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11051B1 - 벼모 등의 이식장치 - Google Patents

벼모 등의 이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11051B1
KR920011051B1 KR1019850008002A KR850008002A KR920011051B1 KR 920011051 B1 KR920011051 B1 KR 920011051B1 KR 1019850008002 A KR1019850008002 A KR 1019850008002A KR 850008002 A KR850008002 A KR 850008002A KR 920011051 B1 KR920011051 B1 KR 9200110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rotation
cam
planetary gear
rot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8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5579A (ko
Inventor
이사오 이시다
히로유끼 니이야마
Original Assignee
이세끼 노오끼 가부시기가이샤
이세끼 마사타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0003572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9584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0028851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9584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0030882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7137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0052672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1020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0170653A external-priority patent/JPS6232808A/ja
Application filed by 이세끼 노오끼 가부시기가이샤, 이세끼 마사타까 filed Critical 이세끼 노오끼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60005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55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110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10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벼모 등의 이식장치
제1도는 요부의 평단면도,
제2도는 요부의 측단면도,
제3도는 요부의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승용형 이양기의 측면도,
제5도는 그 평면도,
제6도는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7도는 제6도의 선 VII-VII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8도는 요부 측면도,
제9도는 제8도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견인차 10 : 엔진
18 : 이식부 19C : 종방향 케이스
21 : 이식장치 22 : 정지 플로우트
28 : 회전케이스 29 : 이식구
35 : 구동축 38 : 태양기어
40 : 카운터 유성기어 41 : 유성기어
41a : 보스부 41d : 중공체
42 : 중심축 45 : 캠
45 : 연동간
본 발명은 흙이 묻은 매트형태의 묘, 제지매트형태의 점묘, 육묘기(育苗器)흙 및 육묘모재(育苗母材)를 넣지않고 직접 육성시킨 매트형태의 어린묘(幼苗), 육묘기 내에 소량의 흙 및 육묘모재를 넣어서 육성시킨 매트형태의 어린묘를 이식하는 벼모 등의 이식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공지된 벼모 등의 이식장치는 하나의 요동크랭크에 의해 작동되는 것이었으나, 이식장치가 하나밖에 없기 때문에 고속이식이 곤란하였다.
그러므로, 이식장치를 두개로 하여 고속이식이 가능하도록 한 장치가 일본국 특허공보 소 40-17806호 등에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에 따른 장치는 모탱크측에 형성한 모분할구에 다수의 이식미늘이 고속으로 개입되도록 하기 위해 상당히 정확한 장치로 구성해야 하는데, 이점에 대한 연구가 결여되고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모탱크의 모 분할구에 대한 이식장치의 이식구의 장착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함으로써 모의 고속이식이 원활히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이식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전기 문제점을 극복하는 것으로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을 상술한다. (1)은 승용견인차이고, 평탄한 바닥(2)의 하방에 전방미션케이스(3) 및 후방미션케이스(4)가 설치된다. 전방 미션케이스(3)의 후방의 좌우 양측에는 좌우 한쌍의 앞바퀴(5, 5)가 설치되며, 후방 미션케이스(4)의 좌우양측에는 전동케이스(6)의 각각의 전방단부가 장착되고, 상기 전동케이스(6)의 후방단부에는 뒷바퀴(7, 7)이 장착되며, 바닥(2)의 전방에는 조작레버 등을 장치하기 위한 틀체(8)이 설치되고, 상기 틀체(8)에는 핸들(9)가 장치되며, 바닥(2)의 후방 부분에는 엔진(10)이 설치되고, 상기 엔진(10)은 커버(11)로 덮여져 그위에 조종석(12)가 설치된다.
(13, 13)은 전방측의 종방향 링크이다. (14)는 상기 좌우 전동케이스(6)을 결합시키는 연결체이며, 상기 전방측 종방향 링크(13)은 상기 연결체(14)상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15)는 승강링크이고, 상부링크(15b), 하부링크(15a), 전방측 종방향 링크(13), 및 후방측 종방향 링크(16)으로 구성된다. 상부링크(15b)의 전방측은 상기 전방측 종방향 링크(16)으로 구성된다. 상부링크(15b)의 전방측은 상기 전방측 종방향 링크(13)에 핀(59)에 의해 지도리식으로 장착되고(樞着), 후방측은 핀(60)에 의해 후방측 종방향링크(16)에 지도리식으로 장착되며, 하부링크(15a)의 전방측은 핀(61)에 의해 상기 전방측 종방향 링크(13)에 지도리식으로 장착되고, 후방측은 핀(62)에 의해 후방측 종방향 링크(16)에 지도리식으로 장착된다. (17)은 유압실린더 장치이고 그 일단부는 상부링크(15b)에 축으로 장치되며, 그 다른단부는 견인차(1)에 축으로 장치되고, 상기 유압실린더 장치(17)이 신축됨으로써 후방측 종방향 링크(16)이 승강되게 된다. 후방측 종방향 링크(16)의 하단부에는 전후방향의 축통(24)가 설치되며, 상기 축통(24)에는 지축(25)가 회전자재하게 지지된다.
이식부(18)은 전동케이스(19), 모탱크(20), 다수의 이식장치(21), 중앙부의 정지용(整地用) 플로우트(22), 및 측부의 정지용 플로우트(23)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전동케이스(19)의 중간부에는 상기 지축(25)의 후방 단부가 고착되고, 이식부(18)은 축통(24)를 중심으로 로울링된다. 상기 전동케이스(19)는 주케이스(19a), 주케이스(19a)부로 부터 좌우로 돌출되는 부케이스(19b), 부케이스(19b)로 후방으로 연장되는 종방향 케이스(19c)로 구성된다.
(26)은 모탱크(20)의 수납체로서 모탱크(20)의 하단측을 수납한다. 상기 수납체(26)은 횡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상기 수납체(26)에는 모탱크(20)상에 적재되는 모의 모분할구(27, 27…)이 설치되게 된다.
한쌍의 이식장치(21)은 한개의 회전 케이스(28) 및 두개의 이식구(29)로 구성된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동케이스(19)의 종방향케이스(19c)내에는 체인(30)에 의해 회전되는 스프로킷(31)이 설치되면서 스프로킷(31)에는 기어(32)가 설치되고, 상기 기어(32)에는 기어(33)이 맞물리게 되며, 상기 기어(33)에는 기어(34)가 맞물리게 되어 상기 기어(34)의 축이 구동축(35)을 구성하게 되고, 상기 구동축(35)는 종방향 케이스(19c)에 고정되는 축받이메탈(37)에는 축받이되는 동시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그 선단에 키이(36)이 개재됨으로써 상기 회전케이스(28)이 장착되도록 한다.
상기 구동축(35)를 지지하는 축받이메탈(37)의 외측에는 통부(37b)가 형성되며, 통부(37b)의 내면에는 내치차(內齒車)(37a)가 형성된다.
(38)은 회전케이스(28)에 설치되는 태양기어이고, 상기 태양기어(38)의 측부(38a)에는 외치차(38b)가 형성되며, 상기 외치차(38b)는 상기 통부(37b)의 내면에 형성되는 내치차(37a)의 홈에 끼워맞춤된다.
상기 태양기어(38)은 상기 구동축(35)의 축심에 대하여 편심되는 기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태양기어(38)의 외치차(38b)와 상기 통부(37b)의 내치차(37a)의 맞물림 위치의 변경에 의해 구동축(35)에 대한 편심위치가 변경조절되게 된다.
(40, 40)은 편심되는 카운터 유성기어이고, 상기 회전케이스(28)내에서 회전자재하게 축받이되면서 태양기어(38)에 맞물리게 된다.
(41)은 편심되는 카운터 유성기어(40)에 맞물리는 유성기어이고, 상기 유성기어(41)의 보스부(41a)는 상기 회전케이스(28)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그 단부에 이식구(29)가 장착되게 된다.
중심축이 삽통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보스부(41a)의 내부는 중공부(41b)로 형성된다.
중심축(42)는 상기 보스부(41a)의 중공부(41b)로 관통되며, 그 일단부는 회전케이스(28)에 고정되는 회전방지판(43)에 고착되고, 다른단부는 보스부(41a)보다 길게 외측으로 돌출된다. 또한, 상기 회전방지판(43)은 중심축(42)과 일체를 이루며, 회전케이스(28)에 대한 그 장착위치는 보울트(39)에 의해 변경조절이 가능하게 되도록 구성된다.
이식구(29)는 상기 보스부(41a)의 외주에 끼워 맞춤되는 메탈(44a), 메탈(44a)에 고정되는 이식케이스(44b), 캠(45), 연동간(46), 모압출체(47), 모이식미늘(48)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두개의 이식구(29)는 전후로 배열되고, 전후 사이의 간격은 가급적 좁게되므로 전방 이식구(29)의 후단에 후방이식구(29)의 모이식미늘(48)이 충동되지 않도록 메탈(44a)의 후부(後部)와 이식케이스(44b)의 후부는 모이식미늘(48)의 이동궤적으로 부터 비키어서 위치되게 된다.
상기 이식케이스(44b)에는 상기 중심축(42)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형 슬로트(54, 55)가 형성되며, 상기 슬로트(54, 55)에 보울트(52, 53)이 삽입됨으로써 메탈(44a)에 대하여 그 장착각도를 변경조절 할 수 있게 된다.
(49)는 체결용 핀이고,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메탈(44a)의 외주로 부터 끼워 맞춤되어 상기 메탈(44a)를 조임으로써 메탈(44a)와 보스부(41a)를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캠(45)는 상기 중심축(42)의 선단부에 고착된다.
상기 연동간(46)은 그 전후방향의 중간부가 이식케이스(44b)에 관하여 회전자재하게 되도록 핀(50)에 의해 지지되며, 그 기단측은 상기 캠(45)의 외주에 접하게 되고, 그 선단측은 두갈래부로 형성되며, 상기 두 갈래부에 모압출체(47)이 장치되게 된다.
모압출체(47)은 이식케이스(44b)의 선단측에서 상하방향으로 미끄러져 움직일 수 있도록 지지되며, 그 하단은 이식케이스(44b)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모압출편(47a)(포오크형태)로 형성되고, 상단에는 모압출편(47a)를 하방으로 압압하는 스프링(51)이 설치된다.
모이식미늘(48)은 정면에서 관찰되어 졌을 때
Figure kpo00001
형상으로 되며 이식케이스(44b)의 선단부에 착탈자재하게 장착된다.
제6도 내지 제9도에 도시한 이식장치(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한 제1실시예와의 기본적인 차이점은 유성기어와 중심축과의 관계에 있다. 제1실시예의 중심축(42)는 유성기어(41)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회전자재하게 되지만 회전케이스(28)에 대해서는 고정되고, 제2실시예의 중심축(42′)은 유성기어(41′)에 고정되지만 회전케이스(28′)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회전자재하게 된다. 이러한 차이점을 이하에 상술하기로 한다. 전동케이스(19c)에는 외측 횡방향으로 돌출되는 구동축(35′)이 가설(架設)되며, 상기 구동축(35′)의 선단측은 각형상(角形狀)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구동축(35′)에 회전케이스(28′)이 장치된다.
회전케이스(28′)의 설치는, 상기 구동축(35′)의 선단 각축부(角軸部)를 끼워맞춤하여 상기 회전케이스(28′)이 구동축(35′)과 일체로 회전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수행된다. (37′)은 고정된 축받이메탈이고, 그 기부가 종방향 케이스(19c′)에 고정되며, 상기 축받이메탈(37′)은 상기 구동축(35′)을 둘러싸는 통부(37b′)을 갖는다. 통부(37b′)은 상기 구동축(35′)에 대하여 편심된다. (38′)은 태양기어 이며, 그 보스부(38a′)이 상기 통부(37b′)에 키이(63)을 개재시켜 설치되어 태양기어(38′)이 고정된 축받이메탈(37′)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되지 않게된다. 그리고, 상기 태양기어(38′)은 상기 구동축(35′)의 축심에 대해 그 중심이 편심되도록 설치된다.
(40′)은 상기 태양기어(38′)에 이가 맞물려서 회전케이스(28′)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게되는 카운터 유성기어이다.
(41′)은 중심축(42′)과 일체를 이루는 유성기어이며 회전케이스(28′)의 선단측 내에서 상기 카운터 유성기어(40′)에 이가 맞물리게 된다. 그리고, 중심축(42′)은 종방향 케이스(19C′)의 반대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그 선단측은 각축(角軸)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태양기어(38′), 카운터 유성기어(40′), 유성기어(41′)에 의해 전동기구가 구성되게 된다. (41d)는 중심축(42′)을 둘러싸는 중공체이고, 상기 중공체(41d)의 일단부는 회전케이스(28′)에 고정되게 된다.
이식구(29′)는 내부가 중공케이스상으로 되는 이식 케이스(44b′), 상기 이식구 케이스(44b′)에 장치되는 모이식미늘(48′), 모압출체(47′), 이식케이스(44b′)내에 수납되는 연동간(46′), 캠(45′) 및 스프링 등으로 구성된다. 캠(45′)은 상기 중공체(41d)의 다른 단부에 일체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캠(45′)은 회전케이스(28′)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되지는 않게 된다.
(44c)는 이식구(29′)의 이식 케이스(44b′) 및 중심축(42′)를 장치하기 위한 장착체이며, 상기 장착체(44c)에는 상기 중심축(42′)의 각축부에 끼워맞춤되는 각공(角孔) 및 이식 케이스(44b′)의 외측면에 고정되는 보울트 관통구멍이 형성된다.
상기 보울트 관통구멍은 상기 중심축(42′)을 중심으로 원호형상으로 형성되고, 보울트(46)에 의해 상기 장착체(44c)가 이식 케이스(44b′)에 장착될 때 상기 이식 케이스(44b′)를 중심축(42′) 주위에 회전조절이 가능하게 장치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장착체(44c) 및 중심축(42′)은 원주면의 일부가 축심방향으로 테이퍼되는 코터핀(49′)에 의해 각축부로 압착되며, 사기 코터핀(49′)을 뽑아내면 중심축(42′)의 축심방향으로 이식구(29′) 전체의 이동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제6도의 실시예에서는, 유성기어(41′)의 측면에 일체적으로 캠(41c)가 돌출형성되고, 회전케이스(28′)의 상기 캠(41c)에 대향되는 위치에는 구멍(56)이 형성되며, 상기 구멍(56)내에는 스프링(57) 및 강철보올(58)이 설치된다.
상기 강철보올(58)은 유성기어(41′)에 설치되는 캠(41c′)에 접촉되고, 상기 강철보올(58)이 캠(41c′) 상부에 착지되었을때 유성기어(41′)은 강철보올(58) 및 캠(41c)를 매개로하여 스프링(57)의 압압력을 받기 때문에 그 회전에 저항이 가해져서 전동기구의 전동진동이 흡수되게 된다. 물론, 제1도의 실시예에서는 캠(41c)에 관계되는 저항수단이 기재되어 있지 않지만 이를 제1도의 실시예에 사용하여 동일한 효과가 얻어지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한 바와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벼모등의 이식장치에서, 각각의 모탱크(20)상에 모를 싣고 엔진(10)를 시동시켜서 각부를 회전시키면 체인(30)→기어(32)→기어(33)→기어(34)를 거쳐 구동축(35)가 회전되게 된다. 구동축(35)가 회전되게 되면 구동축(35)에 키이(36)을 통해 장착되는 회전케이스(28)이 회전된다. 그러나, 태양기어(38)은, 측부(38a)의 외치차(38b)가 상기 통부(37b)가 상기 통부(37b)의 내면에 형성되는 내치차(37a)의 홈에 끼워맞춤되어 있으므로, 회전되지는 않으며 그 외주를 카운터 유성기어(40)이 유성회전하게 되고, 상기 카운터 유성기어(40)에 맞물리는 유성기어(41)이 유성회전되게 된다. 따라서, 유성기어(41)에 일체적으로 고정된 이식구(29)의 이식케이스(44b)가 회전케이스(28)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된다. 상기 회전케이스(28)과 일체를 이루는 중심축(42)는 회전되지 않으므로 상기 중심축(42)에 고정되는 캠(45)도 회전되지 않으며, 이식케이스(44b)만이 회전되게 된다.
이식케이스(44b)가 회전되면, 연동간(46)은 캠(45)의 주위를 회전하게 되므로 캠작용에 의해 모압출체(47)이 상하로 작동되게 된다.
그리고, 이식케이스(44b)에 장치되는 모이식미늘(48)의 선단측이 이식궤적
Figure kpo00002
를 그리며 작동되어 수납체(26)의 모분할구(27, 27…)로 상방으로 부터 연속적으로 개입되는, 좌우로 왕복이동되는 모탱크(20)상의, 흙이 묻은 모를 한포기씩 분할하여 정지 플로우터(22, 23)에 의해 정지된 밭에 심게된다. 즉, 모압출체(47)이 이식케이스(44b)의 상방에 위치될 때 모탱크(20)의 모를 분할하여 모압출체(47)이 이식케이스(44b) 하방에 위치되어 지면으로 돌입될 때 캠(45) 및 연동간(46)이 벗겨저서 스프링(51)에 의해 신속히 토양속으로 압입되어 모가 이식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모의 이식작업이 실행되는데, 이식장치(21)의 회전케이스(28)에 장착된 이식구(29)의 모이식미늘(48)이 모탱크(20)측의 모분할구(27)에 정확히 상방으로 부터 개입되지 아니하면 모가 정확히 분할되지 않게 된다.
또, 모탱크(20)측의 부품의 조립 및 이식구(29)의 회전케이스(28)에의 조립이 소정의 정확한 상태로 유지되지 않을때에는, 모이식미늘(48)이 모분할구(27)의 측면에 의해 간섭되는 등의 불측의 사태가 발생될 수 있게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체결핀(49)을 헐겁게하여 보스부(41a)상에서 이식구(29)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켜서 모이식미늘(48)이 정확히 모분할구(27)로 상방으로 부터 개입(介入)되는 상태로 조절하고, 다시 체결핀(49)를 압입시켜 고착시키면 된다.
또한, 모이식미늘(48)이 모분할구(27)로 개입되는 각도가 나쁘거나 모의 종방향 분할량을 변경조절하고자 할 때에는, 체결핀(49)에 의해 고정되는 메탈(44a)에 대한 이식케이스(44b)의 장착각도를 보울트(52, 53)을 풀어 매탈측의 슬로트(54, 55)에서 각도를 변경시켜 적당한 지점에서 조임으로써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상기 보스부(41a)상에서 메탈(44a)를 활주 조절하여도 캠(45) 및 연동간(46)의 캠 접촉부와의 관계는 전혀 어긋나지 않으므로 모를 분할하는 양은 변화되지 않게 된다.
또한, 각도변경을 하고자 할 때에는, 동시에, 중심축(42)의 각도를 변경시켜 모의 타이밍을 정확히 보정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제6도내지 제9도에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중공체(41d)가 회전케이스(28′)에 대해 고정되고 중심축(42′)이 유성기어(41′)에 고정됨으로써 이식구(29′)으로의 동력전달 경로가 제1실시예와 다르게 되지만, 캠(45′)이 회전케이스(28′)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되지 않는 것은 각 실시예에 공통되며 상기 캠(45′)의 주위를 연동간(46′)이 회전되게 됨으로써 수행되는 이식구(29′)의 작용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된다.
또한, 제6도 내지 9도에 도시한 제2실시예에서와 같이, 유성기어(41′)의 측면에 일체적으로 캠(41c)를 돌출형성하고 회전케이스(28′)의 상기 캠(41c)에 대향되는 위치에 구멍(56)을 형성하여 구멍(56)내에 스프링(57) 및 강철보올(58)을 설치하면 상기 강철보올(58)은 유성기어(41′)에 설치되는 상기 캠(41C)에 접촉하게 되는 강철보올(58)이 캠(41C) 상부에 착지되었을 때 유성기어(41′)은 강철보올(58) 및 캠(41c)를 통하여 스프링(57)의 압압력을 받으므로 그 회전에 저항이 가해져서 전동기구의 전동진동이 흡수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저항이 가해지는 위치를 모이식미늘(48′)이 모를 분할하기 직전에 마련하게 되면 언제나 정확한 형태로 모를 분할할 수 있게 되며, 또한 모분할량도 일정하게 된다.

Claims (3)

  1. 벼모등의 이식장치에 있어서, 견인차(1)의 후방에 설치되는 이식부(18)에 종방향 케이스(19c)가 형성되고, 상기 종방향 케이스(19c)에는 엔진(10)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축(35)가 설치되며, 상기 구동축(35)에는 회전케이스(28)이 고정되고, 상기 회전케이스(28)에는 상기 회전케이스(28)의 회전에 따라 회전케이스(28)에 대해 편심적으로 회전되게 되는 유성기어(41)이 설치되며, 상기 유성기어(41)에는 중공통상의 보스부(41a)가 형성되고, 상기 보스부(41a)내에는 중심축(42)가 삽통되며, 상기 중심축(42)의 일단부는 장착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상기 회전케이스(28)에 고정되고, 상기 중심축(42)의 다른단부는 상기 보스부(41a)보다 길게 외측으로 돌출되어 그 돌출부에 이식구(29)의 캠(45)가 고정되고, 상기 캠(45)에는 모이식용의 연동간(46)이 접촉되고, 상기 보스부(41a)에는 상기 이식구(29)의 이식케이스(44b)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벼모 등의 이식장치.
  2. 벼모등의 이식장치에 있어서, 견인차(1)의 후방에 설치되는 이식부(18)에 종방향 케이스(19c′)가 형성되고, 상기 종방향 케이스(19c′)에는 엔진(10)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축(35′)가 설치되며, 상기 구동축(35′)에는 회전케이스(28′)의 회전에 따라 회전케이스(28)에 대해 편심적으로 회전되는 유성기어(41′)이 설치되며, 상기 유성기어(41′)의 측방에는 상기 회전케이스(28′)이 고정되고, 상기 회전케이스(28′)에 내에는 상기 회전케이스(28′)의 회전 및 상기 유성기어(41′)의 회전에 의해 이식작동을 수행하게 되는 이식구(29′)이 배치되고, 유성기어(41′)에는 캠(41c)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케이스(28′)에는 캠(41c)와 접촉되어 상기 유성기어(41′)에 회전저항을 부여하는 스프링(57)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벼모 등의 이삭장치.
  3. 벼모등의 이식장치에 있어서, 견인차(1)의 후방에 설치되는 이식부(18)에 종방향 케이스(19c′)이 형성되고, 상기 종방향 케이스(19c′)에는 엔진(10)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축(35′)이 설치되며, 상기 구동축(35′)에는 회전케이스(28′)이 고정되고, 상기 회전케이스(28)에는 상기 회전케이스(28′)의 회전에 따라 회전케이스(28′)에 대하여 편심적으로 회전되는 유성기어(41′)이 설치되며, 상기 유성기어(41′)에는 중심축(42′)이 일체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중심축(42′)의 선단에는 장착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이식구(29′)이 장치되며, 상기 중심축(42′)의 외주에는 중공체(41d)가 끼워지고, 상기 중공체(41d)는 회전케이스(28′)에 일체적으로 회전되도록 접합되며, 상기 이식구(29′)의 캠(45′)은 중공체(41d)와 일체적으로 회전되고, 상기 캠(45′)에는 모이식용의 연동간(46′)이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벼모 등의 이식장치.
KR1019850008002A 1985-01-11 1985-10-29 벼모 등의 이식장치 KR9200110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0003572A JPH0695842B2 (ja) 1985-01-11 1985-01-11 移植装置
JP85-3572 1985-01-11
JP60028851A JPH0695843B2 (ja) 1985-02-15 1985-02-15 移植装置
JP85-28851 1985-02-15
JP85-30882 1985-02-18
JP60030882A JPH0671372B2 (ja) 1985-02-18 1985-02-18 移植装置
JP60052672A JPH0710202B2 (ja) 1985-03-15 1985-03-15 移植装置
JP85-52672 1985-03-15
JP60170653A JPS6232808A (ja) 1985-08-01 1985-08-01 移植装置
JP85-170653 1985-08-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5579A KR860005579A (ko) 1986-08-11
KR920011051B1 true KR920011051B1 (ko) 1992-12-26

Family

ID=27518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8002A KR920011051B1 (ko) 1985-01-11 1985-10-29 벼모 등의 이식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920011051B1 (ko)
CN (1) CN100390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344643B (en) * 1995-10-03 1998-11-11 Yanmar Agric Equip Co Ltd Rice transplanter
CN105052326B (zh) * 2015-08-05 2019-02-19 芜湖县华瑞模具材料经营部 插秧单元和插秧装置
CN105815016B (zh) * 2016-05-07 2018-01-12 潍坊同方机械有限公司 水稻钵苗栽植机栽植臂
CN105993324B (zh) * 2016-05-17 2017-10-20 浙江小精农机制造有限公司 窄行距水稻秧苗插植装置及方法
CN106945514B (zh) * 2017-02-15 2019-05-24 黑龙江省农垦科学院 自走式水稻插秧机转向机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3907B (zh) 1989-04-19
KR860005579A (ko) 1986-08-11
CN85108286A (zh) 1986-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11051B1 (ko) 벼모 등의 이식장치
JP3115871B2 (ja) 乗用田植機における植付部伝動構造
JP4269414B2 (ja) 苗植機のロータリ苗植装置
JP3055552B2 (ja) 苗植付装置
JPH0710202B2 (ja) 移植装置
JP3546577B2 (ja) 田植機
JP2988467B2 (ja) 苗植付装置
JP3045143B2 (ja) 苗植付装置
JP2812325B2 (ja) 苗植付装置
JP2853713B2 (ja) 苗植付装置
JP3106482B2 (ja) 施肥装置付き苗植機
JP3115874B2 (ja) 乗用田植機における植付部伝動構造
JP3163081B2 (ja) 乗用田植機における植付部伝動構造
JPS63177723A (ja) 移植機
JP3115872B2 (ja) 乗用田植機における植付部伝動構造
JP3163080B2 (ja) 乗用田植機における植付部伝動構造
JPS6331525Y2 (ko)
JPH04349810A (ja) 移植装置
JP3163076B2 (ja) 乗用田植機における植付部伝動構造
JP2000041431A (ja) 乗用田植機における植付部伝動構造
JP3163082B2 (ja) 乗用田植機における植付部伝動構造
JPS633713A (ja) 施肥装置付移植機
JPH04356119A (ja) 移植装置
JPS622978Y2 (ko)
JP3163083B2 (ja) 乗用田植機における植付部伝動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204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