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8688Y1 - 스티어링 휘일의 혼 스위치 - Google Patents

스티어링 휘일의 혼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8688Y1
KR920008688Y1 KR2019900003078U KR900003078U KR920008688Y1 KR 920008688 Y1 KR920008688 Y1 KR 920008688Y1 KR 2019900003078 U KR2019900003078 U KR 2019900003078U KR 900003078 U KR900003078 U KR 900003078U KR 920008688 Y1 KR920008688 Y1 KR 9200086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plate
plate
movable contact
fixed contact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030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6932U (ko
Inventor
가쯔노부 사까네
Original Assignee
도요다 고세이 가부시끼가이샤
반 쇼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다 고세이 가부시끼가이샤, 반 쇼지 filed Critical 도요다 고세이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0169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693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86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868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60Q5/001Switches therefor
    • B60Q5/003Switches therefor mounted on the steering whee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스티어링 휘일의 혼 스위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제5도의 I-I 단면도.
제2도는 동실시예에 있어서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를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로 조립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3도는 동실시예의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 절연 스페이서 및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의 사시도.
제4도는 제5도의 IV-IV단면도.
제5도는 동실시예의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 절연 플레이트 및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의 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제6도는 동실시예의 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스티어링 휘일의 단면도이고, 제7도의 VI-VI 단면도.
제7도는 동실시예의 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스티어링 휘일의 평면도.
제8도는 제2실시예의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 절연 스페이서 및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의 사시도.
제9도는 동실시예의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를 고징 콘택트 플레이트로 조립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10도는 제3실시예의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 절연 스페이서 및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의 사시도.
제11도는 동실시예의 있어서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를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에 조립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12도는 동실시예를 단면도.
제13도는 제4실시예에 있어서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 절연 스페이서 및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의 사시도.
제14도는 동실시예에 있어서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를 고정콘택트 플레이트를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로 조립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15도는 동실시예의 단면도.
제16도는 제5실시예에 있어서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 절연 스페이서 및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의 사시도.
제17도는 동실시예의 단면도.
제18도는 제6실시예에 있어서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 절연 스페이서 및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의 사시도.
제19도는 동 실시예의 단면도.
제20도는 종래예룰 나타내는 단면도.
제21도는 종래예를 나타내는 것이고, 제20도의 X XI-X XI부위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혼 스위치
1, 120, 220, 420 :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
13, 230, 430 :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 13a : 뿌리부
13b : 접점부위 14 : 압하 플레이트
15, 150, 250, 350, 450, 550 : 절연 스페이서
23, 121, 123, 221, 421 : 계지공 42 : 설편
51, 151, 251, 351 : 기부 53, 57, 153, 157, 253, 353 : 계지각
55, 155, 255, 355 : 얇은부 56, 156, 256, 257, 356 : 돌출편
H1, H2, H3, H4, H5, H6 : 혼 스위치
본 고안은 자동차의 스티어링 휘일에 설치되는 혼 스위치에 관한다.
종래, 스티어링 휘일의 혼 스위치로서는 제20, 21도에 나타난 것이 알려져 있다(실개소화 60-133542흐 공보참조).
이 혼 스위치(H0)는 판금제의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2)와, 금속판 스프링제의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3)를 갖추어 구성되어 있다.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3)는 상측에서 보아 H자 형상으로 하고, H자의 세로봉 부위를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2)측에 배치되는 뿌리부(3a)로 하고, H자의 가로봉 부위를 뿌리부(3a)에서 상측으로 연장하는 접점부위(3b)로서 있다.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3)의 접점부위(3b)의 상면에는 도시하지 않은 규제 수단에 의하여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2)에서의 이간 거리를 규제시키고,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2)로 절연되어 판금제의 압하 플레이트(4)가 설치되고, 이 압하 플레이트(4)의 상측에는 혼패드(1)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3)의 뿌리부(3a)는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2)에 대하여, 뿌리부(3a)의 외형과 같은 판상의 합성수지제의 절연 플레이트(5)와, 원환상의 합성수지제의 절연링(6)과, 단면 L자형의 터미날(9)을 거쳐 도전성을 가지는 리벳(7)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2)는 스티어링 휘일의 도시하지 않은 보스등의 스티어링 휘일 본체측에 고정되는 판금제의 에너지 흡수체(10)에 고착되고, 이 에너지 흡수체(10)를 거쳐 혼작동 회로의 부극측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가동콘택트 플레이트(3)는 터미날(9)에 접속된 리드선(8)을 거쳐, 혼작동 회로의 정극측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혼 스위치(H0)에서는 혼패드(1)를 압하 조작함으로서 압하 플레이트(4)를 거쳐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3)의 접점부위(3b)를 강하시키고, 접점부위(3b)의 점접(3c)을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2)의 접점(2a)과 접촉시켜, 혼을 작동시키고 있었다.
그러나, 종래 혼 스위치(H0)에서는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3)가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2)에 대하여, 절연플레이트(5), 절연링(6) 및 터미날(9)을 거쳐 리벳(7) 정지시키는 것이고, 조립부품 수가 많았다.
리벳(7) 정지할때,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3), 절연 플레이트(5), 절연링(6) 및 터미날(9)의 4부품을 정리하여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2)에 배치시켜 행할 필요가 있으므로, 각 부품이 벗어나지 않도록 주의하지 않으면 안되고, 그 조립작업에 시간이 걸리게 되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의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고, 조립부품 수를 감소시킬 수 있고, 조립 작업성이 양호하게 되는 스티어링 휘일의 혼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 관한 혼 스위치는 판금제의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와,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 상면에 뿌리부측을 절연시킨 상태에서 고정되고, 그 뿌리부에서 연장하는 접점 부위를 상기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에서 상측으로 이간시켜 배치시키는 금속판 스프링 제1의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와, 그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의 접점 부위의 상면에 당접하고, 상기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에서 이간 거리를 규제시키고, 상기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와 절연되어 설치되는 판금제의 압하 플레이트와, 압하 플레이트 상측에 설치되는 혼패드를 갖추고, 혼패드의 압하 조작시에 상기 압하 플레이트를 거쳐 상기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의 접점 부위가 상기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에 접촉하여 혼이 작동되는 스티어링 휘일의 혼스위치이고, 상기 압하 플레이트에 하측으로 굴곡하는 설편이 형성되고, 그 설편에 상기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혼 작동 회로의 극측과 대응한 극측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리드선이 연결되고, 상기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에 있어서 상기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의 뿌리부 배치 위치에 계지공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와 상기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의 뿌리부사이에 절연성을 가지고, 스프링 탄성을 가지는 합성수지에서 형성된 절연 스페이서가 설치되고, 그 절연스페이서는 기부와, 그 기부측부에서, 얇은부를 거쳐 돌출하고, 그 얇은부에서 절곡되었을때에 상기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의 뿌리부 상하면을 상기 기부로서 협지하는 돌출편과, 상기 고정콘택트 플레이트의 계지공 주연에 계지시키는 계지각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관한 혼 스위치에서는 조립시, 얇은부에서 절곡되어 절연 스페이서의 돌출편과 기부에서 가동콘택트 플레이트의 뿌리부 상하면을 협지하고, 그 후, 그 상태에서 절연 스페이서의 계지각을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의 계지공 주연에 계지시키면, 종래의 절연링이나 리벳을 사용하지 않고, 절연 스페이서를 1개 사용할뿐으로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를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에 대하여 조립할 수 있다.
그리고, 종래의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에 접속되어 있던 리드선은 압하 플레이트의 설편에 예를들면 터미날이나 리벳을 이용하여 접속시키면 좋고, 그 리벳 정지 작업은 종래의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 절연 플레이트 절연링 및 터미날의 4부품을 정리하여 리벳 정지하지 않고, 설편과 터미날의 2부품만을 리벳 정지하는 것이고, 쉽게 행할 수 있다.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로의 통진은 이 압하 플레이트가 판금제이고, 압하 플레이트가 가동콘택트 플레이트의 접점부위 상면에 당접하여 조립됨으로 지장없이 행하여 진다.
따라서, 본 고안에 관한 스티어링 휘일의 혼 스위치에서는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를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에 대하여 조립할때, 종래 필요한 절연링이나 리벳을 사용하지 않고, 1개의 절연 스페이서만의 사용으로 조립할 수 있고, 조립부품 점수를 감소할 수 있다. 압하 플레이트의 설편에 리드선을 접속시키는 작업도 용이하게 됨으로, 조립부품 점수가 감소하고, 조립 작업에 시간이 걸리지 않는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제1실시예에 나타내는 혼 스위치(H1)는 제1, 4, 6도에 나타나듯이 에너지 흡수체(10)의 위측으로 배치되어 구성되어 있다. 에너지 흡수체(10)는 판급에서 형성되어, 제6도에 나타나듯이, 단면을 가로 방향의 자형으로 하는 변형부재(10a)와 변형부재(10a)의 하부에 고착된 4각환상의 판상 베이스부(10b)에서 구성되고, 스티어링 휘일(W)의 보수부(B)에 있어서 보스 플레이트(60)등의 스티어링 휘일 본체측에 고착되어 있다. 그리고 변형부재(10a)의 상부에는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12)가 나사(20)나 용접을 이용하여 고정되어 있다.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12)는 제1 내지 6도에 나타나듯이 대략 4각 판상의 판금제로서 주연의 4모서리에 접점(12a)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스티어링 휘일(W)의 후방축의 2모서리에는 1단 내리도록 외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21)가 형성되고, 이들의 돌출부(21)에는 각각 2개씩의 공(21a, 21b)이 형성되어 있다. 공(21a)은 후술하는 혼패드(11)에 매설된 너트(11a)에 나합하는 나사(30)를 삽통시키는 나사용 공이고, 공(21b)은 혼 패드(11)에서 하측으로 돌출하고 있는 돌기(11b)를 삽입시키는 위치 결정공이다.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12)의 중앙부근의 좌우 양측에는 후술하는 규제수단(31)을 배치시키는 삽통공(27)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고정콘택트 플레이트(12)에는 중앙부위에 계지공(23)이 형성되어 있다. 이 계지공(23)에는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12) 위쪽으로 후술하는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13)를 배치시켰을때의 그 뿌리부(13a)의 짧은쪽 방향으로 대향하는 주연에, 하측으로 굴곡하는 계지부(24, 25)가 형성되어 있다. 22는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12)를 에너지흡수체(10)에 있어서 변경부재(10a) 상부에 나사(20) 정지할때의 나사용공이다(제3, 6도 참조). 26은 후술하는 압하 플레이트(14)의 설편(42)을 삽통시키는 관통공이다(제1, 3도 참조).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12)의 상측에 배치되는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13)는 제1 내지 6도에 나타나듯이, 종래와 마찬가지로 위측에서 보아 H자 형상으로 하는 금속판 스프링제로서, H자의 세로봉 부위를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12)측에 배치시키는 뿌리부(13a)로하고, H자의 가로봉 부위를 뿌리부(13a)에서 상축으로 연장하는 접점부위(13b)로하고, 각 접점부위(13b)의 선단에는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12)의 접점(12a)에 대응한 접점(13c)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13)의 뿌리부(13a)와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12) 사이에는 제1내지 6도에 나타나듯이, 폴리프로필렌등의 절연성을 가지고 스프링 탄성을 가지는 합성수지에서 형성된 절연 스페이서(15)가 배치되어 있다.
이 절연 스페이서(15)는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13)의 뿌리부(13a)에 대응한 대략 4각판상의 기부(51)를 갖추고 있다. 기부(51)에는 상면에 있어서 긴쪽 방향의 단부 양측에 뿌리부(13a)의 폭치수에 대응한 거리를 두어 위치 졀정용의 돌기(52)가 형성되어 있다(제3, 5도 참조).
그리고, 기부(51)에는 제2, 3도에 나타나듯이, 거의 중앙부위의 한쪽 측부에, 2개의 얇은부(55, 55)를 거쳐,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13)의 뿌리부(13a)의 짧은쪽 방향의 폭 치수와 거의 같은 길이 외측으로 돌출하는 돌출편(56)이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편(56)은 얇은부(55)에서 굴곡되어 기부(51) 상면에 배치된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13)의 뿌리부(13a)를 기부(51)로서 협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 돌출편(56)의 선단과, 기부(51)에 있어서 얇은부(55)의 근접 부위에는 기부(51)와 돌출편(56)에서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13)의 뿌리부(13a)를 협지한 상태에서,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12)의 계지공(23)에 있어서 계지부(24, 25)에 각각 계지 가능한 계지각(57, 53)이 형성되어 있다.
돌출편(56)에 있어서 계지각(57)의 뿌리부측에는 계지공(58)이 형성되고, 기부(51)에 있어서 얇은부(55)가 형성되어 있는 부위의 반대측 부위에는 하측으로 돌출하는 계지돌기(54)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의 계지돌기(54)와 계지공(58)은 서로 계합하고, 얇은부(55)에서 굴곡된 돌출편(56)과 기부(51)에서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13)의 뿌리부(13a)를 협지했을때에, 그 협지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계합부를 구성하는 것이다.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13)에 있어서 접점부위(13b)의 각 접점(13c)부근의 상면에는 제1, 4 내지 6도에 나타나듯이, 외측에서 보아 대략 긴 원형상으로 하는 판금제의 압하 플레이트(14)가 각접점(13c) 주위에 당접하여 배치되고 있다.
이 압하 플레이트(14)에는 주연의 4개소에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13)의 접점(13c)을 삽통시키는 관통공(41)이 형성되어 있다. 압하 플레이트(14)는 중앙 부근의 좌우 양측에, 각각 나사용공(43)이 형성되고, 각 나사용공(43)은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12)의 삽통공(27)에서 삽입되는 절연성을 가진 합성수지제의 끝부 스페이서(31)를 나사(50) 정지하는 것이다.
이들의 끝부 스페이서(31)는 압하 플레이트(14)에 있어서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12)에서의 이간 거리를 규제하고, 압하 플레이트(14)를 고정 큰택트 플레이트(12)와 절연되는 규제 수단으로서의 역할을 완수하는 것이다.
그리고, 압하 플레이트(14)의 중앙에는 주위를 절결하여 하측으로 굴곡하는 설편(42)이 형성되어 있다. 이 설편(42)은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12)의 관통공(26)을 지나 하측으로 돌출하고, 터미날(19)을 리벳(17) 정지하는 것이다. 또한 터미날(19)에는 혼작동 회로의 정극측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리드선(8)이 가시메를 이용하여 접속되어 있으며,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13)로의 통진은 이 판금제의 압하 플레이트(14)를 거쳐 행하여진다. 한편,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12)는 스티어링 휘일 본체로의 조립후에 에너지 흡수체(10) 보수 플레이트(60), 보스(61)등을 거쳐 혼작동 회로의 부극측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압하 플레이트(14)의 상측에는 제1, 4, 6도에 나타나듯이, 형상 보유성을 가지는 반경질 합성수제재의 인서트, (11A)와 연질 합성수지제의 피복층(11B)에서 되는혼패드(11)가 설치되어 있다. 혼패드(11)에는 제6도에 나타내는 너트(11a)가 스티어링 휘일(W) 후부축과 마찬가지로 전부측에도 매설되어 있다. 그리고, 스티어링 휘일 후부측의 너트(11a)에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12)에 있어서 돌출부(21)의 나사용공(21a)을 거쳐 나사(30)를 나합시키고, 도시하고 있지않은 스티어링 휘일 전부측의 너트에 에너지 흡수체(10)의 베이스부(10b)에 형성된 나사용공(10c)(제5도 참조)을 거쳐 나사(30)을 나합시킴으로서, 이 혼패드(11)는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12)를 고착시키고 있는 에너지 흡수체(10)에 조립된다. 혼패드(11) 이면에서 돌출하고 있는 돌기(11b)는 그 조립시에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12)의 돌출부(21)에 있어서 위치 결정공(21b)에 삽입되어 위치결정 작업을 용이하게 된다.
다음에 제1실시예의 혼 스위치(H1)의 조립에 대하여 설명하면, 우선 에너지 흡수체(10)의 변형부재(10a)의 상부에 나사(20)나 용접을 이용하여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12)를 고착시키고, 압하 플레이트(14)의 설편(42)에 리드선(8)이 접속된 터미날 리벳(17) 정지하여 둔다. 그리고, 제2도에 나타나듯이, 절연 스페이서(15)의 기부(51) 상면에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13)의 (13a)를 배치시키고 얇은부(55, 55)를 절곡시켜 돌출편(56)과 기부(51)로서 가동콘택트 플레이트(13)의 뿌리부(13a)를 협지하고, 그때 돌출편(56)에 있어서 계지각(57)의 계지공(58) 주연에 기부(51)의 계지돌기(54)를 계지시켜,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13)의 협지 상태를 유지시킨다.
그후, 그 상태에서 돌출편(56)의 계지각(57)과 기부(51)의 계지각(53)을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12)에 있어서 계지공(23) 주연의 계지부(24, 25)에 계지시킨다.
그리고 관통공(41)내에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13)의 접점(13c)을 배치시키고,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12)의 삽통공(27)으로 하측에서 삽입된 끝부 스페이서(31)를 계재시켜 나사용공(43, 43)에 나사(50)를 나합시키고, 압하 플레이트(14)를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12) 위쪽에서 고정한다. 그후, 혼패드(11)에 있어서 스티어링 휘일(W)의 전후에 매설되어 있는 너트(11a)에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12)의 돌출부(21)의 나사용공(21a)이나, 에너지 흡수체(10)에 있어서 베이스부(10b)의 나사용공(10c)을 거쳐 나사(30)를 나합시키고, 패드(11)를 에너지흡수체(10)에 대하여 고정한다.
그리고, 그후, 스티어링 휘일(W)에 있어서 보스 플레이트(60)등이 배치되어 있는 스티어링 휘일 체측에 혼 스위치(H1)마다 에너지 흡수체(10)를 고착시킨다(제7도 참조). 이 고착 상태는 제6도에 나타나듯이, 에너지 흡수체(10)의 베이스부(10b)에 형성된 너트(10e) 부착의 설편(10d)과, 베이스부(12b)에 나사(10g)정지(제5도참조)시킨 계지각(10f)과를 이용하는 것이고, 보스 플레이트(60)에서 상측으로 연장하도록 고착된 플레이트(60a)에 나사(63)를 이용하여 설편(10d)을 고정시키고, 로어카버(62)의 계지통부(62a)에 계지각(10f)을 계지시켜 행하는 것이다.
그리고, 혼 스위치(H1)과 에너지 흡수체(10)를 조립한 스티어링 휘일(W)을 차량에 장착시킨후, 혼패드(11)의 상부를 압하 조작하면, 압하 플레이트(14)를 거쳐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13)의 접점(13c)이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12)의 접점(12a)에 접촉하여, 혼이 작동된다.
따라서 본 제1실시예의 혼 스위치(H1)에서는 조립시에서 종래의 절연링(6)을 불요로하여, 1개의 절연 스페이서(15)를 이용할 뿐으로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13)를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12)에 조립할 수 있고, 조립부품점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종래의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3)에 접속되어 있던 리드선(8)은 압하 플레이트(14)에 접속되면 양호하고, 그 접속은 압하 플레이트(14)의 설편(42)에 리드선(8)이 절선된 터미날(19)을 리벳(17) 정지할 뿐이다. 그때문에 종래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3), 절연 플레이트(5) 절연링(6) 및 터미날(9)의 4부품을 정리하여 리벳(7) 정지하는 것에 비하여 설편(12)과 터미날(19)의 2부품만을 리벳(17) 정지하는 것이고, 그 접속 작업이 용이하게 행하며, 상술의 고안작용, 효과의 난에서 서술한 것과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제1실시예의 경우에는 기부(51)의 상면에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13)의 뿌리부(13a)의 양측을 위치 규제하는 돌기(52)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뿌리부(13a)를 기부(51)상에 배치할때의 위치 결정이 쉽게된다. 이와 관련하여 돌기(52)를 4개소로 설치하지 않아도, 예를들면 기부 51상면의 거의 중앙에 기부(51)의 긴쪽방향에 따라 2개의 돌기(52)를 설치하고, 이들에 대응하는 위치결정 공정을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13)의 뿌리부(13a)에 설치하여 대처하여도 좋다.
제1실시예어서는 압하 플레이트(14)의 설편(42)에 터미날(19)을 접속시킬때에 사용하는 리벳(17)은 종래 4부품을 접속하는 리벳(7)과 상위하여, 2부품만의 접속에 사용됨으로, 종래 리벳(7)과 비교하여 작은 것을 사용할 수 있고, 자연적으로 절약된다.
제1실시예에서는 압하 플레이트(14)외 리드선(8)의 접속에 설편(42)에 터미날(19)을 리벳(17) 정지하는 것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설편(42)을 가시메하여 직접 리드선(8)을 접속시키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터미날(19)을 삽입시킴으로서 접속시킬 수 있도륵 감합부를 설편(42)의 하부에 형성하여도 좋다.
제1실시예에서는 절연 스페이서(15)의 계지각(53, 57)을 계지시키기 위하여 형성한 계지공(23)을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12)에 1개 설치한 것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제8, 9에 나타내는 제2실시예의 혼 스위치(H2)와 같이,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120)에 2개의 계지공(121, 123)을 헝성하여도 좋다.
이들의 계지공(121, 123)은 상측에 배치시키는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13)의 뿌리부(13a)의 짧은쪽 방향에 따라 서로 인접하여 형성되고, 서로 접근한 주연에 하측으로 굴곡한 계지부(122,124)가 형성되어 있다. 계지공(121)이 계지공(123)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는 이유는, 압하 플레이트(14)의 실편(42)을 하측으로 삽통시키는것을 고려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편,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120)에 고정된 절연 스페이서(150)는 기부(151)에서 돌출하는 계지각(153)과, 기부(151)에서 얇은부(155, 155)를 거쳐 연상하는 돌출편(156)의 계지각(157)에, 절연 스페이서(15)의 계지각(53, 57)의 구부(53a, 57a)(제2도 참조)과 상위하여, 역방향으로 돌출하는 구부(153a, 157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기부(151)상에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13)의 뿌리부(13a)를 배치시키고, 얇은부(155)를 절곡시켜 기부(151)와 돌출편(156)에서 뿌리부(13a)를 협지하고, 그 상태에서, 계지각(153, 157)을 2개의 계지공(121, 123)주연의 계지부(122, 124)에 계지시켜 조립하면 좋다. 154, 158은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13)의 뿌리부(13a)의 협지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계합부를 구성하는 것이고, 154가 기부(151)에 형성되는 계지돌이고, 158이 돌출편(156)의 계지각(157)의 뿌리부측에 형성되는 계지공이다.
제1, 2 실시예의 혼 스위치(H1, H2)에서는 절연 스페이서(15, 150)로서, 기부(51,151)에서 돌츨하는 돌출편(56, 156)을 1개에서 구성하는 것을 나타냈지만, 제10내지 12도에 나타내는 제3실시예의 혼 스위치(H3)와 같이 구성하여도 좋다.
제3실시예의 절연 스페이서(250)는 절연 스페이서(15, 150)와 같은 재질에서 형성되고, 기부(251)의 양측 부위에 각각 얇은부(255)를 거쳐 2개의 돌출편(256,257) 이 형성되는 것이고. 이들 2개의 돌출편(256, 257)과 기부(251)에서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230)의 뿌리부(13a)의 상하면을 협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절연 스페이서(250)의 기부(251)와 각 돌출편(256, 257)에는 각각 스위치 결정돌기(252, 258)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의 위치결정 돌기(252, 258)는 각각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230)의 뿌리부(13a)에 형성뒨 위치 결정공(230a)과, 고정콘택트 플레이트(220)에 형성된 위치 결정공(222, 222)과에 각각 삽입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 절연 스페이서(250)의 돌출편(256,257)에는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230)의 뿌리부(13a)를 협지하도록 각 돌출편(256, 257)을 절곡했을때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220)의 계지공(221) 주연에 계지되는 1개의 계지각(253)을 형성할 수 있도록 각각 계지각부(254)가 형성되어 있다.
제1, 2 실시예의 혼 스위치(H1, H2)에서는 절연 스페이서(15, 150)로서 각각 2개의 계지각(53, 57, 153, 157)을 설치한 것을 나타냈지만, 제13내지 15도에 나타내는 제4실시예의 혼 스위치(H4)와 같이 구성하여도 좋다.
제4실시예의 절연 스페이서(350)는 절연 스페이서(15, 150)와 같은 재질에서 형성되고, 기부(351)의 중앙 하면세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220)의 계지공(221) 주연에 계지되는 계지각(353)이 1개 형성되어 있다. 이 절연스페이서(350)는 기부(351)에 형성되어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220)의 위치 졀정공(222)에 삽입되는 위치 결정돌기(352, 352)와, 기부(351)에서 얇은부(355)를 거쳐 돌출하는 돌출편(356)에 형성되어,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230)의 위치 결정공(230a)에 삽입시키는 위치 결정돌기(358)를 갖추고 있다.
그리고 이 절연 스페이서(350)의 기부(351)와 돌출편(356)에는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230)의 뿌리부(13a)를 협지했을 때에, 그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각각 소정의 위치에 서로 계합하는 계합부로서, 계지돌기(354)와 계지 오목부(359)가 형성되어 있다.
제1내지 4실시예에서는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13, 230)로서, 위쪽에서 보아 H자 형으로 되는 것을 나타냈지만, 제16내지 19도에 나타내는 제5, 6실시예의 혼 스위치(H5, H6)와 같이, 위쪽에서 보아 1문자 형상의 가동콘택트 플레이트(430)를 사용하여도 좋다.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430)는 위치 결정공(430a)이 형성된 뿌리부(13a)와 뿌리부(13a)에서 위쪽으로 연장하는 접점부위(13b)를 갖추고 있다.
430b는 접점부위(13b)의 스프링 탄성력을 저하시키기 위한 관통공이다.
그리고 각 혼 스위치(H5, H6)에서 사용되는 절연 스페이서(450, 550)는 제3, 4실시예의 절연 스페이서(250, 350) 의 기부(251, 351)나, 기부(251, 351) 에서 얇은부(255, 355)를 거쳐 돌출하는 돌출편 (256, 257, 356)을 각각 짧게한 것이고, 같은 각부를 갖추고 있다. 제16내지 19도에 나타내는 421은 절연 스페이서(450, 550)의 계지각(253, 353)을 주연에서 계지하는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420)의 계지공이고, 422는 절연 스페이서(450, 550)의 위치 결정돌기(258, 352)를 삽입시키는 위치 결정공이다. 이와 관련하여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430)의 위치 결정공(430a)에는 절연 스페이서(450, 550)의 위치결정 돌기(252, 358)가 삽입된다.
제3내지 6실시예에서는 각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의 위치 결정공(222, 422)이나 각 절연 스페이서의 위치 결정돌기(258, 352)를 각각 2개씩 설치한 것을 나타냈지만, 각 절연 스페이서의 계지각(253, 353)이 각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222, 420)에 대하는 펄연 스페이서(250, 350, 450, 550)의 회전 방지를 하기 위하여는 각각 위치 결정공(222, 422)이나 위치 결정동기(258, 352)를 1개씩 형성하는 것만으로도 좋다. 이와 관련하여, 제3내지 6실시예의 각 절연 스페이서(250, 350, 450, 550)에 대하는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230, 430)의 회전은 각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의 위치 결정공(230a, 430a)에 각 절연 스페이서의 위치 결정돌기(252, 358)가 삽입된 상태에서 각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의 뿌리부(13a)가 각각 절연 스페이서의 기부(251, 351)와 돌출편(256, 257, 356)에 의하여 협지됨으로, 방지되어 있다.

Claims (1)

  1. 판금제의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와, 고징 콘택트 플레이트 상면에 뿌리부측을 절연시킨 상태에서 고정되고, 그 뿌리부에서 연장하는 접점 부위를 상기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에서 위측으로 이간되어 배치시키는 금속판 스프링제의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와, 그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의 접점 부위의 상면에 당접하고, 상기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에서 이간 거리를 규제시키고, 상기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와 절연되어 실치되는 판금제의 압하 플레이트와, 압하 플레이트 상측에 설치되는 혼 패드를 갖추고, 혼 패드의 압하 조작시에 상기 압하 플레이트를 거쳐 상기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의 접점 부위가 상기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에 접촉하여 혼 작동되는 스티어링 휘일의 혼 스위치이고, 상기 압하 플레이트에 하측으로 굴곡하는 설편이 형성되고, 그 설편에 상기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혼 작동 회로의 극측과 대응한 극측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리드선이 연결되고. 상기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에 있어서 상기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의 뿌리부의 배치 위치에, 계지공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와 상기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의 뿌리부 사이에, 절연성을 가지고 스프링탄성을 가지는 합성 수지에서 형성된 절연 스페이서가 설치되고, 그 절연 스페이서는 기부와, 그 기부의 측부에서, 얇은부를 거쳐 돌출하고, 그 얇은부에서 절곡되었을 때에 상기 가동 콘택트 플레이트의 뿌리부의 상하면을 상기 기부에서 협지하는 돌출편과, 상기 고정 콘택트 플레이트의 계지공 주연에 계지시키는 계지각을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휘일의 혼 스위치.
KR2019900003078U 1989-03-27 1990-03-16 스티어링 휘일의 혼 스위치 KR920008688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447689 1989-03-27
JP??34476 1989-03-27
JP1989102253U JPH0710994Y2 (ja) 1989-03-27 1989-08-31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のホーンスイツチ
JP??102253 1989-08-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6932U KR900016932U (ko) 1990-10-05
KR920008688Y1 true KR920008688Y1 (ko) 1992-12-14

Family

ID=26373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03078U KR920008688Y1 (ko) 1989-03-27 1990-03-16 스티어링 휘일의 혼 스위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036169A (ko)
EP (1) EP0390029B1 (ko)
JP (1) JPH0710994Y2 (ko)
KR (1) KR920008688Y1 (ko)
DE (1) DE69020765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83404A (en) * 1992-05-27 1994-02-01 Morton International, Inc. Minimum float, serviceable center blow horn switch in driver side air bag module
US5265905A (en) * 1993-01-07 1993-11-30 Ford Motor Company Air bag cover horn blow switch assembly
US5265904A (en) * 1993-01-07 1993-11-30 Ford Motor Company Airbag cover with integral horn switch
US5498844A (en) * 1994-03-08 1996-03-12 Chan; Joning C. Steering wheel with horn button overlay
US5627352A (en) * 1994-09-28 1997-05-06 Toyoda Gosei Co., Ltd. Steering wheel
US5508482A (en) * 1994-10-11 1996-04-16 General Motors Corporation Horn activation and steering wheel assembly
US5639114A (en) * 1995-11-14 1997-06-17 Trw Inc. Steering wheel with air bag cover and horn switch
DE29906374U1 (de) * 1999-04-09 1999-06-24 Trw Automotive Safety Sys Gmbh Lenkrad mit Airbagmodul und Hupkontakt
KR100330048B1 (ko) * 1999-11-17 2002-03-27 류정열 혼 작동 장치
US6481745B2 (en) 2001-01-22 2002-11-19 Breed Automotive Technology, Inc. Driver Air bag module horn with improved assembly and functionality characteristics
US6616181B1 (en) 2002-04-05 2003-09-09 Breed Automotive Tedhnology, Inc. Horn mechanism featuring immunity to cushion fold
DE20219729U1 (de) * 2002-12-18 2003-03-06 Takata Petri Ag Vorrichtung zur Betätigung von elektrischen Funktionsgruppen, insbesondere von Hupen an Lenkrädern von Kraftfahrzeugen
DE20307096U1 (de) * 2003-05-07 2003-10-09 Trw Automotive Safety Sys Gmbh Baugruppe aus einem Lenkrad und einem Gassackmodul
JP2006092921A (ja) * 2004-09-24 2006-04-06 Takata Corp ホーンスイッチ装置、エアバッグ装置、ステアリング装置
US7348508B2 (en) * 2006-05-05 2008-03-25 Delphi Technologies, Inc. Horn switch apparatus for a vehicle steering wheel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471447A (fr) * 1966-03-09 1967-03-03 Flii Vitaloni Interrupteur à bouton-poussoir
US3670120A (en) * 1971-01-11 1972-06-13 Switches Inc Horn actuating means
IT1014145B (it) * 1974-05-09 1977-04-20 Sportoletti B Perfezionamento nel comando a pul sante di circuiti elettrici sul vo lante degli autoveicoli
DE2943345C2 (de) * 1979-10-26 1982-03-18 Wilhelm Schade, 5970 Plettenberg Hupkontaktvorrichtung für die Hupe von Kraftfahrzeugen
JPS56135349A (en) * 1980-03-25 1981-10-22 Nissan Motor Co Ltd Switch device on steering wheel
US4447684A (en) * 1982-06-23 1984-05-08 Nihon Plast Co., Ltd. Automotive horn switch structure on steering wheel
JPS60133542U (ja) * 1984-02-16 1985-09-05 豊田合成株式会社 衝撃吸収ステアリングホイ−ル
DE3722069A1 (de) * 1986-08-21 1988-02-25 Toyoda Gosei Kk Signalhornschaltvorrichtung fuer ein steuerrad
US4899020A (en) * 1987-10-19 1990-02-06 Toyoda Gosei Co., Ltd. Printed wiring unit for horn switc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020765T2 (de) 1995-12-07
US5036169A (en) 1991-07-30
EP0390029B1 (en) 1995-07-12
JPH0324469U (ko) 1991-03-13
EP0390029A3 (en) 1991-09-18
JPH0710994Y2 (ja) 1995-03-15
EP0390029A2 (en) 1990-10-03
DE69020765D1 (de) 1995-08-17
KR900016932U (ko) 1990-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8688Y1 (ko) 스티어링 휘일의 혼 스위치
KR920008687Y1 (ko) 스티어링 휘일의 혼 스위치
US7121835B2 (en) Contact spring assembly, especially for an antenna amplifier
JP4058892B2 (ja) プッシュスイッチ
JP2001023860A (ja) コネクタ一体型コンデンサ
JP2003045594A (ja) Icソケット
JPH0417422Y2 (ko)
CN213070960U (zh) 电路板支撑结构、电路系统以及电子设备
JPS5834737Y2 (ja) 負荷時タツプ切換装置のタツプ選択器用接触部材
JPH0323414Y2 (ko)
JPH0539024Y2 (ko)
JPH0451376Y2 (ko)
JPH0535538Y2 (ko)
JPH024424Y2 (ko)
JPH0644035Y2 (ja) 端子台におけるネジの浮上機構
JP2555041Y2 (ja) 電磁継電器
JP2748985B2 (ja) スイツチ用ウエハの製造方法
JPH0330974Y2 (ko)
JP2001208031A (ja) 絶縁スペーサ
JPH0517339Y2 (ko)
KR200475266Y1 (ko) 부품단자 고정장치
JP3835064B2 (ja) 電気機器の取付構造
JPH0136307Y2 (ko)
JPH0440307Y2 (ko)
JPH0633626Y2 (ja) メンブレン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205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