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7220B1 - 전자식 타자기의 용지폭 자동 인식방법 - Google Patents

전자식 타자기의 용지폭 자동 인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7220B1
KR920007220B1 KR1019890018175A KR890018175A KR920007220B1 KR 920007220 B1 KR920007220 B1 KR 920007220B1 KR 1019890018175 A KR1019890018175 A KR 1019890018175A KR 890018175 A KR890018175 A KR 890018175A KR 920007220 B1 KR920007220 B1 KR 9200072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carriage
margin
steps
position indic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8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1484A (ko
Inventor
김용권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용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용문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900181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7220B1/ko
Publication of KR9100114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14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72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72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42Scales and indicators, e.g. for determining side margins

Landscapes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자식 타자기의 용지폭 자동 인식방법
제1도는 종래의 용지폭 조정 흐름도.
제2도는 전자식 타자기의 외관도.
제3도는 전자식 타자기의 구성도.
제4도는 본 발명의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6 : 용지지지대 2 : 용지위치표시자
3 : 마진센서 4 : 캐리지몸체
10 : 키보드 20 : CPU
30 : 롬 40 : 램
50 : 모터구동부 60 : 솔레노이드구동부
본 발명은 전자식 타자기에서 용지의 크기를 인식하여 마진을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제1도와 같은 흐름으로 초기마진을 설정하였다. 즉, 초기 전원이 "온"되면, 먼저 (A1)단계에서 시스템 초기화 과정을 수행하게 되며, (A2)단계에서, 프로그램상에 미리 설정된 마진 값을 램에 기록하게 된다. 이후 CPU는 (A3) 및 (A4)단계를 수행하여 캐리지 영점을 검출하는데, 이는 영점 감지센서를 통해 캐리지의 이동이 감지되면 해당 위치가 캐리지 영점 위치가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캐리지 영점을 잡은 후, CPU는 (A5)단계에서 상기 단계에서 설정되어 있는 레프트 마진 위치로 캐리지를 이동시켜 인자 준비를 한다. 이후 상기 CPU는 (A6)단계 및 (A7)단계를 수행하면서 키보드를 스캔하여 수신되는 키 데이타에 따라 인자 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마진 설정 방법은 사용자가 용지의 폭을 계산하여 프로그램 상에 지정된 위치에서 레프트 마진과 라이트 마진을 설정하여야 했다. 그러므로 상기 전자식 타자기를 이용하여 인자를 하고자하는 경우, 먼저 타자기에 용지를 삽입한 후 용지의 레프트 마진과 라이트 마진을 세트하고, 이후 실질적인 인자 동작에 들어가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용지 폭 설정 방식은 초기 동작 시점에서 마진이 설정되어야 했으므로, 인자 수행 중 용지를 교환하여 사용해야 하는 경우 사용자는 바뀌어진 용지의 크기에 맞추어 다시 마진을 재 설정해야 했으므도 이용에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타자기 및 프린트장치의 용지지지대에 용지위치표시자를 설치하고 캐리지몸체에 센서를 부착하며, 초기 동작시 또는 인자 수행 중에 마진설정키 입력시 상기 캐리지를 이동시키며 상기 용지위치표시자의 위치를 감지하고 상기 캐리지의 이동에 따라 용지의 폭을 계산하여 자동으로 마진을 설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전자식 타자기의 외관구성도로서, 좌, 우측의 용지지지대(1, 6)중 좌측 용지지지대(1)의 하부에 용지위치표시자(2)를 설치하고 캐리지몸체(4)에 마진센터(3)를 장착하며, 마진설정키 수신시 상기 캐리지몸체(4)를 이동시켜 가면서 캐리지의 구동 스텝 수를 카운터에 기록하고, 상기 마진 센서(3)를 통해 상기 용지위치표시자(2)의 감지유무를 분석하며 상기 마진센서(3)가 상기 용지위치표시자 (2)를 감지할 시 이때의 상기 카운터 값을 레프트 마진으로 설정한다. 이때 상기 좌, 우의 용지지지대(1, 6)는 타자기 중심위치 C로부터 항상 동일한 거리 상에 각각 위치되면, 좌측용지지지대(1)는 이동되면 용지위치표시자(2)도 연동되어 움직인다.
제3도는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전자식 타자기의 구성 블럭도로서, 각종 키 명령 및 데이타를 발생하는 키보드(10)와, 상기 키보드(10)의 출력에 따라 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CPU(20)와, 시스템 프로그램 및 용지 폭을 자동 감지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롬(30)과, 상기 프로그램 수행중에 발생하는 데이타들을 일시 저장하는 램(40)과, 상기 CPU(20)의 제어하에 캐리지를 구동하는 모터구동부(50)와, 상기 CPU(20)의 제어하에 데이지 휠을 구동하는 솔레노이드구동부(60)와, 상기 캐리지의 영점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캐리지가 영점에 위치될시 이를 감지하는 캐리지영점센서(7)와, 상기 캐리지몸체(4)에 설치되며, 상기 캐리지몸체(4)가 이동될 시 상기 용지지지대(1)의 하단에 부착되는 상기 용지위치표시자(2)의 위치를 감지하는 마진센서(3)로 구성된다.
제4도는 본 발명의 흐름도로서, 초기 전원 온 시 캐리지를 영점 위치로 이동시킨 후, 상기 캐리지를 스텝 단위로 구동시키면서 마진센서(3)가 용지위치표시자(2)를 감지하는 시점까지의 상기 캐리지의 구동 스텝 수를 상기 카운터에 기록하는 과정과, 상기 마진센서(3)가 상기 용지위치표시자(2)를 감지하는 시점에서 상기 카운터에 기록된 스텝 값을 용지의 폭에 대한 레프트 마진 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캐리지가 이동할 수 있는 총 스텝 수에서 상기 레프트 마진 값을 감산하여 이 값을 마진 값으로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초기 마진 값을 설정한 후, 키보드(10)를 스캔하여 수신되는 키 데이타에 따른 인자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인자 과정 수행 중에 마진설정키(3) 수신시, 상기 캐리지를 영점위치로 이동시킨 후, 상기 캐리지를 스텝 단위로 구동시키면서 마진센서(3)가 용지위치표시자(2)를 감지하는 시점까지의 상기 캐리지의 구동 스텝 수를 카운터에 기록하는 과정과, 상기 마진센서(3)가 상기 용지위치표시자(2)를 감지하는 시점에서 상기 카운터에 기록된 스텝 값을 용지의 폭에 대한 레프트 마진 값으로 재설정하고, 상기 캐리지가 이동할 수 있는 총 스텝 수에서 상기 재설정된 레프트 마진 값을 감산하여 이 값을 라이트 마진 값으로 재설정한 후, 상기 인자과정으로 진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구성에 의거 본 발명은 제2, 3, 4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전자식 타자기 또는 프린터 등과 같은 인자 장치에서 사용자가 인쇄할 용지의 폭을 수동으로 설정하는 것을 자동으로 설정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초기 전원을 온하거나 또는 인자 수행 중에 키보드(10)상의 마진설정키가 수신되면 상기 CPU(20)는 캐리지를 이동시켜 가며 용지의 폭에 대한 레프트 마진과 라이트 마진을 자동으로 설정한다. 그러므로 초기에 전원을 온하거나 또는 마진 설정키가 입력되면, 먼저 상기 CPU(20)는 상기 모터구동부(50)를 제어하여 캐리지를 영점위치로 이동시키며, 캐리지영점센서(7)로부터 상기 캐리지가 영점위치에 도달했음을 감지하면 카운터를 초기화한다. 그리고 상기 캐리지가 영점위치에 도달했음을 감지한 후 상기 CPU(20)는 상기 모터구동부(50)를 통해 마진센서(3)를 통해 용지위치표시자(2)를 감지할 때까지 상기 캐리지를 이동시키며, 이때 증가되는 캐리지의 구동 스텝 수를 카운터에 기록한다. 이후 상기 마진센서(3)가 상기 용지위치표시자(2)의 위치를 감지하면 해당 위치에서 상기 카운터에 기록된 상기 캐리지의 구동 스텝 값을 레프트 마진을 설정한다. 상기와 같이 레프트 마진을 설정한 후 상기 캐리지가 이동할 수 있는 총 스텝 수에서 상기 레프트 마진 값으로 설정된 스텝 수를 감산하여 라이트 마진 값으로 설정한다.
상기와 인자 장치에서 용지의 폭을 자동으로 설정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 우측의 용지지지대(1, 6)는 타자기의 중심위치 C로부터 동일 거리 상에 항상 위치된다. 만일 좌측 용지지지대(1)를 A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좌측 용지지지대(1)이 이동된 간격 만큼 상기 우측 용지지지대(6)도/A방향으로 이동되며, 좌측 용지지대(1)를 B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역시 상기 우측 용지지지대(6)도 동일한 간격으로/B방향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용지는 항상 상기 용지지지대(1, 6)사이에 위치되며, 이로인해 용지의 중심 위치는 타자기의 중심위치인 C와 항상일치된다. 이때 상기 좌측 용지지지대(1)의 하부에 용지위치표시자(2)를 장착하여 상기 좌측 용지지지대(1)와 연동으로 구동하고, 캐리지몸체(4)에 상기 마진센서(3)를 부착하여 상기 용지위치표시자(2)의 위치를 추적시킨다. 이때 상기 마진센서(3)는 캐리지몸체 (4)에 연동되어 움직인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전자식 타자기에서 인쇄하고자 하는 용지의 폭을 자동 감지하는 과정은 초기에 전원이 온되는 경우와 인자 수행 중에 마진설정키가 수신되면 동작된다. 상기 용지의 폭에 따른 마진 값의 설정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전원이 "온"되는 경우, 상기 CPU(20)는 (B1)단계에서 모터구동부(50)를 제어하여 캐리지몸체(4)를 영점 위치로 이동시키며, 캐리지영점센서(7)는 상기 캐리지가 영점위치까지 도달했는 지의 유무를 검사한다. 이때 포트 P1을 통해 캐리지영점센서(7)로부터 캐리지가 영점위치에 도달했음을 인지하면, 상기 CPU(2)는 (B2)단계에서 모터구동부(50)를 제어하여 캐리지의 이동을 정지시킨 후, (B3)단계에서 상기 캐리지의 이동 스텝 수를 기록하는 카운터를 초기화시킨다. 이후 상기 CPU(20)는 (B6)단계에서 상기 마진센서(3)가 상기 용지위치표시자(2)를 검출할 때까지 (B4)단계에서는 상기 마진센서(3)가 상기 용지위치표시자(2)를 검출할 때까지 (B4)단계에서 상기 캐리지몸체(4)를 스텝 단위로 구동하며 (B5)단계에서 증가되는 상기 캐리지의 이동 스텝 값을 카운터를 기록한다. 따라서 상기 카운터에는 캐리지영점위치에서 용지위치표시자(2)까지의 캐리지가 이동된 스텝 수가 기록된다. 이때 상기 (B6)단계에서 CPU(20)가 P2 포트를 통해 마진센서(3)에서 용지위치표시자(2)를 검출한 신호를 수신하며, (B7)단계에서 용지위치표시자(2)가 검출된 위치가 레프트 마진 위치이므로, 현재 카운터에 기록된 스텝 값을 레프트 마진으로 설정한다. 이후 (B8)단계에서는 캐리지가 이동할 수 있는 총 스텝 수에서 상기 카운터에 기록된 스텝 수를 감하여 라이트 마진으로 설정한다. 이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 우측의 용지지지대(1, 6)의 특성에 의한 것으로, 상기 좌, 우측의 용지지지대(1, 6)는 타자기의 중심 위치인 C에서 항상 등거리 위치에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라이트 마진은 우측 캐리지 영점에서 현재 이동된 스텝 수 값을 뺀 위치가 된다. 상기와 같은 초기등작이 수행되면, 용지 폭에 대한 좌우 마진 폭이 설정된 상태가 된다.
이후 상기와 같이 시스템 초기화가 완료되면, 상기 CPU(20)는 (B9)단계에서 키보드(10)를 스캔하여 키 입력 유무를 확인한다. 이때 키 입력이 확인되면, (B10)단계 및 (B11)를 수행하여 입력된 키가 기능 키인지 아니면 문자 키인지 검사한다. 상기 키 검사 단계에서 문자 키로 판단되면, (B12)단계에서 설정된 마진 폭에 따라 수신된 문자를 인자한다. 그러나 상기 (B10)단계에서 기능 키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B13)단계에서 마진설정키인가 검사하며, 여기서 마진설정키가 아닌 기능키인 경우에는 (B14)단계에서 해당 기능 키에 대한 처리를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는 초기에 설정된 용지 폭으로 수신되는 키 데이타에 따라 인자 기능이 수행되고 있는 상태가 된다.
상기 마진설정키는 초기화시 설정한 용지의 폭과 다른 폭을 갖는 용지로 교환하여 인자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하는 키로서, 용지 폭을 변경하는 기능 키가 된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인자 중에 용지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좌, 우측의 용지지대(1, 6)를 조정하여 변경된 용지를 삽입한 후, 상기 키보드(10) 상의 마진설정키(auto margin key)를 누르면 된다. 상기 마진설정키가 발생되면, 상기 CPU(20)는 상기 (B13)단계에서 이를 인지하고, 상기 초기화 과정에 용지 폭을 설정하는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용지 폭을 재 설정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현재 설정된 마진 폭을 변경하기 위하여 (B15)단계에서 상기 캐리지를 영점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영점센서(7)가 상기 캐리지의 영점에 위치되었음을 감지하면 (B16)단계에서 P1 포트를 통해 이를 인지하고 상기 캐리지의 이동을 중지시킨다. 이때 상기 캐리지가 영점에 위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카운터의 값도 초기화시킨다. 이후 상기 CPU(20)는 (B19)단계에서 상기 마진센서(3)가 상기 용지위치표시자(2)를 감지할 때까지 (B17)단계에서 캐리지몸체(4)를 스텝 단위로 구동하고 (B18)단계에서 카운터에 이동된 상기 캐리지의 스텝 수를 기록한다. 이때 상기 캐리지몸체(4)가 이동되는 스텝 수는 상기 카운터에 의해 계수되어 보관되며, 상기 캐리지몸체(4)의 구동이 정지되면 상기 카운터의 계수 동작도 중지된다.
상기 CPU(20)는 상기 마진센서(3)가 상기 용지위치표시자(2)를 검출하여 P2 포트로 감지신호를 출력하면 (B19)단계에서 이를 인지하고, (B20)단계에서 상기 카운터의 값을 읽어 변경하고자 하는 용지 폭의 레프트 마진 위치로 설정한다. 즉, 상기 쾌캐리지 영점 위치에서 캐리지가 이동되어 상기 용지위치표시자(2)가 검출된 위치는 바꾸고자 하는 용지 폭의 좌측 위치가 시작되는 위치이므로 이때의 상기 카운터에 기록된 스텝 값을 레프트 마진으로 설정한다. 이후 (B21)단계에서는 상기 캐리지가 이동할 수 있는 총 스텝 수에서 상기 카운터에 기록되어 있는 스텝 수를 감산하여 라이트 마진으로 설정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응용지지지대(1, 6)의 특성에 의한 것으로, 상기 용지지지대(1, 6)는 타자기의 중심 위치인 C에서 항상 등거리 위치에 있기 때문에 상기 레프트 마진 값이 설정되면, 상기 라이트 마진은 우측 캐리지 영점에서 현재 이동된 스텝 수 값을 뺀 위치가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레프트 마진 값과 라이트 마진 값을 세트하면, 변경된 용지 폭에 대한 좌우 마진 폭이 설정된 상태가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식 타자기에서 사용자가 어떤 크기의 용지를 사용하더라도 사용하는 용지의 폭을 자동으로 감지할 수 있어, 사용중에 용지의 폭에 따라 마진을 재 설정하는 불편함을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용지의 중심이 타자기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용지의 좌우를 지지하는 용지지지대(1, 6)와, 상기 좌측 용지지지대(1)의 하부에 장착되고 상기 좌측 용지지지대(1)와 연동되어 구동되는 용지위치표시자(3)와, 캐리지몸체(4)에 장착되고 상기 캐리지몸체(4)의 이동에 따라 연동되어 상기 용지위치표시자(3)의 위치를 감지하는 마진센서(3)를 구비한 전자식 타자기의 용지폭 자동 인식 방법에 있어서, 초기 전원 온시 또는 마진설정키 입력시, 상기 캐리지를 영점 위치로 이동시키고 카운터를 초기화하는 과정과, 상기 캐리지가 영점 위치로 이동된 후, 상기 영점 위치에서 상기 캐리지를 상기 좌측 용지지지대(1)측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마진센서(3)가 상기 용지위치표시자(2)를 감지할 때까지 상기 증가되는 캐리지의 이동 스텝 수를 상기 카운터에 기록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마진센서(3)가 용지위치표시자(2)를 감지할시 해당위치에서 상기 카운터에 기록하고 있는 캐리지 스텝 값을 레프트 마진으로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레프트 마진 설정 후, 상기 캐리지가 이동할 수 있는 총 스텝 수에서 상기 설정된 레프트 마진의 스텝 수를 감산하여 라이트 마진으로 설정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타자기의 용지 폭 자동 인식방법.
  2. 용지의 중심이 타자기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용지의 좌우를 지지하는 용지지지대(1, 6)와, 상기 좌측 용지지지대(1)의 하부에 장착되고 상기 좌측 용지지지대(1)와 연동되어 구동되는 용지위치표시자(3)와, 캐리지몸체(4)에 장착되고 상기 캐리지몸체(4)의 이동에 따라 연동되어 상기 용지위치표시자(3)의 위치를 감지하는 마진센서(3)를 구비한 전자식 타자기의 용지 폭 자동 인식 방법에 있어서, 초기 전원 온 시 캐리지를 영점위치로 이동시킨 후, 상기 캐리지를 스텝 단위로 구동시키면서 상기 마진센서(3)가 상기 용지위치표시자(2)를 감지하는 시점까지의 상기 캐리지의 구동 스텝 수를 상기 카운터에 기록하는 과정과, 상기 마진센서(3)가 상기 용지위치표시자(2)를 감지하는 시점에서 상기 카운터에 기록된 스텝 값을 용지의 폭에 대한 레프트 마진 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캐리지가 이동할 수 있는 총 츠텝 수에서 상기 레프트 마진 값을 감산 하여 이 값을 라이트 마진 값으로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초기 마진 값을 설정한 후, 키보드를 스캔하여 수신되는 키 데이타에 따른 인자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인자과정 수행 중에 마진설정키 수신시, 상기 캐리지를 영점위치로 이동시킨 후, 상기 캐리지를 스텝 단위로 구동시키면서 상기 마진센서(3)가 상기 용지위치표시자(2)를 감지하는 시점까지의 상기 캐리지의 구동 스텝 수를 상기 카운터에 기록하는 과정과, 상기 마진센서(3)가 상기 용지위치표시자(2)를 감지하는 시점에서 상기 카운터에 기록된 스텝 값을 용지의 폭에 대한 레프트 마진 값으로 재설정하고, 상기 캐리지가 이동할 수 있는 총 스텝 수에서 상기 재설정된 레프트 마진 값을 감산하여 이 값을 라이트 마진 값으로 재설정한 후, 상기 인자과정으로 진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타자기의 용지 폭 자동 인식 방법.
KR1019890018175A 1989-12-08 1989-12-08 전자식 타자기의 용지폭 자동 인식방법 KR9200072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18175A KR920007220B1 (ko) 1989-12-08 1989-12-08 전자식 타자기의 용지폭 자동 인식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18175A KR920007220B1 (ko) 1989-12-08 1989-12-08 전자식 타자기의 용지폭 자동 인식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1484A KR910011484A (ko) 1991-08-07
KR920007220B1 true KR920007220B1 (ko) 1992-08-28

Family

ID=19292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8175A KR920007220B1 (ko) 1989-12-08 1989-12-08 전자식 타자기의 용지폭 자동 인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722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1484A (ko) 1991-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69388B1 (en) Home position sensing device and method
JP3822824B2 (ja) 媒体検知方法および装置ならびに印字装置
GB2170934A (en) Automatic printer margin setting device
US10071575B2 (en) Printers and methods for detecting print media thickness therein
JP3149168B2 (ja) 印字装置
KR920007220B1 (ko) 전자식 타자기의 용지폭 자동 인식방법
US4877345A (en) Margin setting means for a printer
US5277506A (en) Printer with paper width detector
US4894798A (en) Automatic stop code insertion feature for a word processing apparatus
JP2608807B2 (ja) プリンタの記録用紙長検出方法
JPH05345453A (ja) プリンタのキャリッジ位置制御装置
JPH05278906A (ja) 記録装置
JPS6120780A (ja) プリンタの紙押え装置
JPS6264588A (ja) 印字装置
JPH01110177A (ja) 印字装置
JPS61203047A (ja) インサ−タ装置
JPS62238779A (ja) プリンタ
JPH01173271A (ja) マーク読み取り方式
JPH0664285A (ja) 印字装置
JPS58205788A (ja) タイプライタ
US6074114A (en) Color printer for repetitively printing a document
JPH01206077A (ja) 印字装置
JP2928050B2 (ja) 通帳伝票プリンタ
KR0147577B1 (ko) 프린터
JP2860577B2 (ja) 二重印字防止機能付きタイムレコー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726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