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0616Y1 - 김밥 자동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김밥 자동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0616Y1
KR940000616Y1 KR2019910010630U KR910010630U KR940000616Y1 KR 940000616 Y1 KR940000616 Y1 KR 940000616Y1 KR 2019910010630 U KR2019910010630 U KR 2019910010630U KR 910010630 U KR910010630 U KR 910010630U KR 940000616 Y1 KR940000616 Y1 KR 9400006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roller
gimbap
roll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106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1875U (ko
Inventor
이남재
Original Assignee
이남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남재 filed Critical 이남재
Priority to KR20199100106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0616Y1/ko
Publication of KR93000187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187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06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061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20Making of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e.g. by wrapping in preformed edible dough sheets or in edible food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96Products in which the original granular shape is maintained, e.g. parboiled ric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김밥 자동 제조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김밥 자동 제조장치의 전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김밥 자동 제조장치의 밥 성형부를 나타내는 종단면 개략도.
제3도는 본 고안의 핀로울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다짐성형로울 사시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철단장치의 일부절결 확대 사시도.
제6도는 본 고안의 이송장치의 사시도.
제7도는 본 고안의 김밥 성형부분의 사시도.
제8도는 본 고안의 김밥성형용벨트에 의하여 김밥이 성형 완료된 상태툴 나타내는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기기본체 20 : 다짐성형로울
30 : 절단장치 40 : 콘베이어벨트
50 : 핀로울 60 : 이송장치
61 : 이송로울러 62 : 체인휠
63 : 동력천달체인 64 : 동력축
65 : 유지체인휠 66 : 로울러받침대
67 : 지지브라켓트 70 : 고정로울
80 : 구동로울 81 : 구동로울구동축
82 : 구동축안내구명 83 : 구동로울지지대
84 : 중심축 90 : 성형용벨트
본 고안은 김밥 자동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밥성형부에서 일정 두께 및 길이로 절단성형된 밥이 이송장치에 의하여 자동으로 이송되면서 김(해태)에 얹어질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이어서 서로 성형용벨트로 연결되어 구동수단에 의하여 고정로울에 대하여 구동로울이 접촉회동될 수 있도록 된 김밥성형부에서, 상기 김위의 밥에 김밥속의 투입과 함께 두루마리 형상으로 김밥이 자동으로 성형될 수 있도록 한 김밥 자동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김밥 제조장치에 있어서는, 호퍼에 일정량의 밥을 투입시키게 되면 ,호퍼의 개구부를 통하여 일정량의 밥이 추출되도록 되어 있으며, 호퍼로 부터 추출된 밥은 다짐성형로울을 통과 하도록 되어 상기 다짐성형로울의 구동에 의하여 일정 두께로 눌려져 성형되도록 하고 있다
이후, 상기와 같이 다짐성형로울에 의하여 일정두께로 성형된 밥은 구동수단에 의하여 구동되는 콘베이어벨트에 의하여 이송되면서 수동 및 자동의 절단수에 의하여 일정길이로 절단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다짐성형로울에 의하여 일정크기로 절단 성형된 밥은, 콘베이어벨트 위에 얹어져 이송되며, 또한 상기 콘베이어벨트의 끝단부위에서 작업자가 성형되어 나오는 밥을 일일이 받아서 김에 얹어 김밥속을 넣은 후, 대나무발로써 김밥을 두루마리 형상으로 만들 수 있도록 작업라인이 형성된 것이 일반적이며, 또는 별도의 김밥을 마는 작업기구에 의하여 상기 콘베이어벨트로 부터 추출되는 성형된 밥올 김위에 얹고 김밥속올 넣어, 거의 수동작업에 의하여 두루마리식으로 마는 작업을 행하였던 것이다.
위와 같이, 종래의 김밥 성형장치에 있어서는 인력의 수고를 덜고 생산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호퍼로 부터추출되는 밥을 다짐성형로울로써 일정 두께로 다져서 절단수단에 의하여 일정길이로 절단 성형하는 라인은 상기와 같이 자동시스템의 일련의 수단에 의하여 다소 작업효율은 높일 수 있었으나, 김에 밥과 김밥속올 넣어 두루마리식으로 마는 작업은 역시 상기와 같이 수작업에 의존하였기 때문에, 작업효율 및 생산효율이 낮은 결점등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밥을 일정두께 및 크기로 성형하는 작업라인에서 부터 성형된 밥을 김에 얹어서 이에 김밥속을넣어 두루마리 형상으로 성형하여, 완성품의 김밥 만드는 작업이 일련의 하나의 공정에 의하여 자동으로 행할수 있도록 하으로써, 김밥제조의 생산증가로 생산 및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는 김밥 자동 제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은, 밥을 투입할 수 있는 호퍼내에의 핀로울 및 다짐성형로울에 의하여 밥이 일정두께로 성형되어 결단장치에 의해 일정 폭으로 밥이 절단되면서 콘베이어벨트에 의하여 이송되도록 하는 밥성형부를 가지는 김밥 자동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의 밥성형부에 연이어서 구동수단에 의하여 회전되는 다수의 이송로울러를 가지는 이송장치를 일정 구배로 경사지게 형성하고, 상기 이송장치에 연이어서 회동가능한 고정로울과 일정간격으로 떨어져 구동수단에 의하여 상기 고정로울과 접촉될 수 있도록 되어 회동가능하도록 된 구동로울이 상기고정로울과 서로 일정길이의 성형용벨트로서 연결되도록 하여, 성형용벨트위의 김밥을 두루마리 형상으로 성형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기본체(10)의 후방에 구동장치(도시생략)들이 장착되어 있는 구동수단장착부(11)가 형성되고, 이 구동수단장착부(11)의 전면부위에는 구동수단들을 제어할 수 있는 콘트롤박스(1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의 구동수단장착부(11)의 앞쪽에는 김밥을 성형할 수 있는 구성요소들이 설치되어 있는데, 도면에서 좌측은 밥을 일정크기로 성형할 수 있는 밥성형부( 100)가 형성되어 있고, 이 밥성형부(100)에 연이어서 도면의 우측에 성형된 밥을 김으로 말 수 있는 김밥성형부(11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의 밥성형부(100)는, 일정량의 밥을 넣을 수 있는 호퍼(13)와, 상기 밥을 일정두께로 다질 수 있는 다성형로울(20)과, 이 다짐성형로울(20)에 의하여 다져진 밥을 적당한 크기로 절단할 수 있는 절단장치(30)의 아래쪽에는 상기에서 성형된 밥을 이송시킬 수 있는 콘베이어벨트(40)를 포함한다.
상기, 호퍼(13)내에는 제1도 및 제2도와 같이 핀로울(50)이 형성되어, 이 핀로울(50)의 회전에 의하여 호퍼(13)내의 밥(200)의 주입량을 조절하면서 균일하게 제2도에서 화살표시 방향으로 밥(200)이 밀려 들어가도록 하는 작용을 행한다.
이 핀로울(50)은, 제3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속이 빈 원통형상의 핀로울축 (51)에 일정길이의 핀(52)이 교호로다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이 핀로울축 (51)은 상기 구동수단장착부(11)내의 구동수단에 의하여 회전되는 구동축(53)과 연결되어 핀로울(50)이 일정속도로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다음, 다짐성형로울(20)은 호퍼(13)의 개구부쪽에 형성되어 회전함에 따라서 호퍼(13)내의 밥(200)을 콘베어어밸트(4O)의 위로 추출시면서 일정두께로 다지는 기능을 하며. 상기의 콘베이어벨트(40)의 표면과의 간격조정이 가능하도록 되어. 호퍼(13)의 개구부률 통하여 추출되는 밥의 두께를 임의로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다짐성형로울(20)은 제4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나선의 파형홈( 21)이 그의 원주면에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다짐성형로울(20)은 비 점착성의 재질로 형성되 있어서,다짐성형로울(20)의 회전과 또한 콘베이어벨트(40)의 이송진행에 의하여 밥이 말리거나, 흩어지거나 또는 다짐성형로울(20)의 겉표면에 달라붙는 일이 없는 것이다.
또한,상기의 핀로울(50)과 마찬가지로 상기 다짐성형로울(20)은, 제4도와 같이 그의 다짐성형로울축(22)이상기 구동수단장착부(11)내의 구동수단에 의하여 회전되는 구동축(23)과 연결되어 다짐성형로울(20)이 일정속도로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절단장치(30)는 제1도 및 제2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콘베이어벨트(40)의 윗쪽에 형성되어 콘베이어벨트(40)위에 진행되는 밥을일정간격으로 절단하여 상기의 다짐성형로울(20)에 의하여 다져진 밥을 일정크기로 성형하게 된다.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단장치(30)는 기기본체(l0)의 구동수단장착부 (l1)전면부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트(31)에 의하여 지지되며. 구동윈은 상기 구동수단장착부(11)내의 구동장치에 연결되어 회동하는 동력전달축(32)이 고정브라켓트(31)에 유지브라켓트(33)에 의하여 회동이 자유톱도록 지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동력전달축(32)의 양쪽에는 절단칼날지지대(34)들이 고정되어 있으며, 이 절단칼날지지대(34)들의 다른쪽 끝단에는 베어링(35-1)에 의하여 회동이 자유로운 회동축(35)이 가로질러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이 회동축(35)의 중앙부위에는 첨단에 절단칼날(36)이 고정되는 수직로드(37)가 지지브라켓트(38)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수직로드(37)는, 상기의 유지브라켓트(33)와 제5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위,아래 방향으로 스프링(39)들이 연결되어, 상기 동력전달축(32)의 구동에 의하여 상,하 방향의 이동으로 절단칼날(36)이 절단을 행하도록 하면서, 회동축(35)및 스프링(39)의 탄성력에 의하여 적당한 유격으로 절단칼날(36)이 일정속도로 주행하는 콘베이어벨트(40)위의 밥을 일정길이로 절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콘베이어벨트(40)는 제1도 및 제2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밥성형부 (100)에 형성되어 있으며, 복수개의 벨트용로울(41)에 안내되어 제2도의 화살표시 방향으로 구동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벨트용로울(41)들은 기기본체(10)의 구동수단장착부(11)내에 설치된 구동장치(도시생략)에 연결되어 일정속도로 회전함에 따라서, 콘베이어벨트(40)를 주행 이송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콘베이어벨트(40)의 윗쪽은 구동수단장착부(11)의 전면부에 고정되는 벨트받침대(42)다 콘베이어벨트(40)의 폭과 거의 동일한 폭의 칫수로 형성되어, 제2도와 같이 콘베이어벨트(40)를 슬라이드 안내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어서, 콘베이어벨트(40)의 밑면이 벨트받침대(42)에 의하여 받쳐진 상태로 주행 이송을행할 수 있기 때문에, 콘베이어벨트(40)위의 성형된 밥을 적당한 장력으로 이송시킬 수 있는 것이다.
다음, 제1도 및 제6도에서 본 고안의 이송장치(60)는, 상기의 밥성형부(10O)의 콘베이어벨트(40)이에 연이어서 설치되어 있으며, 구동수단장착부(11)내의 구동장치(도시생략)에 의하여 회전되는 다수의 이송로울러(61)들이 일정의 구배로 경사지게 배열형성되어 이송로울러(61)들에 김을 얹어, 밥성형부(100)의 콘베이어벨트(40)로 부터 이송되어 오는 성형된 밥이 김위에 얹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또는 김을 부착할 수 있으며, 위와갈이 밥이올려진 김을 후술하는 김밥성형부(110)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의 이송장치(60)는, 제6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일정직경의 이송로울러( 61)의 한쪽 끝단이 상기 구동수단장착부(11)의 전면판넬에 지지되어 있으면서 체인휠 (62)이 각각 형성되어 동력전달체인(63)에 의하여 각각 일정의 회전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의 동력전달은 이송로울러(61)들중의 하나가 구동장치와 연결되는 동력축(64)과 연결되어 체인의 구동력이 전달되며, 또한 상기 동력전달체인(63)은 유지체인훨(65)에 의하여 적당한 장력으로 구동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이송로울러(61)의 다른쪽 끝단들은 로울러받침대(66)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되어 있고, 상기의 로울러받침대(66)는 지지브라켓트(67)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되어 있으며,또한 지지브라켓트(67)는 기기본체(10)의 구동수단장착부(11)의 전면부에 고정되어. 이송장치(6O)가 적당한 경사각으로 제1도와 같이 유지될수 있도록 고정된 것이다.
다음, 제7도 및 제8도는 본 고안의 김밥성형부(110)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이송장치(60)에 연이어서 회동가능한 고정로울(70)과 일정간격으로 떨어져 구동수단에 의하여 상기 고정로울(70)과 접촉될 수 있도록 되어 회동가능하도록 된 구동로울(80)이 상기 고정로울(70)과 서로 일정길이의 성형용벨트(90)로서 연결되도록 하여, 성형용벨트(90)위의 김밥을 두루마리 형상으로 성형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제7도와 같이 고정로울(70)은 고정축(71)에 의하여 회동이 자유롭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구동로울(80)은 기기본체(10)의 구동수단장착부(11)에 형성되는 구동장치(도시생략)와 연결된 구동로울구동축(81)과 연결되어 회동이 자유롭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구동로울(80)은 제7도와 같이 적당한 길이의 호형상의 구동축안내구멍(82)에 그의 구동로울구동축(81)이 결합되어 화살표시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구동로울(80)의 양끝단에는 제7도와 같이 구동로울지지대(83)가 연결되어 있으며, 또한 이 구동로울지지대(83)의 다른쪽 끝단은 중심축(84)에 회동이 자유롭도록 연결되어서, 구동로울(80)을 화살표시 방향으로 중심축(84)을 중심으로 상기의 고정로울(70)쪽으로 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이다.
상기의 고정로울(70)과 구동로울(80)은 그의 표면에는 후랙시블한 성형용밸트(90)의 양쪽끝단이 고정되어, 도면과 같이 고정로울(70)과 구동로울(80)이 일정길이의 성형용벨트(90)에 의하여 서로 일정 간격으로 연결되어서, 성형용벨트(90)위에 얹어진 김(201), 성형된 밥(200)및 김갑속(202)을 제8도와 같이 두루마리 형상으로 말아서 김밥을 완성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호퍼(13)에 넣어진 밥을 핀로울(50)의 회전에 의해서 주입량이 조절되면서 균일하게 제 1도의 화살표시 방향으로 밀려서 호퍼(13)의 개구부쪽으로 빠져나가게 되면, 이때 표면이 비점착성의 재질인 나선형의 파형홈(21)이 형성된 다짐성형로울(20)의 회전과, 또한 콘베이어벨트(4O)의 이송 주행에 의해 밥(200)이 밀리거나 흩어지거나, 또는 다짐성형로울(20)에 눌러붙지 않고 정해진 폭과 두께로 밥이 1차 성형되어 콘베이어벨트(4O)를 타고 제2도에서 우측으로 이송된다.
상기와 같이 1차 성형된 밥은 절단장치(30)의 상하 작동에 의해서 알맞은 길이로 절단 성형되어 콘베이어벨트(40)를 타고 빠져나오게 된다.
콘베이어벨트(40) 위의 절단된 밥은 이송장치(60)의 이송로울러(61)에 위치한 김(해태)위에 이송되며 여기에서 적정량의 김밥속(202)을 넣게 되면, 이송장치( 60)가 일정경사각으로 경사져 있으면서. 이송로울러(61)가 동력전달체인( 63)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됨에 따라서, 2차 성형과정인 김밥성형부(110)로 밥(200)과 김밥속(2 02)과 김(201)이 이송된다.
위에 같이 이송장치(60)에 의하여 이송되는 밥(200)과 김밥속(202)및 김(201)은 성형용 벨트(90)위에 얹어지게 된다.
성형용벨드(90)에 얹어진 밥(200)과 김밥속(202)및 김(201)의 내용물은 제7도에서 화살표시 방향으로 구동로울(80)의 구동로울구동측(81)이 구동장치의 구동에 의하여 구동축안내구멍(82)에 안내되어 이동하게 되면, 성형용벨트(90)가 하중에 의해서 밑으로 쳐져서 밥(200)과 김밥속(202)및 김(201)의 내용물이 환봉형상으로 2차 성형되게 된다.
이어서, 구동로울(80)이 고정로울(70)과 접촉한 상태에서 구동로울(80)의 구동로울구동축(81)이 구동장치에 의하여 회전력이 전달되면, 고정로울(70)과 구동로울 (80)이 제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살표시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서, 성형용벨트( 90)가 회전하므로 여분의 김이 완전히 말아지면서 김밥 성형의 작업이 완료된다.
또한, 김밥의 성형작업이 완료되면, 구동로울(80)은 제7도의 화살표시 반대 방향으로 후진시키므로써, 성형된 두루마리 형상의 김밥(20l)을 인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밥을 일정두께 및 크기로 성형하는 작업라인에서 부터 성형된 밥을 김에 얹어서 이에 김밥속을 넣어 두루마리 형상으로 성형하여, 완성품의 김밥 만드는 작업이 일련의 하나의 공정에 의하여 자동으로 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김밥제조의 생산증가로 생산 및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며, 또한 필요에 따라 김밥성형부를 자동 및 수동으로 작동할 수 있으며, 또한 세척이 요구되는 호퍼, 핀로올, 다짐성형로울, 콘베이어벨트 및 성형용벨트등을 손쉽게 분리할 수 있어 작업후 세척이 용이한 이점등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밥을 투입할 수 있는 호퍼내에의 핀로울 및 다짐성향로울에 의하여 밥이 일정 두께로 성형되어 절단장치에 의해 일정 폭으로 밥이 절단되면서 콘베이어벨트에 의하여 이송되도록 하는 밥성형부를 가지는 김밥 자동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의 밥성형부에 연이어서 구동수단에 의하여 회전되는 다수의 이송로울러툴 가지는 이송 장치를 일정 구배로 경사지게 형성하고, 상기 이송장치에 연이어서 회동가능한 고정로울과 일정간격으로 떨어져 구동수단에 의하여 상기 고정로울과 접촉될 수 있도록 되어 회동가능하도록 된 구동로울이 상기 고정로울과 서로 일정길이의 성형용벨트로서 연결되도록 하여, 성형용벨트위의 김밥을 두루마리 형상으로 성형할 수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김밥 자동 제조장치.
KR2019910010630U 1991-07-11 1991-07-11 김밥 자동 제조장치 KR9400006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0630U KR940000616Y1 (ko) 1991-07-11 1991-07-11 김밥 자동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0630U KR940000616Y1 (ko) 1991-07-11 1991-07-11 김밥 자동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1875U KR930001875U (ko) 1993-02-25
KR940000616Y1 true KR940000616Y1 (ko) 1994-02-07

Family

ID=19316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10630U KR940000616Y1 (ko) 1991-07-11 1991-07-11 김밥 자동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061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1875U (ko) 1993-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57657A (en) Fiberizing and pad forming apparatus
AT394154B (de) Vorrichtung zum abfuehren eines von einer laufenden materialbahn kontinuierlich abgetrennten randbeschnittstreifens
US6607082B2 (en) Device for removal of trimmings in the production of rolls of web material
US20010022285A1 (en) Device for the selection and elimination of crop ends of rolls of kitchen towel and/or toilet paper
US3045939A (en) Flexible material winder
US6708855B2 (en) Transverse folding apparatus
KR940000616Y1 (ko) 김밥 자동 제조장치
US6427825B1 (en) Device for separating from each other a plurality of articles which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EP0970785B1 (en) Device for automatic elimination of scraps in the manufacture of rolls of paper
US3034780A (en) Machine and method for sheeting and interfolding material
US1845895A (en) Paper cutting and folding machine
CN211967665U (zh) 一种横向切纸机
US2792890A (en) Cutting and feeding devices
GB2060724A (en) Fabric laying machine
US1927585A (en) Paper feeding mechanism
US3027939A (en) Currency buffer
US196126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utting and folding paper
KR960002265Y1 (ko) 김밥 자동 제조장치
US1961566A (en) Dividing or forming device for plastic materials
US1789822A (en) Apparatus for manipulating extensible strip material
US4981223A (en) Apparatus for feeding boards from the base of the stack
US20040135289A1 (en) Twisting of and twisting device for dough products
BE1002553A6 (nl) Machine voor sigarenfabricage.
US3443462A (en) Automatic sheet cutting and feeding apparatus
KR920010539B1 (ko) 시이트의 절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104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