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10453B1 - 광디스크의 데이타 연속 입력 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광디스크의 데이타 연속 입력 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10453B1
KR920010453B1 KR1019900003500A KR900003500A KR920010453B1 KR 920010453 B1 KR920010453 B1 KR 920010453B1 KR 1019900003500 A KR1019900003500 A KR 1019900003500A KR 900003500 A KR900003500 A KR 900003500A KR 920010453 B1 KR920010453 B1 KR 9200104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optical disc
clock
outpu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3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7374A (ko
Inventor
조용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이헌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929702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920010453(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이헌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10199000035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10453B1/ko
Priority to EP91400687A priority patent/EP0447319B1/en
Priority to DE69128920T priority patent/DE69128920T2/de
Priority to US07/668,860 priority patent/US5274764A/en
Publication of KR9100173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73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104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04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2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making use of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0655Vertical data movement, i.e. input-output transfer; data movement between one or more hosts and one or more storage devices
    • G06F3/0656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6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adopting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0671In-line storage system
    • G06F3/0673Single storage devic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11B2020/1062Data buffering arrangements, e.g. recording or playback buffers
    • G11B2020/10805Data buffering arrangements, e.g. recording or playback buffers involving specific measures to prevent a buffer overfl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광디스크의 데이터 연속 입력 제어시스템
제1도는 본 발명 광디스크의 연속 입력제어 시스템 구성도.
제2도는 제1도 데이터 입력제어부(2)의 상세회로도.
제3a도 내지 (c)도는 제1도의 광디스크 디지털신호 처리부(1)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음성 데이터의 타이밍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광디스크 디지털 신호처리부 2 : 데이터 입력제어부
2a :클럭발생부 2b : 카운터부
2c : 제어신호 발생부 2d : 정지시점 검출부
2e : 제어신호 발생부 2f : 스위칭부
3 : 광디스크 롬 디코더부 4 : 버퍼램
5 : 마이크로 프로세서
본 발명은 광응용 디스크 재생장치의 디지털 음성 데이터 입력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광디스트 롬 디코더부가 광디스트 디지털 신호처리부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입력하고자 할 때 주컴퓨터로의 전송 속도가 낮은 이유로 생기는 버퍼램 오버플러(overflow)로 인하여 광디스크의 디지털 음성 데이터 입력동작이 중단되었다가 주컴퓨터로의 전송속도가 정상이 될 때 다시 그 중단된 시점의 데이터부터 연속으로 입력시키기 위한 광디스크의 데이터 연속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디스크 재생 시스템에 있어서는 디스크 픽업(Disc Pick-up)에서 읽어들인 광디스크 디지털 음성 데이터가 광디스크 디지털 신호처리부와 광디스크 롬 디코더부를 통해 주컴퓨터(Host Computer)로 전송되어질대 광디스크 롬 디코더부는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Decoding)과 주컴퓨터로의 데이터 전송을 일정한 양의 데이터가 버퍼램내에 존재하게 되면 주컴퓨터로의 전송을 시작하게 된다. 만약 이때 주컴퓨터로 전송되는 데이터 속도가 광디스크 디지털 신호 처리부에서 데이터를 읽어들이는 속도와 같거나 빠르면 문제가 없지만 주컴퓨터로 전송되는 속도가 느리게 되면(이와같은 현상은 주컴퓨터가 데이터 전송을 받는일 이외의 일을 처리할 동안 생기는 현상으로 주컴퓨터의 처리속도에 기인한다) 버퍼램내에 전송되지 못한 데이터가 쌓이게 되고, 마침내 버퍼 오버플로 현상이 초래된다. 이때 광디스크 롬 디코더부는 광디스크 디지털신호 처리부로부터의 데이터 입력을 중단하게 되는데 이 시점을 알고 있어야만 후에 다시 주컴퓨터로 전송의 재개되어서 버러팸에 여유가 생기면 그때 광디스크 디지털신호 처리부로부터의 데이터 입력 중단시점의 데이터부터 입력을 시작하여야만 된다.
그러나 종래의 광디스크 재생시스템에 있어서 디스크에서 읽은 데이터를 광디스크 디지털 신호처리부에서 필요한 데이터로 처리한후 직렬형식(serial format)으로 광디스크 롬 디코더부로 출력하게 되는데 이때 광 디스크 롬 디코더부는 직렬데이타중 동기화 패턴(FF, ΦΦ, FF, FF, FF, FF, FF, FF, FF, FF, ΦΦ, FF)의 12바이트(Byte)를 검출한 후 비로서 직렬데이타를 입력하기 시작한다. 그런데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롬디스크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 형식에는 동기화 패턴 12바이트가 존재해서 광디스크 롬 디코더부가 데이터를 받아들일 수가 있는데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에 기록되어 있는 광디스크 디지털 신호 데이터 형식에는 이러한 12바이트 동기화 패턴이 없기 때문에 광디스크 롬 디코더부내로 데이터가 제 타이밍에 입력될 수 없고, 또한 버퍼 오버플로에 의해 입력이 중단되었을 때 입력 재정합(retry)시점을 맞출수가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종래의 결함을 감안하여 버퍼의 데이터 오버플로에 의해 광디스크 롬 디코더부로 데이터 입력동작이 중단되기전의 4바이트 데이터를 데이터 입력제어부의 래치에 저장시켜 놓았다가 데이터 입력 재정합시 래치에 저장된 데이터와 데이터 입력제어부로 입력되는 데이터가 같으면 광디스크 디지털신호 처리부로 출력되는 직렬데이타 스트림을 광디스크 롬 디코더부로 연결시켜 입력중단후 그 시점의 데이터부터 입력시키도록 창안한 것으로,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그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 광디스크의 데이터 연속 입력제어 시스템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디스크 픽업으로부터 출력된 광디스크의 디지털 음성 데이터(CD-DA)를 입력으로 하여 이를 데이터 처리한 후 직렬 데이터(SD), 비트클럭(BCK) 및 좌,우클럭(LRCK)을 출력하는 광디스크 디지털 신호 처리부(1)와, 상기 광디스크 디지털 신호처리부(1)로부터 출력된 직렬데이타(SD), 비트클럭(BCK) 및 좌우클럭(LRCK)을 입력으로 한 후 주컴퓨터로의 데이터 전송 상태에 따라 직렬데이타(SD)와 비트클럭(BCK) 및 좌우클럭(LRCK)의 출력을 제어하는 데이터 입력제어부(2)와, 상기 데이터 입력제어부(2)로부터 출력된 직렬데이타(SD), 비트클럭(BCK) 및 좌우클럭(LRCK)을 입력으로 한 후 이를 디코딩하여 버퍼램(4)에 직렬데이타(SD)를 순차적으로 저장시킴과 아울러 이 저장된 데이터를 주컴퓨터로 전송하는 광디스크 롬 디코더부(3)와, 상기 버퍼램(4)의 데이터 저장상태에 따라 입력재정합신호(IR)와 버퍼오버플로신호(BOF) 및 제어신호(CNT)를 보내어 시스템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5)로서 구성한다.
제2도는 제1도의 데이터 압력제어부(2)의 상세회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광디스크 디지털신호처리부(1)로부터 출력된 좌우클럭(LRCK) 신호를 입력으로 한 후 이를 소정타이밍에 맞추어 클럭신호와 클리어신호를 발생하기 위해 적분기(IC1)와 배타적 오아게이트(XOR1)로 구성한 클럭발생부(2a)와, 상기 클럭발생부(2a)의 클럭신호와 클리어신호에 의해 광디스크 디지털신호 처리부(1)의 비트클럭(BCK)의 소정 값을 카운트한 후 제어신호를 출력하기 위해 카운터(IC2), 인버터게이트(12-15), 오아게이트(OR1-O22), 디플립플롭(FF1)으로 구성한 카운터부(2b)와, 상기 카운터부(2b)의 클럭신호와 마이크로 프로세서(5)의 버퍼오버플로신호(BOF)를 입력한 후 제어신호를 발생하기 위하여 엔드게이트(AN2), 디플립플롭(FF2)으로 구성한 제어신호 발생부(2C)와, 그 제어신호 발생부(2C)의 출려과 인버터게이트(I1)를 통한 비트클럭(BCK) 및 카운터부(2b)의 출력신호를 엔드화시키는 엔드게이트(AN1)와, 그 엔드게이트(AN1)의 클럭신호에 따라 광디스크 디지털신호처리부(1)의 직렬데이타(SD)를 입력받아 쉬프트시키고 이후 제어신호 발생부(2C)의 클럭신호에 의해 인에블되어 버퍼램(4)의 오버플로시 4바이트 데이터를 래치시킴과 아울러 오버플로 해제시 래치된 4바이트분의 데이터와 현재 입력되는 직렬데이타(SD)를 비교하여 중단시점이 데이터를 검출하기 위해 쉬프트레지스터(SR1-SR4), 래치(LH1-LH4) 및 배타적 오아게이트(XOR2)로 구성한 정지시점 검출부(2d)와, 그 정지시점 검출부(2d)의 출력신호와 버퍼오버플로신호(BOF), 재정합신호(IR) 및 리세트신호(
Figure kpo00001
)를 입력으로 한후 제어신호를 발생하기 위해 오아게이트(OR3), 엔드게이트(AN3) 디플립플롭(FF3)으로 구성한 제어신호 발생부(2e)와, 상기 제어신호 발생부(2e)의 출력에 따라 온-오프되어 직렬데이타(SD)와 비트클럭(BCK)을 광디스크 롬 디코더부(3)로 출력하기 위해 버퍼(B1)(B2)로 구성한 스위칭부(2f)로서 구성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제3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평상시 즉 버퍼램(4)에 오버플로가 발생하지 않았을시 광 디스크 디지털신호 처리부(1)는 마이크로 프로세서(5)의 제어신호(CNT)에 의해 디스크릭업으로부터 출력된 광디스크의 디지털 음성데이타(CD-DA)를 읽어들여와 이를 전송에 필요한 데이터로 처리한 후 제3a,b,c도와 같은 직렬데이타(SD), 비트클럭(BCK) 및 좌,우클럭(LRCK)을 데이터 입력제어부(2)에 구성된 정지시점 검출부(2d)의 입려과 스위칭부(2f)의 입력 및 클럭발생부(2a)의 입력에 인가시키게 되고, 클럭발생부(2a)로 인가되는 좌,우클럭(LRCK)은 도면 제3도의 (나)와 같이 하이(H)펄스로 배타적 오아게이트(XOR1)의 일측입력에 인가됨과 아울러 적분기(IC)를 통해 로우(L)펄스로 배타적 오아게이트(XOR1)의 타측입력으로 인가됨으로써 그 배탁적 오아게이트(XOR1)의 출력에서는 순간적으로(즉 적분기(IC1)의 콘덴서에 좌우클럭(LRCK)이 충전되는 소정시간동안)하이(H)펄스가 출력되고, 이후로는 계속 로우(L)펄스가 출력된다.
상기 배타적 오아게이트(XOR1)로부터 출력된 하이(H)펄스는 커운터부(2a)에 구성된 디플립플롭(FF1)의 클럭단자(CLK)로 연결됨과 아울러 인버터게이트(I2)를 통해 로우(L)펄스로 반전된후 카운터(IC2)의 클리어단자 (
Figure kpo00002
)로 인가된다.
따라서 카운터(CI2)는 좌우클럭(LRCK)의 에지(edge)후 비트클럭(BCK)의 8개분 동안에 클리어 되므로 이의 출력단자(QΦ-Q4)에서는 Φ,Φ,Φ,Φ,Φ가 출력된다. 이때 상기 출력단자(Q3)로부터 출력된 로우(L) 펄스는 인버터게이트(I4)를 통해 하이(H)펄스로 반전된 후 오아게이트(XOR1)에서 오아링되어 디플립플롭(FF1)의 클리어단자(
Figure kpo00003
)에 인가되므로 그 디플립플롭(FF1)의 출력단자(Q)에서는 로우(L)펄스가 출력된 후 엔드게이트(AN1)의 입력에 인가된다. 한편 버퍼램(4)에 오버플로가 발생하지 않았음으로 인하여 마이크 프로세서(5)에서는 버퍼 오버플로신호(BOF)가 로우(L)신호로 출력되어 제어신호발생부(2c)에 구성된 엔드게이트(AN2)의 일측 입력단자에 인가됨과 아울러 디플립플롭(FF2)의 클리어단자(
Figure kpo00004
)에 인가되고, 그 앤드게이트(AN2)의 타측 입력에는 카운터(IC2)의 출력단자(Q3)(Q4)로부터 출력된 로우(L)신호가 오아게이트(OR1)(OR2)와 인버터 게이트(I3-I5)를 통해 로우(L)펄스로 반전되어 입력되므로서 그 출력에서는 로우(L)펄스가 출력되어 디플립플롭(FF2)의 클럭단자(CLK)에 인가된다. 따라서 그 디플립플롭(FF2)의 출력단자(
Figure kpo00005
)에서는 하이(H)펄스가 출력되어 비트클럭(BCK)을 입력으로 하는 엔드게이트(AN1)의 타측입력으로 인가되고, 그 엔드게이트(AN1)의 출력에서는 로우(L)펄스가 출력되어 정지시점 검출부(2d)에 구성된 쉬프트레지스터(SR1-SR4)의 클럭단자(CLK)에 인가되므로 그 쉬프트랜지스터(SR1-SR4)는 좌우클럭(LRCK)의 에지후 비트클럭(BCK)의 8개분동안 광디스크 디지털신호처리부(1)로부터 출력된 직렬데이타(SD)의 좌측 찬넬 최상위 비트(MSB)를 쉬프트시키지 못하게 된다.
이후 클럭발생부(2a)에 구성된 적분기(IC1)의 콘덴서로 좌,우클럭(LRCK)의 충전이 끝나면 배타적 오아게이트(XOR1)의 출력에서는 로우(L)펄스가 출력되어 카운터부(2b)의 디플립플롭(FF1)의 클럭단자(CLK)에 인가됨과 동시에 인버터게이트(I2)를 통해 하이(H)펄스로 반전되어 카운터(IC2)의 클리어 단자(
Figure kpo00006
)에 인가되므로서 그 카운터(IC2)는 좌우클럭(LRCK)에 에지후 비트클럭(BCK)의 9번째 상승구간부터 24번째 상승구간까지 카운트하게 된다. 따라서 로우(L)펄스를 입력으로 한 디플립플롭(FF1)의 출렬단자(
Figure kpo00007
)에서 하이(H)펄스가 출력되어 엔드게이트(AN1)이 일측 입력에 인가되고, 또한 버퍼오버플로신호(BOF)가 계속 로우(L)펄스인 관계로 인하여 디플립플롭(FF2)의 출력단자(
Figure kpo00008
)에서도 하이(H)펄스가 출력되어 비트클럭(BCK)을 입력으로 한 엔드게이트(AN1)의 타측입력에 인가되어 엔드화된 후 하이(H)펄스로 정지시점 검출부(2d)에 구성된 쉬프트 레지스터(SR1-SR4)의 클럭단자(CLK)로 인가된다. 따라서 광디스크 디지털신호 처리부(1)로부터 출력된 직렬데이타(SD)의 엔드게이트(AN1)로부터 출력된 비트클럭(BCK)의 타이밍에 맞추어 쉬프트레지스터(SR1-SR4)에 순차적으로 쉬프트 된다.
한편, 버퍼오버플로신호(BOF)가 로우(L)펄스상태로 제어신호발생부(2c)에 구성된 디플립플롭(FF2)의 클럭단자(CLK)에 인가되고, 정지시점 검출부(2d)의 래치(LH1-LH2)에 직렬데이타(SD)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관계로 인하여 그 출력에서는 로우(L)펄스가 출력되어 배타적오아게이트(XOR2)의 일측 입력에 인가되고, 배타적 오아게이트(XOR2)의 타측 입력에는 쉬프트레지스터(SR1-SR4)에 쉬프트된 직렬데이타(SD)가 인가되므로 그 출력에서는 하이(H)펄스가 출력되어 오아게이트(OR3)와 리세트(
Figure kpo00009
)펄스로 제어신호발생부(2e)에 구성된 디플립플롭(FF3)의 클리어단자(CLR)를 클리어시키게 되고, 이에따라 디플립플롭(FF3)의 출력단자(Q)에서는 로우(L)펄스가 출력된 후 스위칭부(2f)의 각 버퍼(B1)(B2)를 턴-온시키게 되므로 광디스크 디지털 선호처리부(1)로부터 출력된 직렬데이타(SD)와 비트클럭(BCK)이 스위칭부(2f)를 통해 광디스크 롬 디코더부(3)에 입력되고, 광디스크 롬 디코더부(3)는 버퍼램(4)의 어드레스를 저정한 후 직렬데이타(SD)를 데이터버스를 통해 저장함과 아울러 버퍼램(4)에 저장된 직렬데이타(SD)를 디코딩하여 주컴퓨터에 전송하게 된다.
이때 주컴퓨터로 전송하는 속도가 과디스크 디지털 신호처리부(1)에서 데이터를 읽어들이는 속도보다 느려 버퍼램(4)에 오버플로가 발생하게 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5)가 이를 감지한 후 버퍼오버플로신호(BOF)를 하이(H)펄스로 출력하여 제어신호발생부(2c)에 구성된 엔드게이트(AN2)의 일측 입력과 디플립플롭(FF2)의 클리어단자(
Figure kpo00010
)와 디플립플롭(FF3)의 클럭단자(CLK)에 인가시키게 되고, 상기 엔드게이트(AN2)의 타측 입력에는 카운터(2b)로부터 출력된 하이(H)펄스가 인가되므로서 그 출력에서는 하이(H)펄스가 출력되어 디플립플롭(FF2)의 클럭단자(CLK)에 인가된다.
따라서 상기 디플립플롭(FF2)의 출력단자(
Figure kpo00011
)에서는 로우(L)펄스가 출력되어 쉬프트레지스터(SR1-SR4)내로 직렬데이타(SD)의 입력을 막는 동시에 래치(LH1-LH4)를 인에이블(
Figure kpo00012
)시켜 쉬프트레지스터(SR1-SR4)에 쉬프트된 4바이트의 직렬데이타(SD)를 래치(LH1-LH4)에 저장시켜 놓는다. 이때 쉬프트레지스터(SR1-SR4)에는 직렬데이타(SD)가 없고, 래치(LH1-LH4)에는 직렬데이타(SD)가 저장된 관계로 인하여 배타적오아게이트(XOR2)의 출력에서는 하이(H)펄스가 출력되어 오아게이트(OR3) 및 리세트(
Figure kpo00013
)를 입력으로 하는 엔드게이트(AN3)를 통해 하이(H)펄스로 디플립플롭(FF3)의 클리어단자(
Figure kpo00014
)에 인가된다.
따라서 버퍼오버플로신호(BOF)를 입력으로 하는 디플립플롭(FF3)의 출력단자(Q)에서는 하이(H)펄스가 출력되어 스위칭부(2f)의 버퍼(B1)(B2)를 오프시키게 되므로 광디스크 롬 디코더부(3)로 인가되는 광디스크 디지털신호처리부(1)의 직렬데이타(SD)와 비트클럭(BCK)이 입력이 중단된다. 이후에 주컴퓨터로 버퍼램(4)내의 데이터전송이 이루어져서 전송중단전 위치로 픽업이 이동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5)로부터 재정합신호(IR)가 로우(L)펄스로 제어신호발생부(2e)의 오아게이트(OR3)의 일측 입력에 인가되고, 이때 버퍼오버플로신호(BOF)은 인액티브상태(L)이므로 쉬프트레지스터(SR1-SR4)내로 직렬데이타(SD)가 인가되며, 이에 따라 배타적오아게이트(XOR2)에 의해 버퍼오브플로시 래치(LH1-LH4)에 래치되던 4바이트 분의 직렬데이타(SD)와 8비트 쉬프트레지스터(SR1-SR4)로 입력되는 직렬데이타(SD) 4바이트에 대한 비교가 이루어진다.
만약 래치(LH1-LH4)에 래치됐던 직렬데이타(SD)와 같은 데이터가 8비트의 쉬프트레지스터(SR1-SR4)로 입력되면 배타적 오아게이트(XOR2)의 출력이 로우(L)펄스로 재정합신호(IR)와 함께 상기 오아게이트(OR3) 및 리세트(
Figure kpo00015
)신호를 입력으로 하는 엔드게이트(AN3)를 통해 로우(L)펄스로 디플립플롭(FF3)의 클리어단자(
Figure kpo00016
)에 인가되며, 그 디플립플롭(FF3)의 출력단자(Q)에서는 로우(L)펄스가 출력되어 오프(off)상태로 있던 스위칭부(2f)의 버퍼(B1)(B2)른 턴-온시켜서 직렬데이타(SD)와 비트클럭(BCK)을 광디스크롭 디코더부(3)로 인가시켜 주게 되므로서 정상적으로 주컴퓨터와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동작으로 주컴퓨터로의 데이터전송이 늦어져서 발생되는 버퍼오버플로시 입력이 중단됐던 광 디스크 디지털 음성데이타(CD-DA)를 다시 입력하고 싶을 때 중단 되었던 시점의 데이터부터 광디스크 롬 디코더부가 받아들일 수 있게 할 수가 있는 특징이 있다.

Claims (1)

  1. 광디스크의 디지털음성데이타(CD-DA)를 입력하여 이를 데이터처리한 후 직렬데이타(SD), 비트클럭(BCK) 및 좌우클럭(LRCK)을 출력하는 광디스크 디지털 신호처리부(1)와, 이를 디코딩하는 광디스크 롬디코더부(3)와, 직렬데이타(SD)를 저장하는 버퍼램(4)과, 시스템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5)로서 구성한 광디스크의 데이터 입력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광디스크 디지털신호처리부(1)의 좌우클럭(LRCK)을 입력한 후 이를 소정타이밍에 맞추어 클럭을 발생하는 데이터입력제어부(2)의 클럭발생부(2a)와, 그 클럭발생부(2a)의 클럭에 의해 비트클럭(BCK)의 소정값을 카운트하는 카운터부(2b)와, 상기 카운터부(2b)의 클러과 마이크로 프로세서(5)의 버퍼오버플로신호(BOF)를 입력하여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 신호발생부(2c)와, 그 제어신호발생부(2c)의 출력과 비트클럭(BCK) 및 카운터(2b)의 출력을 엔드화시키는 엔드게이트(AN1)와, 상기 엔드게이트(AN1)의 출력신호에 따라 광디스크 디지털신호처리부(1)의 직렬데이타(SD)를 쉬프트시키고, 이후 제어신호발생부(2c)의 클럭신호에 의해 인에이블되어 버퍼램(4)의 오버플로시 4바이트 데이터를 래치시킴과 아울러 오버플로 해제시 래치된 4바이트의 데이터와 현재 입력되는 직렬데이타(SD)를 비교하여 중단시점의 데이터를 검출하는 정지시점 검출부(2d)와, 그 정지시점검출부(2d)의 출력과 버퍼오버플로신호(BOF), 마이크로 프로세서(5)의 재정합신호(IR) 및 리세트신호(
    Figure kpo00017
    )를 입력하여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신호발생부(2e)와, 상기 제어신호 발생부(2e)의 출력 신호에 따라 직렬데이타(SD)와 비트클럭(BCK)을 광디스크 롬 디코더부(3)로 인터페이스하는 스위칭부(2f)로서 구성함을 특징으로한 광디스크의 데이터 연속 입력 제어시스템.
KR1019900003500A 1990-03-15 1990-03-15 광디스크의 데이타 연속 입력 제어시스템 KR9200104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03500A KR920010453B1 (ko) 1990-03-15 1990-03-15 광디스크의 데이타 연속 입력 제어시스템
EP91400687A EP0447319B1 (en) 1990-03-15 1991-03-13 A system for controlling continuous data input of an optical disk
DE69128920T DE69128920T2 (de) 1990-03-15 1991-03-13 System zur Steuerung kontinuierlicher Dateneingabe von einer optischen Platte
US07/668,860 US5274764A (en) 1990-03-15 1991-03-13 System for controlling continuous data input of an optical dis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03500A KR920010453B1 (ko) 1990-03-15 1990-03-15 광디스크의 데이타 연속 입력 제어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7374A KR910017374A (ko) 1991-11-05
KR920010453B1 true KR920010453B1 (ko) 1992-11-28

Family

ID=19297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3500A KR920010453B1 (ko) 1990-03-15 1990-03-15 광디스크의 데이타 연속 입력 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274764A (ko)
EP (1) EP0447319B1 (ko)
KR (1) KR920010453B1 (ko)
DE (1) DE69128920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21772B2 (ja) * 1993-10-29 1997-06-18 日本電気株式会社 シリアル伝送装置
KR0176141B1 (ko) * 1996-06-25 1999-04-15 김광호 메모리 다중 영역 관리장치 및 방법
JP3589802B2 (ja) * 1996-08-22 2004-11-17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情報記録方法及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56808A (en) * 1985-01-07 1990-09-1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eal time data transformation and transmission overlapping device
US5034914A (en) * 1986-05-15 1991-07-23 Aquidneck Systems International, Inc. Optical disk data storage method and apparatus with buffered interface
NL8601437A (nl) * 1986-06-04 1988-01-04 Philips Nv Sequentiele bufferinrichting.
JP2590071B2 (ja) * 1986-08-29 1997-03-12 株式会社東芝 情報処理装置
US4974197A (en) * 1988-05-05 1990-11-2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Batching data objects for recording on optical disks with maximum object cou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128920T2 (de) 1998-10-01
US5274764A (en) 1993-12-28
EP0447319A2 (en) 1991-09-18
EP0447319B1 (en) 1998-02-18
KR910017374A (ko) 1991-11-05
EP0447319A3 (en) 1992-10-28
DE69128920D1 (de) 1998-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83011B2 (ja) データ記録方法及び装置
KR100206681B1 (ko) 디스크 컨트롤러
JPS6147021B2 (ko)
KR880003238A (ko) 클럭 재생 장치
KR920010453B1 (ko) 광디스크의 데이타 연속 입력 제어시스템
US5408678A (en) Interface circuit for high speed data transfer between a peripheral device and a computer
JPH02208697A (ja) Midi信号誤動作防止方式及びmidi信号記録再生装置
US6345374B1 (en) Code error correcting apparatus
JPH01245465A (ja) アドレスマーク発生方法および回路
JPH1069717A (ja) ディスク回転速度制御回路
US5199018A (en) System for inserting a synchronizing pattern in digital audio data on an optical disk
KR0127223B1 (ko) 컴팩트 디스크 재생 장치의 서브 큐 코드 인식 장치
JP3239663B2 (ja) 変調方法、変調装置及び復調装置
KR940005020Y1 (ko) 디스크의 인덱스신호 검출장치
JPH04326219A (ja) ポインタ処理回路
KR940000681B1 (ko) 디지탈 신호의 에러 정정회로
JPS60195783A (ja) デジタル復調装置
JPS6030027B2 (ja) スキユ−補正回路
KR880002416Y1 (ko) Vtr의 테이프 진행정도에 대한 백분율 디지트 표시회로
JPS62164279A (ja) 符号変換装置
KR930001211Y1 (ko) 데이타 에러 플래그/스테이터스 라이트 실현장치
JPS62206600A (ja) アナログ信号のデイジタル記録方法
KR100251925B1 (ko) 데이타 스플리트정보 자동로딩회로
JPH05342772A (ja) 同期検出方法
JPH0420297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122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