 투과광량과 대응하는 이표준물질의 투과광량이 소정의 분해능을 만족하고 있는가의 여부를 판정하는 제2의 판정수단과, 이 제1의 판정수단에 의한 판정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광발생수단에 있어서의 발광량을 조절하기 위한 발생광량 조절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뼈계측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영상 판독수단은 계측대상 부분의 γ치가 소정의 값 이상인가의 여부의 제3의 판정수단을 또한 구비한 뼈계측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발생광량 조절수단은 이 발생광량을 증가시키는 경우에 상기 계측대상 부분에 관한 최대 투과광량보가 크고, 또한 이 최대 투과광량에 가까운 이 표준물질이 있는 부분의 투과광량(I)을 구하는 제1의 수단과, 투과광량(Ⅰ)이 소정의 값Imax에 가까워지도록 이 발생광량을 조절하는 제2의 수단을 구비하고, 다시 이 발생광량을 감소시키는 경우에, 계측대상 부분중 소정의 값 Iman를 초과하는 영역을 구하는 제3의 수단과, 이 영역의 크기에서 적절한 조사광량을 추정하고, 이 조사광량을 조절하는 제4의 수단을 구비한 뼈계측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영상 판독수단은 상기 X선 사진 필름을 주행시키기 위한 자동주행 수단을 구비하고 또한, 상기 뼈계측 장치는 상기 자동영상 판독수단에 의하여 판독된 피검뼈의 영상에 관한 데이터에서 이 피검뼈의 영상을 화상으로써 표시하기 위한 화상표시수단과, 상기 화상표시수단에 표시된 피검뼈의 화상에 있어서 뼈계측에 필요한 기준위치를 포인트 입력으로써 지정하기 위한 포인트 입력수단과, 지정된 기준위치의 포인트 입력을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광량을 조정하여 이 X선 사진 필름에 관하여 재측정하는 경우에, 상기 자동주행 수단에 의하여 주행되는 이 X선 사진 필름이 상기 자동영상 판독수단에 의하여 조절후의 광량으로 이 표준물질과 이 계측대상 부분에 관해서의 영상을 자동저긍로 판독할때, 상기 기억된 기준위치의 포인트 입력에 의거하여 이 계측대상 부분에 관하여, 새로운 포인트 입력을 지정하기 위한 다른 포인트 입력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뼈계측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영상 판독수단은 상기 X선 사진 필름의 자동주행수단과, 이 X선 사진 필름의 주행방향으로 직각으로 배치되고 이 필름에 조사되는 빛을 발생하는 띠형상의 광발생수단과, 이 X선 사진 필름을 투과한 상기 투과광분을 검지하는 띠형상의 검지수단과, 상기 X선 사진 필름의 주행방향에서의 공송거리 a와, 다시 계속되는 여상판독 영역의 거리 b와, 이 필름 주행방향에 직각인 방향에서의 기준위치에서 이 영상 판독 영역까지의 거리 c와, 다시 계속되는 이 영상판독 영역의 거리 d를 설정하는 영상판독 영역설정수단과, 이 영상판독 영역설정 수단에 의하여 설정된 영역에 관해서 이 띠형상 검지수단에 의하여 판독된 영상을 기억하는 영상기억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뼈계측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주행수단은 상기 X선 사진 필름을 끼워 갖도록 배치된 피드롤러 수단과, 상기 피드롤러 수단을 구동하는 수테핑모터와, 상기 스테핑모터의 작동 펄스제어 수단과, 상기 거리 a를 상기 스테핑모터의 공송거리 동작제어 펄스에 대응시키고, 상기 거리 b를 상기 때형상 검지수단의 판독 라인수에 대응시키고, 또한 상기 거리 c,d를 각각 상기 띠형상 검지수단의 화소수로 변환하기 위한 변환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뼈계측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판독 영역설정 수단이 상기 거리 a,b,c,d를 입력하기 위한 외부 입력 수단과, 입력된 상기 거리 a,b,c,d를 기억하기 위한 기억수단을 구비한 뼈계측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X선 시진 필름이 표준물질과 피검뼈와의 판독영상의 영역과 캘리브레이션용 영상의 영역의 두개의 영역을 갖고, 상기 자동영상 판독수단은 이 양 영역의 각각에 관하여 거리 a,b,c,d를 설정하기 위한 영상판독 영역설정 수단을 갖고, 또한 상기 영상기억 수단은 이 양 영역의 각각에 관하여 판독된 영상을 기억하도록 구비하고 있는 뼈계측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여상 판독수단은 상기 X선 사진 필름의 자동주행수단과, 이 X선 사진 필름의 주행방향과 직각방향으로 배치됨과 동시에 이 필름에 조사되는 빛을 발생하는 띠형상의 광발생수단과, 이 X선 사진 필름을 투과한 상기 투과광량을 검지하는 띠형상의 검지수단과, 상기 필름의 자동주행 수단에 의하여 필름을 주행하면서 상기 표준물질과 피검뼈의 영상을 포함하는 넓은 영역의 영상을 조화소(粗畵素)에 관한 정보로서 판독하는 조(粗)판독수단과, 상기 조판독수단에 의하여 얻어진 상기 정보에 의거하여 조판독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수단과, 상기 표시수단에 의하여 표시된 조판독 화상에 있어서 이 표준물질과 피검뼈의 영상을 포함하는 좁은 영역을 지정하는 영역지정 수단과, 상기 자동주행 수단에 의하여 필름을 주행하면서 이 영역지정 수단에 의하여 지정된 좁은 영역에 관한 이 X선 사진 플름을 표준물질과 피검뼈의 영상을 상기 검지 수단을통하여, 다시금 치밀한 화소에 관한 정보로서 판독하는 완전판독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뼈계측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조판독 수단은 상기 필름의 자동주행 수단에 의하여 고속으로 주행시켜지는 상기 X선 사진 필림의 영상에서 이 필름의 주행방향으로 솎아진 조화소에 관한 정보를 판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뼈계측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조판독 화소의 표시수단은 상기 필름주행 방향과 직각방향에 관해서도 이 필름주행 방향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정도로 솎아진 조화소의 정보에 의거하여 표시하는 것인 뼈계측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지정수단은 상기 조판독 화상의 표시수단의 표시화상에 있어서 커서 위치에서 이 표준물질과 피검뼈의 영상을 포함하는 좁은 영역을 지정하는 것인 뼈계측장치.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완전판독시에, 상기 영역지정 수단에 의하여 지정된 좁은 영역을 상기 필름의 피드량과 필름 주행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의 판독범위에 관한 데이터로 변환하는 변환수단을 또한 구비하고, 상기 필름의 자동주행 수단에 의하여 필름을 저속으로 피드백하면서, 상기 완전판독 수단이 이 지정된 좁은영역에 관해서 상기 변환 수단에 의하는 변환 데이터에 의거하여, 조밀한 화소에 관한 정보로서 판독하도록한 뼈계측장치.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영상 판독수단은 이X선 사진 필름에 조사되는 빛을 발생하기 위한 광발생수단과, 이 X선 사진 필름을 투과한 상기 투과량을 검지하기 위한 검지수단과, 상기 X선 사진 필름에 조사되는 빛의 양을 제어하는 광향제어 수단과, 상기 X선 사진 필름중의 상기 소정의 표준물질의 두꺼운 쪽의 단부 주변의 영상에 소정의 낮은 광량 LO의 빛을 조사하여 그 투과량을 측정하고 이 두꺼운 쪽의 단부에 해당하는 부분을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이 낮은 광량 LO보다도 소정의 광량 L의 빛을 조사하면서 이 필름속의 이 표준물질의 영상에 관한 투과광량과 이 단부에서의 거리와의 관계를 측정하는 측정수단을 구비하는 뼈계측장치.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수단은 상기 이미지 판독수단에 의하여 판독된 피검뼈의 영상에 관한 데이터에서 이 X선 사진 필름중의 피검뼈의 영상에 있어서의 피검부 주변의 복수의 상이한 실질상 평행한 계측라인을 따른 이 피검뼈의 농도 패턴의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서 이 복수개의 농도 패턴을 평활화하여 제1평활하 패턴을 얻기 위한 제1평활화수단과, 평활화된 농도패터을 표준물질의 두께로 변환하여 변환패턴을 얻기 위한 변환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 뼈계측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평활화 패턴 또는 변환패턴에 관하여, 그 계측라인을 따른 근방의 복수점에서의 값을 평활화하여 제2평활화 패턴을 얻기 위한 제2평활화 수단을 또한 갖고, 이 변환패턴 또는 제2평활화 패턴을 사용하여 이 피검뼈의 계측을 위한 연산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뼈계측장치.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수단은 상기 X선 사진 필름에서 필름에서 얻어지는 이 표준물질의 두께와 투과광량의 관계에 의거하여 농도 패턴을 표준물질의 두께로 변환하는 수단인 뼈계측장치.
  26. 피검뼈의 뼈형태를 계측하기 위한 뼈계측장치와, 이 뼈계측 장치에서 얻어진 뼈형태의 계측결과를 출력데이터로서 출력하는 송신수단과, 상기 송신수단에서 송출되어온 이 뼈형태의 계측결과의 출력 데이터를 기억 보존하여 놓고, 이에 대응하는 과거의 뼈형태 계측결과 및 필요에 따라서 또 다른 기억 데이터를 사용하여 이 피검뼈의 평가를 실시하기 위한 뼈평가 수단과, 이 뼈평가 수단에 의하여 얻어진 평가결과의 출력 데이터를 상기 뼈계측 장치로 반송하기 위한 반신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된 뼈평가 시스템.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수단 및 반신수단인 전화회선을 사용한 것인 뼈평가 시스템.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뼈평가 수단은 하나의 뼈평가 장치로 이루어지고, 복수의 상기 뼈계측 장치가 상기 송신수단 및 반신수단 및 반신수단을 통해서 이 뼈평가 장치에 결합되어 있는 뼈평가 시스템.
  29.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뼈계측 장치가 소정의 표준물질과 함께 피검뼈에 X선을 조사함으로써 얻어진 X선 사진 필름에 조사된 빛의 투과광량을 사용하여 이 X선 사진 필름속의 피검뼈의 영상에 관한 데이터를 자동적으로 판독하기 위한 자동영상 판독수단과, 상기 자동영상 판독수단에 의하여 판독된 피검뼈의 영상에 관한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영상기억수단과, 상기 영상기억 수단에 기억된 영상에 관한 데이터를 사용하여 피검뼈에 관한 뼈계측을 위한 연산처리를 실행하는 연산수단과, 상기 연산수단의 연산에 의하여 얻어진 뼈계측 결과를 츨력하기 위한 뼈계측 출력수단을 조합하여 구성된 뼈평가시스템.
  30.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뼈계측 장치가 이 피검뼈에 방사선을 조사함으로써 얻어지는 투과방서선에 의거 하는 이 피검뼈의 방사선상을 기억하기 위한 상기 기억수단과, 기억된 피검뼈의 상에 관한 뼈계측을 위한 연산을 실시하기 위한 연산수단과, 연산에 의하여 얻어진 상기 뼈계측 결과의 출력 데이터 및 상기 반신수단에 의하여 상기 뼈계측 결과의 출력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뼈계측 출력수단을 구비하는 뼈평가 시스템.
  31.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뼈계측 장치는 그 작동상태가 정상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자기진단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뼈평가 시스템.
  32. 피검뼈에 방사선을 조사함으로써 얻어지는 투과 방사선상에 의거하는 영상을 도입하기 위한 영상입력과정과, 도입된 영상에 있어서의 피검부 주변의 복수의 상이한 실질상 평행한 계측라인을 따라서 피검뼈의 농도 패턴을 얻고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서 이 복수개의 농도 패턴을 평활화 함으로써 제1평활화 패턴을 얻는 과정과, 평활화된 농도 패턴을 표준물질의 두께로 변환하여 변환 패턴을 얻기 위한 변환과정과, 상기 변화 패턴에 사용하여 피검뼈의 계측을 위한 연산을 실시하는 연산과정을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뼈계측방법.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변화 과정의 앞 또는 뒤에 상기 제1평활화 패턴 또는 상기 변환 패턴에 있어서 그 계측라인을 따라서 근방의 복수점에서의 값을 평활화 함으로써 제2평활화 패턴을 얻는 과정을 또한 구비하고, 상기 제2평활화 패턴을 사용하여 상기 연산과정이 실행되는 뼈계측방법.
  34.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입력과정이 두께가 변화하고 있는 소정의 표준물질과 함께 촬영된 이 피검뼈의 X선 사진 필름에 빛을 조사하여 얻어지는 투과광량을 검지하는 영상판독 과정이며, 상기 변화과정이 이 X선 사진 필름에서 얻어지는 표준물질의 두께와 투과광량의 관계에 의거하여 농도패턴을 표준물질의 두께로 변환하는 과정인 뼈계측방법.
  35. 두께가 변화되어 있는 소정의 표준물질과 함께 촬영된 피검뼈의 X선 사진 필름에 빛을 조사하여 얻어지는 투과광량을 사용하여 피검뼈의 계측을 실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표준물질에 관해서 그 투과광량이 소정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영역을 구하고, 이 영역에 있어서의 이 표준물질에 관한 투과광량의 범위내에 계측 대상 부분에 관한 투과광량의 범위가 들어있는가의 여부의 제1으 판정을 실시하고, 또한 이 계측대상 부분의 투과광량과 대응하는 이 표준물질의 투과광량이 소정의 분해능을 만족하고 있는가의 여부의 제1의 판정을 실시하고, 이 판정결과에 의거하여 이 X선 사진 필름에 조사하는 광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뼈계측방법.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판정을 실시한 후, 또한 이 측정 대상부분의 r치가 소정의 값 이상인가의 에부의 제3의 판정을 실시하는 뼈계측방법.
  37.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조사광량을 증가시키는 경우, 계측대상 부분에 관한 최대 투과광량 보다 크고, 또한 이 최대 투과광량에 가까운 이 표준물질에 관한 투고광량(Ⅰ)을 구하고, 이 투과광량(Ⅰ)이 소정의 Imax를 초과하지 않고, 또 이 소정치 Imax에 가까워지도록 조사광량을 조절하는 뼈계측방법.
  38. 제35항에 있어서, 이 조사광량을 감소시키는 경우, 계측대상 부분중 소정치 Imax를 초과하고 있는 부분을 구하고, 이 영역의 크기에서 적절한 조사광량을 추정하고, 이 조사광량을 조절하는 뼈계측방법.
  39. 두께가 변화하고 있는 소정의 표준물질과 함께 촬영된 피검뼈의 X선 사진 필름에 빛을 조사하여 얻어지는 투과광량을 사용하여 피검뼈의 계측을 실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X선 사진 필름에 있어서의 이 표준물질의 두꺼운 쪽의 단부 주변의 영상에 사전에 정하여진 낮은 광량 LO의 광을 조사하여 그 투과광량을 측정함으로써, 이 필름에 있어서의 이 표준물질의 두꺼운 쪽의 단부를 검출하고, 이어서 광량 L0보다도 높은 소정의 광량 L의 빛을 조사하면서 이 물질에 관한 영상에 관한 투과광량과 이 단부에서의 거리와의 관계를 측정함으로써, 이 표준물질의 두께와 계조와의 관계를 구한느 것을 특징으로 하는 뼈계측방법.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00702694A 1990-02-05 1990-07-26 뼈형태계측장치 및 뼈평가시스템 KR01646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5808A JPH03230670A (ja) 1990-02-05 1990-02-05 画像読み取り装置及び骨計測装置
JP2-25808 1990-02-05
PCT/JP1990/000957 WO1991011147A1 (en) 1990-02-05 1990-07-26 Method of and apparatus for osteometry and osteological evaluation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700579A true KR920700579A (ko) 1992-08-10
KR0164600B1 KR0164600B1 (ko) 1999-01-15

Family

ID=12176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702694A KR0164600B1 (ko) 1990-02-05 1990-07-26 뼈형태계측장치 및 뼈평가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H03230670A (ko)
KR (1) KR0164600B1 (ko)
CA (1) CA2030561A1 (ko)
WO (1) WO19910111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349098B1 (en) * 2002-03-27 2008-05-28 Agfa HealthCare NV Method of performing geometric measurements on digital radiological images using graphical templates
US6792071B2 (en) 2002-03-27 2004-09-14 Agfa-Gevaert Method of performing geometric measurements on digital radiological images
US7394946B2 (en) 2004-05-18 2008-07-01 Agfa Healthcare Method for automatically mapping of geometric objects in digital medical images
RU2462195C2 (ru) * 2010-12-31 2012-09-27 Российская Федерация, От Имени Которой Выступает Министерство Промышленности И Торговли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Способ исследования и диагностики состояния биологического объекта или его части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8935A (ja) * 1982-07-08 1984-01-18 帝人株式会社 X線フィルムにおける像の処理装置
JPS6083646A (ja) * 1983-10-13 1985-05-11 帝人株式会社 X線フイルムにおける像による骨老化度判定方法
JPS61109557A (ja) * 1984-11-02 1986-05-28 帝人株式会社 骨のx線写真像の評価方法
JPS6272072A (ja) * 1985-09-26 1987-04-02 Hitachi Medical Corp 画像処理装置
US4851984A (en) * 1987-08-03 1989-07-25 University Of Chicago Method and system for localization of inter-rib spaces and automated lung texture analysis in digital chest radiographs
JP2508151B2 (ja) * 1987-11-12 1996-06-19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入力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64600B1 (ko) 1999-01-15
JPH03230670A (ja) 1991-10-14
CA2030561A1 (en) 1991-08-06
WO1991011147A1 (en) 1991-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84862A (en) Radiographic image evaluation apparatus and method
US586460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specting pipes using a digitized radiograph
JPH0671300B2 (ja) 放射線画像情報の読取処理条件決定装置
KR920700579A (ko) 뼈형태계측 방법 및 장치와 뼈평가 시스템
JPH07171142A (ja) 放射線診断装置
JPH05217689A (ja) X線撮影装置およびx線撮影方法
JP4258855B2 (ja) 放射線画像撮影表示方法および放射線画像撮影表示装置
US4485480A (en) Radiation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JPS6152860A (ja) X線ct装置
JP3308629B2 (ja) X線ラインセンサ透視装置
JPH08114873A (ja) 画像異常検出方法および装置
JP2983421B2 (ja) 骨計測方法及び装置
JPH0866388A (ja) 放射線撮像装置
JP2732979B2 (ja) 骨計測装置
JPH02311963A (ja) 骨計測装置
JP2001346795A (ja) X線源と散乱線除去グリッドの位置合わせ評価方法およびフィードバック方法、フィードバック装置、x線撮影方法及びx線撮影装置
JP2771452B2 (ja) 骨計測方法及びそのための装置
JPH0786659B2 (ja) 放射線画像の分割パターン認識方法
JPH02220640A (ja) 骨計測装置及び骨評価システム
JPH06175245A (ja) 放射線画像の位置合せ方法および装置
JPH0349A (ja) 骨計測方法及び装置
JPH03107136A (ja) 放射線画像情報読取装置
JP2812875B2 (ja) 骨計測方法
JP2732982B2 (ja) 画像読み取り方法及び装置
JP2555353B2 (ja) 2層構造材の厚み計測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