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6142Y1 - 자동차용 정속 주행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정속 주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6142Y1
KR920006142Y1 KR2019890005289U KR890005289U KR920006142Y1 KR 920006142 Y1 KR920006142 Y1 KR 920006142Y1 KR 2019890005289 U KR2019890005289 U KR 2019890005289U KR 890005289 U KR890005289 U KR 890005289U KR 920006142 Y1 KR920006142 Y1 KR 9200061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constant speed
accelerator
solenoid
accelerator ped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052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8584U (ko
Inventor
안문휘
Original Assignee
안문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문휘 filed Critical 안문휘
Priority to KR20198900052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6142Y1/ko
Publication of KR9000185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858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61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614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1/00Vehicle fittings, acting on a single sub-unit only,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vehicle speed, i.e. preventing speed from exceeding an arbitrarily established velocity or maintaining speed at a particular velocity, as selected by the vehicle oper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4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means connecting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to propulsion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4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braking action or preparation for braking, e.g. by detection of the foot approaching the brake ped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60T7/04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by electrical means, e.g. using travel or force senso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용 정속 주행장치
제1도 (a)는 본 고안의 정속 주행장치에 대한 요부 평면 상태도, (b)는 본 고안의 정속 주행장치에 대한(a)도의 'A-A'선에서 잘라본 요부 측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정속주행장치중 스톱퍼의 구성에 대한 다른실시예.
제3도 (a)는 본 고안의 스톱퍼 구성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 (b)는 (a)도의 스톱퍼 구성에 대한 요부 측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정속 주행장치에 연결되어 작동하는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3, 24 : 악셀레이터 페달 2, 12, 22 : 스톱퍼
3a, 12a. 23 : 톱니홈 4 : 솔레노이드
55' : 협지구
본 고안은 자동차의 정속 주행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행상태에서 주행 속도에 관련하여 오른쪽 발로 밝는 악셀레이터 페달의 복원상태를 제어하여 운전을 간편하게 하면서 정속주행에 적당하도록하는 정속 주행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체연료의 연소작용으로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조로된 자동차의 주행장치는, 브레이크 페달과 클리치 페달 그리고 악셀레이터 페달이 각각 장치되어 있으며, 이들의 페달중, 악셀레이터 페달은 연료의 연소를 가속화시켜 동력을 많이 발생시키고자 하는 목적으로 설치되어 있는바, 악셀레이터 페달은 그 밟는 정도에 따라서 그에 비례하여 연료가 엔진에 최대한으로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악셀레이터 페달을 강하게 누르면 연료의 연소가 가속화되어 자동차의 속력이 빨라지고 악셀레이터 페달을 적게 밟으면 연료의 연소가 상대적으로 작아져 자동차의 속력이 줄어지게 되어있다.
따라서 운전자들은 운전중 도로 상황에 따라서, 악셀레이터 페달을 임의 조작하여 차량의 속도를 조절하고있다.
그러나 자동차가 주행함에 있어서는, 어느 일정한 속도로 정속 주행하며 기름의 소모가 적게들고 자동차부속품의 제수명에도 무리를 주지않게 된다. 그러나 도로의 사정이나 운전자의 성격 또는 기타의 여러 운전조건에 따라 이와같은 정속주행 상태를 유지하기란 결코 쉽지않고, 또한, 숙련된 운전자가 하더라도 마찬가지로 정속주행을 하기란 용이하지 못하였던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고안은, 운전자가 정속 주행에 해당하는 속도에 도달하면, 스위치를 눌러 작동되는 정속 주행장치에 의해 악셀페달의 위치가 고정되게하여 정속주행 상태를 유지하게하고 또한, 재차 브레이크를 밟는 순간에는 정속주행 설정이 해제되도록한 것으로 이를 첨부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의 (a)(b)는 본 고안의 정속주행 장치에 대한 개략 구성도로서, 악셀레이터 페달(1)의 레버(1a)와 톱니홈(3a)을 갖는 스톱퍼(2)를 상호 연결되게 설치하고 스톱퍼(2) 주위의 차량 구조물에 솔레노이드(4)를부착하고, 솔레노이드(4)의 플란자(4a)에는, 스톱퍼(2)의 톱니홈(3a)에 치합되어 악셀레이터 페달의 움직임을 저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협지구(5)를 설치하고, 상기 솔레노이드(4)에는 스위치 누름에 의해 전원이 "온"되고 브레이크를 밟는 순간에 "오프"되는 제4도와 같은 구동회로를 연결한다. 그리고 브레이크 페달이 닿는 위치에 스위치(BS)를 부착한다. 제4도의 구동회로는 도시한 바와같이, 전원(Vcc)은 스타트 스위치(SS)를거쳐 릴레이(RY)와 솔레노이드(So1)에 전원을 공급함과 동시에 브레이크와 연동하는 브레이크 스위치(BS)를거쳐 브레이크 램프(BL) 및 릴레이(RY)에 연결되는 구성을 갖추어서 된 것이다.
이하 본 고안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에를 실시예로써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의 (a)(b)는 본 고안의 장치에 대한 제1실시예로써, (a)도는 악셀레이터 페달(1)과 연결된 본 고안장치에 대한 요부 평면도이고, (b)도는 (a)도의 'A-A;' 선에서 잘라본 요부 측면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절곡되어 있는 악셀레이터 페달(1)의 상측레버(la)에는 스톱퍼(2)가 연결되어 있다.
스톱퍼(2)의 한쪽선단은 악셀레이터 페달(1)의 상측레버(1a)와 연결가능토록한 레버공(2a)을 갖는 체결구(20)가 형성되며 스톱퍼(2)의 길이 방향으로는 가이드공(3)이 형성되어 있으며, 아울러 가이드공(3)을 제외한 스톱퍼(2)의 길이방향으로는 미세한 톱니홈(3a)이 일정간극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도의 (a)를 'A-A'선에서 잘라본 (b)도의 요부측면도에서 보면. 스톱퍼(2)의 가이드공(3)상에는 협지구(5)가 설치되는바, 협지구(5)그 하측의 솔레노이드(4)에 설치되는 플란자(4a)를 가지며, 플란자(4a)는 스톱퍼(2)의 가이드공(3)을 관통하여 솔레노이드(4)측에 설치된다. 스톱퍼(2)의 하측에는 고정협지구(5')가 또한 형성되어 있다. 스톱퍼(2)의 상, 하측에 설치되는 협지구(5, 5')면에는 스톱퍼(2)의 톱니홈(3a)과 맞물릴 수있는 톱니부(5A)를 각각 형성시킨다.
[실시예 2]
제2도는 본 고안의 스톱퍼 구성에 대한 다른 실시예에 대한 개략 구성도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스톱퍼를 형성함에 있어서, 도시한 바와같이, 일부가 절결된 원판형으로 형성시켰다. 원판형 스톱퍼(12)의 외주에는 시계반대 방향으로 경사진 톱니홈(12a)들을 형성시켰으며 중심부에는 보스(12b)를 돌출형성시켰다.
그리하여 이 원판형 스톱퍼(12)의 중심부인 보스(12b)에 악셀레이터 페달(13)의 절곡부분을 끼운후 원판형스톱퍼(12)와 악셀레이터 페달의 레버(13a)가 일체로 구성되게하여, 악셀레이터 페달(13)을 밟았을 경우,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같은 시계방향으로 스톱퍼(12)가 선회되도록 되어있다.
한편, 원판형 스톱퍼(12)의 외주상 일측에는 솔레노이드(4)에 설치되는 플란즈(4a)가 연결가능토록 되어 있다.
즉, 플란자(4a)에 있어서, 원판형 스톱퍼(12)의 톱니홈(12a)측과 접속되는 선단부(15)는, 원판형 스톱퍼(12)의 톱니홈(12a)에 한방향으로안 끼워질 수 있는 형상으로 구성시킨다.
그리하여 원판형 스톱퍼(12)가 시계방향으로 선회될 경우, 즉, 일정거리 선회된후에 페달(13)을 밟고 있던발을 놓으면 상기 톱니홈(12a)에 플란자의 선단부(15)가 끼워지게 되어 시계반대 방향으로 되돌아가지 못하게되어 있다.
[실시예 3]
제3도의 (a)는 본 고안의 스톱퍼 구성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개략평면도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스톱퍼를 형성함에 있어서는 앞선 제2실시예와 동일한 일부 절결된 원판형의 스톱퍼를 형성시키되, 본 원판형의 스톱퍼(22)는 그외주 안쪽으로 미세한 톱니홈(23)이 형성되도록 한다 그리고 그 원판형 스톱퍼(22)의 중심은 구멍을 형성시키거나 보스를 형성시키고, 여기에 체결되는 악셀레이터 페달의 절곡부에는 보스를 형성시키거나 축을 형성시켜 일체로 용접토록 한다. 본 제2실시예와 제3실시예에서 나타낸 본 악셀레이터 페달과 원판형 스톱퍼의 일체로 체결하는 구성은 어떠한 방법과 수단으로 하여도 상관없다. 그리고 제3도의 (b)에 도시한축면도와 같이 본 원판형 스톱퍼(22)의 톱니홈(23)과 맞물리는 톱니부(5A)를 갖는 협지구(5)가 연결되도록하고 협지구(5)는 그 하측으로 고정협지구(5')가 형성되어 있으며 협지구(5)의 하단은 솔레노이드(4)내에 설치되여, 연결작동되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예로써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동작관계를 이하 설명한다,.
먼저 운전자가 주행과정에서 정속주행상태를 유지하고자 할경우에는, 즉 다시말해 악셀레이터 페달(1)(13)(24)을 밟은 상태의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고자 할 경우에는 악셀레이터 페달(1, 13, 24)을 밟은 상태에서본 고안의 정속주행 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4도의 스타트 스위치(SS)를 누르면, 솔레노이드(Sol)에 전원이 공급되어 솔레노이드가 동작하고 릴레이(RY)의 코일(RC)에 전원이 공급되어 릴레이 스위치(RS)가 "온"되면서 전윈 브레이크 스위치(BS)의 A단자와 릴레이(RY) 스위치(RS)를 거쳐 솔레노이드(Sol)와 릴레이 코일(RC)에 계속전왼을 공급하게 된다. 따라서 솔레노이드(4)는 플란자(4a)를 잡아당기게되어, 예로써 제1도의(b)경우, 플란자(4a)의 선단에 형성되어 있는 협지구(5)는 고정협지구(5')쪽으로 즉 하방으로 내려오게된다. 그러면 스톱퍼(2)의 톱니홈(3a)에 협지구(5, 5')의 톱니부(5a)가 서로 물리게 된다. 제3도의 (b)의 경우도 상기한 제1도의 (b)의 작동과 동일하게 된다. 한펀 제2도의 경우에는, 솔레노이드(4)의 작동에 의해 플란자(4a)가 당겨지는 것이 아니라 플란자(4a)가 미는 작동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플란자(4a)가 원판형 스톱퍼(12)쪽으로 밀경우엔, 플란자(4a)선단의 선단부(15)는 톱니홈(12a)과 치합된다. 따라서 악셀레이터는 운전자가 밞아 내려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운전자는 악셀레이터 페달(1)(13)(24)에서 발을떼어 놓아도, 상기한 모든 실시예들의 스톱퍼(2, 12, 22)구성에 의해 악셀레이터 페달(1)(13)(24)은 운전자가 밟은 상태를 계속해서 유지할수 있다.
이후에 도로의 조건과 여러가지 운전상황에 의해 정속주행 상태를 해제해야 하거나 정지해야 할 경우엔 브레이크 페달 브레이크를 재차 밟으면 브레이크 스위치(BS)가 B접점으로 절환되면서 전원이 브레이크 램프(BL)에 공급되어 점등됨과 동시에, 릴레이(RY)와 솔레노이드(Sol)에 공급되던 전원이 차단되어 정속주행 장치를해제하게 되는 것인데 전원이 차단되면 역으로 하강 이동했던 협지구(5)가 상승(제2도의 경우엔 선단부(15)가 당겨짐)하여 지금까지 구속되었던 악셀레이터 페달(1, 13, 24)이 해제되는 것이다.
그후 다시 정속주행 조건이 되면 운전자는 다시 스타트 스위치(SS)를 누르면 전술한 정속 주행장치가 다시동작하여 악셀레이터 페달(1)이 정속주행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어서 운전을 매우 편리하게 함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차량의 정속주행을 인위적으로 유지하지 않고, 선택에 의해 정속 주행상태를 유지할수 있어서 운전하기가 매우 편리하고 용이하게 정속주행을 선택할수 있어 매우 경제적인 운행이 가능하며 특히 초보운전자들에게는 조작미숙에 의한 무리로 부품의 제수명이 단축되는 요인을 정속주행장치로 인해 해소할수 있고 운전을 편리하게 할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악셀레이터 페달(1)과 연절 작동되도록한 자동차의 정속 주행장치에 있어서, 톱니홈(3a, 12a, 23)을 갖고 악셀레이터 페달(1, 13, 24)의 레버(la, 13a)에 연결 실치되여 악셀레이터(1, 13. 14)의 회동과 같이 움직이게한 스톱퍼(2, 12. 22)와. 악셀레이터 페달(1, 13. 24)의 위치상태를 제어하도록 하기위해 상기한 스톱퍼(2, 12, 22)의 톱니홈(3a, 12a, 23)과 결합토록한 플란자(4a)를 갖는 솔레노이드(4)를 포함하며, 상기 솔레노이드는 스타트 스위치(SS)와 브레이크 페달의 스위치(BS)에 의해 온/오프되게 구성한 구동회로에 연결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정속주형장치.
  2. 제1항에 있여서, 상기 스톱퍼(2)는, 악셀레이터 페달의 레버(la)를 체결할 수 있도록한 레버공(2a)을 갖는 체결구(20)와, 플란자(4a)가 끼워지는 긴 가이드공(3)과, 그리고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시킨 톱니홈(3a)을 갖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정속주행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는 일부가 절결된 원판형 스톱퍼(12, 22)로 형성시켜, 그 원주 둘레 또는 두께에 톱니홈(12a, 23)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정속주행장치.
KR2019890005289U 1989-04-27 1989-04-27 자동차용 정속 주행장치 KR9200061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5289U KR920006142Y1 (ko) 1989-04-27 1989-04-27 자동차용 정속 주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5289U KR920006142Y1 (ko) 1989-04-27 1989-04-27 자동차용 정속 주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8584U KR900018584U (ko) 1990-11-05
KR920006142Y1 true KR920006142Y1 (ko) 1992-09-17

Family

ID=19285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05289U KR920006142Y1 (ko) 1989-04-27 1989-04-27 자동차용 정속 주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614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8584U (ko) 1990-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561139B2 (ko)
KR920006142Y1 (ko) 자동차용 정속 주행장치
KR900701567A (ko) 모우터 차량 운동 제어장치
JP2622664B2 (ja) 自動車運転用アクセル操作装置
KR970010441B1 (ko) 주행중 일시정지후 재출발시 자동변속기 제어방법
KR0153333B1 (ko) 자동차의 자동 정속 주행장치
FR2432401A1 (fr) Dispositif hydraulique de commande d'une boite de vitesses automatique de vehicule automobile
JPS61238533A (ja)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KR0139453B1 (ko) 자동차의 정속 주행장치
KR200186846Y1 (ko) 자동차의 정속 주행 장치
KR950004930Y1 (ko) 자동차의 반자동 클러치장치
KR100231548B1 (ko) 자동차엑셀레이터페달의위치고정장치및그제어방법
KR900001945Y1 (ko) 자동차 제동시에 브레이크등의 조기점등장치
JPH0418901Y2 (ko)
JPS6463426A (en) Start controller of vehicle
KR0113831Y1 (ko) 브레이크장치
KR0113377Y1 (ko) 조절지지대가 설치된 자동차용 페달
KR100251172B1 (ko) 자동차 후진시 가속페달 작동장치
JPH0521506Y2 (ko)
JPH09188233A (ja) 電動車両用制動力保持装置
KR970006772Y1 (ko) 자동차의 제동장치
KR19980040171A (ko) 자동차용 클러치 어셈블리
KR19980016141A (ko) 자동차의 클러치 장치
JPS63306928A (ja) スロツトル制御装置
KR100428085B1 (ko) 자동차의 주차 브레이크 작용시 운행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