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4241B1 - 팬티스타킹등과 같은 복수개의 관형편물제품을 동시에 제조하기 위한 원형편물기 - Google Patents

팬티스타킹등과 같은 복수개의 관형편물제품을 동시에 제조하기 위한 원형편물기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4241B1
KR920004241B1 KR1019900003003A KR900003003A KR920004241B1 KR 920004241 B1 KR920004241 B1 KR 920004241B1 KR 1019900003003 A KR1019900003003 A KR 1019900003003A KR 900003003 A KR900003003 A KR 900003003A KR 920004241 B1 KR920004241 B1 KR 9200042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ead
needles
needle
hooks
pantyh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3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4666A (ko
Inventor
콘티 파오로
가리볼디 프랑코
Original Assignee
람브다 에스. 알. 엘
베니토 마니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람브다 에스. 알. 엘, 베니토 마니니 filed Critical 람브다 에스. 알. 엘
Publication of KR900014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46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42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42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8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15/54Thread guides
    • D04B15/58Thread guides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s; Thread-chang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9/0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9/06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with needle cylinder and dial for ribbed goo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9/0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9/42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9/0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9/42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9/46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stockings, or portion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팬티스타킹과 같은 복수개의 관형편물제품을 동시에 제조하기 위한 원형편물기
제 1 도는 직물기의 축방향 전단면도.
제 2 도, 제 3 도, 제 4 도는 4개의 몸체를 형성하고 8개의 레그부를 형성할때 두개의 바아사이에 놓인 실을 교환하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제 5 도, 제 6 도 및 제 7 도는 두개의 바아 즉 플레이트의 바아아 실린더의 바아를 상세하게 도시한 단면도.
제 8 도 및 제 9 도는 역회전장치 및 고정부품위에서 니이들 선택기의 선택용 부품을 도시한 개략도.
제 10 도, 제 11도, 제 12도 및 제 13 도는 각각 두개의 동작상태에서 두개의 선택캠의 셀(shells)을 도시한 개략도.
제 14도는 한짝의 팬티스타킹을 도시한 개략도.
제 15도는 레그부의 구조를 확대도시한 상태도.
제 16도는 발끝부분의 작업개시와 크러치구역을 폐쇄하기 위한 상태에서 작동되고 교차되는 두개바아의 니이들과 확대도시한 상태도.
제 17 도는 몸체를 제조하는 동안 실교환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
제 18 도 및 제 19 도는 실린더의 니이들 및 플레이트의 니이들에 실을 싣기 위한 훅의 사시도.
제 20a 도, 제 20b 도, 제 20c 도 및 제 20d 도는 실을 움켜쥐고 풀어내는 위치에 있는 훅과 결합된 제어수단의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도.
제 22 도 및 제 23 도는 실을 실린더의 니이들과 플레이트의 니이들에 공급하는 상태에서 니이들의 작업구역을 도시한 도면.
제 24 도, 제 24b 도, 제 24c 도, 제 25d 도 및 제 25 도, 제 25a 도, 제 25c 도, 제 25d 도는 공급된 실에 대한 가이드수단을 나타내는 제 24도의 부분평면도와 제 24 도의 B-B선, C-C선 및 D-D선 부분단면도 및 제 25도의 부분평면도와 제 25도의 A'-A-선, C'-C'선, D'-D'선 부분단면도.
제 26 도와 제 27 도는 두개의 자세에서 본 실푸는 장치를 나타내는 수직단면도.
제 28 도와 제 29도는 레그와 몸체의 생산에의 언와인더에 의해 취해진 위치를 나타낸 부분평면도.
제 30 도와 제 31도는 언와인더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수직단면도 및 부분평면도.
제 32 도, 제 33도, 제 34 도 및 제 35 도는 실절단 및 그리핑뺀찌에 의해 취해진 3개의 위치를 도시한 정면도 및 부분평면도.
제 36 도는 훅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제 37 도는 언와인더를 이동시키기위한 여러가지 장치를 도시한 도면.
제 38 도는 언와인더의 배치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제 39 도는 니이들을 선택하기위한 제어의 전자석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구조물 (10) : 플레이트형 바아
(11) : 실린더형 바아 (13)(15) : 니이들
(17) : 모우터 (19) : 풀리
(20) : 입력축 (21)(22) : 기어
(23) : 기어휘일 (28) : 반상지주
(29) : 링 (32) : 장치
(36) : 트러스트베어링 (37) : 디스크
(114) : 돌기부 (116) : 잭(또는 진동선택기)
(117) : 공동 (118) : 히일
(127) : 레버 (219) : 핀
(220) : 스프링 (225) : 고정지주
228) : 유압실린더 (230) : 스프링
(463) : 장치 (458) : 링
(458A) : 돌기부ㅡ (459)(460) : 가이드와이어
(463) : 푸는 장치 (463B) : 프레임
(467) : 가이드파이프 (477) : 작동기
(478) : 베어링 (479) : 디스크
(483) : 뺀찌
본 발명은 복수개의 관형편물제품, 더 상세하게 말해 팬티스타킹등으로 알려진 의복을 동시에 제조하기 위한 편물기(knitting machine)에 관한 것이다. 상기 편물기는 니이들의 고정된 두개의 원형바아(하나는 니이들의 실린더베드위에, 다른 하나는 플레이트로 불리는 니이들의 반상베드(discoid bed)위에 놓이고 여기에서 이들이 방사상으로 배치된다)와, 반대방향이고 두개의 바아에 동축으로 회전하는 두개의 장치에 의해 운반되는 두개바아의 니이들용 제거캠의 두세트와, 이동중인 캠에 의해 순간적으로 제어되는 구역에 있는 니이들에 실을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두개의 장치의 탑제수단(entraining means)에 연속통로로 실의 교호적인 탑재를 위해 상기 두개의 장치에 의해 운반되는 수단으로 구성되는 형태이다. 제품은 두개바아의 니이들의 일정한 간격이 떨어진 아아크에 의해 제조되고 1개 또는 그이상의 실 피이드가 각 아아크에 마련되며, 실은 각 아아크를 따라 양쪽방향으로 실린다. 스티치의 각 원주열은 한쪽바아의 니이들에 의해 반이 만들어 지고 다른 바아의 니이들에 의해 나머지반이 만들어진다. 다른열을 다른형태의 실로 생산할 수 있다.
각 아아크의 니이들 또는 니이들의 분리된 세트위에서 다수개의 가변성니이들로 팬티스타킹을 만들기위해 다음 작업이 이루어진다 ; 먼저 발끝의 폐쇄부열을 만들기 위한 적당한 열 ; 그다음 레그의 관형부분 ; 그 다음 크러치용 폐쇄부 ; 그다음 초기에 만들어진 두개의 다리부를 연결하여 계속하여 형성하는 몸체 또는 팬츠로 알려진 부분 ; 마지막으로 의복을 지지할 수 있는 이중직물(double fabrid)로 만들어진 탄성밸브.
두개의 역회전장치의 각각에 니이들에 작용하는 캠은 스터치를 형성하기 위하여 니이들을 상, 하강시키기 위한 다수세트의 이중 및 연속캠시스템에 의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형태의 편물기계는 다음 특허에 개시되어 있다 : 1984년 8월 1일에 출원한 이탈리아 특허출원 제 9470A/84호 ; 1985년 7월 24일에 출원한 캐나다 특허출원 487.365 ; 1985년 8월 1일 체코슬로바키아 특허출원 제 PV5632-85 ; 1985 년 7월 30일에 특허출원 제 279, 146-3호로 출원하여 1986년 10월 1일에 특허허여된 제 239,616호 동독 특허공고 ; 1985. 8. 1, 일본 특허출원 제 168.699/85호 ; 1985년 7. 31. 스페인 특허출원 제 545.761호, 1986. 5. 20. 스페인 특허 제 545,761호 ; 1985. 8. 1 자유중국 특허출원 제 74/103,377호 ; 1985. 8. 1 소비에트유니온 특허출원 제 3,932,561/12호 ; 1985. 7.24 미합중국 특허출원 제 758,540호, 1987. 9. 1미합중극 특허공고 제 4,689,/971호 ; 1986. 1.23. 중국 특허출원 제 86/100,603호. 두개(또는 그이상, 실피이드가 동시 생산시에 각 제품에 사용되어야하는 제안은 1985.11.28일에 출원하여 이탈리아 특허출원 제 9827A/85호의 우선권을 주장한 다음 특허에 개시되어 있다 : 1986.11. 1일 유럽특허출원 제 86/830,356.1호 ; 1986.11.24일 체코슬로바키아 특허출원 제 PV8557-86호 ; 1986.11.26 일본 특허출원 279,909/86; 1986.11.19일 미합중국 특허출원 제 932,913호, 1988. 2.16일 미합중국 특허공고 제 4,724,687호. 이와 같은 지난번 특허는 같은 실을 전방으로 항상 유지하고 같은 실을 항상 후방으로 유지하는 동안 하나의 바아에서 다른 바아에 이르는 통로에서 두개피이드의 두개실의 교차를 피하는 방법을 시사한다. 이 제안은 니이들의 두개의 고정된 원형바아를 가지는 편물기계에도 적용된다.
실제로 이형제품 및 가공제품(shaped and finished articles)을 포함하여 다수개의 관형편물제품(tubularkinitted articles)을 동시에 만들기 위한 본원 발명의 원형편물기(circular textile machine)는 니이들로 뜨개질작업하기위한 두개의 바아, 즉 베드에서 다수개의 제품이 상기 두개의 바아에 대응하는 니이들의 개별 아아크위에서 동시에 제조되고 각각은 하나의 바아의 니이들에 의해 일부분이 또다른 바아의 니이들에 의해 일부분이 구성되는 열을 가지는 두개의 바아와 연속해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고 하나가 하나의 바아용 제어캠을 나르고 다른 하나가 다른 바아의 니이들용 제어캠을 나르는 두개의 장치와 ; 상기 장치의 각각에서 제품을 만드는 각 아아크를 따라 두개의 방향으로 실을 교대로 싣고 두개의 역회전실는 수단사이에서의 실의 교환이 니이들의 각 작업아아크의 끝단에서 일어나는 수단으로 구성되는 형태이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 편물기는 1차로 공급된 같은 실을 항상가지는 니이들의 각 작업아아크에 대한 두개의 연속실피이드를 얻고 연속나선형의 열을 형성하기 위하여 두개의 연속실피이드; 그들에게 두개의 각도에서 니이들을 공급하고 탑재수단에 의해 그것의 탑재의 각 역전에 그들의 위치를 교환하기위하여 두개실의 위치를 안내하고 바꾸기위한 수단; 실는 수단으로서 각쌍의 훅과 함께 쌍을 이루는 혹이 각 전진방향에서 다른 것뒤에 있는 하나에 배치되고 1차훅이 그것의 하나를 취하기위하여 두개의 실사이에 있는 공간으로 관통하게 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2차훅이 다른실을 잡기위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쌍을 이루는 형상; 상기 두개의 역회전장치위에서 상기 훅이 실의 결합 및 실의 풀림위치사이에서 그것의 변위를 허용하는 지주; 그리고 고정구조물위에서 작업아아크를 따르는 유효거리(active trravel)끝단에서 훅의 알맞은 이동을 야기하는 제어수단을 추가로 포함한다.
실제로 상기 훅은 다른 형상의 활동단(differently shaped active ends)을 가지고 상기 훅이 활동단에 직교하는 축을 따라 각 이동(angulary mobile)하도록 지지되고 스프링형상 또는 캠형상의 복귀수단의 작용에 대한 액티브캠제어수단과 상호 작용하는 크랭크를 가진다. 상기 훅의 하나가 앞쪽실을 움켜쥐기위해 약 45°굽혀지고 다른쪽(343,350)이 다른실을 잡기위해 약 90°굽혀져 있다. 상기 훅의 하나가 앞쪽실을 움켜쥐기 위하여 더 짧고 다른쪽이 다른실을 움켜쥐기위해 더 길게 되어있다.
바람직한 형태의 실시예에서, 니이들의 두개의 베드가 한쪽은 실린더위에 다른쪽은 플레이트위에 있고 실을 실린더의 니이들로 안내하기위한 훅이 실린더의 니이들바아의 바깥에 거의 방사상위치에 놓인 축을 따라 움직이고, 실을 플레이트의 니이들에 안내하기위한 훅이 플레이트의 니이들바아위에서 플레이트에 거의 직교하는 축을 따라 움직인다.
공급된 실에 대한 스위칭 및 안내수단은 각각이 두개의 실이 감긴 보빈과 결합되고 회전축에 대하여 중심이 벗어난 두개의 출구아일릿(two off-center outlet eyelets)을 가진 회전어셈블리(플레이트 및 프레임)로 이루어진 실푸는 장치와, 각 탑재이동(each entrainment travel)의 끝단과 내외부로 통하는 실의 각 교환에의 두쌍의 훅에 의해 실이 결합되게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진다. 훅에 의해 실이 맞물리게하는 상기 수단은 오목부와 두개의 바아를 따라 연장하는 돌기부를 형성하는 이형단면형상(shaped profile)을 가진 링과, 그들의 대향자유단을 가지는 상기 링에 대칭으로 배치되고 상기 링의 돌기부에 대하여 제한된 거리에 착좌되고 상기 돌기부에 대해 상술된 쌍을 이루는 강제가이드와이어로 구성된다. 상기 실푸는 장치는 상기 아이릿과 상기 돌기부사이에 있는 두개실의 궤적의 순환이동을 얻기위하여 상기 링의 돌출구역을 거의 통과하는 회전축에 대해 중심이 어긋난 두개의 출구아이릿을 가지는 회전조립체(플레이트와 프레임)를 가지고 실는 작용하에서 링의 상기 형상을 따라 실이 슬라이딩하는 가이드와이어내외부를 통과하는 실의 교환은 상기 훅에 의해 교대로 이루어진다.
각각 공급된 실에 대해, 본 편물기계는 실이 배제되도록 결합하여 절단하고 도착훅(arriving hook)에 의해 실이 잡히도록 실을 건네줄 수 있는 뺀찌기구(pincer mechanism)와, 상기 뺀찌기구를 이동하기위한 수단과, 그것의 그리핑 및 절단부재(the gripping and cutting members)를 제어하기위하여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수단은 뺀찌기구에 대해 고정구조물위에 관절연결된 진동아암을 가지는 지주와 두개의 액티브포지션(active positions)에서 상기 아암을 이동시키기위한 작동기와 아암지주에 대해 뺀찌기구가 슬라이드하게 하는 작동기와, 뺀째의 부재를 제어하기위한 작동기로 구성된다.
본 편물기를 니이들의 두개의 바아의 두개의 연속아아크위에서 두개의 관형부를 짠다음 계속하여 두개의 관형부와 상기 연속아아크의 그것들 사이에서 이루어진 니이들구역의 니이들에 의해 형성된 부분의 연장에 따라 하나의 원형부를 짜서 타이츠와 같은 형상의 의복을 만들수 있게 할때, 상기 편물기는 상기 가이드와 이어의 관통부의 두개의 연속아아크의 사이에 포함된 니이들구역(크러치)과 조화를 이루는 위치에 놓여있는 상기 가이드와이어용 관절수단과, 액티브포지션에서 상기 두개의 가이드와이어를 배제하고 상기 뺀찌기구의 작용과 동시에 그들을 액티브포지션으로 가져오는 제어수단을 포함한다.
실제로 푸는 장치는 문제의 언와인더에 의해 공급된 두개바아의 니이들아아크에 대하여 언와인더가 항상 실질적으로 중간위치로 이동되게하도록 가동지지부재에 의해 운반된다. 특히 환형부재는 상기 모든 푸는 장치를 지지하고 고정구조물에 대하여 각 변위할 수 있게 마련된다. 작동기는 동작상태에서 상기 공급장치의 두개바아의 니이들아아크에 대하여 각 푸는 장치가 거의 중간위치에 도달할 수 있도록 상기 환형부재를 변위시킬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 거의 접선가이드에서 이동하는 슬라이드형 지지부재가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드의 각각이 두개의 푸는 장치를 운반하게 된다.
편물기계는 여러개바아의 니이들을 제어하기위한 캠세트를 포함하고 캠세트중의 하나가 니이들을 낮추기 위한 두개의 캠을 포함하고 이들 캠중의 하나가 배제될 수 있고 계속해서 캠을 상승시킨다. 이런 배치구조로 인해 상기 배제가능한 캠을 포함하여 연속공급된 두개의 실로 두열의 스티치를 형성하고, 상기 배제가능한 캠을 배제하여 니이들의 전진 및 지연된 상승에 의해 선택하는 것이 가능함에 따라 싱글하강과 싱글스티치열의 형성으로 "슬립스티치(slip stitch)"로 알려진 디자인을 가진ㄴ 직물을 형성할 수 있다.
몸체형성의 시작단계에서, 두개 레그의 형성구역사이에 구성된 섹션(크러치)에 놓인 두개바아의 니이들이 레그부를 형성하기 위해 공급된 두개의 실에 의하여 몸체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폐쇄열을 교차하여 형성하기 위해 제어된다. 두개 레그부의 형성구역사이에 구성된 섹션(크러치)의 니이들과 함께 서로교차하도록 상기 섹션(크러치)의 그것들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레그부를 형성하기위하여 작동되는 각 바아의 적어도 하나가 상승되어; 크러치 폐쇠구역의 끝단에서 제품을 형성하는 아이릿을 제거하거나 또는 적어도 줄이게 된다.
항상 고정된 위치에 놓여있는 니이들을 선택적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각 니이들 위에서 또는 니이들선택기위에서 작동하는 전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전자석은 각 전자석에 대하여 유용한 공간을 증가시킬 목적으로 다수개의 링크내에 배치된다.
본 발명은 다음에 기술하는 명세서내용과 상기 발명의 실질적이고도 비제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첨부도면에 의해 쉽게 이해할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는 기계적인 구조를 나타내기위한 전단면도이며, 고정구조물은 여러개의 부품으로 이루어지며 도시부호(1)로 나타낸다. 중심요소(3)와 환상(環狀)요소(5)를 경유하여, 구조물(1)은 각 니이들(13)및 (15)용판형바아(10)와 실린더형 바아(11)를 지지한다. (17)은 모우터로 톱니벨트를 경유하여 가동입력축(20)에 착설된 풀리(19)로 회전운동을 전달한다. 그다음 회전입력운동은 두개의 원통기어(21) 및 (22)로 전달된다. 기어(22)는 이 회전운동을 구조물(1)에 의하여 지지된 대형베어링(24)에 착선된 톱니화일(23)에 전달한다. 휘일(23)은 일예로 실린더(11)주위를 반시계방향으로 계속하여 회전하는 장치(26)을 지지한다. 장치(26)는 다음에 설명하는 니이들(15)을 위한 진동선택기용 선택캠을 구비하고 고정된 실린더(11)주위를 회전한다. 기어(21)는 회전방향을 반대로 하기위하여 두개의 동축솔리드기어(25)로 이루어진 아이들중간기어를 경유하여 반시계방향으로 도는(톱니휘일(23)의 운동방향에 반대)중심축(27)의 회전에 짝을 이루는 기어(26)에 회전운동을 전달한다. 축(27)의 상단에 고정된 것은 장치(26)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반상(盤狀)지주(28)이며, 이것과 함께 베어링(30)위에 착설된 링(29)이 구조물(1)의 중심요소(3)의 상부에서 운반된다. 링(29)은 핀(10)에 고정되어 다음에 설명할 니이들(13)용 진동선택기를 수용하기 위하여 홈이 나있는 실린더(9)주위를 회전하는 장치(32)를 교대로 운반한다. 상기 장치(32)는 상기 선택기용 제어캠을 가진다.
회전운동을 판캠을 가지는 장치(32)로 전달하는 축(27)도 축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여 실린더(9)와 판(10)을 상승시킬 수 있다. 실제로 축(27)의 수직상승은 베어링(30)을 경유하여 링(29)에 의하여 슬리이브(35)에 고정된 디스크(34)를 태운 디스크(28)의 상승과 구조물(1)의 중앙가이드지주(3)위에서의 슬라이딩으로 실린더(9)와 함께 플레이트(10)을 상승시킨다. 축(27)의 정상위치는 구조물의 평면(1A)위에서 트러스트 베어링(36)과 디스크(37)를 경유하여 지지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축(27)과 판(10)의 상승은 몇십분의 일 밀리미터정도의 근사한 상승이 필요할때 유압실린더/피스톤시스템(38)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이와 같은 들어올림은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소위 탄성이중테두리를 실행하는 동안 필요하게 된다.
한편 플레이트(10)의 더 큰 상승은(약 100밀리미터까지) 상기 기계를 정지하여 두개의 바아사이에서 기계를 검사하기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 이루어진다. 그와 같은 상승은 실린더/피스톤시스템(38)을 탑재하여 디스크(3)와 판(10)을 포함하는 전체세트를 상승시키는 유압실린더 피스톤시스템(38)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부구조물(1C)는 지지물(41)에 의하여 회전하게 착설된 반상부재(40)에 의하여 운반되는 다음에 설명될 실푸는 장치(463)을 지지한다. 실푸는 장치(463)에서 나오는 실은 니이들에 의하여 움켜쥐어지기 이전에 다음에 설명할 링(458)에 의하여 안내된다. 이 링(458)은 아암(1E)을 경유하여 상부구조물(1C)에 의해 지지된다. 고정구조물(1)의 지주(1F)는 실푸는 장치(463)에서 나오는 실을 억제하고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 다음에 기술할 절단 및 억제뺀찌(483)을 지지한다.
상기 아암(1E)과 고정구조물(1)에 연결된 구조물(1G)와 같은 다른 지주들은 두개의 반대회전장치(26)와 (32)외부에 배치된 다음에 설명할 지주(225)와 같은 고정된 선택그룹을 가진다.
안전한 제품을 형성하게되는 니이들의 아아크를 따라 연재하는 흡입구(43)는 후자와 플레이트(10)의 사이에 있는 실린더(11)내에 개구된다. 이들 포오트(43)는 제조될 제품의 공기장력흡입공기류와, 분리된 제품의 진공이송용 공기도관(43A)에 연결된다.
여러가지의 조립체들을 상호동기작동기와 모우터로 제어할 수 있다. 여러 모우터는 클러치의 작동개시 정지와 몸체의 제조의 스타트에서 어떤 공급의 제거단계 또는 다른 단계에서와 같은 특수단계에서의 감속과 같은 적절한 시간에 속도변화를 확실하게 제어할 수 있는 프로그램에 의하여 제어된다.
기계의 다른 조립체를 다음 명세서와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종래 기계관련, 스티치 즉 니이들과 싱커(the sinkers)의 포인트를 만드는 부품은 실제적으로 본 발명에서와 동일하다. 특별하나 한정되지 않은 방식에서 선택된 해답은 종래 발명 제 20 도에서의 고정된 씽커를 가지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와 다른 부품은 : 1 ) 이동을 제공하는 캠위에서 작동하는 니이들(히일이라 부름) 부분 ; 2)특별한 진동선택기(oscillating selectors)가 적합했으므로 니이들의 선택수단 또는 다른 방법으로 직접 전자선택시스템 ; 3) 전공서어보시스템(electro-pneumatic servo-system)을 가진 전자시스템으로 제어되는 선택제어수단 ; 4)스티치를 만들기위하여 니이들을 상하로 작동시키는 캠, 이들을 스티치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스티칭캠의 작은 상향이동을 제어하고 두개의 실급송장치용으로 세트로 배치되고 이들 모두는 각각 연속하여 회전하는 장치에 고정한다 ; 5) 실급송시스템(thread feed system).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하나의 몸체와 두개의 다리를 가지는 타이츠(tights)와 같은 다수개의 제품을 수용할 수 있는 영역을 다지는 큰 직경의 원형기계이다. 다음 명세서에서 한정하지 않은 실시예는, 이 실시예가 다른, 평편한 것이 바람직한 다수개의 제품을 동시에 생산하기 위하여 고려될 수 있을지라도 동시에 4개의 의복을 생산하는 기계가 된다.
제 2 도에서, C1-C2-C3-C4는 4짝의 타이츠의 몸체단면을 나타내며 이들을 형성하는 두개의 원형니이들을 따르는 공간에 의하여 분리된다. 제 3 도는 4짝의 타이츠다리의 단면을 나타내며 이들은 G1X, G1Y-G2X, G2Y-G3X, G3Y-G4X, G4Y를 나타내며 또한 공간에 의하여 분리된다. 제 3 도에는 외부에 그려진 실린더용 4쌍의 캠이(46)으로 도시되고 두개의 반대회전장치(26)과 (32)에 의햐여 운반되는 내부에 그려진 플레이트용 4쌍의 캠이 (47)로 도시되어 있다. 제 3 도에서 각쌍의 캠이 4개의 의복의 하나와 다른 하나 사이에서 공간속을 가로지르기위하여 그들의 회전에서 동시에 움직인다. 제 4 도에서, 각쌍의 반대회전캠이 다리부를 제조하는 동안 크러치구역(crutch zone), 즉 다리 G1X와 G1Y사이에 있는 공간등, 즉 제 3 도와 제 4 도에서 볼 수 있는 8개의 공간에서 교차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한쌍의 타이츠와 다른 한쌍의 타이츠사이에 있는 빈공간과 각쌍의 타이츠의 크러치구역은 형성되는 관형제품의 외부영역을 형성하는 바아의 니이들과 상기 관형제품의 내부구역을 형성하는 바아를 제어하기위한 이중세트캠(46)와 (47)의 원주방향의 폭을 포함하기위한 원주구멍을 구비해야 한다. 각 세트(46)는 실린더의 바아니이들과 플레이트의 바아니이들로 연속절반열을 형성하기 위하여 세트(47)와 세트(46)등을 통과하는 두개의 급송실을 수용한다.
제조에 바람직한 의복을 제 14 도와 제 15 도에 도시한다. 발의 끝단에서 시작하여, 제 3 도에서 단면G1X, G1Y등으로 도시한 다리를 형성하기위한 모든 니이들을 포함하여 폐쇄열 A, C, D, B로 시작한다. 바로뒤에 토우는 그 각도를 둥글게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런 목적으로, 제 15 도와 제 16 도에서 스티치 A, C, D, B의 다수개의 완성된 열이 토우의 폐쇄부를 만들기 위하여 양쪽바아(즉 판의 니이들과 실린더의 니이들로 동시에 형성되는)에 공통으로 형성된다. A에서 B까지 이들 열 A,B,C,D는 스타킹의 발과 발목을 만들기위한 모든 니이들을 포함하고 제 16 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교차된 니이들을 가지고 실을 두개의 바아에 동시에 공급하여 만들어진다. 계속해서 원통형 편물의 P열은 즉 먼저하나의 바아에서 그다음 다른 바아에서 형성되나 이들은 짧고 점진적으로 길이가 증가하게되고 스타트는 예를들면 제 15 도의 중앙부 C-D로 이루어지고 연속열(P)의 길이는 대칭으로 양쪽단에서 증가된다. 증가의 횟수는 얻고져하는 형상에 따라서 선택된다. 따라서 결과는 섹션 AC와 DB가 제 14 도와 제 15 도에 도시한 형태의 곡선이 된다.
계속해서 제 3 도와 제 4 도에 도시한 상태에서, 일정한 폭의 원형섹션이 이루어져 발부분과 다리의 아래부분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섹션은 제 14 도에서 BE로 나타낸다. 이 섹션이후의 의복을 쉽게 입을 수 있게 다리부가 더 넓어질 필요가 있다. 제 14 도의 섹션 E-F를 따라서 만들어지며 이 섹션에서 만들어진 편물열의 스티치길이는 점진적으로 증대하고, 상기에 기술된 것이외에도 섹션 E-F를 제조하는 동안 니이들의 작업호(working arcs)의 끝단에 두개의 바아 각각 또는 동시에 연속적을 니이들을 삽입하여 작업중인 니이들의 수가 점진적이고도 일정하게 증가되는 경우에 넓어짐은 더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섹션 EF가 양다리위에서 완성되었을때 작업은 제 3 도와 제 4 도의 상태에서 제 2 도와 제 17 도의 상태로 바뀌게되는데 실린더의 섹션에서 4개의 공급그룹(46)중에서 두개 작업에서 탈퇴되는 플레이트섹션에서 4개의 공급구를 (47)중 두개, 즉, 작업은 제 3 도에 도시한 상태에서 제 17 도에 도시한 상태로 진전하게 된다. 이 위치에서, 두개의 다리 즉 각 의복의 크러치로 불리는 구역사이에 있는 니이들은 작업을 시작하게 되고 이들 구역은 섹션 F-H를 제 14 도와 제 17 도에 도시된다. 세트(46)과 (47)중에 두개의 제거로, 결합된 공급장치도 또한 제거된다. 따라서 8개의 공급장치중 단지 4개만 남게된다. 구역 F-H의 상기 니이들이 모두 즉각적으로 1대1 비율로 각 바아에서 시작되고 섹션 F-H에서 토우에서 기술한 형태의 폐쇄열을 형성하기 위하여 두개의 니이들이 서로 교차되게 배치된다. 섹션 FH의 니이들 모두 또는 다리를 준비한 1개 또는 두개의 니이들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한 이점이었다. 이렇게하여 섹션 FH의 테두리부분에서 아일릿을 형성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그후 관형조직은 K-L면에서 시작되어 다리구역에 속하는 니이들을 포함하여 전체의복과 몸체라 불리는 넓은 부분의 튜우브를 생산하게 된다. 몸체는 섹션 L-M으로 제 14 도에 도시한다. 그후에 탄성스트립과 같은 마무리섹션이 M-N섹션에서 이루어진다. 이 스트립은 선 MM에서 겹치는 이중조직으로 형성되고 짜넣거나 또는 오히려 고번수(high yarn count)의 탄성실을 짜넣어서 만든다. 이 이중보오더의 섬유구조는 이미 종래기술을 습득하고 있는 사람들에게 잘 알려져 있다.
끝단의 초기폐쇄라인 ACDB와 두개의 바아(10)와 (11)의 교차된 니이들(13)과 (15)(제 16 도)로 크러치의 라인 FH를 따라 연결스티치열을 만들기 위하여 다음에 더 상세하게 기술하는 방법을 채택할 수 있다. 1대1을 선택하여, 실린더(11)의 니이들(15)이 상승되어 실이 공급되지 않는다. 이렇게 됨에 따라 1대1로 선택되고 상승된 상태인 니이들(15A)에 대해 서로 엇갈린 니이들(13)은 점진적으로 상승 및 하강하여 동시에 니이들(13A)로부터 얻어진 실은 상승된 상태인 니이들(15A)의 스템위에서 스티치를 형성하기 위하여 공급된다. 계속해서 실은 스티치를 형성하기위해 하강된 니이들(15A)에 공급된다. 그다음 연속열은 니이들(13)으로 형성되어 이와 같은 순서는 관형조직의 형성이 시작되기 이전에 반복된다.
4쌍의 타이츠를 동시에 생산할 수 있는 여기에서 설명된 기계에는 실린더의 니이들용 4세트의 이중공급장치와 플레이트의 니이들용 4쌍의 공급장치가 즉 각각의 경우에 8개의 공급장치가 착설되어 있다.
다리부를 짜는 상태를 도시한 제 3 도에서, 도시된 초기위치에서 캠세트가 1/8회전(반대방향으로)을 완료한 이후 후자는 제 4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의복의 크러치구역으로 가로지르게 되는 것이 명백하다. 상기 교차는 제 1 도와 제 17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를 짜는 작업이 진행중일때 불가능한데 그 이유는 니이들이 크러치구역에서 동작중에 있기 때문이다. 몸체를 형성하기 위하여 기계는 실린더용 드세트캠과 플레이트용 두세트의 캠 그리고 작업중인 각각의 의복에 대한 4개 대신에 두개의 공급실로 동작해야 되는 것이 이런 이유때문이다. 따라서 제 17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린더용 4개 및 플레이트용 4개로 공급 및 스티치형성캠의 수가 축소되어야 한다.
제 5도는 니이들의 동작구역속에서의 본 발명 원형기계의 바아단면으로 더 광범위하게는 실린더(11)의 단면이 단지 작업구역속에 도시될때 플레이트(10)의 단면을 도시한다. 이미 상기한 바와 같이, 두개의 바아는 플레이트의 니이들(13)의 방사상 슬라이딩에 대한 홈과 실린더의 니이들의 슬라이딩용 세로홈을 형성한다.
플레이트(10)의 니이들(13)은 주둥이와 혀와 함께 종래의 방식으로 실위에서 작용하는 부분에서 형성된다. 그러나 니이들의 스템은 원형단면의 돌기(114)를 가진다는 점에서 종래의 스템과는 다르다. 이 돌기는 같은 원형 단면을 가지고 니이들 몸체의 돌기와 맞물려서 진동할 수 있는 중간부분에 캐비티(117)이 형성되어 있는 진동선택기 또는 잭(116)용 지주 또는 관절역활을 하고 니이들(13)과 잭(113)은 항상 이들이 니이들의 슬라이딩채널속에 고정되기때문에 연결된 상태를 유지한다. 앞부분에 진동잭(116)은 니이들의 중심 및 구심의 방상제어용 캠(120),(121),(122)와 함께 작용하는 히일(118)을 형성한다. 제 5 도에서 캠(120), (122)에 의하여 제어되도록 액티브포지션속으로 튀어나온 히일(118)이 도시되어 있으며 그것은 안으로 밀릴 수 있으며, 따라서 완전히 히일의 왼쪽에지위에서 작용하는 미는식 스트립(24)의 작용에 의하여 니이들의 슬라이딩 채널속으로 카운터싱킹하게 되는데 이는 캠(120)과 (122)가 그위 에서 작용하지 않기 때문이다. 잭이 진동하고 히일(118)이 위치(118X)속으로 돌출할때, 캠(120)과 (122)는 그위에서 작용가능하고 그들의 단면에 의하여 그것을 중심방향에서나 또는 구심방향으로 옮길 수 있다. 히일(118)에 전해진 이 운동으로 피벗(114)의 연결부에 의하여 잭(116)은 그것으로 니이들(13)을 태워서 실을 움켜쥐어 스티치를 형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여행을 하게 된다. 니이들(13)과 진동잭(116)에 의하여 형성된 유니트는 작동되거나 또는 배제되고 히일(118)은 화살표 fA와 fB에 따라 각각 작용하여 상하로 이동한다. fB에 따라 캠(122)와 같은 캠에 의하여 복귀되는 니이들이 휴식의 구심방향으로 퇴각된 위치에 있을때 작용하는 제 5 도에 스케치된 스티립(124)로 이루어진다. fA에 따라 히일(118)의 상승은 다음에 기술하는 선택부재에 의하여 이행된다. 플레이트(10)(실린더(11)와 같이)은 고정되어 캠(120)(122) 및 스트립(124)는 연속운동으로 회전하는 장치에 의하여 운반된다. 캠(120) 및 (122)과 같은 캠에 의한 제어에 의한 히일(118)의 상승은 제 6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두개의 타이쓰열을 가지는 형태의 다른 진동잭으로 구성되는 선택부재에 의해 마련된다. 이들 잭(126)은 플레이트(10)에 고착되고 중간베어링포인트주위를 진동하게 허용하는 스프링(128)에 의해 고정된 몸체(9)속에 형성된 홈속에 수납된다. 그 자체의 히일(126A)과 함께 각 잭(126)은 히일(118)프로젝트를 만들기위하여 해당 잭(116)위에 fA에 따라 작용가능하다. 잭(116)위에 수직으로 탑재된 각 잭(126)은 두세트의 선택티이쓰(126B)및 (126C)를 소유하게 되는데 하나는 베어링 및 파동점위에 그리고 다른 하나는 그 아래 위치하게 된다. 티이쓰(126C)의 아래세트는 티이쓰(126C)상의 선택레버에 의한 압력때문에 잭(126)은 캠(130)상의 그 자신이 트러스트히일(126D)와 결합하여 채널속으로 들어가 그 상부를 떠나게되여 fA에 따라 작용하는 상기 잭을 낮추기위한 단면을 가진다. 상부티이쓰(126B)는 하부티이쓰위에 작용하여 만들어진 종전의 선택부를 부분 취소하게하는 역할을 한다. 플레이트의 잭(126)은 fA에 따라서 작은 진동잭(116)의 방사상 내부에 압축하기 위한 적당한 위치로 하강할때 각 잭(126)이 이동하므로 인하여 겹쳐져서 상기 플레이트에 고정된 실린더(9)속에 만들어진 절결부속에 착설된다.
각각이 잭과 히일(116)과 유사하나 니이들(15)과 잭(132)와 같은 홈속에 착설된 히일(138)과 함께 진동잭(136)에 일치하는 실린더의 니이들(15)과 같은 평면에 탑재된 진동선택잭(132)으로 실린더(11)속에 선택부가 유사한 시스템이 마련된다. 캠(140),(329),(381)과 같은 캠이 각각 상승 및 하강하기 위하여 잭(136)의 히일과 접한다. 히일(138)을 돌출하게하는 잭(136)의 진동은 제 6 도에서 제 7도의 위치로 바뀌는 위치에서 fA1에 따라 상기 잭(132)이 상승할때 잭(132)의 경사진 평면(132A)이 잭(136)의 에지에서 작용하기 때문에 fA1에 의하여 잭(32)이 상방으로 슬라이딩하여 이루어진다. 잭(132)의 선택에 대하여 (그리고 니이들(15)),티이쓰(132B)와 (132C)의 두세트와 캠(130)과 유사한 캠(144)이 작동할 수 있는 히일(132D)이 제공된다.
제 6 도와 제 7 도는 두개의 반대회전장치(26)와 (32)에 의하여 운반되고, 다음에 설명하는 바와같이 여러 원주공간위치에서 선택목적으로 티이쓰(126B),(126C),(132B) 및 (132C)의 세트에서 작동하는 다수의 선택레버그룹을 도시한다. 선택레버그룹은 각 기구(148),(150),(152),(154)로부터 돌출하고 모두를 나타내는 2중의 하나가 제 8 도와 제 9 도에 도시되며 이들을 각 슬라이딩과 진동채널을 향하여 트러스트하기 위하여 잭(126)과 (132)와 같은 진동잭에 작용한다.
제 8 도는 한 무리의 선택레버(217)을 가지는 기구(152)와 같은 기구의 평면도를 나타내며 여기에서 이 레버(217)는 실린더(11)에서 슬라이딩채널의 바닥을 향하여 선택기(132)의 트러스팅작용을 수행하는 것을 나타낸다. 기구(152)의 레버그룹의 레버(217)는 스프링(220)에 의하여 압축되어 그들이 진동할 수 있는 핀주위에 착설된다. 전체가 선택된 니이들의 슬라이딩을 제어하기 위하여 캡을 운반하는 적당한 회전장치에 고정된 지지판(221)에 착설된다. 따라서 선택레버(217)군은 실린더내에서 회전하여 모든 선택기 잭(132)(그리고 잭(126)에 대하여 유사하게)에 맞물릴 수 있게 된다. 스프링(223)으로 압축된 연속트리거(222)가 상기 플레이트(221)에 착설되어 제 8 도에 도시한 위치에서 제 9 도에 도시한 위치로 선택레버를 이동할 수 있는 트리거(224)의 작동에 의하여 이들을 실린더로부터 멀리 이동하여 상기 플레이트(221)가 배제될 때 해당선택레버(217)에 맞물리게 각 케이스에서 하나의 티이쓰와 작용하게 된다. 선택레버의 작동위치(제8도)는 플레이트(121)위에 탑재된 편심포오(eccentric paw)(121A)를 조정하여 세트할 수 있다.
기구(148),(150),(152) 및 (154)의 선택레버를 제어하는 하나의 또는 다수의 수단은 아암 1F 제 1 도와 결합되어 그들 이전에 통과하여 트리거(122)에 작용하는 고정지주(제 9 도 참조)에 착설된 수단이다. 이들 수단은 핀(227)주위를 진동하는 레버(226)를 포함하며 실린더와 선택레버의 궤도를 향하여 제 9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f228에 따라 선택적으로 트러스트하는 경우에 이 레버는 선택레버(217)을 해방하게 각각의 레버(222)를 회전시킨다. 스프링(220)에 의하여 압축된 후자는 선택기(132)를 선택한다. 명확하게 레버(226)는 레버(217)(이것은 모든 기구(148),(150)(152) 및 (154)에 적용됨)와 수에서 동일하고 각각에 작용하도록 후자와 같은 평면내에 위치하게 된다.
베러(226)의 각각은 전자프로그램에 의하여 교대로 자극되는 솔레노이드밸브를 경유하여 스프링(230)의 작용에 대해 사이에 끼워진 유압실린더(228)에 의하여 제어된다. 레버(226)의 단면은 선택레버(217)의 해방과 작동에 대하여 적당한 트리거(222)에 점진적인 작용을 보장한다.
레버(217)가 같은 선택레버를 배제하기 위하여 트리거(224)는 각 레버(222)와 함께 선택레버를 연결하기 위하여 f224에 따라 작용한다. 트리거(224)를 제어하기 위하여, 스프링(234)에 의하여 투영위치에 고정되나(238)에서 고정구조물(지주(225)와 같은)에 연결된 스트립(236)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작동될 수 있고 반대 스프링의 동작에 대하여 작동기(228)와 유사한 유압작동기(240)에 의하여 밀리는 아암(232)이 마련된다.
작은 진동잭(116)과 (136)에 의해 니이들의 선택 다음에 기술하는 다른 시스템과 함께 성취된다.
제 10 도는 니이들을 이동하기 위하여, 실린더의 니이들의 실린더(132),(136)에 작용하는 캠의 전개를 나타낸다. 히일의 상대운동은 fT로 도시하나 실질적으로 그것은 반대방향으로 미끄러지는 캠이다.
상부에는 니이들(15)을 상하이동시키기 위하여 히일(138)에 작용하는 캠이 놓이고 하부에는 진동선택기용 캠이 놓인다.
니이들(329)-(330)-(331)-(332)-(333)은 작은 진동잭(136)의 히일(138)을 경유하여 작동하는데 이때에 후자는 그것의 히일(138)이 니이들의 슬라이딩 채널로부터 돌출하여 선(334)을 따라 상기 캠과 결합할 수 있게 회전한다.
잭(336)의 히일(338)이 슬라이딩 채널속에서 가려질때 그것은 캠(329)내지 캠(333)과 상호 교차하지 않고 선(334)의 수준에서 유지되고 해당니이들은 더낮은 위치에 머물러서 실을 움켜쥐지 못하게 된다. 히일(138)이 상기와 같이 휘어나오게 하기위하여 잭(136)의 진동은 선택기(132)의 어떤 상승에 의하여 얻어지고 이 선택기는 잭(132)의 중앙히일(132F)에 작용하는 이중레벨링 캠(334)의하여 낮은 위치로 되돌아간다. 잭(132)의 상승은 실린더로부터 그것은 낮은 부분을 가지도록 진동할때 발생함에 따라 히일(132D)는 상기 캠(144) 또는 다른 캠(336),(337)과 맛물리게 된다. 선택기(132)를 상승시키는 캠(144)은 잭(136)의 회전을 생산함에 따라 그것은 히일(138)과 캠(329)사이에 접함에 따라 결과적으로 캠과 해당바늘이 상승하게 된다. 캠(336)은 캠(330)과 함께 니이들의 상승을 초래할 수 있으며 캠(337)은 캠(333)과 함께 니이들의 상승을 초래할 수 있다. 선택기(132)가 상승캠(144),(336) 및 (337)과 결합하게 할 수 있는 선택레버는 캠(144)용 그룹(317)의 레버캠(336)용 그룹(338)의 레버, 캠(337)용 그룹(339)의 레버이다. 그룹(318)의 레버는 작동 위치에서 잭(132)을 배제하는 역할을 한다. 실린더의 나이들용 캠(329),(330),(331)은 제 1 공급장치를 형성하고 레버(317),(318) 및 (338)의 각 그룹과 함께 선택기(144)와 (336)의 캠에 의존한다.
실린더의 니이들용 캠(332)와 (333)은 제 2 공급장치를 형성하고 레버(339)의 그룹과 함께 캠(337)에 의존하게 된다. 캠(329),(330) 및 (332) 는 리프팅캠이고 캠(331) 및 (333)은 스티치를 형성하기 위한 하부캠이다. 정상작업을 하기 위하여 제 1 및 제 1 급송장치는 두개의 다른 실을 공급해야한다. 캠(329)와 캠(331)을 제 6 도와 제 7 도에 도시한다.
제 10 도의 상부에서 캠(329)와 (332)에 의하여 각각 상승하고 캠(331)과 (333)에 의하여 각각 하강할때 니이들의 포인트이동을 나타내는 단면(340)(341)을 볼 수 있다.
실운반수단은 제 1 및 제 2 급송장치(fT에 따라 히일과 니이들의 상대이동 그러나 실제로는 캠의 역회전으로)용 후크(342)와 (343)에 의해 이루어진다. 점선(344)와 (345)는 실가이드후크(342)와 (343)에 의한 니이들에 공급된 실의 위치를 나타낸다.
제 11 도는 제 10 도와 유사하나 몇몇부분에서는 90°로 회전할 필요가 있는 판(10)의 니이들(13)에 대한 선택기(116),(126)의 히일에 작용하는 캠의 전개도를 나타내고 니이들(13)은 선택기(126)과 같이 수직대신에 수평으로 위치되어있다. 게다가 그둘의 배치는 플레이트의 중심과 축주위에 캠과 원형궤도의 전개를 나타내는 선 LP로 나타낸 바와같이 실제로 곡선으로 되어있다.
다이아그램의 상부는 아래로 누르기 위하여 캠(130)과 선택기(126)의 히일(126D)에 작용하는 것들을 나타내며 조립체는 선택기(126)가 작동기(116)위에 끝단부(126A)와 작용하게 아래로 밀리게 대체적으로 꺼꾸로 된다. 단면(384)은 히일(126F)와 선택기(126)과 일직선이고 캠(그러나 이 캠은 실제로 역방향으로 회전 운동한다)에 대하여 fP에 따라 이동한다. 트리거(368),(389),(388),(367)세트는 세트(318),(339),(338)(317)에 기능과 일치한다. 캠(120),(122)(또한 제 5 도와 제 6 도에 도시함), (380),(382),(383)은 캠(329),(331),(330),(332),(333)에 해당하고 캠(120 또는 382)은 제 5 도와 제 6 도에서 (120)에 도시햐며 (349)와 (350)은 후크(342)와 (343)과 유사하고 선(344)와 (345)를 따라 그들을 나타내기 위하여 후크(342)와 (343)에 의하여 이전에 탑재된 실을 잡을 수 있는 실 용 급송후크를 나타낸다.
적당한 후크의 하나에서 다른것에 이르기까지 실의 통로는 다음에 설명하는 바와같이 하나의 바아와 함께 스티치의 형성끝단에서 다른 바아와 스티치를 형성하기 위하여 생긴다.
구역 R에 부품의 다른 오리엔테이션과는 별도로, 플레이트에 대한 제 11 도의 다이아그램은 기능적인 측면을 포함하여 실린더에 관한 제 10 도의 것과 유사하다.
이 기계에는 각각 그 자신의 실 이동수단을 구비한 두개의 급송장치위에 니이들을 이동시키기 위한 이중캠시스템(329-331; 332-333; 120-122; 382-383)이 장착되어있다. 이들 이중시스템은 싱글시스템으로 바뀔수 있는데 각각은 싱글 실공급장치를 나타내고 이 시스템은 종래의 기술에서 알려진 슬립스티치로 불리는 형태의 패넌니트섬유(patterned knitten fabric)를 생산하기 위하여 다른 실 카운트의 두개의 실을 공급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니이들의 두개의 바아위에서 서로 삽입된 두개의 연속나선열을 가지는 섬유를 형성하기 위하여 두개의 급송장치의 성분위에 두개의 다른 형태의 실을 처리하기 위한 용량이 있다. 이것은 종래에 알려진 또 왼쪽트우스트(S)를 갖는 실과 오른쪽 트위스트(Z)의 다른 실의 교체열(alternating rows)을 포함한다. 이 용량은 종래의 기술에서 주지된 트위스트되지 않은 나일론실과 공지된 리크라(lycra)등과 같은 탄성실의 교체열로 이루어진 제2제품을 만드는데 유용하기 때문에 탄성의류를 얻게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기계는 종래의 기술에서 공지되고 슬립스티치패턴을 가진 패턴스티치를 가지는 또 다른 제품을 짜는데 적합하다. 이 섬유는 두개의 실을 사용하여 마찬가지로 생산하는데 이 경우에서는 같은 형태(종래의 나일론)이나 다른 번수(yarn count)이다. 이 패턴은 니이들에 같은 급송장치속에서의 두개실을 공급하여 얻게되는데 즉 선택적인 상승과 (잔류니이들에 대한 선택캠(329)와 (332)에 의해)싱글하강(캠333)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니이들에 작용하는 캠의 구조물은 이러한 목적으로 약간 변형되어야 한다.
초기에 기술한 형태의 급송장치세트에 대하여 실을 태워서 공급하기 위한 두개의 후크(342-343)와 (349-350)가 있기 때문에 이들 두개를 싱글피이드를 급송하기 위하여 즉 양쪽의 실이 니이들의 선택적인 상승과 싱글하강에 의해 잡혀지게 하기 위하여 사용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문제는 두개의 하강캠중의 하나을 즉 캠(331),(333),(122),(383)을 형성하는 스티치를 제거하여 각 세트를 싱글급송장치로 바꾸어서 해소한다. 제 10 도에서 실린더용으로 제 11 도에서 플레이트용으로 설명한 두개의 캠배치구조는 실린더에 대하여 제 12 도에 플레이트용으로 제 13 도로 변형될 것이다. 여기에서 캠(331)과 (122)는 각각 삭제된 것을 알 수 있다.
어떻게 슬립스티치패턴이 생산되고 상대적으로 높은 변수가 다수개의 니이들에의하여 잡혀지고 신중한 선택(패턴을 나타내는)에 따라 상승하고 둘째로 각 도시연점등이 이루어지는지를 종래의 기술에서 알 수 있고 더가는 실은 모든 니이들에 의하여 움켜쥐게 된다. 본 발명의 기계에서, 잔류 니이들의 궤적(341)을 따라 캠(332)와 상승하는 동안 궤적(340)을 따라서 실을 움켜쥐는 캠(329)에 미리 선택된 선택에 의하여 실린더의 캠을 도시하는 제 12 도에 따라서 다수개의 니이들을 상승시켜 이것을 달성한다. 필요한 패턴을 만드는 상기에 언급한 패턴은 레버(317)의 그룹 또는 레버(317) 및 (318)의 그룹의 조합에 의해 생산되는데 이것은 선택기들의 캠(144)위에서 상승하게 계속적으로 캠(329)위에서의 니이들을 상승시킨다. 선택기의 리메인더는 세트(339)의 싱글레버에 의해 캠(337)(위에서 상승하고 싱글레버는 충분하게 되는데 모든 잔류선택기가 필요로하는 어떤 선택없이 상승해야 하기 때문이다. 해당니이들은 캠(332)위에서 상승하여 그들의 포인트가 궤적을 따라 실(345)을 잡게된다. 1차로 공급되어 1차로 상승한 니이들에 의하여 움켜쥐실(344)은 계속하여 상승한 니이들에 의하여 움켜쥐어지게 되는데 왜냐하면 조잡한 실은 공지의 방법에 따라 그들 뒤를 통과하게 된다.
플레이트의 니이들바에서 패턴의 형성은 실린더용 상기 패턴과 완전히 유사하며 캠용다이아그램은 제 13 도의 그것인데 여기에서 캠(122)의 부재는 명백하다.
이미 설명한 바와같이, 이 기계는 동시에 다수개의 제품을 생산하게 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4개를 생산하게 된다. 만들어지는 제품에 대하여 실이 끊어질때 작업의 연속은 섬유의 형성구역에서 배제되는데 이것은 상기 기구에 의하여 마련된 선택옵션(selection option)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히일(118)과 (138)의 바깥이동은 배제되고 동작하지 않는 니이들의 혀에 대한 어떤 손상은 회피된다.
히일(118)과 (138)이 니이들에 대한 어떤 작용을 회피하기 위하여 수축될때, 상기 배치구조는 히일에 직접마련되지 않은 니이들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 주목할 가치가 있다. 이것은 나머지 하강운동을 격지않는 비동작니이들 니이들용제어캠 그리고 고정된 상태의 니이들을 하강하기 위한 것에 의하여 맞물린 스티치에 대하여 어떤 스트레스가 가해지지 못하게 한다.
실을 공급하기 위하여, 실린더캠과 플레이트캠의 반대회전장치(26)(32)에 연결된 가동이동수단이 제공되며 실은 다른 운반수단에 의하여 반대방향으로 이동되고 교대로 반대방향에서 이동되고 작동되도록 작동 및 해당(후자는 비작동)되는 상기 수단중의 하나에 의하여 한방향으로 탑재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각 관형제품은 형성되고 다른 운동으로 이동하는 어떤 부재를 가지지 않고 하나의 바아에 대한 한쪽방향 및 다른 바아에 대한 반대방향으로 다른실의 공급이동은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주제를 이루는 기계에 있어서 실의 탑재수단 즉 제 10 도 내지 제 13 도에서의 훅은 탑재수단은 기계적수단으로 다른 운동을 피하기 위하여 상기에 기술된 상태를 이룬다. 상기 부재의 디자인은 특별한 형태; 상호 다른 실을 공급하기 위한 피이드쌍의 여러세트이다. 따라서 탑재수단은 각 바아에 1차로 공급되고 다른실이 따르는 것을 확실하게 하기 위하여 실을 고르는 부재와 협동하여 작업할 수 있어야한다. 짜는 방향은 두개의 바아에서 서로 반대이다.
상기 실과 직접 접촉하는 실탑재수단의 일부가 실린더의 경우에 두개피이드의 첫번째와 두번째에 대하여 각각 제 10 도와 제 12 도에서 부재(342)와 (343)로 지정된 훅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헤드이다. 제 11 도와 제 13 도에서, (349)와 (350)은 플레이트의 니이들에 대한 두개의 같은 실의 공급용 훅크를 나타낸다.
실가이드 훅의 구조와 그들의 오리엔테이션을 실린더에 대하여 제 18 도에 그리고 플레이터에 대하여 제 19 도에 나타내며 여기에서 그들을 형성하는 부품들은 동일하고 단지 세트의 자세만 변한다. 세트는 두개의 작은 부시(352)에서 회전가능한 스템을 포함하고 스템의 한쪽단에 실안내훅(예를들면 실린더의 니이들을 공급하기 위한 훅(343)와 플레이트이 니이들을 공급하기 위한 훅(350)이 있고 다른쪽단에는 복귀수단이 훅을 잡는 위치로 되돌려놓은후에 실이 훅에 의해 방출되도록 부시(352)위에 전체가 회전하는 크랭크(353)가 있다. 릴리이스운동은 적당한 캠의 회전장치(26 또는 32)에 의하여 운반된 크랭크가 맞물리는 고정포오 또는 단면에 의해 이루어진다. 훅(342)와 (343)의 스템은 외부로 거의 방사상으로 놓여있고 훅(349)와 (350)의 스템은 플레이트에 직각이다. 두세트의 훅은 서로 서로 간섭하지 않으며 니이들(13)과 (15)에도 간섭하지 않는다.
제 20a 도, 제 20b 도, 제 20c 도 및 제 20d 도는 여러위치에서 훅(343)과 결합된 여러요소를 나타낸다. 제 20a 도는 훅(343)가 실을 태우기 위하여 정상위치에 있을때 훅(343)의 끝단의 정면도 및 평면도를 나타내며 제 20b 도는 실을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위치에 놓여있을때 상기 훅의 크랭크(353)의 끝단이 정면도 및 평면도이다. 제 20c 도는 실을 풀기위하여 회전하는 상기 훅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제 20d 도는 실을 풀기위하여 회전된 위치에 있는 훅의 크랭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훅어셈블리의 회전은 니이들 및 적당한 바아의 선택기용 캠의 회전장치와 함께 fz방향으로 통과하는 동안 경사부를 가지고 크랭크(353)의 통로로 이동하여 캠(354)과 마주치는 캠(354)와 같은 캠수단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354)형 캠은 실이 한쪽바아의 니이들에 공급하는 훅에 의하여 풀리도록 한쪽 바아와 다른한쪽 바아사이에서의 통로에서 두개바아에 형성된 섬유부의 모든 끝단부에서 발견되기 때문에 상기 실은 반대방향으로 실려서 상기 반대바아의 니이들에 공급되도록 반대바아의 반대회전장치에서 도착되는 훅에 의하여 모을 수 있다. 복구수단은 훅이 캠(354)과 같은 캠의 반대쪽변위를 일으키게 한다. 상기 복구사단은 스프링(354)와 같은 대향 스프링 또는 캠(354)과 같은 캠에 의해 야기된 반대방향에서 크랭크에 작용하는 캠으로 이루어진다.
제 21 도는 실린더의 훅(342),(343)을 회전하기 위한 캠(354),(354')을 나타내는 위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며 여기에서 (355),(355')는 플레이트의 훅(349),(350)을 회전하는 캠을 나타낸다. 캠은 지주 1E, 1F와 같은 고정구조물로 운반한다. (354')와 (355')로 나타낸 캠은 여러 종류의 의복크러치의 위치에 놓인 것들이다. 이들은 작업위치에서 제거될 수 있도록 가등지주위에서 착설된다. 실제로 일어나는 것은 다리부작업에서 몸체부의 작업으로 이동될때 실은 후자에 관련포인트에서 더이상 풀리지않고 크러치구역을 짜기위하여 계속되는 것이다. 가동지주는 각 크랭크(353)의 궤도에서 캠(354') 및 (355')를 이탈하기 위해 예를들면 작동기 354X 제 20d 도와 같은 유압 또는 전자석작동기에 의하여 제어되어 방사상으로 미끄러질 수 있다.
두개의 연속공급장치의 두개의 실(344)와 (345)는 두 개의 훅(342)와 (343)에 의하여 하나의 순서로 또 두개의 훅(349)와 (350)에 의하여 비슷하게 같은 순서로 쥐어져야 한다.
제 22 도 내지 제 30 도는 그립(grip)의 선택을 얻기 위하여 실린더의 캠과 상호작용하는 훅의 동작모우드를 나타낸다. 도시한 위치는 외부에서 본 바와같이 실(344)과 (345)는 다리 G1X(제 3 도)에 왼쪽단이다. 보빈에서 나오는 실(344)과 (345)는 생산된 열의 최종스티치에 연결되어 링(458)의 에지에 부착하고 또 돌기부(458A)에 부착된다. 두개의 돌기부(458A)사이에 하나의 오목부가 있으며 이들의 각각은 튜우브 G1X, G1Y또는 G2X, G2Y와 같은 다리부의 두개튜우브사이에 있는 크러치구역에 상당한다. 연속생산에서 두개의 복 사이에서의 공간 예를들면 제 24 도에서 G2Y와 G1X사이에서의 공간은 더 좁은 돌기부(458B)에 상당한다.
링(458)과 돌기부(458A) 및 노치(458C)와 함께 실(훅에 의해 실려진)의 슬라이딩접촉은 제 22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두개의 다른 경사부를 가진 상기 실이 두개의 다른 높이에 위치하게 하는 접촉이다. 더 상세하게 말해서 제 1 피이드의 실안내훅(342)에 의하여 쥐어지는 실은 제 2 피이드의 훅에 대한 실보다 수직에 대하여 더 경사져있다. 따라서 적당한 훅, 이들 두개의 경사에 의해 쥐어지게 상기 실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런 목적으로, 제 1 피이드의 훅(342)은 실을 단지 움켜쥐어 실(345)을 피하도록 그 클로오(claw)가 기울어지게 하는 형상으로 제 1 피이드의 훅이 이루어지고 대조적으로 제 2 피이드의 훅(343)은 제 22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수직평면에 클로오를 가지고 있어 실(345)을 움켜쥘 수 있다. 이렇게하여 실린더의 두피이드는 동작하여 외부에서 볼 수 있는 바와같이 왼쪽단에서 오른쪽단으로 실을 운반하게 된다.
실이 섬유의 반대쪽, 즉 다리 G1X(외부에서 볼수 있음)의 오른쪽에서 도착할때, 제 23 도에서 도시한 바와같은 상태가 나타나는데 보빈에서 나와서 섬유에 연결되는 실(344),(345)은 링(458)에 고정되고 경사는 바뀌는 즉 실이 수직에 대하여 덜 경사진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실은 플레이트의 피이드에 의해 움켜쥐어지게 된다. 이런 목적으로 순서는 상기에 기술한 것과 유사한데 제 1 피이드의 훅(349)은 더 작게 경사진 실(344)을 움켜쥘 정도로 경사진 형태이어서 실(345)을 피하게 한다. 제 2 피이드의 훅(350)은 실(345)을 움켜쥘 수 있도록 거의 90°각도로 설치된다.
실제로 실(344)와 (345)는 제 22 도와 제 23 도의 두개의 위치에서 교환된다는 조건에서, 이루어진 결과는 실(344)이 항상 제 1 피이드에 의하여 그립(griped)되고 실(345)는 제 2피이드에 의하여 그립된다는 것이다. 이들이 한쪽에 있을때 상기 실의 위치와 이들이 반대쪽에 있을때 그들의 교환된 위치는 실푸는 장치와 교차하는 동안 두쌍의 훅(342),(343) 및 (349),(350)의 연속적이고 교대적인 개입에 의해 일어난 실의 교대술 라이딩을 이용하여 그런식으로 실을 스위치하기위하여 결합된 부품 및 링(458)의 특수구조에 의하여 얻어진다.
두개의 바아를 따라 탑재된 훅은 동작하는 동안 실이 통과하게 결합하여 그들의 변위는 먼저 실려서 반대쪽에 도달한 훅에 의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그립된 실을 풀기 위한 회전변위이다.
두개의 피이드의 실을 바꾸는 수단으로서 링(458)은 비교적 근사한 두께와 상기한 돌기(458A),(458B)를 가진 도면에 도시한 단면을 가진 원형부재이다.
간결하게 하기위하여 단지 상기 링의 일부만 나타내는 평면도에서, 생산될 의복의 위치는 크러치의 결합 중간 구역과 함께 한쌍의 다리부를 나타내는 G1X와 G1Y그리고 타이츠의 제 2 의 연속쌍의 다리부를 나타내는 G2X, G2Y로 도식으로 나타낸다. 다리부 G1X와 같은 다리부에서 TC는 실린더 니이들의 짜여진 외부쪽을 나타내고 TP는 플레이트의 니이들에 의하여 짜여진 내부쪽을 나타낸다. 그 G1X와 조화를 이루어 돌기부(458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기부(458A)와 같이 멀리 링(458)의 주변을 따라 돌기부(458A)를 향하여 연재하는 스티일가에 드와이어(460=가 인접돌기부(458B)에 단단하게 고정된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돌기부(458A)에 대하여 와이어(460)에 거의 대칭인 제2가이드와이어는 인접구역(458A)에 조화를 이루어(461)에 관절로 연결되고 다음에 설명하는 목적으로 이동가능하다. 평면도에서 두개의 가이드와이어(460)및 (459)는 돌기부(458A)와 (458B)를 제한하는 원주를 따르는 링(458)의 외부주변을 따른다. 그러나 외부에서 볼때, 두개의 가이드와이어(459)와 (460)은 서로 서로를 향하여 상방으로 기울어지고 서로 교차하지는 않는다. 한쌍의 가이드 와이어(471)와 (472)는 한쌍의 가이드와이어(460)(459)에 인접한다.
(461A)에서 관절연결된 와이어(471)는 와이어(459)에 대칭이고 와이어(472)는 연속돌기부(458B)에 고정된다. 두개의 가이드와이어(471) 및 (472)가 상승하여 오목부(458C)와 인접한 돌기부(458A)와 조화를 이루고 다리부 G1Y와 조화를 이루어 수령한다. 작동기(462)와 (462A) 예를들면 유압작동기에 의하여 가이드와 이어(459)와 (471)는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에 기술한 안쪽으로 회전하는 활동위치에서 배제위치로 멀리 이동된다.
제 22 도 내지 제 28 도에서, 실(344)와 (345)이 왼쪽(밖에서 보아)에 놓이고 플레이트의 섹션 TP에서 열을 짜는것을 완성할때 실(344)와 (345)의 위치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이들 실중에 실(345)이 오목부(458C)에 놓이고 실(344)은 돌출하여 더 경사지게 된다(제 24c 도). 이 실들은 실린더의 훅(342)와 (343)에 의해 그립될 준비가 되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링(458)과 그 부재를 가진 실(344)과 (345)의 접촉은 제 24 도와 제 24c 도에서 평면도로 도시한 바와같이 일어난다. 실(345)은 노치(358C)의 존재에 의하여 반경이 축소되는 점에서 링에 접하게되고 이결과 실은 제 22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링(458)에서 니이들로 연재하는 섹션에서 더 경사진 통로를 따르기 때문이다. 실(344)은 가이드와이어(459)에 의하여 형성된 돌기부에 부착하여 실(344)은 링에서 니이들로 연재하는 섹션에서 더 경사진 길을 따른다. 실들이 제 1 피이드의 훅(342)실린더의 제 2 피이드의 훅(342)에 의하여 그립되게 제 22 도에 도시한 상태에 놓인 위치(제 24c 도)에 있다. 다리 G1X(제 24 도와 제 24b 도)의 작업프론트의 반대단에 두개의 실이 분리되어 실(345)은 외부위치에 놓이고 실(344)은 내부위치(바깥에서 보아서 오른쪽에)에 놓인다. 따라서 두개의 실(344) 및 (345)이 섹션 TP에서 직물을 형성하는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이동할때 플레이트의 훅(349)와 (350)에 의하여 실려서 섹션 TP에서 한개의 스티치를 형성하고 (344)는 최초의 내부위치에서 스티일와이어(459)위에서의 외부위치로 통과되어야하며 외부위치에 있는 실(345)은 노치(458C)내에서 링(458)의 축소 반경에서 더내부위치로 운반되어야 한다. 두개실(344)와 (345)의 내부/외부 전도와 실이 이들 위치로 통과할 수 있는 방법은 제 24 도, 제 24b 도, 제 24d 도, 제 24c 도와 제 25 도, 제 25a 도, 제 25b 도, 제 25d 도(링(458)이 레그 G1X에 해당하는 부분에서만 단지 도시된)에 명백하게 나타나있다.
가이드와이어(459)와 (460) (제 25a 도)는 링의 수평단면을 따르지 않으나 돌기부(458A) 의 중심을 향하여 돌출하는 부분에서 이들 와이어는 상승하여 떨어진 짧은 거리에서 또 링(458)위에서 두개의 팁을 나타낸다. 따라서 반경이 최대인 링(458)의 돌기부(458A)의 중심구역에서, 스타일가이드와이어(460) 및 (459)는 급송된 실위에서 작용하지 않고 그들의 팁은 서로서로 떨어져 있으며, 양쪽실은 돌기부(458A)의 구역에서 지탱한다. 제 1 피이드용 실(344)와 제 2 피이드용실(345)는 플레이트의 각훅(349)와 (350)에 의해 실리고 레그 G1X의 작업섹션 TP의 중심에 놓인다. 제 25c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링상부구역에서 상기 실은 다른 위치에 놓이고 상세하게는 (344)와 함께 바깥쪽으로 경사져서 (345)는 안쪽으로 경사진다(이 자세는 다음에 설명한다).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그들의 운동의 두번째반에서 이것은 실(344)이 가이드와이어(459)의 바깥쪽에 의하여 보내지고 실(345)은 상기 가이드와이어의 내부로 보내지게한다. 이같은 결과는 두개의 실(344)와 (345)와 섹션 TP를 통하여 그들의 이동의 끝단부에 도달할때 이들은 내부 및 거의 수직에 있는 실(344)과 더멀고 더 경사진 실(344)과 함께 제 22 도와 제 24c 도에 도시한 위치에 놓이게된다.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실의 복귀운동에서, 섹선 TC에서 직물을 형성하기위하여 두개의 실(344)와 (345)가 실린더의 각 훅(342)와 (343)에 의해 실릴때, 중앙구역에서 도달하자마자, 이들은 링(458)상부에서 안쪽으로 경사진실(344)가 바깥쪽실(345)와 함께 제 24d 도와 제 25d 도에 도시한 자세를 가지기 때문에 실(344)은 가이드와이어(460) 내부를 통과하고 실(345)은 상기 가이드와이어외부를 통과한다(상기와 같은 유사한 방법에서), 오른쪽이동의 끝단에서, 실(344)은 섹션 TP에서 새로운스티치열을 형성하기위하여 설명된 초기자세에서 제 23 도, 제 24 도 및 제 24b 도에서와 같이 안쪽에 배치되고 실(344)은 바깥쪽에 배치된다.
명세서는 실(344)와 (345)의 피이딩과 또 연속운동에 의하여 가속 및 감속운동없이 상기 실(344)와 (345)이 내부실(345)과 외부실(344)로부터 외부실(345)과 내부실(344)에 이르기까지 역전된 자세를 정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같은 교환은 외부실(345)과 내부실(344) 자세를 달성하기위하여 왼쪽방향변위의 제2부분과 오른쪽 방향변위의 제1부분에 의해 발생된 각이동동안 발생해야 한다. 내부실(345)와 외부실(344)와 함께 다시 제위치로 되돌아감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이동의 제 2 부분(TC에서 짜기)과 오른쪽에서 왼쪽으로의 이동의 제 1 부분(TP에서 짜기)동안 일어나야 한다.
각쌍의 두개의 실(344)와 (345)는 푸는장치에서 나오고 그의미는 초기에 이루어졌고 다음 특허출원서에 개시된 것과 유사하다. 즉 1985년 11월 28일에 출원된 이탈리아출원서 제 9527A/85, 1986년 11월 28일 출원된 유럽출원 제 86/830,356.1호, 1986년 11월 24일 출원된 체코슬로바키안(czecholovakian)출원제 PV8557-86호, 1986년 11월 26일에 출원된 일본출원 제 279,909/86호 및 1986년 11월 19일에 미국출원제 932,913호로 출원하여 1988년 2월 26일에 제 4,724,687호로 특허받음. 많은 장치가 마련되는 바와같이, 4짝의 타이츠를 만들기 위하여 8개의 다리부가 제조되어야 한다. 다음에 설명하는 바와같이 모든 푸는장치는 두개의 위치에 놓을 수 있는 상기 공통관형지주(40)에 탑재된다.
푸는장치는 다리 G1X의 형성구역의 대칭평면을 통과하는 방사상 단면에서 제 26 도와 제 27 도에 도시하고 개략적인 평면도에서 , 제 28 도는 다리부를 만드는 동안 링(458)과 다리부의 작업구역에 대한 상기 장치의 위치를 나타낸다. (463)으로 나타내고 상기 지주(40)에 의하여 운반되는 각각의 푸는장치는 돌기부(458A)구역에서 통과하는 그 자체의 수직축 주위를 천천히 회전하여 다리(그리로 계속해서 몸체를 형성하기 위하여) 섹션 TC와 TP를 따라 나선으로 감긴줄을 만드는 각완성사이클을 이루는 동안 회전을 완성한다. 제 26 도와 제 27 도에서 푸는장치의 근원은 그들이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플레이트의 훅(349)와 (350)에 의하여 실린상태로 이동하고 돌기부(458A)에서 미끄러지는 동안 레그 G1X용 작업섹션의 중심에서 실(344)와 (345)로 실의 작업이동을 따라 도중에 놓인 상태를 나타낸다. 실(344)의 상향 및 외향으로 경사진 자세와 실(345)(이들이 가이드와이어(459)내외부를 각각 통과하는)의 상향 및 내향으로 경사진 자세는 링(458)에 대한 실(344)와 (345)의 바깥쪽 통로에 대한 아일릿(465)와 (466)(다음에 더설명)의 상대위치에 의해 이루어지고, 이 아일릿은 동시에 방사상 일직선 배치되어 도시하고 있으며 실(345)용 아일릿(465)은 링(458)의 외부주변에 대해서 내부에 위치한다.
각 푸는장치(463)는 회전가능한 플레이트(463A)와 함께 고정된 프레임(463B)로 이루어진다. 각각의 언와인더의 플레이트(463A)은 연속보울 또는 다른 지지수단 및 반상부재(40)에 의하여 운반되어 세트로 싱크로나이즈된 그러나 니이들의 운동에 대한 반대회전세트캠과의 관계에 의해 바뀔수 있는 톱니구동풀리(464)로부터 톱니벨트에 의해 회전된다. 회전판(463A)은 링(458)(제 28 도)의 주변과 거의 조화를 이루는 2축을 두고 위치한다. 그중심에서 그것은 그아래에 있는 플레임(463B)내에 배치되어 피이드실(345)와 (344)각각의 보빈(B45)와 (B44)중의 (B45)를 지지한다. 보빈(B 45)의 실(345)은 실(344)이 안내되는 아일릿(eyelet)(466)에 대해 정반대에 위치한 주변부에 배치된 출구 아일릿(465)에 안내된다. 또한 플레이트(463a)는 주변부를 향하여 그러나 보빈(B45)의 최대부피의 바깥쪽에 대하여 동심으로 배치된 가이드 파이프(467)를 운반한다. 제 2 보빈(B44)은 실(344)이 파이프(467)속으로 안내되게 플레이트(463A)에 근접하여 기계의 격자구조 위에서 이동가능한 반상부재(40)위에서 어떤 자세로 배치되어 있다. 이일릿(466)과 함께 파이프(467)는 실(344)가 보빈(B45)내에서 그궤적을 안내하면서 슬라이드하게 한다. 제 26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두개실(344)와 (345)의 위치는 실(344)이 외부로 통과되게 허용하고 다른 실(345)이 스타일가이드와이어(459) 안쪽으로 통과하도록 허용하는 것이다. 제 27 도에서 푸는장치(463)는 180°(감긴줄 TC+TP을 짜는 사이의 중간) 회전하고 실(344)와 (345)는 그들의 안쪽으로 가이드와이어(460)에 대하여 바깥쪽위치로 교환된다.
실제로 실(344)(345)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도면에서 도시한 바와같이)실린더의 두개의 실가이드훅(342)(343)에 의해 실리기위해 이동하고 전에서와같이 레그 G1X의 중심구역에서 놓일때 문제의 푸는장치는 180°회전을 하기때문에 실(345)은 방사상 외부에 놓이고 실(344)은 내부에 놓인다. 이들이 가이드 와이어(460)에 도달할때 제 25d 도와 제 24b 도에서와 같이 실(345)은 외부에 고정되고 실(344)은 내부로 통과한다. 이것은 생산된 섬유에서 두개의 연속 헤리스(belices)를 따라 하나의 바아와 다른 하나의 바아사이에 있는 통로에서 두개의 실을 가로지르지 않는 두개의 열을 만들게, 플레이트의 니이들이 동작하고 실린더의 바늘이 작동할때 모두 실(344)이 1차 피이드의 훅(342)와 (349)에 의해 공급되고 실(345)는 제2피이드의 훅(342)와 349)에 의하여 공급된다.
제 28 도는 링(458)과 여러가지의 언와인더(플레이트(463A)와 같은 회전플레이트의 윤곽만이 개략적으로 도시된)사이에서의 상대위치를 나타내며 그중의 하나가 언와인더(463)이고 다른것들이 (474),(475)(476)으로 나타낸다. 여러가지장치 레그의 작업구역의 중심부에 있고 레그의 각각에 대하여 하나의 기초로하여 제공된다. 이것은 레그의 섬유를 형성하는 동안의 상태이다. 레그의 작업이 끝나고 몸체의 작업이 시작될때, 각쌍의 타이츠의 두개의 레그를 형성하는 두개언와인더중의 하나는 회전으로부터 철회되는데 두 개의 실이두개 바아의 캠(46),(47)의 4세트의 두개가 배제됨과 동시에 작업에서 제외되기 때문이다. 동작중인 언와인더 예를들면 레그 G1X의 언와인더는 레그 G1X, 크러치 및 레그 G1Y를 포함하는 타이츠의 전체폭을 공급한다. 크러치를 폐쇄하기위하여 공급되는 두개실을 그립할 목적으로 두개바아의 니이들이 상승 및 교차하게 된다. 이전에서 레그 G1X를 먼저 공급한 두개의 실은 의복의 프론트 G1X의 전체폭위에 즉 레그 G1X, 크러치 및 레그 G1Y의 프론트를 따라 슬라이드해야한다. 제 28 도에서, (471)과 (472)는 레그 G1Y에 해당하는 두개의 가이드와이어를 나타내고 와이어(471)는 (461)에서 관절이음된다. 상기한 바와같이 두개실의 제거와 프론트워크의 증가로, 두개의 가이드와이어(459)와 (471)는 배제되어야하고, 문제의 제품에 해당하는 두개의 돌기(458A)들 중의 하나와 조화를 이루어 실의 교환이 두개의 가이드와이어(460) 및 (472)에 의해 이루어지는 동안 이것은 안쪽으로 회전하게하여 실이 약 90°의 호로 한쪽단에서 다른 쪽단으로 슬라이드하게하는 작동기(462)(462a)와 같은 적당한 작동에 의해 배치된다.
동시에 이전에 레그 G1X를 형성하고 의복의 몸체의 상기 프론트 G1의 전체폭에 실을 공급할 언와인더는 몸체에 대해 상기 프론트의 중심으로 이동해야 한다. 이것은 상기한 방식으로 상기 목적으로 적당한 작업프론트위에 크러치구역 중심에서 작동중인 4개의 언와인더 모두를 변위시키기 위하여 부재(40)과 지주(1),(1C)사이에서 접선방향으로 작동하는 작동기(477)를 구비한 세트를 운반하기 위하여 반상부재(40)의 회전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 28 도에 도시한 위치에서 간결하게 나타내기 위하여 기계의 일부분의 위치만을 나타내는 제 29 도에 도시한 상태로 이동하게되는데 여기에서 언와인더(463)과 (475)는 프론트 G1과 G2에 대해 활동중인 것들이고 언와인더 (474)와 (476)은 배제되어 더이상 실을 공급하지 않게된다.
제 26 도와 제 27 도를 참조하여 상기한 언와인딩장치는 제 30 도와 제 31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근사하게 다른 실시예로 변형된다. 이 실시예에서 디스크(463A)와 프레임(463B)은 보빈(B45)에 대해 어떤 회전 운동을 전달하지 않는다. 이것은 기계가 시동되고 정지될때 순간적으로 상기 보빈의 관성력을 극복해야할 필요가 없게한다. 더나아가 보빈(B45)의 회전은 기계가 동작중에 있을때 실을 전달하는 동안 그 축에 완전히 균형을 이루지 않는 사실때문에 잔동이 전달되지 못하게 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보빈(45B)은 베어링(479A)에 의해 디스크(463A)의 중심에 착설되고 보빈의 코어에, 강자성 재료로 방사상슬롯(479A)이 형성된 디스크(479)에 고정된다.
디스크(463A)가 회전함에도 불구하고 보빈(B45)의 회전은 부채꼴로 분할된 디스크(479)속에 자기장을 일으키는 자석(480)에 의해 방해된다. 디스크(479)는 자석에 의해 끌려간다음 끈어진다. 그것은 보올베어링(478)의 존재로 인하여 보빈(B45)에 특별한 회전이 요구되지 않기 때문에 정지된 상태를 유지한다. 보빈(B44)으로부터 실(344)을 안내하는 파이프(467)는 자석(480)과 디스크(479)의 주변사이에 에어갭을 통과해야 한다. 공기갭의 폭은 실질적으로 매우적어 적당한 브레이킹액션(adequate breaking action)을 보강해야 한다.
실공급 및 공급정지시스템은 뺀찌(483)의 조립체를 포함하는데 이것의 각각이 후자가 작업에서 배제될때 실을 절단하고 고정하게 된다. 이들은 또한 상기길이 작업개시될때 실가이드훅으로 그리핑(gripping)하기위해 실을 건네주는 역활도 한다.
제 32 도와 제 35 도는 이들 뺀찌중의 하나를 나타내며 이것의 주요몸체(484)는 기계의 축에 대해 거의 중심및 구심방향으로 이중화살표 f485를 따라 상기 뺀찌를 앞뒤로 변위시킬 수 있는 유압실린더(485)의 가동장치 끝단에 착설된다. 뺀찌는 고정구조물에 의하여 직접지지된다. 실린더(485)는 (486a)에서 고정구조물에 관절 고정된 진동 아암(486)에 의해 착설되고 이 아암은 견인스프링(487)에 의해 정지위치에 고정되나 유압실린더작동기(488)가 작동될때 기계의 중심을 향하여 회전시킬 수 있다.
제 32 도는 뺀찌가 작업에서 배제되었을때 뺀찌가 실을 고정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상기 뺀찌는 아암(486)이 스프링(487)에 의해 지탱되어 정지부(490)에 의해 한정된 수축 및 상승위에 있게된다.
제 33 도는 플레이트의 실안내훅(349),(350)에 의해 그립되게 실을 대어주는 구심방향으로 진보된 위치에 놓인 같은 뺀찌를 도시하며 플레이트의 니이들에 의하여 훅(342)(343)은 이동하지 않는다. 이 자세에서, 뺀찌는 유압작동기(488)에 의해 하강하여 정지부(490)으로 부터 분리된다. 실가이드훅에 의해 그립되는 실(344)는 와이어(460)와 같은 가이드와이어의 에지로부터 나와서 다소 경사진 자세를 취하고 있기때문에 그것을 그리핑하는 것은 실이더 수직으로 위치하게하는 뺀찌의 상단부가 가로로 앵글브래킷(489)을 배치하여 용이하게 될 수 있다. 실제로 뺀찌(484)가 구심방향으로 나아갈때, 앵글브래킷은 제 33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그통로(제 35 도 참고)에서 실과 마주치게 된다.
제 34 도는 실을 작업으로 부터 배제하기 위하여 즉 제 32 도에 도시한 위치로 절단 또는 고정할때 실그리핑 위치인 단지부분적으로 진전된 위치에 있는 뺀찌를 나타내고 있다. 이 위치에서 뺀찌는 상승하여 부분적으로 진전되어 유압실린더(485)로 이루어진 작동기에 의해 제어된다. 게다가 그브레이드(492)가 몸체(484)에 의해 운반된 유압실린더 작동기(491)의 작동에 의해 튀어나오기 때문에 뺀찌는 열린다. 뺀찌의 몸체(484)와 결합된 브레이드(492)는 제 35 도에 개방된 위치로 또 평면도로 잘 도시되어 있다. 제 35 도는 충분히 설명된 뺀찌(483)에 의해 움켜쥐어져 전달될때까지 공급된 실을 결합하여 절단하기 위한 인접 뺀찌의 작동끝단을 나타낸다. 제 35 도에서 브레이드(492)는 fF에 따라 도달하는 실에 마주하는 그리핑 및 절단오목부를 포함한다. 실이 작업에서 배제될때, 뺀찌는 제 34도에 도시한 위치로 되돌아와야하고 또 개방되어야하며 실질적으로 훅형상인 브레이드(392)는 실의 통로에 놓여서 실안내훅(350)에 의해 실려서 그것을 잡아서 고정하고 그다음 절단하게 되고 브레이드의 재진입은 제어되며 뺀찌는 제 32 도에 도시한 위치로 되돌아간다.
실방출위치(제 33 도) 에서 뺀찌는 공급된 제1니이들에 의하여 고정될때까지 실을 고정하고 그 이후에는 뺀찌가 실을 풀어서 다시 수축한다.
제 36 도는 실가이드 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전 실시예에서 훅하나(342 또는 349)가 약 45° 굽혀지고 다른 것(343 또는 350)이 약 90° 굽혀지고 짧으며 다른쪽 훅(1343),(1350)이 약 90° 굽혀지고 더 길다. 이런 배치로, 짧은 훅(1342) 또는 (1349)는 제 1 실(훅의 스템보다 더 경사진)만을 잡고 더긴 다른 훅(1343) 또는 (1350)은 제 2실(훅의 스템과 더 큰 각도를 이루는 실)을 잡는다. 그렇지 않으면 상기 명세서에서 적용된다.
제 37 도는 언와인더(463)과 같은 실언와인더를 이동하기 위한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언와인더(1463) 및 (1474)또는 언와인더(1475) 및 (1476)(언와인더(463) 및 (474) 또는 (475) 및 (476)와 동등한)와 같은 두개의 실언와인더가 화살표 fD로 표시된 수직접선방향으로 슬라이드될 수 있게 슬라이드(1480)에 착설된다. 두개의 언와인더(1474 또는1476) 중의 하나가 동작에서 벗어나야하며 다른 것(1463 및 1475)이 몸체의 작업프론트에 대하여 중앙위치에 중심이 놓아져야 할때, 위치(1463A)와 (1475B)속으로 이동하는 언와인더에 대하여 화살표 fD에 따라 한쌍의 언와인더를 정돈하여 놓는 것은 만족스럽게 된다.
제 38 도는 부재(458)가 제거되어 언와인더(2463)(언와인더 463과 유사한)가 실을 훅에 직접 공급하도록 배치된 실시예를 나타내며 훅은 그들을 니이들프론트에 따라 실게된다. 언와인더의 회전으로, 아일릿(2465)와 (2466)(아일릿 465와 466과 유사한)은 훅에 그립되야 하는 실을 주기적으로 교환한다.
기계의 프로그램이 여러가지 단계에서의 작업속도, 피이드실의 배제 및 삽입동안 레그와 몸체사이에서 크러치를 형성하는 현장에서 특별한 슬로우다운(Slowing down)에 대하여 제공된다.
제 5 도 내지 제 7 도에서 도시한 이외의 방법으로서 진동잭(126) 및 (132) 대신에 니이들 그 자체에 착설된 작은잭(116) 및 (136)의 진동에 ?T도 내지 제 7 도에서 도시한 이외의 방법으로서 진동잭(126) 및 (132)대신에 니이들 그 자체에 착설된 작은잭(16) 및 (136)의 진동에 신의 트리거에 의하여 진동을 일으키게되는 선택시스템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이트리거는 그 자신의 전자석에 의해 이동된다. 또한 이것은 기계 즉 니이들을 변위시키기 위하여 두개의 카운터 회전장치의 회전과 동시에 일어나는 전자 프로그래머에 의해 작동된다.
플레이트 니이들의 선택에 있어서 각잭(116)을 진동하기 위한 수단은 아암(557A)와 지레받침으로서 둥근부분(578)을 가진 트리거(577)이다. 아암(577A)은 지레받침(578) 주위를 전트리거(577A-577)가 선회하게 하는 작업사이클 프로그램의 기능으로서 작은 자석(580)에 의해 끌려진다. 이렇게하여, 니이들(13)이 캠에 의해 끌려지도록 히일(118)이 나오게하는 결과로 아암(577)이 하강하여 잭(166)의 꼬리부를 아래로 누른다. 상기 트리거(577)는 플레이트(10)에 고정된 휘일(582)의 주위에 있는 절결부에 모두 착설되어 탄성밸브 또는 스프링(579)에 의해 고정된다.
문제의 기계는 고도의 정밀도로 설계되어 니이들 사이의 거리가 작기때문에 전자석(580)을 위한 룸도 작고 그들의 두께를 고려할때 이들은 하나의 니이들과 다른 니이들 사이에 수용될 수 없다. 따라서 제 39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들을 두개이상의 로오(rawa)위에 서로 엇갈리게 놓아야 한다. 따라서 트리거(577)는 다른 오리엔테이션의 아암(577A)을 가지는 두개 이상의 형태이다. 제 39 도의 실시예에서, 전자석(581)용 아암(577B)을 가지는 트리거(577)는 각 자석(580)에 대한 아암(577A)을 가지는 두개의 트리거 사이에 삽입된다.
실린더(11)의 니이들(15)용으로 유사한 방법이 채택되는데 여기에서 트리거(583)는 잭(136)을 누를 수 있으며 아암(583A)을 가지고 두개의 다른 랭크에 배치된 각 전자석(585)과 (586)에 연동하도록 아암(583A)을 가지는 또 다른 트리거와 교대가 된다.
이러한 선택시스템은 최초로 기술한것과 비교할때, 두개의 카운터회전 장치의 더 많이 축소된 부피를 가지는 특징을 가지고, 제 8 도와 제 9 도의 선택기를 가지지 않고 이것은 단지 니이들위에 작용하는 캠에만 한정된다. 실린더(11)와 플레이트(10)위에 놓인 몸체(582)의 치수는 이전 실시예에서의 실린더(11)와 플레이트위에 실린더(9)의 치수에 비교해볼때 축소된다. 니이들의 선택에 관한 부분은 트리거(577)와 (583)의 작은 진동을 제외하고 완전히 정적이다.
첨부 도면을 본 발명의 실질적인 표본으로 주어진 실시예만을 도시하고 있으며, 본 발명의 아이디어의 범위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의 형상과 배치구조를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청구범위에 기재된 참조번호는 명세서와 도면에 관련하여 청구범위를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함이지 청구범위에 나타난 보호받고자 하는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Claims (18)

  1. 니이들로 뜨개질하기위한 두개의 고정바아 즉 베드에서 다수개의 제품이 서로서로 마주보는 니이들의 독립적인 아아크로 형성되고 각각은 하나의 바아에 의해 일부분이 또 다른 니이들에 의해 일부분이 조립되는 열을 가지는 두개의 바아와; 연속적으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고 하나가 하나의 바아용 니이들을 위한 제어캠을 나르고 다른 하나가 다른 바아의 니이들용 제어캠을 나르는 두개의 장치와; 상기 장치의 각각에 제품을 만드는 각 아아크를 따라 두개의 방향으로 실을 교대로 싣고 두개의 역회전 싣는 수단사이에서의 실의 교환은 니이들의 각 작업아아크의 끝단에서 일어나는 수단으로 구성되는 복수개의 관형편물제품을 동시에 만들기위한 원형편물기에 있어서, 1차로 공급된 같은 실을 항상 가지는 니이들의 각 작업아아크에 대한 두개의 연속실피이드를 얻고 연속나선형의 열을 형성하기 위하여, 두개의 연속실피이드(344,345)와; 그들을 두개의 각에 니이들에 공급하고 그들의 위치를 싣는 수단에 의해 그것의 탑재의 각 역전에서 교환할 목적으로 두개실의 위치를 안내하고 바꾸기 위한 수단(458,459,460,463)과; 싣는 수단으로서 각 쌍의 훅이 각 전진방향에서 다른것 뒤에 하나가 배치되고 1차훅(342,349)이 그것의 하나(344)를 취하기 위하여 두개의 실(344,345)사이에 있는 공간으로 관통하게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2차훅이 다른 실(345)을 취하기 위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쌍을 이루는 훅(342,343;349,350)과; 상기 두개의 역회전장치(26,32)위에서 상기 훅(342,343;349,350)이 실의 결합 및 풀림위치 사이에서 그것의 변위를 허용하는 지주(352)와; 고정구조물(1,1F)위에서 작업아아크를 따른 유효거리 끝단에서 훅(342,343;349,350)의 알맞은 변위를 야기하는 제어수단(354,354';355',353A)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티스타킹등과 같은 복수개의 관형편물제품을 동시에 제조하기 위한 원형편물기.
  2. 제 1 항에 있어서, 다른 형상의 활동단을 가지는 상기 훅(342,343;349,350'1342,1343;1349,1350)이 활동단에 직교하는 축을 따라 각 이동하도록 지지되고 상기 훅은 스프링형상(353A) 또는 캠형상의 복귀수단의 작용에 대한 액티브캠 제어수단(354,354',355,355')와 상호작용하는 크랭크(353)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티스타킹등과 같은 복수개의 관형편물제품을 동시에 제조하기 위한 원형편물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훅(342,343;349,350)의 하나(342,349)가 앞쪽실을 움켜쥐기 위해 약 45°굽혀지고 다른쪽(343,350)이 다른 실을 잡기위해 약 90° 굽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티스타킹등과 같은 복수개의 관형편물제품을 동시에 제조하기 위한 원형편물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훅의 하나(1342,1349)가 앞쪽실을 움켜쥐기 위하여 더 짧고, 다른쪽(1343,1350)이 다른실을 잡기위해 더 길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티스타킹등과 같은 복수개의 관형편물 제품을 동시에 제조하기위한 원형편물기
  5. 제 2 항에 있어서, 두개의 바아 즉 니이들의 두개의 베드가 한쪽은 실린더(11)위에 다른쪽은 플레이트(10)위에 있고 실을 실린더(11)의 니이들(15)로 안내하기 위한 훅(342,343;1342,1343)이 실린더(11)의 니이들(15)의 바아의 바깥에 거의 방사상 위치에 놓인 축을 따라 움직이고, 실을 플레이트(10)의 니이들(13)에 안내하기 위한 훅(349,350;1349,1350)이 플레이트(10)의 니이들(13)의 바아이에서 플레이트(10)에 거의 직교하는 축을 따라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티스타킹과 같은 복수개의 관형편물제품을 동시에 제조하기 위한 원형편물기.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및 안내수단이 오목부(458C)와 두개의 바아를 따라 연장하는 돌기부(458A)를 형성하는 이형단면 형상을 가진 링(458)과; 그들의 대향자유단을 가지는 상기 링에 대칭으로 배치되고 상기 링의 돌기부(458A)에 대하여 제한된 거리에 착좌되고 상기 돌기부에 대해 상승된 쌍을 이루는 강체 가이드와이어(459,460,기타)와; 각각이 실(344,345)의 두개의 보빈(B44,B45)와 결합되고, 상기 아일릿과 상기 돌기부사이에 있는 두개의 실(344,345)의 궤적의 순환이동을 얻기위하여 상기 링(458)의 돌출구역(458A)을 통하여 통과하는 회전축에 대하여 중심이 벗어난 두개의 출구 아일릿(464,465)를 가진 회전어셈블리(플레이트(463A))및 프레임(463B)으로 각각이 이루어진 실푸는 장치(463)를 포함하고, 탑재작용하에서 링(58)의 상기 형상을 따라 실을 슬라이딩하는데 있어서, 가이드와이어(459,460등) 내외부를 통과하는 실의 교환은 상기 훅(342,343,349,350)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티스타킹과 같은 복수개의 관형편물제품을 동시에 제조하기위한 원형편물기.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및 가이드 시스템은 각각이 실(344,345)의 두개의 보빈(B44,B45)과 결합되고 두개의 중심에서 벗어난 출구 아일릿(465,466;1465,1466)을 가지는 회전어셈블리(플레이트(463A)와 프레임(453B)로 각각 이루어진 실푸는 장치(463;1463)와; 실이 각 탑재이동의 끝단과 내부 및 외부를 통과하는 실의 교환시에 두쌍의 훅에 의해 결합되게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팬티스타킹과 같은 복수개의 관형편물제품을 동시에 제조하기 위한 원형편물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실이 훅에 의해 결합되게 하는 상기 수단이 두개의 바아를 따라 연재하여 모양이 있는 형상을 이루는 오목부(458C)와 돌기부(458A)를 가지는 링(458)과; 구들의 대향자유단을 가지는 상기 링에 대칭으로 배치되고 상기 링의 돌기부(458A)에 대해 제한된 거리에서 착좌되며 상기 돌기부에 대하여 상승된 쌍을 이루는 강체의 가이드와이어(459,460)와; 축이, 상기 아일릿과 상기 돌기부 사이에 있는 두개의 실(344,345)의 궤적의 순환이동을 이루기위해 상기 링(458)의 투영구역(458A)을 통하여 거의 축 방향으로 통과하는 회전축에 대하여 중심이 벗어난 두개의 출구 아일릿(464,465)을 가지는 회전어셈블리(플레이트(463A)와 프레임(463B))를 구비한 상기 실푸는 장치(463)로 이루어지고, 탑재작용하에서 링(458)의 상기 형상을 따른 실의 슬라이딩에 있어서 기이드와이어(459,460)등의 내외부를 통과하는 실의 교환이 상기 훅(342,343,349,350)에 의해 교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티스타킹과 같은 복수개의 관형편물제품을 동시에 제조하기위한 원형편물기.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각 실에 대해 배제되게 실(344,345)을 결합하고 절단하고 훅(342,349,350)이 잡을 수 있게 실을 대줄수 있는 뺀찌기구와; 상기 뺀찌기구를 이동시키는 수단(485,468A,488)및 그것(484,492)의 그리핑 및 절단부재를 제어하기위한 수단(49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티스타킹과 같은 복수개의 관형편물제품을 동시에 제조하기 위한 원형편물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485,486A,488)은 뺀찌기구(484)에 대한 고정구조물(1-1F)에 관절연결된 진동아암(486)을 가지는 지주와; 두개의 액티브포지션으로 상기 아암지주(486)를 변위시키는 작동기(488)와; 뺀찌기구가 아암지주(486)에 대하여 슬라이드하게 하는 작동기(485)와; 뺀찌의 부재(484,492)를 제어하기위한 작동기(49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티스타킹과 같은 복수개의 관형편물제품을 동시에 제조하기 위한 원형편물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니이들(13,15)의 두개의 바아의 두개의 연속아아크위에서 두개의 관형부를 짠다음 계속하여 두개의 관형부와 상기 연속아아크의 그것들 사이에 이루어진 니이들 구역의 니이들에 의해 형성된 부분의 연장에 따라 하나의 원형부를 짜서 타이츠등과 같은 형태의 의복을 만들 수 있고, 상기 가이드와이어의 두개의 연속쌍에 속하고 연결된 두개의 관형부(G1X와 G1Y등)의 두개의 연속아아크의 그들 사이에 포함된 니이들구역(크러치)과 조화를 이루는 위치에 놓여 있는 상기 가이드와이어(459,471)용 관절수단(461,461A)과; 액티브포지션에서 상기 두개의 가이드와이어(459,471)를 배제하고 상기 뺀찌 기구(483)의 작용과 동시에 그들을 액티브포지션으로 가져오는 제어수단(462,462A)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티스타킹과 같은 복수개의 관형편물제품을 동시에 제조하기 위한 원형편물기.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푸는 장치(463,474,475,476,기타;1463)는 언와인더가 상기 언와인더에 의해 공급된 두개 바아의 니이들아아크에 대하여 실제로 중간위치에 놓이게 가동지지부재(40;1480)에 의해 운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티스타킹과 같은 관형편물제품을 동시에 제조하기 위한 원형편물기.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모든 푸는 장치(463)를 지지하고 고정구조물(1-1F)에서 각 이동가능한 환형부재(40)와; 작동상태에서 상기 공급장치의 두개의 바아의 니이들에 대하여 각 푸는 장치(463)가 거의 중간위치에 도달할 수 있도록 상기 환형부재(40)를 변위시킬 수 있는 작동기(47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티스타킹과 같은 복수개의 관형편물제품을 동시에 제조하기 위한 원형편물기.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가 거의 접선가이드위에서 가동되고 각각이 슬라이드가 두개의 푸는 장치를 운반하는 슬라이드(1480)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티스타킹과 같은 복수개의 관형편물제품을 동시에 제조하기 위한 원형편물기.
  15. 제 14항에 있어서, 여러개의 바아의 니이들을 제어하기위한 캠세트(46,47)를 포함하고 캠세트중의 하나가 니이들을 낮추기 위한 두개의 캠(331,333;122,383)을 포함하고 이들 캠중의 하나(331,122)를 배제할 수 있고 계속해서 캠(329,330,332;120,380,382)을 상승하며, 이런 배치로 상기 배제가능한 캠(331;122)을 포함하며 연속공급된 두개의 실로 두개열의 스티치를 형성하고, 상기 배제가능한 캠(331;122)을 배제하여 니이들의 전진 및 지연된 상승에 의해 선택하는 것이 가능함에 따라 싱글하강과 싱글스티치열의 형성으로 "슬립스티치"로 알려진 디자인을 다지는 직물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티스타킹과 같은 복수개의 관형편물제품을 동시에 제조하기 위한 원형편물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몸체형성의 시작에서 두개 레그의 형성구역사이에 구성된 섹션(크러치)에 놓인 두개 바아의 니이들이 레그부를 형성하기 위해 두개의 실에 의하여 몸체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폐쇄열을 교차하여 형성하기 위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티스타킹과 같은 복수개의 관형편물제품을 동시에 제조하기 위한 원형편물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두개 레그의 형성구역 사이에 구성된 섹션(크러치)의 니이들과 함께, 서로서로 교차하도록 상기 섹션(크러치)의 그것들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다리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작동되는 각 바아의 적어도 하나가 상승되어 크러치 폐쇄구역의 끝단에서 제품을 형성하는 아일릿을 제거하거나 또는 줄이게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티스타킹과 같은 복수개의 관형편물제품을 동시에 제조하기 위한 원형편물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니이들을 선택적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각 니이들위에서 또는 니이들 선택기위에서 작동하는 전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전자석은 각 전자석에 대하여 유용한 공간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다수개의 랭크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티스타킹등과 같은 복수개의 관형편물제품을 동시에 제조하기 위한 원형편물기.
KR1019900003003A 1989-03-07 1990-03-07 팬티스타킹등과 같은 복수개의 관형편물제품을 동시에 제조하기 위한 원형편물기 KR9200042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9357A/89 1989-03-07
IT8909357A IT1233164B (it) 1989-03-07 1989-03-07 Macchina tessile circolare per formare simultaneamente piu' manufatti a maglia tubolari, del tipo delle calze-mutanda (collant) e simili
IT9359A/89 1989-03-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4666A KR900014666A (ko) 1990-10-24
KR920004241B1 true KR920004241B1 (ko) 1992-05-30

Family

ID=11128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3003A KR920004241B1 (ko) 1989-03-07 1990-03-07 팬티스타킹등과 같은 복수개의 관형편물제품을 동시에 제조하기 위한 원형편물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020340A (ko)
EP (1) EP0387209A3 (ko)
JP (1) JPH03220347A (ko)
KR (1) KR920004241B1 (ko)
CN (1) CN1024575C (ko)
CA (1) CA2010412A1 (ko)
DD (1) DD299077A5 (ko)
IT (1) IT123316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693342B2 (en) * 1995-05-16 1998-06-25 Oreste Schiavello A composite hosiery knitting machine
US5754431A (en) * 1995-09-18 1998-05-19 Shima Seiki Manufacturing,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esigning a tubular knitted fabric using a flat knitting machine
FR2888589B1 (fr) * 2005-07-13 2007-11-09 C I R Celarier Ingenierie Repr Machine a tricoter circulaire a double fontures
FR2889209A1 (fr) * 2005-07-27 2007-02-02 C I R Celarier Ingenierie Repr Machine a tricoter circulaire a double fontures
ITBS20130089A1 (it) * 2013-06-21 2014-12-22 Santoni & C Spa Elemento di erogazione del filo per un guidafilo per macchine tessili, e guidafilo comprendente tale elemento di erogazione
CN104109933B (zh) * 2014-07-09 2016-01-06 徐月苗 具有改进型导纱装置的双面小圆机
US10349702B2 (en) * 2016-09-09 2019-07-16 Nike, Inc. Knitting of multiple uppers on a machine
CN107156973A (zh) * 2017-06-07 2017-09-15 周敏 一种针织手套连续纺织装置
CN109914019B (zh) * 2019-03-25 2020-07-24 圣东尼(上海)针织机器有限公司 添纱组织编织工艺、编织机构以及地纱浮线添纱组织
CN111270427B (zh) * 2020-03-07 2021-08-27 浙江伟盈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织缝翻一体机的缝头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69104A (en) * 1951-06-19 1954-02-16 Scott & Williams Inc Knitting machine
US2721460A (en) * 1952-04-25 1955-10-25 Lombardi Vincent Knitting machine
US2754669A (en) * 1952-06-02 1956-07-17 Vincent Lombardi Knitting machine
DE1635860C3 (de) * 1967-08-02 1975-01-23 Mayer & Cie Maschinenfabrik, 7477 Tailfingen Rundstrickmaschine mn Fadenwechselvorrichtungen
US3530688A (en) * 1968-07-22 1970-09-29 Victor J Lombardi Circular knitting machine
DE2313651C3 (de) * 1973-03-19 1978-03-23 Burlington Ag, Basel (Schweiz) Verfahren zur Einarbeitung rauhfähiger Fäden in eine Rechts-Rechtsstrickware
US3995455A (en) * 1974-06-24 1976-12-07 Sakurai Limited Needle wrapping device
IT1198684B (it) * 1983-09-20 1988-12-21 Ivan Riccitelli Macchina a funzionamento meccanico,a doppia frontura,a moto alternato,il prodotto della quale,sono collants,completi di punte rammagliate,tassello inserito rammagliato,nel punto del cavallo,e mutanda rammagliata nel punto di collegamento dei due gambali
IT1198894B (it) * 1984-08-01 1988-12-21 Meritex Srl Procedimento e macchina circolare da maglieria per formare manufatti a calzamutande e simili
IT1201386B (it) * 1985-11-28 1989-01-27 Conti P Dispositivo di alimentazione del filo per una macchina da malgieria a doppia frontura e a piu' alimentazioni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D299077A5 (de) 1992-03-26
CA2010412A1 (en) 1990-09-07
JPH03220347A (ja) 1991-09-27
US5020340A (en) 1991-06-04
IT8909357A0 (it) 1989-03-07
EP0387209A3 (en) 1992-04-29
IT1233164B (it) 1992-03-14
CN1024575C (zh) 1994-05-18
EP0387209A2 (en) 1990-09-12
KR900014666A (ko) 1990-10-24
CN1045430A (zh) 1990-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96162B2 (ja) 横編機および編成法
CZ285739B6 (cs) Způsob spojování dvou okrajů pleteného výrobku a zařízení k provádění tohoto způsobu
KR920004241B1 (ko) 팬티스타킹등과 같은 복수개의 관형편물제품을 동시에 제조하기 위한 원형편물기
CZ20011295A3 (cs) Způsob a zařízení pro ąití ąpičky ponoľky
KR20060034632A (ko) 특히, 3차원 형상의 의류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환편기
JP2012533004A (ja) タイツ等の衣類を編成する方法及び装置、並びにそれらを用いて製造された衣類
JP2004522005A (ja) 編機から管状編物品を持ち上げて、つま先を縫い合わせる装置
JPH0376852A (ja) メリヤス機
KR920004242B1 (ko) 편물기의 바늘을 선택하고 제어하기 위한 기계장치와 그를 위한 바늘
US4027505A (en) Circular knitting machine with disengaging positive yarn feeding means
RU2173360C2 (ru) Вязальная машина и способ создания вязаного предмета одежды, содержащего основную часть и пару паголенок, единой операцией и вязаный предмет одежды
CN1780950B (zh) 带有改进的针驱动的、尤其是中等直径型式的圆形针织机
US4033150A (en) Circular knitting machine for producing detachable strips of knitted fabric
KR101691734B1 (ko) 연속 공정으로 편직물에 홀을 형성하는 편직방법과 이를 통해 제작된 편직물
CZ348695A3 (en) Method of knitting hosiery goods with one closed end and knitting machine for making the same
IT9021331A1 (it) Macchina per maglieria
US3124944A (en) Circular knitting machine for knitting pile fabrics
CZ333497A3 (cs) Způsob výroby pleteného zboží, zejména dutých pletených výrobků s uzavřenou spičkou, a zařízení k provádění tohoto způsobu
KR100580435B1 (ko) 복동식 원형 편물기에 적어도 두 가닥의 실을 동시에 공급하는방법 및 장치
KR100502434B1 (ko) 의류용 환편기의 루프 긴장장치
US6615617B1 (en) Method for producing a tubular knitted article, particularly a hosiery article, closed at one end, without a seam, with a circular machine
JPH0577777B2 (ko)
KR20160137457A (ko) 연속 공정으로 형성된 홀을 포함하는 편직물
JPS58126350A (ja) 編物製造方法および装置
CS198405B1 (cs) Způsob napínání a odtahování úpletu na okrouhlém pletacím stroji a zařízení k provádění tohoto způsobu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