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6053Y1 - 고정부재 부착 콘넥터 - Google Patents

고정부재 부착 콘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6053Y1
KR920006053Y1 KR2019890012262U KR890012262U KR920006053Y1 KR 920006053 Y1 KR920006053 Y1 KR 920006053Y1 KR 2019890012262 U KR2019890012262 U KR 2019890012262U KR 890012262 U KR890012262 U KR 890012262U KR 920006053 Y1 KR920006053 Y1 KR 9200060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fixing member
connector
chamber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122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5730U (ko
Inventor
미쯔히로 후지다니
아끼라 나베시마
세이지 히라노
Original Assignee
스미도모 덴소오 가부시기가이샤
시미즈 히데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도모 덴소오 가부시기가이샤, 시미즈 히데오 filed Critical 스미도모 덴소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00573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573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60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605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36Securing a plurality of contact members by one locking piece or operation
    • H01R13/4364Insertion of locking piece from the fro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4Securing in base or case composed of a plurality of insulating parts having at least one resilient insulating part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고정부재 부착 콘넥터
제1a로 내지 제1d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의 암콘넥터를 나타내는 것으로, 제1a도는 그 정면도.
제1b도는 제1a도의 IB-IB선에서 본 단면도.
제1c도는 그 단자 수용실의 횡단면도.
제1d도는 그 작용상태의 정면도.
제2a도 내지 제2d도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의 수콘넥터를 나타내는 것으로, 제2a도는 그 정면도.
제2b도는 제2a도의 IIB-IIB선에서 본 단면도.
제2c도는 그 단자 수용실의 횡단면도.
제2d도는 그 작용상태의 정면도.
제3a도 내지 제3c도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의 콘넥터를 나타내는 것으로, 제3a도는 그 정면도.
제3b도 및 제3c도는 작용상태의 정면도.
제4a도 및 제4b도는 종래의 고정부재 부착콘넥터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암단자 2 : 수단자
3 : 암콘넥터 4 : 수콘넥터
5 : 단자수용실 6A,6B,6C : 고정부재
7 : 탄설걸림편 8 : 상부주벽
9 : 압압돌출줄기 10 : 절결부
11 : 걸림편압압부 12 : 시일용 링
14 : 삽입슬릿 15 : 걸림편
본 고안은 콘넥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수단자 또는 암단자를 수용하는 단자수용실의 전단외주에 캡형상의 고정부재를 끼워붙이는 고정부재 부착콘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대표적인 고정부재 부착 콘넥터의 일예를 제4a도및 제4b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4a도 및 제4b도는 종래의 고정부재 부착콘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고정부재 부착콘넥터는 도면에 예시한 바와 같이 암단자(도시생략)를 수용하는 단자수용실(5)을 가지는 암콘넥터(3)와, 별개의 캡형상의 고정부재(6A) 또는 수단자(도시생략)를 수용하는 단자수용실(5)을 가지는 수콘넥터(4)와, 별개의 캡형상의 고정부재(6B)로 이루어진다. 그 암콘넥터(3)는 시일용 링(12)을 단자수용실(5)의 중간외주부(17)에 장착한후 고정부재(6A)를 단자수용실(5)군의 전단외주에 끼워붙여 시일용 링(12)의 후퇴를 방지한다. 또한 암콘넥터(3)는 고정부재(6A)의 주벽에 의하여 단자걸림용 탄성걸림편(7)(단자수용실(5)에 수용한 단자의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단자 수용실(5)의 후방에 고정단을 가지고 단자 수용실(5)의 전단근방에 걸림용 자유단을 가지는 일측지지비임 형상의 걸림편)의 자유단 부분을 밀어넣어 탄설걸림편(7)에 의한 암단자의 걸림작용의 안정과, 단자수용실(5)군의 전단부분의 기계적 강도의 향상을 도모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수콘넥터(4)는 수단자를 수용한 단자수용실(5)군의 전단외주에 고정부재(6B)를 끼워붙이고, 동일하게 탄설걸림편(7)의 자유단부분을 밀어넣어 탄설걸림편(7)에 의한 수단자의 걸림작용의 안정과, 단자수용실(5)군의 전단부분의 가계적강도의 향상을 도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면중 15는 고정부재(6A, 6B)를 암콘넥터(3) 또는 수콘넥터(4)에 고정걸림하는 걸림편, 도면중 16은 동일하게 콘넥터에의 걸림포울(pawl), 도면중 13은 고정부재(6B)를 단자수용실(5)에 착탈할때의 조작편, 20은 고정부재(6A,6B)에 설치한 단자 삽통구멍이다. 그리고 이상의 고정부재(6A, 6B)모두 내측에 설치한 걸림포올(16)에 의하여 단자 삽입전의 단자수용실(5)의 외주에 고정부재(6A,6B)를 가걸림하는 1차걸림 기구와, 마찬가지로 내측에 설치한 걸림편(15)을 단자수용실(5)의 절격(5A)에 거는 2차걸림 기구를 가지고 있다. 이 2차걸림기구에 의하여 고정부재(6A,6B)를 안자 수용실(5)의 외주에 본격적으로 거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한 고정부재(6A,6B)부착콘넥터를 포함하는 콘넥터는 단자수용실(5)의 후방으로부터 암단자 또는 수단자를 삽입하는 작업성을 화보하기 위하여 단자 수용실(5)과 각 단자와의 사이에 적절한 유동간극이 형성되어있다. 단자수용실(5)과 각 단자와는 유동 끼워맞춤의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단자 수용실(5)내의 각 단자가 유동간극량에 따라「덜컥거림」을 피할수가 없다. 그「덜컥거림」에 의하여 각 단자의 배열이 흐트러지므로 암수단자의 결합작업성이 나쁘고, 또한 무리한 삽입에 의하여 단자가 손상 또는 변형되어 전기적 성능이 저하하는 일도 있다.
또 상기한 고정부재 부착콘넥터는 고정부재(6A,6B)의 주벽에 의하여 탄성걸림편(7)의 자유단부분을 밀어넣어 탄성걸리미편(7)에 의한 단자의 걸림작용의 안정을 도모하는 경우 미리 삽입되는 단자의 반삽입의 불량 삽입상태일때에도 고정부재(6A,6B)는 그대로 끼워붙여지기 때문에 단자의 삽입불량이 검지되지 않아 불량콘넥터가 생기는 일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고정부재 부착 콘넥터에 있어서, 상기한 단자의 배열의 흐트러짐을 방지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단자 반십압에 의한 불량 콘넥터의 감지기능을 고정부재에 부여함과 동시에 콘넥터에의 고정부재의 부착을 잊는 것을 방지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제1의 실시예에 의거한 고정부재 부착콘넥터는 단자 수용실의 전단외주에 끼워붙이는 캡형상의 고정부재를 가지는 고정부재 부착콘넥터에 있어서, 고정부재의 주벽내측에 개개의 단자수용실에 대응하여 배열한 압압돌출 줄기를 전후방향으로 설치함과 동시에 다자 수용실의 상벽부에 그 단자수용실의 전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하고 또 상기 압압돌출 줄기를 받아들이는 띠형상의 절결부를 설치하여 그 압압돌출 줄기와 그 단자수용실의 저벽에 의하여 협착고정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본 고안의 제2의 실시예에 의거한 고정부재 부착콘넥터는 단자수용실의 전단외주에 끼워붙이는 캡형상의 고정부재를 가지고 끼워붙인 고정부재의 주벽에 의하여 단자 수용실에 설치한 단자 걸림용의 일측지지 비임형상 탄설걸림편의 자유단 부위를 밀어넣는 고정부재 부착콘넥터에 있어서, 그 일측지기 비임형상 탄성 걸림편을 자유단이 단자 수용실내로 향사는 점차 높은 경사의 경사비임으로 함과 동시에 그 고정부재의 주벽 내측과 그 탄설걸림편의 자유단 부위에 형성한 걸림요부와 걸림동기로 이루어진 걸림기구를 설치하여 단자의 삽입저항에 의하여 그 탄설걸림편을 수평비임으로 하여 상기 걸림수평비임으로부터 상기 걸림기구를 걸어맞층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제1의 실시예에 의한 콘넥터는 단자수용실에 삽입한 단자가 고정부재의 압압돌출 줄기에 의하여 협착고정되므로 단자와 단자 수용실간의 유동간극에 의거한 단자의「덜컥거림」이 방지되어 단자의 배열이 안장되고 콘넥터 상호간의 결합 작업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배열 흐트러짐에 의한 단자의 변형이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제2의 실시예에 의한 콘넥터는 단자가 단자 수용실에 정상적으로 수용되어 탄설걸림편과 걸어맞춤하면 탄성걸림편이 수평비임으로 되어 고정부재와 탄성걸림편의 2차걸림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단자가 삽입부족(단자가 삽입되어 있지 않는 상태롤 포함)일때는 탄성걸림편이 수평비임으로 되지 않고 고정부재의 끼워붙임 자세가 걸림 불가능하게 되어 2차 걸림이 되지 않다. 이와같이 하여 단자의 삽입불량을 방지할 수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의 고정부재 부착콘넥터의 실시예에 관하여 살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에 의거한 제1및 제2실시예를 제1도 및 제2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암단자(1)를 단자수용실(5)에 수용하고 단자수용실(5)군의 전단부분을 일괄한 외주에 끼워붙이는 캡형상의 고정부재(6A)를 가지는 고정부재 부착 암콘넥터(3)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있어서 고정부재(6A)의 상부주벽(8)의 내측에는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뻗은 압압돌출 줄기(9)가 설치되고 이 압압돌출 줄기(9)는 암콘넥터(3)의 각각의 단자수용실(5)의 상부 중앙에 대응하여 단수 또는 복수(도면에는 2줄을 나타냄)로 배열형성됨과 동시에 고정부재(6A)의 전연부(6')로 부터 약간의 걸림편 압압부(11)를 남기고 융기하여 후단까지 뻗어 있다. 단자 수용실(5)의 상벽부에는 단자수용실(5)의 상벽을 절결하여 띠형상을 이루고 상기 압압돌출줄기(9)를 받아들이는 절결부(10)가 전단으로 부터 후방을 항햐여 형성되어 있다, 고정부재(6A)를 단자수용실(5)군의 일괄외주에 끼워붙이면 제1d도와 같이 압압돌출 줄기(9)가 개개의 단자 수용실(5)의 절결부(10)에 끼워들어자고 압압돌출 줄기(9)가 암단자(1)의 접촉부(1A)의 상연을 밀어넣어 암단자(1)를 단자수용실(5)의 저벽과 압압돌출돌기(9)에 의하여 협착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부재(6A)의 걸림편압압부(11)에 의하여 단자 수용실(5)의 탄설걸림편(7)의 자유단 부분의 외측을 밀어넣음과 동시에 단자수용실(5)군의 중간부분의 외주에 장착한 시일용 링(12)은 고정부재(6A)의 전연으로 압압되어 후퇴가 방지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제2도는 수단자(2)를 단자수용실(5)에 수용하고 단자수용실(5)군의 전단부분의 일괄외주에 끼워붙이는 캡형상의 고정부재(6B)를 가지는 고정부재 부착 수콘넥터(4)를 나타낸고 있다. 이 수콘넥터(4)도 상기의 암콘넥터(3)와 마찬가지로 고정부재(6B)의 상부주벽(8)의 내측에는 전단으로 부털 후벽으로 뻗는 압압돌출줄기(9)가 설치되고 압압돌출줄기는 수콘넥터(4)의 각각의 단자수용실(5)의 상부중앙에 대응하여 배열되고 단수 또는 복수(도면에는 2줄을 나타냄)로 형성되어 있다. 단자 수용실(5)에는 상벽을 절결하여 띠형상으로 상기의 압압돌출줄기(9)를 받아들이는 절결부(10)가 전단에서 후방을 향하여 형성되어 있고 고정부재(6B)를 단자 수용실(5)군의 일괄외주에 끼워붙이면 제2d도와 같이 압압돌출줄기(9)가 개개의 단자수용실(5)의 절결부(10)에 끼워 넣어지고 압압돌출출기(9)가 수단자(2)의 중간팽출부(2A)의 상연을 밀어넣어 수단자(2)를 단자수용실(5)의 저벽과 압압돌출줄기(9)에 의하여 협착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고정부재(6A,6B)는 고정부재(6A,6B)를 단자수용실(5)군의 외주에 끼워붙여 걸기 위한 걸림편(15)과 걸림포올(16)이 설치되어 있다.
또 암콘넥터(3)의 단자수용실(5)의 인접간에는 암콘넥터(3)와 수콘넥터(4)가 결합할때 수콘넥터(4)에 끼워붙인 고정부재(6B)의 조작편(13)을 삽입하는 조작편 삽입슬릿(14)이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암콘넥터(3)와 수콘넥터(4)는 고정부재(6A,6B)의 압압돌출줄기(9)가 암단자(1)와 수단자(2)를 단자수용실(5)내로 따로따로 밀어넣어 협착 고정하므로 단자 수용실(5)과 암단자(1), 수단자(2)간의 유동간극에 의거한 단자의「덜컥거림」이 없어져 각 단자의 배열이 안정되고 단자의「덜컥거림」에 의한 트러블을 해소할 수가 있다.
다음에 본 고안에 의한 제3의 실시예를 제3도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고안에 의거한 제3의 실시예는 증래의 고정부재(6A,6B)를 단자수용실(5)군의 외부에 끼워붙어 거는 걸림편(15)을 대신하는 것으로 2차걸림기구의 한 방법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단자수용실(5)에 수용한 단자(1)의 수용자세를 거는 탄성걸림편(7)을 가지고 고정부재(6C)를 단자수용실(5)의 외주에 끼워붙임과 동시에 고정부재(6C)의 주벽에 의하여 탄성걸림편(7)을 밀어넣어 탄성걸림편(7)에 의한 단자(1)의 걸림작용을 안정시킨다.
탄성걸림편(7)은 자유상태에서 자유단(7A)이 단자수용실(5)의 방향으로 점차 높게 경사되는 임의 경사각(θ)의 경사 일측 지지 비임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그 경사 일측지지비임의 탄성걸림편(7)의 자유단(7A)의 외측과 고정부재(6C)의 주벽내측에 형성한 걸림요부(21)와 걸림돌기(22)로 이루어진 걸림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단자수용실(5)에 단자(1)가 삽입되어 정상위치로 되면 제3b도와 같이 탄성걸림편(7)은 단자(1)의 삽입저항에 의하여 경사각(θ)을 해소하는 방향으로 탄성휘어짐을 발생시켜 수평비임으로 되고 탄성걸림편(7)의 걸림단차부(18)와 단자(1)의 걸림부(19)가 걸어맞춤하여 단자의 삽입자세를 건다. 동시에 탄성 걸림편(7)과 고정부재(6C)의 걸림요부(21)와 걸림돌기(22)가 걸어맞춤하여 고정부재(6C)의 끼워붙임 자세와 탄성걸림편(7)와 단자(1)의 걸림자제를 록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상의 걸림기구를 가지는 제3도에 나타낸 고정부재 부착콘넥터는 단자(1)가 정상위치에 삽입되면 탄성절림편(7)이 수핑비임으로 되어 상기한 걸림기구는「찰칵」하고 느낌이 좋게 걸어맞춤한다. 그리고 단자(1)의 삽입량이 부족한 단자 반삽입상태에서는 제3c도와 같이 탄성걸림편(7)은 경사각(θ')이 해소되지 않고 경사비임의 형상을 유지하므로 고정부재(6C)와 탄성걸림편(7)의 걸림기구의 걸어맞춤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때문에 단자 미삽입상태에서 고정부재는 가걸림상태로 용이하게 되돌아간다.
또한 제3도는 암나자(1)의 암콘넥터(3)를 나타냈으나 상기의 경사비임구성의 탄성걸림편(7)과 상기의 고정부재(6C)의 걸림기구는 수콘넥터에도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과 같이 본 고안의 고정부재 부착콘넥터는 단자 수용실내의 단자의「덜컥거림」을 방지하여 배열을 안정시키므로 콘넥터의 결합 작업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단자의 손상 또는 변형을 방지하고 또 단자의 미삽입의 경우에는 고정부재의 끼워붙임 자세가 걸림 불능으로 되어 2차 걸림을 하지 않기 때문에 고정부재 부착콘넥터 조립체로서 가걸림의 상태에서 조립할 수 있으므로 고정부재의 부착을 잊는 일이 없어져 불량 콘넥터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고 콘넥터의 성능, 품질 보증의 안정 및 향상을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단자 수용실의 전단외주에 끼워붙이는 캡형상의 고정부재를 가지는 고정부재 부착 콘넥터에 있어서, 개개의 단자수용실에 대응 배열한 압압돌출줄기를 고정부재의 주벽 내측에 전후방향으로 설치함과 동시에 그 단자수용실의 상벽부에 그 단자 수용실의 전단으로부터 후방으로 뻗고 또한 상기 압압돌출줄기를 받아 들이는 띠형상의 절결부를 설치하고 그 압압돌출줄기와 그 단자 수용실의 저벽에 의하여 단자를 협착고정하는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고정부재 부착 콘넥너.
KR2019890012262U 1988-08-26 1989-08-22 고정부재 부착 콘넥터 KR920006053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8112592U JPH0528689Y2 (ko) 1988-08-26 1988-08-26
JP88-112592 1988-08-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5730U KR900005730U (ko) 1990-03-09
KR920006053Y1 true KR920006053Y1 (ko) 1992-08-29

Family

ID=14590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12262U KR920006053Y1 (ko) 1988-08-26 1989-08-22 고정부재 부착 콘넥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127854A (ko)
EP (1) EP0356222B1 (ko)
JP (1) JPH0528689Y2 (ko)
KR (1) KR920006053Y1 (ko)
CN (1) CN1040856A (ko)
CA (1) CA1307567C (ko)
DE (1) DE68921817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45630B2 (ja) * 1992-07-24 1997-08-25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2575393Y2 (ja) * 1992-11-11 1998-06-25 住友電装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
US5328382A (en) * 1993-04-13 1994-07-12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with external seal and internal terminal retaining means
JP2813622B2 (ja) * 1993-08-06 1998-10-22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固定用フロント部材を有するコネクタ
DE4427189C2 (de) * 1993-08-06 1999-11-18 Yazaki Corp Elektrischer Steckverbinder
JPH07211381A (ja) * 1994-01-19 1995-08-11 Yazaki Corp 二重係止コネクタの係止方法及び構造
GB9407293D0 (en) * 1994-04-13 1994-06-08 Amp Gmbh Electrical connector with secondary latch
DE4418004C2 (de) * 1994-05-21 1998-08-06 Delphi Automotive Systems Gmbh Elektrische Verbindung, insbesondere für Kraftfahrzeuge
DE4423962A1 (de) * 1994-07-07 1996-01-11 Grote & Hartmann Steckverbinder
FR2723802B1 (fr) * 1994-08-19 1998-06-26 Amp France Structure de connecteur electrique.
CN1075675C (zh) * 1994-08-19 2001-11-28 惠特克公司 连接组件
US5520553A (en) * 1994-12-08 1996-05-28 Molex Incorporated Connector with a front end mounted terminal position assurance system
JP3032942B2 (ja) * 1995-01-18 2000-04-17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PT746057E (pt) * 1995-05-31 2000-04-28 Molex Inc Sistema para assegurar a posicao dos terminais num conector electrico
US5785559A (en) * 1995-08-31 1998-07-28 The Whitaker Corporation Connector assembly with coded secondary locking mechanism
JP3244254B2 (ja) 1996-02-23 2002-01-07 矢崎総業株式会社 二重係止コネクタ
US5913697A (en) * 1996-12-10 1999-06-22 The Whitake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secondary lock
CN1092854C (zh) * 1997-03-24 2002-10-16 鸿海精密工业股份有限公司 连接器基板固持装置
US6045404A (en) * 1997-06-30 2000-04-04 The Whitake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terminal position assurance device
JPH1152001A (ja) * 1997-07-31 1999-02-26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検査装置の検査部
US5993255A (en) * 1997-12-17 1999-11-30 The Whitake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combination terminal guide and terminal position assurance member
US6142826A (en) * 1998-03-13 2000-11-07 The Whitaker Corporation Sealed electrical connector with secondary locking member
US6010364A (en) * 1998-04-22 2000-01-04 Osramsylavania Inc. Electrical connector with gasket abutting locking spacer
US6062906A (en) * 1998-08-31 2000-05-16 Sumitomo Wiring Systems, Ltd. Electrical connector and retaining member therefor
KR100427051B1 (ko) * 2002-05-07 2004-04-13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커넥터의 단자 이중 록킹구조
CN101316059B (zh) * 2007-05-31 2012-04-18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电机定子的端子壳的连接结构
JP2012156045A (ja) * 2011-01-27 2012-08-16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CH705121A1 (de) * 2011-06-16 2012-12-31 Arx Ag Schnellkupplung zur Verbindung eines Wechselkopfes.
JP2014203699A (ja) * 2013-04-05 2014-10-27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6730353B2 (ja) * 2018-03-20 2020-07-29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KR102202088B1 (ko) * 2019-12-18 2021-01-11 류정구 자동차 내장재용 가죽 커버링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01760A (en) * 1969-03-17 1971-08-24 Ford Motor Co Electrical connector
US3686619A (en) * 1970-08-19 1972-08-22 Essex International Inc Electrical connector construction
FR2408231A1 (fr) * 1977-11-08 1979-06-01 Rkg Connecteur electrique et boitier de connexions electriques comportant de tels connecteurs electriques
JPS5646817A (en) * 1979-09-27 1981-04-28 Ryuta Ito Saponin antitumor agent
US4343523A (en) * 1980-05-27 1982-08-10 Ford Motor Company Printed circuit board edge connector
GB2081526B (en) * 1980-07-30 1984-09-12 Lucas Industries Ltd Electrical connector
US4557542A (en) * 1984-06-11 1985-12-10 Amp Incorporated Connector with means for retaining terminals and verifying seating
JPH0347261Y2 (ko) * 1986-05-30 1991-10-08
JPH0319180Y2 (ko) * 1986-08-27 1991-04-23
US4714437A (en) * 1987-01-20 1987-12-22 Ford Motor Company Electrical connector
US4806123B1 (en) * 1987-02-03 1997-12-23 Furukawa Electric Co Ltd Electrical connector device with a number of terminals
JPH01213973A (ja) * 1988-02-23 1989-08-28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356222B1 (en) 1995-03-22
JPH0528689Y2 (ko) 1993-07-23
US5127854A (en) 1992-07-07
EP0356222A3 (en) 1990-12-05
CN1040856A (zh) 1990-03-28
DE68921817T2 (de) 1995-07-13
CA1307567C (en) 1992-09-15
JPH0234082U (ko) 1990-03-05
KR900005730U (ko) 1990-03-09
DE68921817D1 (de) 1995-04-27
EP0356222A2 (en) 1990-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6053Y1 (ko) 고정부재 부착 콘넥터
US4711508A (en) Terminal retaining structure for connector
KR940002223Y1 (ko) 코넥터
US6563927B2 (en) Back cover for a mobile phone
EP0894201B1 (en) Detachable connection between two housing sections
US7374465B2 (en) Connector
EP0482731B1 (en) A helmet with a visor
US7862273B2 (en) Part mounting mechanism
EP0851535B1 (en) Connector members
US20060292928A1 (en) Electrical connector
JP3083061B2 (ja) ヒューズ接続構造
JPH09180803A (ja) 端子抜け止め具付きコネクタ
US9640905B2 (en) Connector
US7318748B2 (en) Connector
US5545061A (en) Panel lock connector
US5123866A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terminal retaining member
US20080299812A1 (en) Connector
US5816856A (en) Apparatus for detecting and locking electrical connector terminals
CN109546451B (zh) 二次锁紧式连接器组件
US6994597B2 (en) Connector enabling secure retention of contacts relative to insulator
US20020111066A1 (en) Connector
US7814624B2 (en) Self draining snap fastener sockets
US5685745A (en) Terminal connector having an open top for easy release of the terminals
US5863224A (en) Retainer type connector
US6176726B1 (en) Electrical connection box including a connector housing and mating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81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