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3299B1 - 회전구동식계기와 회전케이블의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회전구동식계기와 회전케이블의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3299B1
KR920003299B1 KR1019890009595A KR890009595A KR920003299B1 KR 920003299 B1 KR920003299 B1 KR 920003299B1 KR 1019890009595 A KR1019890009595 A KR 1019890009595A KR 890009595 A KR890009595 A KR 890009595A KR 920003299 B1 KR920003299 B1 KR 9200032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coupler
coupling cylinder
fitting
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9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2078A (ko
Inventor
히로유끼 요꼬다
기요미쯔 가또오
Original Assignee
야자끼 소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야자끼 야스히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자끼 소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야자끼 야스히꼬 filed Critical 야자끼 소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0020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20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3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32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00Details of instru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exible Shaft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회전구동식계기와 회전케이블의 연결장치
제1도 내지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회전구동식 계기와 회전 케이블과의 연결장치의 1실시예를 도시하며, 제1도는 분해 사시도.
제2도는 조립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결합자의 단면도.
제4도는 제1도의 연결장치의 결합자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한 연결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제6도 내지 제8도는 종래의 연결장치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결합통 11a : 스템끼워맞춤통부
11b : 케이블 고착부 11c-1',11g : 단부
11f : 리브 11h : 포지부
11i :걸어맞춤부 12 : 결합자
12a : 끼워맞춤부 12b : 연결부
12c : 레버 12c-1 : 클릭
12a-1 : 걸어맞춤흠 12d : 피포지부
12a : 돌기
본 발명은 회전구동식계기와 회전케이블과의 연결장치에 관계되며, 보다 상세하게는, 계기에 대한 케이블의 연결 및 계기로 부터의 케이블의 이탈을 원터치로 행할수 있도록 한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회전구동식계기의 1예로서, 차량용의 속도계가 있다. 이 계기는 차속에 비례한 회전수로 구동되는 영구자석을 갖고, 이 영구자석은 축의 일단에 고정되고, 이 축의 타단부는 계기 케이스에 고정한 스템에 그 중심부의 구멍에 회전자유롭게 끼워맞추어져서 지지되고 있다. 상기축에는, 일단이 차량의 트랜스미션에 연결된 회전케이블내의 이너의 선단이 끼워맞추어져서 회전이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회전케이블은 이너와 이 이너를 회전자유롭게 수용하고 있는 아우터튜우브를 갖고, 아우터튜우브에 고착된 연결장치에 의해서 상기 계기에 붙이고떼기 자유롭게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제6도 및 제7도는 종래의 이런종류의 연결장치의 1예를 도시한다.
도면에 있어서, 1은 도시하지 않은 케이블의 일단에 죄어져 고정되어 있는 금속재료로 이루어진 결합통이며, 그 내벽은 상기 계기의 도시하지 않은 스템의 바깥둘레에 끼워맞추어지고, 회전케이블의 이너에서 상기 축으로의 회전전달을 원활하게 행하여지도록 한다. 2는 탄성이 있는 합성수지의 일체 성형에 의해 만들어진 결합자이며, 이 결합자(2)는 상기 결합통(1)에 끼워맞추어 고정되는 원륜(圓輪)(2a)과 이 원륜(2a)에서 뻗는 2개의 연결부(2b)와 이 2개의 연결부(2b)의 선단에 지지된 레버(2c)로 이루어진다. 3은 결합통(1)에 끼워맞춘 결합자(2)를 그 위치에서 결합통(1)에 고정하는 멈춤고리이며, 이 멈춤고리(3)는 결합통(1)의 바깥둘레에 압입끼워맞춤되어서 고정됨으로써 결합통으로부터의 결합자(2)가 빠지는 것을 저지한다.
상기 레버(2c)의 선단에는, 내측에 돌출하여, 상기 결합통(1)의 개구(1a)를 통해서 계기의 스텝의 바깥둘레의 고리형상흠(環狀溝)(도시않음)에 걸어맞추어지는 클릭(2c')이 형성되어있다. 레버(2c)의 중간부는 결합자(2)를 결합통(1)에 끼워맞춘 상태에서 결합통(1)의 바깥둘레에 접촉하고, 레버(2c)의 타단을 화살표(P)와 같이 밀었을때 상기 클릭(2c')이 화살표(D) 방향으로 움직이는 지레운동의 지점으로서 작용한다.
또한, 결합통(1) 및 결합자(2)에는, 결합자(2)의 레버(2c)의 클릭(2c')이 결합통(1)의 개구(1a)에 끼워진 상태에서 서로가 걸어맞추어져서 회전방향의 위치를 결정하는 오목부(1b) 및 블록부(2d)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계기와 회전케이블을 연결할때에는, 스템의 바깥둘레에 결합통(1)의 안둘레를 끼워맞추어서 연결장치를 밀어넣으면, 결합자(2)가 탄성체로 만들어져있기 때문에, 레버(2c)의 클릭(2c')은 스템의 바깥둘레에 올려져서 외측으로 이동되고, 스템외주를 미끄러져서 스템의 고리형상흠까지 나아갔을때 이것에 걸어맞추어져서 계기와 회전케이블의 연결고정을 행한다. 연결을 풀때는, 레버(2c)를 화살표(P)의 방향으로 손가락으로 누르면 클릭(2c')이 화살표(D)방향으로 움직여서 스템의 고리형상흠과의 걸어맞춤이 벗겨지고, 이상태에서 연결장치를 당기면 회전케이블은 계기와의 연결을 간단하게 벗길수 있다.
제6도 및 제7도에 대해서 상술한 종래의 연결장치에서는, 그 구성부품이 3개이기 때문에 조립하는데 번거로움이 있으며 조립단가가 높아지는외에, 결합통(1)이 금속제이기 때문에 무겁고, 더욱 결합자(2)를 결합통(1)에 고정하는데 금속제의 멈춤고리(3)를 압입하고 있기때문에 압입할때에 도금이 벗겨져서 녹이 생기기 쉽다든가, 압입때문에 특별한 조립치구를 필요로 하는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종래에는, 제8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합성수지의 일체성형에 의해 연결장치의 결합통(1) 및 결합자(2)를 일체식으로 하여 구성하고, 결합통(1)에 직접 레버(2c)를 설치한 구조로 하고, 조립을 행하는 것을 필요없게하여 그만큼 단가절감을 도모함과 동시에, 조립치구를 필요없게 하고, 더욱 전체를 합성수지로 만듦으로써 경량화 등을 도모한 것이 생각되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 일체성형한 연결장치에서는, 성형형의 형편으로 결합통(1)에 큰 U자형상의 긴구멍(1b)이 형성되도록 되기때문에, 결합통(1)이 약해지거나 열에 의한 크리이프 변형이나 응력에 의한 휨이 결합통(1)에 발생되게 된다. 이와같은 휨이 발생되면, 회전 케이블의 이너와 계기의 축과의 끼워맞춤이 이상적인 상태에서 행하여질수 없게 되고, 계기의 지침이 떨리거나 이상음이 발생하는등의 별도의 문제가 야기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부품수가 적고 조립이 간단하고 더욱 조립의 단가절감을 도모할 수 있음과 동시에, 견고하고 휨이 생기는 일이없고, 또한 녹쓰는 일이없는 회전구동식 계기와 회전케이블과의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해 이루어진 회전구동식 계기와 회전케이블과의 연결장치는, 회전케이블의 선단에 고착하기 위한 케이블 고착부와, 회전구동식 계기의 회전을 받아들이는 부분의 스템에 끼워맞추기위한 스템끼워맞춤통부를 가지며, 합성수지에 의해 일체성형된 결합통과, 선단에 상기 스템의 바깥둘레에 걸어맞춤하는 클릭을, 중간부에 상기 결합통의 바깥둘레면과 접촉하는 지레지점을 각각 설치한 레버와 이 레버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결합통에 끼워 맞추는 끼워맞춤부를 갖고,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에 의해 일체로 성형된 결합자를 구비하고, 상기 결합자의 끼워맞춤부를 상기 결합통에 끼워맞춘 상태에서, 서로 걸어맞춤하여 결합통과 결합자 간의 회전방향 및 길이방향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규제하는 걸어맞춤부를 상기 결합통 및 결합자에 각각 일체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연결장치는 각각 합성수지에 의해 일체로 성형된 결합통과 결합자와의 2개의 부품으로 이루어지고, 결합자 및 결합통에, 상기 결합자의 끼워맞춤부를 상기 결합통에 끼워 맞춘 상태에서, 서로가 걸어맞춤하여 결합통과 결합자간의 회전방향 및 길이방향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규제하는 걸어맞춤부를 각각 일체적으로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결합자의 끼워맞춤부를 결합통에 끼워맞추는 것만으로 조립할 수가 있고, 조립공정이 적고, 조립단가의 절감을 도모할 수가 있음과 동시에, 경량임에도 불구하고 견고하며 휨등이 생기는 일이 없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회전구동식 계기와 회전케이블과의 연결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하고, 동도면에 있어서, 연결장치는 결합통(11)과 결합자(12)로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 결합통(11)은 합성수지의 일체성형에 의해 만들어져 있으며, 도시하지 않은 계기의 스템의 바깥둘레에 안둘레면이 끼워맞추어지는 비교적 큰지름의 스템끼워맞춤부(11a)와, 마찬가지로 도시하지않은 회전케이블의 합성수지제의 아우터튜우브의 바깥둘레에 끼워맞추어지고 예를들면 적외선 열용착등에 의해서 고착되는 비교적 작은지름의 케이블 고착부(11b)와, 상기 스템끼워맞춤부(11a)와 케이블 고착부(11b)와의 사이를 연결하고 있는 중간연결부(11c)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스템끼워맞춤통부(11a)는, 계기의 스템에 대한 끼워맞춤이 용이하도록 그 선단개구가 테이퍼 형상으로 펼쳐져 있다. 또 상기 중간연결부(11c)에는 결합자(12)가 바깥둘레에 끼워 붙여지는 결합자 끼워붙임부(11c-1)와, 이 결합자 끼워붙임부(11c-1)와 케이블 고착부(11b)와의 사이에 결합통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높이가 점점 감소하는 4개의 보강 리브(11c-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자 끼워붙임부(11c-1)는 스템끼워맞춤통부(11a)의 바깥지름보다도 지름이 약간 작고 스템끼워맞춤통부(11a)와의 사이에 단차부(11c-1')가 형성되고 있다.
상기 결합자(12)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로서 일체성형에 의해 약간의 탄성변형이 가능하게 만들어져 있으며, 상기 결합통(11)의 결합자 끼워붙임부(11c-1)에 끼워맞추어지는 결원(缺圓)형상의 끼워맞춤부(12a)와, 이 결원형상의 끼워맞춤부(12a)에서 뻗어있는 2개의 연결편(12b)과, 이 연결편(12b)의 선단에 양 연결편(12b)에 걸쳐서 설치되어 양 연결편(12b)에 의해서 지지된 레버(12c)로 이루어지고, 연결편(12b)은 레버(12c)를 지지하는 지지부로서 작동한다.
상기 레버(12c)의 선단에는, 내측으로 돌출하여 상기 결합통(11)에 있어서 스템끼워맞춤부(11a)의 상기 테이퍼 형상부(11a-1)에 뚫린 개구(11d)를 통해서 계기의 스템의 바깥둘레의 고리형상흠(도시않음)에 걸어맞추는 클릭(12c-1)이 형성되어 있다.
레버(12c)의 중간부는, 결합자(12)의 끼워맞춤부(12a)를 결합통(11)의 결합자 끼워맞춤부(11c-1)에 끼워맞춘상태에서 결합통(11)의 스템끼워맞춤부(11a)의 바깥둘레에 접촉하고, 레버(12c)의 타단을 화살표(P)와 같이 밀었을때 상기 클릭(12c-1)을 화살표(D)방향으로 움직이는 자세운동의 지점으로서 작동한다. 상기 레버(12c)의 화살표(P)방향으로의 누름을 충분한 스트로우크로 행할수 있도록, 상기 스템끼워맞춤부(11a)에는 이 레버(12c)의 움직임을 도피시키기위한 개구(11e)가 뚫어져 있다. 이 개구(11e)에 의해 레버(12c)의 튀어나옴을 감소시킬 수 있고, 보다 콤팩트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결합통(11)에 있어서 결합자 끼워붙임부(11c-1) 및 결합자(12)에 있어서 끼워맞춤부(12a)에는, 결합자 끼워붙임부(11c-1)에 끼워맞춤부(12a)를 끼워맞춘 상태에서 서로가 걸어맞춤하여 결합통(11)에 대한 결합자(12)의 회전방향에서의 위치결정을 행하는 1쌍의 걸림리브(11f) 및 1쌍의 걸어맞춤흠(12a-1)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것들의 걸림 리브(11f) 및 걸어맞춤흠(12a)은 서로가 맞추어져서 결합통(11)과 결합자(12)와의 사이의 회전방향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규제하고 있다.
더욱, 상기 리브(11c-2)는, 결합자 끼워붙임부(11c-1)에 인접하는 부분에서 가장높고, 결합자 끼워붙임부(11c-1)의 바깥둘레면보다 약간 돌출하고 있어서, 이 돌출에 의해 단자부(11g)를 형성하고 있다. 이 단차부(11g)는 결합자 끼워붙임부(11c-1)에 끼워맞춤되어 있는 결합자(12)의 끼워맞춤부(12a)의 후단과 걸어맞춤되고, 상기 단차부(11c-1')와 협동하여 결합자(12)의 길이방향의 이동을 규제하고 있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연결장치를 조립할 경우에는, 결합자(12)를 화살표(N)의 방향과 같이 결합통(11)에 대해서 케이블 고착부(11b)측으로부터 밀어넣는다. 이 밀어넣는 것에의해, 결합자(12)의 걸어맞춤부(12a)가 결합통(11)의 4개의 리브(11c-2) 형상으로 그 테이퍼를 따라 올려진다. 이때, 결합자(12)의 1쌍의 걸어맞춤흠(12a-1)을 결합통(11)의 1쌍의 걸림 리브(11f)에 각각 위치맞춤한다. 화살표(N)의 방향으로 밀어넣는 것을 더욱 계속하면, 결합자(12)의 끼워맞춤부(12a)가 4개의 리브(11c-2)를 타고 넘어, 끼워맞춤부(12a)가 단차부(11c-1')와 단차부(11g)와의 사이의 결합통(11)의 결합자 끼워붙임부(11c-1)에 끼워맞춤되어, 조립이 완료된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한 연결장치를 사용하는 계기와 회전케이블의 연결 방법은, 종래의 것과 같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제4도는 제1도 내지 제3도에 대해서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결합자의 변형예를 도시하고, 결합자(12)의 끼워맞춤부(12a)가 결원이 아니고, 완전한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는점을 제외하고, 기타는 제1도 내지 제3도의 것과 같다. 이와같이 끼워맞춤부(12a)를 원형으로 하면, 조립할때 끼워맞춤부(12a)가 4개의 리브(11c-2)를 넘는데에 큰 압입력이 필요하게 되지만, 결합자(12)의 강도가 증가하므로 연결장치로서는 바람직하다.
제5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본 실시예에서는, 결합통(11)측에 결합자(12)를 감싸고 유지하기위한 수단을, 결합자(12)측에 이 수단에 의해 감싸여지는 부분을 각각 설치하고 있다. 즉, 결합통(11)의 바깥둘레면에 일정거리 떨어져서 서로 대향시킨 1쌍의 포지(抱持)부(11h)를, 결합자(12)에 피포지(被抱持)부(12d)를 각각 설치하고 있다. 또, 걸어맞춤통(11)에는, 레버(12c)가 들어가는 개구(11e)의 일부분의 폭을 확대시켜서 걸어맞춤부(11i)를 형성하고, 결합자(12)의 피포지부(12d)의 하면에는, 결합자(12)의 피포지부(12d)가 결합통(11)의 포지부(11h)에 포지된 상태로, 상기 걸어맞춤부(11i)와 걸어맞추어지는 돌기(12e)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피포지부(12d)는 결합통(11)에 대한 결합자(12)의 끼워맞춤부로서 작동하고, 결합통(11)의 포지부(11h) 및 걸어맞춤부(11i) 또 결합자(12)의 돌기(12e)는 결합통(11)과 결합자(12)와의 사이의 회전방향 및 길이방향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규제하는 걸어맞춤부로서 작동하고 있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연결장치를 조립할 경우에는, 결합자(12)의 피포지부(12d)의 선단을 결합통(11)의 한쌍의 포지부(11h)사이에 들어가도록 위치맞춤하여 화살표(I)방향으로 밀어넣으면, 포지부(11h) 및 피포지부(12d)가 탄성변형하고, 피포지부(11d)는 그하면의 돌기(12e)가 스템끼워맞춤통부(11a)의 표면을 미끄러지면서 이동하고, 최종적으로는 돌기(12e)가 걸어맞춤부(11i)에 떨어져들어가서 조립이 완료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는, 결합자(12)는 그 피포지부(12d)가 결합통(11)의 포지부(11h)에 포지되고, 또한 돌기(12e)가 결합통(11)의 걸어맞춤부(11i)에 걸어맞도록 되어서, 결합자(12)는 결합통(11)에 대해서 조립되어서 일체화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결합자(12)의 형상이 단순하므로, 그 성형을 위한 금형구조가 간단하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연결장치의 구성부재인 결합통 및 결합자의 각각이 합성수지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어 있고, 또 결합자 및 결합통에, 상기 결합자의 끼워맞춤부를 상기 결합통에 끼워맞춘 상태에서, 서로가 걸어맞춤하여 결합통과 결합자간의 회전방향 및 길이방향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규제하는 걸어맞춤부를 각각 일체적으로 형성하고 있어서, 결합자의 끼워맞춤부를 결합통에 끼워맞추는 것만으로 조립할 수가 있어, 조립공정이 단축되고, 조립단가의 절감을 도모할 수가 있음과 동시에, 경량임에도 불구하고 견고하고, 휘어지는 일이 없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

  1. 회전케이블의 선단에 고착하기 위한 케이블 고착부와 회전구동식 계기의 회전수입부(受入部)의 스템에 끼워맞추기위한 스템끼워맞춤통부를 갖고, 합성수지에 의해 일체로 성형된 결합통과, 선단에 상기 스템의 바깥둘레에 걸어맞추어지는 클릭을, 중간부에 상기 결합통의 바깥둘레면과 접촉하는 지레지점을 각각 설치한 레버와 이 레버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결합통에 끼워맞추는 끼워맞춤부를 갖고,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에 의해 일체로 성형된 결합자를 구비하고, 상기 결합자의 끼워맞춤부를 상기 결합통에 끼워맞춘 상태에서, 서로가 걸어맞추어져 결합통과 결합자 간의 회전방향 및 길이방향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규제하는 걸어맞춤부를 상기 결합통 및 결합자에 각각 일체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구동식 계기와 회전케이블과의 연결장치.
KR1019890009595A 1988-07-29 1989-07-06 회전구동식계기와 회전케이블의 연결장치 KR9200032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188351A JPH077001B2 (ja) 1988-07-29 1988-07-29 回転駆動式計器と回転ケーブルとの連結装置
JP63-188351 1988-07-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2078A KR900002078A (ko) 1990-02-28
KR920003299B1 true KR920003299B1 (ko) 1992-04-27

Family

ID=16222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9595A KR920003299B1 (ko) 1988-07-29 1989-07-06 회전구동식계기와 회전케이블의 연결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77001B2 (ko)
KR (1) KR9200032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2257U (ja) * 1996-05-31 1996-12-17 輝機 切田 非常点灯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34910U (ko) * 1972-06-30 1974-03-27
JPS5192184U (ko) * 1975-01-22 1976-07-23
JPH0247496Y2 (ko) * 1980-05-21 1990-12-1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2078A (ko) 1990-02-28
JPH0238973A (ja) 1990-02-08
JPH077001B2 (ja) 1995-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247496Y2 (ko)
US6312019B1 (en) Pipe joint
KR20050042063A (ko) 차량의 방풍유리용 와이퍼 장치
JPH09329284A (ja) 配管用継手装置のリテーナ
KR890002298B1 (ko) 자전거등의 조작장치 또는 작동장치에 있어서의 와이어와의 연결부 구조
US6825417B2 (en) Slide and snap cable end fitting
FR2626053A1 (fr) Embrayage de verrouillage pour appareil d'accouplement hydrocinetique,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KR920003299B1 (ko) 회전구동식계기와 회전케이블의 연결장치
KR100329509B1 (ko) 자동차용 클립
US4742902A (en) Clutch release bearing and bearing carrier assembly
FR2797020A1 (fr) Fourchette de changement de vitesse pour boite de vitesses d'un vehicule automobile
KR100377667B1 (ko) 와이퍼아암의고정장치
US6244966B1 (en) Torsionally-rigid compensating coupling
JPH0639138Y2 (ja) ボールジョイント
JPH0538243Y2 (ko)
JP3901668B2 (ja) ケーブルの固定構造
JP3954805B2 (ja) 電磁アクチュエータ
WO2023189396A1 (ja) 電動ブレーキ装置
JPS62248872A (ja) スタ−タのシフトレバ−ホルダ
JP3954804B2 (ja) 電磁アクチュエータ
JPH0649733U (ja) 自動車用ペダルの取付け構造
GB2290362A (en) Clutch release bearing apparatus having at least two coupling members allowing radial movement
JPH10323251A (ja) 流体圧ロック装置用レバーの取付機構
JP2005163842A (ja) コントロールケーブルの連結装置
JP2585729Y2 (ja) 芯タンクとチャック体との継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11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