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8013B1 - 제조 설비 - Google Patents

제조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8013B1
KR920008013B1 KR1019840008550A KR840008550A KR920008013B1 KR 920008013 B1 KR920008013 B1 KR 920008013B1 KR 1019840008550 A KR1019840008550 A KR 1019840008550A KR 840008550 A KR840008550 A KR 840008550A KR 920008013 B1 KR920008013 B1 KR 9200080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bench
work
cover
conveyor
cr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8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4436A (ko
Inventor
브리 베르나르
마떼봉 폴
Original Assignee
소시에떼 꼬제마 프라마톰 에 우라늄 뻬시니
앙드레 질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시에떼 꼬제마 프라마톰 에 우라늄 뻬시니, 앙드레 질리스 filed Critical 소시에떼 꼬제마 프라마톰 에 우라늄 뻬시니
Publication of KR8500044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44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80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80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conveyors of the same kind, or of different kind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or use in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 B65G37/02Flow-sheets for conveyor combinations in warehouses, magazines or worksho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B23Q7/14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co-ordinated in production line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2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reactors or parts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02Total factory control, e.g. smart factories,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or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Nuclear Reactors (AREA)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 Multi-Process Working Machines And Systems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 Butt Welding And Welding Of Specific Article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Branching, Merging, And Special Transfer Between Conveyors (AREA)
  • Intermediate Stations On Convey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조 설비
제1도는 전형적인 연료 로드의 종단면도.
제2도는 두개의 평행한 작업부와 두개의 이송 장치를 갖는 설비의 일반적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제3도는 제2도의 개별적인 설비의 평면도.
제4도 및 제5도는 제3도의 선(Ⅳ-Ⅳ) 및 선(Ⅴ-Ⅴ)에 의한 정면도.
제6도는 제2도 내지 제7도의 설비에 사용되는 이송 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
제7도 및 제8도는 제6도의 이송 장치의 기중기 비임의 정면도 및 평면도.
제9도는 제7도의 화살표(Ⅸ)에 도시한 정면도.
제10도는 제9도에 도시한 조절판의 축을 통과하는 수직선에 의한 단면도.
제11도는 제7도 내지 제9도의 기중기 비임의 일부와 키이의 조절 링크 기구를 도시한 작업부에 교차하는 수직 평면에 의한 부분 단면도.
제12도는 제7도 내지 제9도의 기중기 비임의 완충 로드중 하나의 축을 통과하는 수직 평면에 의한 확대 단면도.
제13a도 및 제13b도는 각각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제6도의 이동 크레인의 지브중 하나상의 가속 및 감속 접속기의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
제14도는 설비에 속한 일반적인 저장 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연료 로드 11, 12 : 플러그
13 : 덮개 14 : 스프링
15 : 펠렛 16, 18 : 작업부
20 : 이송 장치 22, 24 : 횡단 장치
23 : 최종 저장 영역 25 : 예비 저장 영역
26 : 중앙 제조부 27 : 비임
28 : 중간 저정 장치 29 : 고정 안내부
30 : 이동 크레인 32 : 기중기 비임
34 : 보기 35 : 모터 구동 감속기
36 : 케이블 44, 46 : 지브
47 : 프레임 52, 55 : 핑거
54 : 후크 50 : 이동 횡단 부배
67 : 랙 테이블 68, 69 : 수직 부재
70, 76 : 로울러 80 : 콘베이어
본 발명은 제조시에 동일한 물체를 연속적으로 통과시킬 수 있는 여러 고정 작업 포스트로 구성된 형태의 제조 설비에 관한 것이다. 특히, 이는 연료 펠렛의 더미를 포함하는 긴 밀봉된 덮개에 의해 형성되고 플러그에 의해 밀폐된 원자력 연료 로드의 제조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그러나, 이는 또한 처리된 물체가 제조 시 그 외부 형상이 변화되지 않는 경우 특히 긴 원통형상을 갖는 경우에 사용되어질 수 있다.
물체의 제조시에 물체가 여러개의 작업대에서 처리된다. 현재에 각 작업대에서의 제조시의 불연속을 보상하기 위한 예비 저장 수단(buffer storage means)를 갖는 콘베이어를 작업대 사이에 마련하고 있다. 이러한 설비는 비교적 고정적이고, 제어대에서 검출된 결함에 따라 어떤 물체를 특정 위치, 예를 들면 수선실 혹은 반납대 등에 손쉽게 이동시킬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 취급 장치와 여러 작업대를 갖는 제조 설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는 특히 복잡한 취급 장치를 필요로 함이 없이 균일한 작업을 수행하고 다른 작업대와 취급 수단 사이에 매우 독립적인 작업을 제공하는 중간 저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적어도 하나의 취급 작업부(bay)를 따라 설치된 작업대를 가지고 있는 상기에 언급한 형태의 제조 설비에서는, 작업 또는 취급 장치는, 한편으로는 작업부를 따라 이동가능한 동시에 설정된 수의 물체의 한 묶음을 파지 및 이송, 그리고 내려놓은(또는 안착) 수단을 갖는 고가 이송 장치와, 또 한편으로는 이송 장치에 의해 내려지는 상류 작업대와 이송 장치에 의해 올려지는 하류 작업대와, 상류 작업대로부터 물체의 묶음을 전체로서 파지하고 작업대에서 물체를 하나 하나 위치시키고 하류 작업대안에 전체적으로 이를 위치시킬 수 있는 콘베이어를 가진 각 작업대에 직각인 중간 저장 및 파지 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각 작업대의 이송 장치의 전체적으로 비동시적인 작업이 제공된다. 이송 장치는 내려 놓여지는(또는 파지되는) 작업대가 대응 콘베이어에 의해 수행된 묶음으로 작업의 진행이 이루어지더라도 자유롭게(또는 완전히 장착되도록) 된다면, 중간 저장 장치로부터 완전한 묶음을 내려놓도록(또는 파지하도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본 발명은 특히 원자력 연료 로드의 제조 설비에 관한 것이기 때문에, 각 중간 저장 장치는 로드의 직경보다 큰 피치를 갖는 로드 수용 노치를 구비한 여러개의 평행 순환 벨트를 갖는 콘베이어로 구성되고, 상류 및 하류 작업대는 벨트의 피치와 같은 피치의 노치를 갖는 평행 지지부로 구성되고, 콘베이어 위의 높은 위치에서는 로드를 지지하고 하부 위치에서는 로드가 콘베이어상에 안착되도록 구성된다. 고가 이송 장치는 수직 이동가능한 기중기 비임을 갖는 작업부를 따라 이동되고 로드를 파지하기 위하여 로드 사이에 삽입될 수 있는 키이로 구성된 고가 크레인으로 구성된다. 로드의 감소된 직경에 의하여 감소된 단면 크기를 갖는 층의 형태로 많은 갯수(예를들어 24개의 묶음)로 함께 집단을 형성하기 쉽다.
상기에 언급한 구조의 장점에 의하면, (이송 장치가 물체를 빼어내어, 귀환할 수 있는 통로로 보낼 수 있기 때문에) 차례로 수정하고, 다른 작업대에서 수행한 작업보다 긴 시간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직렬로 작업하는 여러개의 작업대를 제공하므로 작업대의 수 및 위치를 추가 또는 제거할 수 있다. 중간 저장 장치는 예를들어 검사 작업후에 제조 공정을 연속적으로 하기 전에, 다음 작업을 위해 검사 작업의 결과를 기다릴 수 있도록 마련하고 있다. 작업대가 작업부의 한 측면과 다른 측면을 교대로 위치시킬 수 있으므로, 물체를 돌릴 필요가 없다. 결국, 설비의 설계 및 자동화는 저장 및 파지 작업대의 동일성에 의해 손쉽게 된다.
물체에 가하는 작업이 여러가지일때, 작업대는 각각 이송 장치를 갖는 두개의 평행한 작업부를 따라 떨어져 있고, 한 작업부로부터 다른 작업부로의 물체 통로는 횡단 장치에 의하여 제공된다. 두 작업부 사이에 위치한 영역은 단일 측면 또는 양측면상에서 작업하는 작업대로 채워진다. 따라서, 필요한 종방향 공간은 감소되고 부가적인 영역은 특히 저장 영역에 제공될 수도 있다. 작업부의 단부에 위치한 부가적인 횡단 장치는 이러한 부가적인 영역을 제공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가압 경수로형 원자로용 원자력 연료 로드의 제조를 위한 설비의 설명으로 하기에서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겠지만, 이는 본 발명이 국한되지 않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로써 도시되는 설비는 제1도에 도시된 종류의 연료 로드(10)를 제고하기 위한 것이다. 이 로드는 플러그(11,12)에 의해 밀폐된 작은 직경이고 긴 길이의 튜브로 형성된 금속 덮개(sheath, 13)로 구성된다. 연로를 형성하는 산화 우라늄의 계측된 펠렛(15) 더미는 제2플러그(11)에 끼워진 스프링(14)에 의해 제1플러그(12)에 가압되어 있다. 이 플러그(11)는 덮개를 가압하기 위해서 구멍을 관통해서 제위치에 놓여져서, 구멍을 밀봉한다.
제2도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설비는 각각 이송 장치(20)가 제공되어 있는 두개의 작업부(16,18)로 구성되고, 두개의 횡단 장치(22,24)는 고가 이송 장치를 형성하는 고가 크레인에 의해 접근 가능한 두 위치 사이인 한 작업부로부터 다른 작업부로 동시에 로드 묶음을 이동시키는데 사용한다. 또한 이 횡단 장치중 하나는 최종 저장 영역(23)에 다른 하나는 예비 저장 영역(buffer storage zone, 25)에 사용되며, 각 영역은 작업부 세트의 한 측면에 위치한다. 이들 영역은 단지 작업부 길이의 일부에 지나지 않는다. 측면 영역 길이의 나머지는 중앙 제조부(26)에 부가적인 작업대에 의해 점유된 측면 제조부를 형성할 수 있다.
작업부(16,18)는 이송 레일이 장착되고 받침대와 함께 연결된 비임(27)에 정렬된다. 여기에는 지면에 장착된 고정 안내부(29)의 세트가 장착되고, 각 세트는 고정 제조대에 직각으로 설치되며, 고정 제조대는 끼워맞춤, 제조 또는 검사 작업을 수행하는 위치에 설계된 것이다. 이 고정 안내부(29)의 세트중 하나는 제2도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안내부(29)의 세트의 목적은 각 작업대와 연합하여 중간 저장 장치(28)위에 또는 이로부터 덮개 또는 로드의 묶음을 필요한 정확도로 안착시키거나 들어올리기 위해 마련하고 있다.
다른 작업대의 가능한 배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제3도에는 적절한 구조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연료 로드의 제조는 브래켓(bracket) 사이에 도시된 영역에 덮개 또는 연료 로드를 장착시킬때 수행되는 연속 작업의 순서는 아래와 같다.
1) 덮개(13)의 표시(작업대 M)
2) 덮개안에 제1플러그(12)의 삽입(작업대 EM1)
3) 플러그(12)의 용접(작업대 S1)
4) 플러그(12)의 용접 상태의 x-ray 검사(작업대 RX1)
5) 불량품의 검사를 위한 육안 검사 및 저장(작업대 ST1), 그리고 이의 제거(작업대 TR1)
6) 덮개내로 펠렛(15)의 삽입(작업대 R1)
7) 스프링(14)과 제2플러그(11)의 삽입(작업대 EM2)
8) 횡단 장치(24)에 의한 한 작업부로부터 다른 작업부로의 이송
9) 제2플러그(11)의 용접(작업대 S2)
10) 가압, 그리고 용접에 의한 밀봉(작업대 PR)
11) 제2플러그와 밀봉체를 고정하는 용접부의 x-ray 검사(작업대 RX2)
12) 육안 검사 및 불량 연료 로드의 제거(작업대 TR2)
13) 밀봉 검사(작업대 CO)
14) 연료의 우라늄 농축도 검사 및 완성된 연료 로드의 최종 검사(작업대 CE)
다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는 다른 적절한 구조물을 가질 수 있다.
하기에서는 연료 로드를 장치의 작업 위치로 보내기 위한 설비의 구성을 설명한다. 즉, 작업부를 따라 이동가능한 이송 장치와, 고정 파지 및 안착 안내부의 세트를 설명한다.
[이송 장치]
제5도 및 제9도에는 두개의 이송 장치(20)가 도시되어 있다. 이는 데크(deck) 및 기중기 비임(32)와 이동 고가 크레인(30)에 의해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동 크레인(30)에는 비임(27)위에 위치한 두개의 고정 레일상에 안착된 2개의 주행 보기(running boggies, 34)를 장착하고 있다. 이동 고가 크레인상에 장착된 모터 구동 감속기(35)는 두개의 절반축(two half shafts)를 통하여 동시에 보기(34)의 구동 바퀴를 조절한다.
기중기 비임(32)은 완충기와 장력 제한기(38)를 가진 두개의 케이블(36)에 의해 크레인(30)에 현수된다. 크레인의 데크상에 장착된 풀리의 한 세트는 각 케이블을 모터 구동 감속기의 단부에 위치한 와인더(winder, 40)로 안내하여 기중기 비임(32)의 수직 운동을 제공한다. 기중기 비임의 단부에는 크레인 데크 하부에 고정된 지브(44,46)에 의해 운행되는 로울러상에 맞물리는 U형의 2개의 수직 측면 안내부인 슬라이드(42)가 제공되어 있다. 지브(44)에 의해 운행되는 로울러 트레인은 이 지브에 직접 고정된 것이 아니다. 이것은 지브(44)에 대하여 기중기 비임에 수직인 수직 평면상에 수평 이동가능한 프레임에 장착된다. 프레임(47)은 기중기 비임(32)의 대응 단부의 멈춤 위치에서의 오차를 수정하기 위해 안내되고 독립 모터(48)가 이 프레임(47)의 이동을 제공한다.
이러한 구조에서, 이송 장치의 중량 및 칫수는 완전한 강성과 완전한 안내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만일 이동 크레인의 멈춤이 지브(46)상에 장착된 광전지 (photoelectric cell)에 의해 조절된다면, 지브(46)를 운행하는 크레인의 단부는 실제로 원하는 위치에 정지되지만 다른 단부는 어긋나게 된다. 따라서, 프레임을 이동시키므로써 기중기 비임(32)의 축을 재 정렬할 필요가 있다.
정확한 위치는 프레임(47)상의 2개의 광전지의 시스템과 2개의 고정 파일럿 라이트(49)가 상호 작동하므로써 이루어진다. 기중기 비임(32)의 하부면은 덮개 또는 연료 로드를 파지하기 위한 장치를 지지한다. 이 장치는(제9도) 두개의 대향 후크(54)와 함께 키이를 각각 구비한 수직축 둘레에 회전가능한 일련의 핑거(finger, 52)를 각각 장착한 평행 횡단 부재(50)의 조립체로 구성된다. 핑거(52)를 회전시키는 기구는 이동 횡단 부재에 연결된 회전판(62)를 작동시키는 링크 기구(60)(제11도)을 통하여 피봇 아암(58)을 구동시키는 이동 횡단 부재(56)(제10도)로 구성된다. 판(62)중 하나는 이에 의해 판이 90° 회전하는 동시에 키이 조립체의 90° 동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모터(64)에 연결된다. 각 작동을 위한 방위 변화의 90°의 제한은 모터(64)(제11도)에 의해 구동되는 핑거와 상호 작동하는 접속기(66)에 의해 제공된다. 따라서, 모터(64)의 작동은 핑거(52)를 90° 회전시키고, 기중기 비임이 덮개 또는 연료 로드의 층을 상승시키도록 랙에 의해 지지된 덮개 또는 연료 로드의 층안에 키이를 삽입시키자마자 후크(54)를 파지 위치(take up position)로 위치시킨다. 또한 이러한 작동은 크레인이 내려진 후에 기중기 비임으로부터 자유롭게 된후 크레인의 층을 없애 버린다.
또한, 이송 장치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고정 안내부와 상호 작동하는 수송 장치(landing device)를 제공하고 있다.
[고정 안내부]
고정된 각 파지 및 안착 안내부는 대응 저장 장치(28)과 경계면을 형성한 랙 테이블(67)과, 작업부를 감싸고 있는 두개의 수직 부재(68,69)로 구성되는 것으로 고려한다. 수직 부재는 각각 수직열을 로울러(70)를 지지한다. 이 로울러는 로울러(76)상의 두 슬라이드(42)의 맞물림에 의하여 기중기 비임(32)의 하향 운동을 안내한다. 수직 부재(68)는 그 상부에 고정 파일럿 라이트를 가지고 있고, 이는 크레인상의 전지와 상호 작동하여 크레인의 멈춤을 조절한다. 수직 부재인 접속기(74)는 두개의 고정 파일럿 라이트(fixed pilot light, 49)를 가지며, 이는 지브(44)의 이동 프레임(47)상의 두 전지를 통하여 슬라이드(42)가 수직 부재인 접속기(74) 로울러(76)열에 대하여 수직으로 위치할때 까지 기중기 비임을 축방향으로 재정렬한다.
테이블(67)은 기중기 비임의 일련의 키이와 같은 피치로 떨어진 덮개 또는 연료 로드의 층을 수용하기 위한 위치를 갖는 안착용 랙(laying down rack)을 장착하고 있다. 이 테이블과 작업부의 방향으로 분기된 제2테이블과 연합된 저장 장치는 각 덮개를 작업 포스트에 정확히 위치시키거나 이로부터 제거시킨다.
예를 들면, 제14도에는 이송 장치(20)에 의해 작업부를 완전히 분리하도록 처리를 위한, 작업 위치에 각 덮개 또는 연료 로드를 순서대로 위치시키기 위한 가능한 저장 장치 배치가 도시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덮개 또는 연료 로드상에 작업을 수행하는 각 장치(78)가 양쪽에 위치한 작업대와 연관되어 있다. 이 작업대는 종방향으로 이송 장치(20)에 의한 안착용 상류 작업대와 이송 장치에 의한 파지용 하류 작업대에 의해 구성된다. 각 작업대는 제1작업대에서 랙(67a), 제2작업대에서 랙(67b)을 구성한다. 이 랙은 제1경우에는 안내부(29a), 제2경우에는 안내부(29b)인 2개의 안내부에 의해 횡방향으로 감쌓여있다. 각 랙은 제14도에 도시된 상부 위치와(도면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하부 위치 사이에 수직으로 이동 가능하다. 랙이 상부 위치에 있을때, 랙은 덮개 또는 연료 로드의 층을 이송시키는 기중기 비임(32)을 하향시키고 후크(54)를 회전시켜서 기중기 비임을 상승시키므로써 연료 로드 또는 덮개(13)를 수용할 수 있다. 랙이 하부 위치에 있을때, 랙은 덮개 또는 연료 로드를 해체하여 랙(67a)의 노치와 같은 피치로 이격된 스터드를 갖는 콘베이어(80)상에 위치시킨다. 랙과 콘베이어는 서로 끼워질 수 있도록 충만한 폭과 공간을 갖는 종방향의 벨트 형상이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콘베이어가 랙으로부터 자유롭게 될때까지 덮개 또는 연료 로드의 층을 수용하고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후에 랙은 상승된다. 이때, 랙은 다시 덮개 또는 연료 로드의 층을 수용할 준비가 되어 있다. 랙(67b)에도 같은 작동이 이루어지며, 이는 저장 기능과 덮개 또는 연료 로드를 작업대에 위치시키는 기능 사이의 완전한 분리를 보장하고 이는 단계적으로 콘베이어(80)를 진행시키므로써 이루어진다.
지브(44,46)의 로울러 트레인 또는 수직 부재(68,69)의 트레인상에 슬라이드가 맞물리는 동안의 안정성을 위하여, 슬라이드에는 입력측과 출력측에 홈을 형성한 가요성 피복이 제공되어 있다. 또한, 지브와 수직 부재의 제1로울러는 다른 로울러보다 그 직경이 약간 작다.
[고정 안내부상에 이송 장치를 맞물리기 위한 장치]
이미 언급한 본 장치는 두가지 기능 즉, 고정 파지 또는 안착 안내부의 기저부상에 안착될때의 완충 기능과, 크레인의 지브(44,46)의 수직 부재(68,69)에 의해 운행되는 로울러 세트를 측면 안내부에 의해 기중기 비임과 맞물릴때 기중기 비임을 상부 및 하부 위치에서 멈추게 하고 그 속도를 감소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완충 기능은 충격 흡수를 막는 탄성 와셔를 구비한 로드(77)(제12도) 단부에 위치한 두 공급기의 맞물림에 의해 이루어진다.
감속 기능은 기중기 비임이 그 하부 멈춤 위치에 도달할때에는 하향 운동시에, 그 상부 멈춤 위치에 도달할때에는 상승 운동시에 이루어진다. 첫번째 경우에 감속은, 첫째 하향 속도를 감속하고 둘째 기중기 비임이 멈추도록 하는 두개의 캠 접속기로 구성된 각 수직 부재(68,69)상에 장착된 장치에 의해 제공된다. 제2경우에는, 주어진 주행 거리후의 속도의 증가와 마찬가지로 감속은 크레인의 지브(46)상의 스텝에 장착된 핑거 접속기에 의해 제어된다. 3개의 접속기(71,72,74)는 (제13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브(46)의 한 측면에 장착된다. 접속기(71)은 상향 속도 감속을 위한 회로에 장착되고, 제2접속기(72)는 하향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회로에 장착된다. 제4접속기(76)는(제13b도와 같이) 지브의 다른 측면상에 장착되고, 이는 기중기 비임이 상부 위치에 위치할때, 폐쇄될때에만 가동 프레임에 의해 크레인을 다시 중심 맞춤시킨다.
본 발명의 설비의 작동은 아래와 같다. 덮개 즉 연료 로드는 제1도의 화살표로 도시된 통로로 이동된다. 층의 형태인 덮개의 묶음은 먼저 작업부(16)의 콘베이어에 파지된다. 이 콘베이어는 예를들어 24개의 덮개로 구성된 층은 표시대(M)로 이송된다. 모든 덮개를 표시한 연후에 이송 장치는 표시된 덮개의 층을 파지하고 플러그를 끼우기 위한 작업대(EM1)의 랙테이블상에 위치시킨다. 모든 덮개를 처리한 후에, 층은 이송 장치에 의해 다시 파지해서 다음 작업대로 이동한다. 그러나, 약간의 작업에서는 많은 저장 시간을 필요로 한다. 이는 예를 들면 작업대(RX1)에서 방사선 검사를 수행하는 경우이다. 실제로 사진 감광판을 현상하여 검사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이유에서, 이송 장치에 의해 마련된 두개의 파지 및 안착 포스트를 갖는 작업대가 (S1)동적 중간 저장대에 제공되어 있다. 모든 저장된 덮개에 접근할 수 있는 변형 장치에 의해 각각 수축가능한 선반 테이블의 7개의 수평 베드를 갖는 동적 저장 장치가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저장 장치 다음의 분류 테이블(작업대 TR1)은 불량한 덮개를 수동으로 제거하고 교체시킨다. 이 분류 테이블은 3개의 작업대로 구성되는데 제1작업대는 단순히 안착시키고, 제2작업대는 파지하고, 제3작업대는 파지하여 수선실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분류 테이블(작업대 TR1)과 이송 장치를 사용하므로써, 방사선 검사에 의해 검사된 불량 덮개를 이송 장치 그리고 횡단 장치(24)에 의해 수선실로 제거시키고, 역방향으로 작업실로부터 수신된 덮개를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송 장치에 의해 작업실로 또한 이로부터 덮개를 이송시키는 능력(이 능력은 동적 저장 장치(ST2)에 제2작업부가 장착되어 있으므로 제2작업부도 갖는다)은 검사에 따른 덮개 또는 연료 로드의 불량도에 따르지 않고 연속적으로 덮개를 작업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저장 및 제1분류후에 덮개의 층은 이송 장치에 의해 파지되어 예를들어 작업대(R1)와 같은 다음 작업대로 보내진다. 이 작업대와 3개의 다음 작업대에서는 처리된 반대편의 덮개 또는 연료 로드의 단부상에 작업을 수행한다. 작업부와 제조부에 적합한 구조에 의하여, 한 단부상의 작업과 다른 단부상의 작업은 덮개를 회전시키지 않고 가능하다.
모든 작업이 끝났을 때, 연료 로드는 완전한 조립체의 제조 공정을 수행하는 다른 작업실로 보내지기 전에, 저장대에서 저장될 것이다.

Claims (5)

  1. 첫 제조시에 변화되지 않는 긴 외형을 갖는 동일한 물체를 연속적으로 통과하고 적어도 하나의 작업부(16,18)를 따라 설치된 다수의 작업대를 포함하는 제조 설비에 있어서, 상기 제조 설비는 작업부(16,18)를 따라 이동가능한 동시에 설정된 수의 물체의 묶음을 파지 및 이송 그리고 안착시키기 위한 수단을 갖는 고가 이송 장치(20)와, 상기 이송 장치에 의해 상기 물체를 안착시키기 위한 상류 작업대와, 상기 이송 장치에 의해 상기 물체를 파지하기 위한 하류 작업대와, 각 작업대로부터 이송 장치의 작업을 완전히 분리할 수 있도록, 상류 작업대에서는 전체로서 물체의 묶음을 파지하고, 작업대에서는 물체를 하나하나 위치시키고, 하류 작업대에서는 물체를 전체로서 안착시킬 수 있는 콘베이어(80)를 가진 중간 파지 및 저장 장치(28)를 가진 취급 장치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설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중간 저장 장치가 벨트의 간격 피치와 같은 피치의 노치 또는 홈을 갖는 여러개의 평행 순환 벨트와 콘베이어로 구성되고, 상기 콘베이어가 덮개 또는 연료 로드를 지지하기 위한 콘베이어 위의 높은 위치와 덮개가 콘베이어상에 안착되어 있는 낮은 위치사이를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설비.
  3. 제2항에 있어서, 이송 장치(20)가 상기 층안의 모든 덮개를 동시에 파지하기 위하여 덮개사이에 삽입 가능한 키이를 포함하는 수직 이동가능한 기중기 비임(32)과 함께 작업부를 따라 이동되는 고가 이동 크레인(3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설비.
  4.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두개의 평행한 작업부와, 한 작업부로부터 다른 작업부로 물체의 세트를 전체로서 이송시키기 위한 횡단 장치(22,24)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설비.
  5. 제1항에 있어서, 제조시에 변화되지 않는 긴 외형을 갖는 동일한 물체는 핵 원자로용 핵 연료 요소의 덮개이고, 각 세트는 덮개의 수평층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설비.
KR1019840008550A 1983-12-30 1984-12-29 제조 설비 KR9200080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8321126 1983-12-30
FR8321126A FR2557547B1 (fr) 1983-12-30 1983-12-30 Installation de fabrication a plusieurs postes fixes de travail et a dispositif de manuten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4436A KR850004436A (ko) 1985-07-15
KR920008013B1 true KR920008013B1 (ko) 1992-09-21

Family

ID=9295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8550A KR920008013B1 (ko) 1983-12-30 1984-12-29 제조 설비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4700824A (ko)
EP (1) EP0148092B1 (ko)
JP (1) JPS60180735A (ko)
KR (1) KR920008013B1 (ko)
DE (1) DE3465958D1 (ko)
ES (1) ES8701109A1 (ko)
FR (1) FR2557547B1 (ko)
ZA (1) ZA841013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4554B2 (ja) * 1986-06-13 1994-12-21 村田機械株式会社 天井自走車
DE3740597A1 (de) * 1987-11-30 1989-06-08 Grieshaber Masch Flexible mehrstationige maschine zur bearbeitung von rotationssymmetrischen oberflaechen
US4980119A (en) * 1989-04-04 1990-12-25 General Electric Company Multizone automated nuclear fuel rod loading system
DE4007801A1 (de) * 1990-03-12 1991-09-19 Handtmann A Punkt Automation Einrichtung zum befuellen eines transportbehaelters
JPH0650201A (ja) * 1992-04-30 1994-02-22 Nippondenso Co Ltd スロットル弁の駆動装置
US6854582B1 (en) * 2003-09-20 2005-02-15 Formax, Inc. Stack stop for conveyor system
CN105632987B (zh) * 2016-01-05 2019-03-26 新奥光伏能源有限公司 一种周转设备、周转方法以及太阳能电池生产线
CN108838687A (zh) * 2018-08-10 2018-11-20 浙江泰鸿万立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车身件自动生产线系统
CN111791065B (zh) * 2020-06-13 2022-03-01 宁波润轴科技有限公司 一种轴加工流水线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089081A (fr) * 1952-12-13 1955-03-14 Mannesmann Ag Presse à usiner les extrémités de tubes
GB764985A (en) * 1954-06-02 1957-01-02 Llewellyn Alwin Hautau A mechanical loader and unloader for production machines
US3149736A (en) * 1957-08-21 1964-09-22 Bendix Corp Tote box handling mechanism
US2975882A (en) * 1957-11-05 1961-03-21 Harold G Abbey Mechanisms for individual carrier selection of processing cycle in conveyor systems
US3024058A (en) * 1958-06-09 1962-03-06 Leo D Reel Apparatus for engaging and moving elongated tubular objects such as pipe and the like of varying lengths and diameters
FR1209491A (fr) * 1958-08-08 1960-03-02 Renault Dispositif de prélèvement ou de déchargement de pièces sur une chaîne de manutention à mouvement continu
US3658197A (en) * 1970-06-01 1972-04-25 Lockheed Aircraft Corp Programmable apparatus for conveying articles through successive process steps
CH597059A5 (ko) * 1976-12-15 1978-03-31 Micafil A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557547B1 (fr) 1986-05-30
DE3465958D1 (en) 1987-10-15
KR850004436A (ko) 1985-07-15
ES539532A0 (es) 1986-12-01
EP0148092B1 (fr) 1987-09-09
ZA8410132B (en) 1986-02-26
EP0148092A3 (en) 1985-08-14
EP0148092A2 (fr) 1985-07-10
US4700824A (en) 1987-10-20
FR2557547A1 (fr) 1985-07-05
ES8701109A1 (es) 1986-12-01
JPS60180735A (ja) 1985-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8013B1 (ko) 제조 설비
US3924762A (en) Apparatus for conveying and storing yarn packages or pirns
US4907701A (en) Apparatus for inspecting the appearance of semiconductor devices
US4362454A (en) Handling system for workpieces
EP0598978B1 (en) A versatile production system
US3630392A (en) Rod stacking and handling apparatus
KR101647019B1 (ko) 지지격자 용접치구 장입장치
US4748798A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loading nuclear fuel pellets
JPH1047874A (ja) 熱交換器の熱交換用チューブ組立て装置および組立て方法
CN110653181B (zh) 一种主板自动复测机及其复测方法
US4980119A (en) Multizone automated nuclear fuel rod loading system
US5636727A (en) Device for feeding reels to a user machine
US5316126A (en) System for conveying packages
KR101434933B1 (ko) 핵연료집합체 제조를 위한 연료봉 검사장치
US5687207A (en) Refueling machine
EP0391642A2 (en) Nuclear fuel rod loading system
JPS5913999A (ja) 放射性物質処理用の大型セルのための遠隔操作可能なマニプレ−タ保持機構
CN108657713B (zh) 一种基于光纤预制棒生产的智能周转系统及其操作方法
KR20210098535A (ko) 로봇형 장치 시험 스테이션 및 방법
CN215557045U (zh) 一种用于钢水检测探头的自动供料系统
CN218578198U (zh) 一种化纤包装流水线丝锭检验系统
CN116899924B (zh) 锂电池交叉目检装置以及锂电池交叉目检测试方法
JP3038059B2 (ja) 立体倉庫装置
CN115384882B (zh) 一种化纤包装流水线人工检验上丝系统及其方法
JPS6212562A (ja) 角マスク自動収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90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