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4748B1 - 난방기 - Google Patents

난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4748B1
KR920004748B1 KR1019890008058A KR890008058A KR920004748B1 KR 920004748 B1 KR920004748 B1 KR 920004748B1 KR 1019890008058 A KR1019890008058 A KR 1019890008058A KR 890008058 A KR890008058 A KR 890008058A KR 920004748 B1 KR920004748 B1 KR 9200047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urner
flame
case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80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0656A (ko
Inventor
타다오 호리꼬시
하사오 나가누마
미노루 스기모또
마사노부 누마오
Original Assignee
산요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이우에 사또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988077649U external-priority patent/JPH02519U/ja
Priority claimed from JP63144038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89937B2/ja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이우에 사또시 filed Critical 산요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0006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06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47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47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4Radiant bodies or panels for radiation 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H3/04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Direct Air Heating By Heater Or Combustion Gas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난방기
제 1 도는 본 발명에 의한 난방기의 주요부를 절개하여 보인 측면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I-I선 확대단면도.
제 3a 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적열체의 사시도.
제 3b 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적열체의 평면도.
제 3c 도는 적열체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제 3d 도는 버너에 대한 적열체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
제 4 도는 본 발명에 의한 난방기의 측면도.
제 5 도는 본 발명에 의한 난방기의 보호가드를 떼어낸 상태의 정면도.
제 6 도는 본 발명에 의한 난방기의 보호가드를 떼어낸 상태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케이스(외장 케이스) 5 : 열림부(개구)
12 : 버너 13 : 불꽃입구부(화구부)
40 : 배기가스 정류판(저항판) 41 : 적열체
본 발명은 주로 버너로 가열되는 적열체로부터의 복사열을 외장케이스의 전방으로 복사해서 실내를 난방하는 복사식 석유난방기등의 난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복사식 난방기로서는 예컨대 일본국 실공소 61-24819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면에 열림구(개구)를 가지는 외장케이스 내에 버너를 설치하여 이 버너의 상방에 적열체를 설치한 것이 알려져 있다.
상기 버너에는 연료와 공기의 혼합기체가 유출하는 복수의 불꽃구멍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적열체는 금속판을 둥글게 통형상으로 하여 판이 겹친 양단부를 스포트용접등으로 결합하는 것에 의하여 만들어진다. 그리고, 버너의 화염에 의하여 통형상의 적열체를 적열(빨갛게 가열)시켜, 그 복사열이 외장케이스의 전면개구(열림부)를 통하여 복사되도록 하였다.
상기한 난방기에서는 화염이 적열체에 의하여 냉각되어서 연소가 불완전하게 되어 일산화탄소가 발생하기 쉽게되는 결점이 있었다.
또, 적열체는 금속판을 둥글게 통형상으로 하여 판이 겹친 양단부를 스포트용접등으로 결합하여 만들어지고 게다가, 상단부가 부착부재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가열과 냉각이 반복적으로 일어나면 열팽창이나 열수축에 의한 응력을 흡수할 수 없게 되어 변형할 염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결점을 감암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화염이 적열체에 의하여 냉각되는 복사식 난방기에 있어서 연소가 양호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동시에 적열체의 열팽창이나 열수축에 의한 응력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한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전면에 개구(5)를 가지는 외장케이스(1)과, 상기 외장케이스(1)내의 상부에 설치된 지항판(40)과, 상기 외장케이스(1)내의 하부에 설치되며, 복수의 화구부(13)을 가지는 버너(11)과, 상단부가 상기 저항판(40)에 고정됨과 동시에, 하단부가 상기 버너(11)의 상방에 위치하되, 세로로 긴 얇은 금속판으로 만들어진 적열체(41)을 구비하고 상기 적열체(41)은 긴쪽방향에 따른 만곡부(71)을 외장케이스(1)의 전면개구(5)에 향하여 돌출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적열체가 얇은 철판제로서 열용량이 적기 때문에 화염이 적열체에 의해 냉각되는 것을 극력방지하면서 적열체를 적열시켜 따뜻함을 높일 수 있다.
또, 화염의 선단을 저항판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휘게하여 연소용 2차공기와 접촉시킬 수 있어, 완전연소 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일산화탄소의 발생도 억제된다.
또, 적열체(41)에 의하여 냉각된 화염은 저항판(40)에 닿아서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고, 여기에서 버너 주변가장자리의 연소용 2차 공기와 접촉하여 2차 연소하기 때문에, 화염이 적열체(41)을 가열하여도 불완전연소가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 적열체(41)은 세로로 긴 얇은 금속판으로 만들어 긴폭방향에 따른 만곡부(71)를 외장케이스(1)의 전면개구(5)에 향하여, 돌출시킨 것이기 때문에 상단부가 저항판(40)에 고정되어 있기도 적열체(41)의 열팽창이나 열수축에 의한 응력을 만곡부(71)의 구부러짐에 의하여 흡수할 수 있다.
또, 적열체(41)의 긴쪽방향에 따른 만곡부(71)를 외장케이스(1)의 전면개구(5)에 향하여 돌출시킨 것에 의하여 종래의 통형상의 적열체의 것과 마찬가지로 복사면을 크게 취하여 적열체(41)의 복사열이 외장케이스(1)의 전면개구(5)를 통하여 실내의 넓은 범위에 확산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제 1 도 내지 제 6 도에 있어서, 본체케이스(이하 "외장케이스"라 한다)(1)은 받침대로서의 바닥판(2), 둘레벽판(3), 천장판(4) 및 열림부(이하 "개구"라 한다)(5)를 갖는 전면패널(6)을 가지고 있다.
상기한 둘레벽판(3)은 제 2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장의 금속판을 절곡붙임식으로 가공하여 좌우의 측면판부(3A) 및 배면판부(3B)를 일체가 되도록 형성하고, 상기한 측면판부(3A)에는 배면판부(3B)를 향해서 서로 간격이 좁아지도록 경사부(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닥판(2)위에는 버너장치(8)이 얹어져 고정되어 있고, 상기한 버너장치는 모우터(9) 및 이 모우터(9)에 의해 회전되는 급기팬(10)을 내장한 급기케이스(11)을 가지며, 이 급기케이스의 상부에는 석유연료를 기화해서 연소시키는 원통형의 버너(12)가 달려있다.
상기한 버너(12)내에서 기화된 연료는 급기팬(10)으로부터 연소공기와 혼합해서 버너헤드(12A)의 불꽃입구부(이하 "화구부"라 한다)(13)으로부터 분출하며 이 화구부(13)의 위쪽에 푸른 빛의 화염(F)를 형성해서 연소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급기케이스(11)의 상부에는 상기 버너(12)를 둘러 싼 원통형의 버너케이스(14)가 설치되어 있고, 그 둘레벽에는 버너케이스(14)내에 2차공기를 도입하는 복수의 2차 공기구멍(1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급기케이스(11)은 급기닥트(16)을 갖고 있어 필터(17)을 거쳐 그 급기케이스 내에 연소공기로서 실내공기를 공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상기 버너장치(8)의 뒷부분의 바닥판(2)웨이 기름받이 접시(18)이 얹어져 고정되어 있다.
상기한 기름받이접시(18)은 뒷부분이 상기 둘레벽판(2)의 배면판부(3B)보다도 바깥쪽으로 돌출되며, 또한 그 앞부분은 상기 공기케이스(11)의 양측에 돌출하여 있다.
상기한 기름받이접시(18)내에 연료를 빨아올려서 상기 버너(12)에 공급하는 전자펌프등의 연료공급펌프(19)가 달려 있고, 또 본체케이스(1)의 외부에는 카트리지탱크(2)이 부착되어 있어 상기 기름받이접시(19)에 연료를 공급하고 있고, 기름받이접시(18)의 주위를 둘러싼 탱크커버(21)의 상부에 일체가 되도록 성형한 탱크 가아드(22)에 의해 붙이고 뗄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점화플럭(23)과 불꽃검지기(24)는 상기 버너케이스(14)에 관통하도록 지지되며, 점화플럭(23)에는 기름받이접시(18)위에 고정한 점화변압기(25)로부터 고전압이 인가된다.
상기한 전면패널(6)의 개구(5)에 대응해서 외장케이스(1)내에는 발열부로서의연소통(26)이 설치되며, 이 연소통(26)은 내열투명유리로서 속이빈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이 연소통(26)내의 하부에는 상기 버너(12)의 화염(F)가 일어나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외장케이스(1)내를 상하로 칸막이 하도록 설치한 수평반사판겸용의 칸막이판(27)은 그 뒷가장자리를 상기 둘레벽판(3)의 배면판부(3B)에 직접 고정함과 더불어 제 2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의 양측 가장자리를 둘레벽판(3)의 측면판부(3A)내면으로부터 간격을 유지하고 있다.
또, 상기 칸막이판(27)의 거의 중앙에는 상기 연소통(26)의 하단을 끼워 맞춰 지지하는 하축지지부(28)을 가지며, 또한 칸막이판(27)의 하면과 상기 버너케이스(14)와의 사이에는 약 5-10mm의 간격(A)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한 연소통(26)의 뒷부분에는 평면형 원호상의 반사판(29)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 하단부를 상기 칸막이판(27)에 스폿트 용접등에 의해 고착해서 칸막이판(27)과 일체가 되도록 결합되어 있으며, 이 반사판(29)와 상기 둘레벽판(3)과의 사이에는 하단이 상기 칸막이판(27)의 아래쪽 공간에 연통하는 공간(B)가 형성되어 있다.
부호(30)으로 표시된 열회수용 송풍기는 필터(30a)을 통하여 빨아드린 실내공기를 가속해서 상기 공간(B)에 송풍하는 것이지만 구동용 모우터(31)과 이 모우터축(32)에 고착한 그 지름이 약 60-80mm의 미풍송풍용의 시로 코우팬(33)과 불어내는 구멍(34)를 위쪽으로 향해서 열린 팬케이스(35)로 구성되며, 이 팬케이스(35)에는 불어내는 구멍(34)으로부터 위쪽을 향해 불어내지면 바람의 일부를 옆방향으로 지향시키는 가이드편(36)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반사판(29)의 상단부에는 상부 반사판(37)이 설치되어 있고, 이 상부 반사판(37)에는 원통형의 배기통(38)이 상하 운동이 가능하도록 관통 지지되며 이 배기통(38)의 바닥부분에 결합한 다수의 배기통 구멍(39)를 갖는 배기가스 정류판(이하 "저항판"이라 한다)(40)에는 상기 연소통(26)내의 거의 중심에 매달아진 적열체(41)의 상단부가 고착되어 있다.
상기한 적열체(41)은 판두께가 약 0.3mm(0.3-0.5mm)의 높은 크롬스테인레스 강판(SUH-21)으로 된 한 장의 판체를 프레스가공동으로 성형한 것으로서 그 중앙부에 상기 개구(5)를 향해서 만곡하는 옆단면이 거의 U자형의 만곡부(71)을 설치함과 더불어 이 만곡부(71)의 좌우양측에 바깥을 향하도록 뻗은 평평한 플랜지부(7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플랜지부(72)는 만곡부(71)의 전높이에 걸쳐 형성되며, 이 플랜지부(72)의 상단과 상기 만곡부(71)의 상단에는 각각 부착편(73)을 절곡형성하여 일체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하여, 이 적열체(41)은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한 부착편(73)을 상기 저항판(40)의 적열체 지지부(40A)의 거의 중심위치에 고착하므로서 상기 연소통(26)에 매달리도록한 것이며, 그렇게하여 연소통내에 매달린 상태로 적열체(41)의 하단은 상기 버너(8)에 접근하고, 버너(8), 화염(F)의 속불꽃에 접촉해서 가열되어 적열화한다.
또, 적열체(41)은 제 3d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버너헤드(12a)에 설치된 말발굽형의 화구부(13)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화염(F)에 싸여버려서 화염(F)의 속불꽃과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또, 이실시예에서는 적열체(41)의 만곡부(71)를 옆단면을 거의 U자형으로 형성했으나, 제 3c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옆단면을 거의 V자형으로 해도 좋다.
상기한 연소통(26)의 윗쪽에는 전면개구(5)를 향해서 높게 되도록 경사가 진 열차단판(47)이 설치되고, 그 좌우 양측부의 늘어뜨린 편(48)에 의해 상부반사판(37)위에 고정되며, 이 열차단판(47) 밑에는 상기 배기통(38)의 내부를 포함하고, 또한 배기통(38)을 통하여 연소통(26)내에 연통하는 배기실(C)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하여, 이 배기실(C)의 앞끝의 출구(49)를 상기 상부 반사판(37)의 앞끝부분에 절곡붙임식으로 형성한 하측절곡편(50)에 복수개를 설치하고, 또 상기 열차단판(47)의 뒤끝부분과 상부반사판(37)과의 사이에는 배기실(C)를 상기 공간(B)의 상단부에 연통시키는 좁은 간격(D)가 마련되고, 좁은 간격(D)와 대응해서 이상온도 상승시에 운전을 정지시키기 위한 이상온도 검출기(69)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열차단판(47)과 외장케이스(1)내의 상단부에는 상기 공간(B)에 연통하는 통기실(E)가 형성되며 이 통기실 앞끝의 출구(51)을 상기 하축절곡편(50)과 연속해서 절곡붙임식으로 형성한 상측 절곡편(52)에 복수개 형성하고 있다.
그리하여, 상기 배기실(C)의 출구(49)는 통기실(E)의 출구(51)보다도 아래쪽으로, 더구나 출구(51)보다도 약 15-30mm 안쪽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열차단판(47)의 위쪽에는 보조열차단판(53)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천장판(4)의 상부에는 조작부(54)가 부착되어 있고, 상기 조작부(54)와 상기 천장판(4)와의 사이에는 약2-50mm의 간격(F)를 유지하고 있다.
그 간격(F)를 유지하기 위해서 볼록부(55)를 배치하고, 조작부(54)의 하면판(56)의 일부를 아래쪽으로 돌출시키고 있다.
부호(57)로 나타낸 조작전면부는 합성수지제의 위상자(58)의 전면축에 위로 기울도록 경사져서 각종의 조작버튼(59A) 및 표시기(59B)를 가지고 있다.
부호(60)은 조작부(54)에 내장한 조작부회로 기판이며, (61)은 상기 개구에 설치한 보호가드이며, 좌우의 고정간(62)와 이것에 양끝부분을 고착한 복수의 횡간(63)을 가지며, 최상부의 횡간(63)을 배기실(C)의 출구(49)보다도 낮은 위치로해서 배기가스에 가열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 제 6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필터(31)에 의해 덮여진 열회수용 송풍기(30)의 흡입구(64)와 상기 급기용 필터(17)에 의해 덮여진 급기닥트(16)의 급기구(65)는 각각 상기 둘레벽판(3)의 측면판부(3A)의 경사부(7)에 개구시키고 있어, 기기를 실내의 벽(W)에 가깝게 설치해도 벽면과의 공간거리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운전을 개시하면, 우선 버너장치(8)이 구동하며, 모우터(9)의 기동에 의한 급기팬(10)의 회전에 의해 급기케이스(11)내에 흡입된 연소공기가 1차공기로서 버너(12)내에 공급되며, 급기케이스(11)내의 일부공기는 2차공기로서 칸막이판(27)아래쪽의 외장케이스(1)내에 방출된다.
그리하여, 버너(12)내에 공급된 1차공기는 버너(12)내에 공급되어 기화된 석유연료의 기화가스와 미리혼합되며, 이 미리 혼합된 공기가 화구부(13)으로부터 연소통(26)내로 분출되어 점화플럭(23)에 의해 점화되어 푸른빛의 화염(F)를 형성하여 연소한다.
상기한 버너장치(8)의 연소개시에 의해 상기 화염(F)와 고온의 연소가스가 적열체(41)을 가열하여 적열시켜 그 연소 배기가스는 저항판(40)의 배기 통로구멍(39)를 통해서 배기실(C)내로 유입되어 배기가스 안내관(44), 촉매(45)를 통과해서 배기실(C)의 출구(49)로 배출된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는 버너헤드(12a)의 화구부(13)을 말발굽형으로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화구부(13)에는 위로 향해서 통형상으로 뻗는 화염(F)가 형성됨과 아울러 이 화염(F)의 둘레방향의 일부에는 소정폭을 갖는 불꽃이 없는 공간이 형성되며 더구나 화염(F)의 중앙부는 연소가스의 상승에 의한 드레프트작용에 의해 마이너스 압력이 되어 있기 때문에 2차공기가 불꽃이 없는 공간으로부터 화염(F)의 중앙부에 흡인공급된다.
따라서, 화염(F)의 드래프트(draft)작용에 의한 자연통풍으로 화염중앙부에 2차공기를 공급할 수 있어 2차공기공급에 의한 연소소음의 감소를 피하면서 일산화탄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버너보니에 2차공기파이프를 관통시키거나 버너헤드에 2차공기통로를 형성하는 등의 복잡한 구성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구성의 간략화를 피할 수 있다.
여기서 버너장치(8)의 연소개시에 의해 화염(F)와 고온의 연소가스가 적열체(41)을 가열해서 적열시켜 그 연소배기가스(C)의 출구로 배출되는 것은 상기와 같지만, 한편 불꽃검지기(24)가 화염(F)의 존재를 검출하면, 열회수용 송풍기(30)이 구동하여 시로코우팬(33)에 의해서 필터(30a)을 거쳐 팬케이스(35)내로 흡인된 실내공기가 불어내는 구멍(34)로부터 상기공간(B)의 하단부로 내보내진다.
상기한 공간(B)에 유입한 미풍의 공기류는 연소통(26)의 복사열에 의해 가열된 반사판(29)의 열을 회수하면서 공간으로 상승하여 일부가 좁은 간격(D)로부터 배기실(C)로 들어가 그 대부분은 통기실(E)로 유입해서 이통기실의 출루(51)로부터 방출된다.
또, 연소통(26)위에 설치한 열차단판(47)과 본체케이스(1)의 천장판(4)와의 사이에 통기실(E)를 형성하고, 반사판(29)와 외장케이스(1)과의 사이의 공간(B)에 송풍하는 송풍기(30)의 송풍공기를 상기 통기실(E)에 유통시키도록 했기 때문에 온도상승한 반사판(29) 및 열차단판(47)의 열을 송풍기(30)의 송풍에 의해 회수해서 실내로 방출할 수 있어 난방효과를 높임과 아울러 외장케이스(1)의 둘레벽판(3)과 천장판(4)의 온도 상승을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 상기 열차단판(47)의 아래에는 상기 연소통(26)에 연통하는 배기실(C)를 형성하며, 이 배기실(C)의 출구(49)로부터 방출되는 배기가스의 온도를 통기실(E)의 출구(51)로부터 방출되는 공기류에 의해 저하시킬 수 있어 배기가스의 접촉에 의한 전면패널(6) 상단부의 온도상승을 억제하여 화상등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배기실(C)의 출구(49)가 통기실(E)의 출구(51)보다도 외장케이스(1)의 안쪽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고온이 되는 배기실(C)의 출구(49)부분에 접촉되는 일이 없도록 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버너(11)의 연소가스로 가열되는 적열체(44)를 엷은판으로 제작했기 때문에 적열체(44)의 열용량을 적게 할 수 있고 적열체(44)에 의해 따뜻함을 강조하면서 복사난방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화염(F)가 적열체(44)에 의해 냉각되는 것을 극력방지할 수 있다.
또, 화염(F)의 끝부분을 저항판이 되는 저항판(40)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기울여 화염(F)의 바깥둘레에 따라 상승하는 연소용 2차공기와 접촉시켜 거의 완전연소시킬 수 있어서 일산화탄소의 발생을 대폭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된 본 발명은 적열체의 적열에 의해 따뜻함을 강조하면서 복사난방을 양호하게 행할 수가 있고, 더구나, 화염이 적열체에 의해 극력 냉각되지 않도록 하면서 저항판에 의해 완전 연소시켜 일산화탄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등 쾌적하고 안전한 복사난방을 실현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전면에 개구(5)를 가지는 외장케이스(1)과, 상기 외장케이스(1)내의 상부에 설치된 저항판(40)과, 상기 외장케이스(1)내의 하부에 설치되며 복수의 화구부(13)을 가지는 버너(11)과, 상단부가 상기 저항판(40)에 고정됨과 동시에, 하단부가 상기 버너(11)의 상방에 위치하되 세로로 긴 얇은 금속판으로 만들어진 적열체(41)를 구비하며, 상기 적열체(41)은 긴쪽 방향에 따른 만곡부(71)을 외장 케이스(1)의 전면 개구(5)에 향하여 돌출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기.
KR1019890008058A 1988-06-10 1989-06-09 난방기 KR9200047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077649(U) 1988-06-10
JP1988077649U JPH02519U (ko) 1988-06-10 1988-06-10
JP?63-77649? 1988-06-10
JP63-144038 1988-06-10
JP63144038A JPH0689937B2 (ja) 1988-06-10 1988-06-10 暖房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0656A KR900000656A (ko) 1990-01-31
KR920004748B1 true KR920004748B1 (ko) 1992-06-15

Family

ID=26418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8058A KR920004748B1 (ko) 1988-06-10 1989-06-09 난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474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0656A (ko) 1990-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92313A (en) Gas log fireplace with high heat output
KR100326963B1 (ko) 적외선 가스 브로일러를 구비한 전기 조리 오븐
KR920004748B1 (ko) 난방기
US4919120A (en) Radiant-type heater
KR20020056248A (ko) 가스복사 조리기의 배기구조
KR920004880B1 (ko) 난방기
JP2516397Y2 (ja) 暖房機
JPH01312353A (ja) 暖房器
JP2966573B2 (ja) 温風暖房機
KR20020056254A (ko) 가스복사 조리기의 콘트롤박스 냉각장치
JP7264835B2 (ja) 暖房装置
JP2680626B2 (ja) 暖房機
JP3564695B2 (ja) 温風暖房器の置台構造
JP7299172B2 (ja) 暖房装置
JPS6335222Y2 (ko)
JP7248597B2 (ja) 暖房装置
JP7492935B2 (ja) 暖房装置
JP7267942B2 (ja) 暖房装置
US4483313A (en) Reflection type heater
JP3535124B2 (ja) 温風輻射暖房器
JP3615354B2 (ja) 輻射式暖房機
JP2777465B2 (ja) 輻射暖房機
JP3530267B2 (ja) 温風暖房機
JPH0648265Y2 (ja) 暖房機
KR850003174Y1 (ko) 난로 겸용 온수 보일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605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