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3572B1 - 열기류 인도장치 - Google Patents

열기류 인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3572B1
KR920003572B1 KR1019890001353A KR890001353A KR920003572B1 KR 920003572 B1 KR920003572 B1 KR 920003572B1 KR 1019890001353 A KR1019890001353 A KR 1019890001353A KR 890001353 A KR890001353 A KR 890001353A KR 920003572 B1 KR920003572 B1 KR 9200035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ivery unit
protective cover
hot air
deliver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1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2608A (ko
Inventor
베르타니 까를로
Original Assignee
모-엘 에세. 에레. 엘레
베르타니 까를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IT8820586U external-priority patent/IT213681Z2/it
Priority claimed from IT8821188U external-priority patent/IT213974Z2/it
Application filed by 모-엘 에세. 에레. 엘레, 베르타니 까를로 filed Critical 모-엘 에세. 에레. 엘레
Publication of KR890012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26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35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35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4Hot-air producers
    • A45D20/08Hot-air producers heated electrically
    • A45D20/16Fixed installed dry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48Drying by means of hot a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Cleaning And Drying Hair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 Direct Air Heating By Heater Or Combustion Gas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 Flexible Shafts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열기류 인도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Ⅱ-Ⅱ선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측단면도.
제4도는 제3도 실시예의 변형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보호 덮개 3 : 벽면
4 : 인도유니트 5 : 푸시버튼
6 : 베이스면 8 : 도옴 형상부
12 : 스톱퍼 15 : 슬로트
18 : 호오스 19 : 복좌스프링
20 : 탄성 축수 20a : 고정부
20b : 시이트 21,22 : 자석
23 : 쌍안정스프링
본 발명은 벽에 고정되는 덮개와 전기적으로 작동되는 공기 인도유니트, 그리고 전기한 보호 덮개내에 장착되어 인도유니트를 작동되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푸시버튼으로 구성되는 형태의 열기류 인도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의 장치는 특히 체육관의 탈의실과, 샤워실, 수영장과 호텔의 목욕탕, 레스토랑, 개인주택 등의 공공 또는 개인적으로 사용되는 실용본위의 주거설비에서 모발이나 손의 건조기로 사용되기에 적합하다.
전술한 사항에 있어서 벽걸이형식의 장치가 빈번하게 쓰이고 있음은 잘 알려진 바와 같으며, 이 장치는 경우에 따라, 모발건조기나 손건조기로 사용하게끔 열기류를 공급할 수 있게 설계된다.
이 종류의 장치는 근본적으로 벽에 고정되어지는 보호 덮개로 구성되고, 그 내부에 열기류 인도유니트가 설치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이 인도유니트는 대기중으로 소통되는 흡기구와 배기구를 대향단에 형성한 튜브상이거나 또는 나선상의 구조체로 되어 있다.
튜브상 또는 나선상의 구조체 내에는 임펠러와, 이 임펠러를 전기적으로 작동하기 위한 전기모우터 그리고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저항체가 연속적인 배열로 설치되어 있다.
인도유니트는 보호 덮개 표면위에 노출되고, 사용자에 의해 수동조작되는 적어도 하나의 타임스윗치로써 전기적인 작동이 될 수 있다.
모발건조기로 사용되는 몇가지 장치들은 일단부가 인도유니트의 배기구로 접속된 유연한 호오스를 매달고 있는 레버에 의해 작동한다.
다시 말하면, 장치는 레버로부터 호오스가 이탈됨에 따라 동작화되고, 오로지 호오스가 다시 매달려질 때 비동작화된다.
작동에 있어서, 공기는 주변 대기로부터 빨아 들여져서 저항체로 보내어 가열된 다음, 배기구를 통해 다시 주변 대기중으로 보내진다.
비록 이 종류 장치가 주어진 기능을 훌륭하게 수행할 수 있을지라도, 사용상의 안전성에 있어서 장치들이 거의 대부분 항상 높은 습도를 갖는 장소에 설치되고, 물 튕김에 노출되어 있다는 사실을 감안하여 볼 때, 몇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게다가 상기한 문제점들의 대부분은 작동스윗치가 보호 덮개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어서, 사용자가 장치를 켜거나 끄기 위하여 빈번하게 직접 접촉하게 되는 사실로부터 야기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습기 그리고 보호 덮개 위에 축적된 물을 인도유니트가 빨아 들여서 그 내부의 전기적 구성부가 젖어질 가능성으로 주어진다.
상기한 위험성에 덧붙여서 특히 금속 덮개를 갖는 장치에서 종종 발생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젖은 손으로 혹은 보호 덮개 위에 물이 묻어 있는 채로 스윗치를 작동할 때 감전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작동시의 회로 단락 가능성과 장치를 켜고 끄는 스윗칭조작시에 사용자가 감전될 가능성에 대하여 사용의 완전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습기와 보호 덮개로 튕겨질 수 있는 물로부터 모든 전기적 구성부가 적절하게 보호되는 열기류 인도장치를 제공하여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함에 있다.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분명하게 드러날 전술한 본 발명의 주된 목적과 부차적인 목적은 보호 덮개에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비동작화되는 비사용 위치에서 푸시버튼의 명령에 따라 동작화되는 사용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인도유니트에 의해 근본적으로 성취되며, 푸시버튼은 인도유니트와 보호 덮개의 안쪽 사이 또는 인도유니트와 보호 덮개의 베이스면 사이에 위차하여, 전기한 인도유니트가 비사용 위치에서 사용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작동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과 장점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로서 보다 더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정면도로서, 부호(1)로 통칭된 장치는 본 발명에 의한 열기류 인도장치를 나타낸다.
인도장치(1)은 근본적으로 종래 방식과 같이 벽면(3)에 고정되는 보호 덮개(2)와, 이 보호 덮개(2)의 내부에 수용되는 열기류 인도유니트(4), 그리고 인도유니트(4)를 작동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푸시버튼(5)로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보호 덮개(2)는 전기적으로 바람직하게 절연되는 플라스틱물질로 만들어져 있으며, 장치(1)을 나무못(7) 또는 이와 유사한 수단에 의해 벽면(3)으로 부착시킬 수 있게 해주는 베이스면(6)을 보유한다.
상기한 장치(1)의 부착은 압력에 민감한 2중 접착테이프를 사용하여 보다 간편하게 행할 수도 있다.
베이스면(6)은 전체로서 상단부가 둥근 사각형태로 되어 있고, 그 상단부로부터 밑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는 도옴 형상부(8)을 보유한다.
도옴 형상부(8)에서 양 측면으로 확장되는 측부(9)는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연장되어 각각 베이스면(6)의 대응모서리로 이어지며, 이 측부(9)의 폭은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옴 형상부(8)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차 좁아지게 되어 있다.
인도유니트(4)는 종래 방식과 동일하게 튜브구조체(10)으로 구성되고, 이 튜브구조체(10)의 양단에는 각각 흡기구(10a)와 배기구(10b)가 형성되어 있다.
튜브구조체(10) 내부에는 전기모우터에 의해 작동되는 임펠러와, 배기구(10b)에 근접하여 작동되는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저항체가 흡기구(10a)로부터 시작하여 연속적인 배열로서 수용되어 있다.
튜브구조체(10)의 내부에 수용된 구성부 전체는 통상적이고 보편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으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바람직하게는 인도유니트(4)를 수직으로 세워서 그 흡기구(10a)가 상측으로 지향되어 보호 덮개(2)에서 베이스면(6)의 반대축에 형성된 개구를 통하여 노출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인도유니트(4)는 비동작화되는 비사용위치로부터 동작화되는 사용위치로 이동될 수 있도록 보호 덮개(2)에 요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인도유니트(4)는 사용위치에서 푸시버튼(5)의 명령에 의해 작동된다.
제1도와 제2도에 도시한 실시예는 대략 수평축을 이루며, 보호 덮개(2)의 측부(9)로 회동가능하게 끼워지는 2개의 추축(11)에 의해 인도유니트(4)가 보호 덮개(2)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인도유니트(4)가 비사용위치로 놓여져 있을 때, 제2도에서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인도유니트(4)는 거의 수직으로 배치된다.
다음에 인도유니트(4)가 사용위치로 놓여질 때는 제2도에서 1점 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벽면(3)에서 떨어지는 경사자세를 취하게 된다.
제1도와 제2도를 참조하는 실시예에 있어서 인도유니트(4)의 사용위치를 규정하여 주기 위한 정지수단이 적당하게 설치된다.
도시한 예에서 정지수단은 인도유니트(4)가 그 사용위치로 왔을 때, 인도유니트(4)의 튜브구조체와 탄성적으로 맞물려질 수 있도록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물질로 만들어져서, 보호 덮개(2)의 도옴 형상부(8)에 고정되는 스톱퍼(12)로 구성되어 있다.
스톱퍼(12)에 튜브구조체(10)이 맞물려진 상태에서 인도유니트(4)는 그 사용위치로 안정된 자세를 취하게 된다.
스톱퍼(12)는 보호 덮개(2)로 고정되는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자석과, 이에 대응하여 튜브구조체(10)에 부착되는 금속흡착편에 의하여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대체될 수 있다.
푸시버튼(5)는 인도유니트(4)가 그 사용위치로 이동됨에 따라 작동될 수 있도록 보호 덮개(2)의 내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제1도와 제2도에 도시한 예에서는 푸시버튼(5)가 도옴 형상부(8)의 내측에서 베이스면(6)의 상부로 고정부착되어 튕겨질 수 있는 물이나 그에 유사한 것에 대하여 보호받게 되어 있다.
푸시버튼(5)에는 인도유니트(4)가 그 사용위치로 왔을 때, 인도유니트(4)의 간섭에 의해 접점을 스윗칭온시켜주는 드라이브 아암(13)을 보유한다.
제3도와 제4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예는 인도유니트(4)가 거의 수직방향으로 통과되어 비사용위치에서 사용위치로 이동될 수 있게 보호 덮개(2)와 계합시킨 구조로 대체하였음을 나타낸다.
이를 위하여 튜브구조체(10)은 그 외측방에 상호 대향하는 2개의 돌기(14)를 보유하고, 이들 각각의 돌기(14)는 보호 덮개(2)의 베이스면(6)에서 일체로 돌출 형성된 축수편(16)의 수직슬로트(15)내로 활동 가능하게 끼워져 있다.
이 예에서도 푸시버튼(5)는 역시 베이스면(6)의 상부측에 고정되지만 그 작동은 튜브구조체(10)과 일체로된 드라이브 러그(17)에 의해 수행된다.
이에 따라 푸시버튼(5)는 인도유니트(4)가 약간 들어 올려져서 작동위치로 이동할 때, 접점이 스윗칭 온될 수 있게 배열된다. 제3도와 제4도에 예시한 실시예도 물론 비사용위치와 사용위치를 선택적으로 보전하여 주기 위한 지정수단을 보유한다.
모발건조기로 사용함에 적당한 제3도의 인도장치(1)은 위치지정수단으로서 1점 쇄선으로 나타낸 유연한 호오스(18)과, 적어도 하나이 복좌스프링을 보유하며, 호오스(18)의 중량이 복좌스프링의 탄성 복귀력보다 더 크게 되어 있다.
복좌스프링의 일예로는 일단부가 보호 덮개(2)의 상측에 걸려지고, 타단부는 인도유니트(4)의 튜브구조체(10)에 걸려진 나선스프링(19)로 할 수 있다.
탄성 축수부(20)이 나선스프링(19)과 협동하거나 또는 나선스프링(19)에 대체될 수 있다.
탄성 축수부(20)은 보호 덮개(2)의 베이스면(6)과 일체로 된 고정부(20a)에 의해 지지되는 것으로서 중앙에 시이트(20b)를 일체로 보유하고 있으며, 이 시이트(20b)로 인도유니트(4)의 돌출부(4a)가 삽입연결되어 있다.
탄성 축수(20)은 고무 또는 다른 탄성물질로 만들어진다. 나선스프링(19)와 탄성 축수(20) 혹은 나선스프링(19)나 탄성 축수(20) 대신에, 도옴 형상부(8)의 내측 상단으로 고정 부착되는 자석(21)과, 이에 대응하여 인도유니트(4)측에 일체로 설치되는 강자성체(22)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제4도는 제3도 실시예의 변형을 나타내며, 인도장치(1)은 손 건조기로 사용되게 배열되어 있고, 여기서 유연한 호오스(18)은 필요치 않다.
그러나 위치지정수단은 일단부가 베이스면(6)에 일체로 된 시이트(23a)로 끼워지고, 타단부가 튜브구조체(10)과 일체로 된 다른 시이트(23b)로 삽입되어지는 쌍안정스프링(23)을 포함하며, 이 쌍안정스프링(23)은 인도유니트(4)를 그 사용위치와 비사용위치로 각각 보전시켜준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장치의 작동은 다음과 같이 극히 간단하게 행해진다. 인도장치(1)이 사용되지 않을 경우, 인도유니트(4)는 비사용위치로 배열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푸시버튼(5)의 접점은 스윗칭 오프이므로 인도유니트(4)는 비동작된다.
제1도와 제2도로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인도유니트(4)를 사용위치로 이동시키려면 인도유니트(4)를 추축(11)에 대하여 약간만 회동되게 하는 것만으로 충분하고, 이에 따라 인도유니트(4)는 동작화된다.
실제로 상기한 인도유니트(4)의 사용위치 이동에 의해 튜브구조체(10)의 드라이브 아암(13)을 연동시켜 푸시버튼(5)의 접점이 스윗칭 온 되어지므로, 요구하는 인도유니트(4)의 동작화가 야기되는 것이다.
인도유니트(4)의 동작중에 있을 때, 그 안에 설치된 임펠러는 흡입구(10a)를 통해 공기를 흡인하게 된다.
흡인되는 공기는 인도유니트(4)와 보호 덮개(2) 사이의 중공상 공간을 통해서 대기중으로부터 취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위적으로 보호 덮개(2)의 측부(9)에 적당히 형성시킨 홈을 통하여 도입할 수도 있다.
흡기구(10a)를 통하여 흡인된 공기는 튜브구조체(10)의 내측에서 가열되고, 배기구(10b)를 경유하여 대기로 보내진다.
제1도와 제2도에 도시한 인도장치(1)이 손 건조기로 사용될 경우, 인도유니트(4)의 비사용 또는 사용위치의 배열은 사용자가 직접 수동조작해 주어야 한다.
또 제1도와 제2도에 도시한 인도장치(1)이 모발 건조기로 사용될 경우에는, 유연한 호오스(18)이 인도유니트(4)에 적당히 접속되어야 한다.
제1도 및 제2도에서 1점 쇄선에 의해 일부만이 도시된 호오스(24)는 배기구(10b)로부터 연장되고, 도시 생략된 자유단에는 확산기나 브러시와 같은 몇개의 상이한 액서사리가 장착될 수 있으며, 통상적인 걸고리수단에 의해 보호 덮개(2)로 부착된다.
이 경우에 유연한 호오스(24)의 자유단을 사용자의 머리쪽으로 지향시키기 위하여 전기한 호오스(24)를 벽면(3)으로부터 충분히 떨어져 움직이게 할 수 있으며, 이것은 인도유니트(4)가 그 사용위치로 이동됨을 초래하므로, 그 결과로 푸시버튼(5)가 작동되어 마찬가지로 동작화되는 것이다.
인도장치(1)의 사용이 더 이상 필요치 않게 되어 호오스(24)가 느슨해졌을 때, 호오스(24)는 자동적으로 벽면(3)에 가깝게 위치할 것이다.
이에 따라 호오스(24)의 중량이 스톱퍼(12)로 제공되는 저항을 압도해서 인도유니트(4)를 비사용위치로 복귀시켜 비동작화되도록 해준다.
상기한 인도유니트(4)의 비동작화 과정은 종래 장치에서의 비동작화와는 달리 사용자가 호오스(24)의 자유단을 보호 덮개(2)로 걸어 놓는 것을 소홀히하였다 할지라도 자동적으로 발생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다음에 제3도로 도시한 실시예를 참조하면, 인도유니트(4)의 비사용위치에서 유연한 호오스(18)의 중량이 인도유니트(4)의 나선스프링(19)나 탄성 축수(20) 또는 자석(21)의 흡인력보다, 경우에 따라서는 이들 나선스프링(19), 탄성 축수(20), 자석(21)을 합친 힘보다 크게 한다.
이 상태에서 튜브구조체(10) 위에 설치된 드라이브러그(17)은 푸시버튼(5)와 접촉되지 않는다.
사용자가 유연한 호오스(18)을 들어 올렸을 때, 인도유니트(4)로 가해지던 호오스(18)의 중량은 감소되어지므로 이에 따라 전기한 나선스프링(19)나 탄성 축수(20) 혹은 자석(21)의 흡인력 각각에 대하여 또는 이들을 합친 힘에 대하여 유지되고 있던 균형이 깨지게 된다.
그 결과, 인도유니트(4)는 사용위치로 이끌리게 되는 것이며, 이와 동시에 드라이브 러그(17)이 푸시버튼(5)를 스윗칭 온시켜서 인도유니트(4)는 동작화되는 것이다.
인도장치(1)의 사용을 끝내고 나서, 사용자는 단지 유연한 호오스(18)을 원래 위치로 놓아 두는 것만으로써 인도유니트(4)는 비동작화로 된다.
제4도에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비사용위치에서 사용위치로 또는 사용위치에서 비사용위치로 이동되어야 하는 인도유니트(4)의 변위는 이제와는 반재로 튜브구조체(10)으로 직접 가해지는 수동조작에 의해 성취된다.
본 발명은 의도하는 목적을 달성한다.
실제로 본 발명의 장치는 있을 수 있는 물 튕김이나 습기에 대하여 그 내부에 설치되어진 모든 전기적 구성부들을 완벽하게 보호해 줄수 있게 구성되었다.
이것은 푸시버튼(5)와 인도유니트(4)의 배기구(10a) 양자가 보호 덮개(2)에 의해 보호되어, 특히 보호덮개(2)로 떨어지는 물 튕김이 전기한 양 구성요소로 미칠 수 없게 된다는 점에서 부각되는 것이다.
게다가 단지 인도유니트(4)의 변위로 인하여 푸시버튼(5)가 작동하므로, 사용자는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고자 전기한 푸시버튼(5)를 직접 조작하지 않아도 되는 것이다.
반면에, 장치의 스윗치를 켜고 끄는 조작은 튜브구조체(10) 또는 유연한 호오스(18),(24)와 같은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물질로 만들어지고, 푸시버튼으로부터 멀리떨어져 있는 요소로 직접 작동시켜 성취된다.
분명하게 본 발명은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하며, 이러한 것은 모두 본 발명을 특징짓는 개념의 범위에 속한다 하겠다.

Claims (14)

  1. 덮개(2)의 안에 수용되어 전기적으로 작동하는 인도유니트(4)와, 이 인도유니트(4)를 작동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푸시버튼(5)로 이루어진 열기류 인도장치에 있어서, 전기한 인도유니트(4)가 보호 덮개(2)에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비동작화하는 비사용위치로부터 푸시버튼(5)의 명령에 의해 동작화되는 사용위치로 이동 가능하고, 전기한 푸시버튼(5)는 인도유니트(4)와 보호 덮개(2)의 벽 또는 베이스면(6) 사이로 설치되어, 비사용위치에서 사용 위치로 변위하는 전기한 인도유니트(4)에 의해 작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열기류 인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전기한 보호 덮개(2)는 벽면(3)에 고정되는 베이스면(6)과, 이 베이스면(6)의 상부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도옴 형상부(8), 그리고 전기한 도옴 형상부(8)의 하부에서 양측으로 확장되는2개의 측부(9)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열기류 인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전기한 푸시버튼(5)가 보호 덮개(2)의 도옴 형상부(8) 바로 밑으로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열기류 인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전기한 인도유니트(4)가 보호 덮개(2)의 개구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열기류 인도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인도유니트(4)는 수평축에 의해 보호 덮개(2)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비사용과 사용위치에서 수직축방향으로 그리고 전기한 벽면(3)으로부터 멀어지는 수직 경사방향으로 각각 지향되도록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열기류 인도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인도유니트(4)를 사용위치로 보전하기 위하여 인도유니트(4)와 보호 덮개(2) 사이로 작동하는 스톱퍼(12)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열기류 인도
  7. 제6항에 있어서 전기한 스톱퍼(12)는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물질로 만들어져 도옴 형상부(8)에 고정되어, 인도유니트(4)가 사용위치로 왔을 때, 전기한 인도유니트(4)에 의해 탄성적으로 맞물려지는 구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열기류 인도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인도유니트(4)가 보호 덮개(2)로 활동가능하게 끼워지고, 위치지정수단(19,20,21,22,23)이 비사용 및 사용위치로 인도유니트(4)를 선택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열기류 인도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전기한 인도유니트(4)는 보호 덮개(2)와 일체로 된 2개의 고정부(16)으로 형성된 상대적인 슬로트(15)내에서 대략 수직방향으로 인도되는 2개의 측방 돌기(14)를 보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열기류 인도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전기한 위치지정수단은 보호 덮개(2)와 인도유니트(4) 사이에 작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복좌스프링(19) 또는 탄성 축수(20)과, 인도유니트(4)에 접속되는 유연한 호오스(18)로 이루어지며, 전기한 인도유니트(4)를 사용자가 들어 올림에 따라 인도유니트(4)가 사용위치로 이동될 수 있도록 인도유니트(4)에 가해지는 호오스(18)의 중량을 전기한 복좌스프링(19) 또는 탄성 축수(20)에 의해 인도유니트(4)로 작용하는 탄성 복귀력보다 크게 설정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열기류 인도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전기한 복좌스프링(19)는 일단부가 보호 덮개(2)의 내벽에 걸려지고, 타단부가 전기한 인도유니트(4)로 걸려지는 나선스프링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열기류 인도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전기한 탄성 축수(20)은 인도유니트(4)의 돌기(4a)가 삽입 지지되는 시이트(20b)를 일체로 보유하고, 보호 덮개(2)의 내측벽에 일체로 된 고정부(20a)에 의해 지지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열기류 인도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전기한 위치지정수단은 보호 덮개(2)의 상부와 인도유니트(4) 사이로 작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자석(20)과 강자성체(21), 그리고 인도유니트(4)에 접속되는 유연한 호오스(18)로 이루어지며, 전기한 인도유니트(4)를 사용자가 들어 올림에 따라 인도유니트(4)가 사용위치로 이동될 수 있도록 인도유니트(4)에 가해지는 호오스(18)의 중량을 전기한 자석(20)과 강자성체(21)에 의해 인도유니트(4)로 작용하는 흡인력보다 크게 설정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열기류 인도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전기한 위치지정수단은 일단부가 보호 덮개(2)의 내측벽에 삽입 고정되고, 타단부가 전기한 인도유니트(4)에 삽입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쌍안정스프링(23)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열기류 인도장치.
KR1019890001353A 1988-02-04 1989-02-04 열기류 인도장치 KR9200035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8820586U IT213681Z2 (it) 1988-02-04 1988-02-04 Apparecchiatura per l'erogazione di aria calda.
IT20586B/88 1988-02-04
IT8821188U IT213974Z2 (it) 1988-05-04 1988-05-04 Apparecchiatura per l'erogazione di aria calda.
IT21188B/88 1988-05-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2608A KR890012608A (ko) 1989-09-18
KR920003572B1 true KR920003572B1 (ko) 1992-05-04

Family

ID=26327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1353A KR920003572B1 (ko) 1988-02-04 1989-02-04 열기류 인도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4937432A (ko)
JP (1) JPH0747B2 (ko)
KR (1) KR920003572B1 (ko)
AU (1) AU608687B2 (ko)
CA (1) CA1337377C (ko)
DK (1) DK173359B1 (ko)
FI (1) FI89762C (ko)
NO (1) NO172562C (ko)
PT (1) PT8960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2362B2 (ja) * 1990-06-05 1996-02-07 株式会社日本製鋼所 光学素子用分散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H0812363B2 (ja) * 1990-07-30 1996-02-07 株式会社日本製鋼所 光学素子用分散体
FR2670093B1 (fr) * 1990-12-06 1995-11-10 Moulinex Sa Seche-cheveux mural.
DE60000620T2 (de) 2000-07-10 2003-02-27 Mo El Srl Gerät zur Abgabe von Warmluft
CN2571239Y (zh) * 2001-10-15 2003-09-10 公主环球有限公司 可站立式吹风机
KR200336368Y1 (ko) * 2003-05-16 2003-12-24 박용권 회전 원통솔 손건조기
KR100551678B1 (ko) 2003-12-05 2006-02-13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브러시 조립체
KR100558579B1 (ko) * 2003-12-31 2006-03-13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호스고정장치
US9976773B2 (en) * 2010-07-13 2018-05-22 Glen Dimplex Americas Limited Convection heater assembly providing laminar flow
GB2491891A (en) * 2011-06-17 2012-12-19 Personnel Hygiene Services Ltd Hand drying apparatus
US10004367B2 (en) * 2015-05-13 2018-06-26 Jeffry Brown Body drying system
US9565980B2 (en) * 2015-06-17 2017-02-14 Casey B. Welch Air diversio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66093A (en) * 1922-01-06 1923-08-28 Merit Machine Mfg Corp Hair-drying apparatus
US2859535A (en) * 1953-09-15 1958-11-11 John W Carlson Hand dryer
JPS5560806U (ko) * 1978-10-23 1980-04-25
JPS5927707U (ja) * 1982-08-12 1984-02-21 山田電器工業株式会社 ヘヤ−ドライヤ装置
GB2136291B (en) * 1983-02-21 1986-05-08 Smiths Industries Plc Warm air drying apparatus
JPS6053203U (ja) * 1983-09-20 1985-04-15 アリセオ デイフユ−ジヨン ソシエテ アノニム 壁掛け式ヘア−ドライヤ
US4700049A (en) * 1984-08-13 1987-10-13 Panache Promotions (Proprietary) Limited Wall-mounted electric hair dryer incorporating dual-voltage electric shaver outlets
US4594797A (en) * 1984-10-31 1986-06-17 Houck Jr Jasper C Air towel
US4642909A (en) * 1985-02-27 1987-02-17 Roy Garcia Wall mounted hair dryer having adjustable outlet with multiple positions and directions
US4735002A (en) * 1986-10-27 1988-04-05 Rath Robert J Surface mounted turbine-driven hair dry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961189A (en) 1989-08-10
CA1337377C (en) 1995-10-24
AU608687B2 (en) 1991-04-11
FI89762B (fi) 1993-08-13
FI890537A0 (fi) 1989-02-03
JPH0747B2 (ja) 1995-01-11
US4937432A (en) 1990-06-26
DK173359B1 (da) 2000-08-14
PT89601A (pt) 1989-10-04
NO890460D0 (no) 1989-02-03
NO890460L (no) 1989-08-07
PT89601B (pt) 1994-01-31
NO172562C (no) 1993-08-11
DK28689D0 (da) 1989-01-23
FI890537A (fi) 1989-08-05
KR890012608A (ko) 1989-09-18
FI89762C (fi) 1993-11-25
JPH0217009A (ja) 1990-01-22
NO172562B (no) 1993-05-03
DK28689A (da) 1989-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3572B1 (ko) 열기류 인도장치
US4001912A (en) Vacuum cleaner device
FR2608412A1 (fr) Aspirateur
CA2351578A1 (en) Vacuum cleaner actuator switch
KR930008367B1 (ko) 전기진공청소기
EP0342161B1 (en) Apparatus to deliver hot air
EP0326790A2 (en) Apparatus to deliver hot air
EP1250879A2 (en) A hand dryer
GB2143012A (en) Dish drying apparatus
JP2957395B2 (ja) 自動水栓
JP2568216Y2 (ja) プリント基板装置
JP3057971B2 (ja) コードレスアイロン
JPH0615573Y2 (ja) ペーパーホルダ
JP4207716B2 (ja) 便器上面設備
JP2820028B2 (ja) 便座ボックス
US6521850B2 (en) Apparatus for delivering hot air
JPH11318782A (ja) 電気掃除機用吸込口体及びそ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JP3409024B2 (ja) 電気掃除機の吸込口体
JP2001258786A (ja) エアー式乾燥機
JPS643431Y2 (ko)
KR920003576Y1 (ko) 전기 다리미의 안전 장치
CN116941878A (zh) 吹风电器
JPH0542944U (ja) 電気加湿器
JP2001255063A (ja) エアー式乾燥機
JPH02195999A (ja) コードレスアイロ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41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