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2298B1 - 자전거등의 조작장치 또는 작동장치에 있어서의 와이어와의 연결부 구조 - Google Patents

자전거등의 조작장치 또는 작동장치에 있어서의 와이어와의 연결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2298B1
KR890002298B1 KR1019850008671A KR850008671A KR890002298B1 KR 890002298 B1 KR890002298 B1 KR 890002298B1 KR 1019850008671 A KR1019850008671 A KR 1019850008671A KR 850008671 A KR850008671 A KR 850008671A KR 890002298 B1 KR890002298 B1 KR 8900022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tch
wire
assembly
hole
cylindrical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8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7124A (ko
Inventor
도시하루 요시가이
Original Assignee
요시가이기까이긴조꾸 가부시끼가이샤
요시가이 겐이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시가이기까이긴조꾸 가부시끼가이샤, 요시가이 겐이찌 filed Critical 요시가이기까이긴조꾸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600071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71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22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22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16G11/04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with wedging action, e.g. friction cl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00Flexible shafts; Mechanical means for transmitting movement in a flexible sheathing
    • F16C1/10Means for transmitting linear movement in a flexible sheathing, e.g. "Bowden-mechanisms"
    • F16C1/1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movement to or from the flexible member
    • F16C1/14Construction of the end-piece of the flexible member; Attachment thereof to the flexible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LBRAKE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 B62L3/00Brake-actuating mechanisms; Arrangements thereof
    • B62L3/02Brake-actuating mechanisms; Arrangements thereof for control by a hand lev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26/00Articles relating to transporting
    • F16C2326/20Land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26/00Articles relating to transporting
    • F16C2326/20Land vehicles
    • F16C2326/28Bicycle propulsion, e.g. crankshaft and its suppor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4/00Buckles, buttons, clasps
    • Y10S24/30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 Y10S24/31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with third, detached member completing interlock
    • Y10S24/35Third member includes relatively movable, separate compon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 Y10T24/4500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with third detached member completing interlock [e.g., hook type]
    • Y10T24/45141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with third detached member completing interlock [e.g., hook type] for chain, rope, cable, etc.
    • Y10T24/45147Coupler with sliding socket to complete interloc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 Y10T24/4522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including member having distinct formations and mating member selectively interlocking therewith
    • Y10T24/45602Receiving member includes either movable connection between interlocking components or variable configuration cavity
    • Y10T24/45723Receiving member includes either movable connection between interlocking components or variable configuration cavity having slidably connected, nonself-biasing interlocking component
    • Y10T24/45743Requiring manual force thereon to interlock or disengage
    • Y10T24/45749Plural, oppositely shifting, similar interlocking compon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32Articulated members
    • Y10T403/32114Articulated members including static joint
    • Y10T403/32221Articulate joint comprises pivoted clevis or channel ba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32Articulated members
    • Y10T403/32606Pivoted
    • Y10T403/32861T-pivot, e.g., wrist pin,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32Articulated members
    • Y10T403/32975Rotatable
    • Y10T403/32983Rod in socke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207Multiple controlling elements for single controlled element
    • Y10T74/20256Steering and controls assemblies
    • Y10T74/20268Reciprocating control elements
    • Y10T74/2028Handle bar type
    • Y10T74/20287Flexible control el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396Hand operated
    • Y10T74/20402Flexible transmitter [e.g., Bowden cable]
    • Y10T74/2042Flexible transmitter [e.g., Bowden cable] and hand operator
    • Y10T74/20438Single rotatable lever [e.g., for bicycle brake or derailleu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396Hand operated
    • Y10T74/20402Flexible transmitter [e.g., Bowden cable]
    • Y10T74/2045Flexible transmitter [e.g., Bowden cable] and sheath support, connector, or anch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Flexible Shafts (AREA)
  • Steering Devices For Bicycles And Motorcycles (AREA)
  • Transmission Of Braking Force In Braking Systems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전거등의 조작장치 또는 작동장치에 있어서의 와이어와의 연결부 구조
제 1 도는 본 발명의 조작장치에 있어서의 와이어와의 연결부 구조로서의 자전거 브레이크용 레버의 분해사시도.
제 2 도는 조작부재에의 와이어 계합조립체의 조립부착시의 종단면도.
제3a도~제3e도는 와이어 계합조립체에 단부니플을 계합하는 순서를 도시한 각 횡단면도.
제 4 도는 제3c도에 대응하는 종단면도.
제 5 도 제3e도에 대응하는 종단면도.
제 6 도, 제 7 도는 제 1 도의 다른 실시예의 종단면도.
제 8 도는 본 발명의 작동장치에 있어서의 와이어와의 연결부 구조로서의 자전거센터플 브레이크의 1부 분해사시도.
제 9 도는 제 1 도의 조작부재에 대한 와이어계합부재의 조립부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조작부재 11' : 작동부재
12 : 벽 14 : 추받침구멍
19 : 인너와이어 22 : 와이어계합조립체
23 : 제 1 부재 24 : 제 2 부재
26 : 노치 27 : 플랜지
28 : 단부니플 30 : 동부(胴部)
31 : 노치계합구멍 32 : 플랜지
본 발명은 와이어를 조작하고, 또는 와이어에 의하여 작동하는, 예컨대 자전거등에 사용되는 브레이크용 레버의 조작장치의 조작부나, 브레이크 작동장치의 작동부에 있어서의 와이어 단부 니플과의 연결부 구조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제 9 도는 자전거의 브레이크용의 레버의 조작장치 조작부에 있어서의 조작부재(레버)에의 와이어 계합부재의 부착수단을 도시한 설명도로서, 조작부재(레버)(1)는 실선으로 표시한 프레스 공정중도에서의 반제품과, 가상선으로 표시한 완성품을 함께 도시하였다.
이 조작부재(1)는 대향하는 1쌍의 벽(2,2)을 가지며, 이 벽(2,2)에 동축심상에 관통하는 추받침구멍(3,3)이 뚫어 설치되고 있다. 와이어 계합부재(4)는 상기 추받침구멍(3)보다 제법 직경이 큰 동부(5)를 가지며, 그양단에 상기 추받침구멍(3,3)보다 소경의 단축부(6,6)를 돌설하고, 그 전길이(L)가 완성품이된 경우의 가상선으로 표시한 조작부재(1)의 양벽(2,2)의 외폭길이(W)와 같은 길이거나, 또는 약간 짧으며, 또한 동부(5)의 중앙에 인너와이어의 단부니플이 계지하는 노치계합구멍(7)을 갖는다.
이렇게 구성된 와이어 계합부재(4)는 그 양단 단축부(6,6)가 양벽(2,2)의 추받침구멍(3,3)에 각각 삽입됨으로써 조작부재(1)에 추받침된다.
그런데, 와이어 계합부재(4)의 조작부재(1)에의 부착은, 양벽(2,2)이 V자형으로 형성된 프레스작업 공정의 도중에, 계합부재(4)를 도면의 화살표로 표시한 방향으로 밀어서, 이 계합부재(4)의 한쪽의 단축부(6)를 한쪽의 벽(2)의 추받침구멍(3)에 삽입하고, 이어서 양벽(2,2)이 좁혀지도록 프레스함으로써, 다른쪽의 단축부(6)를 다른쪽의 벽(2)의 추받침구멍(3)에 삽입시켜, 도시한 가상선에 표시한 바와같이 양벽(2,2)를 U자형으로 하여 완성품이 된다.
상기의 설명으로 알수 있듯이, 와이어 계합부재(4)의 조작부재(1)에의 부착은, 양벽(2,2)이 가상선의 U자형으로는 부착될 수 없고, 프레스 작업의 자동화라인의 도중인 양벽(2,2)이 실선의 V자형일 때에 행하지 않으면 안되어, 이것은 자동화라인의 중도에서 작업을 중단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결점이 있었다.
또, 상기와 같은 와이어 계합부재(4)의 조작부재(1)에의 부착구조에서는, 양벽(2,2)의 V자형에서 U자형으로의 형상변화를 예상하고, 양추받침구멍(3,3)의 공경을 와이어 계합부재(4)의 양단축부(6,6)의 공경보다 상당히 대경으로 해두지 않으면 안되므로, 완성품으로서의 조작장치에 있어서의 와이어 계합부재(4)는 그 양단축부(6,6)와 추받침구멍(3,3)과의 사이에 필연적으로 큰 간격이 생기고, 따라서 상하좌우의 덜그럭거림이 많았었다.
또한, 종래의 와이어 계합부재(4)가 자전거의 브레이크용 레버의 조작장치에 있어서의 인너 와이어 단부니플과의 연결부에 사용된 경우, 조작시에 인너와이어가 헐거워지거나, 브레이크 작동장치 쪽의 스프링의 탄발력이 감쇠하고 있거나 하면, 이들에 기인하여 인너와이어의 단부니플이 와이어 계합부재(4)의 노치 계합구멍(7)에서 튀어나와, 인너와이어와 조작장치와의 연결이 벗겨져버려, 브레이크의 작동이 불능하게 되고, 매우 위험한 상태가 되어, 안전성의 면에서 문제가 있었다.
이상과 같은 종래의 조작장치의 조작부, 또는 작동장치의 작동부에 있어서의 인너와이어 단부니플과의 연결부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채용하였다.
즉 제 1 의 발명으로서는, 대향하는 1쌍의 벽을 가지며, 이 벽의 각각에 동심상(同心狀)으로 추받침구멍이 뚫어설치되고, 이 추받침구멍에 와이어의 연결부로서의 와이어 계합조립체를 추받침하도록 한 조작장치의 조작부 또는 작동장치의 작동부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계합조립체는 제 1 부재와 제 2 부재로 이루어지며, 제1부재는 그 외주가 한쪽의 추받침구멍보다 약간 작은 통체로 되고, 이 통체의 동부에 축심방향과 직교하는 노치를 설치하고 있으며, 또한 통체의 한끝부분에 한쪽의 벽외면에 맞닿는 플랜지가 설치되고 있고, 제 2 부재는 상기 제 1 부재의 통체 내경보다 약간 소경의 중실봉체 (中實棒體) 또는 통체로 되며, 이 중실봉체 또는 통체의 동부에 상기 제 1 부재의 노치에 대응하는 이 봉체 또는 통체의 축심방향과 직교하는 노치계합구멍을 설치하고, 또한 봉체 또는 통체의 한끝부분에 다른쪽의 벽외면에 맞닿는 플랜지를 설치하고 있으며, 이 제 2 부재가 상기 제 1 부재내에 삽입 감합되어, 제 2 부재의 노치계합구멍과 제 1 부재의 노치를 적합시켜, 이 노치와 노치계합구멍에 와이어의 단부니플을 계합하는 점에 있다.
그리고, 제 2 의 발명으로서는, 대향하는 1쌍의 벽을 가지며, 이 벽의 각각에 동심상으로 추받침구멍이 뚫어 설치되고, 이 추받침구멍에 와이어와의 연결부로서의 와이어 계합조립체를 추받침하도록 한 조작장치의 조작부 또는 조작장치의 작동부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계합조립체는 제 1 부재와 제 2 부재로 이루어지며, 제 1 부재는 그 외주가 한쪽의 추받침구멍보다 약간 작은 원통체로 되고, 이 원통체의 동부에 축심방향과 직교하는 노치를 설치하고 있으며, 또한 원통체의 한끝부분에 한쪽의벽 외면에 맞닿는 플랜지가 설치되어 있고, 제 2 부재는 상기 제 1 부재의 원통체 내경보다 약간 소경의 중실환봉체 또는 원통체로되며, 이 환봉체 또는 원통체의 동부에 상기 제 1 내부의 노치에 대응하는 이 환봉체 또는 원통체의 축심방향과 직교하는 노치 계합구멍을 설치하고, 또한 환봉체 또는 원통체의 한끝부분에 다른쪽의 벽외면에 맞닿는 플랜지를 설치하고 있으며, 이 제 2 부재가 상기 제 1 부재내에 삽입 감합되어, 제 2 부재의 노치계합구멍과 제 1 부재의 노치를 적합시켜, 이 노치계합구멍에 와이어의 단부 니플을 계합하고, 그후에 제 1 부재를 제 2 부재에 대하여 약 180*회동시키면, 노치와 노치계합구멍의 적합이 풀려 서로 노치부분이 막혀서, 이 노치와 노치계합구멍에 니플이 계합되어 이루어지는 점에 있다.
제 2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먼저 제 1 부재(23)를 조작부재(11)의 벽(12,12)에 설치한 추받침구멍(14,14)에 삽입하여 조작부재(11)에 제 1 부재(23)를 지지시킨다. 이어서, 제 2 부재(24)의 동부(30)를 제 1 부재(23)의 통내에 장입시켜 다시 회동시킴으로써, 제 1 부재(23)의 노치(26)와 제 2 부재(24)의 노치계합구멍(31)이 일치하고, 조작부재(11)에 와이어 계합조립체(22)가 조립완료한다.
상기 와이어 계합조립체(22)에 대하여, 와이어(19)의 단부니플(28)은 제3a도~제3c도 또는 제3a도~제3e도의 순서에 의하여 계합된다.
제3c도 또는 제 4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단부니플(28)은 계합조립체(22)에 계합하고, 따라서 조립체(22)를 구성하는 제1, 제 2 부재(23,24)는 바깥쪽으로 이탈하지 않고, 더우기 계합조립체(22)와 니플(28)은 일체화됨으로써, 와이어(19)의 긴쪽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움직임에 대하여, 양자는 일체화의 상태로 조작부재(11)의 추받침구멍(14,14)내주에서 회동한다.
제3e도 또는 제 5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제 1 부재(23)를 제 2 부재(24)에 대하여 180°회동시켜, 부재(23)의 노치(26)와 부재(24)의 노치계합구멍(31)을 180°반대쪽으로 편위시킴으로써, 단부니플(28)은 조립체(22)내에 포용된 상태로 되고, 따라서 와이어(19)의 헐거워짐이나 기타의 원인으로 니플(28)이 제3b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바깥쪽으로 튀어나오는 일이 없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제 1 도~제 8 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 1 도는 조작장치의 조작부에 있어서의 와이어와의 연결부로서, 자전거의 브레이크용 레버를 예시한 분해사시도이고, 11은 제 9 도에서 도시한 것과 똑같은 조작부재(레버)이며, 이 부재(11)는 대향하는 1쌍의 벽(12,12)을 가지고, 단면이 U자형으로 되어 있으며, 양벽(12,12)의 기단부에 동일 축심상에 핀축구멍(13,13)이 설치됨과 동시에, 양벽(12,12)의 굴곡 부근방에는 동일축심상에 후술하는 와이어 계합조립체(22)를 추받침하는 추받침구멍(14,14)이 뚫어 설치되고 있다.
15는 자전거의 핸들바아에 죄어 붙이는 하우징이며, 이 하우징(15)의 양벽(16,16)에 설치한 추받침구멍(17,17)을 상기 조작부재(11)의 핀축구멍(13,13)과 일치시키고, 또한 양벽(16,16)이 상기 조작부재(11)의 양벽(12,12)외면으로부터 끼워유지하며, 핀축(18)을 관통시켜 꽂아서 양자를 추결(樞結)한 것이고, 또 하우징(15)에는 인너 와이어(19)를 관통시킴과 동시에 아우터 와이어(20)의 단부를 받는 아우터 받이부(21)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상의 구성은 공지이다.
22는 제 3 도~제 7 도에 도시된 와이어 계합조립체이고, 후술하는 제 1 부재(23)와 제 2 부재(24)로 구성된다. 이들 양부재(23,24)는 금속 또는 경질의 합성수지재를 사용하여 형성한 것으로서, 제 1 부재(23)는 그 외경(25)을 추받침구멍(14)내에서 회동을 허용할 정도로 이 추받침구멍(14)보다 약간 소경의 원통체로 되고, 이 원통체의 동부의 축심방향 중앙에 축심방향과 직교하는 노치(26)를 설치하고 있으며, 또한 통체의 한 끝부분에 한쪽의 벽(12)의 외면에 맞닿는 뚜껑을 겸한 플랜지(27)가 설치되어 있고, 그 동길이(L)를 1쌍의 벽(12,12)의 외폭길이(W)와 같게 또는 짧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노치(26)는 제 2 도 및 제 3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통체의 직경방향으로 인너 와이어(19)의 단부니플(28)의 소경부(28a)가 끼워 맞추어지는 작은 구멍(26a)과 니플(28)의 대경부(28b)가 통과하는 큰구멍(26b)과, 이 작은 구멍(26a)과 큰구멍(26b)을 연결하는 인너 와이어(19)의 직경보다 약간 큰폭의 개구(26c)로 이루어진다.
또, 제 2 부재(24)는 제 1 부재(23)의 통체내부(29)에 헐겁게 끼워질 정도로 그 내경보다 약간 소경의 중실환봉체로 되고, 이 환봉체의 동부(30)에 축심방향중앙으로 축심방향과 직교하는 와이어 단부니플(28)의 계합용의 노치계합구멍(31)을 설치하며, 또한 환봉체의 한끝부분에 다른쪽의 벽(12)외면에 맞닿는 원반상의 플랜지(32)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고, 그 동길이(L)를 1쌍의 벽(12,12)의 외폭길이(W)와 같게 또는 짧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노치계합구멍(31)은 제 2 도 및 제 3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환봉체의 직경방향으로 단부니플(28)의 소경부(28a)가 끼워맞추어지는 작은구멍(31a)과 니플(28)의 대경부(28b)를 끼워맞추어 계지하는 큰구멍(31b)과, 이 작은구멍(31a)과 큰구멍(31b)을 연결하는 인너 와이어(19)의 직경보다 약간 큰 폭의 개구(31c)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단부니플(28)과, 노치(26) 및 노치계합구멍(31)의 높이 등은 제3b도, 제3c도에 도시하였고, 그 관계는 다음과 같다.
니플(28)의 대경부의 높이 : h1
니플(28)의 소경부의 높이 : h2
제 2 부재(24)의 큰구멍의 높이 : 11
제 2 부재(24)의 작은구멍의 높이 : 12
제 1 부재(23)의 큰구멍(작은구멍)의 두께 : 13로 하면,
11+12=h1+h2
13=11+h1
다음에, 와이어 계합조립체(22)의 조작부재(11)에의 조립부착, 그리고 이 조립체(22)에 대한 와이어(19)의 단부 니플(28)의 계합은 제 2 도 및 제3a도~제3e도에 도시되어 있다.
즉, 제 2 도에 있어서 조작부재(11)의 한쪽 외벽(12)에 설치한 추받침구멍(14)에 대하여, 제 1 부재(23)를 도면의 화살표방향으로 삽입하여, 이 제 1 부재(23)의 플랜지(27)의 내면을 벽(12)의 외벽면에 맞닿게 한다. 이어서, 제 2 부재(24)를 조작부재(11)의 다른쪽의 벽(12)에 설치한 추받침구멍(14)내에, 그리고 제 1 부재(23)의 통내에 삽입하여 끼워맞추고, 이 제 2 부재(24)의 플랜지(32)의 내면을 벽(12)의 외벽면에 맞닿게 하여, 제 1 부재(23) 또는 제 2 부재(24)의 어느것의 한쪽을 회동시켜 양부재(23,24)의 노치(26), 노치계합구멍(31)의 양개구(26c,31c)를 일치시킴으로써, 양부재(23,24)에 의한 와이어 계합조립체(22)가 조작부재(11)의 추받침구멍(14,14)에서 추받침상태로 조립부착이 완료한다. 이 상태는 제3a도의 횡단면도에 도시되고 있다.
다음에, 상기 와이어 계합조립체(22)에 대한 단부니플(28)의 계합을 제3a도~제3c도에서 설명하면, 제 3a도에 있어서의 조립체(22)의 쪽, 도면에서는 왼쪽에 있어서 꼭 와이어(19), 니플(28)이 도시위치로 가져와서, 화살표방향으로 평행이동시키면, 와이어(19)는 제1, 제 2 부재(23,24)의 일치한 양개구(26c,31c)를 통고하여, 제3b도의 위치에서 정지된다.
다음에, 와이어(19)를 제3b의 화살표와 같이, 도면에서는 윗쪽으로 당기면, 단부니플(28)은 제3c도의 위치에서 정지한다. 이때, 화살표방향에는 도시하지 않은 작동장치 쪽의 스프링력에 의하여 당겨지고 있으며, 니플(28)의 대경부(28b)가 제 2 부재(24)의 큰구멍(31b)과 작은구멍(31a)과의 경계단부(31d)와 계합하고, 또 니플(28)의 소경부(28a)의 정(頂) 부(28c)는 제 1 부재(23)의 작은구멍(26a)에 계합한다. 이 상태는 제 4 도의 종단면도에도 도시되어 있다.
상기의 제3c도 또는 제 4 도에 도시한 와이어 계합조립체(22) 그자체의 단부니플(28)과의 계합관계는 제 9 도의 종래의 와이어 계합부재(4)와는 큰 차이가 없다 따라서, 이 상태로 일응 실용에 제공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실시예에 더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되어있다. 즉, 와이어 계합조립체(22)를 구성하는 제 1 부재(23)와 제 2 부재(24)는 서로 회동이 자유롭게 되어 있으므로, 제 5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단부니플(28)을 제 5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단부니플(28)을 와이어 계합조립체(22)내에 포용하는 구성으로 할수 있다. 이 동작은 제3c도~제3e도에 도시되고 있으며, 제3c도에서 화살표와는 반대방향으로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와이어(19)을 약간 아래쪽으로 후퇴시켜 제3d도의 상태로 한 후에, 제 1 부재(23)를 화살표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180°회동시켜, 와이어(19)를 스프링력으로 윗쪽으로 당김으로써, 제3e도의 상태가 된다.
즉, 동상태는 제3c도와 비교하면, 제3c도에서는 제 1 부재(23)의 노치(26)와 노치계합구멍(31)의 양개구(26c,31c)는 일치하고 있었으나, 제3e도에서는 양개구(26c,31c)가 180°위상이 편위되어 있고, 제3e도 및 제 5 도에서 명백한 바와같이 서로 노치부분이 막혀서, 단부니플(28)이 계합조립체(22)내에 포용된 상태가 된다. 또한, 계합조립체(22)로부터 단부니플(28)을 제거하려면, 상기와는 반대로 제3e도로부터 제3a도의 순서로 행하면된다.
제 6 도~제 8 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것이다.
제 6 도에 도시한 실시예는 제 2 부재(24')가 원통체로 되고, 또 단부니플(28')이 원주체로 된것으로서, 제4도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또한, 그 조립부착 방법은 상기 실시예와 똑같으므로 생략한다.
제 7 도에 도시한 실시예는 제1부재(23")의 원통체의 길이가 약간 짧고, 제 2 부재(24")는 벽(2)의 추받침구멍(14) 내주에 직접 추받침되는 구성으로 한 것으로서, 실질적으로는 제 4 도 및 제 5 도의 것과 동일하고, 제 7 도는 제 5 도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제 8 도는 작동장치에 있어서의 와이어와의 연결부로서, 자전거의 센터풀식 브레이크 작동장치의 양작동아아치(11',11')에 이 발명을 실시한 경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제 1 도에 도시한 부호와 동일부호는 동일부분을 표시하며, 그 구성과 작용이 제 1 도와 대략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는 조작장치, 작동장치로서, 자전거의 브레이크 레버, 브레이크 본체를 도시한 것이나, 이것은 자전거용에 한하지 않고, 자동2륜차, 경운기등의 주행체에도 응용할 수 있는것은 물론이다.
특허청구의 범위 제 1 항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조작부재(11) 또는 작동부재(11')의 완성후에 와이어 계합조립체(22)를 부착할 수 있으므로, 조작장치나 작동장치의 자동성형라인의 중도에서 작업을 중단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결점이 해소되었을 뿐만 아니라, 추받침구멍(14,14)이 와이어 계합조립체(22)를 추받침함에 있어서, 이 와이어 계합조립체(22)는 추받침구멍(14,14)보다 극히 약간 소경의 통체인 제 1 부재(23)와 이 제 1 부재(23)내에 장입감합되는 제 2 부재(24)로 이루어지므로, 추받침구멍(14,14)과 와이어 계합조립체(22)의 덜그덕거림은 거의 없어졌다.
또, 특허청구의 범위 제 2 항기재의 발명은 상기 발명의 효과에 더하여, 와이어 단부니플(28)을, 와이어 계합조립체(22)인 제 1 부재(23)와 제 2 부재(24)로 포용하는 상태로 하였으므로, 와이어(19) 및 단부니플(28)이 조작부재(11) 또는 작동부재(11')로부터 갑자기 탈락하는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2)

  1. 대향하는 1쌍의 벽을 가지며, 이 벽의 각각에 동심상(同心狀)으로 추받침구멍이 뚫어 설치되고, 이 추받침구멍에 와이어와의 연결부로서의 와이어 계합조립체를 추받침하도록 한 조작장치의 조작부 또는 작동장치의 작동부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계합조립체는 제 1 부재와 제 2 부재로 이루어지고, 제 1 부재는 그 외주가 한쪽의 추받침구멍보다 약간 작은 통체로 되고, 이 통체의 동부에 축심방향으로 직교하는 노치를 설치하고 있으며, 또한 통체의 한끝부분에 한쪽의 벽외면에 맞닿는 플랜지가 설치되어 있고, 제 2 부재는 상기 제 1 부재의 통체 내경보다 약간 소경의 중실붕체 또는 통체로 되며, 이 중실봉체 또는 통체의 동부에 상기 제 1 부재의 노치에 대응하는 이 봉체 또는 통체의 축심방향과 직교하는 노치계합구멍을 설치하고, 또한 실붕체 또는 통체의 한끝부분에 다른 쪽의 벽 외면에 맞닿는 플랜지를 설치하고 있으며, 이 제 2 부재가 상기 제 1 부재내에 삽입감합되어, 제 2 부재의 노치계합구멍과 제 1 부재의 노치를 적합시켜, 이 노치와 노치계합구멍에 와이어의 단부 니플을 계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등의 조작장치 또는 작동장치에 있어서의 와이어와의 연결부 구조.
  2. 대향하는 1쌍의 벽을 가지며, 이 벽의 각각에 동심상으로 추받침구멍이 뚫어 설치되고, 이 추받침구멍에 와이어와의 연결부로서의 와이어 계합조립체를 추받침하도록 한 조작장치의 조작부 또는 작동장치의 작동부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계합조립체는 제 1 부재와 제 2 부재로 이루어지고, 제 1 부재는 그 외주가 한쪽의 추받침구멍보다 약간 작은 원통체로 되고, 이 원통체의 동부에 축심방향과 직교하는 노치를 설치하고 있으며, 또한 원통체의 한끝부분에 한쪽의 벽 외면에 맞닿는 플랜지가 설치되고 있으며, 제 2 부재는 상기 제 1 부재의 원통체 내경보다 약간 소경의 중실환봉체 또는 원통체로 되고, 이 환봉체 또는 원통체의 동부에 상기 제 1 부재의 노치에 대응하는 이 환봉체 또는 원통체의 축심방향과 직교하는 노치 계합구멍을 설치하고, 또한 환봉체 또는 원통체의 한끝부분에 다른쪽의 벽 외면에 맞닿는 플랜지를 설치하고 있으며, 이 제 2 부재가 상기 제 1 부재내에 삽입감합되어, 제 2 부재의 노치계합구멍과 제 1 부재의 노치를 적합시켜, 이 노치 계합구멍에 와이어의 단부니플을 걸어맞춘후에, 제 1 부재를 제 2 부재에 대하여 약 180°회동시켜 노치와 노치계합구멍의 적합이 해제되어 서로 노치부분이 막히고, 이 노치와 노치계합구멍에 니플이 계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등의 조작장치 또는 작동장치에 있어서의 와이어와의 연결부 구조.
KR1019850008671A 1985-03-14 1985-11-20 자전거등의 조작장치 또는 작동장치에 있어서의 와이어와의 연결부 구조 KR8900022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0-51387 1985-03-14
JP60-51387 1985-03-14
JP60051387A JPS61211187A (ja) 1985-03-14 1985-03-14 自転車等の操作装置又は作動装置に於けるワイヤーとの連結部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7124A KR860007124A (ko) 1986-10-08
KR890002298B1 true KR890002298B1 (ko) 1989-06-28

Family

ID=12885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8671A KR890002298B1 (ko) 1985-03-14 1985-11-20 자전거등의 조작장치 또는 작동장치에 있어서의 와이어와의 연결부 구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704044A (ko)
JP (1) JPS61211187A (ko)
KR (1) KR890002298B1 (ko)
FR (1) FR2578935B1 (ko)
IT (1) IT119024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0911B1 (ko) * 1986-08-19 1991-02-18 미츠비시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차량의 정속주행장치
JPH02105087U (ko) * 1989-02-08 1990-08-21
US5062315A (en) * 1990-04-20 1991-11-05 Yoshigai Kikai Kinzoku Co., Ltd. Device for preventing disengagement of an inner wire of a Bowden cable from a bicycle brake operating lever
US5195393A (en) * 1990-06-04 1993-03-23 Cherokee Cable Company, Inc. Braided mechanical control cable
US5071309A (en) * 1990-08-06 1991-12-10 Syron Engineering & Manufacturing Corporation Mounting arrangement for a multi-function arm
US5176042A (en) * 1992-02-10 1993-01-05 Huffy Corporation Hand brake actuator
US5385070A (en) * 1993-07-01 1995-01-31 Tseng; Shih-Ming Brake handle
US5394768A (en) * 1993-07-29 1995-03-07 Hallock, Iii; Orrin S. Bicycle cable
US6085611A (en) * 1999-02-01 2000-07-11 Bear Corporation Bicycle brake cable system
US6202502B1 (en) * 1999-04-27 2001-03-20 Genemax Medical Products Industry Corp. Brake mechanism for auxiliary walker
JP2004204549A (ja) * 2002-12-25 2004-07-22 Shiroki Corp 駆動ワイヤ及びワイヤ式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
US20070186714A1 (en) * 2006-02-10 2007-08-16 Shimano Inc. Bicycle cable connection arrangement
US8152232B2 (en) * 2008-09-05 2012-04-10 P.I. Inc. Handle for motion activated furniture
US9783258B1 (en) 2016-07-18 2017-10-10 David Ott Motorcycle clutch holding device
US10310544B2 (en) 2016-07-18 2019-06-04 David Ott Motorcycle clutch hold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74579A (en) * 1947-07-28 1951-11-13 Boeing Co Cable connector
US2565605A (en) * 1947-10-13 1951-08-28 John F Grayson Off-center lock
DE1056432B (de) * 1956-04-16 1959-04-30 Gustav Magenwirth K G Einrichtung zum Einhaengen eines am Zugseil fest angebrachten pilzfoermigen Endnippels von Bowdenzuegen
US3006674A (en) * 1960-01-07 1961-10-31 Aero Motive Mfg Company Universal connector
US3044812A (en) * 1960-08-30 1962-07-17 Giovinazzo Anthony Cable anchor clevis
DE1866202U (de) * 1962-11-21 1963-01-24 Weinmann Kommanditgesellschaft Handhebel fuer felgenbremse.
US3414304A (en) * 1966-11-22 1968-12-03 Hi Shear Corp Apparatus for fastening a discontinuous body to another structure and the resulting joint
US4316531A (en) * 1976-08-18 1982-02-23 Harpster Anthony B Clutch lockout latch
JPS592575Y2 (ja) * 1979-04-03 1984-01-24 株式会社シマノ ブレ−キ用操作レバ−
JPS5851114Y2 (ja) * 1979-05-08 1983-11-21 株式会社シマノ 自転車用操作レバ−装置
GB2093551B (en) * 1981-02-23 1985-07-24 Rexnord Inc Stud for a panel fastener
JPS58157889U (ja) * 1982-04-17 1983-10-21 株式会社シマノ 自転車用ブレ−キ操作装置
JPH0139921Y2 (ko) * 1984-11-07 1989-11-3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578935A1 (fr) 1986-09-19
FR2578935B1 (fr) 1990-01-19
US4704044A (en) 1987-11-03
JPH044196B2 (ko) 1992-01-27
JPS61211187A (ja) 1986-09-19
IT1190240B (it) 1988-02-16
KR860007124A (ko) 1986-10-08
IT8647754A0 (it) 1986-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2298B1 (ko) 자전거등의 조작장치 또는 작동장치에 있어서의 와이어와의 연결부 구조
US5588329A (en) Snap together shift knob construction
US6837126B2 (en) Bicycle cable connector for splicing two cables in series
GB1595849A (en) Cable anchoring assembly
JPH07276906A (ja) 車軸アセンブリ
US5119689A (en) Device for adjusting bowden cables
EP0075798B1 (en) Lock cylinder attaching device for vehicle movable closure locks
US4998692A (en) Hose fitting fixing construction
JPH0226086B2 (ko)
GB2222859A (en) Arrangement for fastening a brake booster
JP2539524B2 (ja) 変速機のパ―キング機構
CA1151850A (en) Quick release snap
US3080769A (en) Transmission control
US4961354A (en) Wire connecting structure for brake manipulating device or operating device
JPH065994Y2 (ja) 操作レバ−
GB1589934A (en) Linkage clip
JPH028097Y2 (ko)
JPS6213233B2 (ko)
JPH0430798Y2 (ko)
JPS5841509Y2 (ja) 時計等に於けるスリツプ機構
JPS634818Y2 (ko)
JPH0356473Y2 (ko)
JPS641411Y2 (ko)
JPH0635081Y2 (ja) 自動車用ドアハンドル装置
JPH013967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206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