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8331Y1 - 선바이저 지지구 - Google Patents

선바이저 지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8331Y1
KR920008331Y1 KR2019900019438U KR900019438U KR920008331Y1 KR 920008331 Y1 KR920008331 Y1 KR 920008331Y1 KR 2019900019438 U KR2019900019438 U KR 2019900019438U KR 900019438 U KR900019438 U KR 900019438U KR 920008331 Y1 KR920008331 Y1 KR 9200083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n visor
support
leaf spring
retainer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194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1706U (ko
Inventor
조진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전성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전성원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000194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8331Y1/ko
Publication of KR92001170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170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83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833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2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adjustable in position
    • B60J3/0204Sun visors
    • B60J3/0213Sun visor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means
    • B60J3/023Additional support bracket releasably holding the sun vis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2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adjustable in position
    • B60J3/0204Sun visors
    • B60J3/0213Sun visor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means
    • B60J3/0217Brackets for mounting the sun visor support arm to the vehic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60/00Flexible or portable closure, partition, or panel
    • Y10S160/03Auto visors and glare shie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선바이저 지지구
제1도는 종래 선바이저 지지구의 장착위치를 나타낸 승용차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선바이저 지지구의 설치상태 단면도.
제4도는 제3도에 도시된 판스프링의 외부사시도.
제5도는 제3도에 도시된 지기구 몸체의 외부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지지면 2 : 판스프링
3 : 몸체 4 : 탄성편
5 : 끼움부 6 : 지지구
7 : 장착홈 8 : 리테이너
31 : 홈 32 : 선바이저 몸체
33 : 선바이저 지지튜브 34 : 지지구
35 : 지지간 A : 홈 입구부분의 폭
본 고안은 선바이저 지지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리테이너에 탄성체가 설치되어 선바이저의 장착 및 탈착이 용이하고 주행중 소음이 없도록 한 선바이저 지지구에 관한 것이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상측에 설치되는 종래 선바이저는 그 지지구의 단면이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되는 바, 종래 선바이저 지지구(34)에는 홈(3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홈(31)에 선바이저 몸체(32)를 지지하는 튜브(33)가 끼워져서 지지구(34)에 선바이저 몸체(32)가 장착되게 되고, 이 튜브(33)를 잡아 당기면 튜브(33)가 선바이저 지지구(34)로 부터 이탈되어져서 차량의 측면을 가릴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단순히 홈(33)의 진원도(眞圓度)에 의해 장창력 및 탈착력이 좌우되었다. 즉, 홈 입구부분의 폭(A)이 클 경우 선바이저 몸체(32)가 차량주행중 진동으로 요동되고 홈 입구부분의 폭(A)이 작을 경우, 선바이저의 튜브(33)가 장착되기에 용이하지 못하였으며, 강제탈착시 선바이저 지지구의 하측 지지간(35)이 부러지는 일이 발생하기도 하였다.
따라서, 홈 입구의 치수와 튜브 전원도에 대한 법규를 만족시키기에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고, 선바이저의 잦은 사용에 의하여 홈 입구부분의 폭(A)길이가 변하므로써 선바이저가 차량에 장착된 다음 차량운행중 튜브(33)와 선바이저 지지구(34) 사이에서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탄성체가 지지구의 지지면에 설치되어 선바이저의 장착 및 탈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된 선바이저 지지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하, 예시된 도면에 의거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 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선바이저 일측을 착탈시키기 위한 리테이너(8)에 판스프링(2)을 설치하여 탄성력을 갖도록 하되, 판스프링(2)은 중앙에 봉부를 이루는 탄성편(4)이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판스프링(2)의 장착을 위해서 리테이너(8)의 일측을 역 T자형 홈을 내어 완성시킨 것이다.
즉,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스프링(2)은 몸체(3)의 중심부분으로부터 탄성편(4)이 상측으로 돌출되어지고, 그 하측부분에는 몸체(3) 부분에서 하측방향으로 넓어지는 형상으로 끼움부(5)가 형성되며, 특히, 튜브(33)가 착탈되는 방향과 직각으로 상기 판스프링(2)이 끼워지도록 일측은 리테이너 좌단까지 끼움부(5)가 형성되고 타측은 막혀져서 더 이상의 판스프링(2) 진입을 막아 완전 장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판스프링(2)은 제5도에 도시된 지지구(6)의 장착홈(7)에 끼워지게 되느데 이때는 좌단 일측에서 우측으로 밀어끼워서 상기 판스프링(2)이 상기 장착홈(7)에 고정 장착되면 조립이 완성된다(제3도 참조).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선바이저 지지구(6)는 지지면(1)에 탄성체 즉, 판스프링(2)이 설치되어서 튜브(33)가 용이하게 끼워지게 되고 이탈되기도 용이하게 된다.
즉, 상기 판스프링의 탄성편(4)이 튜브(33)가 삽입되는 방향과 이탈되어지는 방향으로 테이퍼져 있기 때문에 튜브(33)에 힘을 가함에 따라 상기 탄성편(4)이 출몰되면서 이탈이 부드럽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선바이저 지지구는 판스프링의 장착에 따라 홈 입구의 폭길이와 튜브의 진원도에 알맞는 가변수치를 가질 수 있고 항시 판스프링이 튜브를 눌러주므로써 소음이 발생되지 않는 효과가 있음은 물론, 선바이저 사용을 위해 리테이너로부터 튜브를 착탈시킬 때에 부드럽고도 정확한 동작이 이루어져 안전운행에 크게 기여할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선바이저 일측을 착탈시키기 위한 리테이너에 있어서, 리테이너(8)의 지지면(1)에 T자형 단면의 장착홈(7)을 형성시키고, 이 장착홈(7)에 판스프링(2)을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바이저 지지구.
  2. 제1항에 있어서, 장착홈(7)은 그 일측이 지지면(1)의 좌단에서부터 우측으로 판스프링(2) 폭 만큼 형성되어져서 상기 판스프링(2)을 장착홈(7)에 밀어 끼워 넣어서 장착시키도록 구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바이저 지지구.
KR2019900019438U 1990-12-10 1990-12-10 선바이저 지지구 KR9200083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9438U KR920008331Y1 (ko) 1990-12-10 1990-12-10 선바이저 지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9438U KR920008331Y1 (ko) 1990-12-10 1990-12-10 선바이저 지지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1706U KR920011706U (ko) 1992-07-24
KR920008331Y1 true KR920008331Y1 (ko) 1992-11-20

Family

ID=19306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19438U KR920008331Y1 (ko) 1990-12-10 1990-12-10 선바이저 지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833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1706U (ko) 1992-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8331Y1 (ko) 선바이저 지지구
KR0115094Y1 (ko) 자동차용 선바이저(Sun-Visor)리테이너
KR0130475Y1 (ko) 탈, 장착이 용이한 자동차용 배터리 단자 및 케이블 고정장치
KR100186702B1 (ko) 케이블 소켓의 고정구조
KR100394949B1 (ko) 자동차용 썬바이저의 고정클립
KR970000617Y1 (ko) 차량의 카울그릴조립용 보호재
KR950009961Y1 (ko) 자동차 도어의 웨더스트립
KR0136695Y1 (ko) 탈장착이 용이한 글래스 구조
KR100401731B1 (ko) 자동차용 선바이저 리테이너 구조
KR0133764B1 (ko) 자동차용 도어 유리창의 벨트라인 웨더스트립 취부구조
KR0111931Y1 (ko) 자동차의 범퍼 고정구조
KR200198934Y1 (ko) 자동차용 카울 상부 커버 조립 구조
KR0137339Y1 (ko) 자동차 후드용 탑 마크
JPS6039296Y2 (ja) 自動車用リモ−トコントロ−ルミラ−
KR0126212Y1 (ko) 자동차의 인사이드미러 장착구조
KR200198251Y1 (ko) 자동차의 프론트 필라트림의 변형방지구조
KR950009946Y1 (ko) 자동차용 도어 록(door lock)의 스위치 고정장치
KR100505874B1 (ko) 카오디오의 장착구조
KR970004477Y1 (ko) 자동차용 실내경
KR0133256Y1 (ko) 자동차의 승객용 에어백 장착구조
KR200144324Y1 (ko) 자동차용 헤드 램프
KR19990029837U (ko) 자동차의 벨트 가이드 설치 구조
KR0136835Y1 (ko) 자동차 필러의 보스
KR200169775Y1 (ko) 자동차용 커버
KR0129367Y1 (ko) 자동차의 윈도우 글라스 체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