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2088B1 - 자동차 내장재용 가죽 커버링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내장재용 가죽 커버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2088B1
KR102202088B1 KR1020190169525A KR20190169525A KR102202088B1 KR 102202088 B1 KR102202088 B1 KR 102202088B1 KR 1020190169525 A KR1020190169525 A KR 1020190169525A KR 20190169525 A KR20190169525 A KR 20190169525A KR 102202088 B1 KR102202088 B1 KR 1022020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mold
foaming liquid
push block
in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9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정구
류봉구
Original Assignee
류정구
류봉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정구, 류봉구 filed Critical 류정구
Priority to KR10201901695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20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20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20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53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ombined with a final operation, e.g. shaping
    • B29C45/0055Sha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 B05C1/0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eparat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4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 B29C65/5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way of applying the adhesive
    • B29C65/52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way of applying the adhesive by spraying, e.g. by flame spra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1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 B29C66/814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 B29C66/8141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surface geometry of the part of the pressing elements, e.g. welding jaws or clamps,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parts to be joi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2Pressure application arrangements, e.g. transmission or actuating mechanisms for joining tools or clamps
    • B29C66/824Actuating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품의 형상에 따라 진공 성형한 원단의 중단부 영역이 안착되는 바텀몰드; 상기 바텀몰드 일측에 배치되어 원단의 일측 나머지 영역이 안착되는 제1사이드몰드; 상기 바텀몰드 타측에 배치되어 원단의 타측 나머지 영역이 안착되는 제2사이드몰드; 상기 바텀몰드 상부 측에 이격 배치되고 제품의 형상으로 사출 성형된 본체부가 고정되는 탑몰드; 원단의 상부 표면에 발포액을 도포하는 발포액분사유닛; 및 상기 발포액분사유닛에 의해 원단의 상부 표면에 발포액이 도포된 상태에서 상기 탑몰드를 하강시켜 원단과 본체부를 합착(合着)시키기 위한 탑몰드승강수단;으로 이루어지도록 구현함으로써, 원단을 받치는 바텀몰드 양측에 원단의 역구배 부위를 지지하면서 구동에 의해 후퇴 동작할 수 있는 코어형 몰드를 마련하여 합착 이후 완성된 제품의 탈형이 용이하도록 한 자동차 내장재용 가죽 커버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 내장재용 가죽 커버링 장치{LEATHER COVERING APPARATUS FOR AUTOMOBILE INTERIORS}
본 발명은 진공 성형되어 바텀금형의 상부에 밀착된 원단과 사출 성형되어 탑금형에 고정된 본체부에서 원단 상부 표면에 발포액을 주입 후 경화시킨 상태에서 하강하는 탑금형에 의해 원단과 본체부가 합착(合着)되어 하나의 제품이 완성되고, 특히 원단의 양측 역구배 부위를 지지하는 한 쌍의 코어를 후퇴시켜 제품 탈형이 용이하도록 한 자동차 내장재용 가죽 커버링 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인 차량용 내장재로는 도어트림, 필러, 트렁크매트, 패키지트림, 헤드라이너 등이 있으며, 이러한 내장재는 차종에 따라서 내장재의 미감이나 질감을 위하여 표면에 엠보 무늬가 형성된 연질의 표피재가 경질의 기재에 부착되어 제작된다. 즉, 차종에 따라서는 경질의 기재만을 사출 성형한 내장재가 이용되기도 하나, 고급 차종에서는 경질의 기재에 직물과 같은 연질의 원단이 표피재로 부착되어 사용된다.
이러한 경질의 기재 재질로는 피피(PP), PP펠트(POLY-PROPYLENE FELT), PP보드(POLY-PROPYLENE BOARD), 에이비에스(ABS), 우스드탁(WOOD STOCK), 레진펠트(RESIN FELT) 등이 주로 사용되고, 그 기재 표면에 접착되는 연질의 표피재로는 부직포나 직물, 가죽 또는 피브이시(PVC), 티피오(TPO)로 된 스킨지 이면에 피이폼(P.E FOAM), 피피폼(P.P FOAM), 피유폼(P.U FOAM) 등이 부착된 것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금형 등을 이용해 기재에 표피재를 커버링 하기 위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210708호 (2012.12.04.등록, 이하에서는 ‘문헌 1’이라고 함) 『차량용 내장재의 성형장치』가 제시되어 있는바,
문헌 1은 표피재가 클램핑되는 상금형과, 사출 기재가 유입되는 하금형, 그리고 상금형과 하금형 중 어느 하나를 상하 이동시켜서 상호 형합 또는 분리시키는 금형 이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량용 내장재의 성형장치에 있어서, 상금형의 내부 저면에서 표피재의 전사를 위한 엠보 무늬가 형성되는 베이스부재와; 표피재의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클램프, 클램프를 상하 이동시키는 수직 실린더, 그리고 수직 실린더를 좌우 이동시키는 수평 실린더를 구비하고, 표피재의 가장자리를 클램핑하여 표피재와 베이스부재 사이의 내부 공간을 실링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함으로써, 표피재의 표면에 엠보 무늬를 보다 선명하게 전사할 수 있고, 또한 표피재가 접히거나 울지 않게 되면서, 표피재에 대한 클리닝 효과도 기대할 수 있는 차량용 내장재의 성형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다른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7-0133606호 (2017.12.06.공개, 이하에서는 ‘문헌 2’라고 함) 『자동차 내장재 제조용 금형』이 제시되어 있는바,
문헌 2는 상부금형; 상기 상부금형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하게 조합되는 하부금형; 상기 하부금형과 제1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는 밀핀 지지판; 상기 밀핀 지지판과 연결되는 밀핀; 상기 밀핀지지판과 제2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는 원단 컷팅부 지지판; 상기 원단 컷팅부 지지판과 연결되는 원단 컷팅부; 상기 하부금형과 체결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로부터 전진 및 후진하는 피스톤로드 ; 및 상기 피스톤로드와 상기 원단 컷팅부 지지판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함으로써, 사출물의 성형 시 원단이 함께 부착되는 공정에서 상기 원단의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함에 있어서 수작업과 같은 별도의 공정으로 제거하는 것이 아닌, 기계적인 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제거하는 것이 가능한 자동차 내장재 제조용 금형에 관한 기술이다.
또 다른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8-0047635호 (2018.05.10.공개, 이하에서는 ‘문헌 3’이라고 함) 『차량용 내장재 제조장치』가 제시되어 있는바,
문헌 3은 제1 부재가 안착되는 캐비티부를 갖는 제1 금형; 상기 캐비티부에 안착된 상기 제1 부재측으로 제2 부재를 사출하는 사출구가 구비된 제2 금형; 및 상기 제1 금형 및 상기 제2 금형이 형폐될 때,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금형이 이루는 압축공간의 외부로 상기 제2 부재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2 금형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실링코어;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금형 및 상기 제2 금형이 형폐될 때, 상기 제1 부재의 경계부(Parting Line)는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상기 실링코어의 대향되는 면은 대응되는 형상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됨으로써, 사출 시에 사출 기재의 누출을 방지하고, 사출 후공정인 감싸기 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내장재 제조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문헌 1.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210708호 (2012.12.04.등록) 문헌 2.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7-0133606호 (2017.12.06.공개) 문헌 3.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8-0047635호 (2018.05.10.공개)
본 발명은 바텀몰드 양 측에 진퇴 동작을 하는 코어형 몰드를 더 마련하여 제품 성형이 완료되면 코어를 후퇴시켜 제품 탈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자동차 내장재용 가죽 커버링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원단에 발포액 도포 시 원단의 형상에 맞게 각 분사노즐이 원단의 형상 라인을 따라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하여 발포액 분사 시 원단의 표면에 골고루 일정량이 분사 도포될 수 있도록 한 자동차 내장재용 가죽 커버링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해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내장재용 가죽 커버링 장치는,
제품의 형상에 따라 진공 성형한 원단의 중단부 영역이 안착되는 바텀몰드;
상기 바텀몰드 일측에 배치되어 원단의 일측 나머지 영역이 안착되는 제1사이드몰드;
상기 바텀몰드 타측에 배치되어 원단의 타측 나머지 영역이 안착되는 제2사이드몰드;
상기 바텀몰드 상부 측에 이격 배치되고 제품의 형상으로 사출 성형된 본체부가 고정되는 탑몰드;
원단의 상부 표면에 발포액을 도포하는 발포액분사유닛; 및
상기 발포액분사유닛에 의해 원단의 상부 표면에 발포액이 도포된 상태에서 상기 탑몰드를 하강시켜 원단과 본체부를 합착(合着)시키기 위한 탑몰드승강수단;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내장재용 가죽 커버링 장치는,
원단을 받치는 바텀몰드 양측에 원단의 역구배 부위를 지지하면서 구동에 의해 후퇴 동작할 수 있는 코어형 몰드를 마련하여 합착 이후 완성된 제품의 탈형이 용이하고, 원단과 본체부 사이에 발포액 도포 시 균일한 도포를 통해 원단과 본체부 간의 접착력을 높일 수 있고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장 큰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내장재용 가죽 커버링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바텀 및 탑 몰드, 각 사이드몰드에 의해 원단과 본체부가 합착되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구성도,
도 3은 양측 코어가 후퇴 동작하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구성도,
도 4는 로터리구동유닛을 보여주기 위한 구성도,
도 5는 로터리구동유닛에 의해 발포액분사유닛이 회전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구성도,
도 6은 발포액분사유닛을 보여주기 위한 구성도,
도 7은 발포액분사유닛에서 하강하는 푸시블록에 의해 각 분사노즐이 변위되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을 기준으로 탑몰드 측을 상부 또는 상방, 바텀몰드 측을 하부 또는 하방이라고 방향을 특정하고, 또 도 1을 기준으로 제1사이드몰드 측을 좌부(左部) 또는 일측, 제2사이드몰드 측을 우부(右部) 또는 타측이라고 방향을 특정하기로 한다.
우선,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자동차 내장재는 도면 전반에 걸쳐 자동차용 콘솔박스 덮개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일예이고 본체부와 이의 외피를 구성하는 원단이 합착(合着)된 제품들을 모두 포함하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내장재용 가죽 커버링 장치는,
크게 바텀몰드(10), 제1사이드몰드(20A), 제2사이드몰드(20B), 탑몰드(30), 발포액분사유닛(40) 및 탑몰드승강수단(50)으로 이루어진다.
각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바텀몰드(1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품의 형상에 따라 진공 성형한 원단(1)의 중단부 영역이 안착되도록 상부면에 형성되는 바텀안착부(11)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바텀안착부(11)는 원단(1)의 중단부 영역, 즉 원단(1)의 중앙 부위 하부면과 상응한 형상을 갖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바텀몰드(10)는 별도의 베이스(1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사이드몰드(20A, 20B)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텀몰드(10)의 일측에 배치되어 원단(1)의 일측 나머지 영역과, 상기 바텀몰드(10)의 타측에 배치되어 원단(1)의 타측 나머지 영역 각각이 안착되는 것으로,
안착되는 원단(1)의 해당 영역과 상응한 형상으로 형성된 사이드안착부(211)를 갖는 코어(21), 그리고
상기 코어(21)를 진퇴(進退) 동작케 하는 진퇴구동수단(22)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진퇴구동수단(22)은 상기 코어(21)에 연결되는 진퇴피스톤(221)이 내장되며, 내장된 진퇴피스톤(221)을 선택적 에어 공급에 의해 전진 또는 후진시키게 되는 진퇴실린더본체(222)를 갖는 공압실린더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이는 일예이고 상기 코어(21)를 진퇴시킬 수 있는 조건을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변경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진퇴구동수단(22)에 의해 상기 코어(21) 후퇴 시 원단(1)으로부터 상기 코어(21)가 분리되고, 이때 상기 탑몰드(30)가 상승하게 되면 원단(1)과 본체부(2)가 합착된 제품을 상기 바텀몰드(10)로부터 쉽게 탈형시킬 수 있게 된다.
탑몰드(3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텀몰드(10)의 상부 측에 이격 배치되고 제품의 형상으로 사출 성형된 본체부(2)가 고정되도록 하부면에 형성되는 탑홀딩부(31)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탑홀딩부(31)는 본체부(2)의 상부면과 상응한 형상을 갖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바텀몰드(10)와 상기 제1 및 제2 사이드몰드(20A, 20B)에 의해 원단(1)이 안착 고정되고, 상기 탑몰드(30)에 의해 본체부(2)가 안착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탑몰드(30)가 하강하게 되면 원단(1)과 이에 도포된 발포액에 의해 본체부(2)가 서로 합착된다.
발포액분사유닛(40)은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단(1)의 상부 표면에 발포액을 도포하기 위한 것으로,
곡률 부위가 하방을 향하고 단면이 반환형(半環形) 형상을 갖는 분사바디(41)와,
상기 분사바디(41)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放射狀)으로 배치되고 내외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다수의 장착홀(42)과,
상기 각 장착홀(42)에 출몰(出沒)되게 끼워지되 외측 단부의 분사구(431) 측이 외부로 노출되게 끼워지는 다수의 분사노즐(43)과,
상기 각 분사노즐(43)에 발포액을 공급하는 공급수단(44)과,
원단(1)의 상부 표면과 상응한 형상을 갖되, 원단(1)의 상부 표면에 비해 0.5~0.7배의 크기를 갖고 상기 분사바디(41) 상부 측에 배치되는 푸시블록(45)과,
상기 푸시블록(45)을 상하 승강케 하기 위한 푸시블록승강수단(46)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결국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푸시블록승강수단(46)에 의해 상기 푸시블록(45) 하강 시 상기 각 분사노즐(43)이 상기 푸시블록(45)의 형상에 맞게 가압되어 변위(變位) 된다.
다시 말해, 상기 푸시블록(45)이 하강하게 되면 상기 각 분사노즐(43)이 상기 푸시블록(45)에 의해 밀리게 되면서 상기 각 장착홀(42)로부터 밀려 나가게 되고, 이때 상기 푸시블록(45)의 형상에 맞게 상기 각 분사노즐(43)의 밀린 정도가 서로 다르게 됨으로써, 결국 원단(1)의 상부 표면과 상기 각 분사노즐(43) 간의 거리가 인접함에 따라 일정량의 발포액이 골고루 도포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각 분사노즐(43)의 내측 단부에는 하강하는 상기 푸시블록(45)과의 접촉 시 회전하게 되는 자유 회전형 롤러(432)가 구비되는데, 이 롤러(432)가 하강하는 상기 푸시블록(45)과 접촉됨에 따라 상기 분사노즐(43)에 대한 미는 동작이 좀 더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특히 접촉 시 발생할 수 있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분사바디(41)의 외주면에는 자성체의 커버(411)가 장착되고, 상기 각 분사노즐(43)의 외측 단부에는 인력(引力)에 의해 상기 커버(411)와 상호 부착되는 피자성체의 플랜지(434)가 장착된다. 결국 하강하는 푸시블록(45)에 의해 상기 각 분사노즐(43)이 변위되었다가 푸시블록(45)의 상승 시 자성에 의해 상기 커버(411)와 상기 플랜지(434)가 상호 부착됨에 따라 상기 각 분사노즐(43)이 원위치하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커버(411)와 상기 플랜지(434)가 자성에 의해 서로 부착된 상태에서 하강하는 상기 푸시블록(45)과의 접촉에 의해 상기 분사노즐(43)이 밀리게 되면서 상기 장착홀(43)로부터 밀려 나오게 되고, 상기 푸시블록(45) 상승 시 상기 커버(411)와 상기 플랜지(434)가 자성에 의해 서로 당기게 됨으로써 상기 분사노즐(43)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커버(411)와 상기 플랜지(434) 사이에 상기 플랜지(434)를 상기 커버(411) 측으로 당기게 되는 탄성스프링 등을 더 마련하여 상기 분사노즐(43)의 복귀를 도울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각 분사노즐(43)의 내부에는 분사구(431) 보다 직경이 크고 상기 공급수단(44)으로부터 발포액을 공급받게 되는 유통홀(433)이 형성되고, 상기 유통홀(433)에 배치되는 피자성체의 구형(球形)체(435)가 구비되며, 상기 구형체(435)는 상기 커버(411)와의 자성에 의해 상기 분사구(431)를 차단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분사구(431)의 입구, 즉 상기 분사구(431)와 상기 유통홀(433) 간의 경계 영역에 상기 구형체(435)가 배치되면서 특히 분사구(431)를 막을 수 있도록 자성에 의해 상기 구형체(435)가 상기 커버(411) 측으로 당겨질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분사노즐(43) 변위 시, 즉 상기 분사노즐(43)이 상기 푸시블록(45)에 의해 상기 장착홀(42)로부터 밀려나오게 될 시 상기 분사구(431)로부터 상기 구형체(435)가 벗어나게 되는데, 이는 상기 커버(411)와 상기 구형체(435)가 자성에 의해 서로 당겨지게 되는 인력(引力) 작용으로 인해 상기 분사노즐(43)이 밀릴 때에 상기 구형체(435)가 상기 커버(411)와 인접한 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분사구(431)가 개방되는 것이다.
이렇게 개방된 상기 분사구(431)를 통해 발포액이 분사됨으로써, 원단(1)의 상부 표면에 발포액이 도포된다.
그리고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공급수단(44)은 상기 각 분사노즐(43)의 내측 단부 끼리를 연결하되 상기 각 분사노즐(43)의 유통홀(433)에 접속되는 연결관(441)과, 상기 연결관(441)에 접속되는 공급관(442)과, 상기 공급관(442)으로 발포액을 주입하는 발포액 저장부(443)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저장부(443)에 저장된 발포액이 상기 공급관(442)을 거쳐 상기 연결관(441) 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공급관(442) 상에는 펌프 등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펌프 외에도 공급관(442)의 개폐를 담당하는 솔레노이드 방식의 밸브 등이 더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연결관(441)은 휘어짐이 가능하면서 길이 또한 길어질 수 있도록 가요성(可撓性) 및 탄성을 주름관 구조의 관체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국 상기 연결관(441)은 상기 푸시블록(45) 하강 시 길이가 늘어나고 상기 푸시블록(45) 상승 시 원래의 길이로 복귀된다.
따라서 상기 구형체(435)가 상기 분사노즐(43)의 분사구(431)를 차단한 상태에서 상기 공급수단(44)의 저장부(443)에 저장된 발포액이 상기 공급관(442) 및 상기 연결관(441)을 순차적으로 거쳐 상기 각 분사노즐(43)의 유통홀(433) 내로 일정량을 공급함에 따라 상기 각 분사노즐(43)의 유통홀(433) 내에 발포액이 임시 저장된다. 이렇게 임시 저장된 상태에서 원단(1)의 상부 표면에 도포가 요구될 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푸시블록(45)의 하강에 의해 상기 분사구(431)가 개방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공급수단(44)의 저장부(443)에 저장된 발포액이 공급되면 상기 분사노즐(43)의 유통홀(433) 내에 임시 저장된 발포액이 밀리게 되면서 상기 분사구(431)를 통해 분사된다.
그리고 상기 푸시블록승강수단(46)은 상기 푸시블록(45) 상부 측에 연결되는 피스톤이 내장되며 선택적 에어 공급에 의해 피스톤을 상하 승강케 하는 공압실린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는 일예이고 상기 푸시블록(45)을 상하로 승강케 하는 조건을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변경 가능할 것이다.
탑몰드승강수단(5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포액분사유닛(40)에 의해 원단(1)의 상부 표면에 발포액이 도포된 상태에서 상기 탑몰드(30)를 하강시켜 원단(1)과 본체부(2)를 합착(合着)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탑몰드(30)에 연결되는 피스톤이 내장되며 선택적 에어 공급에 의해 피스톤을 상하로 승강케 하는 공압실린더 구조로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내장재용 가죽 커버링 장치는 로터리구동유닛(60)을 더 포함하는데,
상기 로터리구동유닛(6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텀몰드(10)와 상기 탑몰드(30) 사이로 상기 발포액분사유닛(40)을 이동시킨 후 하강시키고 발포액의 도포가 완료되면 상기 발포액분사유닛(40)을 상승시켜 상기 바텀몰드(10)와 상기 탑몰드(30) 사이로부터 벗어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바텀몰드(10) 일측에 이격 배치되되 상기 베이스(12)에 회전 가능케 세워지는 포스트(61),
상기 포스트(61)에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회전구동부(62),
상기 포스트(61)의 상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되게 상기 포스트(61)에 결합되고 단부에 상기 발포액분사유닛(40)에서 분사바디(41)가 연결되는 수평바(63), 그리고
상기 수평바(63)에 상하 승강 동력을 전달하는 수평바승강구동부(64)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회전구동부(62)는 상기 포스트(61)의 축에 결합되는 종동풀리와, 벨트에 의해 상기 종동풀리와 연결되는 구동풀리와, 축에 상기 구동풀리가 결합되는 회전구동모터로 이루어지는데, 이는 일예이고 상기 포스트(61)를 일정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는 조건을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변경 가능할 것이다.
결국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회전구동부(62)에 의해 상기 포스트(61)가 회전하게 됨으로써, 상기 수평바(63)의 단부에 연결된 상기 발포액분사유닛(40)을 상기 바텀몰드(10) 상부 측에 배치되게 하거나 반대로 벗어나게 구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수평바승강구동부(64)는 상기 수평바(63)에 연결되는 피스톤이 내장되며 선택적 에어 공급에 의해 피스톤을 상하 승강케 하며 상기 포스트(61)에 장착되는 공압실린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는 일예이고 상기 수평바(63)를 상하로 승강케 하는 조건을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변경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회전구동부(62)에 의해 상기 발포액분사유닛(60)이 상기 바텀몰드(10) 상부 측에 회전 배치되고, 이때 상기 수평바승강구동부(64)에 의해 상기 발포액분사유닛(40)이 하강하여 상기 바텀몰드(10)에 안착된 원단(1)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인접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푸시블록(45)이 하강하게 되면 각 분사노즐(43)이 밀리게 되면서 원단(1)의 상부 표면 형상, 즉 표면 라인을 따라 인접하게 각 분사노즐(43)의 분사구(431)가 배치되고, 이 상태에서 발포액 분사 시 원단(1)의 상부 표면에 일정량의 발포액을 동시에 골고루 도포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발포액의 도포가 완료되면, 반대로 상기 수평바승강구동부(64)에 의해 상기 발포액분사유닛(40)이 상승하여 원위치하게 되고, 상기 회전구동부(62)에 의해 상기 포스트(61)가 회전하게 되면서 상기 발포액분사유닛(40) 또한 상기 바텀몰드(10)로부터 벗어나게 된다.
이렇게 벗어난 상태에서 상기 탑몰드(30)가 상기 탑몰드승강수단(50)에 의해 하강하게 되면 원단(1)과 본체부(2)가 서로 합착됨으로써, 하나의 제품이 완성되고, 상기 코어(21) 후퇴와 상기 탑몰드(30) 상승 구동 이후 상기 바텀몰드(10)로부터 제품을 탈형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자동차 내장재용 가죽 커버링 장치"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원단
2 : 본체부
10 : 바텀몰드
11 : 바텀안착부
12 : 베이스
20A, 20B : 제1 및 제2 사이드몰드
21 : 코어
211 : 사이드안착부
22 : 진퇴구동수단
221 : 진퇴피스톤
222 : 진퇴실린더본체
30 : 탑몰드
31 : 탑홀딩부
40 : 발포액분사유닛
41 : 분사바디
411 : 커버
42 : 장착홀
43 : 분사노즐
431 : 분사구
432 : 롤러
433 : 유통홀
434 : 플랜지
435 : 구형체
44 : 공급수단
441 : 연결관
442 : 공급관
443 : 저장부
45 : 푸시블록
46 : 푸시블록승강수단
50 : 탑몰드승강수단
60 : 탑몰드승강수단
61 : 포스트
62 : 회전구동부
63 : 수평바
64 : 수평바승강구동부

Claims (7)

  1. 제품의 형상에 따라 진공 성형한 원단(1)의 중단부 영역이 안착되는 바텀몰드(10);
    상기 바텀몰드(10) 일측에 배치되어 원단(1)의 일측 나머지 영역이 안착되는 제1사이드몰드(20A);
    상기 바텀몰드(10) 타측에 배치되어 원단(1)의 타측 나머지 영역이 안착되는 제2사이드몰드(20B);
    상기 바텀몰드(10) 상부 측에 이격 배치되고 제품의 형상으로 사출 성형된 본체부(2)가 고정되는 탑몰드(30);
    원단(1)의 상부 표면에 발포액을 도포하는 발포액분사유닛(40); 및
    상기 발포액분사유닛(40)에 의해 원단(1)의 상부 표면에 발포액이 도포된 상태에서 상기 탑몰드(30)를 하강시켜 원단(1)과 본체부(2)를 합착(合着)시키기 위한 탑몰드승강수단(50);
    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발포액분사유닛(40)은 곡률 부위가 하방을 향하고 단면이 반환형(半環形) 형상을 갖는 분사바디(41)와, 상기 분사바디(41)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放射狀)으로 배치되고 내외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다수의 장착홀(42)과, 상기 각 장착홀(42)에 출몰(出沒)되게 끼워지되 외측 단부의 분사구(431) 측이 외부로 노출되게 끼워지는 다수의 분사노즐(43)과, 상기 각 분사노즐(43)에 발포액을 공급하는 공급수단(44)과, 원단(1)의 상부 표면과 상응한 형상을 갖되, 원단(1)의 상부 표면에 비해 0.5~0.7배의 크기를 갖고 상기 분사바디(41) 상부 측에 배치되는 푸시블록(45)과, 상기 푸시블록(45)을 상하 승강케 하기 위한 푸시블록승강수단(46)으로 이루어져, 상기 푸시블록승강수단(46)에 의해 상기 푸시블록(45) 하강 시 상기 각 분사노즐(43)이 상기 푸시블록(45)의 형상에 맞게 가압되어 변위(變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장재용 가죽 커버링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사이드몰드(20A, 20B)는 안착되는 원단(1)의 해당 영역과 상응한 형상으로 형성된 사이드안착부(211)를 갖는 코어(21)와, 상기 코어(21)를 진퇴(進退) 동작케 하는 진퇴구동수단(22)으로 이루어져, 상기 진퇴구동수단(22)에 의해 상기 코어(21) 후퇴 시 원단(1)으로부터 상기 코어(21)가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장재용 가죽 커버링 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분사노즐(43)의 내측 단부에는 하강하는 상기 푸시블록(45)과의 접촉 시 회전하게 되는 자유 회전형 롤러(432)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장재용 가죽 커버링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바디(41)의 외주면에는 자성체의 커버(411)가 장착되고,
    상기 각 분사노즐(43)의 외측 단부에는 인력(引力)에 의해 상기 커버(411)와 상호 부착되는 피자성체의 플랜지(434)가 장착되며,
    하강하는 푸시블록(45)에 의해 상기 각 분사노즐(43)이 변위되었다가 푸시블록의(45) 상승 시 자성에 의해 상기 커버(411)와 상기 플랜지(434)가 상호 부착됨에 따라 상기 각 분사노즐(43)이 원위치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장재용 가죽 커버링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분사노즐(43)의 내부에는 분사구(431) 보다 직경이 크고 상기 공급수단(44)으로부터 발포액을 공급받게 되는 유통홀(433)이 형성되고,
    상기 유통홀(433)에 배치되는 피자성체의 구형(球形)체(435)가 구비되며,
    상기 구형체(435)는 상기 커버(411)와의 자성에 의해 상기 분사구(431)를 차단하게 되고,
    상기 분사노즐(43) 변위 시 상기 분사구(431)로부터 상기 구형체(435)가 벗어나게 되어 상기 분사구(431)가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장재용 가죽 커버링 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2 항 또는 제 4 항 또는 제 5 항 또는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텀몰드(10)와 상기 탑몰드(30) 사이로 상기 발포액분사유닛(40)을 이동시킨 후 하강시키고 발포액의 도포가 완료되면 상기 발포액분사유닛(40)을 상승시켜 상기 바텀몰드(10)와 상기 탑몰드(30) 사이로부터 벗어나게 하는 로터리구동유닛(6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장재용 가죽 커버링 장치.
KR1020190169525A 2019-12-18 2019-12-18 자동차 내장재용 가죽 커버링 장치 KR1022020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9525A KR102202088B1 (ko) 2019-12-18 2019-12-18 자동차 내장재용 가죽 커버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9525A KR102202088B1 (ko) 2019-12-18 2019-12-18 자동차 내장재용 가죽 커버링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2088B1 true KR102202088B1 (ko) 2021-01-11

Family

ID=74128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9525A KR102202088B1 (ko) 2019-12-18 2019-12-18 자동차 내장재용 가죽 커버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20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8421B1 (ko) 2023-11-29 2024-04-17 두손산업 주식회사 차량 콘솔커버 고정장치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5730U (ko) * 1988-08-26 1990-03-09 스미도모 덴소오 가부시기가이샤 고정부재 부착 콘넥터
JPH03227460A (ja) * 1990-01-29 1991-10-08 Ikeda Bussan Co Ltd 内装材の成形方法
KR950000718U (ko) * 1993-06-17 1995-01-03 사출금형의 4면 슬라이드 홀더구조
KR200398784Y1 (ko) * 2005-07-15 2005-10-18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가류금형
KR101210708B1 (ko) 2012-03-30 2012-12-11 한일이화주식회사 차량용 내장재의 성형장치
KR20140076162A (ko) * 2012-12-12 2014-06-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발포 일체 사출 금형의 실링 장치
KR20150081037A (ko) * 2014-01-03 2015-07-13 대주정공 주식회사 차량용 발포 내장재의 스티치 형상 구현 공법
KR101591892B1 (ko) * 2015-07-30 2016-02-04 최정훈 성형물의 취출이 용이한 피스톤 주조 금형 성형장치
KR20170133606A (ko) 2016-05-26 2017-12-06 주식회사 신기인터모빌 자동차 내장재 제조용 금형
KR20180047635A (ko) 2016-11-01 2018-05-10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내장재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5730U (ko) * 1988-08-26 1990-03-09 스미도모 덴소오 가부시기가이샤 고정부재 부착 콘넥터
JPH03227460A (ja) * 1990-01-29 1991-10-08 Ikeda Bussan Co Ltd 内装材の成形方法
KR950000718U (ko) * 1993-06-17 1995-01-03 사출금형의 4면 슬라이드 홀더구조
KR200398784Y1 (ko) * 2005-07-15 2005-10-18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가류금형
KR101210708B1 (ko) 2012-03-30 2012-12-11 한일이화주식회사 차량용 내장재의 성형장치
KR20140076162A (ko) * 2012-12-12 2014-06-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발포 일체 사출 금형의 실링 장치
KR20150081037A (ko) * 2014-01-03 2015-07-13 대주정공 주식회사 차량용 발포 내장재의 스티치 형상 구현 공법
KR101591892B1 (ko) * 2015-07-30 2016-02-04 최정훈 성형물의 취출이 용이한 피스톤 주조 금형 성형장치
KR20170133606A (ko) 2016-05-26 2017-12-06 주식회사 신기인터모빌 자동차 내장재 제조용 금형
KR20180047635A (ko) 2016-11-01 2018-05-10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내장재 제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8421B1 (ko) 2023-11-29 2024-04-17 두손산업 주식회사 차량 콘솔커버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164576A1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a layer part, in particular a reaction injection moulding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a polyurethane skin layer
KR20140076164A (ko) 크래쉬패드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그리고 이에 의해 제조되는 크래쉬패드
US6126769A (en) Film laminated plastic moulding as well as process and device for its manufacture
KR102202088B1 (ko) 자동차 내장재용 가죽 커버링 장치
US5320511A (en) Multiple-injection molding using single-injection machines
JP4007548B2 (ja) 発泡樹脂成形体の成形方法
EP334257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 trim component having a molded rim at an edge thereof
JPH04305212A (ja) 自動車エンジン用の空気浄化フィルタを製造する方法及びその装置
KR100451029B1 (ko) 천이 인서트 되는 다중 사출성형방법 및 그 장치
KR100735150B1 (ko) 중공형 성형체 성형방법 및 성형장치
KR100706424B1 (ko) 자동차용 도어트림의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
JP2001225339A (ja) 積層成形体の成形方法並びに成形装置
KR100945848B1 (ko) 표피재가 인서트 되는 다중 사출성형장치 및 그를 이용한사출성형방법
KR102179306B1 (ko) 차량 내장재용 이중사출 성형금형 및 이중사출 성형금형을 이용한 차량용 내장재의 성형방법
JP2009160873A (ja) 二色成形品の成形方法並びに成形装置
US20030042643A1 (en) Process for molding laminate
JP4285878B2 (ja) 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JPH0948026A (ja) タイヤ加硫装置
KR100888745B1 (ko) 천이 인서트 되는 다중 사출성형방법 및 그 장치
JP2001293737A (ja) 積層成形体の成形方法並びに成形装置
JP3750915B2 (ja) 積層成形体の成形方法並びに成形装置
JP3005824B2 (ja) 表面仕上げのされた抄造製品並びに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製造装置
KR100790794B1 (ko) 천이 인서트 되는 다중 사출성형방법 및 그 장치
JP3253056B2 (ja) 積層成形体の成形方法並びに成形装置
CN216230380U (zh) 一种增强型备胎盖板成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