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6091B1 - 코인로커 - Google Patents

코인로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6091B1
KR920006091B1 KR1019880017588A KR880017588A KR920006091B1 KR 920006091 B1 KR920006091 B1 KR 920006091B1 KR 1019880017588 A KR1019880017588 A KR 1019880017588A KR 880017588 A KR880017588 A KR 880017588A KR 920006091 B1 KR920006091 B1 KR 9200060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n
lever
locker
door
cylinder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7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0775A (ko
Inventor
겐지 시오지마
유우지 가사이
Original Assignee
고꾸산 긴조꾸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스기모리 도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꾸산 긴조꾸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스기모리 도시오 filed Critical 고꾸산 긴조꾸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010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07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60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60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1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means for safe-keeping of property, left temporarily, e.g. by fastening the property
    • G07F17/1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means for safe-keeping of property, left temporarily, e.g. by fastening the property comprising lockable containers, e.g. for accepting clothes to be clean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2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thin, hollow, or thin-metal wings
    • E05B65/025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thin, hollow, or thin-metal wings for lock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70/00Locks
    • Y10S70/41Coin-controll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in-Freed Apparatuses For Hiring Arti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코인로커
제1도∼제7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1도는 시정장치의 주요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제2도는 시정장치의 주요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제3도는 제1도의 X-X 단면도이다.
제4도는 회전저지레버와 포토센서와의 위치관계를 도시한 주요부 정면도이다.
제5도는 제4도의 주요부 측면도이다.
제6도는 코인로커의 정면도이다.
제7도는 흐름도이다.
제8도는 종래의 시정장치를 구성하는 주요부품의 사시도이다.
제9도는 코인투입 후의 상태를 도시한 종래의 시정장치의 주요부 정면도이다.
제10도는 코인이 투입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종래의 시정장치의 정면도이다.
제11도는 종래의 시정장치의 주요부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C : 코인 1 : 로커프레임
2a : 코인투입구 5 : 승강레버
8 : 구동레버 10 : 코인선택레버
11 : 회전저지레버 11b : 절곡편
11e : 걸어맞춤핀 13 : 실린더자물쇠
14 : 급속반전레버 14a : 절곡부
19 : 낙하저지판 22 : 걸어맞춤핀
23 : 로커레버 24 : 포토센서
26 : 마이크로스위치 27 : 솔레노이드
32 : 플렌저
본 발명은, 로커를 사용하지 않을때에는 문짝 열기가 불가능하게 되고, 소정의 코인을 투입하였을때에 문짝열기 및 로커의 사용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로커내에 불필요품등을 무료로 격납하는 부정사용을 방지할 수 있는 코인로커에 관한 것이다.
코인로커는 사용하지 않을때에는 문짝이 해정(解錠)되어 문을 열 수 있는 상태에 있고, 소정의 액수의 코인을 투입하면 실린더자물쇠에 넣은 키이의 회동이 허용되고, 키이를 시정(施錠)방향으로 회동하면 시정레버가 문짝의 끝부분에 설치된 구멍에 걸려들어가서 문짝이 시정됨과 동시에 키이를 뽑을 수 있게 되고, 점을 일시보관 후에 키이를 실린더자물쇠에 넣어 해정방향으로 회동하면 문짝을 여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로커내에 격납된 짐을 꺼내서 짐의 일시보관의 원사이클이 완료된다.
그리고 재차 문짝은 열 수 있는 상태로 된다. 코인로커에는, 사용료를 징수하는 것이 많고, 이 경우에는 투입된 코인이 되돌아오지 않지만, 사용료를 징수하지 않는 것은, 일시보관을 끝내고 해정했을때에 투입된 코인이 코인 분출구에서 되돌아오도록 되어 있다.
코인로커의 시정장치에 관한 종래기술에 대하여는, 예컨대 특개소 58-207198호 공보에 기재된 기술이 있다. 이 시정장치의 구성의 개요를 제8도∼제11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로커프레임(11)의 전면에 맞붙여지는 전벽(2)에 코인투입구(2a)가 설치되고, 로커프레임(1)에 대하여 평행인 내부프레임(3)과 로커프레임(1)과의 사이에 코인통로가 형성된다.
코인투입구(2a)의 상부에는 규정지름보다 큰 코인의 투입을 저지하는 방해판(4)이 설치된다.
내부프레임(3)에는 승강레버(5)가 승강가능하게 설치되고 또한 아래쪽으로 힘이 가해지고, 코인통로에 돌출된 핀(5a)에 코인이 닿으면 승강레버(5)가 상승하도록 되어 있다.
승강레버(5)에 설치된 핀(6)에 작은레버(7) 및 구동레버(8)가 원추형 접합되고, 작은레버(7)에는 내부프레임(3)에 피봇가능하게 접합된 핀(7a)이 돌출설치되고, 상부에 돌편(7b)이 설치된다.
구동레버(8)에는 돌편(8a)이 설치되어, 자유끝측 상부에 미끄러져 움직이는 노치(8b)가 형성되고, 돌편(8a)과 돌편(7b)에 스프링(9)이 팽팽하게 걸려 있다.
미끄러져 움직이는 노치(8b)의 위쪽에는 중간부를 내부프레임(3)에 피봇가능하게 접합된 코인선택레버(10)의 핀(10a)이 근접하고, 코인선택레버(10)의 좌끝측에는 코인통로에 돌출되는 핀(10b)이 설치된다.
따라서, 코인투입구(2a)에 코인(C)을 끼워넣으면 승강레버(5)가 상승하고, 구동레버(8)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핀(10a)을 밀어올려, 코인선택레버(10)가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핀(10b)이 코인통로내를 상승하여 코인(C)의 통과를 허용하지만, 코인(C)이 규정지름보다도 작은 경우에는 핀(10b)의 상승량이 작고 코인(C)의 통과를 저지한다(제9도 참조).
내부프레임(3)에 중간부를 피봇가능하게 접합된 회전저지레버(11)는 스프링(12)의 일단을 팽팽하게 거는 걸어맞춤핀(11a)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힘이 가해져, 상단 및 하단이 절곡되고 각각 절곡편(11b) 및 테이퍼면(11c)을 가지는 미끄러져 움직이는 편(11d)이 형성된다.
회전저지레버(11)는 코인통로에 돌출하는 걸어맞춤핀(11e)을 가지고, 코인통로를 통과하는 코인(C)은 후술하는 낙하저지판(19)에 의해 저지되고 걸어맞춤핀(11e)을 누름다.
코인(C)에 걸어맞춤핀(11e)을 누름 회전저지레버(11)는 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제9도 참조).
13은 시정용의 실린더자물쇠이고, 키이를 회동하면 급속반전레버(14)가 회동조작되지만, 코인투입전은 급속반전레버(14)의 회동궤적내에 미끄러져 움직이는 편(11d)이 돌출하고 급속반전레버(14)의 회동을 저지하기 위한 시정이 불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코인(C)이 낙하방지판(19)에 의해 걸어맞춤 되었을때, 코인(C)이 핀(11e)올 눌러서 회전저지레버(11)를 시계방향으로 회동한 상태로 유지하기 때문에, 미끄러져 움직이는 편(11d)이 급속반전레버(14)의 회동궤적에서 퇴피한 상태로 유지되고, 시정이 가능하게 된다.
급속반전레버(14)는 하단에 절곡부(14a)를 가지고, 절곡부(14a)는 코인배출규제편(15)의 홈(15a)에 끼워넣어진다.
코인배출규제편(15)은 중앙부가 로커프레임(1)에 피봇가능하게 접합되고, 홈(15a)의 반대측으로 저지편(15b)이 설치되고 급속반전레버(14)가 시정위치에 있을때 저지편(15b)이 코인통로에 돌출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키이에 의해 실린더자물쇠(l3)를 시정하면, 급속반전레버(14)가 제11도에 도시한 화살표 R방향으로 회동하여 시정간(23)을 문짝의 끝부분의 걸어맞춤구멍(도시하지 않음)에 걸어넣은 문짝을 시정함과 동시에, 급속반전레버(14)가 미끄러져 움직이는 편(11d)의 테이퍼면(11c)을 눌러 움직이게 하고, 회전저지레버(11)가 회동하여 절곡편(11b)이 코인선택레버(10)의 우측하단면에 근접하여 코인선택레버(10)의 시계방향 회동을 저지하고 시정중의 코인로커에 잘못하여 코인이 투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급속반전레버(14)의 화살표 R방향의 회동에 따라서 코인배출규제편(15)의 저지편(15b)이 코인통로에 돌출하여, 후술하는 키이 뽑는 단계에서 후술하는 낙하저지판(l9)에서 낙하하는 코인을 저지하도록 되어있다.
실린더자물쇠(13)에는 키이의 삽입에 의해 뒤쪽으로 돌출하는 로드(16)가 설치되고, 로드(16)의 후단에는 홈(16a)이 새겨 설치되고, 홈(16a)에 회전판(17)의 한쪽에 끼워넣어지고, 홈(16a)을 관통하는 핀(18)에 회전판(17)에 설치된 긴 구멍(17)이 끼워넣어진다.
회전판(17)의 다른쪽에는 내부프레임(3)이 굳게 붙여지는 핀(도시하지 않음)에 피봇가능하게 접합되는 구멍(117b)과 누름부(17c)가 설치되고, 로드(16)가 뒤쪽으로 돌출되었을때는 구멍(17b)을 지점으로하여 누름부(17c)가 낙하저지판(19)을 누르고 있다. 낙하저지판(19)은 내부프레임(3)에 설치된 피봇가능한 접합 축(20)에 일단을 피봇가능하게 접합하고, 스프링(21)에 의해 피봇가능한 접합축(20)을 지점으로하여 내부프레임(3)에서 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힘이 가해지고, 누름부(17c)에 눌려 있을때는 내부프레임(3)에 강압되어서 낙하저지판(19)에 설치된 걸어맞춤핀(22)의 선단이 코인통로에 돌출하고, 코인(C)의 낙하를 저지하고 있다(제9도 참조).
시정방향으로 회동한 키이는 실린더자물쇠(13)에서 뽑아내기 가능하게 되고, 키이를 뽑으면, 로드(16)가 실린더자물쇠(13)방향으로 이동하고, 회전판(17)은 구멍(17b)을 지점으로 하여 실린더자물쇠(13)로 향하여 회동하고 누름부(17c)가 낙하저지판(19)에서 떨어지기 때문에, 낙하저지판(19) 이 피봇가능한 접합축(20)을 지점으로하여 회동하여 내부프레임(3)에서 떨어지고, 걸어맞춤핀(22)이 코인통로에서 후퇴하여, 걸어맞춤핀(22)에 저지되어 있던 코인(C)이 낙하한다. 요금을 징수하는 유료코인로커의 경우에는, 낙하한 코인은 아래쪽의 요금수납상자내에 들어간다.
요금을 환불하는 코인로커의 경우에는 전벽(2)에 설치된 코인분출구(2a)에 연이어 통하는 코인통로내로 떨어지고, 코인분출구(2a)로 향하여 코인통로내를 전동하여, 코인통로내에 돌출한 저지편(15b)에 떠난다.
이렇게 하여, 짐을 격납한 코인로커가 시정되고 손님은 키이를 휴대하고 떠난다.
일시 보관을 끝낸 손님이 키이를 실린더자물쇠(13)에 넣으면, 로드(16)가 뒤쪽으로 돌출하여 회전판(17)이 회동하여 누름부(17c)가 낙하저지판(19)을 내부프레임(3)에 강압한다.
다음에 키이를 회동하여 실린더자물쇠(13)를 해정하면 급속반전레버(14)가 회동하여 시정레버(23)에 투입하여 문짝은 개폐가능하게 된다.
또, 요금이 환불되는 무료코인로커의 경우에는, 급속반전레버(14)의 회동에 의해 코인배출규제편(15)이 회동하여 저지편(15b)이 코인통로에서 후퇴하여 코인분출구(2b)에서 방출된다.
유료, 무료 어느것의 코인로커의 경우도, 급속반전레버(14)에 의해 테이퍼면(11c)에 눌려있던 회전저지레버(11)는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복귀하고, 절곡편(11b)은 코인선택레버(10)의 우측하면에서 떨어져 코인선택레버(10)는 회동가능하게 되고 코인투입구(2a)에 코인을 투입할 수 있도록 된다(제10도 참조).
이상과 같이 하여, 코인로커의 사용이 완료된다.
상기와 같은 코인로커는 사용하지 않을때에는 항상 문짝 열기가 가능하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부정사용이 행하여질 때가 있다.
(a) 예컨대, 도둑맞아도 손해가 적은 물품이나 버릴장소가 곤란한 필요치 않은 물건등을 로커내에 넣고, 그대로 시정을 하지 않고 따나는등 무료로 사용하는 좋지않은 사람이 있다.
(b) 푸울이나 극장과 같이, 코인로커가 가까이에 관리인이 있는 경우에는, 시정하지 않아도 도난발생의 위험성이 적은 것을 이유로 코인로커를 시정하지 않고 무료로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부정사용이 있으면 본래의 이용자가 로커를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생긴다.
특히 사용시일이 제한되는 로커를 장기 부정사용되면 극히 큰 폐해로 된다.
또 관리인이 로커 가까이에 있는 경우에도 도난이 발생하면 관리인에 도난책임등의 폐를 미치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요지는 사용하지 않을때의 코인로커를 문짝열기 불가능하게 하고, 소정의 액수의 코인을 투입하면 문짝열기 및 사용가능하게 되도록 하는데에 있고, 종래의 코인로커에, 코인의 투입을 검지하는 센서와 실린더자물쇠의 시정, 해정을 검지하는 검출기와, 문짝의 걸어맞춤구멍에 걸어넣고 또는 이탈가능한 플랜저와, 상기 센서의 코인투입신호에 의해 상기 플랜저를 상기 문짝에서 이탈하고 상기 검출기의 시정신호에 의해 설정시킨 후에 상기 플랜저를 상기 문짝에 걸어맞춤하는 제어장치를 설치하였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해, 코인로커는 코인이 투입될때까지는 플랜저가 문짝의 걸어맞춤구멍에 걸어넣어져 있기 때문에 문짝은 열수 없는 상태이고 짐을 격납할 수 없다.
코인을 투입하면, 센서의 코인투입신호에 의해 플랜저가 문짝에서 이탈하고 문짝열기가 가능하게 되고, 비로서 짐을 격납할 수 있다.
실린더자물쇠의 시정은 종래의 코인로커와 같이 행하여지고, 일시보관 후에 실린더자물쇠를 해정하면 검출기의 해정신호에 의해 소정시간 후에 재차 플랜저가 문짝에 걸어넣어져 문을 열 수 없는 상태로 된다.
상기의 소정시간은 해정 후의 짐을 꺼내는 경우에 필요한 시간보다도 충분히 긴 시간으로 설정되어 있기때문에 코인로커 사용필 후에 문짝을 열 수 없는 상태로 되어 그후의 부정사용을 금지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제8도∼제1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종래의 코인로커에 하기와 같은 장치를 추가로하여 설정하는 것이다.
제4도 및 제5도에 있어서, 24는 회전저지레버(11)의 절곡편(11b)의 위치를 검출하는 포토센서이고, 내부프레임(3)에 고착된 지지금구(25)에 설치된다. 코인로커가 사용되고 있지 않을때에는, 걸어맞춤핀(11a)에 팽팽하게 건 스프링(12)에 의해 회전저지레버(14)는 반시계방향으로 힘이 가해져, 제4도(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곡편(11b)이 포토센서(24)의 광선을 차단하는 위치에 있다. 그리고 코인(C)이 투입되면, 코인(C)이 걸어맞춤 핀(22)에 의해 낙하가 저지되고, 코인(C)에 의해 핀(11e)이 눌려 눌린 회전저지레버(11)는 스프링(12)에 저항하여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제4도(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곡편(11b)이 포토센서(24)에 떨어져 포토센서(24)가 코인투입을 검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포토센서(24)에 의해 코인투입을 검지하였으나, 회전저지레버(11)의 움직임 마이크로스위치등의 센서로 접지하도록 하여도 좋다. 제2도에 도시안 바와 같이 급속반전레버(14)의 절곡부(14a)의 아래쪽에는 로커프레임틀(1)의 전벽(2)에 마이크로스위치(26) 가 고정설치되고, 실린더자물쇠(13)의 시정 및 해정과 같이 회동하는 급속반전레버(14)의 움직임이 마이크로스위치(26)에 검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 종래의 시정장치의 아래쪽에는 제1도∼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27)가 설치되고, 솔레노이드의 코어봉(27a)의 선단에 레버(28)의 일단이 피봇가능하게 접합되고 레버(28)의 다른끝에 고정설치된 축(29)에 레버(30)의 일단이 고정설치된다.
레버(30)의 다른끝에는 축받이(31)에 대하여 미끄러져 움직이기 가능하게 설치된 플랜저(32)의 후단이 피봇가능하게 접합된다.
그리고 솔레노이드(27)의 코어봉(27a)이 흡인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3도(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어봉(27a) 이 솔레노이드(27)내로 후퇴하고, 플랜저(32)가 로커프레임(1)으로 빠져 있으나, 솔레노이드(27)의 복귀상태로는 코어봉(27a)이 돌출하여 레버(28) 및 레버(30)가 축(29)을 지점으로 하여 회동하고, 플랜저(31)가 로커프레임(l)의 바깥쪽으로 돌출한다.
돌출된 플랜저(32)는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짝(D)의 끝부분에 설치된 걸어맞춤구멍(33)에 끼위넣고, 문짝(D)은 열 수 없는 상태로 된다.
34는 문짝(D)의 손잡이이다.
코인로커는 수평방향으로 복수열, 상하방향으로 복수단 배설되고, 각 코인로커의 솔레노이드(27), 포토센서(24) 및 마이크로스위치(26)는 CPU기판을 가지는 제어장치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기타의 구성은 제8도∼제11도에 도시한 종래예와 같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코인로커의 작용을 제7도의 흐름도에 의하여 설명한다.
또, 흐름에 기재된 스텝번호를 #으로 표시하였다.
[사용하지 않을때]
실린더자물쇠(13)는 해정상태에 있으나, 솔레노이드가 복귀되어 있기 때문에 플랜저(32)가 문짝(D)내로 걸어넣어져서 문을 열 수 없는 상태로 되어 있다(#1).
또 회전저지레버(11)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토센서(24)를 차광하는 위치에 있다.
[로커의 사용]
코인투입구(2a)에 코인(C)을 소정매수 투입하면, 코인(C)은 코인통로내를 통과하여 걸어맞춤핀(22)에 맞닿고, 코인(C)에 의해 핀(11e)을 눌린 회전저지레버(11)가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절곡편(11b)이 포토센서(24)에 떨어져, 포토센서(24)가 ON으로 된다(#2).
포토센서(24)가 ON으로 되지 않는 경우에는 #2 앞으로 되돌아 간다.
포토센서(24)가 ON으로 되면 솔레노이드(27)가 흡인되고 코어봉(27a)이 솔레노이드(27)내에 후퇴하고, 플랜저(32)가 문짝(D)의 걸어맞춤구멍(33)에서 이탈하고, 문짝을 열 수 있는 상태로 된다(#3).
코인로커의 시정장치는 종래와 같기 때문에 코인의 투입에 의해 시정이 가능하게 되고, 로커내에 짐을 격납반 후에 키이에 의해 실린더자물쇠(13)를 시정한다.
실린더자물쇠(13)와 같이 급속반전레버(14)가 시정방향으로 회동하면, 이동하는 절곡부(14a)에 의해 마이크로스위치(26)가 ON으로 된다(#4).
마이크로스위치(26)가 ON으로 되지 않는 경우에는 #4의 앞으로 되돌아 간다. 시정한 후에 키이를 뽑아낸 손님은 키이를 휴대하고 떠난다.
키이가 뽑아지면, 유료의 코인로커에서는 코인(C)이 낙하하여 아래쪽의 요급수납상자에 격납되고, 무료의 코인로커에서는 코인통로내를 전동하여 코인통로내에 돌출된 저지편(15b)에 걸린다.
일시보관한 짐을 찾으러 돌아온 손님은 키이를 실린더자물쇠(13)에 넣고 해정방향으로 회동하면, 시정레버(23)가 빠져서 문을 열 수 있게 되고, 무료의 코인로커에서는 코인(C)이 코인분출구(2b)로 방출된다. 또, 급속반전레버(14)가 해정방향으로 회동하여 절곡부(14a)가 마이크로스위치(26)에서 떨어져 마이크로스위치(26)가 OFF로 된다(#5).
마이크로스위치(26)가 OFF로 되지 않을때에는 #5의 앞으로 되돌아 간다.
마이크로스위치(26)가 OFF로 되면 타이머가 작동한다(#6).
코인(C)은 이미 걸어맞춤핀(22)에서 낙하하고 있기 때문에 회전저지레버(11)는 제4도(a)의 상태로 복귀되어 있고 절곡편(11b)에 차광된 포토센서(24)는 OFF로 된다.
따라서, 포토센서(24) 가 ON이 아닌것이 확인되면(#7), 타이머가 타임업된 후에(#8), 솔레노이도(27)가 복귀한다(#9)
타이머가 스타아트(#6)한 후 타임업하기 전에, 다음의 손님이 코인투입구(2a)에 코인(C)을 투입하면, 회전저지레버(11)가 제4도(b)의 상태로 되어 포토센서(24)가 ON으로 되기 때문에, #7의 스텝에서 #4의 앞으로 되돌아가고, 그대로 코인로커가 사용된다.
#9의 스텝에 있어서, 솔레노이드(27)가 복귀하면, 플랜저(32)가 문짝(D)의 걸어맞춤구멍(33)에 끼워넣어 문을 열 수 없는 상태로 된다.
따라서, 사용하지 않는 코인로커는 문을 열 수 없는 상태로 시정되어, 부정사용을 금지함과 동시에 #2앞의 스텝으로 되돌아가서 다음의 손님을 기다린다.
본 발명은, 종래의 코인로커의 시정장치의 내부에 문여는 것을 제한하는 장치를 설치하여 각 코인로커의 장치를 일괄제어하는 제어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사용하지 않을때의 코인로커를 문을 열 수 없는 상태로 하고, 코인로커의 부정 사용을 배제함과 동시에, 로커에 짐을 넣기전에 사용요금의 징수를 가능하게 한다.

Claims (1)

  1. 소정의 코인이 투입되었을 경우에 실린더자물쇠의 시정 및 해정이 가능하게 되는 코인로커에, 코인의 투입을 검지하는 센서와, 상기 실린더자물쇠의 시정 및 해정을 검출하는 검출기와, 문짝의 걸어맞춤구멍에 걸어넣기 또는 이탈가능한 플랜저와, 상기 센서의 코인투입신호에 의해 상기 플랜저를 상기 문짝에서 이탈하고 상기 검출기의 해정신호에 의해 설정시간 후에 상기 플랜저를 상기 문짝에 걸어맞춤하는 제어장치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로커.
KR1019880017588A 1987-12-28 1988-12-27 코인로커 KR9200060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330026 1987-12-28
JP62330026A JPH06101069B2 (ja) 1987-12-28 1987-12-28 コインロッカ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0775A KR890010775A (ko) 1989-08-10
KR920006091B1 true KR920006091B1 (ko) 1992-07-27

Family

ID=18227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7588A KR920006091B1 (ko) 1987-12-28 1988-12-27 코인로커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4957196A (ko)
JP (1) JPH06101069B2 (ko)
KR (1) KR9200060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002605D0 (en) * 1990-02-06 1990-04-04 Rankine Gordon Storage devices
US5449230A (en) * 1993-10-26 1995-09-12 Murray; Peter Storage lockers
US20070125621A1 (en) * 2005-12-06 2007-06-07 Locknet, Llc Token Operated Access Control System
US8381751B2 (en) * 2009-05-18 2013-02-26 Vito Ignatius Bartolotta Automated dump station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03973A (en) * 1950-02-07 1955-03-15 Henry J Fawcett Clothing impregnator apparatus having vaporizing means therein
DE1149559B (de) * 1960-12-23 1963-05-30 Rolf Makkus Dr Gefach-Selbstverkaeufer mit elektromechanischer Verriegelung
JPS5252698A (en) * 1975-10-24 1977-04-27 Glory Ltd Rent time control device for rental lockers
JPS5252699A (en) * 1975-10-24 1977-04-27 Glory Ltd Control device for rental lockers
DE2726908C2 (de) * 1977-06-15 1979-04-19 Schulte-Schlagbaum Ag, 5620 Velbert Mit Zeituhr ausgestattetes Münz-PfandschloB
DE2938398A1 (de) * 1979-09-22 1981-04-09 Schulte-Schlagbaum Ag, 5620 Velbert Gepaeck-aufbewahrunsanlage
JPS58207198A (ja) * 1982-05-28 1983-12-02 国産金属工業株式会社 施錠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6101069B2 (ja) 1994-12-12
KR890010775A (ko) 1989-08-10
JPH01173192A (ja) 1989-07-07
US4957196A (en) 1990-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96416B1 (en) Device for dispensing articles of value and magazine therefor
EP0519559B1 (en) Currency security box
KR920006091B1 (ko) 코인로커
JPS61276097A (ja) 自動料金徴収装置及びその現金箱
US3552535A (en) Convertible coin operated locking mechanism
US4359184A (en) Self-locking coin receptacle and cover therefor
US5174427A (en) Disk-enabled actuator
FI88970B (fi) Myntautomat
US2767570A (en) Coin-controlled locker
JP3145188B2 (ja) コインロッカ錠装置
JP4276226B2 (ja) キーシステム
US3397765A (en) Coin operated lock
JP4383331B2 (ja) コインロッカーシステム
JPH03206274A (ja) 着脱式金庫のロック機構
JPH01233596A (ja) コイン作動ロックユニット及びコイン保持機構
KR200195415Y1 (ko) 코인 로커에 있어서의 자물쇠 잠금장치
JPH06103515B2 (ja) コインロッカー錠装置
US4830168A (en) Coin and key operated cam lock
US4513851A (en) Coin counting and release mechanism
US3450244A (en) Coin operated lock mechanism
US3441118A (en) Coin lock mechanism
JPH06101067B2 (ja) 前金徴収可能な貸しロッカー錠装置
US4397382A (en) Coin operated meter
US1981074A (en) Coin controlled locking mechanism
JPS5914867Y2 (ja) 販売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30325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