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5328B1 - 확장 디스플레이 카드를 우선 설정하는 표시구성 설정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확장 디스플레이 카드를 우선 설정하는 표시구성 설정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5328B1
KR920005328B1 KR1019890013231A KR890013231A KR920005328B1 KR 920005328 B1 KR920005328 B1 KR 920005328B1 KR 1019890013231 A KR1019890013231 A KR 1019890013231A KR 890013231 A KR890013231 A KR 890013231A KR 920005328 B1 KR920005328 B1 KR 9200053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isplay control
control hardware
crt
expansion sl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3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5274A (ko
Inventor
료지 니노미야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치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9000052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52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53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53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06F13/36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for access to common bus or bus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Digital Computer Display Outpu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확장 디스플레이 카드를 우선 설정하는 표시구성 설정 시스템 및 방법
제1a도와 제1b도는 본 발명의 표시구성 설정시스템을 포함하는 퍼스널 컴퓨터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
제2도는 제1도에 나타낸 실시예에 있어서, 고해상도 표시시스템 및 확장용 슬롯의 상태와 세트업으로 설정한 표시구성과 고해상도 표시시스템 및 표시시스템의 동작모드(이네이블/디스에이블)과의 관계를 나타낸 정의 표를 나타낸 도면.
제3도는 세트업처리에 있어서의 표시화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제4도는 본 발명의 표시구성 설정 방법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중앙처리장치(CPU) 12 : 데이타 버스
13 : 래치회로 14 : 메모리 버스
15, 16 : 시스템 버스 17, 18 : 내부 RAM(DRAM)
19 : 캐쉬 메모리 20 : 내부 ROM
21 : 타이밍 콘트롤러 22 : 버스 콘트롤러
23 : 캐쉬 메모리 콘트롤러 30 : 고해상도 표시시스템
31 : 표시시스템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를 표준장비하고, 캐소드 레이튜브(CRT) 컬러 디스플레이를 임의로 접속 가능하게 한 퍼스널 컴퓨터, 퍼스널 워크 스테이션등의 컴퓨터 시스템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표시구성 설정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근래, 마이크로프로세서의 급속한 발달과 함께, 여러가지 퍼스널 컴퓨터나 퍼스널 워크스테이션이 개발되고 있다. 이중에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를 표준장비하고, CRT 디스플레이를 임의로 접속할 수 있는 표시구성을 갖는 컴퓨터가 있다. 이와 같은 컴퓨터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의 표시제어 하드웨어와 CRT 디스플레이의 표시제어 하드웨어를 내장하고 있다. 이 표시제어 하드웨어로서는 예를들어 비디오 그래픽 어댑터(VGA)가 있다.
또한 근래의 표시제어의 현저한 발전에 의해 향상된 그래픽 어댑터(EGA)나, 컬러 그래픽 어댑터(CGA)등 더욱 고도의 표시제어 하드웨어가 개발되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표시제어 하드웨어를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컴퓨터 본체에 확장 슬롯을 설치하고, 이 확장 슬롯에 상기 EGA나 CGA를 옵션보드로서 찔러 넣어 사용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그런데 표시구성의 설정에 있어서, 내장의 표시제어 하드웨어(예를들면 VGA)를 사용하는 표시구성이 설정된 상태에서, 확장용 슬롯에 특정한 표시용 어댑터보드(예를들면 EGA)가 삽입되어 있으면, 시스템 버스상에 서로 간섭하는 2개의 표시제어 하드웨어가 접속된 상태로 되어 정상적인 표시제어동작을 실행할 수 없다.
구체적으로는 예를들어 VGA나 EGA나 각기, 비디오 메모리를 갖고 있다. 이 때문에 동일 어드레스 공간에 어사인된, 2개의 비디오 메모리가 존재하게 된다. 이 때문에 데이타를 기록할 경우에는 문제가 생기지 않을지도 모르지만, 독출시에는 2개의 비디오 메모리에서 2개의 데이타가 시스템 버스상에 독출되어 올바른 데이타가 얻어지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표시제어 하드웨어와 CRT 디스플레이용 표시제어 하드웨어를 내장하는 동시에, 기능확장을 위한 표시용 어댑터보드를 포함하는 옵션보드를 삽입 가능한 확장용 슬롯을 구비한 컴퓨터 시스템에 있어서, 내장한 표시제어 하드웨어를 사용하는 표시구성이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확장용 슬롯에 특정한 표시용 어댑터보드가 삽입되어도 항상 정상적인 표시제어동작을 실행할 수 있는 표시구성 설정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표시제어 하드웨어와 CRT 디스플레이용 표시제어 하드웨어를 내장하는 동시에, 기능확장을 위한 표시용 어댑터보드를 포함하는 옵션보드를 삽입 가능한 확장용 슬롯을 구비한 컴퓨터 시스템에 있어서, 내장한 표시제어 하드웨어를 사용하는 표시구성이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확장용 슬롯에 특정한 표시용 어댑터보드가 삽입되어도 항상 정상적인 표시제어 동작을 실행할 수 있는 표시구성 설정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목적에 의하면, 표시용 어댑터보드가 착달 가능한 확장용 슬롯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표시제어 하드웨어와 CRT 디스플레이용 표시제어 하드웨어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의 표시제어 구성설정 시스템은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표시제어 하드웨어 및 CRT 디스플레이용 표시제어 하드웨어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수단과 ; 전원의 투입에 응답하여,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표시제어 하드웨어와 CRT 디스플레이용 표시제어 하드웨어를 디스에이블 상태로 설정하는 디스에이블 수단과 ; 상기 디스에이블 수단에 의해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표시제어 하드웨어와 CRT 디스플레이용 표시제어 하드웨어가 디스에이블되었을때, 상기 확장용 슬롯에 특정한 표시용 어댑터보드가 개삽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 상기 검출수단에 의해 상기 확장 슬롯에 특정한 표시용 어댑터 보드가 개삽되어 있지 않을 때, 상기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표시제어 하드웨어를 이네이블로 하는 이네이블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2의 목적에 의하면, 표시용 어댑터보드가 착탈 가능한 확장용 슬롯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표시제어 하드웨어와 CRT 디스플레이용 표시제어 하드웨어를 가지고 컴퓨터 시스템의 표시제어 구성설정방법은,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표시제어 하드웨어 및 CRT 디스플레이용 표시제어 하드웨어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와 ; 전원의 투입에 응답하여,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하드웨어와 CRT 디스플레이용 표시제어 하드웨어를 디스에이블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되고, 상기 디스에이블로 하는 스텝에의해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표시제어 하드웨어와 CRT 디스플레이용 표시제어 하드웨어가 디스에이블되었을때, 상기 확장용 슬롯에 특정한 표시용 어댑터보드의 개삽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와 ; 상기 검출 스텝에 의해 상기 확장 슬롯에 특정한 표시용 어댑터보드가 개삽되어 있지 않을때, 상기 선택 스탭에 의해 선택된 표시제어 하드웨어를 이네이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확장용 슬롯에 특정한 표시용 어댑터보드가 삽입되었을때, 이 보드와 간섭하는 내장된 표시제어 하드웨어를 시스템에서 떼어 내어, 확장용 슬롯에 삽입된 표시용 어댑터보드를 우선해서 사용 가능하게 한다. 이것에 의해 내장된 표시제어 하드웨어를 사용하는 표시구성이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확장용 슬롯에 특정한 표시용 어댑터보드가 삽입되어도 항상 정상적인 표시제어 동작이 행해진다.
제1a도 및 제1b도는 본 발명의 표시구성 설정시스템을 포함하는 퍼스널 컴퓨터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제1a도 및 제1b도에 있어서, 구성요소(11)는 시스템 전체의 제어를 관장하는 중앙처리장치(CPU)이다. 구성요소(12)는 32비트폭의 데이타 버스(D31-24, D23-16, D15-8, D7-0)이다. 구성요소(13)는 데이타 버스(12)상의 데이타를 래치하는 래치회로(B-LAT)이다. 구성요소(14)는 32비트폭의 메모리 버스(MD31-24, MD23-16, MD15-8, MD7-0)이다. 구성요소(16)는 16비트폭 및 7비트폭의 어드레스 버스(SA19-0, LA23-17)와 16비트폭의 데이타 버스(SD15-8, SD7-0) (16a)로 구성되는 시스템 버스이다. 구성요소(15)는 어드레스 버스(SA19-0, LA23-17)상의 어드레스 데이타, 및 데이타 버스(SD15-8, SD7-0) (16a)상의 데이타를 래치하는 래치회로(C-LAT)이다. 구성요소(17) 및 (18)은 각기,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다이나믹 랜덤 액세스 메모리(DRAM)로 구성되며, 배터리로 백업되는 내부 RAM이다. 구성요소(19)는 캐쉬 메모리이고, 구성요소(20)은 기본 입출력 시스템 프로그램(BIOS)을 기억하는 내부 ROM(BIOS-ROM)이다.
구성요소(21)는 메모리 콘트롤을 포함하는 시스템 전체의 타이밍 제어를 관장하는 타이밍 콘트롤러(TC)이다. 구성요소(22)는 시스템 버스(16)의 제어를 하는 버스 콘트롤러(BUS-CNT)이다. 구성요소(23)는 캐쉬 메모리(19)를 제어하는 캐쉬 메모리 콘트롤러(CMC)이다.
구성요소(30)는 CRT 디스플레이를 고해상도 (수평방향 720도트), 및 다계조(64계조)로 표시드라이브하는 표시제어기능과, CRT 디스플레이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를 동시에 표시드라이브 (이 경우에는 각 디스플레이 공히 표시해상도는 수평방향 640도트가 된다)하는 표시제어기능을 갖는 고해상도 표시시스템(HRGS)이며, 장치 본체에 임의로 접속할 수 있는 구성을 갖는다. 이 고해상도 표시시스템(30)에는 코넥터C1을 통해 CRT 디스플레이가 임의로 접속된다. 구성요소(31)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PDP)를 표시드라이브 제어하는 표시시스템(BGS)이다. 이 표시시스템(31)에는 코넥터 C2를 통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PDP)가 접속된다. 그리고, 플라즈마 디스플레이(PDP)는 표준장비이며, 통상은 코넥터 C2에 접속된 그대로의 상태로 되어 있다. 구성요소 SL1, SL2는 표시용 어댑터보드를 포함하는 각종 확장용보드를 접속가능하게 한 확장용슬롯(SLOT-B, SLOT-C)이다.
제2도는 제1도에 나타낸 실시예에 있어서의 고해상도 시스템(30) 및 확장슬롯 SL1(또는 SL2)의 상태와 세트업으로 설정한 표시구성과, 고해상도 표시시스템(30) 및 표시시스템(31)의 동작모드(이네이블/디스에이블)와의 관계를 정의한 표이다.
제2도에 나타낸 정의표에 있어서, 세트업 데이타는 백업 메모리(내부 RAM 17,18)에 기억되고 있다. 이 정의표에는 고해상도 그래픽 시스템(VGA)이 접속되어 있는지 아닌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데이타와, 확장 CRT ROM(EGA)이 접속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데이타와, 사용자가 지정하는 세트업 데이타(이 세트업 데이타는 백업 메모리에 기억된다)와, 제어 내용을 나타내는 데이타로 구성되어 있다.
예를들면 HRGS(VGA)가 접속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 사용자가 호환성(compatible)을 지정했을 경우에는 HRGS를 디스에이블로 하고, PDC(Dlasma display controller)를 이네이블로 하고, CMOS 에러, 즉 여기서는 세트업 데이타를 기억하고 있는 백업 메모리의 에러이거나, 또는 사용자의 지정 에러임을 나타내는 CMOS 에러를 표시한다. 그리고 PDC를 이네이블로 하는 것을 PDC도 디스에이블로 해 버리면, 에러 메시지를 표시할 수 없게 되기 때문이다. 또 VGA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CGA 호환성을 지정했을 경우에는 HRGS를 디스에이블로 하고, PDC를 이네이블로 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PDC와 CGA와는 실질적으로 같으므로, 이 경우에는 에러 표시는 행해지지 않는다.
또, VGA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내장하고 있는 카드, 즉 VGA나 CGA를 사용하지 않음을 지정했을 경우에는 시스템측은 상기 VGA 또는 CGA이외에 다른 어댑터 카드(예를들면 EGA)가 사용되고 있지 않는지를 체크하고, 다른 어댑터 카드가 사용되고 있지 않으면 CMOS 에러 표시로서 에러를 표시한다. 그리고, 제2도에 나타낸 표에 있어서, "주 1"은 "EGA 카드가 아니라도 확장 ROM을 갖는 디스플레이 어댑터 카드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EGA카드가 있는 것과 같은 처리가 행해지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 "에러(주 2)"는 세트업 정보를 기억하고 있는 백업 메모리의 내용이 부정확할 경우를 나타낸다. 예를들면 이 시스템을 조립한 시점에서는 백업 메모리에는 아무것도 기억되어 있지 않으므로 이런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또, HRGS의 "주 3"는 EGA 카드가 아니더라도 어떤 다른 카드가 확장 슬롯에 삽입되어 있으면, HRGS를 디스에이블로 하지만, 삽입되어 있지 않으면 HRGS를 이네이블로 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마찬가지로 CMOS 에러의 "주 3"은 EGA 카드가 아니더라도, 다른 카드가 확장 슬롯에 삽입되어 있으면 에러로 하지 않으며, 삽입되어 있지 않으면 에러로 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그리고, 이 실시예에서는 시스템은 VGA를 내장하고 있지만 사용자에 의해 제거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2도의 정의표에 있어서의 "없음"이라고 하는 의미는 VGA를 물리적으로 제거하고 있다고 하는 뜻이다.
그리고 디스에이블 또는 이네이블로 하는 구체적인 방법으로서는 예를들어 제1도에 나타낸 블록도에 있어서, CPU(11)가 HRGS내의 CRT 콘트롤러(CRT-CNT)에 대해 "1"을 출력하면 이네이블로 되고 "0"을 출력하면 디스에이블로 된다. CRT 콘트롤러는 CPU(11)에서 출력된 "1" 또는 "0"의 데이타를 받아 내장하는 레지스터(도시하지 않음)에 기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3도는 세트업 처리에 있어서의 표시화면의 일례이다.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트업 처리에서는 하드디스크의 타입의 지정, 메모리 사이즈(시스템 메모리, 확장 메모리, 신장 메모리)의 지정, 표시장치(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어댑터의 지정, 표시장치의 지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드의 지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그레이스케일의 지정)의 지정, 프린터 포트타입의 지정등이 행해진다.
다음에 제1도-제4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전원이 투입되면 CPU(11)는 내장 HRGS 하드웨어(고해상도 표시시스템 30)를 디스에이블로 하는(스텝 51) 동시에, 내장 PDC 하드웨어(표시시스템 31)를 디스에이블 상태(비접속상태)로 설정한다(스텝 53). 다음에 CPU(11)는 확장용 슬롯 SL1또는 SL2에 특정한 표시용 어댑터보드(여기서는 EGA)가 접속되어 있는지 아닌지가 판단된다(스텝 55).
스텝(55)에 있어서, 확장용 슬롯 SL1또는 SL2에 특정한 표시용 어댑터보드(예를들면)가 접속되어 있다고 판단했을때는 스텝(57)의 고해상도 표시시스템(30) 및 표시시스템(31)을 디스에이블 상태 그대로로 하고, 상기 특정한 표시용 어댑터보드에 표시드라이브를 가능하게 한다.
한편, 스텝(51)에 있어서 확장용 슬롯 SL1또는 SL2에 특정한 표시용 어댑터보드가 접속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되면, CPU(11)는 상기 세트업 처리로 설정된 표시구성상태를 인식한다(스텝 59). 즉, CPU(11)는 스텝(59)에 있어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드(PDC 우선모드)가 설정되어 있으면, 스텝(57)에 있어서 표시시스템(31)을 이네이블로 한다.
한편, 스텝(59)에 있어서 CRT 디스플레이의 사용모드(HRGS 우선모드)가 설정되어 있으면, CPU(11)는 고해상도 표시시스템(30)을 이네이블상태로 설정한다(스텝 61).
그리고, 스텝(55)의 판단에 있어서, 확장용 슬롯 SL1또는 확장용 슬롯 SL2에 특정한 표시용 어댑터보드가 아닌 다른 확장보드(고해상도 표시시스템 30, 표시시스템(31)가 간섭하는 일이 없는 모드)가 접속되었을 때는 CPU(11)는 상기 특정한 표시용 어댑터보드가 접속되어 있을 때와 같은 처리를 한다.

Claims (2)

  1. 표시용 어댑터보드가 착탈 가능한 확장용 슬롯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표시제어하드웨어와, CRT 디스플레이용 표시제어하드웨어를 구비한 컴퓨터 시스템의 표시제어 구성 설정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표시제어 하드웨어 및 CRT 디스플레이용 표시제어 하드웨어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수단과 ; 전원의 투입에 응답해서,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표시제어 하드웨어와, CRT 디스플레이용 표시제어 하드웨어를 디스에이블 상태로 설정하는 디스에이블 수단과 ; 상기 디스에이블 수단에 의해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표시제어 하드웨어와 CRT 디스플레이용 표시제어 하드웨어가 디스에이블되었을때, 상기 확장용 슬롯에 특정한 표시용 어댑터보드가 개삽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 상기 검출수단에 의해 상기 확장 슬롯에 특정한 표시용 어댑터보드가 개삽되어 있지 않을때, 상기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표시제어 하드웨어를 이네이블로 하는 이네이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 구성 설정시스템.
  2. 표시용 어댑터보드가 착탈 가능한 확장용 슬롯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표시제어 하드웨어와, CRT 디스플레이용 표시제어 하드웨어를 구비한 컴퓨터 시스템의 표시제어구성 설정방법에 있어서,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표시제어 하드웨어 및 CRT 디스플레이용 표시제어 하드웨어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와 ; 전원의 투입에 응답하여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표시제어 하드웨어와, CRT 디스플레이용 표시제어 하드웨어를 디스에이블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와 ; 상기 디스에이블로 하는 스텝에 의해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용 표시제어 하드웨어와 CRT 디스플레이용 표시제어 하드웨어가 디스에이블되었을때, 상기 확장용 슬롯에 특정한 표시용 어댑터보드가 개삽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검출하는 단계와 ; 상기 검출 스텝에 의해 상기 확장 슬롯에 특정한 표시용 어댑터보드가 개삽되어 있지 않을때, 상기 선택 스텝에 의해 선택된 표시제어 하드웨어를 이네이블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제어 구성 설정방법.
KR1019890013231A 1988-09-13 1989-09-12 확장 디스플레이 카드를 우선 설정하는 표시구성 설정 시스템 및 방법 KR9200053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229021 1988-09-13
JP63229021A JPH0277090A (ja) 1988-09-13 1988-09-13 表示構成設定方式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5274A KR900005274A (ko) 1990-04-13
KR920005328B1 true KR920005328B1 (ko) 1992-07-02

Family

ID=16885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3231A KR920005328B1 (ko) 1988-09-13 1989-09-12 확장 디스플레이 카드를 우선 설정하는 표시구성 설정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140693A (ko)
JP (1) JPH0277090A (ko)
KR (1) KR9200053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54341A (ja) * 1989-11-10 1991-07-02 Toshiba Corp 半導体装置
DE69131440T2 (de) * 1990-08-20 2000-02-03 Toshiba Kawasaki Kk Verbindungszustandsbestätigungssystem und -methode für eine Expansionseinheit
US5401489A (en) * 1991-05-01 1995-03-28 University Of New Mexico Biomodulators as universal imaging agents
JPH0573016A (ja) * 1991-09-17 1993-03-26 Toshiba Corp 表示制御装置
US6601159B1 (en) 1991-12-31 2003-07-29 Xerox Corporation Dynamically-switched supplemental information support system for a copier system
WO1995033254A1 (fr) * 1994-05-31 1995-12-07 Melco, Inc. Dispositif de protection pour une unite de visualisation et procede de protection
US6094690A (en) * 1997-11-13 2000-07-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puter system with dynamic enabling and disabling function of the internal VGA module
JP4892778B2 (ja) * 2000-12-21 2012-03-07 ソニー株式会社 映像表示装置用ネットワークボードと制御端末とを接続したシステム
US7502947B2 (en) * 2004-12-03 2009-03-1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a graphics controller
US20110166968A1 (en) * 2010-01-06 2011-07-07 Richard Yin-Ching Houng System and method for activating display device fea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5274A (ko) 1990-04-13
US5140693A (en) 1992-08-18
JPH0277090A (ja) 1990-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90904A (en) Display mode switching system for flat panel display apparatus
US6101620A (en) Testable interleaved dual-DRAM architecture for a video memory controller with split internal/external memory
US5428798A (en) Computer system capable of connecting expansion unit
KR920005328B1 (ko) 확장 디스플레이 카드를 우선 설정하는 표시구성 설정 시스템 및 방법
US6134021A (en) Presentation graphics system for a color laser copier
KR920005308B1 (ko) 하드웨어적으로 crt 해상도를 pdp 해상도로 변환하는 표시제어장치
JPH0773046A (ja)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で回路をエミュレートする 方法及び装置
US6269441B1 (en) Logo display device for a computer and the method thereof
JP2001356752A (ja) 表示装置の分配装置
US5222212A (en) Fakeout method and circuitry for displays
JPH0588846A (ja) フラツトパネル表示制御システム
US5248964A (en) Separate font and attribute display system
EP0195163B1 (en) Video converter device
US6798419B1 (en) Method for displaying data on a video display
US5742273A (en) Video monitor/adapter interconnect extension architecture
US5093902A (en) Memory control apparatus for accessing an image memory in cycle stealing fashion to read and write videotex signals
JPH01237785A (ja) 電子機器
KR920005327B1 (ko) Crt 접속유무를 판별하는 디스플레이 모드 설정시스템 및 방법
JP4292977B2 (ja) メモリ試験機能付きコントローラ及びコンピュータ
EP0175342A2 (en) Mixing of line drawings and text in a CRT display system
JPH07311639A (ja) ポータブルコンピュータ
JP2803598B2 (ja) プリンタ装置
JPH0675901A (ja) 端末機器制御装置
JP2001516897A (ja) 複数の表示装置を制御するための装置、この装置を有するシステム及び所属の方法
JP2817483B2 (ja) 映像表示制御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6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