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3070B1 - 반죽물 조각을 말아서 반죽물 롤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반죽물 조각을 말아서 반죽물 롤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3070B1
KR920003070B1 KR1019890013198A KR890013198A KR920003070B1 KR 920003070 B1 KR920003070 B1 KR 920003070B1 KR 1019890013198 A KR1019890013198 A KR 1019890013198A KR 890013198 A KR890013198 A KR 890013198A KR 920003070 B1 KR920003070 B1 KR 9200030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ugh
endless belt
speed
belt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3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4260A (ko
Inventor
미찌오 모리까와
도루 와따나베
Original Assignee
레온 지도끼 가부시끼 가이샤
하야시 도라히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2068388U external-priority patent/JPH0513184Y2/ja
Priority claimed from JP63231035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57105B2/ja
Application filed by 레온 지도끼 가부시끼 가이샤, 하야시 도라히꼬 filed Critical 레온 지도끼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0042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42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3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30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9/00Other apparatus for handling dough or dough piece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3/00Machines or apparatus for shaping batches of dough before subdivision
    • A21C3/06Machines for coiling sheets of dough, e.g. for producing roll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1/0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 A21C11/02Embossing machines
    • A21C11/04Embossing machines with cutting and embossing rollers or dru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Devices For Dough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반죽물 조각을 말아서 반죽물 롤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제1도는 프랑스 빵 반죽물 제조라인에 포함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반죽물 롤의 제조장치를 도시한 계략도.
제2도는 제1도 장치의 상부 및 하부 무단 벨트 장치의 상류 단부 부분들의 확대도.
제3도는 상부 및 하부 무단 벨트 장치의 벨트의 경사 부분에 의해 한정된 각도를 조정하기 위한 장치의 부분 확대 단면도.
제4도는 제1도 장치의 수직으로 나란히 위치한 한쌍의 롤러중 상부 롤러의 외주연 표면에 물을 분사시키는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제5도는 제1도 장치의 이격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
제6도는 반죽물 시트의 웨브로부터 크로와쌍(croissants) 또는 버터 롤용 삼각형 반죽물 조각을 절단하고 이를 분리 및 재배열시키는 공정을 도시한 개략도.
제7도는 다른 실시예에 의한 상부 및 하부 무단 벨트 장치의 벨트 경사부분에 의해 한정된 각도를 조정하기 위한 장치의 부분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이송 수단 6 : 말기 기구
8 : 무단 벨트 공급 장치 10, 12, 44, 46, 50, 66, 68 : 롤러
14 : 상부 무단 벨트 장치 16 : 하부 무단 벨트 장치
18 : 조정 수단 32 : 제어 수단
34, 36, 38 : 모터 62 : 절단 수단
64 : 이격수단
본 발명은 반죽물 조각을 말아서 반죽물 롤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완성된 롤의 충수를 조정할 수 있는 반죽물 롤의 제조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으로 반죽물 롤을 제조하기 위하여 반죽물 조각을 자동으로 말기 위한 많은 장치가 개발되어 있다.
미합중국 특허 제3,704,664호에는 반죽물 시트를 하부 컨베이어상에서 전방으로 공급하고 반죽물 시트의 후방 단부를 상승수단(36: 모터)의 상부 시그멘트(38: 모터)에 의해 상방으로 상승시키고 반죽물 시트의 상승된 후방 단부를 전방으로 이동하는 상부 컨베이어에 접촉시키고, 이를 마는 스위스 롤의 성형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미합중국 특허 제4,741,263호에는 크로와쌍의 제조장치 및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이 장치에 의하면, 벨트가 반대방향으로 운동하는 두 무단 벨트 장치 사이로 반죽물 조각이 공급되고, 그 연후에 반죽물 조각을 만다. 반죽물 조각의 전방 단부를 들어올리기 위해 두 벨트 사이의 간격을 감소시키도록 상기 간격을 조정하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반죽물 조각의 전방 단부는 상부 켄베이어와 접촉하고 말리기 시작한다. 그 연후에 상기 조정 수단은 두 벨트 사이의 간격을 증가시켜서 말린 반죽물 조각방향으로 간격이 증가되도록 하여 반죽물 조각의 원활한 말기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최종적으로 완성된 반죽물 롤은 벨트사이의 간격으로 부터 방출된다. 이러한 장치들은 롤의 층수를 조정할 수가 없다.
일반적으로, 반죽물 롤의 충수는 빵 또는 당과류의 종류에 따라 변경된다. 따라서, 크로와쌍을 제조하도록 장치를 설계한다면, 스위스빵과 같은 다른 형태의 빵을 제조하는 데는 사용할 수가 없다. 따라서, 여러 종류의 반죽물 롤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종래에는 상이한 종류의 반죽물 롤의 제조에 상이한 장치들을 사용하여야만 한다. 또한, 반죽물 조각의 두께나 길이를 변경한다면, 종래기술의 장치는 이러한 변경에 대하여 조정될 수 없으며 반죽물 조각을 적절힐 말 수가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러 종류의 빵을 위한 반죽물 롤을 제조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마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완성된 빵의 종류에 따라 반죽물 롤의 충수를 손쉽게 조정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마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쉽사리 풀리지 않는 반죽물 롤을 제조하는 장치 및 방법을 마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형태에 의하면, 이송방향으로 각 반죽물 조각을 이동시키는 이송수단과, 반죽물을 이송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반죽물 조각을 말기 위한 말기 기구를 포함하여, 상기 말기 기구는 서로 위 아래로 설치된 하부 무단 벨트 장치와 상부 무단 벨트 장치를 구비하고, 하부 무단 벨트 장치가 이송방향으로 이동하는 상부 벨트 부분을 구비하고, 상부 무단 벨트 장치가 하부 무단 벨트 장치의 상부 벨트 부분의 이동속도 보다 낮은 속도로 이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하부 벨트 부분을 구비하며, 상기 상부 및 하부 벨트 부분이 둘 사이가 이격되어 서로 면하도록 구성된, 반죽물 조각을 말아서 반죽물 롤을 제조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가 각 상부 및 하부 무단 벨트 장치를 구동시키는 제1구동수단과 하부 무단 벨트 장치의 상부 벨트 부분보다 낮은 속도로 상기 이송수단을 구동시키는 제2구동수단을 포함하고, 상부 무단 벨트 장치의 하부 벨트 부분과 하부 무단 벨트 장치의 상부 벨트 부분의 속도가 완성된 반죽물 롤의 층수에 따라 이송수단의 속도에 대하여 조절가능하도록 제1 및 제2구동수단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죽물 롤의 제조장치를 마련하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의하면, 수직으로 대향한 두 상부 및 하부 무단 벨트 장치 사이의 공간으로 이송 수단에 의해 반죽물을 이송시키는 단계와, 하부 무단 벨트 장치의 벨트가 상부 무단 벨트 장치의 벨트보다 빠르게 전방으로 이동하고 서로 면한 곳에서 반대방향으로 상부 및 하부 무단 벨트 장치의 각 무단 벨트를 이동시킴으로써 반죽물을 이송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마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죽물 조각을 말아서 반죽물 롤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이송수단의 이동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반죽물의 후단부를 이동시키는 동시에 상부 무단 벨트 장치의 속도와 하부 무단 벨트 장치의 속도 사이의 차와 동일한 속도로 반죽물의 선단부를 이동시키는 단계와, 필요한 수의 층을 갖는 반죽물 롤의 말기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반죽물이 이송방향으로 필요한 길이를 갖도록 반죽물을 연신시키기 위하여 상부 및 하부 벨트 장치의 벨트와 이송수단의 속도관계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죽물 롤의 제조방법을 마련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반죽물 조각은 상부 및 하부 무단 벨트 장치 사이의 공간으로 공급된다. 각 반죽물 조각의 선단부는 반죽물 조각의 말기가 개시되도록 하부 무단 벨트 장치에 이송되어 상부 무단 벨트 장치에 의해 접촉된다. 하부 무단 벨트 장치의 상부 벨트 부분과 상부 무단 벨트 장치의 하부 벨트 부분이 반대 방향으로 구동되지만 하부 무단 벨트 장치의 상부부분이 상부 무단 벨트 장치의 하부부분의 속도보다 빠른 속도로 전진 이동하므로, 반죽물은 상부 및 하부 벨트 부분 사이의 이동 속도차와 동일한 속도로 전진 이동한다. 반죽물의 롤링이 시작될 때 반죽물 조각의 후단부는 이송수단상에 여전히 잔류하고 이송수단상의 이동 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이동한다. 따라서, 반죽물은 연신되어 벨트 부분과 이송수단의 이동 속도 관계를 제어함으로써 필요한 길이를 가지며, 그 연후에 말려지고, 필요한 수의 층을 갖는 반죽물 롤을 제조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
제1도에는 제1실시예의 반죽물 롤의 제조 장치(2)가 도시되어 있다. 장치(2)는 이송수단(4)과 말기 기구(6)를 포함한다.
이송수단(4)은 무단 벨트 공급장치(8)와, 무단 벨트 공급장치(8)의 상부 플라이트 위에 그리고 그 하류 단부에 인접하여 위치한 한쌍의 수직 병렬 배치된 지지롤러(10,10´)로 구성된다. 이송수단(4)은 지지롤러(10)의 외주연 표면에 인접하여 그 하류에 위치한 제1소경 롤러(12)를 포함한다. 제1소경 롤러(12)는 이송방향으로 회전하며 지지롤러(10)의 외주연 속도보다 빠른 외주연 속도로 구동되어 지지롤러(10)의 외주연에 부착된 반죽물 조각을 지지롤러로부터 벗겨내고, 그 연후에 이 반죽물 조각을 말기 기구(6)로 이송시킬 수 있게 한다.
말기 기구(6)는 상부 및 하부 무단 벨트 장치(14,16)를 포함한다. 이러한 무단 벨트 장치는 하부 무단 벨트 장치의 상부 벨트 부분(16U)와 상부 무단 벨트 장치의 하부 벨트 부분(14L)이 서로 간격을 갖고 면하도록 아래위로 배열된다. 이 기구에 있어서, 하부 무단 벨트 장치(16)의 상부 벨트 부분(16U)은 이송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와는 달리 상부 무단 벨트 장치의 하부 벨트 부분(14L)은 상부 벨트 부분(16U)의 속도보다 낮은 속도로 이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무단 벨트 장치(16)의 상부 벨트 부분(16U)과 상부 무단 벨트 장치(14)의 하부 벨트 부분(14L)의 상류 단부에 각 경사부분(14S,16S)를 갖는다. 이 경사부분은 서로간에 테이퍼 갭을 한정하도록 각(α)을 형성하며, 상기 갭은 상부 및 하부 무단 벨트 장치의 상류 단부로부터 경사부분(14S,16S)의 하류 단부쪽으로 점진적으로 감소된다.
또한, 말기 기구(6)는 상부 무단 벨트 장치(14)의 상류 단부에 롤러(20)를 상승 및 하강시켜 각(α)을 조정할 수 있는 조정수단(18,제3도)을 포함한다. 제3도에는 조정수단(18)의 한 예가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조정수단은 한쌍의 볼 링크(22)와, 각각 나사부를 구비한 한쌍의 수직축(24)과, 한쌍의 전환 모터(26)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도의 모든 구성요소는 프레임 스탠드상에 장착되어 있다. 프레임 스탠드는 다리 위에 장착된 두 측면 케이싱(28)을 포함한다. 각 롤러축의 양 단부는 측면 케이상(28)의 측벽상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각 롤러의 모터는 롤러축에 연결되고 측면 케이싱에 장착된다. 각 볼 링크(22)와 나사축(24) 및 전환 모터(26)는 프레임 스탠드의 측변 케이싱(28)안에 설치된다. 상류 단부 롤러(20)의 측의 양단부는 볼 링크(22)에 연결된다. 각 나사축(24)은 베어링을 통해 측면 케이싱(28)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각 전환 모터(26)의 구동축은 워엄 휘일(30)을 통해 나사축(24)에 연결되어 전환 모터(26)가 제3도의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같이 나사축(24)을 축방향으로 회전시키게 한다. 따라서, 축이 축방향으로 한방향 또는 다른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부 무단 벨트 장치의 상류 단부 롤러(20)를 지지하는 볼 링크(22)를 화살표(b)로 표시된 바와같이 상승 및 하강시킨다.
한편, 상부 무단 벨트 장치(14)의 하류 단부 롤러(21,제1도)의 축의 높이와, 상부 무단 벨트 장치(14)의 경사부분 (14S)의 하류 단부에 위치한 중간 롤러(23)의 높이는 변경될 수 있다.
그러나, 상부 무단 벨트 장치(14)의 상류 단부 롤러(20)가 상승 또는 하강 될 때, 상부 무단 벨트장치의 경사부분(14S)은 중간 롤러(23)에 대하여 피봇식으로 움직일 수 있다. 따라서, 상류 단부 롤러(20)가 상승하면 각(a)은 커지게 된다. 상류 단부 롤러(20)가 하강할 때 각(a)은 작아지게 된다.
장치는 또한 메모리 수단(40)과 신호 발생기(42)로 구성된 제어수단(32)을 포함한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모터(34)는 무단 벨트 공급 장치(8)의 벨트를 구동시키고, 제2모터(36)는 상부 무단 벨트 장치(14)의 벨트를 구동시키며, 제3모터(38)는 하부 무단 벨트 장치(16)의 벨트를 구동시킨다.
제어수단(32)은 조정수단의 전환 모터와 상기 모터에 작동상 연결된다. 메모리수단(40)안에 저장된 데이타를 기초로 하여 각 모터에 신호를 송신하여 무단 벨트 공급 장치(8)와 상부 및 하부 무단 벨트 장치(14,16)의 벨트 속도를 조정할 수 있으며 경사부분(14S,16S) 사이의 틈의 각을 조정할 수 있다.
제1도에 있어서, 본 실시예의 장치는 프랑스빵 반죽물 조각을 위한 제조라인에 포함된다. 따라서 절단 수단과 이격수단은 본 실시예의 장치의 상류에 마련된다. 이제 이러한 부가적 수단을 설명한다.
무단 벨트 공급장치(8)의 상류 단부에 인접하여 수직으로 나란히 위치한 한쌍의 롤러(44,46)가 제공된다.
나란히 위치한 롤러(44,46)의 확대도가 제4도에 도시되어 있다. 나란히 위치한 롤러중 하부 롤러(46)는 상부 롤러(44)와 동일 외주연 속도로 제4모터(56)에 의해 구동된다. 무단 벨트 공급장치(8)는 그 상부 플라이트가 나란히 위치한 한쌍의 롤러(44,46)의 외주연 속도보다 빠르게 이동하도록 구동된다. 상부 롤러(44)위에 인접하여 물을 분사시키는 분무수단(48)이 마련되고 이는 상부 롤러(44)의 외주연 표면을 적신다. 소경의 제2롤러(50)는 상부 롤러(44)의 하류에 인접하여 마련된다. 제2소형 롤러(50)는 상부 롤러(44)의 외주연 속도보다 빠른 외주연 속도로 이송 방향으로 회전된다. 또한, 스크레이퍼(51)가 제공되어 상부 롤러(44)의 표면에 부착된 반죽물 조각의 부스러기를 제거한다.
제1및 제2무단 벨트 장치(52,54)는 수직으로 나란히 위치한 한쌍의 롤러(44,46)상류에 마련된다. 제2무단 벨트 장치(54)는 제1무단 벨트 장치(52)의 하류에 연속하여 설치되고, 그 하류 단부는 하부 롤러(46)에 인접하여 위치한다. 제1및 제2무단 벨트 장치(52,54)의 벨트는 제5및 제6모터(58,60)에 의해 구동된다. 제1무단 벨트 장치(52)의 상부 플라이트 위에는 상부 플라이트와 가압 맞룸림 상태로 원통형 절단수단(62)이 설치된다. 원통형 절단수단(62)은 미합중국 특허 제4,703,679호에 도시된 바와같이 절단수단일 수도 있다. 원통형 절단수단(62)에는 그 원통형 표면을 따라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반죽물 웨브를 사각형으로 성형할 수 있는 형태로 설치된 칼날을 구비하고 있다.
반죽물 조각이 제1무단 벨트 장치로부터 제2무단 벨트 장치로 이동하는 다리영역에는 이격수단(64)이 마련된다. 이격수단(64)은 한쌍의 롤러(66)와, 이 한쌍의 롤러(66) 앞에 위치한 롤러(68)를 포함하고, 모든 롤러(66,68)에는 이송방향에 대해여 횡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돌출부가 그 외주연 표면상에 제공된다. 상기 한쌍의 롤러(66)는 제1무단 벨트 장치(52)의 벨트의 이동속도와 동일 속도로 구동된다. 롤러(68)는 제2무단 벨트 장치(54)의 벨트의 이동속도와 동일 속도로 구동된다.
제1도 및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한쌍의 롤러(66)는 제1무단 벨트 장치(52)의 상부 플라이트위에서 그 하류 단부에 인접하여 장착되고, 롤러(68)는 제2무단 벨트 장치(54)의 상부 플라이트 위에서 그 상류단부에 인접하여 장착된다.
제1무단 벨트 장치(52)의 벨트는 제2무단 벨트 장치(54)의 벨트보다 느린 속도로 구동된다. 반죽물 웨브로부터 형성된 사각형 반죽물 조각(70)이 한쌍의 롤러(66)하부에 도달될 때, 롤러는 양측면(제5도에서 반죽물 조각의 상한(70a) 및 하한(70c)상에서 반죽물 조각을 지지하여, 반죽물 조각(70a,70c)이 제1무단 벨트 장치(52)의 벨트의 이동 속도와 동일 속도로 이동하도록 한다. 한편, 중간 반죽물 조각(70b)이 제2무단 벨트 장치에 도달했을 때, 롤러(68)는 반죽물 조각(70b)이 제2무단 벨트 장치(54)의 벨트의 이동 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이동하도록 한다. 제2무단 벨트 장치(54)의 벨트의 이동속도가 제1무단 벨트 장치(52)의 벨트의 이동속도보다 빠르므로, 중간 반죽물 조각(70b)이 롤러(68) 아래에 도달하면 반죽물 조각(70a,70c)보다 앞쪽으로 이송되어, 제2무단 벨트 장치(54)로 천천히 전달되는 측단의 반죽물 조각(70a,70c)으로부터 떨어져 설정 간격을 이룬다.
따라서 제2무단 벨트 장치(54)의 벨트 위에는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사각형 반죽물 조각이 중간 반죽물 조각(70b)과 측단의 반죽물 조각(70a.70c) 사이에 설정 간격을 두고 배열된다. 제1 및 제2무단 벨트 장치(52,54)의 벨트들의 이동 속도 사이의 차를 조정함으로써 중간 반죽물 조각(70b)과 측단의 반죽물 조각(70a,70c)사이의 간격을 손쉽게 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조정은 제1 및 제2무단 벨트 장치(52,54)를 위한 제5 및 제6모터(58,60)에 작동상 연결된 제어 수단(32)에 의해 수행된다.
제1도 장치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작업자가 제1무단 벨트 장치(52)의 벨트위에 반죽물 웨브를 위치시킨다. 반죽물 웨브는 절단 수단(62)아래로 공급되고, 그 연후에 사각형상의 반죽물 조각으로 분할되고,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이송 방향을 따라 연장된 3개의 선으로 배열된다.
그 연후에 반죽물 조각(70)은 이격수단(64)으로 공급된다.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같이, 이격 수단(64)은 중간선의 반죽물 조각(70b)을 정렬시키고, 반죽물 조각들이 제1무단 벨트 장치(52)로부터 제2무단 벨트 장치(54)로 전달될 때, 양측선의 반죽물 조각(70a,70c)보다 앞으로 설정거리만큼 이격시킨다.
그 연후에 반죽물 조각들은 나란히 위치한 한쌍의 롤러(44,64) 사이의 공간으로 공급된다. 분무 수단(48)이 상부 롤러(44)의 외주연 표면을 적시기 때문에, 젖은 외주연 표면과 접촉하는 반죽물 조각이 상부면이 젖어 외주연 표면에 부착된다. 따라서, 소형 롤러(50)가 상부 롤러로부터 반죽물 조각을 벗겨내고, 반죽물 조각은 무단 벨트 공급 장치(8)로 전달된다.
그 연후에 반죽물 조각이 지지롤러(10)와 무단 벨트 공급 장치(8)의 벨트 사이의 공간으로 이동한다. 반죽물 조각이 상부면이 젖어 있고 지지롤러(10)의 외주연 표면에 부착되려 하기 때문에, 소형 롤러(12)는 지지롤러(10)로부터 반죽물 조각의 선단부를 벗겨내고, 반죽물 조각이 말기 기구(6)로 이송되도록 한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반죽물 조각의 선단부가 하부 무단 벨트 장치(16)의 상류 단부의 경사부분(16S)에 도달했을 때, 선단부는 경사부분(16S)의 벨트를 따라 위로 이동하고, 상부 무단 벨트 장치(14)의 벨트의 경사부분(14S)과 접촉한다.
즉, 경사부분(14S,16S)은 선단부가 말리기 시작하게 한다. 따라서, 제2도의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반죽물 조각의 선단부는 말리기 시작한다. 이때에 반죽물 조각의 선단부는 상부 및 하부 무단 벨트 장치의 벨트가 반대 방향으로 구동되고 있으므로, 상부 및 하부 무단 벨트 장치(14,16)의 벨트의 이동 속도 사이의 차와 동일한 속도로 이동한다. 한편, 후단부는 지지롤러(10)가 무단 벨트 공급 장치(8)의 벨트의 속도 및 이동방향과 동일하게 회전되도록 구동되기 때문에 무단 벨트 공급 장치(8)의 벨트의 이동 속도와 동일 속도로 이동한다. 따라서, 상부 및 하부 무단 벨트 장치(14,16)와 무단 벨트 공급 장치(8)의 벨트의 속도를 각 각 V₁,V₂,V₃이라 할 때, 반죽물 조각의 선단부의 이동속도(Vx)는 다소 근사적으로 Vx=V₂- V₁으로 설명할 수 있다. 무단 벨트 공급 장치는 그 벨트의 이동 속도(V₃)가 상부 및 하부 무단 벨트 장치의 벨트의 속도차(Vx)보다 느릴때 즉 V₃<Vx로 후단부가 선단부보다 천천히 이동할때, 반죽물 조각은 속도차(Vx-V₃)만큼 연신된다.
예를들어 5개층을 갖는 반죽물 롤을 말기 위해서는, 속도(V₁,V₂,V₃)는 각각 15m/min., 56m/min., 35m/min.으로 세트될 것이다. 따라서, 선단부의 이동 속도(Vx)는 41m/min.이다. 후단부의 이동 속도는 35m/min.이므로, 반죽물은 Vx-v₃즉 6m/min. 만큼 연산된다. 따라서, 분당 연신된 반죽물 길이는 6m이다.
또한, 6개층의 반죽물 롤을 연신할때, 속도(V₁,V₂,V₃)를 각각 15m/min., 70m/min., 35m/min.으로 세트한다. 반죽물의 선단부는 55m/min.으로 이동하고 그 후단부는 35m/min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반죽물 조각은 속도차(20m/min.)만큼 연신된다. 따라서, 분당 연신된 반죽물 길이는 20m이다.
따라서, 속도차(Vx-V₃)가 커질수록 반죽물이 이송 방향으로 길게 연신되고 완성된 반죽물 롤의 층수는 많아진다. 따라서, 무단 벨트 공급 장치(8)와 상부 및 하부 벨트 장치(14,16)의 벨트 속도 관계를 조정함으로써, 완성된 반죽물 롤의 층수를 조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제어 수단(32)는 제1 및 제2모터(34,36)를 제어하여 3개의 무단 벨트 장치의 벨트의 이동 속도를 설정 속도로 세트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무단 벨트 공급 장치(8)와 상부 및 하부 무단 벨트 장치(14,16)의 속도(V₁,V₂,V₃)의 데이터는 메모리(40)안에 각각 저장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제어 수단(32)의 제어 판넬상의 5 또는 6층의 반죽물 조각을 위한 버튼을 누를 때, 신호 발생기(42)는 제1 및 제2,제3모터(34,36,38)에 신호를 송신하여 무단 벨트 공급 장치(8)와 상부 및 하부 무단 벨트 장치(14,16)가 각각의 설정속도로 구동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제1실시예의 상부 무단 벨트 장치의 상류 단부 롤러(20)는 제3도의 조정 수단(18)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부 및 하부 무단 벨트 장치의 벨트의 경사 부분(14S,16S)에 의해 한정된 각(a)을 조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반죽물 조각이 선단부가 말리기 시작하는 벨트 사이의 거리(D,제2도)를 조정할 수 있다. 반죽물 조각이 말리기 시작하는 반죽물 롤의 코어부분의 직경이 작을 때 및 또는 반죽물 조각이 단단히 말릴때는, 각(a)은 조정수단(18)에 의해 거리(D)가 작아지도록 조정된다. 그러나, 반죽물 롤의 코어 부분이 크며 그리고/또는 반죽물 조각이 헐겁게 말리면, 각(a)은 조정수단(18)에 의해 거리(D)가 커지도록 조정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거리(D)의 데이타도 또한 메모리(42)에 저장하고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완성된 반죽물 롤의 코어부분의 직경에 대응하는 제어 수단의 제어 판넬상의 버튼을 누르면 신호 발생기(42)는 신호를 전환 모터(26)로 송신한다. 따라서, 상류 단부 롤러(20)는 상승 또는 하강하여 거리(D)가 설정 길이로 세트된다.
하부 무단 벨트 장치(16)가 상부 무단 벨트 장치(14)의 속도보다 빠른 속도로 전진 구동되므로, 말리기 시작하여 완성된 반죽물 롤의 코어부분을 형성하는 반죽물 부분은 상부 및 하부무단 벨트 장치(14,16)의 벨트 사이의 좁은 공간으로 손쉽게 공급된다. 그러나, 반죽물의 후단부가 지지롤러(10)와 무단 벨트 공급 장치(8)의 벨트 사이에 지지될 때 반죽물은 이송 방향으로 설정 길이로 갖도록 연신된다. 후단부가 해제될 때, 반죽물 조각의 전체 몸체는 상부 및 하부 무단 벨트 장치(14,16)의 벨트 사이의 공간으로 공급된다. 반죽물 조각이 공간을 통해 이송될 때, 반죽물은 말아진다. 따라서, 최종 반죽물 롤은 상부 및 하부 무단 벨트 장치(14,16)의 하류 단부로부터 배출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분무수단(48)에 의해 물을 분무시키기 때문에 반죽물 조각의 상부면이 젖어 부착성을 갖는다. 따라서, 반죽물이 말리기 시작할때 반죽물 조각의 상부면이 하부면에 부착되고,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는 제조된 최종 반죽물 롤이 잘 풀리지 않는다. 반죽물의 부착력을 증가시키도록 물을 분무시키는 수단은 본 출원인의 미합중국 특허 제4,905,583호에 기술되어 있다.
본 발명의 장치는 본 분야에 속한 사람이면 누구나 손쉽게 수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치를 크로와쌍 또는 버터롤을 제조하는데 사용하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도에 도시된 구조는 미세한 변경으로 크로와쌍이나 버터롤을 제조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그 구조를 설명한다.
먼저, 원통형 절단수단(62)를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각형 형태로 반죽물 웨브를 성형할 수 있는 칼날을 그 외주연에 구비한 유사한 절단수단으로 교체하여야만 한다. 또한, 동일 방위의 3각형 반죽물 조각을 제조하는 장치를 다른 종류의 이격수단과 나란히 위치한 한쌍의 롤러(44,46) 사이에 추가하여야만 한다. 동일방위의 반죽물 제조장치는 오스트리아 특허 제386,762호에 기술된 바와같은 장치이다. 또한, 본 실시예의 이격 수단은 제5도에 도시된 제1실시예에서 사용한 롤러(68)와 한쌍의 롤러(66)대신에 반죽물 웨브의 폭을 가로질러 연장하는 한쌍의 롤러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격 및 정위 공정을 간단히 도시하기 위하여, 이격수단 및 무단 벨트 공급 장치(8)와 하부 무단 벨트 장치(16)의 벨트를 제6도에서는 생략하였다.
또한, 반죽물 웨브로부터 삼각형 형태의 반죽물 조각을 성형하는 종래의 절단수단과, 동일방향으로 반죽물 조각을 정위시키는 정위장치를 동일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무단 벨트 공급 장치(8)의 벨트는 나란히 위치한 한쌍의 롤러의 하부 롤러(46)의 외주연 속도보다 빠른 속도로 구동된다. 이 형태는 반죽물 조각의 정위를 조정하도록 한다. 밑변을 제6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선단부로 삼아 공급되는 삼각형 반죽물 조각이 나란히 위치한 한쌍의 롤러(44,46)사이로 통과하고 소형 롤러(50)를 통해 무단 벨트 공급 장치(8)로 이송될때, 삼각형반죽물 조각의 꼭지점은 롤러(44,46)사이에 지지되며 그 밑변은 무단 벨트 공급 장치(8)의 벨트상에 위치한다. 무단 벨트 공급 장치(8)의 벨트가 나란히 위치한 한쌍의 롤러의 외주연 속도보다 빨리 이동하므로, 반죽물은 무단 벨트 공급 장치의 벨트에 의해 이송방향으로 당겨진다.
따라서, 각 반죽물 조각의 밑변이 이송방향에 수직으로 정렬되도록 삼각형 반죽물 조각의 정위를 조정한다. 이 형태는 상기의 미합중국 특허 제4,905,583호에 기재되어 있다. 따라서, 반죽물 조각은 적절한 스핀들 형태의 반죽물 롤로 말아진다.
제1도에 있어서, 무단 벨트 장치와 롤러를 구동시키는 모터는 제어수단(32)에 의해 제어된다. 그러나, 제어수단을 갖고 있지 않다면 모터의 속도는 작업자가 이러한 장치를 말려진 반죽물의 종류에 따라 설정속도로 구동시키기 위해 모터를 수동으로 세트시킬 수 있도록 변경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1도에서 상부 및 하부 무단 벨트 장치의 각(a)은 제어수단(32)에 의해 제어된다. 그러나, 조정수단(18) 각(a)을 수동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변경시킬 수 있다. 제7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전환 모터를 핸들(79)로 교체한다면, 작업자는 핸들(72)을 통해 상류 단부 롤러(20)를 상승 및 하강시킴으로써 각(a)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무단 벨트 공급 장치를 제1도의 장치 구조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이송수단(4)은 상부 및 하부 롤러(44,46)를 포함한다. 즉, 상부 롤러(44)는 지지롤러(10)로써 작동하고, 하부 롤러(46)는 무단 벨트 공급 장치(8)로써 작동한다. 따라서, 최종 반죽물 롤의 층수를 기초로 하여 제어수단(32)은 제2및 제3, 제4모터(36,38,56)를 제어하여 상부 및 하부 무단 벨트 장치(14,16)의 벨트와 하부 롤러(56)를 실정 속도로 이동시킨다.
상부 및 하부 무단 벨트 장치(14,16)의 벨트와 이송 수단(4)의 속도 관계를 변경시킴으로써, 반죽물은 이송방향으로 필요 길이를 갖도록 연신된다. 반죽물이 말릴 때, 필요한 층수를 갖는 반죽물 조각을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장치는 여러 가지 종류의 빵 및 당과류용 반죽물 롤을 제조할 수 있다.

Claims (18)

  1. 이송방향으로 각각의 반죽물 조각을 이동시키는 이송수단(4)과, 서로 위 아래로 설치된 하부 무단 벨트 장치(16)와 상부 무단 벨트 장치(14)를 구비하고 하부 무단 벨트 장치(16)가 이송 방향으로 이동하는 상부 벨트 부분(16U)을 구비하고 상부 무단 벨트 장치(14)가 하부 무단 벨트 장치(16)의 상부 벨트 부분(16U)의 이동 속도보다 낮은 속도로 이송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하부 벨트 부분(14L)을 구비하고 상기 상부 및 하부 벨트 부분(16U,14L)이 서로 이격되어 대항하도록 구성된 반죽물 조각을 이송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말기 위한 말기 기구(6)를 포함하는, 반죽물 조각을 말아서 반죽물 롤을 제조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하부 벨트 장치(14,16) 각각을 구동시키는 제1구동수단(36,38; 제2 및 제3모터)과 하부 무단 벨트 장치(16)의 상부 벨트 부분(16U)보다 낮은 속도로 상기 이송수단(4)을 구동시키는 제2구동수단(34; 제1모터)를 포함하고, 상부 무단 벨트 장치(14)의 하부 벨트 부분(14L)과 하부 무단 벨트 장치(16)의 상부 벨트 부분(16U)의 속도가 완성된 반죽물 롤의 층수를 기초로 하여 상기 이송수단(4)의 속도에 대하여 변경가능하도록 제1 및 제2구동 수단(36,38; 34)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죽물 롤의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부 무단 벨트 장치(14)의 하부 벨트 부분(14L)과 하부 무단 벨트 장치(16)의 상부 벨트 부분(16U) 및 상기 이송 수단(4)의 속도관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32)을 부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죽물 롤의 제조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및 상부 벨트 부분(14L,16U)이 그 상류 단부에 인접한 각각의 경사부분(14S,16S)을 포함하고, 상기 경사부분(14S,16S)이 하부 및 상부 벨트 부분(14L,16U)의 상류 단부로부터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하부 및 상부 벨트 부분(14L,16U) 사이의 테이퍼 갭을 한정하는 각(a)으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죽물 롤의 제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말아질 반죽물 롤의 직경을 기초로 하여 상기 각(a)을 조정하는 조정수단(18)을 부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죽물 롤의 제조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4)이 하부 무단 벨트 장치(16)와 직렬로 설치된 무단벨트 공급 장치(8)와 상기 무단 벨트 공급 장치(8)의 하류 단부위에 인접하여 마련된 지지롤러(10)를 포함하고, 상기 롤러가 무단 벨트 공급 장치(8)의 벨트의 이동속도와 동일한 외주연 속도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죽물 롤의 제조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4)이 그 하류 단부에서 반죽물 조각의 두께만큼 서로 이격된 수직으로 나란히 위치한 한쌍의 롤러(10,10')로 구성되고, 수직으로 나란히 위치한 한쌍의 롤러(10,10')는 상부 및 하부 무단 벨트 장치(14,16)의 상류 단부에 인접하여 위치하며, 수직으로 나란히 위치한 한쌍의 롤러(10,10')중 상부 롤러(10)는 그 하부 롤러(10')와 동일한 외주연 속도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죽물 롤의 제조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한쌍의 수직 평행 배치 롤러(10,10')중 상부 롤러(10)에 인접하여 상기 상부 롤러(10)의 표면에 물을 제공하는 수단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죽물 롤의 제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한쌍의 수직 평행 배치 롤러(10,10')중 상부 롤러(10)의 하류에 인접하여 위치하며 반죽물 조각의 이송방향으로 상기 상부 롤러(10)의 외주연 속도보다 빠른 외주연 속도로 회전하는 소경의 롤러(12)를 부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죽물 롤의 제조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반죽물 조각의 주어진 두께만큼 서로 이격된 수직으로 나란히 위치한 또 다른 쌍의 롤러(44,46)를 부가적으로 포함하여, 상기 또다른 쌍의 롤러가 무단 벨트 공급 장치(8)의 상류 단부의 상류에 인접하여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죽물 롤의 제조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수직으로 나란히 위치한 상기 또다른 쌍의 롤러(44,46)중 상부 롤러(44)에 인접하여 상기 상부 롤러(44)의 표면에 물을 제공하는 수단(48)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죽물 롤의 제조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무단 벨트 공급수단(8)의 지지롤러의 하류에 인접하여 위치하며 반죽물의 이송방향으로 상기 지지롤러의 외주연 속도보다 빠른 외주연 속도로 회전하는 소경의 제1롤러(12)를 부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죽물 롤의 제조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수직으로 나란히 위치한 상기 또다른 쌍의 롤러(44,46)의 외주연 표면의 하류에 인접하여 위치하며 반죽물의 이송 방향으로 상기 또다른 쌍의 롤러(44,46)중 상부 롤러(44)의 외주연 속도보다 빠른 외주연 속도로 회전하는 소경의 제2롤러(50)를 부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죽물 롤의 제조장치.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4)의 상류에 설치된 이격수단(64)을 부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죽물 롤의 제조장치.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4)의 상류에 설치된 절단수단(62)을 부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죽물 롤의 제조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 수단(64)의 상류에 설치된 절단수단(62)을 부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죽물 제조장치.
  16. 수직으로 대향한 두 상부 및 하부무단 벨트 장치(14,16) 사이의 공간으로 이송수단(4)에 의해 반죽물을 이송시키는 단계와, 하부 무단 벨트 장치(16)의 벨트가 상부 무단 벨트 장치(14)의 벨트보다 빠르게 전방으로 이동하고 서로 면한 곳에서 반대방향으로 상부 및 하부 무단 벨트 장치(14,16)의 각 무단 벨트를 이동시킴으로써 반죽물을 이송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말아올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죽물 조각을 말아서 반죽물 롤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이송수단(4)의 이동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반죽물의 후단부를 이동시키는 동시에 상부 무단 벨트 장치(14)의 속도와 하부 무단 벨트 장치(16)의 속도 사이의 차와 동일한 속도로 반죽물의 선단부를 이동시키는 단계와, 필요한 수의 층을 갖는 반죽물 롤의 말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반죽물이 이송방향으로 필요한 길이를 갖도록 반죽물을 연신시키기 위하여 상부 및 하부 무단 벨트 장치(14,16)와 이송 수단(4)의 벨트의 속도 관계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죽물 롤의 제조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4)이 하부 무단 벨트 장치(16)와 직렬로 설치된 무단 벨트 공급 장치(8)와 상기 무단 벨트 공급 장치(8)의 하류단부 위에 인접하여 마련된 지지롤러(10)를 포함하고, 무단 벨트 공급 장치(8)의 벨트와 지지롤러 사이에 반죽물의 후단부를 지지함으로써 무단 벨트 공급 장치(8)의 벨트의 이동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반죽물의 후단부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부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죽물 롤의 제조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4)이 반죽물 조각의 두쩨만큼 서로 이격된 수직으로 나란히 위치한 한쌍의 롤러(10,10')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으로 나란히 위치한 상부 및 하루 롤러(10,10')사이에 반죽물의 후단부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수직으로 위치한 롤러(10,10')의 외주연 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반죽물의 후단부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부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죽물 롤의 제조방법.
KR1019890013198A 1988-09-15 1989-09-12 반죽물 조각을 말아서 반죽물 롤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9200030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2068388U JPH0513184Y2 (ko) 1988-09-15 1988-09-15
JP231035 1988-09-15
JP63-120683 1988-09-15
JP120683 1988-09-15
JP63231035A JPH0657105B2 (ja) 1988-09-15 1988-09-15 パン生地類の成形装置
JP63-231035 1988-09-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4260A KR900004260A (ko) 1990-04-12
KR920003070B1 true KR920003070B1 (ko) 1992-04-13

Family

ID=26458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3198A KR920003070B1 (ko) 1988-09-15 1989-09-12 반죽물 조각을 말아서 반죽물 롤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078585A (ko)
EP (1) EP0360498B1 (ko)
KR (1) KR920003070B1 (ko)
CN (1) CN1020393C (ko)
AU (1) AU605696B2 (ko)
CA (1) CA1327729C (ko)
DE (1) DE68901518D1 (ko)
ES (1) ES2030976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395927B (de) * 1991-05-31 1993-04-26 Koenig Helmut Vorrichtung zur formung portionierter teigstuecke
US5375509A (en) * 1992-02-20 1994-12-27 The Clorox Company Dough ball preparation table
JP2733810B2 (ja) * 1992-07-22 1998-03-30 レオン自動機株式会社 フィリング充填装置
GB2276845A (en) * 1993-04-08 1994-10-12 Soriano Angel Lozano Continuous croissant-shaping machine
JP2747777B2 (ja) * 1993-10-08 1998-05-06 レオン自動機株式会社 クロワッサン生地の調心装置
JP2747778B2 (ja) * 1993-10-08 1998-05-06 レオン自動機株式会社 クロワッサン生地の折り曲げ装置
JP2750813B2 (ja) * 1994-03-23 1998-05-13 レオン自動機株式会社 クロワッサン生地の巻き上げ装置
DE19616173C2 (de) * 1996-04-12 2003-07-31 Johann Kasper Baeckereimaschb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langgestreckten, strukturierten, gewickelten Backwaren nach Art von Salzstangen
JP3033071B2 (ja) * 1997-04-30 2000-04-17 レオン自動機株式会社 食品生地の巻き上げ装置
IT1292364B1 (it) * 1997-05-20 1999-01-29 Barilla Alimentare Spa Dispositivo per la formatura di prodotti da forno
JP3710325B2 (ja) * 1999-06-07 2005-10-26 レオン自動機株式会社 食品生地の搬送装置
JP3766241B2 (ja) * 1999-09-08 2006-04-12 レオン自動機株式会社 食品生地供給装置
NL1013801C2 (nl) * 1999-12-09 2001-06-12 Rademaker B V Inrichting voor het vervaardigen van gevulde deegwaar, zoals een croissant of dergelijke.
ITVR20010057A1 (it) * 2001-05-10 2002-11-10 Doge Food Proc Machinery Srl Linea di trattamento di prodotti alimentari arrotolati particolarmente per l'ottenimento di croissant
DE10139885A1 (de) * 2001-08-20 2003-03-06 Fritsch A Gmbh & Co Kg Verfahren und System zur Bildung gewickelter Teigprodukte, insbesondere Croissant-Wickel, aus einem flachen, zugeschnittenen Teigstück
ITMI20020464A1 (it) * 2002-03-06 2003-09-08 Arturo Colamussi Apparato per la piegatura di croissant
DE50211832D1 (de) * 2002-05-31 2008-04-17 Seewer Ag Burgdorf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gewickelten Teigprodukten
DE502004003682D1 (de) * 2004-05-11 2007-06-14 Rene Senn A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Rollen von flächigen Lebensmittelprodukten
US7156642B2 (en) * 2004-09-22 2007-01-02 Frito-Lay North America, Inc. Dough rolling apparatus and method
EP1726209B1 (de) 2005-05-23 2013-11-13 Fritsch GmbH Wickelsystem für Teigstücke und Füllgut
US9661860B2 (en) * 2011-03-10 2017-05-30 Richard A. Payne Meatball rolling machine
TWM445854U (zh) * 2012-08-20 2013-02-01 Bestaste Entpr Corp 春捲自動成型機
US8668485B1 (en) 2012-11-01 2014-03-11 Frito-Lay North America, Inc. Dough rolling apparatus, method and product
CN103349036B (zh) * 2013-06-20 2015-09-02 深圳市涛金科技有限公司 一种压面装置
MX359034B (es) * 2014-12-19 2018-09-12 Heat Control Inc Sistema rolador de productos laminados.
DE102015106138B4 (de) * 2015-04-22 2018-05-09 Rondo Burgdorf A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gewickelten Teigprodukten aus Teigstücken
EP3387908B1 (en) * 2017-04-12 2023-08-09 Radie B.V. Method and device for rolling up laminated dough pieces with a separator sheet
EP3804523B1 (en) * 2018-05-31 2023-08-30 Rheon Automatic Machinery Co., Ltd. Roll-forming method for food dough piece
EP3925448A1 (en) * 2020-06-15 2021-12-22 Radie B.V. Method and a device for moisturizing pieces of dough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551009C (de) * 1930-01-30 1932-05-24 Wilhelm Quadt Teigwickelmaschine
FR768213A (fr) * 1933-02-10 1934-08-02 Enrouleuse de pâte
US2746401A (en) * 1950-07-28 1956-05-22 Irving M Archer Dough rolling mechanism of a dough molding machine
CH316391A (de) * 1952-09-27 1956-10-15 Meier Georg Auswalz- und Wickelmaschine für Teigstücke
US3704664A (en) * 1971-08-10 1972-12-05 Mckee Baking Co Apparatus for forming swiss rolls
US3993422A (en) * 1972-03-10 1976-11-23 Lu, Brun & Associes S.A. Machine for the manufacture of twisted dough articles
JPS5386076A (en) * 1976-12-30 1978-07-29 Morinaga & Co Continuous rice cracker rolling apparatus
US4150935A (en) * 1976-07-26 1979-04-24 Dario Venzo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utting, rolling and dampening pastry rolls
JPS55156543A (en) * 1979-05-24 1980-12-05 Rheon Automatic Machinery Co Apparatus for changing advancing direction of dough strip
IT1148040B (it) * 1981-03-20 1986-11-26 Claudio Nenci Macchina per la produzione di involucri tubolari di pasta alimentare
DE3208771A1 (de) * 1982-03-11 1983-09-22 Johann Kasper, Maschinenbau, 8480 Weiden Teigeinzugs- und -uebergabevorrichtung
AT382762B (de) * 1985-05-15 1987-04-10 Rheon Automatic Machinery Co Vorrichtung zum in-abstand-bringen und ausrichten von teigstuecken
JPS61271939A (ja) * 1985-05-27 1986-12-02 レオン自動機株式会社 クロワツサンの製造方法及び装置
IT1215285B (it) * 1985-07-01 1990-01-31 M E Co Di Monaco E C S P A Procedimento di panificazione per la fabbricazione di panetti croccanti a lunga conservazione erelativo impianto.
CA1291370C (en) * 1986-06-18 1991-10-29 Torahiko Hayashi Apparatus and method for rolling croissant dough pieces
AU611600B2 (en) * 1988-12-03 1991-06-13 Rheon Automatic Machinery Co. Ltd. An apparatus for producing a dough rol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360498A1 (en) 1990-03-28
KR900004260A (ko) 1990-04-12
CN1041089A (zh) 1990-04-11
CN1020393C (zh) 1993-05-05
ES2030976T3 (es) 1992-11-16
AU605696B2 (en) 1991-01-17
AU4099089A (en) 1990-04-26
DE68901518D1 (de) 1992-06-17
US5078585A (en) 1992-01-07
CA1327729C (en) 1994-03-15
EP0360498B1 (en) 1992-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3070B1 (ko) 반죽물 조각을 말아서 반죽물 롤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SU1542400A3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изготовлени рогаликов из скатанного теста
US490558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olling croissant dough pieces
US407803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abricating irregular shaped brick
US20010023643A1 (en) Apparatus to roll-up laminar sheets of food material in tubular shape
EP0770330B1 (en) Method and device for rolling a planar piece of material
CA1045904A (en) Apparatus for stretching dough material
US1913455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working plastic materials
JPH04327903A (ja) 原木クリーナー   
JP3069142B2 (ja) 練り粉の索の長さを調節するための装置
CN220140679U (zh) 一种面团覆膜机
JP2597085B2 (ja) 可食性生地の連続処理方法
CN220097585U (zh) 一种自动上料传动机
JP3916154B2 (ja) 生地丸め成形装置
CN209201980U (zh) 一种直纹开丝仿手工潼关肉夹馍机
JP2001321061A (ja) 生地延ばし装置
JPH0898640A (ja) 菓子パンの製造方法および生地巻上げ充填方法
JPH07123902A (ja) 麺線延伸装置及び製麺方法
JPS646055Y2 (ko)
JPS6359858A (ja) 海苔巻用米飯供給機
US371852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 hollow body from a helically wound strand
KR940000616Y1 (ko) 김밥 자동 제조장치
CN117158459A (zh) 一种酥饼成型加工设备
CN116391736A (zh) 一种面团覆膜机
SU1381086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формовани декоративно-облицовочных пли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410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