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9836B1 - 조립 부품용 카로우젤 시스템 및 그 취급 방법 - Google Patents

조립 부품용 카로우젤 시스템 및 그 취급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9836B1
KR920009836B1 KR1019840000846A KR840000846A KR920009836B1 KR 920009836 B1 KR920009836 B1 KR 920009836B1 KR 1019840000846 A KR1019840000846 A KR 1019840000846A KR 840000846 A KR840000846 A KR 840000846A KR 920009836 B1 KR920009836 B1 KR 9200098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ousel
wall
parts
reservoir
b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0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7537A (ko
Inventor
에이취. 고완 노트만
페트라비스우스 스타시스
티. 허난데즈 이그나시오
이. 쿨만 로버트
쥬니어 도날드 알. 반데 왈르
피. 웨델 도날드
엠. 게이트 죠셉
제이. 시츠홀 케니스
디. 샌드스 챨스
에이. 그윈 릭
제이. 피터만 밀톤
Original Assignee
휴우즈 에어크라프트 캄파니
에프. 씨. 맥너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우즈 에어크라프트 캄파니, 에프. 씨. 맥너트 filed Critical 휴우즈 에어크라프트 캄파니
Publication of KR840007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75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98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98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3/00Storage means or arrangements for workshops facilitating access to, or handling of, work tools or instru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3/00Storage means or arrangements for workshops facilitating access to, or handling of, work tools or instruments
    • B25H3/06T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3/00Storage means or arrangements for workshops facilitating access to, or handling of, work tools or instruments
    • B25H3/02Boxes
    • B25H3/021Boxes comprising a number of connected storage elements
    • B25H3/023Boxes comprising a number of connected storage elements movable relative to one another for access to their interiors
    • B25H3/025Boxes comprising a number of connected storage elements movable relative to one another for access to their interiors by rotation about a common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 Automatic Analysis And Handling Materials Therefo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조립 부품용 카로우젤 시스템 및 그 취급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 부품용 카로우젤 시스템(kitting parts carousel system)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카로우젤의 평면도.
제3도는 카로우젤 시스템을 사용하여 필요한 부품을 이동시키고, 중앙 저장고에서 조립 현장까지 부품을 보호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제4도는 제2도의 선 4-4에 따른 카로우젤의 단면도.
제5도는 카로우젤 뚜껑의 중심선 단면도.
제6도는 카로우젤의 일부 절개 저면도.
제7도는 카로우젤의 운반 및 보관시 카로우젤을 동시에 보유시키기 위한 보유 지주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14 : 카로우젤 16 : 뚜껑
18 : 지지 부재 20 : 스페이서
22 : 본체 24 : 바닥
26 : 외벽 28 : 만곡부
30 : 테두리 32 : 내벽
34 : 플랜지 36 : 보스
38 : 슬리브 베어링 40 : 웨브
42,44,46,48,58,60 : 저장통 칸막이벽 50,52 : 저장통
54,56 : 상연부 62,64,66,68 : 플랜지
70 : 중앙판 73 : 리브
74 : 만곡부 76 : 립(lip)
78 : 멈춤부 80 : 치형(齒形)
82 : 기판 84 : 지주
88 : 정지 부재 90 : 슬리브
92 : 웨브 94 : 원판
96,111 : 키이 98,100 : 키이홈
106 : 보유 지주 108 : 스템
110 : 두부 112 : 캡 나사
114 : 나사 115,116 : 나사 구멍
118 : 개구부 120 : 이음 스템
124 : 핑거
본 발명은 정전기적으로 안정한 재료로 성형되는, 자체 공급 부품을 보유하는 회전 구조로 이루어진 조립 부품용 카로우젤(carousel)에 관한 것이다. 이 카로우젤에는 보조 분할 칸막이, 중력식 공급 저장통, 복수개의 카로우젤 거치부(据置部) 및 부품들을 사용할 때까지 부품들을 덮어 보호하는 카로우젤 뚜껑이 마련된다.
현재의 생산 조업에는 대형의 장치내에 부품을 수동으로 조립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제까지는 조립자의 인근에 다수의 부품을 놓아 조립자가 조립할 부품을 선택하여 조립체에 조립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왔다. 통상적인 방식으로 적당한 수의 부품을 각 저장통내에 채워 넣고, 그 저장통이 비게 되면 다시 적당한 수의 부품을 채워 넣었다. 동일한 작업 위치에서 밀접한 관계에 있는 조립체를 취급할 경우에, 상이한 조립체에 사용할 부품이 들어 있는 저장통들이 조립 현장에 위치하는 수가 종종 있었다. 이러한 여분의 부품은 불필요한 재고품이 되고 일정 기간에 걸쳐 저장통내에 둔 채 취급되므로 손상되는 일이 종종 있었다.
전자 제품을 조립할 때 발생하는 또 하나의 간접적으로 관련되는 문제점은 전자 부품에 이 부품에 손상을 주게 되는 정전하(靜電荷)가 발생할 가능성이다. 따라서, 정전기 방전으로부터 전자 부품을 보호할 수 있는 방식의 시스템으로 된 저장통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문제점 및 기타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조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의 조립 부품용 카로우젤 시스템에 있어서는, 그 부품 카로우젤에 일정한 수량의 조립품을 생산하기 위한 부품을 넣을 수 있게 함으로써, 기지 수량의 조립품을 생산하기 위한 최소 수량 및 최소 종류의 부품을 조립자에게 공급되는 방식이 제공된다. 이러한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재고품의 수량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취급에 따른 손상을 극소화하고 부품 통제가 더욱 용이하게 달성된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요약하여 설명하자면, 본 발명은 조립 부품용 카로우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각 카로우젤은 정전기적으로 안정한 재료로 사출 성형되며, 분할 칸막이, 중력 공급식 저장통, 복수개의 카로우젤 거치부 및 카로우젤 뚜껑으로 구성되므로, 한 개 이상의 카로우젤을 특정 수효의 조립품을 조립하는데 필요한 부품으로 채울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은 중앙 저장고로부터 각 조립 현장까지의 필요한 부품의 효율적 선택 및 운반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자재 취급 시간을 단축시키는 조립 부품용 카로우젤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은 카로우젤을 서로 거치하도록 배치하여 각각 뚜껑을 필요로 하지 않는 복수개의 카로우젤을 쌓아 올릴 수 있는 조립 부품용 카로우젤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특정 수효의 조립 부품을 조립하는데 필요한 모든 부품이 들어 있는 단일 기구를 마련하고자 함에 있다.
본 밭명의 또 다른 목적 및 장점은 정전기에 대해 예민한 부품을 안전하게 다룰 수 있도록 정전기적으로 안정한 재료로 조립 부품용 카로우젤을 사출 성형(이 사출 성형에 의하여 기타 구조적인 지지 부재의 필요성이 제거됨)하고자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및 장점은 각 저장통의 바닥을 경사지게 하여 그 통내의 부품이 소모될 때 마다 부품이 조립자 쪽으로 이동되게 하고, 보조 분할구를 사용하여 저장통을 다시 세분하여 작은 부품에 요긴한 복수개의 작은 통을 구성하는 것이 가능한 조립 부품용 카로우젤을 마련하고자 함에 있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과 장점은 후술하는 설명과 특허 청구의 범위 및 첨부 도면을 검토함으로써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하, 첨부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을 상술한다.
본 발명의 조립 부품용 카로우젤 시스템의 실시예를 제1도에 참조 부호 10으로 도시하였다. 상기 카로우젤 시스템은 복수개의 카로우젤로 구성되는데, 제1도에는 그 중 2개의 카로우젤(12,14)만을 도시하였다. 이들 카로우젤은 밀접하게 위치할 경우 상부 카로우젤이 하부 카로우젤을 밀폐시키면서 중첩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 카로우젤 시스템은, 카로우젤 특히, 중첩된 카로우젤들의 최상부 카로우젤을 덮은 형상의 뚜껑(16)을 포함하고 있다. 카로우젤 시스템(10)을 부품 분배기로서 사용할 경우, 본 발명에 의한 카로우젤 시스템은 지지 부재(18) 및 스페이서(spacer)(20)을 포함한다. 카로우젤 시스템(10)은 저장고로부터 사용 목적에 따라서 수량 및 물리적 배열이 정리된 부품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이러한 부품들은 작업 순서대로 장착되어 조립체를 이룬다. 상기 부품들은 장치에 조립하기 위하여 조립 현장에서 필요로 할 때까지 전술한 정리된 방식으로 저장된다. 정전기적으로 안정한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최초 저장 위치와 최종 조립 위치 사이의 모든 취급 위치에서의 정전기 방전으로 인한 손상이 예방된다.
제2도, 제4도 및 제6도에 본 발명의 카로우젤(12)가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카로우젤(12)는 각각 구조가 동일한 복수개의 카로우젤을 대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그러한 동일한 구조와 적절한 설계 특징을 가진 카로우젤(12)는 열가소성 수지 또는 열경화성 합성 중합체 조성물 재료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카로우젤 시스템(10)의 목적은 이것이 적용되는 전자 부품의 취급에 있고, 이와 같은 목적상 성형 재료는 정전기적으로 안정정이 있어야 하며 렌즈내의 부품이 정전위(靜電位)에 노출되지 않아야 한다는 점이 중요하다. 정전기적으로 안정한 환경을 마련하려면, 성형 재료로서 도전성 방지 재료(conductive protective material), 정전기 소산성 보호 재료(static dissipative protective material) 또는 정전기 방지 보호 재료(anti-static protective material)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재료들은 정전기적으로 안정한데, 전기적으로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1) 도전성 정전기 방전 방지 재료[conductive electrostatic discharge(ESD) protective material]는 표면 저항률이 단위 면적당 105옴 또는 그 이하인 재료를 말한다.
(2) 정전기 소산성 보호 재료는 표면 저항률이 단위 면적당 〉105내지 〈109옴인 재료를 말한다.
(3) 정전기 방지 보호 재료는 표면 저항률이 단위 면적당 ≥109내지 ≤1014재료를 말한다. 정전기적으로 안정한 재료는 적절히 접지시킬 경우에 정전기 전하를 안정되고 조절된 비율로 방전시킨다. 바람직한 방전 방식은 전하를 용량성인 고유 이온 전도도에 의해 소산시키는 것이다. 이것은 도체에서 발생될 수 있는 방전 발생을 억제하면서 시스템의 카로우젤내의 정전기장을 중화시키는 점에서 중요한 특징이다. 정전기 전하를 방출하는데 바람직한 재료는 미합중국 45692 오하이오주 웰스톤에 있는 프릭-갈라거(Frick-Gallagher)의 등록 상표인 “아스트로스타트(Astrostat)”로 시판되는 재료이다. 이 회사는 상기 재료를 독점 공급하고 있다. 상기 정전기 전하 방출 재료는 적절한 열가소성 수지 또는 열경화성 수지와 혼합되어 그 수지 자체의 일부로서 일체화 된다. 정전기 방지 화합물과 그 수지 자체 사이에는 전기 화학적인 결합이 일어나고, 이 결합은 수지의 용량 전도도를 감소시킨다. 그 결과 영구적으로 정전기 소산성을 띠고 습기에 의해 전도도가 좌우되지 않는 합성 중합체 조성물 재료가 생성된다. 적당한 열가소성 또는 열경화성 성형 재료에는 폴리프로필렌,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아크릴, 폴리카보네이트, 결정성 스티렌, 고 임팩트 스티렌 및 중간 임팩트 스티렌, 아크릴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BS) 및 노릴(Noryl)등이 있다. 기타 열경화성 성형 재료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카로우젤 시스템을 양호하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정전기적으로 안정한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좋지만, 정전기적인 안정성이 필요하지 않는 목적에 상기 시스템을 사용할 때에는 정전기적으로 안정한 첨가물이 들어 있지 않은 종류의 통상적인 재료가 사용된다.
제2도, 제4도 및 제6도에 따라 카로우젤(12)의 구조 및 그에 부속되는 카로우젤의 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카로우젤(12)에 바닥(24)가 절두원추형인 단일체로 성형된 본체(22)가 있다. 바닥(24)는 그 외연부에서 만곡부(28)에 의해 외벽(26)에 연결된다. 만곡부(28)은 바닥(24) 및 외벽(26)에 동시에 접하는 원환체(torus)의 표면으로 되어 있다. 외벽(26)은 사실상 원통형으로서, 이 외벽(26)의 상방향 연장부를 따라 외측으로 그 두께 만큼 테이퍼형을 이루고 있다. 외벽(26)의 상부에는 테두리(30)이 형성되는데, 이 테두리는 외향 및 하향하고 있어 그 테두리의 상부를 보강하며, 뚜껑(16)의 체결부를 마련한다. 테두리(30)과 외벽(26)의 상부는 완만한 곡면으로 연결되어 있다.
내벽(32)는 절두원추형 바닥(24)의 내연부에서 상향 연장된다. 내벽(32)는 완만한 곡면을 이루며 바닥(24)에 연결된다. 내벽(32)의 상부에는 보스(boss)(36)을 향해 내측으로 연장된 반경 방향 플랜지(34)가 마련된다. 슬리브 베어링(38)을 보스(36) 내부에 성형하거나 또는 그 보스(36) 내부로 압입하는데, 이 슬리브 베어링은 이것을 상부 방향으로 가압할 때 견부 등의 공지의 수단에 의하여 보스내에 고정된다. 성형의 목적상 제공되는 보스(36) 내부의 설계를 특히 감안할 때에는 압입 고정 방식이 만족스럽다. 그러나, 제4도에는 성형 작업 중에 슬리브 베어링을 영구적으로 장착시키는 데 유용한 비원형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복수개의 웨브(40)은 내벽(32), 반경 방향 플랜지(34) 및 보스(36)과 일체로 성형되므로 경량의 성형 가능 구조, 그러나 실질적으로 강성(剛性)의 구조가 제공된다. 슬리브 베어링(38)은 보스(36)의 양단부 보다 짧게 위치하므로, 보스의 양단에는 슬리브 베어링(38)에 의해 견부가 형성되는 요홈이 제공된다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
바닥(24)의 외벽(26) 및 내벽(32)로 형성되는 격실은 저장통 칸막이 벽에 의해 수 개의 저장통으로 분할된다. 제2도 및 제4도에 저장통 칸막이 벽(42,44)를 상세히 도시하였다. 저장통 칸막이 벽(42,44)와 함께 제2도에 도시한 저장통 칸막이 벽(46,48)은 저장통(50,52)를 형성한다. 제2도에는 동일한 호형각을 갖는 10개의 저장통을 형성하는 10개의 고정된 저장통 칸막이 벽이 도시되어 있다. 저장통 칸막이 벽은 슬리브 베어링(38)의 중심선상의 축을 향하고 있어, 내벽(32)로 절단된 파이(pie) 형태로 된다. 저장통 칸막이 벽(42,44)의 상연부(54,56)과, 다른 저장통 칸막이 벽의 모든 상연부는 절두원추형 바닥(24)로부터 동일한 간격으로 위치한다.
따라서, 상연부(54,56)은 테두리(30)에 연결되는 부분 토로이드형(toroidal)표면에 접하는 절두원추형 상에 위치하게 된다. 반경 방향 플랜지(34)의 상부는 축에 직각을 이루는 상태로 테두리(30)과 동일면을 이룬다. 플랜지(34), 테두리(30) 및 저장통 칸막이 벽(42,44)의 상부를 비롯한 카로우젤의 상부 형상은 바닥과 동일하게 되어 있으므로, 하나의 카로우젤을 다음의 카로우젤 위에 올려 놓을 경우 상부 카로우젤의 바닥은 하부 카로우젤의 상부와 맞닿도록 위치하여 올려 놓게 되어 하부 카로우젤의 저장통들이 완전히 덮힌다. 그 까닭은 외벽(26)이 상방향 외측으로 그 두께만큼 경사지게 설계되므로, 상부 카로우젤의 만곡부(28)의 바닥 외측 곡면은 저장통 칸막이 벽의 곡면(54)내에서 맞닿게 되어 그들 사이에 밀접한 결합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이것이 의미하는 것은 카로우젤(12)를 가로지르는 임의의 횡방향 지점에서의 성형 높이가 임의의 다른 지점[단, 뚜껑 외측의 테두리(30)은 제외]에서의 높이와 동일하다는 점이다. 반경 방향 플랜지(34)의 평면, 바닥(24)의 절두원추형 표면 및 만곡부(28)의 원형 곡선부는 카로우젤(12)의 상부 및 저부에서 각각 동일한 형태로 되어 있다. 저장통의 바닥을 하측 및 외측으로 경사지게 함으로써 부품이 외부로 중격에 의해 공급되므로 부품을 손쉽게 집을 수 있다.
도면에 예시된 고정식 저장통 칸막이 벽(42,44,46,48)과 같은 영구 성형된 고정식 저장통 칸막이 벽은 카로우젤을 10개의 저장통으로 분할한다. 그 밖에, 상기 저장통에 안내 플랜지를 마련하여, 임시 저장통 벽면을 삽입 및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제거 가능한 저장통 칸막이 벽(58,60)은 외벽(26)의 내측과 내벽(32)의 외측에 있는 적당한 안내 플랜지 사이에 삽입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제2도에는, 1조의 플랜지(62)가 제거 가능한 저장통 칸막이 벽(58)의 외연을 포함하고, 1조의 플랜지(64)는 제거 가능한 저장통 칸막이 벽(58)의 내연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제거 가능한 저장통 칸막이 벽 상에서 플랜지가 포함되는 것은 그 저장통 칸막이 벽을 적소에 마찰력으로 보유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거 가능한 저장통 칸막이 벽(58)의 수동 제거와 재삽입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제4도에는 그러한 플랜지의 다른 쌍들이 참조 부호 66 및 68로 도시되어 있는데, 이들은 제2도에 도시한 플랜지와 동일한 플랜지이다. 각 저장통마다 이러한 플랜지를 설치함으로써 10개의 제거 가능한 저장통 칸막이 벽에 의하여 카로우젤을 20개의 저장실로 더욱 세분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제거 가능한 저장통 칸막이 벽의 저부의 형태는 만곡부(28)을 비롯하여 바닥(24)의 상부에 맞닿는 동일한 형태이다. 제거 가능한 저장통 칸막이 벽에는 역시 상부 카로우젤이 그 위에 놓였을 때 상부 카로우젤의 바닥이 저장통 칸막이 벽의 덮개가 되도록 일치되게 놓이는 상연부(54)에 대응하는 상연부가 있다.
제5도에는 뚜껑(16)을 단면도로 상세히 도시하였다. 뚜껑(16)은 카로우젤과 마찬가지로 사출 성형하며, 이 뚜껑에는 상부 카로우젤에 밀접하게 결합되어 카로우젤을 덮을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뚜껑(16)에는 이 뚜껑의 중앙부를 구성하는 중앙판(70)이 있다. 중앙판(70)은 구조상 평면이며 반경 방향 플랜지(34)와 동일한 직경으로 되어 있다. 중앙판(70)으로부터 바깥쪽의 것은 절두원추형 상연부(54)에 대응하는 절두 원추부(72)이다. 뚜껑(16)의 저면에 하향 연장되도록 형성된 리브(73)의 쌍들은 저장통 칸막이 벽들을 감싸서 각 저장통을 밀폐시킨다. 절두 원추부(72)로부터 바깥쪽의 것은 만곡부(28)과 동일 형상인 만곡부(74)이다. 만곡부(74)로부터 바깥쪽의 것은 테두리(30) 위에 놓이는 립(76)과 테두리(30) 주위에 놓이도록 구성된 멈춤부(detent section)(79)이다. 치형(齒形)(80)은 멈춤부(78)의 내연부 주위의 복수개의 치형 또는 하나의 연속 치형을 나타낸다. 뚜껑(16)을 일단 카로우젤(12)등 카로우젤의 상부의 적소에 놓게 되면, 중앙판은 플랜지(34)의 상부에 놓이고, 절두 원추부(72)는 저장통 칸막이 벽의 절두 원추부 상부에 놓이며, 리브(73)은 저장통 칸막이 벽의 상부를 감싸고, 만곡부(74)는 저장통 칸막이 벽의 만곡부에 맞닿으며, 멈춤부는 립(76)의 밑에서 탄성적으로 결합되는 치형(80)에 의해서 테두리(30) 위로 결합된다. 치형의 탄성 결합에 의하여 적소에 뚜껑(16)이 보유되지만, 그 뚜껑을 열려면 치형(80)을 수동으로 해지시키면 된다.
제1도에는 편리한 통상적인 방식으로 지지하기에 적합한 기판(82)로 구성되는 지지 부재(18)이 도시되어 있다. 지주(84)는 기관(82)로부터 위로 연장되고, 그 기판(82)에 의해 지지된다. 지주(84)를 지지하는 다른 지지 방식에는 한 작업대(86) 위에 있는 소켓(socket)에 삽입하는 방식(제3도)과, 지주(84)의 바닥에 클램프를 부착시켜 작업대의 연부에 고정시키거나 또는 작업대의 상부에 나사 고정시킬 수 있는 부착점이 있는 소형 기판(82)의 연부에 고정시키는 방식 등이 있다. 지주(84)는 적절한 직경의 직립하는 지주이므로, 슬리브 베어링(38)은 그 주위에서 회전될 수 있다. 지주(84)의 기부에 있는 정지 부재(88)은 슬리브 베어링(38)의 저부와 결합하며 기판(82)로부터 카로우젤(14)의 저부를 떠받치기에 충분한 높이이다. 정지 부재(88)은 접촉없이 보스(36)내에 부착하기에 충분히 작으므로 카로우젤(14)의 수직 지주는 정지 부재(88)의 상부에서 슬리브 베어링(38)의 저부와 결합될 수 있다. 측방향 지지는 지주(84) 주위에 결합되는 슬리브 베어링(38)에 의해 제공된다.
카로우젤(14)내의 저장통에 손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카로우젤(14) 위쪽에 카로우젤(12)를 일정 간격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스페이서(20)을 마련한다. 스페이서(20)에는 중앙 슬리브(90)이 마련되는데, 이 중앙 슬리브의 상부는 카로우젤(12)의 슬리브 베어링(38) 아래의 보스(36)내에 결합되며, 중앙 슬리브의 저부는 카로우젤(14)의 슬리브 베어링(38) 위의 보스(36)내에 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2개의 카로우젤을 축방향으로 정렬시킬 수 있게 된다. 슬리브(90)은 지주(84)의 축을 회동 자재하게 수납하는 관통공을 갖는다. 카로우젤 사이의 간격은 슬리이브(90) 위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형성된 웨브(92)에 의해 유지된다. 웨브(92)의 상부는 원판(94)에 의하여 결합된다. 이들 카로우젤이 서로 이격된 위치에 있게 될 때, 웨브(92)의 하단은 카로우젤(14)의 반경 방향 플랜지(34)에 결합되고, 원판(94)는 카로우젤(12)의 저부에 위치하는 웨브(40)에 결합된다. 이 2개의 카로우젤을 동시에 회전시키려면, 스페이서(20)에 키이(96)을 마련한다. 키이(96)은 그의 저부에서 웨브(92)를 지나 연장되어 카로우젤(14)의 플랜지(34)내의 키이홈(98)에 결합된다. 키이(96)의 상연부는 제4도에 도시한 보스(36)의 하연부내의 키이홈(100)에 결합되는데, 이 키이홈(100)은,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웨브(40)들 사이에서 연장된다. 키이홈(98,100)은 동일한 반경방향 평면을 이루므로, 스페이서(20)의 상부 및 저부가 키이홈에 결합될 때, 32개의 카로우젤은 지주(84) 둘레에 동일한 방위각으로 위치하게 된다. 조립 작업을 돕기 위하여 2개의 상이한 카로우젤내의 부품과 저장통을 공지된 방식으로 서로 각을 이루도록 방향을 설정하는 경우 그 2개의 저장통을 함께 키이로 연결하는 것이 조립의 신뢰성 및 시간 절약의 측면에서 유리하다.
제3도는 카로우젤을 사용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카로우젤은 창고(102)에 부품이 보관되어 있는 장소로 운반된다. 창고 담당자는 카로우젤의 각 저장통에 특정 수의 완성될 조립체에 필요한 특정 갯수의 특정 부품을 채운다. 이 때 재고를 통제하고 오류가 발생될 확률을 감소시키기 위해 정확한 수효의 부품을 공급하는 것이 좋다. 어떤 경우에는, 하나 이상의 저장통에 약간의 여분의 부품을 공급하여도 좋다. 조립 작업시의 적재나 부품을 꺼냄에 있어서 정확을 기하기 위하여 외벽(26)의 외측에 라벨을 부착하여 각 저장통을 표시한다. 일군의 카로우젤에 바람직하게는 특정량의 조립체를 생산하기 위한 특정 수효의 특정 부품의 적재되면 그 부품이 적재된 카로우젤은 조립에 대비하여 쌓아 올려지고, 작업의 진행을 표시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카로우젤을 그 아래쪽의 카로우젤 위에 거치시켜 저장통을 완전히 덮도록 하여, 부품의 유실과 부품의 오염을 예방한다. 카로우젤의 성형 재료는 정전기적으로 안정하므로, 정전기 방출에 민감한 전자 제품이 보호된다. 뚜껑(16)은 최상부 카로우젤 위에 덮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뚜껑(16)은 치형(80)의 결합에 의하여 최상부 카로우젤 위에 결합된다. 따라서, 하나의 카로우젤만이 관련되는 경우에도, 이 카로우젤은 충분히 보호될 수 있다.
그러나, 적재된 카로우젤의 특정 조립군(104) 중에 부품으로 채워진 카로우젤이 2개 이상 있는 경우(제3도), 이들을 제7도에 도시한 보유 지주(106)에 의하여 함께 고정시킨다. 보유 지주(106)은 2개의 카로우젤 내의 2개의 슬리브 베어링(38)들을 관통하여 결합시킬 수 있는 직경의 스템(stem)(108)로 구성된다. 두부(110)은 하부 카로우젤 저부의 보스(36)의 내부 및 슬리브 베어링(38) 아래에 있는 요홈내에 결합되며, 키이(111)이 키이홈(100)내로 결합된다. 캡 나사(cap screw)(112)의 두부는 최상부 카로우젤 상부의 뚜껑(16)내의 개구부(118) 주위에 결합된다. 나사(114)는 스템(106)내의 나사 구멍(116)에 교합되어 2개의 카로우젤을 보유한다. 캡 나사(112)에 요홈(113)을 마련함으로써 수동을 캡 나사를 보유 및 제거시킬 수 있게 한다. 스템(108)의 길이는 전술한 방법으로 2개의 카로우젤을 함께 보유하기에 충분하며, 두부(110) 및 캡 나사(112)는 분리될 수 있으므로 여러개의 조립체를 쌓아 올릴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방식으로 3개의 카로우젤을 함께 쌓아 올릴 경우, 이음 스템(120)을 사용한다. 이음 스템(120)의 높이는 제3카로우젤의 높이와 동일하며, 구멍(116)내에 나사 결합될 수 있고 나사(114)를 수납할 수 있는 특징이 구비되므로, 그와 같이 길이가 연장된 스템은 3개의 카로우젤을 함께 고정시키기에 충분한 길이로 된다. 필요에 따라 여러개의 이음 스템(120)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캡 나사(112)에는 나사 구멍(115)가 마련되므로, 일군의 카로우젤(104)를 취급하기 위한 손잡이 또는 운반 고리를 그 나사 구멍내에 나사 결합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방식에 의하여, 일군의 카로우젤(104)는 잘못 열릴 수 없기 때문에 부품의 안전성이 확보된다.
카로우젤을 작업대(86)이 갖추어진 작업 현장에 운반하였을 때, 카로우젤은 두가지 방법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사용될 수가 있다. 그 첫째 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이 보유 지주(106)과 뚜껑(16)을 제거하는 것이다. 최하부 카로우젤을 지주(84) 위에 놓고, 스페이서(20)을 설치한다. 이어서, 그 다음의 높은 카로우젤을 제위치에 놓은 다음 다시 다른 스페이서(20)을 설치한다. 이러한 과정을 특정 조립체 작업에 필요한 카로우젤이 지주(84) 상에 모두 갖추어질 때까지 반복한다. 스페이서(20)은 카로우젤을 함께 결합시키므로, 이들은 서로 동일한 각도의 방향에 위치하도록 하여, 조립 작업중에 조립자가 부품 저장통의 상대적인 위치를 인지할 수 있게 한단 조립 과정이 끝나면, 비어 있는 카로우젤들은 일군의 카로우젤(122)로 표시한 바와 같이 다시 쌓아둔다. 비어 있는 카로우젤들을 부품 창고(102)로 귀환시킬 때에는, 이들을 제7도의 보유 지주에 함께 보유시킬 필요는 없다. 그러나, 조립 과정에서 부품들이 남았을 경우에는, 이들 부품을 재사용 할 수 있도록 함께 보유시켜 보호하는 것이 좋다.
카로우젤의 다른 이용 방법은 함께 쌓아 놓은 전체 카로우젤을 지주(84) 상에 올려 놓는 것이다. 뚜껑(16)을 열게 되면, 상부 카로우젤(12)내의 저장통이 노출된다. 조립시 최상부의 카로우젤내의 부품들을 모두 사용한 후에는, 이 더이상 필요없는 카로우젤을 지주(84)로부터 상승시킨다. 제1도에 도시한 핑거(finger)(124)는 지주(84)의 측면에 피보트되어 있다. 이 핑거(124)는 카로우젤을 지주(84) 상에 처음 올려 놓을 때 지주내로 들어 갔다가, 상부 카로우젤(12)를 완전히 사용한 후 이를 상승시키게 되면, 상기 핑거(124)는 지주(84) 밖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상기 핑거는 카로우젤(14) 위로 먼저 사용한 카로우젤(12)를 지지하므로, 다음 카로우젤(14)내의 부품을 꺼내 쓰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 제2카로우젤(14)내의 부품이 완전히 소모되면, 이 카로우젤을 핑거(124) 위로 상승시켜 그 위에 지지되게 한다. 기판(82)로부터의 핑거(124)의 높이는 이 방식을 사용하는 카로우젤의 수에 따라 조절하여, 제1카로우젤을 핑거 위로 상승시킨 후에 다음 카로우젤내의 부품을 용이하게 꺼낼 수 있도록 한다. 카로우젤을 이와 같은 방법으로 사용하게 되면 스페이서(20)은 필요하지 않으나, 한번에 하나의 카로우젤내의 부품을 꺼낼 수 밖에 없어서 하나 이상의 카로우젤을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불편한 점이 있다.

Claims (23)

  1. 축을 중심으로 하여 절두원추형으로 되어 있으며 반경방향 외측으로 하향 경사진 바닥(24), 상기 축을 중심으로 하는 토로이드형(toroidal)의 일부로서 상기 바닥(24)에 연속되어 있는 만곡부(28), 이 만곡부(28)과 연속된 부분으로 되어 있고 상기 축을 중심으로 하는 기하학적인 표면으로 되어 있는 외벽(26) 및 상기 축을 중심으로한 원통형 표면을 갖고 있으며 상기 바닥(24)와 연속되어 있는 내벽(32)를 갖는 본체(22)와, 상기 본체(22)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축을 통과하는 평면내에 반경방향으로 위치하며, 상기 바닥(24), 상기 만곡부(28), 상기 외벽(26) 및 내벽(32)와 상호 연결되어 그 사이에 저장통(50,52)를 형성하고 상기 저장통을 폐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복수개의 저장통 칸막이 벽(42,44)와, 상기 내벽(32)의 부착된 보스(36)과 상기 본체 축을 중심으로 하는 베어링 표면을 갖고 상기 보스(36)내에 위치하는 슬리브 베어링(38)로 구성되고, 상기 본체(22) 및 상기 저장통 칸막이 벽(42,44)는 합성 중합체 조성물 재료로 사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용 카로우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로우젤(12)는 정전기적으로 안정한 합성 중합체 조성물 재료로 사출 성형되는 것인 부품용 카로우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통의 적어도 일부에 플랜지(62,64,66,68)쌍을 마련하고, 상기 플랜지(62,64,66,68)쌍의 적어도 일부에 의해 고정되는 제거 가능한 저장통 칸막이 벽(58)을 마련하여 상기 저장통을 소형의 저장통들로 다시 분할하고, 상기 제거 가능한 저장통 칸막이 벽(58)은 상기 절두원추형 바닥(24)와 상기 바닥에 인접한 만곡부(28)에 인접하고 축방향으로 길이가 일정하게 되어 있는 것인 부품용 카로우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스(36)이 반경 방향 플랜지(34)에 의해 상기 내벽(32)에 연결되어 상기 보스(36)을 상기 내벽(32)로부터 이격시키는 것인 부품용 카로우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내벽(32)와 상기 보스(36) 사이에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웨브(40)을 일체로 성형하여 상기 보스(36)이 상기 내벽(32)에 대해 단단히 고정되도록 하는 것인 부품용 카로우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벽(32)와 상기 보스(36) 사이에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웨브(40)을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보스(36)이 상기 내벽(32)에 대해 단단히 고정되도록 하는 것인 부품용 카로우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스(36)이 반경 방향 플랜지(34)에 의해 상기 내벽(32)에 연결되어 상기 보스(36)을 상기 내벽(32)로부터 이격시키는 것인 부품용 카로우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28)로부터 벗어난 지점에 상기 외벽(26) 위에 일체로 테두리(30)을 형성하고, 이 테두리(30)은 상기 외벽(26)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카로우젤(12)의 상부 연결점 역할을 하는 것인 부품용 카로우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30)과 상기 보스(36)의 상부면이 상기 축에 직각인 동일 평면에 위치하는 것인 부품용 카로우젤.
  10. 제1 및 제2카로우젤(12,14)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카로우젤과, 상기 복수개의 카로우젤을 덮은 하나의 뚜껑(16)으로 구성되고, 각각의 카로우젤은 축, 이 축 상에 위치하는 중심 구멍을 갖는 베어링 보스(36), 상기 축을 중심으로 하는 절두원추형이고 상기 보스(36)에 부착되어 있고 반경 방향 외측 및 하부로 향하고 있는 바닥(24), 상기 바닥(24)에 접하는 원환체의 일부분인 만곡부(28), 상기 축 주위를 감싸는 원형 표면인 외벽(26), 및 상기 바닥, 상기 만곡부(28) 및 상기 외벽(20)과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카로우젤(12)를 각각의 독립된 저장통(50,52)로 분할하고 일정한 높이로 되어 있어 상기 바닥(24) 및 상기 만곡부(28)로부터 등간격으로 위치하게 되는 상연부(54)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저장통 칸막이 벽(42,44)로 구성되고, 상기 제1카로우젤(12)는 상기 제2카로우젤(14)의 상부에 위치하여 제1카로우젤(12)의 바닥이 상기 제2카로우젤(14)의 저장통을 덮도록 되어 있고, 상기 뚜껑(16)은 상기 제1카로우젤(12) 상에 덮여져 상기 제1카로우젤(12)의 저장통을 폐쇄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카로우젤(12,14)와 상기 뚜껑(16)은 합성 중합체 조성물 재료로 사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부품용 카로우젤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카로우젤들이 정전기적으로 안정한 합성 중합체 조성물 재료로 사출 성형되는 것인 조립 부품용 카로우젤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카로우젤을 사출 성형하는 정전기적으로 안정한 합성 중합체 조성물 재료가 저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아크릴, 폴리카보네이트, 결정성 스티렌, 고 임팩트 스티렌, 아크릴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BS) 및 노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합성 중합체 조성물 재료 수지에 혼합된 정전기 소산성 재료를 포함하는 것인 조립 부품용 카로우젤 시스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16)이 그 저부에 웨브(40)을 갖고 있고, 상기 웨브(40)이 상기 저장통 칸막이 벽(58)을 수납하여 뚜껑(16)을 상기 제1카로우젤(12) 위에 덮을 때 상기 뚜껑(16)이 그 내부의 저장통을 폐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인 조립 부품용 카로우젤 시스템.
  14. 제11항에 있어서, 각 카로우젤(12,14)가 그 위에 테두리(30)을 갖고 있고, 상기 뚜껑(16)은 상기 테두리(30) 위로 결합되는 립(76) 및 상기 립(76)에 마련된 치형(80)을 갖고 상기 뚜껑(16)이 상기 제1카로우젤(12) 상에 착탈가능하게 유지되도록 된 것인 조립 부품용 카로우젤 시스템.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보스(36)에 베어링(38) 표면이 있고 직립 지주(84)가 포함되어 있어서, 상기 다수의 카로우젤(12,14)가 상기 지주(84) 상에 적층식으로 장착되어 상기 지주(84) 상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된 것인 조립 부품용 카로우젤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84)에 진퇴 자재한 핑거(124)를 마련하여, 상기 제1 및 제2카로우젤(12,14)가 상기 지주(84) 상에 위치되고 제1카로우젤(12)내의 부품이 더 이상 필요없을 때, 상기 제1카로우젤(12)를 상기 핑거(124) 상부로 상승시켜 상기 제2카로우젤(14)내의 저장통이 노출되도록 된 것인 조립 부품용 카로우젤 시스템.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카로우젤(12,14)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지주(84)를 둘러싸는 스페이서(20)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제1카로우젤(12)로부터 상기 뚜껑(16)을 벗겨냈을 때 두 카로우젤(12,14)의 저장통이 동시에 개방되어 부품을 선택적으로 꺼낼 수 있는 것인 조립 부품용 카로우젤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20)에 키이(96)을 형성하고, 제1 및 제2카로우젤(12,14) 각각에 키이홈(98,100)을 형성하여, 상기 키이(96)을 상기 두 키이홈(98,100)에 결합시킬 때에 상기 제1 및 제2카로우젤(12,14)가 상기 지주(84) 상에서 함께 회전되도록 된 것인 조립 부품용 카로우젤 시스템.
  19.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카로우젤(12,14)의 양 중심 축방향 베어링 구멍을 통해 결합되는 보유 지주(106)을 포함하고, 상기 보유 지주가 상기 제2카로우젤(14) 하부에 결합되는 두부(110) 및 상기 제1카로우젤(12) 상부에 결합되는 캡 나사(112)를 포함하여, 상기 제2카로우젤(14)의 저장통을 폐쇄된 상태로 지지하도록 상기 두 카로우젤(12,14)를 함께 유지하는 것인 조립 부품용 카로우젤 시스템.
  20. 합성 중합체 조성물 재료로 사출 성형된 각각 복수개의 저장통(50,52)를 갖는 복수개의 카로우젤(12,14)로 부품을 취급하는 방법에 있어서, 예정 갯수의 조립체를 조립하는데 필요한 수의 부품을 공급하도록, 예정 갯수의 특정 부품을 상기 카로우젤(12,14)의 특정 저장통(50,52)에 채워넣는 단계와, 각 카로우젤이 그 하부의 카로우젤의 저장통(50,52)의 개방된 상부를 폐쇄하도록 상기 카로우젤(12,14)를 상호 적층시키고, 상부 카로우젤(12)에 뚜껑(16)을 덮고, 카로우젤이 적층된 상태로 일군의 카로우젤을 작업장 공정 상태로 저장하고 카로우젤이 적층된 상태로 부품을 작업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조립 작업 지점에서 하나 이상의 카로우젤(12,14)의 저장통(50,52)가 개방되도록 카로우젤(12,14)를 분리시키고 예정된 갯수의 조립체를 제작하도록 저장통 내부로부터 부품을 꺼내는 단계와, 조립체가 완성되었을 때 카로우젤(12,14)를 다시 적층시키고 상부 카로우젤(12)에 뚜껑(16)을 덮고 부품을 다시 채워 넣는 부품 충전 위치로 카로우젤(12,14)를 귀환시키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개의 카로우젤로 부품을 취급하는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카로우젤(12,14)를 정전기적으로 안정한 합성 중합체 조성물 재료로 사출 성형하는 예비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복수개의 카로우젤로 부품을 취급하는 방법.
  22. 제20항에 있어서, 각 저장통(50,52)가 그 바로 위의 카로우젤에 의해 고정 밀폐되도록 저장통(50,52) 내에 부품을 내장하여 적층된 카로우젤(12,14)를 함께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복수개의 카로우젤로 부품을 취급하는 방법.
  23. 제20항에 있어서, 각 카로우젤(12,14)의 저장통(50,52)내의 부품을 꺼낼 수 있도록 각 카로우젤(12,14)의 그 사이에 스페이서(20)을 위치시켜 직립 지주(84) 상에 장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복수개의 카로우젤로 부품을 취급하는 방법.
KR1019840000846A 1983-02-23 1984-02-22 조립 부품용 카로우젤 시스템 및 그 취급 방법 KR9200098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6/468,822 US4549664A (en) 1983-02-23 1983-02-23 Kitting parts carousel system
US468822 1983-02-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7537A KR840007537A (ko) 1984-12-08
KR920009836B1 true KR920009836B1 (ko) 1992-10-31

Family

ID=23861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0846A KR920009836B1 (ko) 1983-02-23 1984-02-22 조립 부품용 카로우젤 시스템 및 그 취급 방법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4549664A (ko)
EP (1) EP0135585B1 (ko)
JP (1) JPS60500565A (ko)
KR (1) KR920009836B1 (ko)
AU (1) AU571213B2 (ko)
BR (1) BR8405491A (ko)
CA (1) CA1209961A (ko)
DE (1) DE3470477D1 (ko)
IL (1) IL70896A (ko)
IT (1) IT1199067B (ko)
MX (1) MX158796A (ko)
PH (1) PH22892A (ko)
WO (1) WO19840032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63855A (en) * 1987-02-05 1988-08-16 Divincenzo Maureen Floss bobbin holding device
US4745704A (en) * 1987-04-08 1988-05-24 Schaefer Lawrence J Portable storage receptacle
AU587543B2 (en) * 1987-04-28 1989-08-17 Sanyo Office Machines Pty. Ltd. Rotary filing system
CH682733A5 (de) * 1991-02-11 1993-11-15 Daniel Grossglauser Einrichtung zum Aufnehmen von Arbeitsgeräten und Utensilien für die Oberflächenbearbeitung.
US5171077A (en) * 1991-05-13 1992-12-15 Jondahl Kenneth A Rotatable food serving housing
US5277488A (en) * 1992-05-22 1994-01-11 Liam Cleary Refrigerator with rotatable shelves
US5487600A (en) * 1995-01-09 1996-01-30 Griffin; Brenda G. Container for earrings and small jewelry
US5570793A (en) * 1995-02-24 1996-11-05 Killough; Beverly A. Fingernail color display
US5713648A (en) * 1995-11-17 1998-02-03 Cvs H.C., Inc. Apparatus for storing and dispensing medication
US5740906A (en) * 1996-08-08 1998-04-21 Lai; Yung-Feng Container combination for stationery goods
US20030196978A1 (en) * 1997-05-20 2003-10-23 Trade Source International Rotating bath bar and ceiling glass fixture display carousel system
US6016927A (en) * 1998-01-30 2000-01-25 Krupp; William A. Rotating tray system
US6236901B1 (en) 1998-03-31 2001-05-22 Dell Usa, L.P. Manufacturing system and method for assembly of computer systems in a build-to-order environment
US6364125B1 (en) * 2000-11-04 2002-04-02 D'angelo Kristen Marie Organizer and storage container
US6439406B1 (en) * 2000-11-15 2002-08-27 Mary Didier Duhon Carousel device for storing medication containers
US7149884B2 (en) 2001-01-25 2006-12-12 Dell Products L.P. Method and system for configuring a computer system via a wireless communication link
US6631804B2 (en) * 2001-08-09 2003-10-14 Zreative Products, Inc. Displayable lighter package
US20030152659A1 (en) * 2002-02-08 2003-08-14 Mccloskey Kristin A. Children's toy for making confections
US20040256394A1 (en) * 2003-06-17 2004-12-23 Joseph Conde Stackable, modular and decorative bowl assembly
US7159728B2 (en) * 2003-10-09 2007-01-09 Smith Brenda A Braiding/weaving hair and beauty supply stand
US20060043030A1 (en) * 2004-08-31 2006-03-02 Arthur Rishar Remote control storage assembly
US7523833B2 (en) * 2005-06-08 2009-04-28 Zipeto Kenneth M Rotary shoe storage device
US7946522B2 (en) * 2006-10-30 2011-05-2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System and method for dissipating static electricity in an electronic sheet material dispenser
US20080272252A1 (en) * 2007-05-02 2008-11-06 Joseph Conde Stackable, modular and decorative bowl assembly
US20110094983A1 (en) * 2009-10-22 2011-04-28 Erma Jean Burnside-Hall Spinning school supply storage bin
US8210373B2 (en) * 2009-11-04 2012-07-03 Lih Yann Industrial Co. Ltd. Structure of parts stand
USD623805S1 (en) * 2009-12-29 2010-09-14 Zenith Innovation, Llc Modular bird feeder
USD638588S1 (en) * 2010-12-28 2011-05-24 Zenith Innovation, Llc Hanging bird feeder
US20130087516A1 (en) * 2011-10-11 2013-04-11 Christine Kowalewski Entertainment docking system and device
US9756992B2 (en) 2013-03-15 2017-09-12 Vsi Import Solutions, Llc Electronic residential tissue dispenser
US9907441B2 (en) * 2014-04-18 2018-03-06 Vsi Import Solutions, Llc Electronic residential tissue dispenser
US9434321B2 (en) * 2014-07-09 2016-09-06 Oshkosh Corporation Vehicle storage assembly
CN104493803B (zh) * 2014-12-04 2016-08-24 贵州宇之源太阳能科技有限公司 一种旋转式太阳能灯组零件盛放装置
US9345344B1 (en) * 2015-01-06 2016-05-24 Samira Arabi-Beam Transportable display holder for articles stored therein
US9585476B2 (en) * 2015-04-28 2017-03-07 Joseph T. Swisher Multifunction workstation
CN104924285B (zh) * 2015-06-29 2016-09-21 国网山东济阳县供电公司 塑胶型安全工具存放装置
USD765183S1 (en) * 2015-11-20 2016-08-30 Robert Lowery Marble game
US9782020B2 (en) * 2016-02-22 2017-10-10 Stephen H Bacon Merchandise display shelving unit
US11412900B2 (en) 2016-04-11 2022-08-16 Gpcp Ip Holdings Llc Sheet product dispenser with motor operation sensing
US11395566B2 (en) 2016-04-11 2022-07-26 Gpcp Ip Holdings Llc Sheet product dispenser
CN108974803A (zh) * 2018-07-10 2018-12-11 湖南先步信息股份有限公司 一种圆柱体送料转盘
CN110919434A (zh) * 2018-09-19 2020-03-27 天津众晶半导体材料有限公司 一种电磁吸盘式工件减振加工中心
CN109483492A (zh) * 2018-11-08 2019-03-19 温州科技职业学院 一种计算机软件测试用可调式放置架
CN110774243B (zh) * 2019-11-13 2023-11-10 浙江航泽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存取一体化工作台及其使用方法
US10624436B1 (en) * 2019-12-09 2020-04-21 Khadijah Davis Hair solutions cart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95366A (en) * 1938-04-21 1940-03-26 William H Haigh Portable tool tray
CH220889A (de) * 1940-03-31 1942-04-30 Schnitzler Karl Transportierbares Behälteraggregat zur Aufnahme von Gegenständen.
CH220884A (de) * 1941-04-17 1942-04-30 Philips Nv Vorrichtung zur Übertragung von stehenden oder bewegten Bildern.
US2318081A (en) * 1941-10-25 1943-05-04 House Of Vision Belgard Spero Lap storage rack
US2371917A (en) * 1942-10-13 1945-03-20 Rosenberg Philip Revolving bin
US2553507A (en) * 1950-03-13 1951-05-15 Universal Steel Equipment Corp Locking mechanism for revolving bins
DE949640C (de) * 1953-05-03 1956-09-20 Alfred Zerver Werkzeug- oder Materialkasten od. dgl., insbesondere fuer Reparaturwerkstaetten
US2978285A (en) * 1959-07-02 1961-04-04 William J Jester Revolvable tray
FR1319746A (fr) * 1962-04-13 1963-03-01 Int Patentverwertung M B H Ges Récipient pour pièces détachées en nombre
US3164259A (en) * 1962-06-18 1965-01-05 Pendleton Tool Ind Inc Parts container and mounting means therefor
US3282439A (en) * 1964-12-10 1966-11-01 Vitale Frank Parts holder
FR1417790A (fr) * 1964-12-18 1965-11-12 Coffret à outils
US3489289A (en) * 1968-06-14 1970-01-13 Alcon Plastics Inc Tool holder
DE1922116C3 (de) * 1969-04-30 1978-06-08 Multi-Contact Ag, Basel (Schweiz) Bauteileständer
US3623634A (en) * 1969-11-03 1971-11-30 Johanness Norgard Modular container
JPS5124934Y2 (ko) * 1971-04-15 1976-06-25
DE2208013A1 (de) * 1972-02-21 1972-08-30 Heinrich J Kesseboehmer Drahtu Verkaufsstaender od. dgl. gestell
US4006559A (en) * 1975-09-15 1977-02-08 Carlyon Jr Richard A Self-irrigating display rack for potted plants
US3986244A (en) * 1975-11-19 1976-10-19 Contact Systems, Inc. Optical guidance methods and apparatus for treatment or assembly of printed circuit boards and similar workpieces
US4025212A (en) * 1976-01-15 1977-05-24 Block Alvin W Can construction device and system
US4273393A (en) * 1979-09-20 1981-06-16 Usm Corporation Automatic component dispensor
US4311237A (en) * 1980-03-14 1982-01-19 Hayes John C Food carrying and display container system
AT381079B (de) * 1981-08-24 1986-08-25 Freiler Willibald Kleinteilbehaelter
US4453326A (en) * 1982-07-06 1984-06-12 Dynamic Resources Unlimited, Inc. Document holding and segregat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T1199067B (it) 1988-12-30
IT8447725A0 (it) 1984-02-21
US4549664A (en) 1985-10-29
MX158796A (es) 1989-03-13
BR8405491A (pt) 1985-02-20
EP0135585A1 (en) 1985-04-03
EP0135585B1 (en) 1988-04-20
AU2692584A (en) 1984-09-10
KR840007537A (ko) 1984-12-08
PH22892A (en) 1989-01-19
DE3470477D1 (en) 1988-05-26
IL70896A0 (en) 1984-05-31
IL70896A (en) 1990-07-12
JPS60500565A (ja) 1985-04-25
WO1984003249A1 (en) 1984-08-30
AU571213B2 (en) 1988-04-14
CA1209961A (en) 1986-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9836B1 (ko) 조립 부품용 카로우젤 시스템 및 그 취급 방법
CA1291080C (en) Disk shipper
US4700839A (en) Package including disk-form magnetic recording mediums
CA2129617C (en) Bag-in box with split lid
US20050150808A1 (en) Pipette tip container
US4628580A (en) Method for using kitting parts carousel system
US6915906B2 (en) Wafer storage container with wafer positioning posts
WO1999064309A1 (en) Reusable one-piece storage and shipping container
US4938372A (en) Storage container for storing powdered or granular materials
JPH0629069B2 (ja) 錠剤供給装置
US5799789A (en) Portable container for sockets
US4828111A (en) Container for holding packages of cover glass and individual glass slides
CN215972842U (zh) 安瓿瓶包装盒
CN215838830U (zh) 一种清洁机器人的箱体结构以及清洁机器人
CN110738277A (zh) 一种智能卡的存卡盘以及智能卡存取设备
KR890702301A (ko) 루즈부재용 카셋트와 그 적재방법
CN210527119U (zh) 一种用于大型电池箱体的包装运输架
CN216187186U (zh) 一种吸头盒
JPS6226377Y2 (ko)
JP2000255672A (ja) 光ディスクの収納体
EP0410529A1 (en) Pack for a fragile cylindrical object
CN213831726U (zh) 一种激光切割件用分类运输设备
CN216104555U (zh) 一种上料设备的工件定位机构
CN211824091U (zh) 一种堆放稳定的导弹箱
SU1284901A1 (ru) Тара дл проволочных бух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10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