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0048B1 - 혼 작동 장치 - Google Patents

혼 작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0048B1
KR100330048B1 KR1019990051132A KR19990051132A KR100330048B1 KR 100330048 B1 KR100330048 B1 KR 100330048B1 KR 1019990051132 A KR1019990051132 A KR 1019990051132A KR 19990051132 A KR19990051132 A KR 19990051132A KR 100330048 B1 KR100330048 B1 KR 1003300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n
conductive
plate
core cover
hoo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1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47088A (ko
Inventor
신경훈
Original Assignee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류정열
Priority to KR10199900511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0048B1/ko
Publication of KR20010047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70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00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00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9/00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vibrating a diaphragm or analogous element, e.g. fog horns, vehicle hooters or buzzers
    • G10K9/12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vibrating a diaphragm or analogous element, e.g. fog horns, vehicle hooters or buzzers electrically operat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혼 작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휠 보스(1)에 나사 결합되는 금속재의 플레이트(2)와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코어 커버(3)의 배면에는 링형 콘넥터(4)를 부착 설치하고, 상기 코어 커버(3)의 양측부에는 후크 결합용 보스(31)를 형성하며, 이 후크 결합용 보스(31)의 내주면에는 전도성 관체(32)(33)를 설치하되 일측의 전도성 관체(32)는 상기 링형 콘넥터(4)와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고 타측의 전도성 관체(33)는 상기 플레이트(2)에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며, 혼 패드(5)의 배면에서 소정거리 떨어진 위치에는 상기 코어 커버(3)의 후크 결합용 보스(31)에 상호 결합되는 한쌍의 전도성 후크(61)(62)가 구비된 기판(6)을 평행하게 설치하고, 상기 혼 패드(5)의 배면에는 'ㄱ'자 형상을 갖도록 절곡 형성시킨 판스프링형 접촉판(7)을 부착 설치하되 상기 접촉판(7)의 자유단부는 상기 기판(6)의 전도성 후크(61)(62) 중 일측의 전도성 후크(61)에 납땜 고정시켜 혼 작동을 위한 전선을 폐지한 상태에서 코어 커버에 혼 패드만 결합시키는 것 만으로 혼을 작동시키기 위한 스위치 접점이 상호 연결되도록 하므로써, 조립성 및 생산성이 대폭 향상됨은 물론 제품의 생산원가가 절감되고, 또한 물론 제품의 작동에 따른 신뢰성 자체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혼 작동 장치 {Device for operating a horn}
본 발명은 혼 작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혼 작동을 위한 전선을 폐지하고 휠 보스 어셈블리와 혼 패드의 조립만으로 코드 역할을 하게 하여 조립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제품의 작동에 따른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든 자동차에는 타 차량 또는 보행자 등에게 자차의 근접 또는 긴급상황 등을 음파로 알리기 위한 혼(Horn)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같은 혼으로는 에어혼과 전기식 혼이 있는데, 통상 에어 컴프레셔를 갖춘 트럭이나 버스에는 공기식의 에어혼이 설치되어 있고, 이 밖의 대부분의 자동차에는 전기식 혼이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혼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스위치는 대부분 휠 보스 어셈블리내에 설치되어 운전자가 휠을 통해 자동차의 진행방향을 조정하던 중 필요에 따라 휠 보스 어셈블리에 설치되어 있는 혼 패드를 작동시키면 상기 혼 패드와 휠의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접점 스위치가 '온'되어 혼이 작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종래의 혼 작동 장치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휠 보스 어셈블리(100)의 플레이트(2)에 코드(41)가 구비된 링형 콘넥터(4)를 설치하고, 양측부에 코드 삽입부(51)를 구비하고 플레이트(2)의 상부에서 상하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혼 패드(5)에는 상기 링형 콘넥터(4)와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밧데리의 전원이 혼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링형 접점(8)을 설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런데, 현재 조립라인에서는 휠 보스 어셈블리(100)와 혼 패드(5)를 별도로 조립하도록 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스 어셈블리(100)의 조립시 링형 콘넥터(4)와 링형 접점(8)에 연결되는 코드를 상기 혼 패드(5)의 코드 삽입부(51)와플레이트(2) 사이에 끼워 조립해야 하므로 조립성 및 생산성이 저하됨은 물론 코드(즉, 전선)의 사용으로 인해 제품의 생산원가가 상승하고 제품의 신뢰성 자체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혼 작동을 위한 전선을 폐지한 상태에서 휠 보스 어셈블리와 혼 패드의 조립만으로 코드의 기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조립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 제품의 생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음은 물론 제품의 작동에 따른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혼 작동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휠 보스에 나사 결합되는 금속재의 플레이트와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코어 커버의 배면에는 링형 콘넥터를 부착 설치하고, 상기 코어 커버의 양측부에는 후크 결합용 보스를 형성하며, 이 후크 결합용 보스의 내주면에는 전도성 관체를 설치하되 일측의 전도성 관체는 상기 링형 콘넥터와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고 타측의 전도성 관체는 상기 플레이트에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며, 혼 패드의 배면에서 소정거리 떨어진 위치에는 상기 코어 커버의 후크 결합용 보스에 상호 결합되는 한쌍의 전도성 후크가 구비된 기판을 평행하게 설치하고, 상기 혼 패드의 배면에는 'ㄱ'자 형상을 갖는 판스프링형 접촉판을 부착 설치하되 상기 접촉판의 자유단부는 상기 기판의 전도성 후크 중 일측의 전도성 후크에 납땜 고정시켜 주므로써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혼 작동을 위한 전선을 폐지할 수 있음은 물론 휠 보스 어셈블리의 코어 커버에 혼 패드를 조립시키는 것 만으로 코드의 기능이 이루어지므로 조립성 및 생산성이 향상되고, 제품의 생산원가가 절감됨은 물론 제품의 작동에 따른 신뢰성 자체가 대폭 향상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혼 작동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장치의 분해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장치의 작동상태 측단면도.
*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휠 보스 2 : 플레이트
3 : 코어 커버 4 : 링형 콘넥터
5 : 혼 패드 6 : 기판
7 : 판스프링형 접촉판 31 : 후크 결합용 보스
32,33 : 전도성 관체 61,62 : 전도성 후크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 장치의 분해 측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 장치의 작동상태 측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휠 보스(1)에 나사 결합되는 금속재의 플레이트(2)와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코어 커버(3)의 배면에는 링형 콘넥터(4)를 부착 설치하고, 상기 코어 커버(3)의 양측부에는 후크 결합용 보스(31)를 형성하며, 이 후크 결합용 보스(31)의 내주면에는 전도성 관체(32)(33)를 설치하되 일측의 전도성 관체(32)는 상기 링형 콘넥터(4)와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고 타측의 전도성 관체(33)는 상기 플레이트(2)에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며, 혼 패드(5)의 배면에서 소정거리 떨어진 위치에는 상기 코어 커버(3)의 후크 결합용 보스(31)에 상호 결합되는 한쌍의 전도성 후크(61)(62)가 구비된 기판(6)을 평행하게 설치하고, 상기 혼 패드(5)의 배면에는 'ㄱ'자 형상을 갖도록 절곡 형성시킨 판스프링형 접촉판(7)을 부착 설치하되 상기 접촉판(7)의 자유단부는 상기 기판(6)의 전도성 후크(61)(62) 중 일측의 전도성 후크(61)에 납땜 고정시켜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 장치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기적인 배선작업없이 휠 보스(1)에 나사 결합되는 금속재의 플레이트(2)와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코어 커버(3)에 혼 패드(5)를 결합시키면, 'ㄱ'자 형상을 갖는 판스프링형 접촉판(7)에 의해 상기 혼 패드(5)의 배면으로 부터 소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서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는 기판(6)의 전도성 후크(61)(62)가 상기 코어 커버(3)의 후크 결합용 보스(31)에 끼워져 상호 결합되므로 상기 혼 패드(5)가 기판(6)과 함께 코어 커버(3)상에 고정 설치된다.
이때, 상기 코어 커버(3)의 배면에는 링형 콘넥터(4)를 부착 설치하고, 상기 코어 커버(3) 양측부의 후크 결합용 보스(31)내에는 전도성 관체(32)(33)가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 전도성 관체(32)(33) 중 일측의 전도성 관체(32)는 상기 링형 콘넥터(4)와 연결되어 있고 타측의 전도성 관체(33)는 상기 플레이트(2)에 연결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혼 패드(5)의 배면에는 설치되어 있는 'ㄱ'자 형상의 판스프링형 접촉판(7)은 상기 기판(6)의 전도성 후크(61)(62) 중 일측의 전도성 후크(61)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통상시에는 상기 혼 패드(5)가 판스프링형 접촉판(7)의 탄성력에 의해 기판(6)과 평행상태를 유지하므로, 상기 판스프링형 접촉판(7)은 기판(6)의 일측 전도성 후크(61)와 코어 커버(3)의 일측 전도성 관체(32)를 통해 밧데리 '-'단자와 연결된 상태에 있는 플레이트(2)와 상호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판스프링형 접촉판(7)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는 상기 기판(6)의 타측 전도성 후크(62)는 코어 커버(3)의 타측 전도성 관체(33)를 통해 혼의 일측단자와 연결된 상태에 있는 링형 콘넥터(4)에 상호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혼에 전원전압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운저자 등이 혼을 작동시키기 위해 상기 혼 패드(5)의 일측부를 누르게 되면 상기 판스프링형 접촉판(7)의 타단부가 도 3의 가상선과 같이 기판(6)의 타측부에 설치되어 있는 후크(62)와 전기적으로 상호 접촉되므로 상기 판스프링형 접촉판(7)을 매개로 하여 혼에 밧데리의 전압이 공급되어 혼에서 소정의 경음이 발생하게 된다.
물론, 운전자 등이 누르고 있던 혼 패드(5)로 부터 손을 떼게 되면 상기 혼 패드(5)는 판스프링형 접촉판(7)의 복원력에 의해 원상태로 되돌아오게 되므로(즉, 상기 혼 패드(5)와 기판(6)이 다시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혼 패드(5)의 배면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판스프링형 접촉판(7)의 타단부가 다시 기판(6)의 타측부에 설치되어 있는 후크(62)로 부터 떨어지게 되어 혼으로 공급되던 전원전압이 자동 차단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혼 작동을 위한 전선을 폐지한 상태에서 코어 커버에 혼 패드만 결합시키는 것 만으로 혼을 작동시키기 위한 스위치 접점이 상호 연결되므로 조립성 및 생산성이 대폭 향상됨은 물론 제품의 생산원가가 절감되고, 또한 물론 제품의 작동에 따른 신뢰성 자체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휠 보스(1)에 나사 결합되는 금속재의 플레이트(2)와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코어 커버(3)의 배면에는 링형 콘넥터(4)를 부착 설치하고, 상기 코어 커버(3)의 양측부에는 후크 결합용 보스(31)를 형성하며, 이 후크 결합용 보스(31)의 내주면에는 전도성 관체(32)(33)를 설치하되 일측의 전도성 관체(32)는 상기 링형 콘넥터(4)와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고 타측의 전도성 관체(33)는 상기 플레이트(2)에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시킨 구성을 갖는 혼 작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혼 패드(5)의 배면에서 소정거리 떨어진 위치에는 상기 코어 커버(3)의 후크 결합용 보스(31)에 상호 결합되는 한쌍의 전도성 후크(61)(62)가 구비된 기판(6)을 평행하게 설치하고, 상기 혼 패드(5)의 배면에는 'ㄱ'자 형상을 갖도록 절곡 형성시킨 판스프링형 접촉판(7)을 부착 설치하되 상기 접촉판(7)의 자유단부는 상기 기판(6)의 전도성 후크(61)(62) 중 일측의 전도성 후크(61)에 납땜 고정시켜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 작동 장치.
KR1019990051132A 1999-11-17 1999-11-17 혼 작동 장치 KR1003300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1132A KR100330048B1 (ko) 1999-11-17 1999-11-17 혼 작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1132A KR100330048B1 (ko) 1999-11-17 1999-11-17 혼 작동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7088A KR20010047088A (ko) 2001-06-15
KR100330048B1 true KR100330048B1 (ko) 2002-03-27

Family

ID=19620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1132A KR100330048B1 (ko) 1999-11-17 1999-11-17 혼 작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004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90029A2 (en) * 1989-03-27 1990-10-03 Toyoda Gosei Co., Ltd. Horn switch mechanism of steering wheel
JPH0456681A (ja) * 1990-06-26 1992-02-24 Toyoda Gosei Co Ltd ホーンスイッチにおける板ばねの取付構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90029A2 (en) * 1989-03-27 1990-10-03 Toyoda Gosei Co., Ltd. Horn switch mechanism of steering wheel
JPH0456681A (ja) * 1990-06-26 1992-02-24 Toyoda Gosei Co Ltd ホーンスイッチにおける板ばねの取付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7088A (ko) 200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76855B2 (en) Rocker switch
JPH02124341A (ja) 自動車の後進警告装置
US20020056623A1 (en) On-vehicle combination switch
US5977495A (en) Construction of combination switch for vehicle
CN1230846C (zh) 用于dpdt型开关的正/反向电路
JP4493861B2 (ja) ランプユニットの電線接続構造
JPH1064645A (ja) 回転コネクタ
KR100330048B1 (ko) 혼 작동 장치
US7671288B2 (en) Switch apparatus for horn device of vehicle
KR100324389B1 (ko) 스티어링 휠의 혼 작동장치
JPH1141754A (ja) 三次元立体回路体
US4727263A (en) Electromotive setting device
US4678249A (en) Electrical switch having flexible printed circuit connector cable
CN212447297U (zh) 喇叭组件
JP3638196B2 (ja) プッシュスイッチ
CN219738826U (zh) 电路触点通断组件、报警开关及汽车电器系统
KR100534872B1 (ko) 차량의 스톱램프 스위치 구조
JP2008251194A (ja) スイッチ装置
EP1375260A3 (en) Vehicular switch
JPH0414822Y2 (ko)
JPH11134973A (ja) 多重通信用コンビネーションスイッチ装置
JPH0567132U (ja) 電気接続箱
JP3901301B2 (ja) 車両用コンビネーションスイッチの構造
KR20070027974A (ko) 자동차용 혼 접점 구조
JPH1092253A (ja) 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2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