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8687Y1 - 스티어링 휘일의 혼 스위치 - Google Patents

스티어링 휘일의 혼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8687Y1
KR920008687Y1 KR2019900003077U KR900003077U KR920008687Y1 KR 920008687 Y1 KR920008687 Y1 KR 920008687Y1 KR 2019900003077 U KR2019900003077 U KR 2019900003077U KR 900003077 U KR900003077 U KR 900003077U KR 920008687 Y1 KR920008687 Y1 KR 9200086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plate
plate
fixed contact
movable contact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030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6931U (ko
Inventor
가쯔노부 사까네
Original Assignee
도요다 고세이 가부시끼가이샤
반 쇼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다 고세이 가부시끼가이샤, 반 쇼지 filed Critical 도요다 고세이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01693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693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86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868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60Q5/001Switches therefor
    • B60Q5/003Switches therefor mounted on the steering whee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스티어링 휘일의 혼 스위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제5도의 I-I단면도.
제2도는 동실시예에 있어서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를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로 맞붙이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3도는 동실시예의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 절연 스페이서 및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이 사시도.
제4도는 제5도의 N-N단면도.
제5도는 동실시예의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 절연 플레이트 및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의 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제6도는 동실시예의 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스티어링 휘일의 단면도이고, 제7도의 Ⅳ-Ⅳ단면도.
제7도는 동실시예의 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스티어링 휘일의 평면도.
제8도는 제2실시예의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 절연 스페이서 및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의 사시도.
제9도는 동실시예의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를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로 조립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10도는 제3실시예의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 절연 스페이서 및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의 사시도.
제11도는 동실시예의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를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를 조립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12도는 종래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13도는 종래예를 나타내는 것이고, 제12도의 XⅢ-XⅢ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혼 패드 12, 120, 121 :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
13, 130 :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 13a : 뿌리부
13b : 접점부위 14 : 압하 플레이트
15, 150, 151 : 절연 스페이서 23, 25, 230 : 계지공
42 : 설편 51 : 기부
53 : 슬릿 54 : 계지각
56 : 블록부 H1, H2, H3: 혼 스위치
본 고안은 자동차의 스티어링 휘일에 설치되는 혼 스위치에 관한다.
종래, 스티어링 휘일의 혼 스위치로서는 제12도 및 제13도에 나타내는 것이 알려져 있다(실개소화 60-133542)호 공보 참조).
이 혼 스위치(H0)는 판금재의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2)와 금속판 스프링제의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3)를 갖추어 구성되어 있다. 가공 콘택트 플레이트(3)는 위쪽에서 보아 H자 형상으로 하고, H자의 세로봉 부위를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2)측에 배치되는 뿌리부(3a)로하고, H자의 가로봉 부위를 뿌리부(3a)에서 위쪽으로 연장하는 접점 부위(3b)로 하고 있다.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3)의 접점 부위(3b)의 상면에는 도시하지 않은 제어수단에 의하여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2)에서의 이간 거리를 규제시키고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2)와 절연되어, 판금제의 압하 플레이트(4)가 설치되고, 이 입하 플레이트(4) 상쪽에는 혼 패드(2)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3)의 뿌리부(3a)는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2)에 대하여 뿌리부(3a)의 외형과 같은 판상의 합성수지제의 절연 플레이트(5)와, 원통상의 합성수지제의 절연링(6)과, 단면 L자형의 터미날(9)을 거쳐 도전성을 가지는 리벳(7)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2)는 스티어링 휘일의 도시하지 않은 보스 등의 스티어링 휘일 본체측에 고정되는 판금제의 에너지 흡수제(10)에 고착되고, 이 에너지 흡수체(10)를 거쳐 혼 작동 회로의 부극측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3)는 터미날(9)에 접속된 리드선(8)을 거쳐, 혼작동 회로의 정극측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혼 스위치(H0)에서는 혼 패드(1)를 압하 조작함으로서 압하 플레이트(4)를 거쳐 가동 콘택트플레이트(3)의 접점 부위(3b)를 강하시키고, 접점 부위(3b)의 접점(3c)을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2)의 접점(2a)과 접촉시켜, 혼을 작동시키고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혼 스위치(H0)에서는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3)가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2)에 대하여, 절연플레이트(5), 절연링(6), 및 터미날(9)을 거쳐 리벳(7)에 계지되는 것이고, 조립 부품수가 많았다.
리벳(7) 계지할때,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13), 절연 플레이트(5), 필연링(6) 및 터미날(9)의 4부품을 고정콘택트 플레이트(2)에 배치될 필요가 있으므로, 각 부품이 벗어나지 않도록 주의해야만 하고, 그 조립 작업에 시간이 걸리게 되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의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고, 조립 부품 수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조립 작업성이 양호하게 되는 스티어링 휘일의 혼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 관한 혼 스위치를 판금제의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와. 그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 상면에 뿌리 부측을 절연시킨 상태에서 고정되고, 그 뿌리부에서 연장하는 접점 부위를 상기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에서 위쪽으로 이간시켜 배치시키는 금속판 스프링제의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와, 그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의 점점 부위에대한 상부면에 접하고, 상기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에서 이간거리를 규제시키고, 상기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와 절연되어 설치되는 판금제의 압하 플레이트와, 그 압하 플레이트 상쪽에 설치되는 혼 패드를 갖추고, 그 혼패드의 압하 조작시에 상기 압하 플레이트를 거쳐 상기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의 접점 부위가 상기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에 접촉하여 혼이 작동되는 스티어링 휘일의 혼 스위치이고, 상기 압하 플레이트에 아래쪽으로 굴곡하는 설편이 형성되고, 그 설편에, 상기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혼 작동 회로의 극측과 대응한 극측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리드선이 연결되고, 상기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에 있어서의 상기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의 뿌리부의 배치 위치에 계지 공정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와 상기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이 뿌리부 사이에, 절연성을 가지고, 스프링 탄성을 가지는 합성수지에서 형성된 절연 스페이서가 설치되고, 그 절연 스페이서는 상면에 상기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의 뿌리부를 배치시키는 기부와, 그 기부의거의 중앙의 양측 부근에 상호 개략 평행으로 설치되는 슬릿과, 상기 기부에 있어서 상기 슬릿 형성 부위의 양측에서 각각 대칭적으로 외측에 돌출하여 각각 아래쪽으로 굴곡시켜 상기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의 계지공 주연에 계시되는 2개의 계지각을 갖추고, 각 계지각은 하측으로 굴곡시, 상부 위치에 배치되는 부위에, 상기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의 뿌리부의 모서리를 각각 계지하고, 상기 기부상에서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를 유지가능한 볼록부를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관한 혼 스위치에서는 조립시 절연 스페이서의 기부 양측에서 돌출하여 있는 2개의 계지각을 아래쪽으로 굴곡시키고, 각각의 계지각의 상부 위치에 배치되는 볼록부에서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의 뿌리부에 대한 모서리를 계지하여, 기부상에 가공 콘택트 플레이트를 유지시키고, 각각의 계지각을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의 계지공 주연에 계지시키면, 종래의 절연링이나 리벳을 사용하지 않고, 절연 스페이서를 1개 사용할 뿐으로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를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에 대하여 조립할 수 있다.
그리고, 종래의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에 접속되어 있던 리드선은 압하 플레이트의 설편에 예를들면 터미날이나 리벳을 이용하여 접속되면 좋고, 그 리벳 계지각 작업은 종래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 절연 플레이트, 절연링 및 터미날의 4부품을 종합하여 리벳 계지하는 것은 아니고, 설편과 터미날의 2부품을 리벳 계지하는 것이고,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로의 통전은 압하 플레이트가 판금제이고, 압하 플레이트가 가동콘택트 플레이트의 점검부위 상면에 당접하여 조립되어 있으므로, 지장없이 행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관한 스티어링 휘일의 혼스위치에서는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를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에 대하여 조립할때, 종래 필요한 절연링이나 리벳을 사용하지 않고, 1개의 절연 스페이서만의 사용으로 조립할수 있고, 조립 부품 점수를 감소할 수 있다. 사용하는 절연 스페이서의 계지각의 대칭적으로 2개 설치되고, 그들 2개의 계지각이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의 뿌리부에 대한 모서리를 계지하여 기부상에서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를 협지하도록 유지하고, 그리고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의 계지공에 대한 주연의 2개소에 각각 계지됨으로,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나 절연 스페이서를 회전시키지 않은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에 조립할 수 있고, 압하 플레이트의 설편에 리드선을 접속시키는 작업도 용이하게 됨으로, 조립 부품 점수가 감소하고, 조립 작업에 시간이 들지 않는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제1실시예에 나타내는 혼 스위치(H1)는 제1, 4, 6도에 나타나듯이, 에너지 흡수체(10) 상쪽에 배치되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에너지 홉수체(10)는 판금에서 형성되며, 제6도에 나타나듯이, 단면을 횡방향의 자형으로 하는 변형 부재(10a)와 변형 부재(10a)의 하부에 고착된 4각 환상의 판상 베이스부(10b)에서 구성되고, 스티어링 휘일(W)의 보스부(B)에 있어서 보스 플레이트(60)등의 스티어링 휘일 본체측에 고착되어 있다. 그리고, 변형 부재(10a)의 상부에는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12)가 나사(20)나 용접을 이용하여 고정되고 있다.
고정 콘택트 풀레이트(12)는 제1, 3 내지 6도에 나타나듯이, 대략 4각판상의 판금제로서, 주연의 4모서리 접점(12a)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스티어링 휘일(W)의 후방측의 2모서리에는 1단 내리도륵 외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21)가 형성되고. 이들의 돌출부(21)에는 각각 2개씩의 공(21a), (21b)이 형성되어 있다. 공(21a)후술하는 혼 패드(11)에 매설된 너트(1la)에 나합하는 나사(30)를 삽통시키는 나사용 공이고, 공(21b)은 혼패드(11)에서 하측으로 돌출하고 있는 돌기(11b)를 삽입시키는 위치 결정공이다.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12)의 중앙 부근의 좌우 양측에는 후술하는 규제 수단(31)을 배치시키는 삽통공(27)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12)에는 중앙 부위에 대소 2개의 계지공(23),(25)이 인접하여 형성되어있다. 이들의 계지공(23),(25)은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12) 상측으로 후술하는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13)를 배치시켰을때, 그 뿌리부(13a)의 단수 방향에 따라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의 계지공(23),(25)의 상호에 접근하고 있는 주연에는 하측으로 굴곡하는 계지부(24),(26)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12)에는 중앙부위에 대소 2개의 계지공(23), (25)이 인접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들의 계지공(23), (25)은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12) 상측으로 후술하는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13)를 배치시켰을때, 그 뿌리부(13a)의 단수 방향에 따라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의 계지공(23), (25)의 상호에 접근하고 있는 주연에는 하측으로 굴곡하는 계지부(24), (26)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12)에는 중앙부위에 대소 2개의 계지공(23), (25)이 인접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들의 계지공(23), (25)은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12) 상측으로 후술하는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13)를 배치 시켰을때, 그 뿌리부(13a)의 단수 방향에 따라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의 계지공(23), (25)의 상호에 접근하고 있는 주연에는 하측으로 굴곡하는 계지부(24), (2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22는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12)를 에너지 흡수체(10)에 있어서 변형 부재(10a) 상부에 나사(20) 멈춤때의 나사용 공이다(제3, 6도 참조).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12)의 상측에 배치되는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13)는 제1,3 내지 6도에 나타내듯이, 종래와 마찬가지로, 위쪽에서 보아 H자 형상으로 하는 금속판 스프링제로서, H자의 세로봉 부위를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12)후에 배치되는 뿌리부(13a)로 하고, H자의 가로봉 부위를 뿌리부(13a)에서 상측으로 연장하는 접점 부위(13b)로 하고, 각 접점부위(13b)의 선단에는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12)의 접점(12a)에 대응한 접점(13c)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13)의 뿌리부(13a)와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12) 사이에는 제1내지 6도에 나타나듯이 폴리프로피렌 등의 절연성을 가지고 스프링 탄성을 가지는 합성수지에서 형성된 절연 스페이서(15)가 배치되어 있다.
이 절연 스페이서(15)는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13)의 뿌리부(13a)에 대응한 대략 4각 판상의 기부(51)를 갖추고 있다. 기부(51)에는 상부에 있어서 긴쪽 방향의 단부 양측에, 뿌리부(13a)의 폭치수에 대응한 거리를 두워 위치 규제용의 돌부(52)가 형성되어 있다(제3, 5도 참조), 기부(51)에는 대략 중앙의 양측 부근에, 상면에 배치되는 뿌리부(13a)의 긴쪽 방향에 따른 슬릿(53, 53)이 서로 대략 평행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기부(51)에는 각 슬릿(53)의 형성 부위의 양측에서 대칭적으로 외측으로 연장하는 계지각(54, 54)이 형성되어 있다. 각 슬릿(53)은 후술하는 각 블록부(56)를 형성하도록 설치하고, 각 계지각(54)의 폭방향의 양측에서 기부(51)에 연결되는 가늘은 연결부(57, 57)를 형성하도륵 설치되는 것이고, 각 계지각(54)을 하측으로 굴곡시킬때에, 각 연결부(57)가 쉽게 틀어지도록 탄성 변형하고, 각 계지각(54)을 쉽게 하측으로 굴곡할 수있도록 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각 계지각(54)은 기부(51)에서 돌출하는 선단측의 단부에 구부(55)를 각각 갖추고, 각 슬릿(53)내에 돌출하는 측의 단부에 볼록부(56)를 각각 갖추고 있다. 이들의 구부(55)는 각 계지부(54)을 하측으로 굴곡시켰을때에,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12)의 각 계지공(23, 25)주연의 계지부(24, 26)에 계지시키는 것이고, 이들 볼록부(56)는 각 계지각(54)을 하측으로 굴곡 시켰을때에,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13)의 모서리인 뿌리부(13a)의 양측면을 기부(51)상에서 계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각 계지각(54)을 하측으로 굴곡시켜. 각 볼록부(56)에서 뿌리부(13a)의 양측연을 계지한 후에는 뿌리부(13a)가 각 계지각(54)의 연결부(57)의 원래 복귀하도록 하는 스프링 탄성력을 규제함으로, 각 계지각(54)은 그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그 상태에서 각 계지각(54)이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12)의 계지공(23, 25)주연간에 스프링 탄성적으로 계기된다.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13)에 있어서 접접 부위(13b)의 각 접점(13c) 부근의 상면에는 제1, 4내지 6도에 나타나듯이, 상측에서 보아 대략 긴 원형상으로 하는 판금제의 압하 플레이트(14)가 각 접점(13c) 주위에 당접하여 배치되고 있다.
이 입하 플레이트(14)에는 주연의 4개소에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13)의 접점(13c)을 삽통시키는 관통공(41)이 형성되어 있다. 압하 플레이트(14)는 중앙 부근의 좌우 양측에, 각각 나사용공(43)이 형성되고, 각 나사공용(43)은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12)의 삽통공(27)에서 삽입되는 절연성을 가진 합성수지제의 끝부스페이서(31)를 나사(50) 정지하는 것이다. 이들의 끝부 스페이서(31)는 압하 플레이트(14)에 있어서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12)에서의 이간 거리를 규제하고, 압하 플레이트(14)를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12)와 절연시키는 규제 수단으로서의 역할을 과하는 것이다.
그리고, 압하 플레이트(14)의 중앙에는 주위를 절결시켜 하측으로 굴곡하는 설편(42)이 형성되어 있다. 이 설편(42)은 고장 콘택트를 플레이트(12)의 계지공(23)을 지나 하측으로 돌출하고, 터미날(19)을 리벳(17) 정지하는 것이다. 이 터미날(19)에는 혼 작용 회로의 정측측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리드선(8)이 가시메를 이용하여 접속되고,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13)로의 통전은 이 판금제의 압하 플레이트(14)를 거쳐 행하여진다. 한편,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12)는 스티어링 휘일 본체로의 조립후에 에너지 흡수체(10), 보스 플레이트(60), 보스(61)등을 거쳐 혼작동 회로의 부극측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압하 플레이트(14)의 상측에는 제1, 4 내지 6도에 나타나듯이, 형상 유지성을 가지는 반경질 합성수지제의 인서(11A)와 연질 합성수지제의 피복층(11B)에서 되는 혼 패드(11)가 설치되어 있다. 이 혼 패드(11)에는 제6도에 나타내는 너트(11a)가 스티어링 휘일(W) 후부측과 마찬가지로 전단부측에도 매설되어 있다. 그리고 스티어링 휘일 후부측의 너트(1la)에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12)에 있어서 돌출부(21)의 나사용공(21a)을 거쳐 나사(30)를 나합시키고, 도시하고 있지 않은 스티어링 휘일 전부측의 너트에 에너지 흡수체(10)의 베이스부(10b)에 형성시킨 나사용공(10c)(제5도 참조)을 거쳐 나사(30)를 나합시킴으로서, 이 혼 패드(11)는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12)를 고착시키고 있는 에너지 흡수체(10)에 조립된다. 폰 패드(11)이면에서 돌출하고 있는 돌기(11b)는 그 조립시에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12)의 돌출부(21)에 있어서 위치 결정공(21b)에 삽입되어 위치결정 작업을 쉽게된다.
다음에, 제1실시예의 혼 스위치(H1)의 조립에 대하여 설명하면, 우선 에너지 흡수체(10)의 변형 부재(10a) 상부에 나사(20)나 용접을 이용하여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12)를 고착시키고, 압하 플레이트(14)의 설편(42)에 리드선(8)을 결선한 터미날(19)을 리벳(17) 멈추어둔다.
그리고, 제2도에 나타나듯이, 절연 스페이서(15)의 기부(51)상에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13)의 뿌리부(13a)를 배치시켜, 계지각(54, 54)을 하측으로 굴곡시키고, 각 계지각(54)의 상부 위치에 배치시키는 볼록부(56, 56)에서 기부(51)상의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13)의 모서리인 뿌리부(13a)의 양측연을 계지하고, 이 계지각(54, 54)을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12)의 계지공(23, 25) 주연의 계지부(24, 26)에 계지시킨다.
그리고, 관통공(41)내에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13)의 접점(13c)을 배치시키고.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12)의 삽통공(27)으로 하측에서 삽입된 끝부 스페이서(31)를 개재시켜, 나사용공(43, 43)에 나사(50)를 나합시키고, 압하 플레이트(14)를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12) 상측으로 고정한다.
그후, 혼 패드(11)에 있어서 스티어링 휘일(W)의 전후에 매설되어 있는 너트(11a)에,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12)의 돌출부(21)의 나사용공(21a)이다. 에너지 흡수체(10)에 있어서 베이스부(10b)의 나사용공(10c)을 거쳐, 나사(30)를 나합시키고, 패드(11)를 에너지 흡수체(10)에 대하여 고정한다.
그리고 그후, 스티어링 휘일(W)에 있어서 보조 플레이트(60)등이 배치되어 있는 스티어링 휘일 본체측에 혼 스위치(H1)마다 에너지 흡수체(10)를 고착시킨다(제7도 참조). 또한 본 고착 상태는 제6도에 나타나듯이, 에너지 흡수체(10)의 베이스부(10b)에 형성된 너트(10e) 부착의 설편(10d)과, 베이스부(10b)에 나사(10g) 멈추게(제5도 참조)된 계지각(10f)(제6도 참조)과, 를 이용하는 것이고, 보스 플레이트(60)에서 상측으로 연장한 플레이트(60a)에 나사(63)를 이용하여 설명(10d)를 고정시키고, 로어 카버(62)의 계지통부(62a)에 계지각(10f)을 계지시켜 행하는 것이다.
그리고, 혼 스위치(H1)나 에너지 흡수체(10)를 조립한 스티어링 휘일(W)을 차량에 장착시킨후, 혼 패드(11)의 상부를 압하 조작하면 압하 플레이트(14)를 거쳐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13)의 접점부위(13b)의 접점(13c)이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12)의 접점(12a)에 접촉하여, 혼이 작동된다.
따라서. 제1실시예의 혼 스위치(H1)에서는 조립시에서, 종래의 절연링(6)을 불요로 하여, 1개의 절연 스페이서(15)를 이용할 뿐이고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13)를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12)에 조립할 수 있고, 조립부품 점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제1실시예에서는 절연 스페이서(15)나 양측에 대칭적으로 2개의 계지각(54, 54)가 설치되며, 그들의 계지각(54, 54)이 각각 볼록부(56)에서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13)의 뿌리부(13a)의 양측연을 계지하여, 기부(51)상에서 협지하도록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13)를 유지함으로,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13)가 회전하기 않는 절연 스페이서(15)에 계지된다. 그리고 그 절연 스페이서(15)는 기부(51) 양측에서 대칭적으로 외측으로 돌출한 2개의계지각(54, 54)을 게지공(23, 25) 주연의 계지부(24, 26)에 각각 계지되어,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12)에 고착됨으로서, 절연 스페이서(15) 자체도 회전하지 않는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12)에 조립된다.
그리고, 종래의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3)에 접속되어 있던 리드선(8)은 압하 플레이트(14)에 접속되면 좋고, 그 접속은 압하 플레이트(14)의 설편(42)에 리드선(8)이 결선된 터미날(19)를 리벳(17) 멈추게 할 뿐이나, 그 때문에 종래의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3), 절연 플레이트(5), 절연링(6) 및 터미날(9)의 4부품을 종합하여 리벳(7) 멈추게 하는 것에 비하고, 설편(42)과 터미날(19)의 그 부품만을 리벳(17) 멈추게 하는 것이고, 그 접속작업을 쉽게 할 수 있고, 상술 고안의 작용, 효과란에서 서술한 것과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제1실시예의 경우에는 기부(51)의 상면에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13)의 뿌리부(13a)의 양측에 위치 규제하는 돌기(52)가 형성된 있으므로, 뿌리부(13a)를 기부(51)상에 배치할때의 위치 결정이 쉽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돌기(52)를 4개소에 설치않아도, 예를들면 기부(51)상면의 거의 중앙에 기부(51)의 긴쪽 방향에 따라 2개의 돌기(52)를 설치하고, 이들에 대응하는 감합공을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13)의 뿌리부(13a)에 설치하여 대처하여도 좋다.
제1실시예에서는 압하 플레이트(14)의 설편(42)에 터미날(19)를 접속시킬때에 사용하는 리벳(17)은 종래의 4부품을 접속하는 리벳(7)과 상위하여, 그 부품만의 접속에 사용됨으로, 종래의 리벳(7)과 비교하여 작은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생자원적으로 된다.
제1실시예에서는 압하 플레이트(14)와 리드선(8)의 접속에, 설편(42)에 터미날(19)를 리벳(17) 멈추게 하는것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설편(42)을 가시메하여 직접 리드선(8)을 접속시키도륵 구성하여도 좋다. 터미날(19)을 삽입시킴으로서 접속시킬 수 있도륵 감합부를 설편(42)의 하부에 형성하여 두어도 좋다.
제1실시예에서는 절연 스페이서(15)의 각 계지각(54, 54)을 각각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의 2개 계지공(23, 25)주연에 계지시키는 것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제8, 9도에 나타내도록 제2실시예의 결정 스위치(H2)와 같이 절연스페이서(150)로서, 계지각(54, 54)의 각구부(55)를, 각 계지각(54)을 하측으로 굴곡시켰을때에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형성하면,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120)의 계지공(230)을 1개로 할 수 있다. 240, 241은 계지공(230)주연에 형성된 구부(55, 55)를 계지시키는 계지부이다.
제1, 2실시예에서는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13)로서 위쪽에서 보아 H자형으로 되는 것을 나타냈지만, 뿌리부(13a)와 뿌리부(13a)에서 연장한 접접 부위(13b)를 갖추어 있으며, 상측에서 보아 한 문자 형상인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를 사용하여도 좋다.
제1, 2 실시예에서는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13)의 모서리로서, 뿌리부(13a)에 있어서 짧은쪽 방향의 양측연을 절연 스페이서(15, 150)에 있어서 각 계지각(54, 54)의 볼록부(56)에서 계지하는 것을 나타냈지만, 제10, 11도에 나타나듯이, 제3실시예의 혼 스위치(H3)와 같이,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130)에 형성된 계지공(130a, 130b)의 주연을 모서리로 하고, 절연 스페이서(151)에 있어서 각 계지각(54, 54)의 오목부(56)를 계지시키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이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130)는 제1, 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판스프링 제거이고, 뿌리부(13a)에서 위쪽으로 연장하는 접점 부위(13b)의 근본 부근에 각 접점 부위(13b)의 스프링 탄성력을 저하시키기 위하여 관통공이 형성되고, 그들의 관통공을 계지공(130a, 130b)으로서 이용하는 것이다.
그리고, 제3실시예에서는 제1, 2실시예와 같은 효과를 나타내는 외에, 절연 스페이서(151)의 각계지각(54, 54)이 그 폭(b0)을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130)의 계지공(130a), (130b)의 폭(b1)과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121)의 계지공(230)의 폭(b2)과 거의 일치시켜, 각 계지공(130a, 130b, 230)에 삽입되는 구성으로서 하고 있다. 그때문에 절연 스페이서(151)를 사용하여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130)를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121)에 조립한 후에서는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121)에 대하여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130)가 그 긴쪽 방향뿐만 아니라 그 짧은쪽 방향에도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3실시예에서는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130)로서 위쪽에서 보아 1문자 형상으로 되는 것을 나타냈지만, 물론 뿌리부(13a)에 소정의 계지공을 설치하면, 제1, 2 실시예에서 사용한 위쪽에서 보아 H자 형상의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13)를 사용할 수 있다.

Claims (1)

  1. 판금제의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와, 그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 상면에 뿌리부측을 절연시킨 상태에서 고정되고, 그 뿌리부에서 연장하는 접점 부위를 상기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에서 상측으로 이간되어 배치시키는 금속판 스프링제의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와, 그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의 접점 부위에 대한 상면에 당접하고 상기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에서 이간 거리를 규제시키고, 상기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로 절연되어 설치되는 판금제의 압하 플레이트와, 압하 플레이트 상측에 설치되는 혼 패드를 갖추고, 그 혼 패드의 압하 조작시에 상기 압하 플레이트를 거쳐 상기 콘택트 플레이트의 접점 부위가 상기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에 접속하여 혼이 작동되는 스티어링 휘일의 혼 스위치이고, 상기 압하 플레이트에 아래측으로 굴곡하는 설편이 형성되며, 그 설편에, 상기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혼 작동 회로의 극측과 대응한 극측에 전기적으로접속되는 리드선이 연결되고, 상기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에 있어서 상기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의 뿌리부의 배치 위치에, 계지공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와 상기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의 뿌리부 사이에, 절연성을 가지고 스프링 탄성을 가지는 합성 수지에서 형성된 절연 스페이서가 설치되고, 그 절연 스페이서는 상면에 상기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의 뿌리부를 배치시키는 기부와, 그 기부의 대략 중앙 양측 부근에, 서로거의 평행으로 설치되는 슬릿과, 상기 기부에 있어서 상기 슬릿 형성 부위의 양측에서 각각 대칭적으로 외측에 돌출하여 각각 하측으로 굴곡되어 상기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의 계지공 주연에 계지시키는 2개의 계지각을 갖추고, 그 각 계지각은 하측으로의 굴곡시, 상부 위치에 배치되는 부위에 상기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의 뿌리부의 모서리를 각각 계지하고, 상기 기부상에서 상기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를 유지 가능한 볼록부를 갖추고 있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휘일의 혼 스위치.
KR2019900003077U 1989-03-27 1990-03-16 스티어링 휘일의 혼 스위치 KR920008687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4475 1989-03-27
JP3447589 1989-03-27
JP1989102252U JPH0710993Y2 (ja) 1989-03-27 1989-08-31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のホーンスイツチ
JP??102252 1989-08-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6931U KR900016931U (ko) 1990-10-05
KR920008687Y1 true KR920008687Y1 (ko) 1992-12-14

Family

ID=26373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03077U KR920008687Y1 (ko) 1989-03-27 1990-03-16 스티어링 휘일의 혼 스위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001311A (ko)
EP (1) EP0390030B1 (ko)
JP (1) JPH0710993Y2 (ko)
KR (1) KR920008687Y1 (ko)
DE (1) DE69020932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03952A (en) * 1992-12-23 1994-04-19 United Technologies Automotive, Inc. Electric signalling in a supplemental vehicle restraint system
US5350190A (en) * 1993-07-06 1994-09-27 Primrose, Inc. Air bag assembly mount including snap-fit horn attachment
US5344185A (en) * 1994-02-07 1994-09-06 Davidson Textron Inc. Air bag cover door horn switch and cover band
US5498844A (en) * 1994-03-08 1996-03-12 Chan; Joning C. Steering wheel with horn button overlay
US5627352A (en) * 1994-09-28 1997-05-06 Toyoda Gosei Co., Ltd. Steering wheel
JP3005934B2 (ja) * 1994-10-24 2000-02-07 豊田合成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用ホーンスイッチ
JP4726327B2 (ja) * 2001-05-28 2011-07-20 Jfe建材株式会社 柱と梁の接合部構造及びダイヤフラム
DE20307096U1 (de) * 2003-05-07 2003-10-09 Trw Automotive Safety Sys Gmbh Baugruppe aus einem Lenkrad und einem Gassackmodul
DE102011008158A1 (de) * 2011-01-10 2012-07-12 Autoliv Development Ab Hupenaktivierungseinrichtung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61630A (en) * 1939-02-20 1944-10-31 Briggs & Stratton Corp Automobile direction signals
FR1471447A (fr) * 1966-03-09 1967-03-03 Flii Vitaloni Interrupteur à bouton-poussoir
US3670120A (en) * 1971-01-11 1972-06-13 Switches Inc Horn actuating means
IT1014145B (it) * 1974-05-09 1977-04-20 Sportoletti B Perfezionamento nel comando a pul sante di circuiti elettrici sul vo lante degli autoveicoli
DE2943345C2 (de) * 1979-10-26 1982-03-18 Wilhelm Schade, 5970 Plettenberg Hupkontaktvorrichtung für die Hupe von Kraftfahrzeugen
JPS56135349A (en) * 1980-03-25 1981-10-22 Nissan Motor Co Ltd Switch device on steering wheel
US4447684A (en) * 1982-06-23 1984-05-08 Nihon Plast Co., Ltd. Automotive horn switch structure on steering wheel
JPS60133542U (ja) * 1984-02-16 1985-09-05 豊田合成株式会社 衝撃吸収ステアリングホイ−ル
DE3722069A1 (de) * 1986-08-21 1988-02-25 Toyoda Gosei Kk Signalhornschaltvorrichtung fuer ein steuerrad
US4899020A (en) * 1987-10-19 1990-02-06 Toyoda Gosei Co., Ltd. Printed wiring unit for horn switc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324468U (ko) 1991-03-13
US5001311A (en) 1991-03-19
JPH0710993Y2 (ja) 1995-03-15
DE69020932T2 (de) 1995-11-23
EP0390030A3 (en) 1991-09-18
EP0390030B1 (en) 1995-07-19
KR900016931U (ko) 1990-10-05
EP0390030A2 (en) 1990-10-03
DE69020932D1 (de) 1995-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36614B2 (en) Conductor connection tool and relay unit using the same
EP3435489A1 (en) Connector and circuit board assembly
KR920008687Y1 (ko) 스티어링 휘일의 혼 스위치
KR920008688Y1 (ko) 스티어링 휘일의 혼 스위치
EP2854225A1 (en) Lead wire connection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US2962692A (en) Electric contact terminal
CN109216954B (zh) 导线联接端子的导电组件结构
WO2012057223A1 (ja) アースクリップ
JPS5851436A (ja) フユ−ズ・ホルダ
JPH0323663Y2 (ko)
EP3799214B1 (en) Mounting structure of terminal and mounting surface
US3056103A (en) Terminal block
WO2002017340A1 (en) Push switch
JPH08124617A (ja) 電気コネクタ端子及び電気コネクタ
JP2624350B2 (ja) 電池接点
JP4329962B2 (ja)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H0535538Y2 (ko)
CN215266751U (zh) 连接端子
JPH0417422Y2 (ko)
JP2001155802A (ja) 基板接続用端子とそれを用いた接続構造
JPH0330974Y2 (ko)
JPS594543Y2 (ja) ねじ端子
JPH10223280A (ja) ターミナルキャップ
JPH0743946Y2 (ja) ケース用の端子
JPH022077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205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