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4324Y1 - 자동차용 헤드 램프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헤드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4324Y1
KR200144324Y1 KR2019960041471U KR19960041471U KR200144324Y1 KR 200144324 Y1 KR200144324 Y1 KR 200144324Y1 KR 2019960041471 U KR2019960041471 U KR 2019960041471U KR 19960041471 U KR19960041471 U KR 19960041471U KR 200144324 Y1 KR200144324 Y1 KR 2001443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cover
headlamp
hook
fixing member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14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8455U (ko
Inventor
김정기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600414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4324Y1/ko
Publication of KR1998002845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845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43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4324Y1/ko

L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헤드램프의 벌브 교체작업시에 더스트 커버의 탈거를 용이하게 함으로서 작업을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차량의 프론트 바디의 일측에 장착되는 헤드램프 하우징 후면 상부 일측에 걸림고리를 형성하고, 이로부터 일정 거리 하부 일측에 끼움홈부를 돌출 형성하고, 걸림고리에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걸리게 선단을 훅 형상으로 더스트 커버에 고정부재를 힌지 설치하고, 또 더스트 커버의 하단 가장자리에 끼움돌기를 형성하여 끼움홈부에 삽입되게 하므로서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한 자동차용 헤드램프를 제공하는데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헤드램프
본 고안은 자동차용 헤드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해드램프의 배면에 장착되는 더스크 커버의 장착 및 탈거시에 편리함을 도모하기 위한 자동차용 헤드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외관을 이루는 바디와, 상기한 바디를 제외한 부분으로서 동력발생장치, 동력 전달장치, 조향장치, 현가장치 및 제동장치 등을 포함하는 섀시로 나누어진다. 상기한 자동차는 상술한 각장치가 서로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동력발생장치에서 발생된 구동력이 동력전달장치를 통하여 구동륜에 전달됨으로서 차량의 주행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자동차는 야간의 주행시에 전방의 시야를 확보하여 안전한 주행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조명장치를 갖추고 있다. 상기한 조명장치는 전방의 시야를 확보하기 위한 헤드램프와, 방향지시등 그리고 제동등 등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제6도는 일반적인 자동차용 헤드램프를 도시한 배면도로서, 헤드램프(101)와, 더스트 커버(103)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한 더스트 커버(103)는 헤드램프(101)의 후면에 배치되는데 끼움 결합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한 더스트 커버(103)는,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형으로 이루어지며 선단부에는 헤드램프 하우징(103)에 끼움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고정홈부(105)가 설치되고 있다. 상기한 더스트 커버(103)의 고정홈부(105)와 대응하도록 헤드 램프 하우징(101)의 선단부에 돌출부(107)가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한 해드램프 하우징(101)의 돌출부(107)와 더스트 커버(103)의 고정홈부(105) 사이에는 실링패드(109)가 삽입되어 더스트 커버(103)와 헤드램프 하우징(101)이 더욱 견고하게 결합되고 있다.
한편 상기한 헤드램프 하우징(101)의 내측에는 리플렉터(111)가 고정되며 이리플렉터의 중앙부에는 벌브(113)가 고정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헤드램프는, 벌브(113)를 교체하기 위하여 더스트 커버(103)를 탈거해야 한다. 상기한 더스트 커버(103)의 탈거는 더스트 커버(103)의 외주면을 잡은 상태에서 좌우로 회전하면서 잡아당기면 헤드램프 하우징(113)이 돌출부(107)의 끼움 결합 상태가 해체된다. 따라서 더스트 커버(103)의 내측에 장착되는 벌브(113)를 교체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종래의 자동차용 헤드램프는 더스트 커버의 장착 및 탈거시에 힘이 과도하게 들게 되어 벌브의 교체작업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더스트 커버의 장착 및 탈거시에 그 공간이 협소하여 작업이 불편한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헤드램프의 벌브 교체작업시에 더스트 커버의 탈거를 용이하게 함으로서 작업을 편리하게 하기 위한 자동차용 헤드램프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차량의 프론트 바디의 일측에 장착되는 헤드램프 하우징 후면 상부 일측에 형성한 걸림고리와,
상기 걸림고리로부터 일정 거리 하부 일측에 돌출 형성한 끼움홈부와, 상기 걸림고리에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걸리게 선단을 훅 형상으로 힌지 설치한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를 설치한 더스트 커버의 하단 가장자리에 끼움홈부에 삽입되게 일정간격을 두고 하향 수직으로 돌출 형성한 끼움돌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헤드램프를 제공한다.
제1도는 보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도시한 자동차용 헤드램프의 배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도시한 헤드 램프 하우징을 도시한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도시한 더스트 커버를 도시한 사시도.
제4도는 제1도의 A-A부를 도시한 단면도.
제5도는 제1도의 B-B부를 도시한 단면도.
제6도는 제1도에 대응하는 종래의 자동차용 헤드램프를 도시한 배면도.
제7도는 제6도의 C-C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헤드램프(1)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한 해드 램프(1)는 헤드램프 하우징(3)과 배면에 더스트 커버(5)가 장착되고 있다. 상기한 더스트 커버(5)는 사각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한 본 실시예에서는 더스트 커버(5)의 형상을 사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지는 것이 가능하다.
제2도는 상기한 더스트 커버가 장착되는 헤드램프 하우징으로 도시한 사시도로서, 저면에 끼움홈부(7)와, 중앙부 상단측에 걸림고리(9)가 배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 헤드램프 하우징(3)은 그 선단부 둘레에는 더스트 커버(5)와 끼움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끼움 돌출부(11)가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있다.
제3도는 헤드램프에 결합되는 더스트 커버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러버 재질로 이루어지며 끼움 돌기(13) 및 고정부재(15)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한 끼움 돌기(13)는 헤드램프 하우징(3)의 끼움 홈부(7)와 대응하는 구조로 다수 배치되는 돌출부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고정부재(15)는 더스트 커버(5)를 관통하여 배면과 연직하게 배치되어 그 중앙부가 더스트 커버(5)와 힌지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한 고정부재(15)의 내측 선단부는 헤드램프 하우징(3)의 걸림고리(9)에 끼움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훅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한 고정부재(15)의 내측부와 더스트 커버(5)의 내측부는 인장코일 스프링(17)이 배치되어 더스트 커버(5)의 내측부로 훅형상이 형성되어 있는 선단부가 항상 더스트 커버(5)의 내측부로 당겨지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한 고정부재(15)의 훅형상이 배치되는 선단부는 탄성부재에 의하여 항상 더스트 커버의 내측으로 당겨지는 작용을 하고 있으나, 탄성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더스트 커버와 일체로 제작하되 도면에서 화살표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더스트 커버(5)의 배면에는 고정부재(15)와 고정의 간격을 이격하여 손잡이부(19)가 장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상기한 더스트 커버(5)의 선단부 둘레에는 헤드램프 하우징(3)의 끼움 돌출부(11)와 대응하여 결합 수 있도록 홈부(21)가 형성된다.
제4도는 더스트 커버(5)와 헤드램프 하우징(3)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한 더스트 커버(5)의 홈부(21)와 헤드램프 하우징(3)의 끼움 돌출부(11)사이에는 실링 패드(23)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한 실링 패드(23)는 단지 더스트 커버(5)의 홈부(21)와 헤드램프 하우징(3)의 끼움 돌출부(11)의 밀폐를 증대시켜 외부의 이물질이 헤드램프 내로 인입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제5도는 제1도는 B-B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로서, 더스트 커버(5)의 끼움 돌기(13)가 헤드램프 하우징(3)의 끼움홈부(7)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헤드램프는, 벌브(도시생략)를 교체하기 위하여 우선 더스트 커버(5)를 헤드램프 하우징(3)으로부터 탈거하기 위하여 고정부재(15)의 후단을 더스트 커버(5)의 후단부에 장착되어 있는 손잡이부(19)를 잡고 가압한다.
그러면 인장코일 스프링(17)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고정부재(15)의 후형상의 선단부가 걸림고리(9)로 부터 이탈된다.
이때 상방으로 더스트 커버(5)를 들어 올리면 끼움 홈(7)에서 끼움 돌기(13)가 역시 이탈되어 분리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벌브를 교체한다. 상기 벌브의 교체가 이루어지면 더스트 커버(5) 분리의 역순으로 더스트 커버(5)를 헤드램프 하우징(3)에 결합하여 고정한다.
상기한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헤드램프는, 벌브의 교체시에 더스트 커버의 탈거 및 장착이 용이하여 작업이 편리하며 헤드램프 하우징이 장착되는 엔진룸의 공간이 협소하여도 작업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차량의 헤드램프의 더스트 커버 장착구조에 있어서, 차량의 프론트 바디의 일측에 장착되는 헤드램프 하우징 후면 상부 일측에 형성한 걸림고리와, 상기 걸림고리로부터 일정 거리 하부 일측에 돌출 형성한 끼움홈부와, 상기 걸림고리에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걸리게 선단을 훅 형상으로 더스트 커버를 관통시켜 힌지 설치한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를 설치한 더스트 커버의 하단 가장자리에 끼움홈부에 삽입되게 일정 간격을 두고 하향 수직으로 돌출 형성한 끼움돌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헤드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고정부재는 더스트 커버의 내측부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고정부재의 내측부에 고정되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램프.
KR2019960041471U 1996-11-22 1996-11-22 자동차용 헤드 램프 KR2001443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1471U KR200144324Y1 (ko) 1996-11-22 1996-11-22 자동차용 헤드 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1471U KR200144324Y1 (ko) 1996-11-22 1996-11-22 자동차용 헤드 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8455U KR19980028455U (ko) 1998-08-05
KR200144324Y1 true KR200144324Y1 (ko) 1999-06-15

Family

ID=53984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1471U KR200144324Y1 (ko) 1996-11-22 1996-11-22 자동차용 헤드 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432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8455U (ko) 1998-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44324Y1 (ko) 자동차용 헤드 램프
US4237523A (en) Removable fog light filters
JPS5836147Y2 (ja) 車輛用灯具のソケツト構造
CN215971878U (zh) 一种摩托车后挡泥板
KR200153317Y1 (ko) 자동차용 포지션 램프의 전구소켓
KR970006281Y1 (ko) 방향지시등 또는 콤비네이션 램프의 착탈용 클립구조
KR0140279Y1 (ko) 자동차 후방의 라이선스 플레이트 램프 고정구조
JPS5817287Y2 (ja) 自動車用灯具の取付構造
KR200174347Y1 (ko) 자동차의 보조 브레이크등
KR950006357Y1 (ko) 자동차용 턴 시그날 램프의 고정구조
JPS629604Y2 (ko)
KR200151166Y1 (ko) 자동차용 전조등 시일고정구조
JPH0234108Y2 (ko)
KR100356210B1 (ko) 자동차용 헤드램프 커넥터 체결 구조
KR200201683Y1 (ko) 차량 안개등의 하우징과 랜즈 설치구조
KR19980040731U (ko) 자동차의 보조 제동등 조립용 파스너
KR100187152B1 (ko) 자동차의 스톱 램프 체결구조
KR100213822B1 (ko) 자동차용 램프의 벌브 소켓
KR200247727Y1 (ko) 자동차의 벌브 하우징용 먼지커버
KR200142246Y1 (ko) 자동차의 헤드 램프 벌브 고정 캡
KR960002527Y1 (ko) 자동차용 조명등 소켓의 결합장치
KR0135516Y1 (ko) 자동차의 헤드 램프
KR0114610Y1 (ko) 자동차용 콘솔등의 방열판 구조
JPS6114083Y2 (ko)
KR19980040765U (ko) 자동차의 리어 컴비네이션 램프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20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